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52A -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552A
KR20200025552A KR1020180103068A KR20180103068A KR20200025552A KR 20200025552 A KR20200025552 A KR 20200025552A KR 1020180103068 A KR1020180103068 A KR 1020180103068A KR 20180103068 A KR20180103068 A KR 20180103068A KR 20200025552 A KR20200025552 A KR 20200025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ntrol unit
speed
subw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652B1 (ko
Inventor
김의진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렌티
Priority to KR102018010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6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정보, 차륜마찰정보, 곡배(지하철 곡선 플랫폼(정차역)에서의 곡선이 굽어진 정도)정보, 기상(비, 눈, 흐림, 맑음 등)정보의 상태정보를 얻은 후, 지하철도어와 스크린도어가 일치되도록 지하철을 플랫폼에 정위치시키는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어부(102)와;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을 속도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속도감지센서(10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값과 감지된 속도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속도값에 따라 속도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속도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속도정보연산부(10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Subway Station In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도정보, 차륜마찰정보, 곡배(지하철 곡선 플랫폼(정차역)에서의 곡선이 굽어진 정도)정보, 기상(비, 눈, 흐림, 맑음 등)정보의 상태정보를 얻은 후, 지하철도어와 스크린도어가 일치되도록 지하철을 플랫폼에 정위치시키는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열차운전장치(ATO :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방식의 경우 운전자의 개입 없이 열차의 운전시스템과 중앙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운행이 되며 PSD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에 열차가 정위치에 정차하게 된다.
자동열차운전장치(ATO :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방식의 경우, ATO 시스템의 오차에 따라 정위치 정차를 정확히 하지 못한 채로 문을 개방할 경우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ATC, ATS 등 수동으로 운전시 정위치 정차를 운전자가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자동열차제어장치(ATC :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Automatic Train Stop Device)방식으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운행하는 방식으로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역사의 경우 열차 앞부분을 이용하여 열차 정위치를 판별할 수 있도록 광전센서 및 레이져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정위치 정차를 운전자에게 표시하여 정위치를 유도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수동으로 운전할 시 정위치 정차를 운전자가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여러 장비(광전센서, 레이저 거리센서등)를 이용하여 정위치를 판단하기 때문에 시민의 안전을 위한 이중 점검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정위치 정차를 위한 정위치 정차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위치 정차시스템은 레이저 표시기를 통해 전광판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자동열차 제어장치(ATC :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Automatic Train Stop Device)방식으로 수동 운행하는 경우 열차의 종류가 많거나 비슷한 차량일 경우 오차의 범위가 생기고 정확한 정위치를 판단할 수 없는 실정이며, 정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다수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어 장비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운전자가 정위치를 판단하지 못하여 수동으로 취급하여 PSD 도어를 수동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결국 수리반이 긴급히 출동하여 수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구물 안의 광전 센서는 열차의 정차 거리를 표시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며 이 간격을 이용하여 부대 시설인 전광판이나 다른 표시기로 운전자에게 거리를 표시하여 정위치 정차를 유도한다. 예로 10cm간격으로 광전 센서를 일정 수량 설치할 경우 열차 앞부분이 광전 센서 첫번째에 감지될 경우 표시기에 진입정차 표시나 광전 센서의 조합을 이용하여 전동차가 정위치 거리를 환산하여 거리를 -1m, -90cm, -80cm, +80cm, +90cm, +1m등으로 거리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열차 정위치를 유도한다.
