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226A -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226A
KR20200026226A KR1020200022785A KR20200022785A KR20200026226A KR 20200026226 A KR20200026226 A KR 20200026226A KR 1020200022785 A KR1020200022785 A KR 1020200022785A KR 20200022785 A KR20200022785 A KR 20200022785A KR 20200026226 A KR20200026226 A KR 2020002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ld air
present disclosure
do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선
유대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2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6226A/ko
Publication of KR2020002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container)가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가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 면에 위치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외벽 및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 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CONTAINER USING VACUUM INSULATED PANEL}
본 개시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국가 간의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컨테이너를 통한 운반 물품의 종류와 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왔다. 이때, 냉동식품과 같이 화물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냉동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화물을 운송하고 있다. 즉, 컨테이너 운반선들은 컨테이너를 장기간 운반하는 과정에서 냉동 컨테이너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냉동 컨테이너의 냉각은 냉동 컨테이너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냉각 유닛에 전기를 공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컨테이너 운반선에 설치된 냉각시스템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각각의 냉동 컨테이너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8080는 냉동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컨테이너 운반선이 소개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가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가 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 면에 위치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외벽 및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육면체의 적어도 일 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은 다공성 재료로 구성되는 심재 및 상기 단열 패널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심재를 커버하는 밀봉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심재는 흄드 실리카(Fumed slica) 및 글라스 울(Glass wo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단열 패널은 상기 외벽 및 도어 중 적어도 하나와 삽입을 통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단열 패널의 주변은 시클로펜탄(Cyclopentane)을 발포제로 사용하는 우레탄 폼으로 마감처리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도어는 상기 컨테이너의 긴 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사이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테이너의 외벽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 유닛(refrigeration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외벽에 문이 구비된 컨테이너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냉각 유닛에 구비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히터 및 열팽창 밸브 및 환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 냉각 유닛, 공기구 및 냉기 전달 덕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 냉각 유닛, 공기구 및 냉기 전달 덕트를 상부에서 내려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 냉각 유닛, 공기구, 냉기 전달 덕트 및 냉기 분출 덕트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 냉각 유닛, 공기구, 냉기 전달 덕트, 냉기 분출 덕트 및 냉기 분출구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상면 투사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외벽(110)에 문(120)이 구비된 컨테이너(1000)의 모습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성 컨테이너(1000)일 수 있다. 컨테이너(1000)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일 수 있다. 사용되는 재료는 목재, 합판, 강철, 알루미늄, 경합금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일 수 있다. 전술한 재료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테이너(1000)는 단열층을 포함하고 6면체로 형성되어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외벽(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벽(110)은 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층은 냉난방을 위해 열을 이송하는 경우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층은 진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열층에 단열재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단열재는 비드법단열재(EPS), 압출법보온판(아이소핑크), E보드, 열반사 단열재, 글라스울, 진공단열판(VIP), 셀룰로오스 단열재, 또는 폴리우레탄폼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드법단열재(EPS)란 폴리스틸렌 알갱이를 압축, 성형해서 만드는 단열재를 의미할 수 있다. 압출법보온판(아이소핑크)은 폴리스틸렌을 압축해서 판재 모양으로 만드는 단열재로 미세한 독립 구조 내에 기체 중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불상탄소를 충진하여 단열할 수 있다. E보드는 아이소핑크와 PP보드가 결합된 제품으로 결로 현상을 막아주는 단열재일 수 있다. 이때, PP보드는 폴리프로필렌에 무기질 충진재, 난연재 등의 혼화제가 최적의 조건으로 배합된 원료를 압출 성형의 과정을 통해 제조한 플라스틱 중공판재로서 양면에 부직포가 함침될 수 있다. 열반사 단열재는 내외장재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표면이 알루미늄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 내열성, 내진성 및 방음성이 강하며 복사열을 차단하는 단열재일 수 있다. 글라스울은 유리를 고온에서 녹인 후 고속 회전력을 이용해 섬유처럼 만든 다음 일정한 크기로 성형한 무기질의 광물 섬유 단열재일 수 있다. 진공단열판(VIP)은 단열 판재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서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을 차단하고 단열 판재 표면을 열반사 단열재로 감싸서 복사열을 차단하는 원리로 구성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단열재는 신문지 등 종이를 재활용하여 생산하는 흡음 단열재일 수 있다. 전술한 단열층의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테이너(1000)는 내부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 물건은 예를 들어 냉동 식품이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1000)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0)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1000)는 배터리를 적재하는 경우 배터리를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고 수납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배터리모듈과 배터리모듈을 컨테이너에 고정시키기 위한 배터리랙을 추가적으로 내부에 수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는 충격에 약한 특성이 있어, 외부의 진동에도 배터리모듈이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배터리모듈은 배터리랙(200)에 의하여 적층되고 고정되어 컨테이너(1000)에 수납될 수 있다.
