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741A -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741A
KR20200021741A KR1020180097480A KR20180097480A KR20200021741A KR 20200021741 A KR20200021741 A KR 20200021741A KR 1020180097480 A KR1020180097480 A KR 1020180097480A KR 20180097480 A KR20180097480 A KR 20180097480A KR 20200021741 A KR20200021741 A KR 2020002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amido
pyrimidin
propanoic acid
yloxy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621B1 (ko
Inventor
전희숙
신동윤
최호중
이창용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6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2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
    • C07D239/34One oxygen atom
    • C07D239/36One oxygen atom as doubly bound oxygen atom or as unsubstituted hydroxy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페닐피리미딘 유도체는 cAMP 또는 글루카곤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여 GCGR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in vitro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도 확인하였으며, 세포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 검증된 바, GCGR 활성 관련 질환인 대사성 질환 특히, 당뇨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enylpyrimidin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Glucagon Receptor activity related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글루카곤 (Glucagon)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알파 세포에서 분비하는 내분비 호르몬으로, 간에서 글리코겐분해 (glycogenolysis)와 글루코스신생합성 (gluconeogenesis)을 증가시켜 간에서 글루코스 (포도당, Glucose)생성을 촉진시켜 혈액내의 혈당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글루카곤은 7막관통 G-단백질 연결 수용체 상과 (seven-transmembrane G-protein coupled receptor superfamily) 중 하나인 글루카곤 수용체 (GCGR, Glucagon Receptor)를 통해 표적 조직에 작용한다. GCGR에 결합하는 글루 카곤은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adenylyl cyclase)를 활성화시키고 세포내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 포스페이트 (cAMP,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를 증가시켜 생물학적 효과를 유발한다. GCGR 중화 항체 (GCGR neutralizing antibodies),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로오티드 (anti-sense oligonucleotides) 및/또는 펩타이드 및 소분자 GCGR 길항제에 의한 GCGR의 저해는 다양한 당뇨병 모델에서 간내 글루코스 생산을 감소시키고 내당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형 당뇨병에서 고글루카곤혈증 (hyperglucagonemia)은 고혈당 (hyperglycemia)과 관련이 있으며, 상승된 글루카곤 수준은 간 글루코스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혈당증의 상태 (hyperglycemic condition)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글루카곤 수준의 감소 또는 글루카곤 작용의 저해는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논리적 치료전략일 수있다.
현재까지 Bayer 사의 BAY 27-9955, Merck사의 MK-0893/MK-3577, Pfizer 사의 PF-06291874, Eli Lily사의 LY-2409021 등이 개발되었으나, 임상실험에서 여러 부작용 때문에 개발이 중단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18203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페닐피리미딘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닐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닐피리미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닐피리미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콕시, 비치환된 C6-10아릴 또는 비치환된 C6-10아릴옥시이고;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콕시이고;
l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 (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 (단계 2)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l, m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4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5알킬이고;
X1은 할로겐이고; 및
L1
Figure pat00003
또는
Figure pat00004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AMP 또는 글루카곤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여 GCGR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in vitro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도 확인하였으며, 세포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 검증된 바, GCGR 활성 관련 질환인 대사성 질환 특히, 당뇨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화합물의 세포 생존률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GA: 비교예 2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에 따른 세포내 글루카곤 유도 cAMP 생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GA: 비교예 2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에 따른 세포내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생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GA: 비교예 2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 농도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 cAMP 생성 저해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생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도 6은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처리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7f: 실시예 6, (S)-7f: 실시예 16, (R)-7f: 실시예 15
도 7은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7f: 실시예 6, (S)-7f: 실시예 16, (R)-7f: 실시예 15
도 8은 화합물 처리에 따른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LY-2409021: 비교예 1
도 9는 화합물 처리에 따른 혈중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LY-2409021: 비교예 1
도 10은 실시예 화합물의 GCGR 신호전달 억제 효과를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SD-366: 실시예 17, SD-367: 실시예 18, SD-368: 실시예 19, SD-369: 실시예 20, SD-370: 실시예 21, SD-371: 실시예 22, SD-372: 실시예 23, SD-373: 실시예 24, SD-374: 실시예 25, SD-375: 실시예 26, SD-376: 실시예 27, SD-499: 실시예 28, SD-500: 실시예 29, SD-501: 실시예 30, SD-502: 실시예 31, SD-503: 실시예 32, SD-504: 실시예 33, SD-505: 실시예 34, SD-506: 실시예 35,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콕시, 비치환된 C6-10아릴 또는 비치환된 C6-10아릴옥시이고;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콕시이고;
l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콕시, 비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킬,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콕시, 비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l, Et, t-Bu, CF3 또는 페녹시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2는 Me, i-Bu 또는 n-Bu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콕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콕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3은 수소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은 1 내지 3의 정수일 수 있고, 1 또는 2일 수 있다.
