KR20200026265A - 금속판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판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265A
KR20200026265A KR1020207003009A KR20207003009A KR20200026265A KR 20200026265 A KR20200026265 A KR 20200026265A KR 1020207003009 A KR1020207003009 A KR 1020207003009A KR 20207003009 A KR20207003009 A KR 20207003009A KR 20200026265 A KR20200026265 A KR 20200026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air
rotary
friction stir
sti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316B1 (ko
Inventor
무네오 마츠시타
린세이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55Tools therefor, e.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pro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25Particular aspects of welding with a non-consumabl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3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5Rotary tool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6Workpiece support, i.e. back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23K20/227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with ferrous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양면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할 때에 있어서,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소성 유동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하고, 충분한 강도와 함께, 접합 시공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그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기 위한 적합한 마찰 교반 접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 혹은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맞댐부 혹은 겹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툴과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금속판끼리를 접합한다.

Description

금속판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본 발명은,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그 양면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기 위한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금속판의 접합부가 되는 맞댐부 혹은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대향하여 각각 배치하고, 맞댐부 혹은 겹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툴과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회전 툴로 교반한다. 이에 따라, 접합부에서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금속판끼리를 접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을 금속판의 접합에 적용한 경우, 혹은 마찰 교반 접합 장치를 금속판의 접합에 사용한 경우에 우려되는 문제점, 즉 접합부에 있어서의 금속판의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온도 및 소성 유동의 차이에 기인하는 접합부 내의 국소적인 소성 유동 불량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접합 결함을 유리하게 해소하고, 충분한 강도(조인트 강도(joint strength))를 얻음과 함께, 접합 시공성의 향상, 특히 접합 속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금속판(예를 들면 강판 등)을 맞대었을(혹은 겹쳤을) 뿐이고 아직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맞댐 부분(혹은 겹침 부분)을 「미접합부」, 한편, 소성 유동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화된 부분을 「접합부」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마찰 용접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한 쌍의 금속 재료의 양쪽 또는 한쪽을 회전함으로써, 금속 재료에 마찰열을 발생시켜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교반하여 소성 유동을 일으킴으로써, 금속 재료를 접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접합되는 금속 재료를 회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금속 재료의 형상이나 치수에 한계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금속판보다도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회전 툴을 금속판의 미접합부에 삽입하고, 이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툴과 금속판의 사이에 발생하는 열과 소성 유동에 의해, 금속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금속판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킴으로써 금속판을 접합한다. 이 때문에, 접합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무한하게 긴 부재에도, 그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고상(固相) 접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 툴과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한 금속의 소성 유동을 이용한 고상 접합이기 때문에, 접합부를 용융하는 일 없이 접합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접합 후의 변형이 적고, 또한 접합부는 용융되지 않기 때문에 결함이 적고, 더하여 용가재(溶加材)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 많은 이점이 있다.
마찰 교반 접합법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으로 대표되는 저융점 금속판의 접합법으로서, 항공기, 선박, 철도 차량 및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 이유로서는, 이들 저융점 금속판은, 종래의 아크 용접법에서는 접합부의 만족스러운 특성을 얻는 것이 어렵지만, 마찰 교반 접합법을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함과 함께, 품질이 높은 접합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건축물, 선박, 중기, 파이프라인 및 자동차와 같은 구조물의 소재로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구조용 강판에 대한 마찰 교반 접합법의 적용은, 종래의 용융 용접에서 과제가 되는 응고 균열이나 수소 균열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강판의 조직 변화도 억제되기 때문에, 조인트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툴에 의해 접합 계면을 교반함으로써 청정면을 창출하여 청정면끼리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확산 접합과 같은 사전의 준비 공정은 불필요하다는 메리트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용 강판에 대한 마찰 교반 접합법의 적용은, 많은 이점이 기대된다. 그러나,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의 억제 및, 접합 속도(즉 회전 툴의 이동 속도)의 고속도화와 같은 접합 시공성에 문제를 남기고 있었기 때문에, 저융점 금속판에 대한 마찰 교반 접합법의 적용과 비교하여 마찰 교반 접합법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마찰 교반 접합법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의 주된 요인으로서, 금속판의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온도 및 소성 유동의 차이를 들 수 있다. 금속판의 접합부의 한쪽의 면측에 대하여 회전 툴을 압압시키고,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합하는 경우, 회전 툴의 숄더부(shoulder part)가 압압되는 면측에서는, 숄더부의 회전에 의해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shear-stress)의 부하에 의해 고온에서 큰 변형이 가해짐으로써, 접합 계면에 청정면을 창출한다. 