수출용 컨테이너(1000)는 국제표준화기구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의 규정에 의해서 공통된 규격을 가진다. 그러므로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배터리랙(200)은 컨테이너(1000) 하나에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의 물량을 최대화하여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랙(200)은 철,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플라스틱, 아크릴 등과 같은 비금속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금속은 높은 강성과 성형이 용이한 성질이 있어 에너지 저장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플라스틱, 아크릴, 합성 수지 등의 비금속은 가벼운 성질이 있고, 용도에 따라 투명하게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랙(200)은 설치할 장소, 용도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든 프레임들은 볼팅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을 위해 추가적인 고정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모든 프레임들은 견고한 결합을 위해 용접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프레임들의 결합 방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모듈은 배터리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장치, 제어장치, 네트워크 장치 및 각종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다양한 제조사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해 모듈슬라이드는 배터리모듈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모듈과 모듈슬라이드는 볼트, 볼트공 및 너트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모듈 슬라이드의 형상으로서,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모듈슬라이드는 배터리모듈을 삽입할 수 있는 상자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터리모듈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볼트와 너트로 연결되지 않고 슬라이드 형식의 체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0)는 증발기(310), 압축기(320), 응축기(330)로 이루어지고, 컨테이너(1000)의 외벽(11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컨테이너(1000)의 내부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300)은 컨테이너(10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하기 위하여 증발기(310), 압축기(320), 응축기(330)를 이용해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는 압축기(320)를 통해 고온, 고압을 형성할 수 있다. 고온, 고압의 냉매는 응축기(330)를 통해서 액화가 되며 온도가 떨어질 수 있다. 냉매는 팽창밸브를 지나면서 저압, 저온이 될 수 있다. 증발기(310)에서 냉매가 기화되면서 주위의 에너지를 가져가므로 주위의 공기를 차갑게 만들 수 있다. 이때, 차가워진 공기를 팬을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배출하여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300)은 컨테이너(1000) 외벽(11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유닛(300)은 컨테이너(1000)의 내측면 중 짧은 측벽, 긴 측벽, 바닥벽 또는 천장벽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냉각 유닛(300)의 위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테이너(1000)는 냉각 유닛(300)에서 생성된 냉기가 배출되는 공기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구(400)는 냉각 유닛(300)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기 전달 덕트(510)로 유도하는 통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 유닛(300)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전달 덕트(510)로 유입되기 위해 구조적으로 공기구(400)를 거쳐야 할 수 있다.
공기구(400)는 냉기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냉각 유닛(300)에서 냉기 전달 덕트(510)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구(400)는 원을 이루는 단면적이 냉기 전달 덕트(510) 방향으로 좁아지는 구조의 원통일 수 있고, 마름모를 이루는 단면적이 냉기 전달 덕트(510) 방향으로 좁아지는 구조의 육면체일 수 있다. 전술한 공기구(400)의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냉각 유닛(300)에 구비된 증발기(310), 압축기(320), 응축기(330), 히터 및 열팽창 밸브(340) 및 환기 장치(350)를 도시한다.