상기 m은 1 또는 2일 수 있고, 1 일 수 있다.
상기 n은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고, 1 내지 3의 정수일 수 있고, 2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Figure pat00006
는 페닐에 결합된 알킬옥시와 파라 (para) 위치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Figure pat00007
는 페닐에 결합된 알킬옥시와 파라위치로 결합하여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a는 화학식 1의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의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1> 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 3-(4-(1-((5-(2-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 3-(4-(1-((5-(3-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4>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5> 3-(4-(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6>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7>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8>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9> 3-(4-(1-((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0> 3-(4-(1-((5-(4-Ethyl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1> (R)-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2> (S)-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3> (R)-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4> (S)-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5> (R)-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6> (S)-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7> 3-(4-(1-(5-(4-브로모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
<18> 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9>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0> 3-(4-(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1>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2>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3> 3-(4-(1-(5-(3-메톡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4> 3-(4-(1-(5-(5-이소프로필-2-메톡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5>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6>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7> 3-(4-(3-메틸-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8> 3-(4-(3-메틸-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9>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0>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1> 3-(4-(1-(5-(2-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2> 3-(4-(1-(5-(3-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3>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4> 3-(4-(3-메틸-1-(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5> 3-(4-(1-(5-(4-에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테이트,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 (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 (단계 2)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9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l, m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4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5알킬이고;
X1은 할로겐이고; 및
L1
Figure pat00010
또는
Figure pat00011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할로겐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보론산 화합물을 금속리간드 및 염기 조건하에 C-아릴화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보론산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화합물들을 사용하거나, 대응되는 할라이드 화합물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할라이드 화합물은 요오드화물 또는 브롬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리간드는, 구리, 팔라듐, 니켈, 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팔라듐 리간드로서 Pd (dppf)Cl2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염기는 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피리딘, 트라이에틸아민,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데센 (DBU) 등의 유기염기 또는 소듐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리튬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바륨하이드록사이드, NaH 등의 무기염기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응에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1,2-디메톡시에탄 등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아세토나이트릴, 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스터 화합물을 염기 또는 산 조건하에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염기로는 소듐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리튬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바륨하이드록사이드, NaH등과 같은 무기염기가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산으로는 염산, 황산, 메탄설폰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용매,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아세토나이트릴, 물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지방간, 고요산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대사증후군 (Syndrome X) 및 이상지질혈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GCGR (Glucagon Receptor)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혈중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cAMP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글루코스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AMP 또는 글루카곤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여 GCGR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in vitro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도 확인하였으며, 세포 독성이 낮다 (실험예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GCGR 활성 관련 질환인 대사성 질환 특히, 당뇨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 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 (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 (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 등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등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사용중인 항암제와 병용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지방간, 고요산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대사증후군 (Syndrome X) 및 이상지질혈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나아가,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2
단계 1: 메틸 4-(1-하이드록시펜틸)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 (2.00 g, 12.2 mmol)을 출발물질로 n-BuMgBr (12.0 ml, 24.4 mmol)및 dry THF (tetrahydrofuran) (60 ml)를 사용하여 0 ℃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TLC로 확인하여 출발물질이 없어짐을 확인 후, 1N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 (acidified)하고,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1.20 g, 수율: 60%)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단계 2: 메틸 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1의 화합물 (188 mg, 0.846 mmol)을 출발물질로 5-브로모-2-하이드록시피리미딘 (178 mg, 1.02 mmo), DIAD (Diisopropyl azodicarboxylate) (0.25 ml, 1.27 mmol), PPh3 (Triphenylphosphine) (333 mg, 1.27 mmol) 및 THF (4.5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 (30 ml)와 물, Brine을 첨가하여 세척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필터,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509 mg, 수율: 63%)을 오일 상태로 얻었다.
단계 3: 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단계 2의 화합물 (984 mg, 2.59 mmol)을 출발물질로 LiOH-H2O (218 mg, 5.19 mmol) 및 THF:H2O (v:v=1.5:1) (20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1N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 (acidified)하고,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786 mg, 수율: 80%)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단계 4: 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3의 화합물 (674 mg, 1.85 mmol)을 출발물질로 베타알라닌에틸이스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67 mg, 3.69 mmol), HOBt (565 mg, 3.69 mmol), EDCI (708 mg, 3.69 mmol), DIEA (0.90 ml, 5.54 mmol)및 DMF (9 ml)를 사용하여 50 oC로 1시간 반응하였다.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774 mg, 수율: 90%)을 오일 상태로 얻었다.
