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552A -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552A
KR20200024552A KR1020180101376A KR20180101376A KR20200024552A KR 20200024552 A KR20200024552 A KR 20200024552A KR 1020180101376 A KR1020180101376 A KR 1020180101376A KR 20180101376 A KR20180101376 A KR 20180101376A KR 20200024552 A KR20200024552 A KR 2020002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tating
dust
dust fil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149B1 (ko
Inventor
조민수
김재욱
이상훈
이수면
송하용
백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1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46/0071
    • B01D46/0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지대(11)와,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12) 및, 승강대(12)에 설치되는 연결대(13)를 갖춘 승강기구(10)와;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에 설치되는 커버(120)와;
커버(1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21)와, 외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부(21)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22)를 갖춘 필터회전기구(20)와;
커버(120)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20)에 삽입되고, 하측이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기구(30)와;
커버(120)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 및;
수용기구(51)의 상측에 구비되어 커버(120)에 의해 개폐되는 인입구(51a), 수용기구(51)의 하측에 구비되는 분진배출구(51b)를 구비한 수용기구(51)와, 수용기구(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52a), 지지판(5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진필터(F)가 안착되는 회전판(52b)을 구비한 회전기구(52)를 갖추고서, 필터회전기구(20)의 하방에 배치되는 분진필터배치챔버(50)를 포함하며,
분질필터(F)에 필터회전기구(20)가 안착된 상태에서 필터회전기구(20)가 회전하면 필터회전기구(20)를 따라 분진필터(F)가 회전하고, 분사기구(30)에 분사되는 에어가 분진필터(F)의 내부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Equipment For Collecting Dusts}
본 발명은 분진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를 비롯한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많은 먼지가 발생한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분진필터(F)를 갖춘 청소차량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한다.
이때, 청소차량의 에어흡입장치가 분진을 흡입하면, 공기가 도 1과 같은(화살표 방향 참조) 경로로 이동하면서 분진필터(F)에 분진이 포집된다.
한편, 장기간 사용된 분진필터(F)는 분진필터(F)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한 후, 다시 사용한다.
이때, 작업자는 물로 분진필터(F)를 세척하거나, 분진필터(F)의 외부에서 분진필터(F)로 압축공기를 불어, 분진필터(F)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진 제거 방법은, 오염수가 발생하거나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하여 2차 오염을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80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용 청소차량의 분진필터에 부착된 분진을 효율적이면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지지대(11)와,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12) 및, 승강대(12)에 설치되는 연결대(13)를 갖춘 승강기구(10)와;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에 설치되는 커버(120)와;
커버(1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21)와, 외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부(21)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22)를 갖춘 필터회전기구(20)와;
커버(120)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20)에 삽입되고, 하측이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기구(30)와;
커버(120)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 및;
수용기구(51)의 상측에 구비되어 커버(120)에 의해 개폐되는 인입구(51a), 수용기구(51)의 하측에 구비되는 분진배출구(51b)를 구비한 수용기구(51)와, 수용기구(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52a), 지지판(5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진필터(F)가 안착되는 회전판(52b)을 구비한 회전기구(52)를 갖추고서, 필터회전기구(20)의 하방에 배치되는 분진필터배치챔버(50)를 포함하며,
분질필터(F)에 필터회전기구(20)가 안착된 상태에서 필터회전기구(20)가 회전하면 필터회전기구(20)를 따라 분진필터(F)가 회전하고, 분사기구(30)에 분사되는 에어가 분진필터(F)의 내부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는 커버(12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120)와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는 승강기구(10)의 승강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기구(10)의 승강대(12)에 설치되어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를 회전시키는 연결대회전장치(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분진배출구(51b)와 연결되어 분진필터배치챔버 수용기구(51) 내의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장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기구(52)의 회전판(52b)에 안착된 분진필터(F)의 외측에 에어를 송풍하는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50)는 전면에 확인창(53)이 구비되고,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확인창(53)으로 에어를 송풍하는 확인창세척노즐(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121a)을 구비한 덮개부(121)와, 덮개부(121)의 삽입홀(121a)과 연통되는 수용홀(122a)을 구비하여 덮개부(121)의 상측에 구비되는 기어설치부(122)를 갖추고,
상기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a)는 회전부(21)의 상측에 지지돌기(21a)가 구비되어 커버(120)의 삽입홀(12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는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에 설치되어 기어설치부(122)의 수용홀(122a)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기어(41)와, 기어설치부(122)의 수용홀(122a)에 수용되어 제1기어(41)와 맞물리는 제2기어(42) 및, 기어설치부(122)에 설치되어 제2기어(4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3)를 갖추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10)는 에어실린더 구조를 이루거나,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는 에어모터 구조를 이루거나, 연결대회전장치(70)는 에어실린더 구조를 이루고,
