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102A -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 Google Patents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102A
KR20200022102A KR1020180097811A KR20180097811A KR20200022102A KR 20200022102 A KR20200022102 A KR 20200022102A KR 1020180097811 A KR1020180097811 A KR 1020180097811A KR 20180097811 A KR20180097811 A KR 20180097811A KR 20200022102 A KR20200022102 A KR 20200022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uxiliary roller
driving
fishing lin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972B1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102018009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9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는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대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1구동축, 소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2구동축, 제1구동축과 제2구동축을 연결하는 제1벨트,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롤러 구동 바디;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제1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3구동축, 제2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4구동축, 제3구동축과 제4구동축을 연결하는 제2벨트,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 및 제2구동부를 메인 바디에 대하여 회동 또는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 회동축을 포함하는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Line hauler with reduced line slipping}
본 발명은 낚시줄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업 중 낚시줄 인양 시 낚시줄의 슬립 현상을 개선한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를 제안한다.
수산물은 양식이 아닌 갯벌이나 바다속의 어류를 얻기 위해 직접 채취 이외에 어종에 따라 투망, 주낙, 통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업이 이루어진다. 낚시줄을 투승하고 양승하는 방식으로 조업하는 주낙 어업에서 양승기의 품질은 조업 성과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낚시줄의 인양 시 조업물의 무게가 회전 롤러에 가하는 장력으로 인하여 낚시줄이 원활하게 양승되지 못하고 회전 롤러에서 미끄러져 낚시줄에 잡힌 물고기를 포획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이와 같은 낚시 양승기의 낚시줄이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20-0279407의 낚시 양승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축(2)에 대인양롤러(3)와 소인양롤러(4) 및 보조인양롤러(5)를 축설하여 이에 기어와 체인을 각각 연결시켜 연동 회전되게 한 것에 있어서, 대인양롤러(3)와 보조인양롤러(5)의 사이에 개재된 제1보조롤러(8)와 이의 상방에 대인양롤러(3)와 외접하는 제2보조롤러(9)와 상기 소인양롤러(4)를 지지하는 각각의 축(2)은 일측이 기체(1)와 힌지 고정되고 타측은 외주에 나사산(10)이 형성되며, 기체(1)에 고정된 스프링(11)과 연결되는 나사봉(12)과 너트(13)로 연결 고정되고, 기체(1)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각각의 작동간(14)의 중앙부위와 연결부재(15)로서 연결하여 스프링(10)의 당김힘을 받는 작동간(14)의 회전 모우멘트에 의해 각각의 축(2)으로 연결된 제1,2보조롤러(8, 9)와 소인양롤러(4)가 대인양롤러(3) 및 보조인양롤러(5)를 향해 상시 미는 힘이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11)의 당김힘을 받는 작동간(14)의 회전 모우멘트에 의해 제1,2보조롤러(8, 9)와 소인양롤러(4)는 대인양롤러(3) 및 보조인양롤러(5)를 향해 상시 미는힘이 작용되어, 대인양롤러(3)와 제1보조롤러의 사이를 거쳐 소인양롤러(4)와 보조인양롤러(5)의 사이로 통과되는 낚시줄은 상기 롤러(3, 4, 5, 8, 9)들에 의해 전후로 면압을 받으면서 인양되며, 낚시줄의 슬립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기존의 낚시 양승기는 낚시줄의 슬립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작동간과 연결부재 등이 다수 포함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낚시줄의 슬립을 완전히 방지하기에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다단의 회전 롤러 중 대인양롤러에만 구동력이 전달되고, 소인양롤러와 보조인양롤러는 대인양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하며 제1,2보조롤러는 대인양롤러의 회전에만 의존하는 피동 회전체에 불과하여, 대인양롤러를 제외한 나머지 롤러는 피동축에 의해 고정된 채로 대인양롤러의 회전 동작에만 의존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낚시줄의 양승에 필요한 힘을 적극적으로 인가하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낚시줄 양승 시 낚시줄에 매달린 어류의 무게로 인하여 낚시줄에 가해지는 엄청난 장력이 회전 롤러 표면을 따라 양승되는 낚시줄의 슬립을 야기하고 그 결과 낚시줄에 포획된 어류를 놓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회전 롤러 외주면의 탄성고무가 마모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조업 시 바다 속의 대형 물체가 낚시줄에 인양되는 경우 낚시줄 양승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고 장치의 고장을 야기하여 조업을 방행하게 된다. 