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617A -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617A
KR20200024617A KR1020180101517A KR20180101517A KR20200024617A KR 20200024617 A KR20200024617 A KR 20200024617A KR 1020180101517 A KR1020180101517 A KR 1020180101517A KR 20180101517 A KR20180101517 A KR 20180101517A KR 20200024617 A KR20200024617 A KR 2020002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information
terminal context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526B1 (ko
Inventor
김기현
김하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를 이용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으로 실시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에 따라서 서비스 내용을 변화시키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terminal contex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장치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서비스를 이용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으로 실시간 분석하여 서비스 내용을 변화시키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 기기의 성능 향상과 함께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온라인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디지털 컨텐츠 공유 서비스, 검색 서비스, 데이터 백업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및 그러한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들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더 쉽게 접근하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는 사용자가 관심 있거나 필요한 정보(상품)을 추측하여,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별도의 노력 없이 자신이 관심 있는 정보(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추천 정보는 보통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된다. 여기서, 컨텍스트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시스템, 혹은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간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장소, 사물, 개체, 시간 등 상황(situation)의 특징을 규정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 통신 대역폭, 그리고 프린터·디스플레이·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팅 상황(Computing context), 사용자의 프로파일·위치·주변의 사람들을 비롯한 사용자 상황(User context), 조명·소음 레벨·교통 상태·온도 등 물리적 상황(Physical context), 시간·주·달·계절 등 시간적 상황(Time context)이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이력, 사용자가 관심 있는 상품을 따로 담아놓는 장바구니 혹은 위시리스트(Wish list) 정보, 검색 이력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관심이나 선호도를 분석한 후, 그에 따라서 추천 정보를 추출한다.
그러나 종래에 이용되던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과거 선호도나 관심을 나타내는데 반해, 사용자의 선호도나 관심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혹은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8645호, 2006년 07월 27일 등록 (명칭: 추천 콘텐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비스를 이용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으로 실시간 분석하여 서비스 내용을 변화시키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비스를 이용 중에 사용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에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 별로 수집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일정 기간 동안 추출된 서비스 식별 정보 별 사용자 반응 정보를 시계열로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내용 변화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의 갱신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이용중인 서비스 내용을 구분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중에 나타나는 사용자와 사용자 장치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한 후, 일정 기간 동안의 서비스 식별 정보 별 사용자 반응 정보를 시계열로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처리 모듈은 상기 서비스 내용 변화 또는 특정 서비스 내용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의 갱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갱신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영상, 사용자 음성 및 하나 이상의 센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반응 정보는,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부정적 감정 및 긍정적 감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되며, 상기 갱신 정보는 부정적 감정 또는 긍정적 감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추출된 구간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해당 서비스 구간에 포함된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삭제, 변경, 추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장치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서, 비대면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 장치에서 검출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반응을 추출하되, 이를 시계열로 분석함으로써, 서비스 내용 변화에 따른 혹은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서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좀더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서비스 내용을 갱신함으로써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NW)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장치(20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장치(200)는 네트워크(NW)을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NW)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이용되는 네트워크(NW)는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NW)는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NW)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장치(200)가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현재 제공되는 혹은 향후 제공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 및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다양한 소스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서비스, 사용자가 생성한 동영상(UCC)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유 서비스, 개인 방송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여 상품의 판매 및 구매를 지원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전자상거래 서비스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이외에 어떠한 온라인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의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접속 요청에 따라서,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메인 화면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하며, 상기 메인 화면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 리스트를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특정 상품에 대한 결제를 위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2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한 서비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선택 혹은 명령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형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전에 사용자에 대하여 다양한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마련하여 둔다.