승강기구(10) 또는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 또는 연결대회전장치(70) 또는 분사기구(30) 또는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 또는 확인창세척노즐(10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사기구(30)를 통해 분진필터(F)의 내부에서 외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분진필터(F)에 부착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차량이 분진을 흡입할 시 분진이 분진필터(F)의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진 흡입방향 반대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분진필터(F)의 분진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회전기구(20)를 통해 분진필터(F)를 회전시킴으로써, 분진필터(F)의 구석구석에 부착된 분진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회전기구(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분진필터(F)를 분진필터배치챔버(50)에 쉽게 삽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80)을 구비하여,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가 분진필터(F)에 안착될 시, 분진필터(F)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분진필터(F)가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회전판(52b)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을 구비하여, 분진필터(F)의 내부를 세척 후, 분진필터(F)의 외부에 부착된 잔여 분진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인창세척노즐(100)을 통해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확인창(53)을 세척하여, 세척된 확인창(53)을 통해 분진필터배치챔버(50)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에어 공급 및 분진 배출 구성간의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연결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서 필터회전기구가 분진필터에 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분진필터의 분진을 제거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에어 공급 및 분진 배출 구성간의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는 승강기구(10)와, 커버(120)와, 필터회전기구(20)와, 분사기구(30)와, 스프링(80)과,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와, 분진필터배치챔버(50)와, 연결대회전장치(70)와, 에어공급장치(110)와, 흡입장치(60)와,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과, 확인창세척노즐(100) 및, 제어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구(10)는 지지대(11)와,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12) 및, 승강대(12)에 설치되는 연결대(1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1)는 'ㅗ'자 형상을 이루고, 지지대(11)의 상측에 승강대(12)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대(12)는 상측에 바 형상의 받침부(12a)가 구비되어, 연결대(13)가 받침부(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승강기구(10)는 에어를 매개로 구동되는 에어실린더 구조를 이루어지고, 승강기구(10)와 에어공급장치(110)의 연결라인에는 제어유닛(13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승강기구밸브(V1)가 구비되어, 에어공급장치(110)로부터 승강기구(10)로의 에어공급이 제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승강기구(10)는 에어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져 에어를 매개로 구동되지만, 승강대(12)가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면, 볼스크류를 이용한 장치 등 다양한 방식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120)는 지지바(b)를 매개로 연결대(1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20)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121a)을 구비한 덮개부(121)와, 덮개부(121)의 삽입홀(121a)과 연통되는 수용홀(122a)을 구비하여 덮개부(121)의 상측에 구비되는 기어설치부(122)를 갖춘다. 여기서 기어설치부(122)의 상측에는 에어주입부(122b)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회전기구(20)는 커버(1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21)와, 외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부(21)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2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21)의 상측에는 지지돌기(21a)가 구비되어 커버(120)의 삽입홀(12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2)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2)는 분사기구(3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분사기구(30)는 커버(120)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20)에 삽입되고, 하측이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에어가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기구(30)는 상측이 커버(120)의 기어설치부(122)에 삽입되어 기어설치부(122)의 에어주입부(122b)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분사기구(30)는 하측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에어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31)이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분사기구(30)는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의 제1기어(41)를 관통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1기어(41)를 관통하지 않고 기어설치부(122)의 에어주입부(122b)에 설치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기구(30)와 에어공급장치(110)간의 연결라인에는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밸브(V6)가 구비되어, 에어공급장치(110)로부터 분사기구(30)로의 에어공급이 제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밸브(V6)는 수동밸브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31)은 2개가 구비되어, 하나는 상측방을 향하고 또 다른 하나는 하측방을 향한다.
