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51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511A
KR20200022511A KR1020207004300A KR20207004300A KR20200022511A KR 20200022511 A KR20200022511 A KR 20200022511A KR 1020207004300 A KR1020207004300 A KR 1020207004300A KR 20207004300 A KR20207004300 A KR 20207004300A KR 20200022511 A KR20200022511 A KR 2020002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ing
mating connector
main body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929B1 (ko
Inventor
타이지로 후지와라
히로카즈 호시노
마사오 나가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가, 제1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제1 방향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폴부를 갖는 계지부와, 계지부를 제1 방향 둘레에 둘러싸는 통형상으로, 그 내주면에서의 제1 방향이면서 접속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된 나사홈부를 갖는 유지부를 구비한다. 유지부는, 제1의 상대측 커넥터의 피계지부에 계지된 상태의 계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계지부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와, 나사홈부가 제2의 상대측 커넥터의 나사산부에 감합하는 감합 위치와의 사이를 커넥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소정의 방향에 따라서 상호접속 가능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제1 커넥터는, 내부에 계지부를 갖는 오목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커넥터는, 제1 커넥터의 오목부에 삽입 가능한 통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제1 커넥터의 계지부가 계지 가능한 피계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7695302호
그런데,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이른바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이다. 이와 같은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에는, 통상,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만이 접속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 이외의 커넥터를 접속 유지할 수가 없어서, 편리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다른 접속식의 커넥터에 접속 유지 가능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한 예의 커넥터는,
제1 방향에 따라 접속된 제1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계지 유지 가능한,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접속된 제2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감합 유지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늘어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의 제1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 및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의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와,
상기 계지부를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둘러싸는 통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내주면에서의 상기 제1 방향이면서 상기 제1 단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의 나사산부에 감합 가능한 나사홈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복수의 폴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된 상태의 상기 복수의 폴부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먼 위치로서 상기 계지부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나사홈부가 상기 나사산부에 감합하는 감합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에 의하면, 계지부가, 제1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제1 방향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폴부를 갖고 있다. 또한, 유지부가, 계지부를 제1 방향 둘레에 둘러싸는 통형상으로, 그 내주면에서의 제1 방향이면서 접속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된 나사홈부를 갖고 있다. 복수의 폴부에 의해, 스냅 피트 접속식의 제1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나사홈부에 의해, 나사 접속식의 제2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접속 상태로 감합 유지할 수 있다. 즉, 상대측 커넥터가,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뿐만 아니라, 나사 접속식의 커넥터인 경우라도 접속 상태로 유지 가능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유지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계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커넥터의 유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커넥터 본체의 제2 단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를 접속한 상태의 제1의 단면 모식도.
도 8은 도 1의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를 접속한 상태의 제2의 단면 모식도.
도 9는 도 1의 커넥터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커넥터 본체의 제1 단부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개시의 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특정한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이용하는데,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는 일치하고 있지 않다.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커넥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른바 스냅 피트 접속식의 제1의 상대측 커넥터와, 이른바 나사 접속식의 제2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제1 방향(A)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커넥터(1)는, 제1 방향(A)에 따라 접속된 제1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계지(係止)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방향(A)에 따라 접속된 제2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감합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1)는,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커넥터 본체(10)와, 이 커넥터 본체(10)의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된 계지부(20)와, 이 계지부(20)의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된 유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지부(30)는,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제1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A)에 따라 늘어남과 함께, 제1 방향(A)의 제1 단부(101)에 마련되고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접속부(11)를 갖고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의 제1 방향(A)의 제2 단부(102)에는, 내부에 도체부를 갖는 케이블(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10)는, 한 예로서, 개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암형(雌型)을 구성하고 있다.