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시스템, 혹은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간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장소, 사물, 개체, 시간 등 상황(situation)의 특징을 규정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웹 이용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웹 이용 정보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수집한 후, 쿠키(Coolie)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구분하거나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웹 이용 정보는, 사용자가 접속한 사이트 및/또는 페이지의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와 같이 수집한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관심 분야(혹은 카테고리)를 추출하고, 추출한 사용자의 관심 분야와 관련된 다수의 추천 아이템으로 이루어진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추천 정보는, 사용자의 과거 이력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것 혹은 구매한 것과 관련성이 높은 것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천 정보는, 상품 정보, 광고 정보, 디지털 콘텐츠 정보와 같은 추천 아이템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천 아이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우선순위로 배열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천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치(200)에 전송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 없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푸시(Push) 방식, 사용자 장치(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정보를 전송하는 풀(Pull)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되,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 반응과 관련이 있는 다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장치(100) 자체에서 수집되는 상황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사용자 영상, 사용자 장치(200)의 마이크로 수집한 사용자 음성,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로 수집한 사용자 장치(200)의 물리적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수집은 백그라운드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가 사용자 장치(200)에서 수집한 시점에 사용자가 이용 중인 서비스 내용을 나타나는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한 서비스 내용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간과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수신 시에 해당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수집 시점을 함께 수신하여, 시간을 기준으로 서비스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매칭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서비스 식별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시기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더하여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면,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 영상,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음성, 하나 이상의 센서로 측정된 움직임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반응 정보는, 상술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반응 정보는, 부정적 감정 및 긍정적 감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 내용을 나타내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반응 정보를 시계열로 정리하여 서비스 내용 변화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내용과 관련된 갱신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갱신 정보는, 부정적 감정 또는 긍정적 감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추출된 구간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해당 서비스 구간에 포함된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삭제, 변경, 추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운용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갱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할 서비스 내용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연결되어 카테고리별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카테고리 페이지 및 특정 기간 동안의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페이지, 특정 상품 페이지에서 연결되는 결제 페이지, 상기 메인 페이지 내에서 상품 판매 순위를 기준으로 한 베스트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베스트 상품 서비스 영역, 사용자 컨텍스트에 기반한 추천 상품을 표시하는 추천 서비스 영역 등 서로 구분되는 서비스 내용 별 다수 사용자의 반응 추이를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적정성을 판단하여, 서비스 내용 중 수정, 삭제, 추가할 부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서비스 내용 별 사용자의 반응 추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각 서비스 영역 별로 서비스 내용 후보군을 준비하고, 상술한 사용자 반응 추이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내용 후보군 중 적정 서비스 내용을 사용자에게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사용자 경험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서비스에 대한 반응은 부정적이고 그 이용 횟수가 낮은 반면, 검색 서비스의 이용이 많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추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반응 추이 분석에 따라서 각 서비스 영역의 접근 경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NW)에 연결된 하나의 엔티티(Entity)로, 웹 서버(web server),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포탈사이트를 지원하는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치(200)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패블릿 PC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기는 노트북, 퍼스널컴퓨터 등이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장치(20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저장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 모듈(110)은 네트워크(NW)에 접속하고, 사용자 장치(200)가 상기 네트워크(NW)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면 사용자 장치(200)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모듈(110)은 제어 모듈(130)로부터 사용자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예컨대,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이를 패킷으로 구성하여 전송한다. 또한,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으로부터 데이터, 즉,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 모듈(130)로 전달한다.
저장 모듈(12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이미지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저장 모듈(120)은 서비스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아울러,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분석을 통해 생성된 갱신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 모듈(120)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13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모듈(130)은 그 기능에 따라서 구분할 때, 서비스 제공 모듈(131) 및 피드백 처리 모듈(133)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모듈(131)은 사용자 장치(200)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며, 피드백 처리 모듈(133)은 상기 서비스 제공 모듈(131)에서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장치(200)의 단말 콘텍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함에 의해서, 상기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의 삭제, 추가, 변경과 같은 갱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모듈(131)은 통신 모듈(110)을 통해서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110)을 통해서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HTML 로 만들어진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모듈(131)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사업 분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드백 처리 모듈(133)은, 서비스 제공 모듈(131)에 의해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나타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서비스 식별 정보와 함께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의 갱신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드백 처리 모듈(133)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매칭되는 서비스 식별 정보별로 누적하여 분석함으로써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별 사용자들의 통계적 반응을 추출하거나, 특정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일정 시간 누적 분석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의 서비스 내용 변화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 처리 모듈(133)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갱신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자 혹은 서비스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반응에 기반하여 서비스 내용이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제어부(250), 카메라부(260), 센서부(270), 오디오처리부(28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비롯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통신 