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97A -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597A
KR20200025597A KR1020180103207A KR20180103207A KR20200025597A KR 20200025597 A KR20200025597 A KR 20200025597A KR 1020180103207 A KR1020180103207 A KR 1020180103207A KR 20180103207 A KR20180103207 A KR 20180103207A KR 20200025597 A KR20200025597 A KR 2020002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boiler
connection unit
airtight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545B1 (ko
Inventor
김규호
이헌재
민경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5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보일러의 연도 접속 유닛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케이싱 캐비넷과 연도 사이에서 상기 연도를 접속시키는 접속 유닛; 및 상기 접속 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연도의 외벽에 대하여 공간 수축 변형을 일으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윙 블레이드를 갖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The flue assembling unit of the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도 조립에서 기밀성 향상과 조립 및 생산성을 개선하는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연소 중 발생 되는 연소가스를 안전하게 배출하고 연소에 필요한 외기를 안정적으로 도입하는 흡배기 계통의 설계가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흡배기 연도의 연결에서는 연도 설치시 흡배기 파이프와 흡배기 연도의 오조립으로 인한 실링부의 이탈이 가능성으로 안전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어렵고 연도 설치 후에는 연도의 하중, 진동, 외력 등에 의해 실링부의 이탈이 가능하여 안전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기밀부재의 설치를 위하여 상대 구조물에 음각형상(도 1 참조)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복잡한 금형을 사용하게 되거나 기밀부재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부품 조립(도 2 참조)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보일러 연도 연결에서는 안전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복잡한 금형 사용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재료비의 증가 요인이 있고 별도 부품 조립의 경우 조립 공정 추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재료비 증가로 인해 제품 원가를 증가시키고 있다. 보일러의 연도 연결과 관련하여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68726호,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805호 및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9968호에는 보일러의 배기구 연도 장착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현재 보일러 연도 연결에서 안전한 기밀성과 제품 생산성 및 제품 원가를 낮추는 경제성을 충족시키는 면에서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등록특허공보 10-1668726(공고일 2016년10월25일)
특허문헌 2. KR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11805(공개일 2011년12월22일)
특허문헌 3. KR공개특허공보 10-2008-0059968(공개일 2008년07월01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보일러 연도 조립에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보일러 연도의 조립 및 생산성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의 케이싱 캐비넷과 연도 사이에서 상기 연도를 접속시키는 접속 유닛; 및 상기 접속 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연도의 외벽에 대하여 공간 수축 변형을 일으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윙 블레이드를 갖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접속 유닛의 내경상으로는, 상기 기밀부재의 내부측 하단의 말단부를 받쳐주는 복수의 걸림턱들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밀부재는, 내부측과 외부측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측과 외부측 사이에는 상기 접속 유닛의 고정부를 따라 끼워지는 장착홈이 있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고정부의 내벽과 이격된 유격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격 공간은, 상기 접속 유닛의 고정부와 대면하는 내부측 대응벽면이 임의의 변곡점으로 형성되고, 그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하로 각도가 좁혀지는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접속 유닛의 고정부와 대면하는 내부측 대응벽면에 형성되는 기울기는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밀부재의 외부측을 이루는 수직부의 길이가 상기 기밀부재의 내부측 하단의 말단부보다 긴 길이 차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밀부재의 외부측을 이루는 수직부의 내경과 상기 접속 유닛의 고정부 외경은 중첩부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밀부재의 윙 블레이드는, 상기 연도 삽입 방향과 같은 방향성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밀부재의 윙 블레이드는, 상하부의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로 구분되고, 상부측 제1 윙 블레이드의 돌출면은 하부측 제2 윙 블레이드의 돌출면에 비해 연도가 있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밀부재의 윙 블레이드는, 상하로 구분된 제1 윙 블레이드와 제2 윙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제1 변형 공간; 및 상기 제2 윙 블레이드와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2 변형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밀부재의 내부측 하단의 말단부는, 외부측 방향으로 각도가 벌어지는 기울기로 면처리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도를 접속 유닛과 연결할 때 실링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밀부재를 통해 보일러 연도 연결에서 요구되는 기밀성을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도를 접속 유닛과 연결할 때 기밀부재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간결한 생산 공정으로 제품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도 2는 또 다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의 예시이다. (a)는 기밀부재의 저면, (b)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도 조립 유닛에 대한 연도 삽입 전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9는 도 8의 C부 상세도로서 연도 삽입 전 기밀부재의 형상 변형 전 상태의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도 조립 유닛에 대한 연도 삽입 후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11은 도 10의 D부 상세도로서 연도 삽입에 따른 기밀부재의 형상 변형 상태의 예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접속 유닛'은 커넥터(connector), 어댑터(adapter), 소켓(socket) 등으로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접속 유닛'은 급기구와 배기구가 통합된 형식의 이중관 전용의 접속 유닛 및 급기구와 배기구가 각각 분리되어 있는 형식에서의 단일관 전용의 접속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유닛'은 이중관 급배기 방식 콘덴싱 보일러 연도 기밀에 적용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밀부재'는 '기밀재'로 혼용될 수 있으며 신축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탄성이 있는 고무재를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는 재료 중에서 선택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일러의 연도 설치 관련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보일러에 적용되는 기존의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속 유닛(200a)과 연도(400a) 사이는 기밀성을 유지를 위해 기밀부재(300a)가 설치된다. 