접속부(11)의 내부에는, 제1 방향(A)으로부터 상대측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를 삽탈 가능한 복수의 단자 수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부(12)에는, 케이블(2)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소켓 단자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에서는, 한 예로서, 4개의 단자 수용부(12)가 접속부(11)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11)의 외주에는, 오링(1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오링(16)은,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부(11)에 접속된 접속 상태에, 상대측 커넥터와의 사이를 봉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의 제2 단부(102)에는, 가이드부(13)가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3)는, 후술하는 유지부(30)의 가이드 돌기(32)를 수용 가능한 가이드 홈부(14)를 갖고 있다. 가이드 홈부(14)는, 제1 방향(A)을 따라서 커넥터 본체(10)의 제2 단부(102)로부터 제1 단부(101)를 향하여, 제1 방향(A)에 따라 늘어나는 커넥터 본체(10)의 중심선(L) 둘레를 회전하면서 늘어나고, 가이드 돌기(32)를 통하여 유지부(30)의 제1 방향(A)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1)의 가이드부(13)에는, 한 예로서, 커넥터 본체(10)의 중심선(L)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 홈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의 접속부(11)와 가이드부(13)와의 사이에는, 탄성부의 한 예인 코일 스프링(15)이 마련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15)은, 제1 방향(A)으로 신축하고, 제1 방향(A)을 따라서 후술하는 유지 위치(P2)(도 7 참조)를 향하여, 유지부(30)를 가세한다.
계지부(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의 제1 단부(101)의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되고, 접속부(11)에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제1 방향(A)에서 상대측 커넥터의 피(被)계지부에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지부(20)는, 커넥터 본체(10)를 제1 방향(A) 둘레로 둘러싸는 링 형상의 본체부(21)와, 본체부(21)에 마련된 제1 방향(A)으로 늘어나면서 제1 방향(A)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된 복수의 폴부(22)를 갖고 있다. 상기 커넥터(1)에서는, 한 예로서, 제1 방향(A)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폴부(22)가 마련되어 있다.
각 폴부(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의 외면에 따라 만곡한 원호 판상을 가지며, 제1 방향(A)에 교차한 제2 방향(즉, 중심선(L)에 대한 지름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폴부(22)의 선단부(즉, 제1 방향(A)이면서 커넥터 본체(10)의 제1 단부(10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제2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돌기부(23)를 갖고 있다. 이 돌기부(23)는, 접속부(11)에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제1 방향(A)에서의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지부(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20)를 제1 방향(A) 둘레로 둘러싸는 통형상(예를 들면, 개략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이 유지부(3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홈부(31)와, 가이드 돌기(32)와, 복수의 폴 수용부(33)가 마련되어 있다.
나사홈부(3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30)의 내주면에서의 제1 방향(A)이면서 커넥터 본체(10)의 제1 단부(10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는, 한 예로서, 커넥터 본체(10)의 중심선(L) 둘레로 등간격으로 나열하여 배치된 4개의 나사홈부(31)를 갖고 있다. 각 나사홈부(31)는, 제1 방향(A)에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나사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3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A)이면서 커넥터 본체(10)의 제1 단부(101)로부터 먼 쪽의 단부(즉, 제2 단부(102)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기(32)는, 제2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늘어나, 가이드부(13)의 가이드 홈부(14)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폴 수용부(33)는, 유지부(30)의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되고, 감합 위치(P3)(도 8 참조)에서, 유지부(30)를 제2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계지부(20)의 복수의 폴부(22)의 각각을 각각 수용 가능한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커넥터(1)에서는, 한 예로서, 4개의 폴 수용부(33)가, 커넥터 본체(10)의 중심선(L) 둘레로 등간격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나사홈부(31) 및 폴 수용부(33)는, 커넥터 본체(10)의 중심선(L) 둘레를 직렬적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30)는, 제1 방향(A)을 따라서의 3개의 위치, 즉, 유지 해제 위치(P1), 유지 위치(P2) 및 감합 위치(P3)의 사이를 상호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지 해제 위치(P1), 유지 위치(P2) 및 감합 위치(P3)는, 이 순서로 커넥터 본체(10)의 제1 단부(101)에 접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지 해제 위치(P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20)의 각 폴부(22)가 제2 방향(B)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이다. 유지 위치(P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11)에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 제1 방향(A)에서의 피계지부(120)에 계지한 각 폴부(22)의 제2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유지하는 위치이다. 또한, 감합 위치(P3)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11)에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나사홈부(31)에 상대측 커넥터의 나사산부(130)가 감합하는 위치이다.
