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638A -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638A
KR20200025638A KR1020180103311A KR20180103311A KR20200025638A KR 20200025638 A KR20200025638 A KR 20200025638A KR 1020180103311 A KR1020180103311 A KR 1020180103311A KR 20180103311 A KR20180103311 A KR 20180103311A KR 20200025638 A KR20200025638 A KR 2020002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und insulation
sound
pa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협
Original Assignee
(주)용성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성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용성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8010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638A/ko
Publication of KR2020002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에 제공되는 차음장치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패널이 상호 밀착되어 바닥 구조를 이루며,
각 패널의 저면에 복수의 홈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 홈에 수지재의 방진패드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패널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홈에 결합되는 방진패드는, 축방향 중심에 상하 관통 또
는 상향 개방된 완첫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INTER LAYER SOUND ABSORBING EQUIPMENT OF THE BUILDINGSTRUCTURE AND SET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및 차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 상에 밀폐된 공기의 완층공간이 형성된 방진패드가 차음 패널을 지지하여 뜬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형성하
여 층간 소음 및 첫격음을 차단 및 흡수하는 효과를 향상시키고, 이러한 효과를 시공 후 장기간이 소요된 후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및 차음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 건축 구조물은 그 주거 공간의 쾌적성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건축 구조물의 층간 소음
도 규제가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최근 이러한 층간 구조물의 소음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다수 제시된 바 있으며, 그 예로서 카펫트
또는 발포비닐계 등 유연성 소재 상에 바닥마감재를 얹혀서 이루어지는 표면완첫공법, 바닥 슬라브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중량 고강성 바닥공법, 바닥 첫격음의 전달 경로를 차단하게 되는 뜬바닥공법, 슬라브와 하부층 천장 사이에 공기층을 첫
분히 확보하도록 하는 2중천장공법 등이 제시되어 시공되고 있다.
상기 뜬바닥공법은, 뜬바닥 사이의 공기가 첫격음을 흡수하는 구조로 최근 아파트 등의 층간 차음재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
나, 이는 바닥 구조물을 슬라브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도록 하여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결국 바닥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필요하고 이 지지대는 바닥 구조물로부터 발생되는 첫격음을 그대로 슬라브로 전달하게 됨에 따라 소음문
제를 해결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구조물의 지지대는 시공 후 오랜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진동이나 첫격
음에 대한 탄성지지력이 약화되어 차음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첫
격음이 패널로 전달됨과 동시에 방진패드를 통해 흡수 되도록 하여 소음 또는 첫격음의 경로를 완전 차단하고, 차음효과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높은 내구성을 가진 차음패널 및 방진패드의 구조를 창안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 구조물을 지지하는 패널들이 간편한 방식으로 안정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설치가 간편
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및 차음방법은,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이 층간 슬라브에 제공되는
패널들이 핀과 핀홀을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이 패널들이 방진패드를 통해 슬라브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틈새를 유지
하며 설치되도록 하여 상부측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패널로 전달됨과 동시에 방진패드를 통해 흡수 되도록 하여 소음의 경
로를 완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첫격파를 차단하는 방진패드가 그 내측에 공기 첫진을 위한 완첫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첫격음의 흡수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오랜기간이 경과하여도 방진패드의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어 뜬 바닥 공간의 체적변화가 없는 완첫작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방진패드의 상측 접촉면적이 최소화 되어 첫격파의 전달을 더욱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한, 방진패드가 그 저면에 이형소재인 우레탄 소재의 쿠션부가 제공되어 첫격 발생시 첫격파를 최소화 시키는 효과가 있
다. 더불어 수직하중이 아닌 편하중이 발생되어도 쿠션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쿠션돌기의 접촉을 통해 미끄럼의 방지 및 첫
격파 전달로를 더욱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 구조물을 지지하는 패널들이 안착턱에 형성된 핀홀과 패널의 저면에 형성된 핀을 통해 간편한 방식으
로 안정되게 조립될 수 있고, 방진패드를 패널에 결합하는 과정도 별도의 접착과정 없이 간단하게 끼움 결합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에 제공되는 차음장치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패널이 상호
밀착되어 바닥 구조를 이루며, 각 패널의 저면에 다수의 홈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 홈에 수지재의 방진패드
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패널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상기 패널의 한 쪽 모서리 양측변에 핀홀을 갖는 안착턱이 계단형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와 대응되는 모
서리의 양측 저면에 다른 패널의 상기 안착턱과 맞물림되어 상기 패널들이 동일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홈과 상기
핀홀 결합용 핀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의 저면에 무게 감소를 위한 다수의 홈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의 상면에, 다른 구조물 설치시 밀림이 방지되도록 사선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돌기라인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의 홈에 결합되는 방진패드는, 축방향 중심에 상향 개방된 완첫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의 홈에 결합되는 방진패드는, 저면 원주상에 다수의 쿠션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진패드의 상기 완첫공간은, 상측 내경이 하측 내경보다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테이퍼각을 형성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완첫공간은, 그 내경이 상하 요철형상으로 된 굴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패널의 홈에 결합되는 방지패드는, 축방향 중심에 상하 관통된 완첫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
다.
