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270A -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3270A KR20200023270A KR1020197032867A KR20197032867A KR20200023270A KR 20200023270 A KR20200023270 A KR 20200023270A KR 1020197032867 A KR1020197032867 A KR 1020197032867A KR 20197032867 A KR20197032867 A KR 20197032867A KR 20200023270 A KR20200023270 A KR 202000232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s
- less
- final
- value
- cold rolling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097 cold ro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00765 intermetall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482 strain h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64 tensil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 -Si reduce o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038 T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3 batch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3 lab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11 spectroscop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9—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direct chill casting, e.g. electromagnetic cas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13—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heating or insulating stra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2003/001—Aluminium or its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방열성, 성형성, 가공 연화성이 우수한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이며, 작동압 변동이 적고, 내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한 일체형 방폭 밸브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한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e: 1.05 내지 1.50질량%, Mn: 0.15 내지 0.70질량%, Ti: 0.002 내지 0.15질량% 및 B: 0.03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Fe/Mn비가 1.8 내지 7.0으로 규제되고, 불순물로서의 Si가 0.40질량% 미만, Cu가 0.03질량% 미만, Mg이 0.05질량% 미만, V이 0.03질량% 미만으로 규제된 성분 조성을 갖고,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또한 재결정 조직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Fe: 1.05 내지 1.50질량%, Mn: 0.15 내지 0.70질량%, Ti: 0.002 내지 0.15질량% 및 B: 0.03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Fe/Mn비가 1.8 내지 7.0으로 규제되고, 불순물로서의 Si가 0.40질량% 미만, Cu가 0.03질량% 미만, Mg이 0.05질량% 미만, V이 0.03질량% 미만으로 규제된 성분 조성을 갖고,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또한 재결정 조직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형, 원통형 등의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작동압 변동이 적은,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에 관한 것이다.
근년, 각국에서 자동차의 배기 가스 규제가 엄격해져, 환경 대응차로서의 전기 자동차의 생산이 급속하게 신장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는, 현재 리튬 이온 전지가 주류로 되어 있다. 리튬 이온 전지의 케이스로서는, 각형, 원통형, 라미네이트형 등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지만, 각형, 원통형의 경우,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판을 드로잉 가공이나 아이어닝 가공(DI 가공이라고도 함)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지 케이스용의 재료로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DI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고강도인 알루미늄 합금판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Mn 0.8 내지 2.0%(mass%, 이하 동일함)를 함유하고, 또한 불순물로서의 Fe양이 0.6% 이하, Si양이 0.3% 이하로 규제되어, 잔부가 실질적으로 Al로 이루어지고, 또한 Mn 고용량이 0.75% 이상이고 또한 Mn 첨가량에 대한 Mn 고용량의 비가 0.6 이상이고, 또한 내력값이 185 내지 260N/㎟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고온 팽창성이 우수한 케이스용 알루미늄 합금판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특히 70 내지 90℃ 정도의 고온으로 온도 상승하여 내압이 증대된 때, 즉 고온 내압 부하 시에 있어서도, 팽창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내고온 팽창성이 우수한 케이스용 알루미늄 합금판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조성으로서, Si: 0.10 내지 0.60wt%, Fe: 0.20 내지 0.60wt%, Cu: 0.10 내지 0.70wt%, Mn: 0.60 내지 1.50wt%, Mg: 0.20 내지 1.20wt%, Zr: 0.12 초과 0.20wt% 미만, Ti: 0.05 내지 0.25wt%, B: 0.0010 내지 0.02wt%를 함유하고, 잔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원통 용기 딥 드로잉 성형법으로 압연 방향에 대한 45° 이어링율이 4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단면 전지 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품 수율이 높고, 박판의 직사각형 DI 성형성이 양호하고, 또한 펄스 레이저의 용접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판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Fe: 0.3 내지 1.5질량%, Mn: 0.3 내지 1.0질량%, Ti: 0.002 내지 0.20질량%를 함유하고, Mn/Fe의 질량비가 0.2 내지 1.0이고, 잔부 Al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불순물로서의 Si가 0.30질량% 미만, Cu가 0.20질량% 미만, Mg이 0.20질량% 미만인 성분 조성과, 원 상당 직경 5㎛ 이상인 제2 상 입자수가 500개/㎟ 미만인 금속 조직을 갖고, 5% 이상의 연신율의 값, 또한 90㎫ 이상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냉연 상태의 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용접성이 우수한 전지 케이스용 알루미늄 합금판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높은 강도를 가짐과 함께 성형성도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레이저 용접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밀폐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팽창의 억제가 가능한 이차 전지용 용기를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다는 것이다.