압축기(320)는 공기 기타의 기체를 압축하여 그 압력을 높이는 기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경우, 냉각 유닛(300)을 구동시키기 위해 냉매를 포화 증기, 과열 증기 또는 습증기 중 하나의 상태로 고온, 고압을 형성하여 내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응축기(330)는 증기를 냉각해 열을 빼앗아서 응축 변화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응축기(330)는 압축기(320)에 의해 고압 고온으로 압축된 냉매 증기를 냉각하고 응축열을 제거하여 액화시킬 수 있다.
히터 및 열팽창 밸브(340)는 응축기(330)에서 응축 액화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해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해주는 히터 및 밸브를 의미할 수 있다.
증발기(310)는 냉매를 가열하여 증기로 바꾸어 도출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증발기(310)는 히터 및 열팽창 밸브(340)에서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증발기(310)에서 나온 냉매는 다시 압축기(320)로 들어가서, 압축기(320), 응축기(330), 히터 및 열팽창 밸브(340) 및 증발기(310) 순서로 사이클을 이루어 냉각 유닛(3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환기 장치(350)는 컨테이너(1000)내에 신선한 공기의 순환이 요구되는 상품을 위해 통풍을 제공할 수 있다. 통풍시 냉기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냉동 식품 운송시에는 환기구를 계속적으로 밀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환기 장치(350)는 냉각을 위한 필수적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전술한 냉각 유닛(300)의 구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200), 냉각 유닛(300), 공기구(400) 및 냉기 전달 덕트(510)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는 내부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 물건은 예를 들어 냉동 식품이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1000)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0)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장치나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를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고 수납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배터리모듈과 배터리모듈을 컨테이너에 고정시키기 위한 배터리랙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랙(200)은 컨테이너(1000)의 바닥벽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랙(200)은 외벽(110)의 긴 측벽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닛(300)이 존재하는 짧은 측벽에 가깝게 위치할 수 도 있다.
배터리랙(200)은 컨테이너(1000)의 바닥벽에 설치된 레일에 의해 사람이 손쉽게 밀어서 옮길 수 있는 구조로 설지될 수 있다. 이때, 레일에는 고정핀이 존재하여 레일을 따라 밀어서 옮긴 후 고정핀에 의해 움직여진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랙(200)은 긴 측벽을 따라 2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랙(200)의 2줄 사이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구비된 공간으로 사람이 들어와서 배터리에 생긴 문제점을 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전달 덕트(510)는 컨테이너(1000)의 외벽(11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공기구(40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냉기 전달 덕트(510)는 공기구(400)를 통하여 냉각 유닛(3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냉기 전달 덕트(510)는 컨테이너(1000)의 외벽(11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 전달 덕트(510)는 내측면 중 바닥벽, 짧은 측벽, 긴 측벽 또는 천장벽 중 하나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냉기 전달 덕트(510)는 컨테이너(1000)의 긴 측벽의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긴 측벽의 두개의 모서리를 잇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냉기 전달 덕트(510)의 구비된 위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120)은 외벽(110)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문(120)은 컨테이너(1000) 내부로 적재물을 자유롭게 적재하고 하역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1000) 내부를 이루는 구성들의 고장을 수리하기 위해 사람이 출입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문(120)은 여닫이식 문 또는 미닫이식 문일 수 있다. 여닫이식 문일 경우, 한쪽의 세로틀에 경첩 등의 물질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형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미닫이식 문일 경우, 레일을 설치하여 옆으로 끌어서 개폐할 수 있다.