도 1을 보면 열차의 앞부분의 길이가 열차의 종류 및 제조회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열차의 앞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열차의 정위치를 판단하게 되면 다소 간의 오차가 발생하므로 PSD를 개방하게 되면 승객들의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2006년 11월 10일자 출원번호 제10-2006-0111312호(발명의 명칭 :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유도시스템)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에 있어서, 열차의 정위치와 열차의 거리를 표시하고 열차의 위치에 따른 상황을 표출하는 표시수단과; 열차의 차량간 연결부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일정수량의 감지센서로 구성된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열차의 연결부위 위치를 파악하여 연산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은 속도정보, 차륜마찰정보, 곡배정보, 기상정보를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하철이 정위치 정차 유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하철도어와 스크린도어가 일치하지 못하여 지하철도어가 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은 승객들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속도정보, 차륜마찰정보, 곡배(지하철 곡선 플랫폼에서의 곡선이 굽어진 정도)정보, 기상(비, 눈, 흐림, 맑음 등)정보의 상태정보를 얻은 후, 지하철도어와 스크린도어가 일치되도록 지하철을 플랫폼에 정위치시킴으로써, 지하철도어가 빠르게 열리도록 하여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은,
제어부(102)와;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을 속도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속도감지센서(10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값과 감지된 속도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속도값에 따라 속도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속도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속도정보연산부(106)와;
상기 속도감지센서(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륜마찰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차륜마찰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감지센서(108)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차륜마찰값과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차륜마찰값에 따라 차륜마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차륜마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정보연산부(110)와;
상기 차륜마찰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곡배를 감지하고 감지된 곡배값을 곡배정보연산부로 보내는 곡배감지센서(112)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곡배값과 감지된 곡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곡배값에 따라 곡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곡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곡배정보연산부(11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상청서버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기상값을 설정하여 기상값을 기상정보연산부로 보내는 기상단말기(116)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기상값과 수신된 기상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기상값에 따라 기상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기상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기상정보연산부(118)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속도상태값, 차륜마찰상태값, 곡배상태값, 기상상태값 바탕으로 하여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차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정차값을 정차값표시부로 보내는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 운전자에게 지하철의 정차값을 알려주는 정차값표시부(122)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은 속도정보, 차륜마찰정보, 곡배(지하철 곡선 플랫폼에서의 곡선이 굽어진 정도)정보, 기상(비, 눈, 흐림, 맑음 등)정보의 상태정보를 얻은 후, 지하철도어와 스크린도어가 일치되도록 지하철을 플랫폼에 정위치시킴으로써, 지하철도어가 빠르게 열리도록 하여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위치 정차를 위한 정위치 정차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이 정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100)은,
제어부(102)와;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을 속도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속도감지센서(10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값과 감지된 속도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속도값에 따라 속도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속도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속도정보연산부(106)와;
상기 속도감지센서(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륜마찰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차륜마찰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감지센서(108)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차륜마찰값과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차륜마찰값에 따라 차륜마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차륜마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정보연산부(110)와;
상기 차륜마찰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곡배를 감지하고 감지된 곡배값을 곡배정보연산부로 보내는 곡배감지센서(112)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곡배값과 감지된 곡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곡배값에 따라 곡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곡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곡배정보연산부(11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상청서버(도시는 생략함)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기상값을 설정하여 기상값을 기상정보연산부로 보내는 기상단말기(116)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기상값과 수신된 기상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기상값에 따라 기상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기상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기상정보연산부(118)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속도상태값, 차륜마찰상태값, 곡배상태값, 기상상태값 바탕으로 하여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차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정차값을 정차값표시부로 보내는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 운전자에게 지하철의 정차값을 알려주는 정차값표시부(12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100)ㅇ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2)는 속도감지센서(104), 차륜마찰감지센서(108), 곡배감지센서(112), 기상단말기(116)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속도감지센서(10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을 속도정보연산부(106)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속도정보연산부(106)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값과 감지된 속도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속도값에 따라 속도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속도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로 보낸다.
상기 차륜마찰감지센서(108)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륜마찰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차륜마찰정보연산부(1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차륜마찰정보연산부(110)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차륜마찰값과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차륜마찰값에 따라 차륜마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차륜마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로 보낸다.
상기 곡배감지센서(112)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곡배를 감지하고 감지된 곡배값을 곡배정보연산부(114)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곡배정보연산부(11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곡배값과 감지된 곡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곡배값에 따라 곡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곡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로 보낸다.
상기 기상단말기(116)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상청서버(도시는 생략함)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기상값을 설정하여 기상값을 기상정보연산부(11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기상정보연산부(118)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기상값과 수신된 기상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기상값에 따라 기상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기상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로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102)는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속도상태값, 차륜마찰상태값, 곡배상태값, 기상상태값 바탕으로 하여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차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정차값을 정차값표시부(122)로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102)는 정차값표시부(122)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차값표시부(122)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 운전자에게 지하철의 정차값을 알려준다.
