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971A - 자체 조정 연결기 - Google Patents

자체 조정 연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971A
KR20200021971A KR1020200020264A KR20200020264A KR20200021971A KR 20200021971 A KR20200021971 A KR 20200021971A KR 1020200020264 A KR1020200020264 A KR 1020200020264A KR 20200020264 A KR20200020264 A KR 20200020264A KR 20200021971 A KR20200021971 A KR 2020002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elf
load receiving
flange por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476B1 (ko
Inventor
알렉스 엘러
패트릭 그무엔트
베른트 엠 니켈
Original Assignee
티아이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센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센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아이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센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2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1Swirl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5Flexibly connected rigi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연료 탱크의 벽에 부착시키기 위한 자체 조정 연결기는 장착 부분, 플랜지 부분 및 하중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착 부분은 부착 부위에서 연료 탱크의 벽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 부분은 연료 탱크 부속 요소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이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대이동으로 인해, 예를 들면, 연료 탱크 벽의 온도 변화 또는 다른 변화로 인해서 연료 탱크 벽에 의해 가해진 하중이 상기 연료 탱크 부속 요소에 대한 과도한 응력 또는 연료 탱크 벽에 대한 과도한 반작용력을 작용하지 않고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체 조정 연결기{SELF-ADJUSTING CONNECTOR}
본 발명은 대체로 액체 용기 및 이 액체 용기에 여러가지 부속 요소들을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용기가 다양한 산업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산업은 연료를 저장하는 차량 장착식 연료 탱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연료는 차량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엔진 또는 다른 연료-소비 장치에 의해 소비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관찰하고 이 연료를 엔진(또는 다른 장치)로 보내는 것을 돕기 위해서, 연료 탱크가 다양한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연료 탱크 부속 요소들은 연료 탱크의 벽에 부착되거나, 연료 탱크의 벽에 의해서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용기 및 이 액체 용기에 여러가지 부속 요소들을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자체 조정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연료 탱크의 벽에 부착시키는 자체 조정 연결기가 장착 부분, 플랜지 부분 및 하중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착 부분은 부착 부위에서 연료 탱크의 벽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 부분은 연료 탱크 부속 요소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이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대이동으로 인해, 예를 들면, 연료 탱크 벽의 온도 변화 또는 다른 변화로 인해서 연료 탱크 벽에 의해 가해진 하중이 상기 연료 탱크 부속 요소에 대한 과도한 응력 또는 상기 연료 탱크 벽에 대한 과도한 반작용력을 작용하지 않고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액체 용기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벽,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부속 요소, 그리고 상기 부속 요소를 상기 벽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의 각각은, 부착 부위에서 상기 벽에 부착된 장착 부분, 상기 부속 요소에 부착된 플랜지 부분, 그리고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의 사이에 위치된 하중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각각의 자체 조정 연결기의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이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기 자체 조정 연결기의 장착 부분들 사이의 제한된 상대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부속 요소가 복수의 위치에서 용기 벽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용기 벽의 이동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최적의 유형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개시된다.
도 1은 액체 용기 및 자체 조정 연결기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에 부착된 부속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가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연료 탱크 벽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자체 조정 연결기의 한 가지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체 조정 연결기들 중의 하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체 조정 연결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부착 부위에서 연료 탱크 벽에 부착된 발부분을 가진 상태의 도 3에 도시된 자체 조정 연결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작 도중에 치수가 줄어들 수 있는 연료 탱크 벽과, 연료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에 의해 상기 연료 탱크 벽에 부착된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연료 탱크의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7은 연료 탱크 벽과, 연료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에 의해 상기 연료 탱크 벽에 부착된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연료 탱크의 개략도이고, 상기 연료 탱크 벽, 상기 자체 조정 연결기 및 상기 연료 탱크 부속 요소 중의 하나 이상은 연료로 적셔질 때에는 팽창할 수 있고 더 이상 연료로 적셔지지 않을 때에는 수축할 수 있다.