또한, 상기 패널의 홈에 결합되는 방진패드는, 축방향 중심에 상향 개방된 완첫공간이 형성되고, 하단부 저면에 원주상으
로 다수의 쿠션 돌기가 형성된 우레탄소재의 쿠션부가 합침 결합되도록 함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로 설치되는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구조는 상호 결합된 상기 패널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음재층이 안착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차음재층은, 직물지, 우레탄 등의 소재가 적용된다.
상기한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는, 건축 구조물의 층간 슬라브 형성단계와, 저면에 다수의 방진패드가 결합된 패널들
을 상호 밀착 결합시켜 슬라브 상면의 소정높이에 위치시키는 패널 조립단계와, 조립된 상기 패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음재층을 안착 결합시키는 차음재층 결합단계와, 상기 차음재층 상면에 바닥구조물을 설치하는 바닥면 형성단계
를 수행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방진패드는 축방향 중심에 상향 개방된 완첫공간이 형성되고, 하단부 저면에는 원주상으로 다수의 쿠션돌기가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차음재층은, 직물지, 우레탄 등의 소재가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층간 슬라브 등 층간 바닥구조물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와 상부층 바닥 구조물 사이에 제공되는 차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차음장치는, 다수의 패널(100)(100a)들과, 이 패널(100)들을 슬라브로부터 소정높
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진패드(20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100)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구조로 사각 형상을 이루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호 밀
착시 층간 바닥구조물을 이루도록 동일 평면을 유지하게 되며, 각각의 저면에는 하향 개방된 홈(110)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홈(110)에 방진패드(20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게 된다.
방진패드(200)의 결합시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별도의 접착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간단하게 끼워 결합됨으로써 방
진패드(200)가 패널 홈(110)에 밀폐 압착되게 된다.
상기 홈(110)은, 상기 패널(100)의 저면에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방진패드(200)의 결합시 지면에 안정되
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그리고, 상기 패널(100)의 한 쪽 모서리 양측변에는, 핀홀(122)을 갖는 안착턱(120)이 계단형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모
서리와 대응되는 다른쪽 모서리의 양측 저면에 다른 패널(100a)의 상기 안착턱(120)이 맞물림 되어 이들의 상호 결합시
상기 패널(100)(100a)들이 동일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홈(130) 및 상기 안착홈(130)에는 상기 핀홀(122)에 결합
되는 핀(132)이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100)의 모서리로부터 양쪽변에 안착턱(120)은 그 양쪽 단부가 각각 다른 쪽 모서리의 단부보다 상기 안
착턱(120)의 폭만큼 이격된 위치까지만 형성되어져 상기 패널(100)과 다른 패널(100a)의 상호 중첩 즉, 상기 안착홈(130)
과 안착턱(120)의 결합시 상기 패널(100)(100a)들이 가로 세로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널(100)(100a)들간의 상하 틈새를 차단함은 물론 핀(130)과 핀홀(122)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100)의 저면에는 상기 패널(100)의 무게 감소를 위한 다수의 홈(140)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때 홈
(140)과 홈(140) 사이의 리브를 통해 패널(100)의 수직 강도가 더욱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100)의 상면에는, 바닥 구조물의 설치시 밀림이 방지되도록 돌기라인(150)이 사선방향으로 서로 교차
되게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패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여 상기 방진패드(200)는, 탄성소재인 고무재로 중실 또는 중공형의 원형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축
방향 중심에는 상하 관통 또는 상향 개방된 완첫공간(210)이 형성되어 접촉면적의 최소화에 따른 첫격파의 전달을 감소함
은 물론이며, 그 내측에 공기가 첫진되어져 방진패드를 통해 전달되는 첫격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은 물론 탄성력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완첫력을 보강하고 하중 발생시 외형을 안정되게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완첫공간(210)은, 그 내부에 공기가 첫진되어 첫격 발생시에는 완첫력을 갖도록 하고 첫격음 전달시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진패드(200)의 오랜 사용으로 그 내구성이 저하되어도 내부에 첫진된 공기가 하중 발생시 지지력을 확보하
게 됨에 따라 방진패드의 탄성력 및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진패드의 완첫공간에는 첫격음의 흡수력 및 탄성력이 뛰어난 성질을 갖는 완첫재가 첫진되어 패드의 하부 홈
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진패드의 저면은 원주상에 다수의 쿠션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00)의 저면을 다수의 쿠션돌기(222)로 형성하게 되면 본 발명의 차음장치와 하층의 슬라브
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층간 소음 또는 첫격음의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수직하중이 아닌 편하중이 발생되어도
방진패드(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쿠션돌기의 접촉을 통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완첫공간(210)은, 그 내주면이 첫격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 내경이 하측 내경보다 점차
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테이퍼각(220)이 형성되어져 접촉면적의 최소화와 동시에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방진패드는 층간 많은 하중이 전달되는 건축구조물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완첫공간(210)의 다른 예로서 그 내경이 상하 요철형상으로 된 굴곡부(230)가 형성된 것이며, 이는 첫격하중
또는 첫격파 전달시에 다단 완첫력을 제공하여 진동 및 소음을 완전 흡수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방진패드는 층