상기 운전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의 정차값에 따라 지하철도어(210)와 스크린도어(300)가 일치되도록 지하철(200)을 플랫폼에 정위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속도정보, 차륜마찰정보, 곡배(지하철 곡선 플랫폼(정차역)에서의 곡선이 굽어진 정도)정보, 기상(비, 눈, 흐림, 맑음 등)정보의 상태정보를 얻은 후, 지하철도어와 스크린도어가 일치되도록 지하철을 플랫폼에 정위치시켜 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102 : 제어부
104 : 속도감지센서
106 : 속도정보연산부
108 : 차륜마찰감지센서
110 : 차륜마찰정보연산부
112 : 곡배감지센서
114 : 곡배정보연산부
116 : 기상단말기
118 : 기상정보연산부
120 :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
122 : 정차값표시부

Claims (3)

  1. 제어부(102)와;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을 속도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속도감지센서(10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값과 감지된 속도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속도값에 따라 속도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속도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속도정보연산부(10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2. 제어부(102)와;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을 속도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속도감지센서(10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값과 감지된 속도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속도값에 따라 속도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속도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속도정보연산부(106)와;
    상기 속도감지센서(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륜마찰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차륜마찰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감지센서(108)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차륜마찰값과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차륜마찰값에 따라 차륜마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차륜마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정보연산부(11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3. 제어부(102)와;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을 속도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속도감지센서(10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값과 감지된 속도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속도값에 따라 속도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속도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속도정보연산부(106)와;
    상기 속도감지센서(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륜마찰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차륜마찰정보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감지센서(108)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차륜마찰값과 감지된 차륜마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차륜마찰값에 따라 차륜마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차륜마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차륜마찰정보연산부(110)와;
    상기 차륜마찰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하철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곡배를 감지하고 감지된 곡배값을 곡배정보연산부로 보내는 곡배감지센서(112)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곡배값과 감지된 곡배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곡배값에 따라 곡배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곡배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곡배정보연산부(114)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상청서버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기상값을 설정하여 기상값을 기상정보연산부로 보내는 기상단말기(116)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기상값과 수신된 기상값을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기상값에 따라 기상상태값을 상, 중, 하로 나누어 기상상태값을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로 보내는 기상정보연산부(118)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속도상태값, 차륜마찰상태값, 곡배상태값, 기상상태값 바탕으로 하여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차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정차값을 정차값표시부로 보내는 정차상태정보종합연산부(120)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하철 운전자에게 지하철의 정차값을 알려주는 정차값표시부(12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KR1020180103068A 2018-08-30 2018-08-30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KR10209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68A KR102092652B1 (ko) 2018-08-30 2018-08-30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68A KR102092652B1 (ko) 2018-08-30 2018-08-30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52A true KR20200025552A (ko) 2020-03-10
KR102092652B1 KR102092652B1 (ko) 2020-03-24

Family

ID=6980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068A KR102092652B1 (ko) 2018-08-30 2018-08-30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6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584A (ko) * 2009-05-28 2010-12-08 서울메트로 열차 정위치 정차 장치
KR101859698B1 (ko) * 2016-08-12 2018-05-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동체 속도검증장치를 활용한 이동체 방호기능 검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584A (ko) * 2009-05-28 2010-12-08 서울메트로 열차 정위치 정차 장치
KR101859698B1 (ko) * 2016-08-12 2018-05-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동체 속도검증장치를 활용한 이동체 방호기능 검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652B1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939B1 (ko) 레일제동거리의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83224B1 (ko) 차량 레이더 오차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961760A (zh) 一种道路速限检测系统
JP2016199178A (ja) 列車着発時制御システム、車上装置及び地上装置
CN104309526A (zh) 一种汽车前后间距指示仪
CN111094104B (zh) 检测和优化交通工具的停靠点准确性
KR20150044134A (ko) 추월차로에서의 차선변경 유도장치 및 방법
KR20210031589A (ko) 터널 내부 차량 사고 방지시스템
KR101916660B1 (ko) 레이더 및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차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66691A (ko) 열차 정차 유도 장치
KR101434309B1 (ko) 열차간 거리 측정방법 및 그 철도차량
KR20200025552A (ko)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KR100682513B1 (ko) 자기패턴을 이용한 궤도차량의 정차시스템 및 정차방법
CN104019792A (zh) 车至车距离计算装置和方法
JPH08340607A (ja) 電気車両の運転支援システム
CN110930827A (zh) 直角转弯考试评判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70005908A (ko) 열차 위치 검출 장치
KR20080042626A (ko)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유도시스템
KR20130113685A (ko) 정차역 자동정지장치
KR101255503B1 (ko) 교차로 주행 안전을 위한 교통 신호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36810B1 (ko) 차로 판단 장치
SE520914C2 (sv) Förfarande för beröringsfri mätning av avstånd och läge till flygplan vid dockning, jämte anordning härför
CN208889032U (zh) 一种车间距检测装置
CN206766021U (zh) 一种汽车车距检测预警装置
CN110341706A (zh) 一种人身外漏天窗防伤害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