문(120)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잠금장치는 좌물쇠형, 열쇠형, 전자식 비밀번호형 또는 컨테이너 록킹로드 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좌물쇠형은 컨테이너(1000) 본체의 결합구와 문(120)의 결합구 사이에 좌물쇠를 설치하여 잠금 효과를 일으키는 구성일 수 있다. 좌물쇠는 열쇠형 좌물쇠, 비밀번호형 좌물쇠 또는 금고형 잠금장치 좌물쇠 중 하나일 수 있다. 열쇠형은 사용자가 미리 구비된 열쇠를 열쇠 구멍에 넣어 돌려서 문(120)을 개폐할 수 있는 잠금장치일 수 있다. 전자식 비밀번호형은 전자식으로 구동되는 잠금장치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물리적 힘 없이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컨테이너 록킹로드 핸들은 본체의 힌지에 연결되어 있는 긴 파이프에 핸들을 연결하고, 그 핸들을 본체의 일부분에 고정된 고정부에 고정하여 잠금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전술한 잠금장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120)은 외벽(110) 중 짧은 측벽, 긴 측벽 또는 천장벽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문(120)이 짧은 측벽에 위치하는 경우 냉각 유닛(300)은 다른 짧은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문(120)이 긴 측벽에 위치하는 경우 냉각 유닛(300)은 짧은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문(120)은 천장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천장벽의 문(120)을 개방하여 사다리 또는 밧줄을 이용해 컨테이너(1000)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며, 컨테이너(1000)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하역 할 수 있다. 전술한 문(120)의 위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120)은 짧은 측벽, 긴 측벽 또는 천장벽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측벽에 문(120)이 1개 내지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짧은 측벽에 문(120)이 1개 내지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문(120)의 개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200), 냉각 유닛(300), 공기구(400) 및 냉기 전달 덕트(510)를 상부에서 내려본 모습을 도시한다.
컨테이너(1000) 내부는 냉각 유닛(300)의 냉기가 냉기 전달 덕트(510)로 통하기 위한 공기구(400), 공기구(400)에서 받은 냉기를 냉기 분출 덕트(520)로 전달하는 냉기 전달 덕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구(40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냉기 전달 덕트(51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내용과 같이, 냉각 유닛(300)에 연결된 공기구(400)의 개수는 4개, 공기구(400)에 연결된 냉기 전달 덕트(510)의 개수는 2개일 수 있다. 전술한 공기구(400) 및 냉기 전달 덕트(510)의 개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구(400)의 위치는 냉각 유닛(300)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지만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냉각 유닛(300)의 내측면의 상하좌우 어느 곳에나 구비될 수 있다.
냉기 전달 덕트(510)는 공기구(400)와 연결될 수 있다. 냉기 전달 덕트(510)는 컨테이너(1000)의 외벽(11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 전달 덕트(510)는 내측면 중 바닥벽, 짧은 측벽, 긴 측벽 또는 천장벽 중 하나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냉기 전달 덕트(510)의 방향은 컨테이너(1000)의 긴 측벽의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긴 측벽의 두개의 모서리를 잇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냉기 전달 덕트(510)의 방향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테이너(1000) 내부에 배터리를 적재할 때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배터리랙(200)은 컨테이너(1000)의 바닥벽의 어느 위치에나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랙(200)은 외벽(110)의 긴 측벽에 가깝게 위치하여 2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닛(300)이 존재하는 짧은 측벽에 가깝게 위치할 수 도 있다.
배터리랙(200)은 컨테이너(1000)의 바닥벽에 설치된 레일에 의해 사람이 손쉽게 밀어서 옮길 수 있는 구조로 설지될 수 있다. 이때, 레일에는 고정핀이 존재하여 레일을 따라 밀어서 옮긴 후 고정핀에 의해 움직여진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랙(200)은 긴 측벽을 따라 2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랙(200)의 2줄 사이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구비된 공간으로 사람이 들어와서 배터리에 생긴 문제점을 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200), 냉각 유닛(300), 공기구(400), 냉기 전달 덕트(510) 및 냉기 분출 덕트(520)의 모습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분출 덕트(520)는 냉기 전달 덕트(510)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냉기 분출구(521)를 구비할 수 있다.