상기 스프링(80)은 커버(120)와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 사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서 스프링(80)은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의 하측에 삽입되어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 상측에 용접으로 고정설치되며, 커버(120)의 덮개부(121)와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80)은 상기 가이드부(22)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덮개부(121)와 상기 가이드부(22) 사이에 설치되지만, 상기 덮개부(121)와 상기 가이드부(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면 설치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는 커버(120)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는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에 설치되어 기어설치부(122)의 수용홀(122a)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기어(41)와, 기어설치부(122)의 수용홀(122a)에 수용되어 제1기어(41)와 맞물리는 제2기어(42) 및, 기어설치부(122)에 설치되고 제2기어(42)와 축연결되어 제2기어(4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3)를 갖춘다. 여기서 구동장치(43)는 에어모터 구조를 이루지만, 제2기어(4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기어(41)는 분사기구(30)가 관통하여 통과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는 에어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매개로 구동장치(43)를 구동하여, 필터회전기구(20)의 회전부(21)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추고,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의 에어공급장치(110)의 연결라인에는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밸브(V3)가 구비되어 에어공급장치(110)로부터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로의 에어공급이 제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밸브(V3)는 수동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50)는 수용기구(51)와, 회전기구(52)를 갖추고서, 필터회전기구(20)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진필터배치챔버(50)는 전면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53)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기구(51)는 수용기구(51)의 상측에 구비되어 커버(120)에 의해 개폐되는 인입구(51a)와, 수용기구(51)의 하측에 구비되는 분진배출구(51b)를 갖춘다.
상기 회전기구(52)는 수용기구(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52a)과, 지지판(5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진필터(F)가 안착되는 회전판(52b)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52a)은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수용기구(51)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대회전장치(70)는 승강기구(10)의 승강대(12)에 설치되어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대회전장치(70)는 에어실린더 구조를 갖추어, 에어실린더 구조의 피스톤 부분과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가 링크 구조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연결대회전장치(70)와 에어공급장치(110)의 연결라인에는 제어유닛(13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연결대회전장치밸브(V2)가 구비되어, 에어공급장치(110)로부터 연결대회전장치(70)로의 에어공급이 제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대회전장치(70)는 에어실린더 구조를 갖추고서 에어를 매개로 구동되지만,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를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방식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장치(110)는 승강기구(10),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 연결대회전장치(70), 분사기구(30),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 및 확인창세척노즐(100)에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 흡입장치(60)는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분진배출구(51b)와 연결되어 분진필터배치챔버 수용기구(51) 내의 분진을 흡입한다.
상기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은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기구(52)의 회전판(52b)에 안착된 분진필터(F)의 외측에 에어를 송풍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과 에어공급장치(110)의 연결라인에는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밸브(V4)가 구비되어, 에어공급장치(110)로부터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로의 에어공급이 제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밸브(V4)는 수동밸브로 구성되며,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확인창세척노즐(100)은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확인창(53)으로 에어를 송풍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인창세척노즐(100)과 에어공급장치(110)로의 연결라인에는 확인창세척노즐밸브(V5)가 구비되어, 에어공급장치(110)로부터 확인창세척노즐(100)로의 에어공급이 제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확인창세척노즐밸브(V5)는 수동밸브로 구성되며,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승강기구(10)와, 연결대회전장치(70)와, 흡입장치(60)와, 에어공급장치(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130)은 승강기구(10)의 제어를 위해 승강기구밸브(V1)를 제어하고, 연결대회전장치(70)의 제어를 위해 연결대회전장치밸브(V2)를 작동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장치(110)에서 메인연결라인이 인출되고, 상기 메인연결라인에서 각각의 연결라인이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밸브(V3)와,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밸브(V6)와,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밸브(V4)와, 확인창세척노즐밸브(V5)로 분기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연결라인에 제어유닛(13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어밸브(V7)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밸브(V3)와,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밸브(V6)와,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밸브(V4)와, 확인창세척노즐밸브(V5)는 수동밸브로 구성되지만, 작업 환경에 따라 제어유닛(13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자동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승강기구밸브(V1)와, 연결대회전장치밸브(V2)와, 제어밸브(V7)는 자동밸브로 구성되지만, 작업 환경에 따라 수동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연결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서 필터회전기구가 분진필터에 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분진필터의 분진을 제거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연결대회전장치(70)를 구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를 돌린다.
그러면, 지지기구(120)에 연결된 필터회전기구(20)의 평면 위치가 바뀌면서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인입구(51a)로 분진필터(F)를 인입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이후, 분진필터(F)를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인입구(51a)로 인입하여, 회전기구(52)의 회전판(52b)에 안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승강기구(10)의 연결대(13)를 원위치로 옮긴 후, 승강기구(10)를 구동하여 커버(120)를 하강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를 분진필터(F)에 삽입한다.