따라서, 낚시줄에 걸려 오는 원치 않는 바다속 대형 물체를 양승기에서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양승기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하나의 구동 모터로부터 제1인양롤러에 구동력을 직접 가하고, 제1인양롤러의 회전을 통해 제2인양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기존에는 체인을 사용하여 구동력이 제1인양롤러로부터 제2인양롤러로 전달되었다. 체인은 구동력의 전달 측면에서 정확한 회전을 전달하는 장점이 있지만, 체인 동작을 위해 스프라켓이 요구되고, 체인과 스프라켓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윤활유가 필요하다. 해상에서 낚시 양승 작업을 진행할 때 양승기 부품에 가해지는 윤활유는 바다 속 환경과 어류의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결과적으로 조업 성과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다 환경 보존과 조업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낚시줄 양승기에 사용하는 윤활유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체인이 아닌 다른 구동력 전달 수단이 구비된 새로운 낚시줄 양승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 양승기에 포함되는 각 회전 롤러의 회전력을 상승시켜 낚시줄의 양승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줄 양승 시 각 회전 롤러의 접촉력을 향상시켜 낚시줄의 슬립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시줄 양승기로부터 바다속으로 침투되는 윤활유를 없앰으로써 바다 환경을 보존하고 조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시줄 양승 과정에서 원치않는 대형 물체가 인양되는 경우, 양승기로부터 쉽게 해당 물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양승기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는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대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1구동축, 소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2구동축, 제1구동축과 제2구동축을 연결하는 제1벨트,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롤러 구동 바디;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제1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3구동축, 제2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4구동축, 제3구동축과 제4구동축을 연결하는 제2벨트,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 및 제2구동부를 메인 바디에 대하여 회동 또는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 회동축을 포함하는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대인양롤러가 제1보조롤러와 외접하며 제1보조롤러는 소인양롤러와 외접하고 소인양롤러는 제2보조롤러와 외접하여 배치되며, 양승되는 낚시줄이 대인양롤러와 제1보조롤러 사이의 접촉면과, 제1보조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의 접촉면과, 제2보조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의 접촉면을 통해 양승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사다리꼴 단면의 슬라이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판과, 사다리꼴 단면의 슬라이딩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중심 회동축은 슬라이딩바디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상단에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된 제1스프링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된 제2스프링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양승기는 낚시줄 양승 시 낚시줄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보조롤러 구동 바디및 제2구동부가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는 중심 회동축에 대하여 회동하여 제1보조롤러가 대인양롤러에 압박을 가하거나 제2보조롤러가 소인양롤러에 압박을 가하여 낚시줄의 슬립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승기의 롤러 및 구동부를 단순한 구조로 변경하면서도 롤러들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향상시켜 낚시줄 양승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무게가 큰 어업물이나 과다한 조업물이 한꺼번에 양승되는 경우에도 낚시줄의 슬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낚시 조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원치않는 대형 물체가 인양되어 양승 작업을 방해하는 경우에,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슬라이딩 동작으로 보조롤러를 주인양롤러들로부터 이격시켜 대형 물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양승기는 롤러 구동 시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바다 환경 보존에 일조할 수 있고, 친환경 낚시 조업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낚시 양승기 구조를 보인 정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의 측면도