냉기 분출 덕트(520)는 냉기 전달 덕트(510)와 연결되어, 냉기 전달 덕트(510)에서 전달된 냉기를 냉기 분출 덕트(520) 주변의 공기에 분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 분출 덕트(520)는 냉기 전달 덕트(510)와 수직으로 결합하여 연결될 수 있고, 또는 각도에 관계없이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냉기 분출 덕트(520)와 냉기 전달 덕트(510)의 결합 방향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분출 덕트(520)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은 부드러운 성질 또는 연한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질의 재료는 PVC연질원단, 방풍비닐 또는 연질폴리우레탄폼일 수 있다.
PVC연질원단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폴리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수지라고도 하며 PVC로 약칭할 수 있다. PVC연질원단은 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하는 플라스틱으로 필름, 시트, 성형품, 캡 등 광범위한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PVC는 원래 경질의 성질을 가진 물질이지만 프탈산계 또는 아디핀산계 가소제를 사용해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인 뒤 제품화 될 수 있다. 방풍비닐은 연질의 PVC를 이용해 생산한 비닐로서, 얇은 재질로 이루어져 유연성과 탄력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 팽창이 가능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연질폴리우레탄폼은 연질의 성질을 가진 폴리우레탄폼을 의미할 수 있다. 폴리우리탄폼은 쿠션재, 단열재로 쓰이는 폴리올과 아이소시아네이트로 만들어지는 스펀지 상태의 다공질 물질로서, 단열성이 크고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며 강도가 클 수 있다. 전술한 연질의 재료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냉기 분출 덕트(520)는 냉각 유닛(300)에서 공급되는 냉기의 압력에 의하여 팽팽하게 팽창된 후 냉기를 분출할 수 있다. 이때,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냉기 분출 덕트(520)가 팽창된 뒤 각 냉기 분출구(521)에서 나오는 냉기의 유량은,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냉기 분출 덕트(520)의 각 냉기 분출구(521)에서 나오는 냉기의 유량과 비교할 때, 더욱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기 분출 덕트(520)를 연질의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각 냉기 분출구(521)의 공기 유량이 동일하게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분출 덕트(520)는 외벽(110)의 내측면의 천장벽에 위치하는 체결구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기 분출 덕트(520)의 끝부분은 천장벽에 위치하는 체결구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냉기 분출 덕트(520)의 측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컨테이너(1000) 내부 고정장치의 일부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장치는 예를 들어 냉동식품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선반 또는 배터리모듈을 고정하는 배터리랙(200)일 수 있다. 전술한 냉기 분출 덕트(520)의 체결 위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구는 고리형 구조, 벨크로 구조 또는 지퍼 구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리형 구조는 냉기 분출 덕트(520)에 연결되어 있는 고리와 체결구의 고리가 결합하여 냉기 분출 덕트(520)를 고정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벨크로 구조는 한쪽에 갈고리, 다른 한쪽에 걸림고리가 있어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냉기 분출 덕트(520)를 체결구에 고정할 수 있다. 지퍼 구조는 가장자리에 이가 난 2개의 테이프 가닥으로 이루어진 닫힘 용구로서, 이가 슬라이드 식으로 서로 맞물려서 냉기 분출 덕트(520)를 체결구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체결구의 종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랙(200), 냉각 유닛(300), 공기구(400), 냉기 전달 덕트(510), 냉기 분출 덕트(520) 및 냉기 분출구(521)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전달 덕트(510)는 하나 이상의 냉기 분출구(521)를 구비할 수 있다. 냉기 분출구(521)는 냉기 전달 덕트(510)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냉기를 냉기 분출 덕트(520) 주변 공기로 분출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냉기 분출구(521)의 모양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하나일 수 있다. 냉기 분출구(521)가 원형 모양인 경우 냉기는 분출되면서 원뿔 모양으로 퍼질 수 있다. 냉기 분출구(521)가 세로 방향으로 얇고 길쭉한 타원형 모양인 경우 냉기는 타원의 위치에 존재하는 컨테이너(1000)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에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냉기 분출구(521)의 모양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냉기 분출구(521)의 방향은 냉기 전달 덕트(510) 단면의 모든 방향인 360도 전부를 의미할 수 있다. 여러 방향으로 냉기 분출구(521)가 구비되는 경우, 컨테이너(1000) 내부의 공기는 균등하게 냉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분출구(521)는 물건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냉기 분출구(521)가 물건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고 있어서 냉기가 직접적으로 물건에 분출되면, 보다 빠른 시간에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분출구(521)는 적재된 물건이 배터리일 경우 배터리를 보관하고 있는 배터리랙(200) 중에서 배터리모듈이 존재하는 층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냉기 분출구(521)가 배터리모듈이 존재하는 층에만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각 냉기 분출구(521)당 냉기 유량은 증가하므로 배터리모듈에 직접적으로 분출되는 유량이 증가하여 배터리모듈의 발열을 더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분출구(521)는 분출구의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냉기 분출구(521) 중에서 일부는 밀봉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된 냉기 분출구(521)당 냉기 유량이 증가하므로 개방된 냉기 분출구(521)의 바람 세기를 