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참고하면, 도 1은 액체 용기(10) 및 이 액체 용기(10)에 의해 지지된 부속 요소(12)의 개략도이다. 상기 액체 용기(10)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로 될 수 있거나(이 경우에는 상기 부속 요소가 연료 탱크 부속 요소임), 몇 가지 다른 특정 유형의 액체 용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용기(10)가 연료 탱크이면,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액체 용기는 대체로 연료를 담는 내부 공간(16)을 형성하는 연료 탱크 벽(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연료 탱크(1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는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갯수는 많다. 이러한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몇 가지만 언급하면, 연료 탱크 부속 요소는, 예를 들어, 연료를 연료 탱크(10)로부터 외부로 공급하기 위해 연료 탱크(10) 내부에 배치된 연료 펌프 모듈, 연료 출렁거림(slosh)을 조절하기 위해 연료 탱크(10) 내부에 배치된 배플, 연료 도관 또는 증기 도관, 통풍 밸브, 그리고 증기 캐니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은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은 임의의 바람직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의 한 예는 연료 탱크 벽(14)을 통하여 침투하는 연료 증기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플라스틱 구조이다. 이 플라스틱 구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레이어, 예를 들면, 에틸렌 비닐 알콜(EVOH)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연료 증기 장벽 레이어, 그리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레이어와 연료 장벽 레이어를 결합시키는 결합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탱크 벽 구조의 하나는,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US2003/0198768에서 볼 수 있다. 당업자가 잘 알고 있는 것과 같이 다른 구조의 연료 탱크 벽(14)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탱크 벽(14)은 통상적으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약 2mm 내지 약 7mm의 범위에 걸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은 블로 몰딩(blow-molding)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탱크 성형 방식에 의해 최종 형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는 자체 조정 연결기(18)에 의해서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될 수 있다. 자체 조정 연결기(18)는 연료 탱크(10)의 제조 및/또는 연료 탱크(10)의 사용 도중에 발현될 수 있으며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를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해진 하중을 자체적으로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가해진 하중은, 강성 연결기가 보다 큰 장애 내성(difficulty tolerating)을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연료 탱크 벽(14), 강성 연결기, 그리고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 중의 하나 이상을 과도하게 피로하게 하거나, 파손하거나, 또는 몇 가지 유형의 응력 관련 고장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유형으로 될 수 있다. 대체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체 조정 연결기(18)가 장착 부분(20), 플랜지 부분(22), 그리고 상기 장착 부분(20)과 플랜지 부분(22)의 사이에 위치된 하중 수용 부분(24)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분(20)은 부착 부위(26)에서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발(이하에서는, "발부분" 이라고 칭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임의의 알려진 유형의 부착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부분(20)이 연료 탱크 벽(14)에 용접될 수 있는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발부분(20)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용접 조인트를 지지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원하는 용접 방식에 의해 연료 탱크 벽(14)에 용접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부분(20)은, 연료 탱크 벽의 일부분이 상기 발부분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거나 둘러싸도록 상기 발부분의 둘레에 연료 탱크 벽(14)이 형성될 수 있는, 플랜지 또는 다른 부속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발부분(20)은 연료 탱크 벽(14)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연료 탱크 벽(14)에 고정된 부착 장치에 있는 대응하는 구조와 상호작용(예를 들면, 상기 대응하는 구조에 수용되거나, 상기 대응하는 구조와 압입 끼워맞춤되거나, 상기 대응하는 구조와 억지 끼워맞춤되거나, 상기 대응하는 구조와 나사결합되는 것, 등)할 수 있다.
플랜지 부분(22)은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부분(20)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알려진 유형의 부착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가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랜지 부분(22)이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일체형 연장부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플랜지 부분(22)을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하우징 또는 몸체의 연장부로 만들고, 이들 구조가 동일 편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플랜지 부분(22)에 의해서 자체 조정 연결기(18)가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 부분(22)이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발부분(20)에 대해서 위에서 언급한 임의의 알려진 부착 기구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자체 조정 연결기(18)를 연료 탱크 벽(14) 및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와는 별개의 구조로 만들 수 있다.