도 6a 및 6b는 도 3의 A-A선 단면 및 B-B선 단면도
도 7은 양승기 내부의 구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슬라이딩부의 각 구성요소를 보인 평면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낚시 양승기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10a 및 10b는 낚시 양승기의 보조롤러 회동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11a 및 11b는 낚시 양승기의 보조롤러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보인 모식도
본 발명은 보조롤러의 회동 및 슬라이딩을 통한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회전 롤러가 4개 구비된 4단 양승기를 기본으로 하지만, 3단 양승기나 5단 양승기 등 복수의 회전 롤러가 구비된 각종 다단 양승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양승기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기존의 낚시줄 양승기에서 사용되는 피동 롤러를 없애고, 주인양롤러와 보조롤러를 포함하는 4개의 롤러에 각각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4륜 구동 기능으로 각 롤러의 구동력이 향상된다. 낚시줄 양승 시 낚시줄에 매달린 어류의 무게로 인하여 낚시줄에 가해지는 엄청난 장력이 회전 롤러 표면을 따라 양승되는 낚시줄의 슬립이 야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각 롤러에 직접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낚시줄을 당기는 장력이 향상되어 롤러에 대한 낚시줄의 슬립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구동 모터로부터 제1인양롤러에 구동력을 직접 가하고, 제1인양롤러의 회전을 통해 제2인양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기존에는 체인을 사용하여 구동력이 제1인양롤러로부터 제2인양롤러로 전달되었다. 체인은 두 기어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 수단인데 기본적으로 일정 정도의 유격이 있어야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체인의 유격은 체인으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두 롤러의 회전 동작의 차이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회동 차이가 낚시줄 양승 과정에서 낚시줄의 슬립을 야기하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이격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체인 대신, 탄성력이 있는 벨트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롤러 회전 시 낚시줄의 슬립 현상을 최소화환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보조롤러 구동부가 장착된 보조롤러 구동 바디를 별도로 포함하며, 보조롤러가 낚시줄 양승 과정에서 압력을 받게 되면 보조롤러 구동 바디가 중심 회동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한 쌍의 주 인양롤러 중 어느 하나에 보조롤러 중 어느 하나를 압박하여 낚시줄의 슬립(또는 낚시줄의 갑작스런 풀림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낚시줄 양승 과정에서 낚시줄에 매달려 인양되는 원치않는 대형 물체를 양승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보조롤러 구동 바디를 슬라이딩판의 가이드 범위 내에서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시키고 보조롤러를 주 인양롤러에 대해 이격시킴으로써 쉽게 대형 물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양승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100)의 사시도로서, 양승기는 기본적으로 판상의 메인 바디(110)와 4개의 회전 롤러를 포함한다. 회전 롤러는 한 쌍의 주 인양롤러로서 대인양롤러(121)와 소인양롤러(122)를 포함하며, 또한 한 쌍의 보조 인양롤러로서 제1보조롤러(123)와 제2보조롤러(124)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의 후방에는, 어선의 특정 위치에 낚시줄 양승기를 고정할 수 있는 절곡형 파이프 형상의 거치대(11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롤러들로부터 이격된 메인 바디의 일측에는 한 쌍의 분리봉을 포함하는 낚시줄 거치대(114)가 장착되어 양승 과정에서 롤러로 유입되는 낚시줄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 바디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가 배치되어 있고, 메인 바디 전면의 다른 위치에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대인양롤러는 제1보조롤러와 외접하며, 제1보조롤러는 소인양롤러와 외접하고, 소인양롤러는 제2보조롤러와 외접하여 배치된다.