이때,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는 분진필터(F)에 삽입되면서, 분진필터(F)가 가이드체(22)의 하방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가 분진필터(F)와 맞닿은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가 하강하면, 스프링(80)은 압축되고, 커버(120)는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인입구(51a)를 폐쇄한다. 이때, 필터회전기구(20)는 분진필터(F)에 의해 지지되고, 커버(12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인입구(51a)를 폐쇄한다.
여기서, 스프링(80)은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가이드부(22)가 보다 강하게 분진필터(F)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80)은 커버(120)가 하강할 시,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와 분진필터(F) 사이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분진필터(F)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에어공급장치(110)를 구동하고,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밸브(V6)를 개방하여 분사기구(30)에 에어를 공급하며,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밸브(V3)를 개방하여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40)를 구동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회전판(52b)를 따라 필터회전기구(20)가 회전하고, 분사기구(30)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분사기구(30)의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31)로 에어가 방출된다.
그러면, 분진필터(F) 내부에 쌓인 분진이 분진필터(F)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분진필터(F)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분진필터(F) 내부 구석구석의 분진이 제거된다.
이때, 분진필터(F)에서 이탈된 분진은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분진배출구(51b)로 낙하하고, 흡입장치(60)에 의해 흡입되어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공급장치(110)를 구동한 후, 분진필터외측세척밸브(V4)를 개방하면,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에서 에어가 분사되어, 회전하는 분진필터(F)의 외측에 묻은 분진이 이탈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확인창(53)에 분진이 부착되어 확인창(53)을 통해 분진필터배치챔버(50) 내부의 육안 확인이 어려울 경우, 상기 에어공급장치(110)를 구동하고, 확인창세척노즐밸브(V5)를 개방하여, 확인창세척노즐(10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확인창(53)을 세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사기구(30)를 통해 분진필터(F)의 내부에서 외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분진필터(F)에 부착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차량이 분진을 흡입할 시 분진이 분진필터(F)의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진 흡입방향 반대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분진필터(F)의 분진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회전기구(20)를 통해 분진필터(F)를 회전시킴으로써, 분진필터(F)의 구석구석에 부착된 분진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회전기구(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분진필터(F)를 분진필터배치챔버(50)에 쉽게 삽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80)을 구비하여, 필터회전기구(20)의 가이드부(22)가 분진필터(F)에 안착될 시, 분진필터(F)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분진필터(F)가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회전판(52b)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90)을 구비하여, 분진필터(F)의 내부를 세척 후, 분진필터(F)의 외부에 부착된 잔여 분진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인창세척노즐(100)을 통해 분진필터배치챔버(50)의 확인창(53)을 세척하여, 세척된 확인창(53)을 통해 분진필터배치챔버(50)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승강기구 20; 필터회전기구
30; 분사기구 40;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
50; 분진필터배치챔버 60; 흡입장치
70; 연결대회전장치 80; 스프링
90;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 100; 확인창세척노즐
110; 에어공급장치 120; 커버
130; 제어유닛 F; 분진필터
V1; 승강기구밸브 V2; 연결대회전장치밸브
V3;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밸브 V4;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밸브
V5; 확인창세척노즐밸브 V6; 분진필터내측세척노즐밸브
V7; 제어밸브

Claims (8)

  1. 지지대와, 지지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 및, 승강대에 설치되는 연결대를 갖춘 승강기구와;
    승강기구의 연결대에 설치되는 커버와;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와, 외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갖춘 필터회전기구와;
    커버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에 삽입되고, 하측이 필터회전기구의 가이드부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기구와;
    커버에 설치되어, 필터회전기구의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 및;
    수용기구의 상측에 구비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인입구, 수용기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분진배출구를 구비한 수용기구와, 수용기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진필터가 안착되는 회전판을 구비한 회전기구를 갖추고서, 필터회전기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분진필터배치챔버를 포함하며,