그리고 기밀부재(300a)의 설치를 위하여 접속 유닛(200a)은 기밀부재(300a)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음각(201a)을 형성하여 이곳에 기밀부재(300a)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기밀부재는 안전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밀부재 설치를 위해 복잡한 금형을 사용하게 되므로 생산의 간결한 공정 유지가 어렵고 원가 절감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도 2는 보일러에 적용되는 기존의 또 다른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유닛(200a)과 연도(400a) 사이는 기밀성을 유지를 위해 기밀부재(300a)가 설치된다. 그리고 기밀부재(300a)의 설치를 위하여 접속 유닛(200a)은 기밀부재(300a)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음각(201a)을 형성하여 이곳에 기밀부재(300a)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기밀부재(300a)의 상부에 별도의 커플윙재(120a)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기밀부재는 안전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밀부재 설치를 위해 복잡한 금형을 사용하게 되고 기밀부재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부품으로 커플링재를 설치하는 형식이므로 생산의 간결한 공정 유지가 어렵고 원가 절감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도를 접속 유닛과 연결할 때 실링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밀부재를 통해 보일러 연도 연결에서 요구되는 기밀성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고 기밀부재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서 간결한 생산 공정으로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00)의 케이싱 캐비넷(110)에는 연도(400)를 설치하기 위한 접속 유닛(20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연도(400)의 접속 유닛(200)이 케이싱 캐비넷(110)의 윗면(111)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의 예시이다. (a)는 기밀부재의 저면, (b)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00)의 케이싱 캐비넷(110)과 연도(400) 사이에서 연도(400)를 접속시키는 접속 유닛(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유닛(200)에 장착되어 연도(400)의 외벽에 공간 변형으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윙 블레이드(320a)(320b)를 갖는 기밀부재(3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속 유닛(200)의 내경상으로는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 하단의 말단부(313)를 받쳐주는 복수의 걸림턱(220)들을 돌출시켜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220)들은 기밀부재(300)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으므로 하방 쳐짐을 방지하고 억제할 수 있고 연도(400) 삽입시 기밀부재가 내부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연도(400)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턱(220)의 간격은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기밀부재(300)의 말단부(313)에 작용될 수 있는 하중을 균일하게 받쳐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300)는 내부측(301)과 외부측(302)으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측(301)과 외부측(302) 사이에는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를 따라 끼워지는 장착홈(341)을 형성하고, 장착홈(341)은 고정부(210)의 내벽과 이격된 유격 공간(340)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과 외부측(302)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홈(341)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부재(300)를 접속 유닛(200)에 설치할 때 별도의 부품이나 구조물 없이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 선단을 따라 바로 끼워서 조립되므로 조립성이 기존에 비해 개선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과 구조물 형성을 위한 금형이 불필요하므로 생산 공정을 간결하게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과 외부측(302)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홈(341)의 유격 공간(34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와 대면하는 내부측(301)의 대응벽면을 임의의 변곡점(P)으로 형성하고, 그 변곡점(P)을 기준으로 상하로 각도가 좁혀지는 기울기(θ1)를 두어 변곡점(P)이 연도(4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연도(400)가 삽입될 때 유격 공간(341)이 수축 변형을 일으켜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측 내벽과 긴밀한 접촉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수축 변형으로 형성되는 반발력은 내부측(301)의 윙 블레이드에 작용되도록 하여 연도(400)의 외경과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과 외부측(302)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홈(341)의 유격 공간(34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와 대면하는 내부측(301) 대응벽면에 형성되는 기울기(θ1)가 변곡점(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격 공간(340)의 내벽이 상하 대칭형인 경우 연도(400)가 기밀부재(300)의 접속 공간(310)을 따라 삽입될 때 윙 블레이드에 작용되는 밀착력이 일방향 쏠림 없이 균형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300)의 외부측(302)을 이루는 수직부(311)의 길이를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 하단의 말단부(313)보다 긴 길이 차(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길이 차(h1)를 두는 경우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측 외경(211)과 접촉 면적을 늘려줄 수 있으므로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에서 작용되는 변형력과 무관하게 기밀부재(300)를 견고한 상태로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300)의 외부측(302)을 이루는 수직부(311)의 내경(312)과 상기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측 외경(2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부(350)로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첩부(350)를 두는 경우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와 기밀부재(300)의 외부측(302) 상호간 결합력을 크게하여 기밀부재의 이탈이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300)의 윙 블레이드는 연도(400) 삽입 방향과 같은 방향성의 기울기(θ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윙 블레이드를 연도(400) 삽입 방향과 같은 방향성의 기울기(θ2)로 형성하는 경우 연도(400)를 접속 유닛(200)에 장착된 기밀부재(300)의 홀(310)을 따라 조립할 때 윙 블레이드가 연도의 삽입 방향과 같은 방향의 기울기(θ2)로 기울어져 있어 연도(400)는 윙 블레이드에 걸리지 않고 진입되어 쉽고 간결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 하단의 말단부(313)는 외부측 방향으로 각도가 벌어지게 면처리된 기울기면(θ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밀부재(300)의 내부측(301) 하단의 말단부(313)를 외부측 방향으로 각도가 벌어지도록 기울기면(θ3)으로 형성하는 경우(도 10 참조), 연도(400) 삽입으로 윙 블레이드가 수축되어 유격 공간(340)의 변형이 일어날 때 말단부(313)는 수평(S1)과 가까운 위치로 변형되어 걸림턱(220)과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도 11 참조).