낚시줄 거치대를 통해 양승되는 낚시줄은 대인양롤러와 제1보조롤러 사이의 접촉면(제1접촉면)을 지나고, 다시 제1보조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의 접촉면(제2접촉면)을 거치며, 마지막으로 제2보조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의 접촉면(제3접촉면)을 통해 양승된다. 따라서, 각 롤러들간의 접촉면에서의 접촉력 및 상호 접촉하는 두 롤러들의 회전력이 낚시줄의 양승에서 매우 중요하게 된다. 각 회전 롤러는 예를 들어 회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회전체와 낚시줄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체 외주면에 장착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의 후방에는 보조롤러 구동 바디(130)가 배치되며, 이 구동 바디는 보조롤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면서 메인 바디에 대해 회동 또는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보조롤러의 간격이나 접촉력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의 측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에 있어서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동작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슬라이딩부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부는 메인 바디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를 메인 바디에 대하여 회동 또는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부는 상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판(141)과 슬라이딩바디(142)를 포함하며, 슬라이딩판은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슬라이딩바디는 보조롤러 구동 바디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슬라이딩바디와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연결에는 회동축(133)이 매개한다.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중심 회동축(133)은 슬라이딩부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바디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딩부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a 및 6b는 도 3의 A-A선 단면 및 B-B선 단면도이다. 메인 바디의 후방에는 주인양롤러인 대인양롤러와 소인양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도 6b 참조)가 배치되고, 다른 위치의 메인 바디의 후방에는 제1보조롤러와 제2보조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도 6a 참조)가 배치된다. 제2구동부는 전술한 보조롤러 구동 바디에 장착되며, 제1구동부는 메인 바디 후면에 마련되는 별도의 바디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대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1구동축(121a), 소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2구동축(122a), 제1구동축과 제2구동축을 연결하는 제1벨트(B1),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M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보조롤러 구동 바디에 장착되며, 제1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3구동축(123a), 제2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4구동축(124a), 제3구동축과 제4구동축을 연결하는 제2벨트(B2),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M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터가 소인양롤러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제2모터는 제1보조롤러의 구동축에 연결되었으나, 각 모터는 이와 다르게 연결할 수도 있다.
보조인양롤러 바디에는 제3구동축과 제4구동축을 각각 내장하는 제1연장관(131과 제2연장관(132)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연장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3구동축과 제4구동축은 베어링(125)을 매개로 연장관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상단에는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된 제1스프링(S1)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된 제2스프링(S2)이 연결되어 있다.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을 통해 보조롤러 구동 바디가 메인 바디에 대해 회동 시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의 회전 동작이 탄력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낚시줄에 가해지는 장력이 해제되면 제1보조롤러와 제2보조롤러의 위치를 원상 회복할 수 있다.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은 보조롤러 구동 바디 표면 뿐만 아니라, 제1연장관 및 제2연장관 표면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별도의 손잡이가 장착되어 후술하는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슬라이딩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양승기 내부의 구동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1모터(M1)가 소인양롤러의 제2구동축에 연결되고, 제1벨트(B1)를 통해 제1모터의 회전력이 대인양롤러의 제1구동축(121a)에 전달되며, 제2모터(M2)는 제1보조롤러의 제3구동축(123a)에 연결되고, 제2벨트(B2)를 통해 제2모터의 회전력이 제4구동축(124a)에 전달된다. 작업 용도 및 조업 상황, 양승기가 설치되는 어선의 구조 등에 따라 제1모터와 제2모터는 각각 대인양롤러와 제2보조롤러의 구동축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동력 전달에 관여하는 각각의 벨트는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여 슬립 현상 없이 정확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구동축의 회전 및 벨트와의 연동을 위해 톱니형 기어(121b, 124b)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슬라이딩부(141, 142) 및 중심 회동축(133)은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두 구동축(123a, 124a) 사이에 배치된다.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는, 각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 롤러들의 접촉에 의해서만 간접적으로 관여할 뿐,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동작한다.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는 회전 동작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메인 바디에 대해서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다. 반면, 제1보조롤러와 제2보조롤러는 기본적인 회전 동작 이외에도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동작에 연동되어 후술하는 회동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인 바디에 대해서 제1보조롤러와 제2보조롤러의 각 구동축이 일정 정도 이격되거나 회동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에서 제1보조롤러와 제2보조롤러의 구동축이 통과하는 위치에 각 구동축의 직경 보다 큰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내지 8c는 슬라이딩부의 각 구성요소를 보인 평면 및 단면도이다.