자동차용 리튬 이온 전지는, 급속한 충방전을 수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안전성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만일의 사태에서 파괴 사고가 일어나, 전지 용기 내의 내압이 급속하게 높아진 때에는, 내압을 해방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전지 용기 또는 전지 덮개에는 방폭 밸브가 붙어 있다. 이 방폭 밸브는, 용기의 내압이 소정압을 초과한 경우에, 밸브가 자동적으로 파단되거나 하여, 확실하게 작동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는, 전지 용기에 전지 덮개가 용접 또는 코오킹 등의 방법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밀폐 전지의 전지 덮개 또는 전지 용기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 A를 마련하고, 해당 관통 구멍 A를 금속 박판으로 폐색하고 전지 내압으로 파단하는 안전 기구를 갖게 한 밀폐 전지에 있어서, 크기가 해당 금속 박판보다 크지 않고,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 B를 갖는 금속판을 해당 금속 박판 위에 겹치고, 전지 덮개 또는 전지 용기에 심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전지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방폭 밸브를 전지 덮개에 마련하는 경우, 전지 덮개에 방폭 밸브를 일체적으로 성형한, 소위 일체형 방폭 밸브 부착의 덮개로 함으로써, 전지 덮개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특허문헌 5에는, Fe: 1.15 내지 1.35질량%, Mn: 0.40 내지 0.60질량%, 잔부 Al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불순물로서의 Si가 0.15질량% 이하, Cu가 0.05질량% 이하, Mg이 0.05질량% 이하로 규제된 조성과, 압연면에 있어서, 압연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의 결정립의 최대 폭이 100㎛ 이하, 결정립의 폭의 평균이 25㎛ 이하인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성분 조성이 규정되어 있음과 함께, 연속 어닐링로를 사용함으로써 최종 어닐링을 급속 가열, 급속 냉각으로 행하기 때문에, 조대 결정립이 없고, 미세한 결정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내압 강도를 나타냄과 함께, 내압 강도의 변동이 작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6에는, 질량%로, Mn 0.8% 이상 1.5% 이하, Si 0.6% 이하, Fe 0.7% 이하, Cu 0.20% 이하, Zn 0.2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 Al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고, 원판의 두께를 T0, 프레스 가공 후의 두께를 T1이라고 하고, 냉간 가공도 R(%)=[(T0-T1)/T0]×100으로 한 때, R이 80%일 때의 인장 강도 TS80(㎫)과 R이 96%일 때의 인장 강도 TS96(㎫)을 비교한 경우, (TS96-TS80)이 15㎫ 미만이고, TS80이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밀봉재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가 기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가공 경화성이 저감되어, 프레스 가공 후의 열처리가 불필요해짐과 함께, 방폭 밸브의 작동압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확실히 3000계의 알루미늄 합금판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고 리튬 이온 전지 용기용 재료로서의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Mn, Fe을 필수 원소로서 포함하고, Fe 함유량보다도 Mn 함유량이 높은 알루미늄 합금판에서는, 매트릭스에 있어서의 Mn 고용량이 높고, 이 때문에 냉간 가공에 의한 가공 경화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박육부를 성형하는 일체형 방폭 밸브 부착 전지 덮개용 재료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일체형 방폭 밸브 부착 전지 덮개는, 방폭 밸브의 박육부를 성형할 때에 70% 내지 95% 정도의 가공률로 냉간 프레스 성형되기 때문에, 당연히 일체형 방폭 밸브 부착 전지 덮개용 소재로서, 적당한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함과 함께, 고가공률에 있어서 가공 경화가 억제된 알루미늄 합금판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차량 탑재용 리튬 이온 전지는, 충방전 시에 내부에서의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충방전마다 일체형 방폭 밸브의 박육부에 걸리는 내압이 반복해서 변화된다. 따라서, 사용하는 재료로서, 방열성이 우수한 것이 필요하고, 나아가, 성형된 일체형 방폭 밸브의 박육부는, 작동압의 변동이 적어, 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리튬 이온 전지의 케이스로서는, 각형, 원통형, 라미네이트형 등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지만, 원통형은 원형 단면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낮고, 충방전 시에 내부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최근에는, 특히 차량 탑재용 리튬 이온 전지로서, 18650으로 대표되는 원통형의 리튬 이온 전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원통형의 리튬 이온 전지를 소정의 차량 탑재용 전지 팩 내에 복수개 나열하면, 간극이 발생해 버려, 풀 충전한 때에 차량 탑재용 전지 팩 내에서의 외관의 에너지 밀도가 저하되어 버린다는 결점이 있다. 각형의 리튬 이온 전지는 제조 비용은 다소 높기는 하지만, 소정의 차량 탑재용 전지 팩 내에 복수개를 밀하게 나열하는 것이 가능해, 풀 충전한 때에 차량 탑재용 전지 팩 내에서의 외관의 에너지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에서는, Mn, Fe을 필수 원소로서 포함하고, Mn 함유량보다도 Fe 함유량이 높기는 하지만, 직사각형의 전지 덮개 및 직사각형의 방폭 밸브가 개시되어 있을뿐이고, 원형의 방폭 밸브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6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 밀봉 재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에서는, 가공 경화성이 저감되어, 프레스 가공 후의 열처리가 불필요해짐과 함께, 방폭 밸브의 작동압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방폭 밸브의 작동압 변동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원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방열성, 성형성, 가공 연화성이 우수한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이며, 작동압 변동이 적고, 내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한 일체형 방폭 밸브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한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리튬 이온 전지의 덮개로서 사용되지만, 전지 용기의 형상을 막론하고, 전지 덮개로서 적용 가능하다. 즉, 전지 덮개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 어떤 형상이어도 되고, 그라운드상과 같이 원호와 직선의 조합의 형상이어도 된다. 본원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리튬 이온 전지의 덮개로서 사용되지만, 전지 덮개의 형상을 막론하고, 전지 덮개에는 방폭 밸브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즉, 일체형 방폭 밸브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 어떤 형상이어도 되고, 그라운드상과 같이 원호와 직선의 조합의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Fe: 1.05 내지 1.50질량%, Mn: 0.15 내지 0.70질량%, Ti: 0.002 내지 0.15질량% 및 B: 0.03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Fe/Mn비가 1.8 내지 7.0으로 규제되고, 불순물로서의 Si가 0.40질량% 미만, Cu가 0.03질량% 미만, Mg이 0.05질량% 미만, V이 0.03질량% 미만으로 규제된 성분 조성을 갖고,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재결정 조직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 방법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기재된 성분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을 반연속 주조법에 의해 주괴에 주조하는 슬래브 주조 공정과, 주괴에 520 내지 620℃의 유지 온도, 1시간 이상의 유지 시간에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는 균질화 처리 공정과, 상기 균질화 처리 공정 후, 개시 온도 420 내지 520℃ 미만으로 설정하고, 주괴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열간 압연판을 얻는 열간 압연 공정과, 상기 열간 압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냉간 압연판을 얻는 냉간 압연 공정과, 상기 냉간 압연판에 배치로에서 최종 어닐링을 실시하는 최종 어닐링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최종 냉연율 50% 내지 95%의 범위인 최종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상기 최종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 유지 온도 300 내지 450℃에서 1시간 이상의 최종 어닐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이기 때문에, 방열성, 성형성, 가공 연화성이 우수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방폭 밸브는, 작동압의 변동이 적어, 내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하다.