또한, 기밀부재(300)의 윙 블레이드는 상하로 구분된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320a)(320b)로 구분되고, 상부측 제1 윙 블레이드(320a)의 돌출면을 하부측 제2 윙 블레이드(320b)의 돌출면에 비해 연도(400)가 있는 방향으로 더 출몰시켜 구성될 수 있다. 윙 블레이드의 형상이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320a)(320b)로 구분된 구조는 연도(400)가 삽입될 때 구조적으로 다중 기밀을 이루고 유격 공간(340)의 변형을 통한 탄력으로 기밀력을 향상시켜 기존의 기밀에 비해 기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300)의 윙 블레이드는 상하로 구분된 제1 윙 블레이드(320a)와 제2 윙 블레이드(320b) 사이에 제1 변형 공간(330a)을 구비하고 제2 윙 블레이드(320b)와 말단부(313) 사이에는 제2 변형 공간(330a)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320a)(320b)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변형 공간(330a)(330b)은, 연도(400)가 삽입될 때 작용되는 제1 윙 블레이드(320a)와 제2 윙 블레이드(320b)의 누름력에 의해 수축 변형되고 그 변형량에 해당하는 정도의 반발력을 연도(400)에 작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의 작용효과를 연도 삽입 전과 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도 조립 유닛에 대한 연도 삽입 전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9는 도 8의 C부 상세도로서 연도 삽입 전 기밀부재의 형상 변형 전 상태의 예시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도(400)의 조립 전 상태에서 접속 유닛(200)에 장착된 기밀부재(300)의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320a)(320b)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변형 공간(330a)과 제2 변형 공간(330b)은 변형 전 상태로 대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격 공간(340)도 변형 전 상태로 대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유닛(200)에 장착된 기밀부재(300)의 홀(310)을 따라 연도(400)를 삽입하면 기밀부재의 제1 및 제2 변형 공간(330a)(330b)과 유격 공간(340)이 수축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축 변형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기밀부재의 재료, 예를 들면 신축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료 사용으로 발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도 조립 유닛에 대한 연도 삽입 후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이다.
도 11은 도 10의 D부 상세도로서 연도 삽입에 따른 기밀부재의 형상 변형 상태의 예시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도(400)를 기밀부재(300)가 위치하는 방향, 즉 F1 방향으로 끼워넣어 조립하면 접속 유닛(200)에 장착된 기밀부재(300)의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320a)(320b)의 제1 변형 공간(330a)과 제2 변형 공간(330b)은 수축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320a)(320b)는 도 11과 같이 연도(400) 삽입에 따라 연도 삽입 전 초기 기울기(θ2)가 임의의 기울기(θ4)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도(400) 삽입에 의해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320a)(320b)의 기울기(θ4)는 변형 전 상태를 나타낸 도 9의 기울기(θ2)에 비해 기울기 각이 더 커진 상태로 나타나 있다.