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기존에 밀봉된 냉기 분출구(521)를 개방하는 경우, 개방된 냉기 분출구(521)의 바람 세기를 약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냉기 분출구(521)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 냉기 분출구(521)의 크기가 큰 경우 냉기는 느린 속도로 컨테이너(1000) 내부에 넓게 퍼질 수 있고, 냉기 분출구(521)의 크기가 작은 경우 냉기는 빠른 속도로 원하는 냉각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열 패널(2400)을 포함하는 컨테이너(2000)에 관한 제 2 실시예에 대해 서술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에 대한 용어와 이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에 대한 용어는 동일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의 전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는 외벽(2100), 도어(2200) 및 배터리랙(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벽(2100) 및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는 심재(2410) 및 밀봉재(2430)로 구성되는 단열 패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2000)는 실시예에 따라 냉각 유닛(250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는 단열 패널(2400)을 통해 온도가 극도로 높거나, 낮은 극한의 환경에서 내부의 물건을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벽(2100)은 컨테이너(2000)가 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2000)는 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2000)의 육면체 내부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상면,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하면이라고 각각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의 측면을 구성하는 4개의 면 중 장축 방향에 위치한 두 면을 각각 전면과 후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면 중 전면 및 후면을 제외한 두 면을 각각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벽(2100)은 육면체 공간의 상면, 하면, 전면, 후면,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200)는 외벽(2100)의 적어도 일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2200)는 컨테이너(2000)가 형성하는 육면체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2200)는 상기 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 중 외벽(2100)이 감싸지 않는 일부분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2000)는 외벽(2100) 및 도어(2200)에 기초하여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2개의 측면으로 구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200)는 내부의 물건을 노출할 수 있도록 미닫이 형식, 또는 여닫이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여닫이 형식은 개폐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통상의 여닫이 문의 형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형식이다. 또한, 도어(2200)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컨테이너(2000) 등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어(2200)의 재질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써, 유리,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200)는 컨테이너(2000)의 긴 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사이드 도어(2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도어(2230)는 컨테이너(2000)의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사이드 도어(223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도 8과 함께 후술한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200)는 컨테이너(20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전후면 도어(2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후면 도어(2210)는 컨테이너(2000)의 장축 방향에 위치한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후면 도어(2210)는 미닫이 및 여닫이 형식을 포함하는 개폐형이거나, 컨테이너(2000) 내부의 물건이 노출되는 개방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2000)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전후면 도어(2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면 도어(2210)는 좌우가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어 바깥 방향으로 여닫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전후면 도어(2210)는 전후면 도어(2210)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단열 패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단열 패널(2400)은 컨테이너(2000)의 잠금 장치가 전후면 도어(2210)의 외판과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배치되어 컨테이너(2000) 조립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단열 패널(2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전후면 도어(2210) 및 단열 패널(2400)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2100) 및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는 육면체의 적어도 일 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벽(2100) 및 도어(2200)는 각각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외판과 내판을 포함하여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 패널(2400)은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외벽(2100)과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 패널(2400)은 외벽(2100) 및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 포함되고, 사전 설정된 규격(예컨대, 25mm*400mm*1040mm)의 판넬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2400)은 심재(2410) 및 밀봉재(2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 패널(2400)은 다공성 재료로 구성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심재(2410) 및 상기 심재(2410)를 커버하는 밀봉재(2430)를 포함하는 패널(예컨대, VIP 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등)일 수 있다. 