연결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다양한 통신 연결 방식의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하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WCDMA, LTE, LTE-A 등의 표준에 따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광대역이동통신 방식, Wi-Fi(wireless fidelity)를 이용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방식에 따라 접속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근거리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통신부(210)는 제어부(25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 예컨대, 사용자 요청 혹은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입력부(22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2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3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22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표시부(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2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230)는 사용자 장치(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230)는 사용자 장치(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각종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2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3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230)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제어부(250)는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사용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 장치(2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장치(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저장부(240)는 사용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장치(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의 연동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 장치(200)는 통신부(210)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풀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푸시 방식으로 사용자 요청 없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HTML 등과 같은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한다(S310).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상기 웹 페이지를 랜덩하여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서비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카메라부(260), 센서부(270), 오디오 처리부(280) 등을 통해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카메라부(260)로 촬영된 사용자 영상, 센서부(27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 오디오 처리부(280)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음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카메라부(260)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같은 경우, 데이터량은 많을 수 있으며, 데이터 량이 많을 경우 네트워크(NW)에서 원할히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경우 그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분석 또는 음성 분석을 통해서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특징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서부(270)의 다수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를 일정 주기로 샘플링하거나, 혹은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만 전송함으로써, 무분별한 트래픽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사용자 장치(200)에서 수집할 수 있는 상황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200) 자체의 상황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황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카메라부(260)는 영상을 촬영하는 수단으로서, 보통 사용자 장치(200)의 전면 영상 혹은 후면 영상을 촬영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260)를 통해서 사용자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제공된 서비스와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 중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정보에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70)는 사용자 장치(200)의 방향, 위치, 이동 속도, 움직임, 주변 밝기, 등과 같은 물리적인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움직임을 검출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방향/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지자기센서, 운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중력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중력 센서, 주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조도센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70)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나타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의 변화를 다양한 센서들의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처리부(28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를 포함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가청음으로 발생된 음성을 수집하여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280)를 통해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음성 분석을 통해서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지 정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장치(200)의 연동에 의해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피드백하여 서비스 내용을 갱신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사용자 장치(200) 간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200)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한다(S105). 여기서, 서비스 제공은, 웹 페이지와 같은 요청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장치(2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한 서비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다(S110).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현재 제공되는 혹은 향후 제공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서비스로, 전자상거래 서비스, 검색 서비스, 디지털 컨텐츠 공유 서비스, 개인 방송 서비스, 전자 매거진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천 정보 선택 화면을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한 후, 사용자의 추천 정보 선택에 따라서, 상기 메인 페이지로부터 사용자 맞춤형으로 추출된 복수의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아이템들은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적이 있는 상품, 사용자의 장바구니에 담겨있는 상품, 사용자가 기 구매한 상품과 관련성이 있는 다른 상품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추천 아이템을 표시하는 중에, 메인 페이지로 복귀한 후, 상품 카테고리 중 특정 카테고리(예를 들어, 의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선택한 카테고리의 상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UI 화면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장치(200)는, 카메라부(260), 센서부(270) 및 오디오 처리부(280) 등 장치 내에 구비된 구성을 기반으로 단말 주변의 상황 정보 즉,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한다(S115).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카메라부(260)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센서부(27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의 움직임 정보, 오디오 처리부(28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200)는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S120). 이때,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한 시점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서비스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200)는 네트워크(NW)의 트래픽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그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특징 정보만을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영상의 경우, 사용자 얼굴 중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부위, 예를 들어, 코, 눈, 입 등에 대한 특징 정보만을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음성의 경우,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음성 신호 만을 일정 크기로 샘플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은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S125),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갱신한다(S13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중심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 모듈(131)을 통해서 소정의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한, 서비스 이용 중인 임의의 사용자 장치(200)로 상기 서비스 데이터와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한다(S205).