그리고 청정면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야금적인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소성 유동이 얻어진다. 한편, 그 반대의 면측에서는, 비교적 저온에서, 부하되는 전단 응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야금적인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소성 유동이 얻어지지 않는 상태에 빠지기 쉽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마찰 교반 접합법의 기술을 구조용 강판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구조용 강판의 고온에서의 강도가 높기 때문에, 저입열이고 또한 접합 속도가 높은 경우에 상기와 같은 충분한 소성 유동이 얻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경향이 강하다. 그 때문에,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가 곤란하다.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에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의 숄더부가 금속판의 접합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압압되고, 숄더부의 회전에 의해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에 의해 고온에서 큰 변형을 금속판의 접합부의 양면에 가한다. 이에 따라,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인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소성 유동을 얻을 수 있어,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에 기재된 기술에 관해서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의 숄더부를 금속판의 접합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압압할 때에 있어서,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얻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한 쌍의 회전 툴의 숄더부 간의 간극에 관해서는 하등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183979호 일본공표특허공보 평7-505090호 일본특허 제3261433호 일본특허 제4838385호 일본특허 제4838388호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그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기 위한 적합한 마찰 교반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할 때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의 숄더부가 금속판의 접합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압압되고, 숄더부의 회전에 의해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에 의해 고온에서 큰 변형을 금속판의 접합부의 양면에 가함으로써,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소성 유동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하고, 충분한 강도(조인트 강도)와 함께, 접합 시공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기술의 제공이다. 특히,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얻는 데에 있어서 중요해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의 숄더부 간의 간극을 정사(精査)한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그것을 실현하는 마찰 교반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 상태」란, 금속판의 접합부 계면을 걸쳐 결정립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미시적으로 금속판의 계면이 소실된 상태를 가리킨다. 「접합 상태를 달성한다」 혹은 「접합 상태를 얻는다」란, 상기의 상태를 달성하는 것, 혹은 상기의 상태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서술하는 인식 (a)∼(d)를 얻었다.
(a) 양면 마찰 교반 접합에 있어서는,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하는 데에 있어서, 접합 상태를 얻기에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분포시키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의 숄더부끼리의 간극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 쌍의 회전 툴에 경사 각도가 부여되는 경우는, 금속판의 두께에 더하여, 회전 툴의 숄더부의 직경 및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b)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은, 회전 방향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동(同)방향으로 하면, 한쪽의 회전 툴에 대한 다른 한쪽의 회전 툴의 상대 속도는 제로이다. 그 때문에, 회전 툴의 숄더부끼리의 간극에 있어서 금속판의 소성 유동이 균질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소성 변형이 작아져, 금속판의 소성 변형에 의한 발열도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접합 상태는 달성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양호한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한 쌍의 회전 툴의 회전 방향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역방향으로 할 필요가 있다.
(c)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은, 핀부의 선단 간의 간극을 관리함으로써,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의 두께 및, 회전 툴의 숄더부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된다.
(d)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은, 숄더부의 직경을 관리함으로써,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금속 판두께에 관련하여 숄더부의 직경을 한정함으로써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식에 입각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 혹은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맞댐부 혹은 겹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툴과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로서, 숄더부 및 그 숄더부에 배치되고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숄더부와 핀부가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금속판을 파지 장치에 의해 고정하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압압시키고,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한 쌍의 회전 툴의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숄더부의 간극 G(㎜)가, 맞댐인 경우는 금속판의 두께 t(㎜), 혹은 겹침인 경우는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0.5×t≤G≤t
를 충족하고,
추가로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 혹은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맞댐부 혹은 겹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툴과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로서, 숄더부 및 그 숄더부에 배치되고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숄더부와 핀부가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금속판을 파지 장치에 의해 고정하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에 압압시키고,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한 쌍의 회전 툴의 회전축을 금속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접합 방향에 대하여 선행하는 측으로 경사 각도 α(°)로 경사시키고, 경사 각도 α가
0<α≤3
을 충족하고, 또한 한 쌍의 회전 툴의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숄더부의 간극 G(㎜)가, 금속판의 두께 t(㎜) 그리고 회전 툴의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5×t)-(0.2×D×sinα)≤G≤t-(0.2×D×sinα)
를 충족하고,
추가로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이다.