소정의 성분 조성의 알루미늄 합금 용탕을 DC 주조기에 의해, 반연속적으로 주조하여 주괴로 해서, 양면 면삭한 후, 균질화 처리 및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열간 압연판을 롤에 권취한다. 균질화 처리의 온도는 520 내지 620℃로 한다. 열간 압연의 개시 온도를 520℃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고용되어 있는 Mn, Si를 Al-(Fe·Mn)-Si 등의 Fe계 화합물에 흡수시키거나, Al6Mn 등의 Mn계 석출물을 석출시킴으로써, 매트릭스에 있어서의 Mn 고용량, Si 고용량을 저감시킨다. 열간 압연판은 소정의 두께까지 냉간 압연되고, 필요에 따라 배치로에서 300 내지 400℃의 중간 어닐링을 실시하여 연화시키고, 최종 냉연율 50% 내지 95%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 배치로에서 300 내지 450℃의 최종 어닐링을 실시하여 어닐링재(O재)로 한다. 또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냉연재(H재)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이기 때문에, 방열성, 성형성, 가공 연화성이 우수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방폭 밸브는, 작동압의 변동이 적어, 내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종래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고강도라도, 전지 덮개로서의 일체형 방폭 밸브의 성형 가공에서는, 미소 균열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이것은, 최종판에 있어서의 Mn 고용량이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주괴의 균질화 처리 온도나 열간 압연의 개시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Mn 고용량을 충분히 조정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일체형 방폭 밸브의 성형 가공에 있어서, 가공률 70% 내지 95% 정도의 냉간 가공을 실시하여 박육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고, 성형성이 우수한 것인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차량 탑재용 리튬 이온 전지는, 충방전 시에 내부에서의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충방전마다 일체형 방폭 밸브의 박육부에 걸리는 내압이 반복해서 변화된다. 따라서, 사용하는 재료로서, 방열성이 우수한 것이 필요하고, 나아가, 성형된 일체형 방폭 밸브는, 작동압의 변동이 적고, 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방폭 밸브의 성형 가공에 있어서, 가공률 70% 내지 95% 정도의 냉간 가공을 실시하여 박육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박육부의 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성분 조성을 갖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고가공률의 냉간 가공에 있어서의 가공 연화성이 우수하고, 소정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높은,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그 내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에 포함되는 각 원소의 작용, 적절한 함유량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Fe: 1.05 내지 1.50질량%〕
Fe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조성에 있어서, 주조 시에 주괴에 Al-(Fe·Mn)-Si 등의 Fe계 금속간 화합물을 석출시켜, 균질화 처리 시에 이들 Fe계 금속간 화합물이 매트릭스에 고용된 Mn을 흡수한다. 이 때문에 Fe는 필수적인 원소이다.
Fe 함유량이 1.05질량% 미만이면, 주괴에 있어서의 Fe계 금속간 화합물의 사이즈와 수가 감소함으로써, 균질화 처리 시에 주괴의 Mn 고용량을 충분히 저하시킬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최종판에 대하여 고가공률에 있어서의 가공 경화가 현저해질 우려가 있다. Fe 함유량이 1.50질량%를 초과하면, Fe계 금속간 화합물의 사이즈와 수가 증가함으로써, 최종판에 대하여 성형성이 저하됨과 함께,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Fe 함유량은 1.05 내지 1.50질량%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Fe 함유량은 1.05 내지 1.45질량%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Fe 함유량은 1.10 내지 1.45질량%의 범위이다.
〔Mn: 0.15 내지 0.70질량%〕
Mn은, 알루미늄 합금판의 내력을 증가시키는 원소이고, 일부는 매트릭스 중에 고용하여 고용체 강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필수 원소이다.
Mn 함유량이 0.15질량% 미만이면, Fe/Mn비가 7.0을 초과할 우려가 있고, 주괴에 있어서의 Fe계 금속간 화합물의 형상이 침상으로 되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Mn 함유량이 0.70질량%를 초과하면, 주괴에 있어서의 Mn 고용량이 너무 높아져, 최종판에 대하여 방열성이 저하됨과 함께,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0.15 내지 0.70질량%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Mn 함유량은 0.15 내지 0.65질량%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Mn 함유량은 0.20 내지 0.65질량%의 범위이다.
〔Fe/Mn비: 1.8 내지 7.0〕
Mn은, 주조 시에 주괴에 Al-(Fe·Mn)-Si 등의 Fe계 금속간 화합물을 석출시키는 원소이기도 하지만, Fe계 금속간 화합물의 형상을 구상화하는 효과가 있다.
Fe/Mn비가 1.8 미만이면, 균질화 처리 시에 Fe계 금속간 화합물이 매트릭스에 고용되어 있는 Mn을 흡수하는 효과가 작아져, 최종판에 대하여 방열성이 저하됨과 함께,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Fe/Mn비가 7.0을 초과하면, Fe계 금속간 화합물의 형상을 구상화하는 효과가 작아져,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Fe/Mn비는 1.8 내지 7.0으로 규제한다.
〔Ti: 0.002 내지 0.15질량%〕
Ti은 주괴 주조 시에 결정립 미세화제로서 작용하여, 주조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원소이다. 물론, Ti은 단독으로 첨가해도 되지만, B와 공존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결정립의 미세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Al-5% Ti-1% B 등의 로드 하드너에서의 첨가여도 된다.
Ti 함유량이 0.002질량% 미만이면, 주괴 주조 시의 미세화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주조 균열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Ti 함유량이 0.15질량%를 초과하면, 최종판에 대하여 방열성이 저하됨과 함께, 주괴 주조 시에 TiAl3 등의 조대한 금속간 화합물이 정출되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Ti 함유량은 0.002 내지 0.15질량%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Ti 함유량은 0.002 내지 0.08질량%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Ti 함유량은 0.005 내지 0.06질량%의 범위이다.
또한, Ti 함유량에 대해서는, 더욱 바람직한 범위를, 바람직한 범위에 대하여 하한값 및 상한값 모두 감축함으로써 규정하고 있지만,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하한값 및 상한값의 각각에 대하여 단독으로 적용할 수 있고, 양쪽 동시에만 적용할 필요는 없다.
〔B: 0.03질량% 미만〕
B는, Ti과 공존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결정립의 미세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원소이다. Ti과 마찬가지로, Al-5% Ti-1% B 등의 로드 하드너에서의 첨가여도 된다.
B 함유량이 0.03질량% 이상이면, Ti 함유량에 따라 다르지만, Ti-B 화합물이 안정화되어 TiB2으로 되기 쉽고,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감쇠됨과 함께, TiB2이 노 내에서 침강하여 노 바닥에 퇴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B 함유량은 0.03질량% 미만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B 함유량은 0.01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B 함유량은 0.005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V: 0.03질량% 미만〕
본원 발명에 있어서, V은 불순물이다. V 함유량이 0.03질량% 이상이면, 주조 시에 비교적 큰 사이즈의 Fe계 금속간 화합물을 석출시켜,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V 함유량은 0.03질량% 미만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V 함유량은 0.02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Si: 0.40질량% 미만〕
본원 발명에 있어서, Si는 불순물이다. Si는, 주조 시에 Al-(Fe·Mn)-Si 등의 Fe계 금속간 화합물을 석출시켜, 일부는 매트릭스 내에 고용하고,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를 높인다.