또한, 유지부(30)는, 코일 스프링(15)에 의해 제1 방향(A)을 따라서 유지 위치(P2)를 향하여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유지 위치(P2)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 유지할 때의 동작에 관하여, 도 6∼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30)를 유지 해제 위치(P1)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0)에 상대측 커넥터(100)의 커넥터 본체(110)를 접속한다.
상대측 커넥터(100)가, 이른바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인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20)의 각 폴부(22)의 돌기부(23)가 피계지부(120)에 계지하도록, 커넥터 본체(10)에 상대측 커넥터(100)의 커넥터 본체(110)를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유지부(30)를 유지 해제 위치(P1)로부터 유지 위치(P2)까지 이동시켜서, 각 폴부(22)의 돌기부(23)의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는, 나사 접속식의 커넥터보다도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용이하게 접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측 커넥터(100)가, 이른바 나사 접속식의 커넥터인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에 상대측 커넥터(100)의 커넥터 본체(110)를 접속한 상태에서, 유지부(30)를 유지 해제 위치(P1)로부터 감합 위치(P3)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유지부(30)는, 가이드부(13)의 가이드 홈부(14)에 따르고(즉, 제1 방향(A)을 따라서 커넥터 본체(10)의 제2 단부(102)로부터 제1 단부(101)를 향하여, 커넥터 본체(10)의 중심선(L) 둘레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유지부(30)의 나사홈부(31)가 상대측 커넥터(100)의 나사산부(130)에 감합하여,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접속 상태로 감합 유지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나사 접속식의 커넥터는,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보다도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에 의하면, 계지부(20)가, 제1 방향(A)으로 늘어나면서 제1 방향(A)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방향(A)에 교차하는 제2 방향(B)이면서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폴부(22)를 갖고 있다. 또한, 유지부(30)가, 계지부(20)를 제1 방향(A) 둘레로 둘러싸는 통형상으로, 그 내주면에서의 제1 방향(A)이면서 접속부(1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된 나사홈부(31)를 갖고 있다. 복수의 폴부(22)에 의해, 스냅 피트 접속식의 제1의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나사홈부(31)에 의해, 나사 접속식의 제2의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접속 상태로 감합 유지할 수 있다. 즉, 상대측 커넥터(100)가,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뿐만 아니라, 나사 접속식의 커넥터인 경우라도 접속 상태로 유지 가능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0)가,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되고, 감합 위치(P3)에, 계지부(20)의 복수의 폴부(22)의 각각을 각각 수용 가능한 복수의 폴 수용부(33)를 갖고 있다. 각 폴 수용부(33)에 의해, 커넥터(1)를 그 지름 방향에서 소형화하면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폴 수용부(33)가, 유지부(30)를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커넥터(1)를 그 지름 방향에서 소형화하면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계지부(20)가, 커넥터 본체(10)를 제1 방향(A) 둘레로 둘러싸는 링 형상의 본체부(21)를 가지며, 본체부(21)에 복수의 폴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폴부(22)가, 제1 방향(A)이면서 제1 단부(10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제2 방향(B)이면서 커넥터 본체(10)를 향하여 늘어나, 접속부(11)에 상대측 커넥터(100)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피계지부(120)에 계지 가능한 돌기부(23)를 가지며, 유지부(30)가, 유지 위치(P2)에서, 돌기부(23)의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에 의해, 계지부(20)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피계지부(120)의 형상 등이 다른 복수의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커넥터(1)를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의 제2 단부(102)에 마련된 가이드부(13)를 또한 구비하고, 유지부(30)가, 제1 방향(A)이면서 제1 단부(101)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제2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 돌기(32)를 가지며, 가이드부(13)가, 가이드 돌기(32)를 수용하여 유지부(30)의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4)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유지부(30)를 제1 방향(A)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부(11)와 가이드부(13)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1 방향(A)에 따라 유지 위치(P2)를 향하여 유지부(30)를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15)을 또한 구비한다. 이 코일 스프링(15)에 의해, 유지부(30)의 위치를 유지 위치(P2)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에서는, 상대측 커넥터(100)가,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뿐만 아니라, 나사 접속식의 커넥터인 경우라도 접속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한하지 않는다. 상기 커넥터(1)는, 적어도,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인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계지 유지 가능하면 좋고, 예를 들면, 유지부(30)의 나사홈부(31)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유지부(30)는, 감합 위치(P3)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고, 각 폴 수용부(33)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1)에 의하면, 복수의 폴부(22)에 의해, 피계지부(120)의 형상 등이 다른 복수의 스냅 피트 접속식의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커넥터(1)를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각 폴 수용부(33)는, 제2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복수의 폴부(22)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면 좋고, 유지부(30)를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30)의 내주면에 마련된 오목부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각 폴 수용부(33)를 오목부로 구성함으로써, 개구부로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계지부(20)는, 제1 방향(A)으로 늘어나면서 제1 방향(A)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방향(A)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면서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폴부(22)를 갖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링 형상의 본체부(21)를 생략하고, 각 폴부(22)를 커넥터 본체(10)에 직접 부착하여도 좋다.