하중 수용 부분(24)은 발부분(20) 및 플랜지 부분(22)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하중 수용 부분(24)은 발부분(20)과 플랜지 부분(22)이 - 결과적으로, 발부분(20)과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가 - 가해진 하중에 대응하여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부분(20)과 플랜지 부분(22) 사이의 상대이동은 임의의 방향으로 약 20% 까지 - 종종 약 2% 내지 약 5% - 이동될 수 있으며, 원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고(다시 말해서, 영구적이지 않고), 이 경우 퍼센티지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정적 상태와 만곡된 또는 변위된 상태 사이의 위치의 퍼센트 변화로서 표시되어 있다. 적어도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벽(14)에 40N 미만의 힘이 작용하는 동안 발부분(20)과 플랜지 부분(22)이 그들 사이의 상대이동을 30mm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가역적인 상대이동은, 약 5N 내지 약 50N의 하중이, 몇 가지 예에서는 약 10N 내지 20N의 하중이 하중 수용 부분(24)에 작용할 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중 수용 부분(24)의 몇 가지 실시형태는 발부분(20)과 플랜지 부분(22)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귀환-만곡부(return-bend)를 가지는 판 스프링 - 도 2 내지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 나선형 압축 스프링, 그리고 유연한 탄성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탄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제 도 2를 참고하면,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가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18)에 의해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각각이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브래킷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일체로 뻗어 있고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브래킷 또는 하우징의 일부분으로 될 수 있지만, 이들이 반드시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로 될 필요는 없다.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가 연료 탱크(10) 내의 제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18)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가해진 하중에 대해 자체적으로 반응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능력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임의의 다양한 상황하에서 연료 탱크 벽(14) 및/또는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에서 발현될 수 있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하중 유발 상황의 몇 가지는, 예를 들면, 연료 탱크 벽(14) 및/또는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팽창 및/또는 수축, 연료 탱크 벽(14)과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를 만드는 재료의 차이, 다양한 부착 부위(26)에서의 연료 탱크 벽(14)의 외형의 차이,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플랜지 부분(22)이 부속 요소(12)에 연결되는 구역 또는 그 근처에서의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형상 및/또는 구성의 차이, 그리고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유형의 요인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하나 이상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부분(20)이 도시된 대체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통형 벽과 같이 둥글게 될 수 있거나, 또는 몇 가지 다른 형상으로 될 수 있는 몸체(28)를 포함하고 있다. 발부분(20)은 또한 몸체(28)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으며 연료 탱크 벽(14) 내에 형성된 상보적인 그루브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플랜지(30)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그루브는 연료 탱크(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연료 탱크 벽(14)이 부드러워질 때 연료 탱크 벽(14)의 일부분을 플랜지(30) 둘레로 접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루브가 연료 탱크 벽(14)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루브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플랜지(30)는 가열되어 연료 탱크 벽(14)에 용접되거나 그루브가 제공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몇 가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28)는 개구(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개구(34)는 발부분(20)을 연료 탱크 벽(14)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연료 탱크 벽(14)의 돌출부와 같은 미리 배치된 장착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발부분(14)을 연료 탱크 벽(14)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상기 개구(34)가 - 몸체(28)를 가열한 후에 연료 탱크 벽(14)에 대해 가압하여 부드러워진 연료 탱크 벽(14)의 일부분을 개구(34)를 통과하도록 한 결과로서- 연료 탱크 벽(14)의 부드러워진 부분을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다른 단부에는, 플랜지 부분(22)가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로부터 뻗어 나온 태브(tab)(36)를 포함하고 있다. 이 태브(36)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평면으로 될 수 있거나, 몇 가지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중 수용 부분(24)이 상기 몸체(28) 및 태브(36)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판 스프링(38)을 포함하고 있다. 이 판 스프링(38)은 발부분(20)으로부터 변화하는 제1 만곡부(40), 제1 만곡부(40)로부터 변화하고 각도 A로 몸체(28)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다리부(42), 상기 태브(36)로부터 변화하는 제2 만곡부(44), 그리고 제2 만곡부(44)로부터 변화하고 각도 B로 태브(36)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다리부(4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 스프링(38)은 또한 판 스프링(38)이 정지 상태에 있으며 하중에 의한 작용을 받지않을 때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를 각도 C로 연결시키는 귀환-만곡부(48)를 포함하고 있다. 물론, 판 스프링(38)이 가해진 하중에 의해 작용을 받을 때에는, 이 각도(각도 C)가 보다 좁은 각도로 감소하거나 보다 넓은 각도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각도 A, 각도 B, 각도 C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중이 걸릴 때, 발부분과 플랜지 부분 사이의 원하는 양의 상대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각각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귀환-만곡부(return-bend)" 라는 용어는,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를 연결시키며 또한 자체 조정 연결기(18)에 하중이 작용할 때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가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한 연결부를 제공하는 만곡부를 지칭한다. 귀환-만곡부(48)에 의해 제공되는 상대이동의 유형은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가 서로 접근하는 변위(각도 C가 감소한다),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가 서로 멀어지는 변위(각도 C가 증가한다),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의 비틀림(각도 C가 대체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는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의 비틀림과 제1 다리부(42)와 제2 다리부(46)의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의 변위의 몇 가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다양한 경우는 자체 조정 연결기(18)에 대해 열적으로 - 또는 기계적으로 - 유발된 연료 탱크 벽(14) 및/또는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팽창 또는 수축을 포함하여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팽창과 수축은 연료 탱크 벽(14)과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져 있을 때 보다 두드러지게 될 수 있다.