마찬가지로 유격 공간(340)은 변형 전과 다르게 유격 공간(340)이 줄어들거나 거의 사라지면서 접속 유닛(200)의 고정부(210)측 내벽과 밀착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도를 접속 유닛에 장착된 기밀부재를 따라 삽입할 때 기밀부재의 내부측은 윙 블레이드의 다중 변형을 유발시키고 이는 연도측에 대한 기밀력으로 전가되어 유체의 급배기 유동에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나타내고, 동시에 기밀부재의 유격 공간이 수축되면서 그 반발력은 이와 인접하는 접속 유닛의 고정부 벽면에 전가되고 이를 통해 기밀부재의 고강도로 접촉으로 유도되고, 기밀부재의 하부는 접속 유닛의 걸림턱에 지지되어 쳐짐이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보일러 110: 캐비넷
200: 접속 유닛 210: 고정부
220: 걸림턱 300: 기밀부재
301: 내부측 302: 외부측
310: 홀 311: 수직부
312: 내경 313: 말단부
320a: 제1 윙 블레이드 320b: 제2 윙 블레이드
330a: 제1 변형 공간 330b: 제2 변형 공간
340: 유격 공간 341: 장착홈
350: 중첩부 400: 연도

Claims (9)

  1. 보일러의 케이싱 캐비넷과 연도 사이에서 상기 연도를 접속시키는 접속 유닛; 및 상기 접속 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연도의 외벽에 대하여 공간 수축 변형을 일으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윙 블레이드를 갖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의 내경상으로는, 상기 기밀부재의 내부측 하단의 말단부를 받쳐주는 복수의 걸림턱들이 돌출된,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내부측과 외부측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측과 외부측 사이에는 상기 접속 유닛의 고정부를 따라 끼워지는 장착홈이 있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고정부의 내벽과 이격된 유격 공간을 포함하는,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공간은, 상기 접속 유닛의 고정부와 대면하는 내부측 대응벽면이 임의의 변곡점으로 형성되고, 그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하로 각도가 좁혀지는 기울기가 주어지도록 형성된,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의 고정부와 대면하는 내부측 대응벽면에 형성되는 기울기는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의 외부측을 이루는 수직부의 길이가 상기 기밀부재의 내부측 하단의 말단부보다 긴 길이 차를 갖는,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의 외부측을 이루는 수직부의 내경과 상기 접속 유닛의 고정부 외경은 중첩부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의 윙 블레이드는, 상기 연도 삽입 방향과 같은 방향성의 기울기를 갖는,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의 윙 블레이드는, 상하부 제1 및 제2 윙 블레이드로 구분되고, 상부측 제1 윙 블레이드의 돌출면은 하부측 제2 윙 블레이드의 돌출면에 비해 연도가 있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윙 블레이드와 제2 윙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제1 변형 공간; 및 상기 제2 윙 블레이드와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제2 변형 공간을 포함하는,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KR1020180103207A 2018-08-31 2018-08-31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KR10209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07A KR102095545B1 (ko) 2018-08-31 2018-08-31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07A KR102095545B1 (ko) 2018-08-31 2018-08-31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97A true KR20200025597A (ko) 2020-03-10
KR102095545B1 KR102095545B1 (ko) 2020-03-31

Family

ID=6980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207A KR102095545B1 (ko) 2018-08-31 2018-08-31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5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677Y1 (ko) * 2004-07-30 2004-11-09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연통 결합용 패킹
KR20080059968A (ko) 2006-12-26 2008-07-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구 구조
KR20110011805U (ko) 2010-06-16 2011-12-22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
KR101668726B1 (ko) 2015-09-22 2016-10-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677Y1 (ko) * 2004-07-30 2004-11-09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연통 결합용 패킹
KR20080059968A (ko) 2006-12-26 2008-07-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구 구조
KR20110011805U (ko) 2010-06-16 2011-12-22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
KR101668726B1 (ko) 2015-09-22 2016-10-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545B1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499B1 (ko) 클린룸 체인
US11549475B2 (en) Fuel supply nozzle unit having sealing structure
JP2019011862A (ja)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使用方法
AU2020205360B2 (en) Cap and water-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25597A (ko)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CN207777846U (zh) 一种清洁型气动快插接头
KR20210080469A (ko) 배기장치 및 타이어 몰드
US10040625B2 (en) Fastener-free box with fast assembly
TWI707089B (zh) 吊扇及其吊架
ITTO20080159U1 (it) Elemento di giunto tubolare.
CN105346352B (zh) 可拆卸保持件
CN103133691A (zh) 用于o形环的凹槽
KR102056253B1 (ko) 수처리 조의 덮개
KR200428003Y1 (ko) 커넥터어셈블리
KR102104678B1 (ko) 보일러의 이중관 연도 커넥터
JPH11190483A (ja) 流体用のプラグ継手
JP2512359Y2 (ja) 止 具
CN219135066U (zh) 具有锁紧功能的箱体
CN204100509U (zh) 一种空调吹脚风管结构
EP4253772A1 (en) Fixing assembly
TW201819826A (zh) 換氣扇
KR200458104Y1 (ko) 가스안전밸브 보호케이스
JP2010013844A (ja) 道路橋伸縮装置、及び道路橋伸縮装置の製造方法
EP2607766B1 (en) Clamping device for flue gas pipes
KR200341463Y1 (ko) 샤워기용 금속재 플렉시블 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