Si 함유량이 0.40질량% 이상이면, 최종판에 대하여 Si 고용량이 높아지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40질량% 미만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Si 함유량은 0.35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Si 함유량은 0.30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Cu: 0.03질량% 미만〕
본원 발명에 있어서, Cu는 불순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Cu 함유량이 0.03질량% 이상이면,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Cu의 함유량은 0.03질량% 미만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Cu 함유량은 0.02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Cu 함유량은 0.01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Mg: 0.05질량% 미만〕
본원 발명에 있어서, Mg은 불순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Mg 함유량이 0.05질량% 이상이면, 최종판에 대하여 성형성, 방열성이 저하됨과 함께, 고가공률에 있어서의 가공 경화가 현저해져,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Mg의 함유량은 0.05질량% 미만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한 Mg 함유량은 0.03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Mg 함유량은 0.02질량% 미만의 범위이다.
〔기타의 불가피적 불순물〕
불가피적 불순물은 원료 지금, 회수 스크랩 등으로부터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관리 외 원소이며, 그것들의 허용할 수 있는 함유량은, 예를 들어 Cr의 0.20질량% 미만, Zn의 0.20질량% 미만, Ni의 0.10질량% 미만, Ga의 0.05질량% 미만, Pb, Bi, Sn, Na, Ca, Sr에 대해서는, 각각 0.02질량% 미만, 기타(예를 들어, Co, Nb, Mo, W) 각 0.05질량% 미만이며, 이 범위에서 관리 외 원소를 함유해도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도전율: 53.0% IACS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용 리튬 이온 전지는, 충방전 시에 내부에서의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사용하는 재료로서, 방열성이 우수한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방열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최종판의 도전율(IACS%)을 채용하고, 도전율을 53.0% IACS 이상으로 규정했다.
〔연신율의 값: 40%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일체형 방폭 밸브의 성형 가공에 있어서, 가공률 70% 내지 95% 정도의 냉간 가공을 실시하여 박육부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성이 우수한 것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형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최종판에 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한 때의 연신율의 값을 채용하여, 연신율의 값을 40% 이상으로 규정했다.
〔재결정 조직을 갖는 것〕
일체형 방폭 밸브의 박육부를 반복하여 피로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성분 조성을 갖고, 재결정 조직을 갖는 최종판으로 할 필요가 있다. 최종판의 금속 조직이 미재결정 조직인 경우에는, 어닐링 처리에 의한 연화가 불충분하여, 연신율의 값이 낮고 성형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또한, 일체형 방폭 밸브를 가령 성형할 수 있었다고 해도 박육부의 금속 조직의 이방성에 의해, 작동압의 변동의 요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최종판의 금속 조직이 재결정 조직인 경우에,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30㎛를 초과하면, 방폭 밸브의 작동압의 변동이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5㎛ 미만이면, 방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바람직한 재결정 조직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15 내지 30㎛의 범위이다. 보다 바람직한 재결정 조직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15 내지 25㎛의 범위이다.
〔(TS95-TS70)의 값: -1㎫ 미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가공률 70% 내지 95% 정도의 냉간 가공을 실시하여 박육부를 형성하기 위해, 고가공률에 있어서 가공 연화성이 우수한 것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공 연화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을 채용하여, (TS95-TS70)의 값을 -1㎫ 미만으로 규정했다.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5.0%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용 리튬 이온 전지는, 충방전 시에 내부에서의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충방전마다 일체형 방폭 밸브의 박육부에 걸리는 내압이 반복해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일체형 방폭 밸브의 성형 가공 후의 박육부에 있어서, 연신율이 높고, 반복 피로 특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방폭 밸브의 작동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을 채용하여, 이 연신율의 값을 5.0% 이상으로 규정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한다.
〔용해·용제 공정〕
용해로에 원료를 투입하고, 소정의 용해 온도에 도달하면, 플럭스를 적절히 투입하여 교반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랑스 등을 사용하여 노 내 탈가스를 행한 후, 진정 유지하여 용탕의 표면으로부터 찌꺼기를 분리한다.
이 용해·용제에서는, 소정의 합금 성분으로 하기 위해, 모합금 등 재차 원료 투입도 중요하지만, 상기 플럭스 및 찌꺼기가 알루미늄 합금 용탕 속으로부터 탕면으로 부상 분리될 때까지, 진정 시간을 충분히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진정 시간은 통상 30분 이상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로에서 용제된 알루미늄 합금 용탕은 경우에 따라 유지로에 일단 이탕 후, 주조를 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직접 용해로로부터 출탕하여, 주조하는 경우도 있다. 보다 바람직한 진정 시간은 45분 이상이다.
필요에 따라, 인라인 탈가스, 필터를 통해도 된다.
인라인 탈가스는 회전 로터로부터 알루미늄 용탕 중에 불활성 가스 등을 흡입, 용탕 중의 수소 가스를 불활성 가스의 기포 중에 확산시켜 제거하는 타입의 것이 주류이다. 불활성 가스로서 질소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점을, 예를 들어 -60℃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괴의 수소 가스양은 0.20cc/100g 이하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괴의 수소 가스양이 많은 경우에는, 주괴의 최종 응고부에 공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열압연 공정에서의 1패스당의 압하율을, 예를 들어 7% 이상으로 규제하여 공극을 찌부려뜨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괴에 과포화에 고용되어 있는 수소 가스는, 냉연 코일의 열처리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최종판의 방폭 밸브의 프레스 성형 후라도, 예를 들어 전지 덮개와 전지 용기의 레이저 용접 시에 석출되고, 비드에 다수의 블로홀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주괴의 수소 가스양은 0.15cc/100g 이하이다.
〔슬래브 주조 공정〕
주괴는 반연속 주조(DC 주조)에 의해 제조한다. 통상의 반연속 주조의 경우는, 주괴의 두께가 일반적으로는 400 내지 600㎜ 정도이기 때문에, 주괴 중앙부에 있어서의 응고 냉각 속도가 1℃/sec 정도이다. 이 때문에, 특히 Fe, Mn의 함유량이 높은 알루미늄 합금 용탕을 반연속 주조하는 경우에는, 주괴 중앙부에는 Al6(Fe·Mn), α-Al-(Fe·Mn)-Si 등의 비교적 거친 금속간 화합물이 알루미늄 합금 용탕으로부터 정출되는 경향이 있다.