본 발명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는, 숄더부의 직경 D(㎜)가, 금속판의 두께 t(㎜)에 대하여
4×t≤D≤20×t
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간극 g(㎜)가, 맞댐인 경우는 금속판의 두께 t(㎜), 혹은 겹침인 경우는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 그리고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1-0.09×exp{-0.011×(D/t)2}]×t≤g
≤[1-0.9×exp{-0.011×(D/t)2}]×t
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 혹은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맞댐부 혹은 겹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툴과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있어서,
회전 툴이, 숄더부 및 그 숄더부에 배치되고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숄더부와 핀부가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금속판을 고정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한 쌍의 회전 툴의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숄더부의 간극 G(㎜)가, 맞댐인 경우는 금속판의 두께 t(㎜), 혹은 겹침인 경우는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0.5×t≤G≤t
를 충족하고,
추가로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 혹은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맞댐부 혹은 겹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툴과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있어서,
회전 툴이, 숄더부 및 그 숄더부에 배치되고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숄더부와 핀부가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금속판을 고정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한 쌍의 회전 툴의 회전축을 금속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접합 방향에 대하여 선행하는 측으로 경사 각도 α(°)로 경사시키고, 경사 각도 α가
0<α≤3
을 충족하고, 또한 한 쌍의 회전 툴의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숄더부의 간극 g(㎜)가, 맞댐인 경우는 금속판의 두께 t(㎜), 혹은 겹침인 경우는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 그리고 회전 툴의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5×t)-(0.2×D×sinα)≤G≤t-(0.2×D×sinα)
를 충족하고,
추가로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이다.
본 발명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있어서는, 숄더부의 직경 D(㎜)가, 맞댐인 경우는 금속판의 두께 t(㎜), 혹은 겹침인 경우는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4×t≤D≤20×t
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간극 g(㎜)가, 맞댐인 경우는 금속판의 두께 t(㎜), 혹은 겹침인 경우는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 그리고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1-0.09×exp{-0.011×(D/t)2}]×t≤g
≤[1-0.9×exp{-0.011×(D/t)2}]×t
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할 때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의 숄더부가 금속판의 접합부의 표면과 이면에 압압되고, 숄더부의 회전에 의해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에 의해 고온에서 큰 변형이 금속판의 접합부의 양면에 가해짐으로써, 금속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소성 유동이 촉진되어, 양호한 접합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하고, 충분한 강도와 함께, 접합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각별한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 툴과 금속판의 배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 중의 회전 툴과 금속판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A-A 화살표의 단면도이다.
도 3(1) 및 도 3(2)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회전 툴의 단면 치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서는, 2매의 금속판을 맞대거나, 혹은 2매의 금속판을 서로 겹쳐, 그 맞댐부 혹은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한 쌍의 회전 툴을 배치하여 양면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맞댐부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대어진 2매의 금속판(3)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한 쌍의 회전 툴(1, 8)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금속판(3)의 표면측과 이면측의 양쪽으로부터 미접합부(12)에 회전 툴(1, 8)을 삽입하고, 추가로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 중의 화살표 P는 회전 툴(1, 8)의 진행 방향(즉 접합 방향), 화살표 Q는 표면측에 배치되는 회전 툴(1)의 회전 방향, 화살표 R은 이면측에 배치되는 회전 툴(8)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서로 대항하는 한 쌍의 회전 툴(1, 8)을 회전시켜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금속판(3)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한 쌍의 회전 툴(1, 8)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금속판(3)을 접합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접합부(4)는, 회전 툴(1, 8)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중의 미접합부(12)로부터 접합부(4)의 폭 중앙에 연신하는 직선(7)(이하, 접합 중앙선이라고 함)은,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 툴(1, 8)의 궤적에 일치한다(도 2(1) 참조).
2매의 금속판(3)은, 회전 툴(1, 8)이 접합 중앙선(7)을 따라 진행할 때에, 모두 파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파지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파지 장치는, 회전 툴(1, 8)의 진행에 수반하는 금속판(3)의 위치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기 때문에,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표면측의 회전 툴(1)의 핀부(6) 선단과, 이면측의 회전 툴(8)의 핀부(10) 선단은 맞닿게 하지 않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 g(㎜)를 부여한다. 또한, 회전 툴(1, 8)의 직경 D(㎜)와 핀부(6, 10)의 직경 a(㎜)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5, 9)(이하, 숄더부라고 함)의 사이에는 간극 G(㎜)가 발생한다.