슬라이딩바디(142)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의 구조물로서, 사다리꼴 단면의 슬라이딩 돌기(142a)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돌출부 중앙에 만입홈(1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만입홈에 전술한 중심 회동축이 슬라이딩바디에 연결되어 회동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판(141)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의 구조물로서, 사다리꼴 단면의 슬라이딩홈(141)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 일측에는 결합공(141b)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딩판과 슬라이딩바디는 강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딩바디가 슬라이딩판 내부에서 가이드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슬라이딩바디 폭이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홈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슬라이딩바디의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채로 결합된 모습이 도 8c에 도시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홈 내부에는 슬라이딩돌기의 일측으로 결합부재(141c)가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공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결합부재를 슬라이딩돌기에 밀착시킴으로써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홈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때 마찰력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주낙 조업에서 낚시줄을 효과적으로 양승하는데 사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낚시 양승기의 기본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낚시줄 거치대를 통해 양승되는 낚시줄(L)은 대인양롤러(121)와 제1보조롤러(123) 사이의 접촉면을 지나고, 제1보조롤러(123)와 소인양롤러(122) 사이의 접촉면을 거치며, 제2보조롤러(124)와 소인양롤러(122) 사이의 접촉면을 통해 양승된다. 이 과정에서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에 의해 각 롤러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세 개의 접촉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며, 낚시줄은 각 접촉면에서의 마찰력 및 롤러들의 회전력에 의해 원활하게 양승될 수 있다.
제1보조롤러는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와 접촉하고 제2보조롤러는 소인양롤러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제로 제1보조롤러와 대인양롤러 또는 소인양롤러 사이의 간격이나 제2보조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기는 쉽지 않으나, 롤러간의 접촉력이 약해지는 것만으로도 양승 과정에서 낚시줄의 슬립이 발생되기 쉽다. 특히, 무게가 상당한 대형 어류나 한번에 여러마리의 어류가 인양될 때 양승되던 낚시줄이 갑자기 슬립되는 일명, 튕김 현상이 발생하여 낚시줄이 양승 방향과 반대로 풀어져 조업을 망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줄에 가해지는 장력으로 인하여 제1보조롤러 또는 제2보조롤러 중 어느 하나가 낚시줄의 당김힘에 의하여 대인양롤러 또는 소인양롤러 중의 어느 하나와 접촉력이 약해지더라도 나머지 보조롤러가 대인양롤러 또는 소인양롤러와의 접촉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되어 낚시줄이 롤러들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낚시 양승기의 보조롤러 회동 동작을 보인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낚시줄의 순간적인 튕김 현상으로 양승 방향과 반대로 낚시줄(L)이 이동하는 경우, 낚시줄이 강하게 양승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보조롤러(123) 또는 제2보조롤러(124)에 척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업되는 어업물에 의해 낚시줄이 양승 방향 반대로 장력이 인가될 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인양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1보조롤러에 낚시줄의 장력으로 인해 힘(F)이 가해지며, 이로 인하여 제1보조롤러는 대인양롤러 또는 소인양롤러로부터 접촉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낚시줄이 제1보조롤러를 대인양롤러와의 접촉 상태로부터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보조롤러는 반대로 소인양롤러에 더욱 접촉하는 힘을 받게 된다. 보조롤러 구동 바디에 구동축이 각각 장착되어 회전하는 두 보조롤러(123, 124)는 하나의 롤러에 대해 힘이 작용하여 회동하게 되면(C1) 중심 회동축(133)을 중심으로 나머지 롤러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이다(C2). 