작동시에는,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를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18)가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플랜지 부분(22)은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에 부착되어 있고 - 바람직하게는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적어도 일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 발부분(20)은 부착 부위(26)에서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되어 있다.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를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시키는 일은 부착상태를 만드는 것이 편리할 때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는 심지어 연료 탱크(10)를 제작하는 동안 연료 탱크 벽(14)이 자신의 최종 형상을 얻기 위하여 여전히 냉각되어야 하고 부가적인 치수 수축이 되어야 할 때에도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료 탱크(10)는 블로 몰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블로 몰딩 공정에서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기 위해서 공동 압출될 수 있는)플라스틱 재료의 용융 파리손(parison)이 하나 이상의 주형 부재(mold section)에 의해 형성된 주형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다. 주형 공동은 연료 탱크(10)의 원하는 외측 형상을 형성하도록 외형이 이루어져 있다. 공기와 같은, 유체가 압력하에서 용융 파리손의 내부로 들어가서 이 용융 파리손을 주형 공동과 맞닿도록 팽창시킨다. 그 다음에, 팽창된 파리손이 - 비록 약간 더 크지만, 이제 연료 탱크 벽(14)으로 간주되는 것이- 냉각되기 전에 파리손의 내부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절단되거나, 찢어지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여전히 어느 정도 뜨거운 상태에 있는, 연료 탱크 벽(14)의 내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주형 부재들이 개방된 상태에서,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가 종국적으로 연료 탱크(10)의 내부 공간(16)으로 될 부분으로 삽입되어 연료 탱크 벽(14)에 부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주형 부재들은 연료 탱크 벽(14)을 다시 결합시키기 위해서 폐쇄될 수 있고, 연료가 수용될 수 있는 최종의 작동가능한 연료 탱크(10)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더 냉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료 탱크 벽(14)은 냉각될 때 모든 방향으로 3%까지, 종종 그 이상으로, 치수 수축이 될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의 이러한 수축은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하나 이상에 대해 하중을 가하고 이동을 유발시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방식으로, 연료 펌프 모듈(50)이 팽창된 파리손 벽(52)(도 6과 관련하여 사용된 팽창된 파리손 벽(52)이라는 용어는, 뜨거운 상태이며, 최종 형상으로 치수 수축이 이루어지기 전의 연료 탱크 벽(14)을 나타낸다)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각각의 초기 부착 부위(52a)에서 한 개의 연결기(18)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복수의 초기 부착 부위(52a)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부착 부위(52a)는 팽창된 파리손 벽(52)의 차후의 수축을 감안하도록 선택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팽창된 파리손 벽(52)의 냉각 및 이와 관련된 수축시에, 연료 펌프 모듈(50)은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반면에, 복수의 초기 부착 부위(52a)는 복수의 최종 부착 부위(26a)쪽으로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부착 부위(26)와 관련된 자체 조정 연결기(18)는 자체 조정 연결기의 발부분(20)이 수축하는 연료 탱크 벽(14)과 함께 연료 펌프 모듈(50)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동은 하중 수용 부분(24)의 만곡, 비틀림 또는 몇 가지 다른 상대이동에 의해서 제공된다. 연료 탱크 벽(14)이 냉각되는 동안 수축할 때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반작용이, 연료 탱크 벽(14) 및/또는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다시 말해서, 도 6의 연료 펌프 모듈(50))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서 상기 자체 조정 연결기(18)에 작용될 수 있는 임의의 하중- 다양한 크기의 여러가지 하중마저도 - 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 벽(14)의 치수 수축이, 자체 조정 연결기의 하중 수용 부분(22)의 상대이동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자체 조정성(self-adjustability)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복수의 강성 연결기보다 더 크게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자체 조정 연결기(18)는 연료 탱크(10)가 차량에 사용될 때 발현되는 하중을 수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을 참고하면, 연료 탱크(10) 내에서 연료 레벨이 변동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연결기(18) 뿐만 아니라, 연료 탱크 벽(14)과 연료 펌프 모듈(50)의 다양한 부분은 연료로 적셔지고, 건조되고, 다시 연료로 적셔지고, 다시 건조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 자체 조정 연결기(18) 및 연료 펌프 모듈(50)이 연료로 적셔지고 건조되는 것으로 인해 상기 구조들이, 아마도 상이한 정도로, 팽창하고 수축하게 될 수 있고, 약 1% 또는 그 이상의 크기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 뿐만 아니라, 연료 펌프 모듈(50)과 상기 자체 조정 연결기(18)의 크기의 이러한 주기적인 변화는 부착 부위(26)들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연료 펌프 모듈(50)의 위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몇 가지 예에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부분(20)의 팽창의 결과로 부착 부위(26)가 커져서(이점 쇄선 원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료 