추가로, 표면측의 회전 툴(1)의 회전 방향(즉 화살표 Q)에 대하여 이면측의 회전 툴(8)을 역방향(즉 화살표 R)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3)의 표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에 있어서, 회전 툴(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는, 회전 툴(8)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회전 툴(1)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는, 회전 툴(8)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 툴(1)의 핀부(6) 선단과 회전 툴(8)의 핀부(10) 선단에 간극(g)을 형성하고, 회전 툴(1)의 숄더부(5)와 회전 툴(8)의 숄더부(9)에 간극(G)을 형성하고, 또한 회전 툴(1)과 회전 툴(8)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이 금속판(3)의 양면으로부터 가해지고, 접합부(4)에 있어서의 금속판(3)의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온도 및 소성 유동의 차이를 저감하여 균질적인 접합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4) 내에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소성 유동 불량을 해소함으로써 접합 결함을 유리하게 해소하고, 충분한 강도와 함께, 접합 시공성의 향상, 특히 접합 속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면측의 회전 툴(1)은, 숄더부(5) 및, 이 숄더부(5)에 배치되고, 또한 숄더부(5)와 회전축(2)을 공유하는 핀부(6)를 구비한다. 이면측의 회전 툴(8)은, 숄더부(9) 및, 이 숄더부(9)에 배치되고, 또한 숄더부(9)와 회전축(11)을 공유하는 핀부(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적어도 숄더부(5, 9)와 핀부(6, 10)는 금속판(3)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회전 방향 Q, R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역방향으로 함으로써, 회전 툴(1, 8)의 회전에 의해 금속판(3)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를 서로 없앨 수 있다. 종래의 한쪽면측으로부터 회전 툴을 압압하여 접합하는 마찰 교반 접합법과 비교하면, 금속판(3)을 구속하는 지그(jig)의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회전 방향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동방향으로 하면, 표면측의 회전 툴(1)에 대한 이면측의 회전 툴(8)의 상대 속도는 제로이다. 이 때문에,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 간에서는 금속판(3)의 소성 유동이 균질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소성 변형은 작아져 금속판(3)의 소성 변형에 의한 발열도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접합 상태는 달성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양호한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피가공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회전 방향 Q, R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역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 툴의 배치를 이하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회전 툴 수명의 향상, 접합 결함 발생의 억제 및,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도모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
우선, 표면측 및 이면측의 회전 툴의 경사 각도 α(°)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 툴(1, 8)의 회전축(2, 11)을, 금속판(3)에 대한 연직 방향으로부터 각도 α(°)를 갖고 경사시켜, 핀부(6, 10) 선단을 접합 방향 P에 대하여 선행시킴으로써, 회전 툴(1, 8)에 대한 부하를 회전축(2, 11) 방향으로 압축되는 분력으로서 회전 툴(1, 8)로 받을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툴(1, 8)은, 금속판(3)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될 필요가 있어, 세라믹 등의 인성이 부족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핀부(6, 10)에 대하여 굽힘 방향의 힘이 부하되면, 국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괴에 이른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 툴(1, 8)의 회전축(2, 11)을 각도(α)(이하, 경사 각도라고 함)로 기울임으로써 회전 툴(1, 8)에 가해지는 부하를 회전축(2, 11) 방향으로 압축되는 분력으로서 받아, 굽힘 방향의 힘을 저감할 수 있어, 회전 툴(1, 8)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경사 각도 α는 0°를 초과하면 전술의 효과가 얻어지지만, 3°를 초과하면 접합부의 표리면이 오목형이 되어 접합 조인트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3°를 상한으로 한다. 즉, 경사 각도는 0°<α≤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α≤2.0°이다.
또한, 경사 각도 α는 0°라도, 접합 상태를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음으로, 표면측 및 이면측의 회전 툴의 숄더부 간의 간극 G(㎜)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면 마찰 교반 접합에 있어서는,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하는 데에 있어서, 접합 상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금속판(3)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얻기 위해 중요해지는 한 쌍의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 간의 간극 G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표면측 및 이면측의 회전 툴(1, 8)의 경사 각도 α가 0°인 경우는, 맞댐 접합에 있어서는 금속판(3)의 두께 t(㎜), 겹침 접합에 있어서는 서로 겹친 금속판(3)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0.5×t 이상 또한 t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다. 그 결과,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가 금속판(3)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충분한 하중으로 압압되고,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에 의한 마찰과 전단 방향으로의 소성 변형에 의해 발열과 소성 유동이 촉진된다. 이로부터, 금속판(3)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소성 유동이 촉진되어, 양호한 접합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 간의 간극 G는, t를 초과하면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가 금속판(3)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충분한 하중으로 압압할 수 없어, 상기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숄더부(5, 9) 간의 간극 G는, 0.5×t 미만이 되면, 접합부의 표면과 이면이 오목형이 되어 접합 조인트 강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경사 각도가 α=0°인 경우는, 간극 G를 0.5×t 이상 또한 t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경사 각도 α가, 0°<α≤3°인 경우는, 한 쌍의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를 금속판(3)의 표면과 이면에 넓은 범위에서 접촉시키기 위해, 표면측 및 이면측의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 간의 간극 G를 작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경사 각도 α를 부여하는 경우는, 금속판(3)의 두께 t(맞댐 접합 시) 혹은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겹침 접합 시)에 더하여,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의 직경 D(㎜), 경사 각도 α(°)에 대하여, 간극 G를 (0.5×t)-(0.2×D×sinα) 이상 또한 t-(0.2×D×sinα)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간극 G가 (0.5×t)-(0.2×D×sinα) 미만에서는, 접합부의 표면과 이면이 오목형이 되어 접합 조인트 강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간극 G가 t-(0.2×D×sinα) 초과에서는,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가 금속판(3)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충분한 하중으로 압압할 수 없어, 상기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간극 G는, (0.6×t)-(0.2×D×sinα)≤G≤(0.9×t)-(0.2×D×sinα)이다.