각 폴부(22)는, 접속부(11)에 상대측 커넥터(100)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제1 방향(A)에서 상대측 커넥터(100)의 피계지부(120)에 계지 가능하면 좋다. 예를 들면, 각 폴부(22)의 돌기부(23)는, 커넥터(1)의 설계 등에 응하여,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채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13)는,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유지부(30)의 가이드 돌기(32)도 생략할 수 있다.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15)으로 한하지 않고, 유지부(30)를 제1 방향(A)에 따라 유지 위치(P2)를 향하여 가세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5)은, 생략하여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의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최후로, 본 개시의 여러 가지의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예로서, 참조 부호도 첨부하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커넥터(1)는,
제1 방향(A)에 따라 접속된 제1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계지 유지 가능한, 또는, 상기 제1 방향(A)에 따라 접속된 제2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감합 유지 가능한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A)에 따라 늘어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A)의 제1 단부(101)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 및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11)를 갖는 커넥터 본체(10)와,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상기 제1 단부(101)의 상기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11)에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A)에서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의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20)와,
상기 계지부(20)를 상기 제1 방향(A) 둘레로 둘러싸는 통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내주면에서의 상기 제1 방향(A)이면서 상기 제1 단부(10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접속부(11)에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의 나사산부에 감합 가능한 나사홈부(31)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상기 제1 방향(A)에 따라 이동 가능한 유지부(30)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20)가,
상기 제1 방향(A)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제1 방향(A)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A)에 교차하는 제2 방향(B)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복수의 폴부(22)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30)가,
상기 피계지부(20)에 계지된 상태의 상기 복수의 폴부(22)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P2)와, 상기 제1 방향(A)에서 상기 유지 위치(P2)보다도 상기 제1 단부(101)로부터 먼 위치로서 상기 계지부(20)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P1)와, 상기 제1 방향(A)에서 상기 유지 위치(P2)보다도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상기 제1 단부(101)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나사홈부(31)가 상기 나사산부에 감합하는 감합 위치(P3)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복수의 폴부(22)에 의해, 스냅 피트 접속식의 제1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나사홈부(31)에 의해, 나사 접속식의 제2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접속 상태로 감합 유지할 수 있다. 즉, 상대측 커넥터가, 스냅 피트 접속식의 커넥터뿐만 아니라, 나사 접속식의 커넥터인 경우라도 접속 상태로 유지 가능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커넥터(1)는,
상기 유지부(30)가,
상기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감합 위치(P3)에서, 상기 계지부(20)의 상기 복수의 폴부(22)의 각각을 각각 수용 가능한 복수의 폴 수용부(33)를 갖고 있다.
제2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폴 수용부(33)에 의해, 커넥터(1)를 그 지름 방향에서 소형화하면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커넥터(1)는, 상기 복수의 폴 수용부(33)의 각각이, 상기 제2 방향(B)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폴부(22)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제3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커넥터(1)를 그 지름 방향에서 소형화하면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커넥터(1)는, 상기 계지부(20)가, 상기 커넥터 본체(10)를 상기 제1 방향(A) 둘레로 둘러싸는 링 형상의 본체부(21)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21)에 상기 복수의 폴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제4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커넥터(1)는,
상기 복수의 폴부(22)의 각각이, 상기 제1 방향(A)이면서 상기 제1 단부(10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방향(B)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10)를 향하여 늘어나, 상기 접속부(11)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돌기부(23)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30)가, 상기 유지 위치(P2)에, 상기 돌기부(23)의 상기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에 의해, 상기 계지부(20)를 유지한다.