펌프 모듈(50)에 대하여 가까워지게 이동(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및/또는 서로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자체 조정 연결기(18)에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 자체 조정 연결기(18) 및 연료 펌프 모듈(50)의 팽창과 수축은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 연료 탱크 벽(14), 그리고 자체 조정 연결기(18) 사이의 온도 차이와, 예를 들어, 저온의 연료가 고온의 연료 탱크(10)로 공급되고, 반대로 고온의 연료가 저온의 연료 탱크(10)로 공급되는 경우에, 연료 탱크(10) 내에 저장된 연료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연료 탱크 벽(14), 자체 조정 연결기(18), 그리고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팽창과 수축은 연료 탱크(10)를 둘러싸는 주위 온도(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약 -30℃ 내지 약 130℃의 범위의 온도)의 차이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다.
자체 조정 연결기(18)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료 탱크 벽(14)과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의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서 발현되는 임의의 하중을 자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해진 하중에 노출될 때 하중 수용 부분(24)은 발부분(20)이 연료 탱크 벽(14)과 함께 플랜지 부분(22)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자체 조정 연결기(18)는, 연료 탱크 벽(14) 및/또는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에 대해 과도하게 응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넓은 범위의 작동 조건에서 반복하여 주기적으로-가해진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응력 완화는 부착 부위(26) 둘레의 연료 탱크 벽(14) 및/또는 플랜지 부분(22) 또는 그 근처의 연료 탱크 부속 요소(12)에서의 편재된 피로, 균열, 또는 다른 유형의 구조적인 결함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적어도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두 개의 자체 조정 연결기의 발부분이 약 30mm까지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은 발부분들이 가까워지거나, 더욱 멀어지거나, 비스듬히 움직이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위치되도록 임의의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여러 형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지만, 많은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등가 형태 또는 변형 형태를 언급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또는 기술영역을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8)

  1. 연료 탱크 부속 요소를 연료 탱크의 벽에 부착시키는 자체 조정 연결기로서,
    부착 부위에서 연료 탱크의 벽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장착 부분;
    연료 탱크 부속 요소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플랜지 부분; 그리고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이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중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분은, 용접에 의해 상기 연료 탱크 벽에 부착된 발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탄력적이며 발부분과 플랜지 부분 사이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탄성적으로 만곡되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발부분으로부터 변화하는 제1 만곡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변화하고 제1 각도로 상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다리부, 상기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변화하는 제2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로부터 변화하고 상기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제2 각도로 변화하는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가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귀환-만곡부(return-bend)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연료 탱크 벽에 40N 미만의 힘이 가해지는 동안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의 영구적인 변형 없이 각 연결기의 상기 발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이 언로드 상태 및 구부러진 또는 변위된 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5%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의 상기 장착 부분의 이격된 발 사이의 제한된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분은 상기 연료 탱크 벽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연료 탱크 벽에 부착된 발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료 탱크 벽의 일부분은 상기 발부분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분은 압입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또는 나사식 연결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연료 탱크 벽에 부착된 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은 상기 연료 탱크 부속 요소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은 상기 연료 탱크 벽 및 상기 연료 탱크 부속 요소와는 별개의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플랜지 부분 및 상기 장착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 사이의 상대이동은 5N 내지 40N의 하중이 상기 하중 수용 부분에 가해질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조정 연결기.