즉 간극 G는,
α=0°인 경우: 0.5×t≤G≤t
0°<α≤3°인 경우: (0.5×t)-(0.2×D×sinα)≤G≤t-(0.2×D×sinα)
로 한다.
다음으로, 표면측 및 이면측의 회전 툴의 핀부 선단의 간극 g(㎜)에 대해서 설명한다.
금속판(3)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얻어,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핀부(6, 10) 선단의 간극 g를 관리하는 것이 유효하다. 특히,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의 직경 D와 금속판(3)의 두께 t(맞댐 접합의 경우) 혹은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겹침 접합의 경우)의 비(D/t)가 작은 경우는,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소성 유동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핀부(6, 10) 선단의 간극 g를, [0.1-0.09×exp{-0.011×(D/t)2}]×t 이상 또한 [1-0.9×exp{-0.011×(D/t)2}]×t 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핀부(6, 10) 선단의 간극 g가 [0.1-0.09×exp{-0.011×(D/t)2}]×t 미만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핀부(6, 10) 선단이 접촉하여 손상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핀부(6, 10) 선단의 간극 g가 [1-0.9×exp{-0.011×(D/t)2}]×t를 초과하면,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인 소성 유동이 유효하게 얻어지지 않는다. 즉 간극 g는, [0.1-0.09×exp{-0.011×(D/t)2}]×t≤g≤[1-0.9×exp{-0.011×(D/t)2}]×t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간극 g는, [0.12-0.09×exp{-0.011×(D/t)2}]×t≤g≤[0.9-0.9×exp{-0.011×(D/t)2}]×t로 한다.
다음으로, 표면측 및 이면측의 회전 툴의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간극(G, g)에 더하여,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숄더부(5, 9)의 직경 D를 엄밀하게 관리하는 것이, 금속판(3)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으로 온도 상승과 전단 응력을 얻어, 접합 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속도의 고속도화를 달성하는 데에 있어서는 유효하다. 특히, 직경 D(㎜)는, 금속판(3)의 두께 t(㎜)에 대하여, 4×t 이상 또한 20×t 이하로 한정함으로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직경 D(㎜)가 4×t 미만에서는, 금속판(3)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균질적인 소성 유동이 유효하게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직경 D(㎜)가 20×t를 초과하면, 불필요하게 소성 유동을 발생하는 영역을 확대할 뿐이고, 장치에 대하여 과대한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즉 직경 D는, 4×t≤D≤20×t로 한다. 또한 두께 t는, 맞댐 접합에 있어서는 금속판(3)의 두께 t(㎜), 겹침 접합에 있어서는 서로 겹친 금속판(3)의 총 두께 t(㎜)를 가리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D)은, 5×t≤D≤18×t로 한다.
또한, 표면측 및 이면측의 회전 툴(1, 8)의 핀부(6, 10)의 길이 b는, 경사 각도 α, 숄더부 간의 간극 G, 핀부 선단의 간극 g, 숄더부의 직경 D, 두께 t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상기 이외의 접합 조건에 대해서는, 상법에 따르면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회전 툴(1, 8)의 회전수를 100∼5000회/분의 범위로 하고, 접합 속도를 1000mm/분 이상으로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금속판(3)은, 일반적인 구조용 강이나 탄소강판, 예를 들면 JIS G 3106이나 JIS G 4051에 상당하는 강판 등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장 강도가 800㎫ 이상인 고강도 구조용 강판에도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라도, 접합부에 있어서, 강판의 인장 강도의 85% 이상의 강도, 나아가서는 90% 이상의 강도가 얻어진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두께, 화학 조성 및, 인장 강도의 강판을 이용하여, 마찰 교반 접합을 행했다. 맞댐 접합의 경우는, 조인트 맞댐면은, 각도를 부여하지 않는 소위 I형 개선으로 밀링 가공 정도의 표면 상태에 의해, 강판 맞댐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양쪽으로부터 회전 툴을 압압하여 접합을 행했다. 겹침 접합의 경우는, 동종의 강판을 2매 겹쳐, 강판 겹침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양쪽으로부터 회전 툴을 압압하여 접합을 행했다. 마찰 교반 접합의 접합 조건을 표 2에 나타낸다. 회전 툴의 회전 방향은, 서로 대향하는 표면측, 이면측의 회전 툴을,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표면측의 회전 툴은 시계 방향, 이면측의 회전 툴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하는 경우, 추가로 표면측, 이면측의 회전 툴 모두 시계 방향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합을 행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 3(1) 및 도 3(2)에 단면 형상을 갖는 2종류의 탄화 텅스텐(WC)을 소재로 한 회전 툴을 이용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3에, 접합했을 때의 조인트 외관 관찰에서의 표면 결함의 유무, 조인트 단면 관찰에서의 내부 결함의 유무 및, 얻어진 접합 조인트로부터 JIS Z 3121로 규정하는 1호 시험편의 치수의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고, 인장 시험을 행했을 때의 인장 강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면 결함 및 내부 결함의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했다.