여기서 VIP 패널의 내부는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기체 입자가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존재하는 상태인 단열 패널(2400)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재(2410)는 단열 패널(2400) 내부의 기체를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심재(2410)는 진공 상태에서 단열 패널(240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압축 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좋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재(2410)는 흄드 실리카(Fumed slica) 및 글라스 울(Glass wool) 중 적어도 하나를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밀봉재(2430)는 상기 단열 패널(2400)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도록 심재(2410)의 주변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재(2430)는 공기의 입자가 단열 패널(240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재료나 처리(예컨대, 코팅 처리 등)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재(2430)는 기체에 대해서 불투과성이고 낮은 열전도도를 특성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및 유리 등의 재료로 구성된 필름일 수 있다. 전술한 심재(2410) 및 밀봉재(2430)의 구체적인 재료 한정은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패널(2400)은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습기, 또는 기타 기체 입자를 흡수할 수 있는 흡기제(예컨대, 고순도 생석회 분말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는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존 냉동 컨테이너에서 사용되지 않는 단열 패널(예컨대, VIP 패널)을 통해 단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냉각 유닛(250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전원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어 친환경적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의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패널(2400)은 외벽(2100) 및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와 삽입을 통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벽(2100) 및 도어(2200)는 외판 및 내판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2100) 및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는 배치될 단열 패널(2400)과 동일한 규격의 빈 공간을 가지도록 처리 될 수 있다. 또한, 단열 패널(2400)은 상기 외벽(2100), 또는 도어(2200)의 빈 공간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규격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단열 패널(2400)을 외벽(2100) 및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기 위하여 규격에 맞는 패널을 빈 공간에 끼우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두 구성을 일체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패널(2400)의 주변은 우레탄 폼으로 마감처리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 패널(2400)은 외벽(2100) 및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하는 빈 공간에 끼움 결합한 후, 우레탄 폼을 통하여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우레탄 폼은 시클로펜탄(Cyclopentane)을 발포제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200)는 컨테이너(2000)의 긴 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사이드 도어(2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도어(2230)는 컨테이너(2000)의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사이드 도어(223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2000)는 도 1 및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에 4개의 여닫이 형식 사이드 도어(2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4 사이드 도어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측면도 동일하게 4개의 사이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이드 도어(2230)는 사이드 도어(2230)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9개의 단열 패널(2400)이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8개의 단열 패널(2400)은 컨테이너(2000)의 잠금 장치가 사이드 도어(2230)의 외판과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배치되어 컨테이너(2000) 조립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단열 패널(2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사이드 도어(2230) 및 단열 패널(2400)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전면, 또는 후면과 가장 인접한 단열 패널(2400)은 너비가 다른 단열 패널(2400)보다 좁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 도어(2230)가 커버하지 못하는 외벽(2100)까지 단열 패널(2400)을 배치함으로써 컨테이너(2000)의 단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의 상면 투사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패널(2400)은 배치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두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 패널(2400)은 상면, 하면, 전면, 