반연속 주조에 있어서의 주조 속도는 주괴의 폭,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생산성도 고려하여, 50 내지 70㎜/min이다. 그러나, 인라인 탈가스를 행하는 경우, 탈가스 처리조 내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용탕의 체류 시간을 고려하면, 불활성 가스의 유량 등 탈가스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알루미늄 용탕의 유량(단위 시간당의 용탕 공급량)이 작을수록 조 내에서의 탈가스 효율이 향상되어, 주괴의 수소 가스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주조의 주입 개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주괴의 수소 가스양을 저감시키기 위해, 주조 속도를 30 내지 50㎜/min으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주조 속도는 30 내지 40㎜/min이다. 물론, 주조 속도가 30㎜/min 미만이면,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주조 속도가 느린 쪽이, 주괴에 있어서의 섬프(고상/액상의 계면)의 경사가 완만해져, 주조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균질화 처리 공정〕
반연속 주조법에 의해 주조하여 얻은 주괴에 균질화 처리를 실시한다.
균질화 처리는, 압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괴를 고온으로 유지하고, 주조 편석, 주괴 내부의 잔류 응력의 해소를 행하는 처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지 온도 520 내지 620℃에서 1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주조 시에 정석출한 금속간 화합물을 구성하는 전이 원소 등을 매트릭스에 어느 정도 고용시키기 위한 처리이기도 하다. 이 유지 온도가 너무 낮거나, 혹은 유지 온도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고용이 진행되지 않아, 성형 후의 외관 표면이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유지 온도가 너무 높으면, 주괴의 마이크로적인 최종 응고부인 공정 부분이 용융되는, 소위 버닝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균질화 처리 온도는 520 내지 610℃이다.
〔열간 압연 공정〕
이와 같이, 주괴의 균질화 처리를 520 내지 620℃의 유지 온도, 1시간 이상의 유지 시간에서 행함과 함께, 열간 압연의 개시 온도를 520℃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매트릭스에 고용되어 있는 Mn, Si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간 압연의 개시 온도가 520℃ 이상이면, 매트릭스에 고용되어 있는 Mn, Si를 저감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열간 압연의 개시 온도가 420℃ 미만이면, 열간 압연 시의 소성 변형에 필요한 롤 압력이 높아지고, 1패스당의 압하율이 너무 낮아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열간 압연의 개시 온도는 420 내지 520℃ 미만의 범위이다. 소킹로 내로부터 취출된 주괴는, 그대로 크레인에 의해 매달아져, 열간 압연기로 운반되고, 열간 압연기의 기종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몇번의 압연 패스에 의해 열간 압연되어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4 내지 8㎜ 정도의 열연판으로서 코일에 권취한다.
〔냉간 압연 공정〕
열간 압연판을 권취한 코일은 냉연기에 통과되어, 통상 몇패스의 냉간 압연이 실시된다. 이때, 냉간 압연에 의해 도입되는 소성 변형에 의해 가공 경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중간 어닐링 처리가 행해진다. 통상 중간 어닐링은 연화 처리이기도 하므로,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배치로에 냉연 코일을 삽입하고,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의 유지를 행해도 된다. 유지 온도가 300℃보다도 낮으면, 연화가 촉진되지 않고, 유지 온도가 400℃를 초과하면, 생산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최종 어닐링 공정〕
본 발명에 있어서, 최종 냉간 압연의 후에 행해지는 최종 어닐링 공정은, 예를 들어 어닐링로에 의해 온도 300 내지 450℃에서 1시간 이상 유지하는 배치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최종 어닐링을 행함으로써, 어닐링판(최종판)은,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5 내지 30㎛인 재결정 조직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최종 어닐링 공정은, 어닐링로에 의해 온도 300 내지 400℃에서 1시간 이상 유지하는 배치 처리이다. 더욱 바람직한 최종 어닐링 공정은, 어닐링로에 의해 온도 300 내지 380℃에서 1시간 이상 유지하는 배치 처리이다. 어닐링로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가 높을수록 재결정립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커진다. 어쨋든, 본 발명에 있어서 최종 어닐링은 필수적이고, 프레스 성형에 의한 일체형 방폭 밸브의 박육부의 냉간 가공율 70% 내지 95% 정도를 고려하면, 최종판을 연화시켜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최종 어닐링 공정을 연속 어닐링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어닐링판(최종판)의 방열성, 일체형 방폭 밸브의 작동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최종 어닐링을 실시하는 경우의 최종 냉연율은 50% 내지 9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냉연율이 이 범위라면, 300 내지 45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의 유지를 행하는 최종 어닐링을 실시함으로써, 평균 결정 입경이 15 내지 30㎛인 재결정 조직으로 된다. 보다 바람직한 최종 냉연율은 70% 내지 95%의 범위이다. 또한,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어닐링로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뿐만 아니라, 최종 냉연율에 의해서도 변화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통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실험실 시험재에 의한 실시예>
〔공시재의 작성〕
16수준(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10)의 성분 조성의 잉곳 5㎏을 각각 #20 도가니 내에 삽입하고, 이 도가니를 소형 전기로에서 가열하여 잉곳을 용해했다. 이어서, 용탕 중에 랑스를 삽입하고, N2 가스를 유량 1.0L/min으로 5분간 불어 넣어 탈가스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30분간의 진정을 행하여 용탕 표면에 부상한 찌꺼기를 교반봉으로 제거했다. 이어서 도가니를 소형 전기로로부터 취출하고, 용탕을 안치수법 250×200×30㎜의 금형에 유입하여, 주괴를 제작하고, 각 도가니 중의 용탕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10의 각 공시재를 얻었다. 이들 공시재의 디스크 샘플은 발광 분광 분석에 의해 조성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들 주괴의 양면을 5㎜씩 면삭 가공하여, 두께 20㎜로 한 후, 590℃×1시간, 480℃×1시간의 균질화 처리를 연속해서 행하고,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6.0㎜의 열간 압연판으로 했다. 그 후, 이 열간 압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판 두께 1.0㎜의 냉연판으로 했다. 냉간 압연 공정 사이에 중간 어닐링 처리는 행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의 최종 냉연율은 83%였다.
이어서, 이들 냉연판(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7, 9, 10)에 대하여, 배치 어닐링을 모의하고, 어닐러에 삽입하여 340℃×1시간의 어닐링 처리를 실시하여 최종판(O재)으로 했다. 다른 냉연판(비교예 8)에 대해서는, 425℃×10초간의 연속 어닐링을 모의하고, 425℃×15초간 솔트 바스에서 가열한 후에 수랭하여 최종판(O재)으로 했다.