  8. 액체 용기로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벽;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부속 요소; 그리고
    상기 부속 요소를 상기 벽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의 각각은, 부착 부위에서 상기 벽에 부착된 장착 부분, 상기 부속 요소에 부착된 플랜지 부분, 그리고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의 사이에 위치된 하중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각각의 자체 조정 연결기의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이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기 자체 조정 연결기의 장착 부분들 사이의 제한된 상대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장착 부분은, 용접에 의해 상기 연료 탱크 벽에 부착된 발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탄력적이며 발부분과 플랜지 부분 사이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탄성적으로 만곡되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장착 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발부분으로부터 변화하는 제1 만곡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변화하고 제1 각도로 상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다리부, 상기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변화하는 제2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로부터 변화하고 상기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제2 각도로 변화하는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가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귀환-만곡부(return-bend)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은, 상기 연료 탱크 벽에 40N 미만의 힘이 가해지는 동안 상기 하중 수용 부분의 영구적인 변형 없이 각 연결기의 상기 발부분과 상기 플랜지 부분이 언로드 상태 및 구부러진 또는 변위된 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5%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자체 조정 연결기의 상기 장착 부분의 이격된 발 사이의 제한된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KR1020200020264A 2012-10-29 2020-02-19 자체 조정 연결기 KR102203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19749P 2012-10-29 2012-10-29
US61/719,749 2012-10-29
US14/060,652 2013-10-23
US14/060,652 US8973778B2 (en) 2012-10-29 2013-10-23 Self-adjusting conne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494A Division KR20140056036A (ko) 2012-10-29 2013-10-28 자체 조정 연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971A true KR20200021971A (ko) 2020-03-02
KR102203476B1 KR102203476B1 (ko) 2021-01-18

Family

ID=4951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64A KR102203476B1 (ko) 2012-10-29 2020-02-19 자체 조정 연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73778B2 (ko)
EP (2) EP3489064B1 (ko)
JP (1) JP6419420B2 (ko)
KR (1) KR102203476B1 (ko)
CN (1) CN103786565B (ko)
BR (1) BR102013027895B1 (ko)
RU (1) RU263597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0281B2 (ja) 2014-10-17 2017-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
DE102014222145A1 (de) 2014-10-30 2016-05-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behält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07835A1 (de) 2014-10-30 2016-05-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behälter für ein Kraftfahrzeug
JP6112102B2 (ja) * 2014-12-12 2017-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及び燃料タンク製造方法
JP6390412B2 (ja) * 2014-12-18 2018-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タンク蓋ユニット及び燃料供給装置
DE102015005754A1 (de) * 2015-05-05 2016-11-10 Audi Ag Magnetventi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2017019470A (ja) * 2015-07-15 2017-01-26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合成樹脂製タンク
JP6350440B2 (ja) 2015-08-06 2018-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樹脂タンクの内蔵部品固定構造
DE102015221377A1 (de) 2015-11-02 2017-05-04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Kunststoffbehälter mit topfartigem Einbaukörper
EP3978289B1 (de) * 2020-10-02 2023-07-12 Magna Energy Storage Systems GesmbH Kraftfahrzeugtank
DE102020134005A1 (de) 2020-12-17 2022-06-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anordnung einer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 Tankeinbaueinheit in einem Tank für ein Kraftfahrzeug, Anordnung, Verfahren sowie Tankeinrichtung
LU500624B1 (fr) * 2021-09-06 2023-03-06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Armature pour réservoir de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3731A1 (fr) * 2001-12-21 2003-07-0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Reservoir a carbu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9526665A (ja) * 2006-02-13 2009-07-23 イナジー・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リサーチ・(ソシエテ・アノニム) 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に付属品を固定する方法
WO2009135893A1 (en) * 2008-05-09 2009-11-12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Fire resistant, high flow poly(aryl ether sulfone) composition
JP2010533079A (ja) * 2007-07-11 2010-10-21 イナジー・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リサーチ・(ソシエテ・アノニム) 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に付属品を固定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0809A (en) * 1957-02-14 1958-11-18 Skyline Products Inc Tank baffle
US5931353A (en) 1997-04-28 1999-08-03 Solvay (Societe Anonyme) Plastic hollow body with internal fastening arrangement
US6135306A (en) * 1999-02-08 2000-10-24 Salflex Polymers Inc. Fuel tank anti-deflection device
US6138859A (en) * 1999-06-08 2000-10-31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tank assembly
FR2806959B1 (fr) * 2000-04-03 2003-02-14 Plastic Omnium Cie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servoir en matiere thermoplastique soufflee incorporant un insert
US20030198768A1 (en) 2001-02-13 2003-10-23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Fuel tan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FR2873321B1 (fr) * 2004-07-23 2008-05-09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pour la fixation d'un accessoire dans un reservoir a carburant en matiere plastique
US7922949B2 (en) 2006-07-07 2011-04-12 Kautex Textron Gmbh & Co. Kg Procedure for producing hollow bodies of thermoplastic material
DE102006059799A1 (de) 2006-12-15 2008-06-19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Funktionseinbauten zur Be- und Entlüftung, zur Kraftstoffentnahme oder dergleichen
FR2916188B1 (fr) * 2007-05-16 2011-05-0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Reservoir a uree et embase avec element chauffant integre.