제5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피계지부(120)의 형상 등이 다른 복수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커넥터(1)를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의 커넥터(1)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제2 단부(102)에 마련된 가이드부(13)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30)가, 상기 제1 방향(A)이면서 상기 제1 단부(101)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방향(B)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 돌기(32)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13)가, 상기 가이드 돌기(32)를 수용하여 상기 유지부(30)의 상기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4)를 갖고 있다.
제6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유지부(30)를 제1 방향(A)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7 양태의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11)와 상기 가이드부(13)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A)에 따라 상기 유지 위치(P2)를 향하여, 상기 유지부(30)를 가세하는 탄성부(15)를 또한 구비한다.
제7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탄성부(15)에 의해, 유지부(30)의 위치를 유지 위치(P2)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8 양태의 커넥터(1)는,
제1 방향(A)에 따라 접속된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계지 유지 가능한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A)에 따라 늘어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A)의 제1 단부(101)에 마련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11)를 갖는 커넥터 본체(10)와,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상기 제1 단부(101)의 상기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11)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A)에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20)와,
상기 계지부(20)의 상기 제1 방향(A)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계지부(20)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P2)와, 상기 제1 방향(A)에서 상기 유지 위치(P2)보다도 상기 제1 단부(101)로부터 먼 위치로서 상기 계지부(20)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P1)와의 사이를 상기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상기 제1 방향(A)에 따라 이동 가능한 유지부(30)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20)가,
상기 제1 방향(A)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제1 방향(A)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A)에 교차하는 제2 방향(B)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폴부(22)를 갖고 있다.
제8 양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복수의 폴부(22)에 의해, 피계지부(120)의 형상 등이 다른 복수의 상대측 커넥터(100)에 대해 커넥터(1)를 접속 상태로 계지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 중의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를 적절히 조합시킴에 의해, 각각이 갖는 효과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사이의 조합 또는 실시례 사이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례와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례의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 공작기계에 적용할 수 있다.
1 : 커넥터
2 : 케이블
10 : 커넥터 본체
101 : 제1 단부
102 : 제2 단부
11 : 접속부
12 : 단자 수용부
13 : 가이드부
14 : 가이드 홈부
15 : 코일 스프링
16 : 오링
20 : 계지부
21 : 본체부
22 : 폴부
23 : 돌기부
30 : 유지부
31 : 나사홈부
32 : 가이드 돌기
33 : 폴 수용부
A : 제1 방향
B : 제2 방향
P1 : 유지 해제 위치
P2 : 유지 위치
P3 : 감합 위치
L : 중심선

Claims (8)

  1. 제1 방향에 따라 접속된 제1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계지 유지 가능한,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접속된 제2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감합 유지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늘어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의 제1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 및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의 상대측 커넥터의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와,
    상기 계지부를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둘러싸는 통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내주면에서의 상기 제1 방향이면서 상기 제1 단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2의 상대측 커넥터의 나사산부에 감합 가능한 나사홈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복수의 폴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가,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된 상태의 상기 복수의 폴부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먼 위치로서 상기 계지부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나사홈부가 상기 나사산부에 감합하는 감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감합 위치에, 상기 계지부의 상기 복수의 폴부의 각각을 각각 수용 가능한 복수의 폴 수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 수용부의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폴부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둘러싸는 링 형상의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복수의 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부의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이면서 상기 제1 단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방향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를 향하여 늘어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가, 상기 유지 위치에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에 의해, 상기 계지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2 단부에 마련된 가이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1 방향이면서 상기 제1 단부에서 먼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방향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 돌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유지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상기 유지 위치를 향하여, 상기 유지부를 가세하는 탄성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 방향에 따라 접속된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계지 유지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늘어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의 제1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와,