또한, 이들 최종판에 대하여, 일체형 방폭 밸브의 성형을 모의하고, 가공 경화 특성 등을 조사할 목적으로, 0.3㎜, 0.1㎜, 0.05㎜까지 냉간 압연하여, 각각의 압하율: 70, 90, 95%에 있어서의 냉연재를 채취했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공시재(최종판: 16수준, 냉연재: 16수준×각 3수준)에 대하여, 제특성의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인장 시험에 의한 특성의 측정〕
얻어진 각 최종판의 성형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의 연신율의 값(%)에 따라 행하였다. 각 최종판의 가공 연화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에 압하율 95%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 TS95(㎫)로부터 최종판(O재)에 압하율 7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 TS70(㎫)을 뺀 값인 (TS95-TS70)(㎫)에 따라 행하였다. 일체형 방폭 밸브의 작동 안정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에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에 따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공시재로부터, 인장 방향이 압연 방향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되도록 JIS5호 시험편을 채취하고, JISZ2241에 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고, 인장 강도, 0.2% 내력, 연신율(파단 연신율)을 구했다. 또한, 이들 인장 시험은, 각 공시재에 대하여 3회(n=3) 행하여, 그 평균값으로 산출했다. 각 최종판의 인장 강도, 연신율(파단 연신율)의 측정 결과, 각 최종판에 압하율 7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의 측정 결과, 각 최종판에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파단 연신율)의 측정 결과 및 각 최종판에 압하율 95%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도전율계에 의한 도전율의 측정〕
얻어진 각 최종판의 열전도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의 도전율(IACS%)에 따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각 최종판에 대하여, 도전율계(AUTOSIGMA 2000 닛폰 호킹 가부시키가이샤제)로 도전율(IACS%)의 측정을 실시했다. 각 최종판의 도전율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최종판의 도전율이 50.0% IACS 이상이었던 것을 방열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최종판의 도전율이 50.0% IACS 미만이었던 것을 방열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35.0% 이상이었던 것을 성형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35.0% 미만이었던 것을 성형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TS95-TS70)의 값이 17㎫ 미만이었던 것을 가공 연화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TS95-TS70)의 값이 17㎫ 이상이었던 것을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었던 것을 작동 안정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4.0% 미만이었던 것을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공시재의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2에 있어서의 실시예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임과 함께, 최종 어닐링은 배치 어닐링이고,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내지 6은 최종판의 도전율이 50.0% IACS 이상이고,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35.0% 이상이고, (TS95-TS70)의 값이 17㎫ 미만이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6은 방열성 평가 양호(○), 성형성 평가 양호(○), 가공 연화성 평가 양호(○), 작동 안정성 평가 양호(○)였다.
표 2에 있어서의 비교예 1 내지 7, 9, 10은 최종 어닐링은 배치 어닐링이지만, 본 발명의 조성 범위 외이고,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았다.
비교예 1은 Fe 함유량 1.58질량%로 너무 높았기 때문에,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성형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2는 Fe 함유량 0.97질량%로 너무 낮았기 때문에, (TS95-TS70)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3은 Cu 함유량 0.04질량%로 너무 높았기 때문에,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4는 Mn 함유량 0.80질량%로 너무 높았기 때문에,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방열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5는 Mg 함유량이 0.21질량%로 너무 높았기 때문에,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방열성 평가 불량(×), 성형성 평가 불량(×),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6은 V 함유량이 0.04질량%로 너무 높았기 때문에,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7은 V 함유량이 0.11질량%로 너무 높았기 때문에,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방열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8은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이기는 하지만, 최종 어닐링은 연속 어닐링을 모의한 솔트 바스 어닐링이었기 때문에, 최종판의 도전율,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방열성 평가 불량(×),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9는 AA1050 합금 조성이고, Fe 함유량, Mn 함유량이 각각 0.19질량%, 0.02질량%로 너무 낮았기 때문에,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비교예 10은 AA3003 합금 조성이고, Fe 함유량이 0.20질량%로 너무 낮아, Cu 함유량, Mn 함유량이 각각 0.14질량%, 1.29질량%로 너무 높았기 때문에, 최종판의 도전율,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아, 방열성 평가 불량(×),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실제 기재에 의한 실시예>
〔공시재의 작성〕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의 용탕을 용해로에서 용제하고, DC 주조기에서 폭 1200㎜×두께 560㎜×길이 3800㎜의 주괴를 주조했다. 이 주괴의 양면을 면삭하고, 소킹로에 삽입하여 가열하고, 590℃×1시간, 480℃×1시간의 균질화 처리를 연속해서 행하고, 계속해서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7.0㎜의 열간 압연판으로 하여 코일에 권취했다. 그 후, 이 열간 압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판 두께 1.0㎜인 냉연판으로 하여 코일에 권취했다. 이 냉연판으로부터, 적절한 치수의 절단판을 채취했다.
이어서, 이 절단판으로부터 채취한 냉연판에 대하여, 배치 어닐링을 모의하고, 어닐러에 삽입하여 240℃, 340℃, 440℃×각 1시간의 어닐링 처리를 실시하여 최종판(O재)으로 했다. 다른 냉연판에 대해서는, 425℃×10초간, 520℃×5초간의 연속 어닐링을 모의하고, 각각 425℃×15초간, 520℃×10초간 솔트 바스에서 가열한 후에 수랭하여 최종판(O재)으로 했다.
또한, 이들 최종판에 대하여, 일체형 방폭 밸브의 성형을 모의하고, 가공 경화 특성 등을 조사할 목적으로, 0.3㎜, 0.1㎜, 0.05㎜까지 냉간 압연하고, 압하율: 70%, 90%, 95%에 있어서의 냉연재를 채취했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공시재(최종판: 5수준, 냉연재: 5수준×각 3수준)에 대하여, 제특성의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인장 시험에 의한 특성의 측정〕
얻어진 각 최종판의 성형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의 연신율의 값(%)에 따라 행하였다. 또한, 각 최종판의 가공 연화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에 압하율 95%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 TS95(㎫)로부터 최종판(O재)에 압하율 7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 TS70(㎫)을 뺀 값(TS95-TS70)(㎫)에 따라 행하였다. 일체형 방폭 밸브의 작동 안정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에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시험의 연신율의 값(%)에 따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공시재로부터, 인장 방향이 압연 방향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되도록 JIS5호 시험편을 채취하고, JISZ2241에 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여, 인장 강도, 0.2% 내력, 연신율(파단 연신율)을 구했다. 또한, 이들 인장 시험은, 각 공시재에 대하여 3회(n=3) 행하고, 그 평균값으로 산출했다. 각 최종판의 인장 강도, 연신율(파단 연신율)의 측정 결과, 각 최종판에 압하율 7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의 측정 결과, 각 최종판에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파단 연신율)의 측정 결과 및 각 최종판에 압하율(95)%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도전율계에 의한 도전율의 측정〕
얻어진 각 최종판의 열전도성의 평가는, 최종판(O재)의 도전율(IACS%)에 따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각 최종판에 대하여, 도전율계(AUTOSIGMA 2000 닛폰 호킹 가부시키가이샤제)로, 도전율(IACS%)의 측정을 실시했다. 각 최종판의 도전율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의 측정〕
얻어진 최종판을 잘라내어, 판의 압연 표면(L-LT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에 매립하여 경면 연마하고, 붕불화수소산 수용액 중에서 양극 산화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현미경(배율 50배)에 의한 금속 조직의 관찰을 행하였다. 얻어진 각 최종판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의 측정은, 절편법(절단법)에 따라 행하였다. 편광 현미경의 시야의 눈금을 순차 어긋나게 하면서, 시야 중에서 길이 12.1㎜의 가상선을 그은 때에, 가상선이 가로 지르는 결정립계의 수(n)를 측정하고, (1)식에 의해 평균 결정 입경(㎛)을 산출했다.