그 결과 보조롤러 구동 바디는 중앙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2보조롤러가 소인양롤러에 접촉한 채로 압박을 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양승 시 낚시줄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보조롤러 구동 바디 및 제2구동부가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는 중심 회동축에 대하여 회동하여 제1보조롤러가 대인양롤러에 압박을 가하거나 제2보조롤러가 소인양롤러에 압박을 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낚시줄의 슬립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회전 롤러들의 강한 접촉 상태를 해제하여 원치 않는 조업물이 인양되어 양승기가 고장나거나 조업이 방해되는 상황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낚시 양승기의 보조롤러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보인 모식도로서, 낚시줄에 인양되는 대형 물체로 인하여 양승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보조롤러 구동 바디를 슬라이딩부에 대하여 (수동으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제1보조롤러와 제2보조롤러를 각각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로부터 이격시키고(도 11a), 이 상태에서 낚시줄 및 대형 물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1b은 최초 제1보조롤러(123)와 제2보조롤러(124)가 각각 대인양롤러(121)와 소인양롤러(122)에 강하게 밀착되어 접촉된 위치에서, 슬라이드판을 따라 보조롤러 구동 바디를 가이드하면서 직선 이동시켜 이격된 위치로 제1보조롤러(123')와 제2보조롤러(124')를 이동시킨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보조 인양롤러 바디와 중심 회동축이 슬라이딩판의 가이드 범위 내에서 메인 바디에 대하여 이격되는 정도에 따라 제1보조롤러와 제2보조롤러가 주인양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각 보조롤러를 이격시키는 정도는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드판과 슬라이딩바디의 사이즈 및 메인 바디에서 보조롤러의 구동축이 통과하는 위치의 통과공의 직경 내지 면적과 관련되며, 예를 들어 각 보조롤러의 최초 위치로부터 2 ~ 10cm 범위로 이격되도록 해당 부품의 사이즈와 직경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줄 양승기는 기존 양승기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회전 롤러의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보조롤러의 회동 및 슬라이딩을 통해 주낙 조업 중에 발생되는 낚시줄의 슬립 현상이나 대형 물체가 인양되는 상황을 쉽게 해결할 수 있고, 특히 양승기 구동에 요구되는 윤활유 사용을 최소화시켜 바다 환경 보존에도 일조할 수 있어 어업인의 조업 효율을 개선하는 한편 국내 어업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낚시줄 양승기 110:메인 바디
112:거치대 114:낚시줄 거치대
120:대인양롤러 121a:제1구동축
122:소인양롤러 122a:제2구동축
123:제1보조롤러 123a:제3구동축
123:제2보조롤러 124a:제4구동축
121b,124b:기어 125:베어링
130:보조롤러 구동 바디 131:제1연장관
132:제2연장관 133:중심 회동축
141:슬라이딩판 141a:슬라이딩홈
141b:결합공 141c:결합부재
142:슬라이딩바디 142a:슬라이딩돌기
B1:제1벨트 B2:제2벨트
M1:제1구동모터 M2:제구동모터
S1:제1스프링 S2:제2스프링

Claims (5)

  1.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는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대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1구동축, 소인양롤러에 연결되는 제2구동축, 제1구동축과 제2구동축을 연결하는 제1벨트, 대인양롤러 및 소인양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
    상기 메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롤러 구동 바디,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제1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3구동축, 제2보조롤러에 연결되는 제4구동축, 제3구동축과 제4구동축을 연결하는 제2벨트, 제1보조롤러 및 제2보조롤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 및 제2구동부를 메인 바디에 대하여 회동 또는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심 회동축을 포함하는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인양롤러는 제1보조롤러와 외접하며 제1보조롤러는 소인양롤러와 외접하고 소인양롤러는 제2보조롤러와 외접하여 배치되며, 양승되는 낚시줄이 대인양롤러와 제1보조롤러 사이의 접촉면과, 제1보조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의 접촉면과, 제2보조롤러와 소인양롤러 사이의 접촉면을 통해 양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사다리꼴 단면의 슬라이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판과, 사다리꼴 단면의 슬라이딩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 회동축은 슬라이딩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4. 제1항에 있어서,