    상기 계지부의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계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먼 위치로서 상기 계지부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위치의 사이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제1 방향 둘레에 상호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폴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07004300A 2018-03-14 2019-03-06 커넥터 KR10232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7285A JP6930467B2 (ja) 2018-03-14 2018-03-14 コネクタ
JPJP-P-2018-047285 2018-03-14
PCT/JP2019/008732 WO2019176663A1 (ja) 2018-03-14 2019-03-0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511A true KR20200022511A (ko) 2020-03-03
KR102322929B1 KR102322929B1 (ko) 2021-11-08

Family

ID=6790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300A KR102322929B1 (ko) 2018-03-14 2019-03-06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11871B2 (ko)
JP (1) JP6930467B2 (ko)
KR (1) KR102322929B1 (ko)
CN (1) CN111066208B (ko)
DE (1) DE112019001325T5 (ko)
TW (1) TWI699048B (ko)
WO (1) WO2019176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8757S1 (en) * 2018-03-27 2022-07-26 Jiusheng Zou Push pull connector with diagonal pattern
USD937412S1 (en) * 2020-02-21 2021-11-30 Ambu A/S Portable medical monitor connector
DE102021129873B3 (de) 2021-11-16 2023-02-02 Ifm Electronic Gmbh Steckverbinder
CN117613603B (zh) * 2024-01-22 2024-04-26 四川省川河盛鑫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导线连接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5417A1 (en) * 2005-11-04 2007-05-10 Winchester Electron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nnector
US7695302B2 (en) 2003-03-31 2010-04-13 Woodhead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CN101976786A (zh) * 2010-10-11 2011-02-16 镇江华浩通信器材有限公司 推拨式自锁型射频同轴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177U (ja) * 1981-08-17 1983-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7009947B4 (de) * 2007-03-01 2016-11-24 Techpointe S.A. Steckerelement
CN102593620B (zh) * 2012-03-26 2014-11-19 安德鲁公司 快速自锁螺纹耦合接口连接器机构
US8915751B2 (en) * 2012-05-29 2014-12-2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Male coaxial connectors having ground plane extensions
EP2960695B1 (en) * 2014-06-24 2020-08-12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Connector for a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CN108604757A (zh) 2016-02-25 2018-09-28 莫列斯有限公司 电连接器
US10651574B2 (en) * 2018-03-15 2020-05-12 Ppc Broadband, Inc. Coaxial cable connectors having port grounding
CN206379497U (zh) * 2017-01-22 2017-08-04 深圳中航宇飞科技有限公司 双定位连接器
CN109256645B (zh) * 2017-07-12 2021-09-2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快速锁定同轴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5302B2 (en) 2003-03-31 2010-04-13 Woodhead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20070105417A1 (en) * 2005-11-04 2007-05-10 Winchester Electron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nnector
CN101976786A (zh) * 2010-10-11 2011-02-16 镇江华浩通信器材有限公司 推拨式自锁型射频同轴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9001325T5 (de) 2021-01-14
KR102322929B1 (ko) 2021-11-08
US20200227861A1 (en) 2020-07-16
WO2019176663A1 (ja) 2019-09-19
TW201939824A (zh) 2019-10-01
JP2019160652A (ja) 2019-09-19
CN111066208B (zh) 2021-05-07
TWI699048B (zh) 2020-07-11
JP6930467B2 (ja) 2021-09-01
CN111066208A (zh) 2020-04-24
US11011871B2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2511A (ko) 커넥터
US9178301B2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ire seal
EP2930795B1 (en) Sealed connector with an extended seal sleeve and an anti-water pooling retainer
US9819112B2 (en) Retaining block and modular plug insert
KR101639499B1 (ko)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US11600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11089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ing mechanism
JP6050196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WO2015019842A1 (ja) コネクタ
KR20130127529A (ko)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WO2015020196A1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JP2018152215A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CN114731015A (zh) 用于插接连接的安装壳体
JP5749877B1 (ja) コネクタ
JP6182432B2 (ja) 電線ホルダ
US20200321728A1 (en) Plug connector
US11063386B2 (en) Connector with contact removably attached to an insulator
JP2011065854A (ja) コネクタ端子
RU2742334C1 (ru) Ответ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мультилока
JP2014235872A (ja) コネクタ装置
JP2017130371A (ja) コネクタ
CN112805895A (zh) 安装构件
KR20130133013A (ko) 장착 레일에 고정된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KR20240015972A (ko) 터미널유지구 및 이를 가진 커넥터
GB2539712A (en) Improve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