<표면 결함의 평가>
관찰은, 얻어진 접합 조인트의 접합 속도가 표 2에 기재된 값이 된 부위를 이용했다. 표면 결함의 유무는, 소성 유동 부족에 의해 홈 형상으로 미접합 상태가 보이는지, 혹은 접합 툴의 숄더부 간의 간극 G가 지나치게 좁기 때문에 접합부가 오목 형상이 되는 상태가 보이는지 아닌지를 육안으로 판정한다. 표면 결함으로서, 홈 형상의 미접합 상태 혹은 접합부의 오목 형상의 상태가 보이는 경우는, 그의 깊이 Dd(㎜)를 레이저 변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평가했다.
·없음: 상기에 기재된 표면 결함이 모두 보이지 않는다.
·양호: 상기에 기재된 표면 결함 중 어느 것이 보이지만, 상기 깊이 Dd(㎜)와 강판의 두께 t(㎜)의 비율(Dd/t)이 0.1 이하였다.
·있음: 상기에 기재된 표면 결함 중 어느 것이 보이고, 또한 상기 깊이 Dd(㎜)와 강판의 두께 t(㎜)의 비율(Dd/t)이 0.1을 초과했다. 혹은, 홈 형상의 미접합 상태가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했다. 또한, 관통한 경우는, 접합 불성립으로 간주하여, 내부 결함 및 조인트 강도의 평가는 행하지 않는다.
<내부 결함의 평가>
관찰은, 얻어진 접합 조인트의 접합 속도가 표 2에 기재된 값이 된 부위에 있어서, 접합 개시측의 단부로부터 20㎜의 위치, 접합 종료측의 단부로부터 20㎜의 위치 및, 양단부의 중간이 되는 위치의 단면을 각각 절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내부 결함의 유무는, 소성 유동 부족에 의해 접합부 내부에 형성한 미접합 상태가 보이는지 아닌지를 광학 현미경(배율: 10배)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없음: 상기에 기재된 3개소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터널 형상으로 형성한 미접합 상태가 보이지 않는다.
·양호: 상기에 기재된 3개소의 위치에 있어서, 접합부 내부에 형성한 미접합 상태가 1개소 보였다.
·있음: 상기에 기재된 3개소의 위치에 있어서, 접합부 내부에 형성한 미접합 상태가 2개소 이상 보였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댐 조인트의 발명예 1∼10 및, 겹침 조인트의 발명예 11∼13에서는, 접합 속도를 1m/분 이상으로 고속화한 경우라도, 조인트 외관 관찰에서 표면 결함은 확인되지 않고, 조인트 단면 관찰에서도 내부 결함은 확인되지 않고, 건전한 접합 상태가 얻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인트 강도에 관해서는, 모재가 되는 강판의 인장 강도의 95% 이상이 얻어졌다. 또한, 「건전한 접합 상태」란, 표면 결함, 내부 결함의 평가에 있어서 모두 「양호」 혹은 「없음」의 평가가 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맞댐 조인트의 비교예 1∼7 및, 겹침 조인트의 비교예 8, 9에서는, 조인트 외관 관찰에서 표면 결함, 조인트 단면 관찰에서 내부 결함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이 확인되어, 건전한 접합 상태가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10, 11에서는, 표면 결함의 평가에 있어서, 「관통」이었기 때문에 접합 불성립으로 간주하여, 내부 결함 및 조인트 강도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또한, 조인트 강도에 관해서는, 모재가 되는 강판의 인장 강도의 70% 이하가 되었다.