    분질필터에 필터회전기구가 안착된 상태에서 필터회전기구가 회전하면 필터회전기구를 따라 분진필터가 회전하고, 분사기구에 분사되는 에어가 분진필터의 내부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전기구의 회전부는 커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와 필터회전기구의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의 연결대는 승강기구의 승강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기구의 승강대에 설치되어 승강기구의 연결대를 회전시키는 연결대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의 분진배출구와 연결되어 분진필터배치챔버 수용기구 내의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기구의 회전판에 안착된 분진필터의 외측에 에어를 송풍하는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는 전면에 확인창이 구비되고,
    상기 분진필터배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진필터배치챔버의 확인창으로 에어를 송풍하는 확인창세척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을 구비한 덮개부와, 덮개부의 삽입홀과 연통되는 수용홀을 구비하여 덮개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기어설치부를 갖추고,
    상기 필터회전기구의 회전부는 회전부의 상측에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커버의 삽입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는 필터회전기구의 회전부에 설치되어 기어설치부의 수용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기어와, 기어설치부의 수용홀에 수용되어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 및, 기어설치부에 설치되어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에어실린더 구조를 이루거나,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는 에어모터 구조를 이루거나, 연결대회전장치는 에어실린더 구조를 이루고,
    승강기구 또는 필터회전기구회전장치 또는 연결대회전장치 또는 분사기구 또는 분진필터외측세척노즐 또는 확인창세척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KR1020180101376A 2018-08-28 2018-08-28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KR10214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76A KR102148149B1 (ko) 2018-08-28 2018-08-28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76A KR102148149B1 (ko) 2018-08-28 2018-08-28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52A true KR20200024552A (ko) 2020-03-09
KR102148149B1 KR102148149B1 (ko) 2020-08-27

Family

ID=6980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76A KR102148149B1 (ko) 2018-08-28 2018-08-28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1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3906A (zh) * 2020-07-21 2020-10-16 沈古震 一种无纺布生产设备废气处理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607271A (zh) * 2020-11-30 2021-04-06 向余胜 一种卡车倾倒建筑垃圾用除尘装置
CN112693157A (zh) * 2020-12-21 2021-04-23 徐东才 一种生物质颗粒压块机的出料机构
CN113231395A (zh) * 2021-05-06 2021-08-10 泉州市咪童贸易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防护用除尘设备
CN114684520A (zh) * 2022-03-21 2022-07-01 深圳市航瑞物流自动化有限公司 一种核电站维修备件高频周转自动化存取立体库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404B1 (ko) * 2022-06-20 2023-05-26 신승배 필터 클리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286A (ko) * 2013-12-20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건식 필터 재생장치
KR101538011B1 (ko) 2014-07-29 2015-07-22 오평균 바퀴가 달린 백팩형 산업용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286A (ko) * 2013-12-20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건식 필터 재생장치
KR101538011B1 (ko) 2014-07-29 2015-07-22 오평균 바퀴가 달린 백팩형 산업용 진공청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3906A (zh) * 2020-07-21 2020-10-16 沈古震 一种无纺布生产设备废气处理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607271A (zh) * 2020-11-30 2021-04-06 向余胜 一种卡车倾倒建筑垃圾用除尘装置
CN112693157A (zh) * 2020-12-21 2021-04-23 徐东才 一种生物质颗粒压块机的出料机构
CN113231395A (zh) * 2021-05-06 2021-08-10 泉州市咪童贸易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防护用除尘设备
CN114684520A (zh) * 2022-03-21 2022-07-01 深圳市航瑞物流自动化有限公司 一种核电站维修备件高频周转自动化存取立体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149B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4552A (ko)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KR101701517B1 (ko) 캡슐형 세정기
CN110560445B (zh) 电器屏柜的除尘系统和除尘方法
KR100962287B1 (ko) 노즐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즐 세척 방법
CN116936410B (zh) 半自动晶圆清洗机及晶圆清洗方法
CN117066216A (zh) 除尘除静电设备
CN112505959A (zh) 一种液晶面板的清洗设备
CN105097608B (zh) 一种防止高压水雾喷溅的cup结构
JP6544721B2 (ja) マットの洗浄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009156B1 (ko)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TWI451914B (zh) Rotary bearing automatic blowout mechanism
KR100555947B1 (ko) 이동식 차체하부 자동 기취장치
KR102085941B1 (ko) 반도체 웨이퍼용 에칭 장치
KR20140004521A (ko) 건식 및 습식 겸용 진공 청소장치
CN109480718B (zh) 一种家用墙面污渍自动清理装置
KR101960455B1 (ko) 공조기의 자동 세정장치
CN108815949A (zh) 用于纺织车间的除尘装置
KR101080920B1 (ko) 집진 장치
CN214184244U (zh) 一种电动叉车除尘装置
KR102459782B1 (ko) 노면 청소차량용 적재함 이지 크리닝장치
KR20100117285A (ko) 무인궤도차량의 자동 세정 장치
CN219025239U (zh) 一种单工位升降旋转切水机
KR101008132B1 (ko) 스트립 롤 이물 제거장치
CN220837005U (zh) 除尘除静电设备
TWI818729B (zh) 低放射性污染物件之除污設備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