간 진동이 심한 건축구조물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상기 방진패드(300)의 다른 예로서, 축방향 중심에 상향 개방된 완첫공간(310)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하단
부에 저면 원주상으로 다수의 쿠션 돌기(322)가 형성된 우레탄소재의 쿠션부(320)가 합침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방진패드의 저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경우 돌기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시공 후 오랜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방진패드의 탄
성력이 감소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가 형성된 방진패드의 하단부(320)를 탄성력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난 우레탄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 우레탄 소재는 일반 고무 또는 합성수지소재에 비해 가격이 비싼 소재이므로
돌기부가 형성된 방진패드의 하단부만을 이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이종소재의 방진패드는 제조시 방진패드(300)의 상측 몸체 또는 쿠션부(320) 중 하나를 먼저 몰딩 성형한 후 다른
하나를 합침시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의 설치과정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조립시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브의 상면에 패널(100)(100a)들을 안착시키면 되는데, 이때 각
패널(100)(100a)들에 형성된 홈(110)에 방진패드(200)를 각각 끼움 고정시킨 후 하나의 패널(100)에 형성된 안착턱
(120)에 다른 패널(100a)의 안착홈(130)이 맞대응 되도록 한 후 이들이 핀(130)과 핀홀(122)을 끼워 맞춰 결합되도록 하
면 퍼즐 형상으로 조립되게 된다.
상기 조립과정에서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안착턱 사이에는 방수 및 방음기능을 갖는 접착제(예를 들어,접착용 실리콘 등)
를 도포한 후 각각의 패널을 맞물려 결합한다. 이로써 각 패널 사이는 밀봉된 형태로 결합되게 되고, 그 결과 각 패널 사이
의 결합력이 강화됨은 물론 각 패널 사이에서도 차음 및 방수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패널(100)(100a)간의 결합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안착턱(120)(120a) 중 위에 맞물리는 안착턱(120) 측에
는 방진패널(200)의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아래에 맞물리는 안착턱(120a)이 위에 맞물리는 안착턱(120)의
패널(100)을 지지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하는 경우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조립단계가 끝난 후, 패널(100)들의 상면에 상부층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면 차음장치의 설치가 완
료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패널(100) 구조물의 완료후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음재층(400)을 설치하고 이 차음재층(400)의
상면에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즉, 차음재층(400)이 설치된 차음장치는 설치시 건축 구조물의 층간 슬라브 형성단계를 수행하고 연속해서 저면에 다수의
방진패드(200)가 결합된 패널(100)(100a)들을 상호 밀착시켜 바닥면에 위치시키는 패널 조립단계를 수행하며 연속해서
조립된 상기 패널(100)의 상면에 차음재층(400)을 안착 결합시키는 차음재 결합단계 및 상기 차음재층(400) 상면에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는 바닥면 형성단계를 수행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차음재층(400)은, 그 소재로 첫격음 흡수 및 완첫 기능을 갖는 직물지, 우레탄 등의 소재가 적용되며, 다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
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에 제공되는 차음장치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패널이 상호 밀착되어 바닥 구조를 이루며, 각 패널의 저면에 복수의 홈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
    홈에 수지재의 방진패드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패널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KR1020180103311A 2018-08-31 2018-08-31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 KR20200025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11A KR20200025638A (ko) 2018-08-31 2018-08-31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11A KR20200025638A (ko) 2018-08-31 2018-08-31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38A true KR20200025638A (ko) 2020-03-10

Family

ID=6980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11A KR20200025638A (ko) 2018-08-31 2018-08-31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6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98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0981922B1 (ko)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KR101890416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KR102064550B1 (ko) 층간 소음 저감용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135655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200399606Y1 (ko)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KR200423530Y1 (ko) 충격 흡수용 방진고무를 이용한 마루구조
KR10173576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0385010Y1 (ko) 층간차음재
KR20200025638A (ko) 건축물의 층간 차음장치
KR20070006438A (ko) 건축 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00085599A (ko)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JP5640302B2 (ja) 床支持構造
KR101942161B1 (ko) 완충재의 상이한 두께를 이용한 층간 소음 완충 구조
KR102266434B1 (ko) 바닥 방음 조립체
KR100659514B1 (ko) 층간 차음구조체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KR20210093001A (ko) 조립식 층간소음 차단장치
KR100952442B1 (ko) 장선부재의 길이 연결용 방진패드
KR102310224B1 (ko) 층간소음 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