ATE507056T1 (de) 2007-10-02 2011-05-15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stofftanks aus kunststoff
US8191568B2 (en) * 2008-03-14 2012-06-05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for motor vehicle
FR2929891B1 (fr) * 2008-04-10 2010-09-0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Methode pour la fixation d'un composant dans un reservoir a carburant
FR2934806A1 (fr) * 2008-08-07 2010-02-12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pour fixer un accessoire dans un corps creux en matiere plastique.
JP2010070097A (ja) * 2008-09-19 2010-04-02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支持体
JP5040875B2 (ja) * 2008-09-25 2012-10-0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支持体
JP5097221B2 (ja) * 2010-01-19 2012-12-12 八千代工業株式会社 樹脂製燃料タンクの部品固定構造
ES2656521T3 (es) * 2010-05-06 2018-02-27 YAPP USA Automotive Systems, Inc. Tanque de combustible de vehícul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3731A1 (fr) * 2001-12-21 2003-07-0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Reservoir a carbu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9526665A (ja) * 2006-02-13 2009-07-23 イナジー・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リサーチ・(ソシエテ・アノニム) 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に付属品を固定する方法
JP2010533079A (ja) * 2007-07-11 2010-10-21 イナジー・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リサーチ・(ソシエテ・アノニム) 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に付属品を固定する方法
WO2009135893A1 (en) * 2008-05-09 2009-11-12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Fire resistant, high flow poly(aryl ether sulfon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3027895A2 (pt) 2015-09-08
RU2013147957A (ru) 2015-05-10
RU2635978C2 (ru) 2017-11-17
US20140117023A1 (en) 2014-05-01
CN103786565A (zh) 2014-05-14
EP2730445A1 (en) 2014-05-14
JP2014088172A (ja) 2014-05-15
JP6419420B2 (ja) 2018-11-07
KR102203476B1 (ko) 2021-01-18
US8973778B2 (en) 2015-03-10
CN103786565B (zh) 2018-05-18
BR102013027895B1 (pt) 2022-05-10
EP3489064B1 (en) 2022-12-14
EP3489064A1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971A (ko) 자체 조정 연결기
CN100419323C (zh) 用于燃料箱的连接管
US8490807B2 (en) Fuel container for motor vehicles with a tie rod
US8919599B2 (en) Fuel tank
US10596742B2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filler tube
JP5107266B2 (ja) 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に付属品を固定する方法
US20130284732A1 (en) Vehicle tank and/or fill pipe for such a tank
US10641217B2 (en) Deformation inhibiting device for fuel tank, and fuel tank device incorporating the deformation inhibiting device
US20070228722A1 (en) Device for Attaching a Componet to a Hollow Body and Fuel System for Motor Vehicles Using the Device
JP2004505812A (ja) プラスチックに物体を溶接するためのアダプタ
KR20100071061A (ko)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제조방법
KR20180110119A (ko) 볼 조인트 및 이것을 사용한 스태빌라이저 링크
JP2010070097A (ja) 燃料タンクの支持体
KR20040066183A (ko) 차량용 연료탱크
US20160167507A1 (en) Fuel tan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0202036B2 (en) Fuel tank and fuel tank mounting structure
KR20140056036A (ko) 자체 조정 연결기
US8317059B2 (en) Adjustable fuel tank for a vehicle
JP2021139351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18203083A (ja) 燃料タンク内の内蔵支柱の締結構造
JP2015112945A (ja) 燃料タンク
JP6819513B2 (ja) 燃料系配管
JP6082582B2 (ja) タンクローリ
JP2007177846A (ja) 空気ば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