이 측정을 각 최종판에 대하여 2회 행하고, 그 2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채용했다. 각 최종판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최종판의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었던 것을 방열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최종판의 도전율이 53.0% IACS 미만이었던 것을 방열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40.0% 이상이었던 것을 성형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40.0% 미만이었던 것을 성형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었던 것을 가공 연화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TS95-TS70)의 값이 -1㎫ 이상이었던 것을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이었던 것을 작동 안정성 평가 양호(○)라고 하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이었던 것을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라고 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공시재의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4에 있어서의 실시예 51은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임과 함께, 최종 어닐링은 유지 온도 340℃에서 1시간 유지의 배치 어닐링을 모의한 어닐러 어닐링이고,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51은 최종판의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40.0% 이상이고,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51은 방열성 평가 양호(○), 성형성 평가 양호(○), 가공 연화성 평가 양호(○), 작동 안정성 평가 양호(○)였다. 또한, 실시예 51의 최종판은 재결정 조직을 나타내고 있고,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16.0㎛였다.
공시재의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4에 있어서의 실시예 52는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임과 함께, 최종 어닐링은 유지 온도 440℃에서 1시간 유지의 배치 어닐링을 모의한 어닐러 어닐링이고,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 모두가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52는 최종판의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40.0% 이상이고,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52는 방열성 평가 양호(○), 성형성 평가 양호(○), 가공 연화성 평가 양호(○), 작동 안정성 평가 양호(○)였다. 또한, 실시예 52의 최종판은 재결정 조직을 나타내고 있고,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29.1㎛였다.
공시재의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4에 있어서의 비교예 53은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임과 함께, 최종 어닐링은 유지 온도 240℃에서 1시간 유지의 배치 어닐링을 모의한 어닐러 어닐링이고, 최종판의 도전율,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었지만,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 (TS95-TS70)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았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53은 최종판의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이었지만,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40.0% 미만이고, (TS95-TS70)의 값이 -1㎫ 이상이었다. 따라서, 비교예 53은 방열성 평가 양호(○), 성형성 평가 불량(×),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양호(○)였다. 또한, 비교예 53의 최종판은 미재결정 조직을 나타내고 있고, 재결정립이 존재하지 않아, 그 평균 결정 입경을 측정할 수는 없었다.
공시재의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4에 있어서의 비교예 54는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임과 함께, 최종 어닐링은 유지 온도 425℃에서 10초간 유지의 연속 어닐링을 모의한 솔트 바스 어닐링이고,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었지만, 최종판의 도전율,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았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54는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40.0% 이상이었지만, 최종판의 도전율이 53.0% IACS 미만이고, (TS95-TS70)의 값이 -1㎫ 이상이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이었다. 따라서, 비교예 54는 방열성 평가 불량(×), 성형성 평가 양호(○),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또한, 비교예 54의 최종판은 재결정 조직을 나타내고 있고,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13.6㎛였다.
공시재의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 4에 있어서의 비교예 55는 본 발명의 조성 범위 내임과 함께, 최종 어닐링은 유지 온도 520℃에서 5초간 유지의 연속 어닐링을 모의한 솔트 바스 어닐링이고,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었지만, 최종판의 도전율, (TS95-TS70)의 값,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기준값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았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55는 최종판의 연신율의 값이 40.0% 이상이었지만, 최종판의 도전율이 53.0% IACS 미만이고, (TS95-TS70)의 값이 -1㎫ 이상이고, 최종판에 대하여 압하율 90%의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미만이었다. 따라서, 비교예 55는 방열성 평가 불량(×), 성형성 평가 양호(○), 가공 연화성 평가 불량(×), 작동 안정성 평가 불량(×)이었다. 또한, 비교예 55의 최종판은 재결정 조직을 나타내고 있고,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12.0㎛였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특정한 성분 조성을 갖고, 또한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인 값을 나타내는 것이, 방열성, 성형성, 가공 연화성이 우수하고, 작동압 변동이 적은 일체형 방폭 밸브를 성형 가능한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 Fe: 1.05 내지 1.50질량%, Mn: 0.15 내지 0.70질량%, Ti: 0.002 내지 0.15질량% 및 B: 0.03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Fe/Mn비가 1.8 내지 7.0으로 규제되고, 불순물로서의 Si가 0.40질량% 미만, Cu가 0.03질량% 미만, Mg이 0.05질량% 미만, V이 0.03질량% 미만으로 규제된 성분 조성을 갖고, 도전율이 53.0% IACS 이상이고, 연신율의 값이 40% 이상이고, 재결정 조직을 가짐과 함께, 압하율 7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70이라고 정의하고, 압하율 95%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인장 강도를 TS95라고 정의한 때의 (TS95-TS70)의 값이 -1㎫ 미만이고, 압하율 9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의 연신율의 값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 제1항에 있어서, 재결정 조직의 재결정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 제1항에 기재된 성분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을 반연속 주조법에 의해 주괴에 주조하는 슬래브 주조 공정과,
주괴에 520 내지 620℃의 유지 온도, 1시간 이상의 유지 시간에서 균질화 처리를 실시하는 균질화 처리 공정과,
상기 균질화 처리 공정 후, 개시 온도 420 내지 520℃ 미만으로 설정하고, 주괴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열간 압연판을 얻는 열간 압연 공정과,
상기 열간 압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냉간 압연판을 얻는 냉간 압연 공정과,
상기 냉간 압연판에 배치로에서 최종 어닐링을 실시하는 최종 어닐링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최종 냉연율 50% 내지 95%의 범위인 최종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상기 최종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 유지 온도 300 내지 450℃에서 1시간 이상의 최종 어닐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56532A JP6780679B2 (ja) | 2018-08-23 | 2018-08-23 | 一体型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18-156532 | 2018-08-23 | ||
PCT/JP2018/044791 WO2020039604A1 (ja) | 2018-08-23 | 2018-12-05 | 一体型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3270A true KR20200023270A (ko) | 2020-03-04 |
KR102202480B1 KR102202480B1 (ko) | 2021-01-12 |
Family