1 : 표면측의 회전 툴
2 : 표면측의 회전 툴의 회전축
3 : 금속판
4 : 접합부
5 : 표면측의 회전 툴의 숄더부
6 : 표면측의 회전 툴의 핀부
7 : 접합 중앙선
8 : 이면측의 회전 툴
9 : 이면측의 회전 툴의 숄더부
10 : 이면측의 회전 툴의 핀부
11 : 이면측의 회전 툴의 회전축
12 : 미접합부

Claims (16)

  1.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맞댐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로서,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금속판을 파지 장치에 의해 고정하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상기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압압시키고, 상기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에 대하여
    0.5×t≤G≤t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2.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맞댐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로서,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금속판을 파지 장치에 의해 고정하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상기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에 압압시키고, 상기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회전축을 상기 금속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접합 방향에 대하여 선행하는 측으로 경사 각도 α(°)로 경사시키고, 당해 경사 각도 α가
    0<α≤3
    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5×t)-(0.2×D×sinα)≤G≤t-(0.2×D×sinα)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직경 D(㎜)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에 대하여
    4×t≤D≤20×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g(㎜)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1-0.09×exp{-0.011×(D/t)2}]×t≤g
    ≤[1-0.9×exp{-0.011×(D/t)2}]×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5.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로서,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금속판을 파지 장치에 의해 고정하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상기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압압시키고, 상기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0.5×t≤G≤t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6.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로서,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금속판을 파지 장치에 의해 고정하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상기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에 압압시키고, 상기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회전축을 상기 금속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접합 방향에 대하여 선행하는 측으로 경사 각도 α(°)로 경사시키고, 당해 경사 각도 α가
    0<α≤3
    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5×t)-(0.2×D×sinα)≤G≤t-(0.2×D×sinα)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마찰 교반 접합을 행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직경 D(㎜)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4×t≤D≤20×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g(㎜)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1-0.09×exp{-0.011×(D/t)2}]×t≤g
    ≤[1-0.9×exp{-0.011×(D/t)2}]×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9.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맞댐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툴이,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금속판을 고정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에 대하여
    0.5×t≤G≤t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10.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맞댐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맞댐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툴이,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금속판을 고정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회전축을 상기 금속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접합 방향에 대하여 선행하는 측으로 경사 각도 α(°)로 경사시키고, 당해 경사 각도 α가
    0<α≤3
    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5×t)-(0.2×D×sinα)≤G≤t-(0.2×D×sinα)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직경 D(㎜)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에 대하여
    4×t≤D≤20×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g(㎜)가, 상기 금속판의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1-0.09×exp{-0.011×(D/t)2}]×t≤g
    ≤[1-0.9×exp{-0.011×(D/t)2}]×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13.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툴이,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금속판을 고정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0.5×t≤G≤t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14.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 툴을 2매의 금속판의 접합부인 겹침부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툴과 상기 금속판의 마찰열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연화시키면서, 그 연화한 부위를 상기 회전 툴로 교반함으로써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금속판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툴이, 숄더부 및 당해 숄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부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핀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숄더부와 상기 핀부가 상기 금속판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회전시키면서 접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금속판을 고정하는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회전축을 상기 금속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접합 방향에 대하여 선행하는 측으로 경사 각도 α(°)로 경사시키고, 당해 경사 각도 α가
    0<α≤3