후면,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거나, 전후면 도어(2210) 및 사이드 도어(223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2400)은 배치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규격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면 도어(2210)에 배치되는 단열 패널(2400)은 잠금 장치와 외판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배치되기 위하여 너비가 30cm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하면에 배치되는 단열 패널(2400)은 물건이 적재되는 부분, 또는 배관이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배치되기 위하여 너비가 40cm 및 13.8cm로 상이한 두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단열 패널(2400)의 구체적인 너비 수치는 예시적인 수치의 기입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로 구성되는 냉각 유닛(2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 유닛(2500)은 컨테이너(2000)의 외벽(210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컨테이너(2000)의 내부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2000)는 컨테이너(2000)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일 측에 냉각 유닛(2500)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 유닛(25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다. 그리고, 단열 패널(2400)은 상기 냉각 유닛(2500)이 배치되는 부분의 하면을 제외하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2000)는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존 냉동 컨테이너에서 사용되지 않는 단열 패널(예컨대, VIP 패널)을 통해 단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냉각 유닛(250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전원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어 친환경적일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1000: 컨테이너
110: 외벽
120: 문
200: 배터리랙
300: 냉각 유닛
310: 증발기
320: 압축기
330: 응축기
340: 히터 및 열팽창 밸브
350: 환기 장치
400: 공기구
510: 냉기 전달 덕트
520: 냉기 분출 덕트
521: 냉기 분출구
2000: 컨테이너
2100: 외벽
2200: 도어
2210: 전후면 도어
2230: 사이드 도어
2400: 단열 패널
2410: 심재
2430: 밀봉재
2500: 냉각 유닛

Claims (1)

  1.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KR1020200022785A 2020-02-25 2020-02-25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KR20200026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85A KR20200026226A (ko) 2020-02-25 2020-02-25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85A KR20200026226A (ko) 2020-02-25 2020-02-25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25A Division KR102111549B1 (ko) 2018-03-16 2018-03-16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226A true KR20200026226A (ko) 2020-03-10

Family

ID=6980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785A KR20200026226A (ko) 2020-02-25 2020-02-25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62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2512A (zh) * 2021-03-02 2022-09-02 东成泛泰克株式会社 超低温液化气储存罐木质支架用绝热系统
KR20220152607A (ko) * 2021-05-10 2022-11-17 비에스에스 주식회사 Ess 배터리 컨테이너용 판넬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컨테이너 제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2512A (zh) * 2021-03-02 2022-09-02 东成泛泰克株式会社 超低温液化气储存罐木质支架用绝热系统
JP2022134118A (ja) * 2021-03-02 2022-09-14 ドンスン ファイ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超低温液化ガス貯蔵槽の木製サポート用断熱システム
KR20220152607A (ko) * 2021-05-10 2022-11-17 비에스에스 주식회사 Ess 배터리 컨테이너용 판넬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컨테이너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227B1 (ko) 배터리 냉각 컨테이너
US6758057B2 (en) Bimodal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EP2297004B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for protecting temperature sensitive products, transportation system
KR20200026226A (ko)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US9303912B1 (en) Passively cooled container system and method
EP2836775B1 (en) Modular passive refrigeration container
KR20110085864A (ko) 차량용 하물 상자
CN105555152A (zh) 农产品熟化室
KR101396184B1 (ko) 설치위치 가변형 칸막이를 갖춘 냉동 컨테이너
KR102111549B1 (ko)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CN105247303A (zh) 集装箱中增加的载货空间
WO2017147299A1 (en) Active system for improved temperature control and air mixing inside refrigerated truck boxes, trailers and intermodal containers
JP4231826B2 (ja) 冷凍コンテナ
JP2015052441A (ja) 冷凍車
CN108426404A (zh) 一种制冷模块以及冷藏箱
JP2018199495A (ja) スノー受けネットおよび保冷コンテナ
JP3233783B2 (ja) 低温保存品輸配送車
JPH08145526A (ja) コールドボックス及びそれに使用する蓄冷材
JP3212953B2 (ja) 低温保存品輸配送車用液化ガス供給装置
JP4458698B2 (ja) 冷却貯蔵庫の棚装置
KR102100747B1 (ko) Co₂ 냉매모듈, 이를 이용한 냉동 및 냉장용 컨테이너 및 탑차
CN215591531U (zh) 一种冷链物流箱
CN217755061U (zh) 一种冷藏集装箱
JP6955608B2 (ja) 冷蔵庫
KR102322906B1 (ko) 냉동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