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수집은, 해당 사용자 장치(200)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연결된 동안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수집 횟수 및 간격은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수집은 사용자 장치(200)가 해당 정보를 수집 및/또는 가공하여 전송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가 사용자 장치(200)에서 수집된 시점에 사용자가 이용 중인 서비스 내용을 나타나는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한 서비스 내용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간과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수신 시에 해당 단말 컨텍스트 정보의 수집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 또는 해당 시점에 제공된 서비스 내용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서비스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매칭한다. 더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서비스 식별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시기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더하여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집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한다(S215). 여기서, 추출되는 사용자 반응 정보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부정적 감정 및 긍정적 감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반응 정보는 +1 ~ 1 범위의 수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는 긍정적 감정 상태를 -는 부정적 감정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감정 상태는, 영상 처리에 기반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분석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의 언어학적 의미, 톤, 크기 등과 같은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80)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장치(200)의 움직임 정보를 더 참조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200)에서 설치된 근접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200)의 화면을 보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부(280)에 의해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추출된 사용자 감정 상태가 제공된 서비스 데이터에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외부 상황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센서부(280)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 영상과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반응 정보 중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더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별로 일정 기간 동안 추출된 사용자 반응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한다(S220). 이때,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는, 서비스 내용 변화에 따라서 나타날 수 도 있고, 시간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 변화에 따라서 나타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는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반응에 대한 변화 추이이거나, 복수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반응에 대한 변화 추이가 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특정 사용자의 맞춤형 서비스의 평가를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서비스 내용에 대한 다수 사용자의 평균적 반응 추이로서,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평가를 위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추출한 서비스 내용 변화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내용과 관련된 갱신 정보를 생성한다(S225).
상기 갱신 정보는, 부정적 감정 또는 긍정적 감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추출된 구간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해당 서비스 구간에 포함된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삭제, 변경, 추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의 갱신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관리자에게 출력한다(S230). 이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서비스 내용 별로 더하여 사용자 별로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관리자가 이러한 갱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할 서비스 내용을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구분되는 서비스 내용 별 다수 사용자의 반응 추이를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적정성을 판단하여, 서비스 내용 중 수정, 삭제, 추가할 부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의 흐름도에서는 갱신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상기 갱신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내용을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각 서비스 영역 별로 서비스 내용 후보군을 준비하고, 상술한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내용 후보군 중 적정 서비스 내용을 사용자에게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사용자 경험을 갖도록 하거나,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상태에 따라서 동적으로 가변되는 서비스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시간 경과(t1 내지 t8)에 따라 제공된 서비스 내용이 도 6의 (a)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되었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르면, 해당 사용자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에 접속한 후, 추천 정보를 선택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추천 아이템1,2,3의 확인한 후, 다시 메인 화면으로 복귀하여, "의류"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의류"카테고리의 상품들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이용 중에 해당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집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감정 상태를 추출한 결과, 해당 사용자 반응, 즉, 감정 상태는 도 6의 (b) 내지 도 7의 (b)와 같이 나타난 경우, 이러한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해당 사용자는 추천 정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살펴보았으나 일부 추천 아이템 1~3까지 확인하는 동안 긍정적 반응이 하락한 후, 다시 의류 카테고리에서 직접 상품을 검색한 후 긍정적이 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반응으로 볼 때, 해당 사용자는 추천 서비스에 대해서는 기대치가 있으나, 추천 정보로 제공된 추천 아이템들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추천 서비스의 내용에 대해 사용자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추출된 추천 아이템들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 서비스에서 추천하는 추천 아이템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의류 카테고리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의류 카테고리에서 제공하는 상품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추천 아이템을 의류 카테고리 쪽 상품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서비스에 대한 반응은 부정적이고 그 이용 횟수가 낮은 반면, 검색 서비스의 이용이 많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추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반응 추이 분석에 따라서 각 서비스 영역의 접근 경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서비스 제공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의 예시에서,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노트북, 신발, 의류, 등에 대한 검색 및 구매 이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새롭게 출시된 혹은 사용자가 구매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노트북 상품이나 신발 상품이나 의류 상품을 추천 아이템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 장치(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천 정보에 포함된 추천 아이템들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킨다.