ID=6959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2867A KR102202480B1 (ko) | 2018-08-23 | 2018-12-05 |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63622A1 (ko) |
EP (1) | EP3842558A4 (ko) |
JP (1) | JP6780679B2 (ko) |
KR (1) | KR102202480B1 (ko) |
CN (1) | CN111212924A (ko) |
TW (1) | TWI700850B (ko) |
WO (1) | WO202003960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80685B2 (ja) * | 2018-09-21 | 2020-11-04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一体型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
JP6614305B1 (ja) * | 2018-09-21 | 2019-12-04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一体型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200038953A (ko) * | 2018-10-01 | 2020-04-14 | 니폰게이긴조쿠가부시키가이샤 |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 |
CN114055089A (zh) * | 2021-11-23 | 2022-02-18 | 镇江龙源铝业有限公司 | 一种动力电池盖板用铝带的制备方法 |
WO2023188906A1 (ja) * | 2022-03-31 | 2023-10-05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4007B1 (ko) | 1968-09-03 | 1975-02-13 | ||
JPH09199088A (ja) | 1996-01-12 | 1997-07-31 | Seiko Instr Inc | 密閉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2134069A (ja) | 2000-10-23 | 2002-05-10 | Sky Alum Co Ltd | 耐高温フクレ性に優れたケース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4197172A (ja) | 2002-12-19 | 2004-07-15 | Nippon Light Metal Co Ltd | 矩形断面電池容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
JP2007107048A (ja) * | 2005-10-13 | 2007-04-26 | Nippon Light Metal Co Ltd | 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
JP2008261008A (ja) * | 2007-04-12 | 2008-10-30 | Nippon Light Metal Co Ltd | 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2177186A (ja) | 2011-02-02 | 2012-09-13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成形性、溶接性に優れた電池ケース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
WO2013008314A1 (ja) * | 2011-07-12 | 2013-01-17 |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ケース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 |
JP2013104072A (ja) * | 2011-11-11 | 2013-05-30 |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 リチウムイオン電池封口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7502787A (zh) * | 2017-08-15 | 2017-12-22 |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电池盖防爆阀用铝合金带材及其制备方法 |
CN107604212A (zh) * | 2017-09-12 | 2018-01-19 |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 一体化电池盖板用铝合金带材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91337B2 (ja) * | 2000-02-01 | 2006-06-28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高成形性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3469015B (zh) * | 2013-08-12 | 2016-04-06 | 安徽盛达前亮铝业有限公司 | 一种电池盖用铝合金板材的生产工艺 |
JP6780664B2 (ja) * | 2017-12-05 | 2020-11-04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一体型円形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18
- 2018-08-23 JP JP2018156532A patent/JP6780679B2/ja active Active
- 2018-12-05 US US16/619,031 patent/US202103636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12-05 CN CN201880037201.5A patent/CN111212924A/zh active Pending
- 2018-12-05 KR KR1020197032867A patent/KR102202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05 TW TW107143719A patent/TWI700850B/zh active
- 2018-12-05 EP EP18920192.4A patent/EP384255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8-12-05 WO PCT/JP2018/044791 patent/WO2020039604A1/ja unknown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4007B1 (ko) | 1968-09-03 | 1975-02-13 | ||
JPH09199088A (ja) | 1996-01-12 | 1997-07-31 | Seiko Instr Inc | 密閉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2134069A (ja) | 2000-10-23 | 2002-05-10 | Sky Alum Co Ltd | 耐高温フクレ性に優れたケース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4197172A (ja) | 2002-12-19 | 2004-07-15 | Nippon Light Metal Co Ltd | 矩形断面電池容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
JP2007107048A (ja) * | 2005-10-13 | 2007-04-26 | Nippon Light Metal Co Ltd | 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
JP2008261008A (ja) * | 2007-04-12 | 2008-10-30 | Nippon Light Metal Co Ltd | 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2177186A (ja) | 2011-02-02 | 2012-09-13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成形性、溶接性に優れた電池ケース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
WO2013008314A1 (ja) * | 2011-07-12 | 2013-01-17 |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ケース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 |
JP2013104072A (ja) * | 2011-11-11 | 2013-05-30 |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 リチウムイオン電池封口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872256B2 (ja) | 2011-11-11 | 2016-03-01 | 株式会社Uacj | リチウムイオン電池封口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7502787A (zh) * | 2017-08-15 | 2017-12-22 |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电池盖防爆阀用铝合金带材及其制备方法 |
CN107604212A (zh) * | 2017-09-12 | 2018-01-19 |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 一体化电池盖板用铝合金带材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42558A4 (en) | 2022-06-01 |
KR102202480B1 (ko) | 2021-01-12 |
US20210363622A1 (en) | 2021-11-25 |
CN111212924A (zh) | 2020-05-29 |
WO2020039604A1 (ja) | 2020-02-27 |
EP3842558A1 (en) | 2021-06-30 |
TW202010167A (zh) | 2020-03-01 |
JP6780679B2 (ja) | 2020-11-04 |
JP2020029601A (ja) | 2020-02-27 |
TWI700850B (zh) | 2020-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709525B (zh) | 一体型圆形防爆阀成形用的电池盖用铝合金板及其制造方法 | |
KR102202480B1 (ko) |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 | |
CN111094604B (zh) | 一体型防爆阀成形用的电池盖用铝合金板及其制造方法 | |
KR20200035996A (ko) | 일체형 방폭 밸브 성형용의 전지 덮개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 방법 | |
CN111094606B (zh) | 一体型防爆阀成形用的电池盖用铝合金板及其制造方法 | |
CN111094605B (zh) | 一体型防爆阀成形用的电池盖用铝合金板及其制造方法 | |
WO2019111422A1 (ja) | 一体型円形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TWI696706B (zh) | 用於成形一體型防爆閥之電池蓋用鋁合金板及其製造方法 | |
JP6614307B1 (ja) | 一体型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TWI696705B (zh) | 用於成形一體型防爆閥的電池蓋用鋁合金板及其製造方法 | |
JP2020056062A (ja) | 一体型防爆弁成形用の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