    낚시줄 양승 시 낚시줄에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보조롤러 구동 바디및 제2구동부가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는 중심 회동축에 대하여 회동하여 제1보조롤러가 대인양롤러에 압박을 가하거나 제2보조롤러가 소인양롤러에 압박을 가하여 낚시줄의 슬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 구동 바디의 상단에는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된 제1스프링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된 제2스프링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KR1020180097811A 2018-08-22 2018-08-22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KR10213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11A KR102138972B1 (ko) 2018-08-22 2018-08-22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11A KR102138972B1 (ko) 2018-08-22 2018-08-22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02A true KR20200022102A (ko) 2020-03-03
KR102138972B1 KR102138972B1 (ko) 2020-07-28

Family

ID=6993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11A KR102138972B1 (ko) 2018-08-22 2018-08-22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7200A (zh) * 2020-04-09 2020-08-07 黄石恒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辊芯卷胶装置
KR102373822B1 (ko) * 2021-06-11 2022-03-11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어선용 전복방지기능이 구비된 양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10B1 (ko) * 2021-07-09 2023-02-24 조호현 양식줄 리프팅 장치
KR20230074877A (ko) 2021-11-22 2023-05-31 황진용 하이브리드 양승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139U (ko) * 1997-12-22 1998-03-30 정장욱 낚시줄인양기
KR200279407Y1 (ko) * 2002-03-06 2002-06-24 김상철 낚시줄 인양기
KR200420908Y1 (ko) * 2006-02-13 2006-07-06 김춘자 슬립 방지장치를 구비한 양승기
KR100996820B1 (ko) * 2010-08-03 2010-11-25 임태계 양승기
KR101089837B1 (ko) * 2011-05-23 2011-12-05 서경옥 주낙 연승기
KR101772959B1 (ko) * 2016-06-15 2017-08-31 유금범 로프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139U (ko) * 1997-12-22 1998-03-30 정장욱 낚시줄인양기
KR200279407Y1 (ko) * 2002-03-06 2002-06-24 김상철 낚시줄 인양기
KR200420908Y1 (ko) * 2006-02-13 2006-07-06 김춘자 슬립 방지장치를 구비한 양승기
KR100996820B1 (ko) * 2010-08-03 2010-11-25 임태계 양승기
KR101089837B1 (ko) * 2011-05-23 2011-12-05 서경옥 주낙 연승기
KR101772959B1 (ko) * 2016-06-15 2017-08-31 유금범 로프인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7200A (zh) * 2020-04-09 2020-08-07 黄石恒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辊芯卷胶装置
CN111497200B (zh) * 2020-04-09 2022-05-17 黄石恒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辊芯卷胶装置
KR102373822B1 (ko) * 2021-06-11 2022-03-11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어선용 전복방지기능이 구비된 양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972B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2102A (ko) 슬립 방지 낚시줄 양승기
EP1640310A2 (en) Differential pulley
US8342484B2 (en) Anchor windlass for boats
KR20190056028A (ko) 형망어구용 양망장치 트래버스캠구조
KR101089837B1 (ko) 주낙 연승기
CN110185015A (zh) 一种景区泉水内漂浮垃圾快速清理装置
KR20210081277A (ko) 로프 자동견인장치
US7410451B2 (en) Exercise machine attachment
CN201872929U (zh) 水下打捞用缆绳释放器
CN217627106U (zh) 一种具有防滑防磨损功能的吊装链条
KR101213767B1 (ko) 조업용 양승기
WO1990008094A1 (en) Improvements in oyster and shrimp winches
CN214651335U (zh) 一种井下刮板输送器用的倒紧器
KR0137725Y1 (ko)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KR200429728Y1 (ko) 어망 권양기
CN219469471U (zh) 一种深井潜水电泵提升装置
CN209089745U (zh) 无泄力渔线轮
CN213505727U (zh) 一种新型手拉葫芦
KR101213297B1 (ko) 반자동 오징어 조상기
CN217177331U (zh) 一种高耐磨起重机锻造滑轮
CN217564150U (zh) 一种山药收获辅助器
CN221064089U (zh) 一种梅花扳手自动冲孔传送装置
CN102659047A (zh) 绞车离合装置
CN220222868U (zh) 一种铝卷材放卷装置
CN209435837U (zh) 一种打捆机的深沟捡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