사용자는 이러한 추천 정보 표시화면을 스크롤하면서 추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추천 아이템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스크롤 중 관심 있는 추천 아이템을 터치하여 더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00)는 이러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이러한 실시간 사용자 반응 정보에 따라서 추천 정보를 변경하는 갱신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하여, 사용자 장치(200)가 추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아이템 중 노트북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가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잡화나 의류에 대한 관심은 부정적이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날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잡화나 의류에 대한 추천 아이템을 삭제한 후, 추천 정보에 또 다른 노트북 상품을 추천 아이템으로 추가하여 표시하거나, 노트북과 관련된 다른 액세서리 정보 등을 추천 아이템으로 추가하여 도 8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막연하게 추측하여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추천 아이템 중에서 사용자가 현재 시점에서 더 관심을 기울이는 추천 아이템을 더 보완하거나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사용자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장치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서, 비대면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 장치에서 검출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반응을 추출하되, 이를 시계열로 분석함으로써, 서비스 내용 변화에 따른 혹은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서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좀더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서비스 내용을 갱신함으로써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통신모듈
120: 저장모듈 130: 제어모듈
131: 서비스 제공 모듈 133: 피드백 처리 모듈
200: 사용자 장치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표시부
240: 저장부 250: 제어부
260: 카메라부 270: 센서부
280: 오디오 처리부

Claims (12)

  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비스를 이용 중에 사용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에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 별로 수집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일정 기간 동안 추출된 서비스 식별 정보 별 사용자 반응 정보를 시계열로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내용 변화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의 갱신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영상, 사용자 음성 및 하나 이상의 센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반응 정보는,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는,
    부정적 감정 및 긍정적 감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정보는
    부정적 감정 또는 긍정적 감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추출된 구간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해당 서비스 구간에 포함된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삭제, 변경, 추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방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7.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이용중인 서비스 내용을 구분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중에 나타나는 사용자와 사용자 장치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추출한 후, 일정 기간 동안의 서비스 식별 정보 별 사용자 반응 정보를 시계열로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피드백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처리 모듈은
    상기 서비스 내용 변화 또는 특정 서비스 내용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자 반응의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의 갱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갱신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영상, 사용자 음성 및 하나 이상의 센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반응 정보는, 영상 분석 및 음성 분석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는,
    부정적 감정 및 긍정적 감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정보는
    부정적 감정 또는 긍정적 감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추출된 구간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 및 해당 서비스 구간에 포함된 서비스 내용에 대한 삭제, 변경, 추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방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01517A 2018-08-28 2018-08-28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3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17A KR102536526B1 (ko) 2018-08-28 2018-08-28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17A KR102536526B1 (ko) 2018-08-28 2018-08-28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617A true KR20200024617A (ko) 2020-03-09
KR102536526B1 KR102536526B1 (ko) 2023-05-30

Family

ID=6980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517A KR102536526B1 (ko) 2018-08-28 2018-08-28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645B1 (ko) 2004-12-21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72085A (ko) * 2001-02-06 2008-08-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4528121A (ja) * 2011-09-12 2014-10-23 タタ コンサルタンシー サービシズ リミテッド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複数の異種デバイスの識別およびコンテキストによる動的サービス協調のため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085A (ko) * 2001-02-06 2008-08-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08645B1 (ko) 2004-12-21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4528121A (ja) * 2011-09-12 2014-10-23 タタ コンサルタンシー サービシズ リミテッド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複数の異種デバイスの識別およびコンテキストによる動的サービス協調のため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526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0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argeted label, and storage medium
WO2018086462A1 (zh) 一种业务数据的加载、推送、交互信息的生成方法和装置
US9241242B2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00081896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high-quality and high-ranking digital content discovery
US201500331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message inbox
CN110390569B (zh) 一种内容推广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9137485A1 (zh) 一种业务分值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TW201931067A (zh) 用於自動地執行一隱含訊息搜尋之電腦化系統與方法
US20180020252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nnel management platform, and terminal
KR20190107990A (ko) 사용자 맞춤형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방법
US109432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erver performance based on a user's messaging behavior
CN107992615B (zh) 一种网址推荐方法、服务器及终端
US10757060B2 (en) Message notification method and terminal
CN114579228B (zh) 消息的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200024619A (ko)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26391A (ko)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925878A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2536526B1 (ko) 단말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24618A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4119160A (zh) 应用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4416254A (zh) 名片展示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EP3951622A1 (en) Image-based search method, server, terminal, and medium
CN108897774B (zh) 一种获取新闻热点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3220954A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及投影设备
KR20200026398A (ko) 정보 공유 서비스의 고도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