    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의 상기 핀부의 선단 간에 간극 g(㎜)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숄더부의 간극 G(㎜)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5×t)-(0.2×D×sinα)≤G≤t-(0.2×D×sinα)
    를 충족하고,
    추가로 상기 한 쌍의 회전 툴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직경 D(㎜)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에 대하여
    4×t≤D≤20×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g(㎜)가, 상기 서로 겹친 금속판의 총 두께 t(㎜) 그리고 상기 회전 툴의 상기 숄더부의 직경 D(㎜)에 대하여
    [0.1-0.09×exp{-0.011×(D/t)2}]×t≤g
    ≤[1-0.9×exp{-0.011×(D/t)2}]×t
    를 충족하는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KR1020207003009A 2017-08-01 2018-07-31 금속판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KR102276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8785 2017-08-01
JPJP-P-2017-148785 2017-08-01
PCT/JP2018/028516 WO2019026864A1 (ja) 2017-08-01 2018-07-31 金属板の両面摩擦撹拌接合方法および両面摩擦撹拌接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265A true KR20200026265A (ko) 2020-03-10
KR102276316B1 KR102276316B1 (ko) 2021-07-12

Family

ID=6523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09A KR102276316B1 (ko) 2017-08-01 2018-07-31 금속판의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00238434A1 (ko)
EP (1) EP3639965B1 (ko)
JP (2) JP6825630B2 (ko)
KR (1) KR102276316B1 (ko)
CN (1) CN110997212B (ko)
WO (1) WO2019026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8507A4 (en) * 2018-10-15 2022-07-27 Osaka University FRICTION WELDING TOOL ELEMENT AND FRICTION WELDING PROCESS WITH USE THEREOF
CN109822208B (zh) * 2019-03-20 2021-03-09 北京赛福斯特技术有限公司 一种双机头双面高效率搅拌摩擦焊设备及其焊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8385B1 (ko) 1969-02-25 1973-11-16
JPS4838388B1 (ko) 1969-03-28 1973-11-16
JPS62183979A (ja) 1986-01-17 1987-08-12 ザ ウエルデイング インステイテユ−ト 摩擦溶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505090A (ja) 1991-12-06 1995-06-08 ザ ウェルディング インスティテュート 摩擦溶接方法
JP3261433B2 (ja) 1999-05-25 2002-03-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JP4838385B2 (ja) * 2009-08-31 2011-12-14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両面摩擦攪拌接合方法、接合装置、冷間圧延設備の金属板接合方法及び冷間圧延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9761B2 (ja) * 1999-12-14 2003-05-26 日本軽金属株式会社 厚肉部材の摩擦攪拌接合方法
JP4190179B2 (ja) * 2001-12-18 2008-12-03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摩擦撹拌接合方法
JP4052443B2 (ja) * 2002-07-12 2008-02-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スキンパネルの摩擦攪拌接合方法
JP2005103586A (ja) * 2003-09-30 2005-04-21 Nippon Chemicon Corp 摩擦撹拌溶接方法
JP4479401B2 (ja) * 2004-07-27 2010-06-09 マツダ株式会社 摩擦点接合方法及びその装置
JP4838389B1 (ja) * 2010-09-03 2011-12-14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突合せ部に隙間のある金属板の両面摩擦攪拌接合方法
CN102601516A (zh) * 2012-03-29 2012-07-25 哈尔滨工业大学 双面对称搅拌摩擦焊接方法
CA2869382C (en) * 2012-04-06 2015-10-20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friction-stir welding of steel sheet
KR102194358B1 (ko) * 2013-09-30 2020-12-2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강판의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접합 이음매의 제조 방법
GB2526121B (en) * 2014-05-14 2017-02-01 Acergy France SAS Fabrication of pipe strings using friction stir welding
JP6284444B2 (ja) * 2014-06-25 2018-02-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摩擦撹拌接合方法及び摩擦撹拌接合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8385B1 (ko) 1969-02-25 1973-11-16
JPS4838388B1 (ko) 1969-03-28 1973-11-16
JPS62183979A (ja) 1986-01-17 1987-08-12 ザ ウエルデイング インステイテユ−ト 摩擦溶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505090A (ja) 1991-12-06 1995-06-08 ザ ウェルディング インスティテュート 摩擦溶接方法
JP3261433B2 (ja) 1999-05-25 2002-03-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JP4838385B2 (ja) * 2009-08-31 2011-12-14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両面摩擦攪拌接合方法、接合装置、冷間圧延設備の金属板接合方法及び冷間圧延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9965A1 (en) 2020-04-22
EP3639965A4 (en) 2020-12-23
WO2019026864A1 (ja) 2019-02-07
US20230286077A1 (en) 2023-09-14
JP2021045793A (ja) 2021-03-25
CN110997212A (zh) 2020-04-10
JPWO2019026864A1 (ja) 2019-08-08
EP3639965B1 (en) 2022-02-09
US20200238434A1 (en) 2020-07-30
KR102276316B1 (ko) 2021-07-12
JP6825630B2 (ja) 2021-02-03
JP7070642B2 (ja) 2022-05-18
CN110997212B (zh)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7347B2 (ja) 金属板の両面摩擦撹拌接合方法および両面摩擦撹拌接合装置
Watanabe et al. Joining of aluminum alloy to steel by friction stir welding
KR102395331B1 (ko) 양면 마찰 교반 접합용 회전 툴, 양면 마찰 교반 접합 장치, 및 양면 마찰 교반 접합 방법
JP7099621B2 (ja) 両面摩擦攪拌接合方法、冷延鋼帯及び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両面摩擦攪拌接合装置、並びに冷延鋼帯及びめっき鋼帯の製造設備
JP6992773B2 (ja) 両面摩擦攪拌接合方法および両面摩擦攪拌接合装置
JP6497451B2 (ja) 摩擦撹拌接合方法および装置
JP7247996B2 (ja) 両面摩擦撹拌接合用回転ツール及び両面摩擦撹拌接合方法
US20230286077A1 (en) Double-side friction stir welding method and double-side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for metal sheets or metal plates
KR20180119636A (ko) 구조용 강의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장치
KR20180119635A (ko) 구조용 강의 마찰 교반 접합 방법 및 장치
CN110691668A (zh) 接合方法以及复合轧制材料的制造方法
JP2018153847A (ja) 摩擦攪拌接合用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