<제조예 2> (S)-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3
단계 1: 메틸 4-펜타노일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 예 1의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1.60 g, 7.22 mmol)을 출발물질로 하여, PDC (Pyridinium Dichromate) (4.00 g, 10.8 mmol), 4ÅMS (molecular sieves) (500 mg)및 DCM (Dichloromethane) (36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Celite로 필터한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936 mg, 수율: 59%)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단계 2: (R)-메틸 4-(1-하이드록시펜틸)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400 mg, 1.82 mmol)을 출발물질로 하여, (S)-Me-CBS catalyst (50.0 mg, 0.182 mmol), BH3-THF complex (2.72 ml, 2.72 mmol)및 dry THF (9 ml)를 사용하여 0 ℃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295 mg, 수율: 73%)을 흰색 고체 상태로 얻었다.
단계 3: (S)-메틸 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S)-메틸 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에이트를 제조하였다.
단계 4: (S)-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S)-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익 애시드를 제조하였다.
단계 5: (S)-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S)-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R)-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4
단계 1: (S)-메틸 4-(1-하이드록시펜틸)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 예 2의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을 (400 mg, 1.82 mmol)을 출발물질로 하여, (R)-Me-CBS catalyst (50.0 mg, 0.182 mmol), BH3-THF complex (2.72 ml, 2.72 mmol)및 dry THF (9 ml)를 사용하여 0 ℃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316 mg, 수율: 78%)을 흰색 고체 상태로 얻었다.
단계 2: (R)-메틸 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R)-메틸 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에이트를 제조하였다.
단계 3: (R)-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R)-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조익 애시드를 제조하였다.
단계 4: (R)-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R)-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5
n-BuMgBr대신 MeMgBr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16
n-BuMgBr대신 i-BuMgBr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 3-(4-(1-(5-브로모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Figure pat00017
단계 1: 에틸 3-(4-(1-((5-(2-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 예 1에서 얻은 단계 4 화합물 (70.0 mg, 0.152 mmol)을 출발물질로, 페닐 보로닉 애시드 (20.0 mg, 0.172 mmol), NaHCO3 (38.0 mg, 0.450 mmol), Pd (dppf)Cl2 (37.0 mg, 0.051 mmol), DMF (dimethylformamide) (0.8 ml)를 사용하여, 90 ℃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35.0 mg, 수율: 50%)을 오일 상태로 얻었다.
단계 2: 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팬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34 mg, 0.071mmol)을 출발물질로, LiOH-H2O (6.00 mg, 0.152 mmol), THF:H2O (1.5:1=v:v) (0.60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1N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 (acidified)하고,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11.0 mg, 수율: 36%)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2> 3-(4-(1-((5-(2-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2-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30%).
<실시예 3> 3-(4-(1-((5-(3-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3-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78%).
<실시예 4>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52%).
<실시예 5> 3-(4-(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80%).
<실시예 6>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tert-부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70%).
<실시예 7>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3,5-디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97%).
<실시예 8>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99%).
<실시예 9> 3-(4-(1-((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페녹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79%).
<실시예 10> 3-(4-(1-((5-(4-에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에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81%).
<실시예 11> (R)-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S)-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R)-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tert-부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S)-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tert-부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R)-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3,5-디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S)-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3,5-디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3-(4-(1-(5-(4-브로모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 애시드 대신 4-브로모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3-(4-(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tert-부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3,5-디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3-(4-(1-(5-(3-메톡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3-메톡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3-(4-(1-(5-(5-이소프로필-2-메톡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5-이소프로필-2-메톡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tert-부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3-(4-(3-메틸-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트리플루오로메틸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3-(4-(3-메틸-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9>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3,5-디클로로 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0>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3-(4-(1-(5-(2-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2-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3-(4-(1-(5-(3-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3-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3-(4-(3-메틸-1-(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페녹시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3-(4-(1-(5-(4-에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하고, 페닐보로닉애시드 대신 4-에틸페닐보로닉 애시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나타내었으며, 표 2에 실시예 17 내지 35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나타내었다. 표 3에 실시예 1 내지 35화합물의 분석데이터 (1H NMR, 13C NMR, mass)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화학구조 실시예 화학구조
1
Figure pat00018
2
Figure pat00019
3
Figure pat00020
4
Figure pat00021
5
Figure pat00022
6
Figure pat00023
7
Figure pat00024
8
Figure pat00025
9
Figure pat00026
10
Figure pat00027
11
Figure pat00028
12
Figure pat00029
13
Figure pat00030
14
Figure pat00031
15
Figure pat00032
16
Figure pat00033
실시예 화학구조 실시예 화학구조
17
Figure pat00034
18
Figure pat00035
19
Figure pat00036
20
Figure pat00037
21
Figure pat00038
22
Figure pat00039
23
Figure pat00040
24
Figure pat00041
25
Figure pat00042
26
Figure pat00043
27
Figure pat00044
28
Figure pat00045
29
Figure pat00046
30
Figure pat00047
31
Figure pat00048
32
Figure pat00049
33
Figure pat00050
34
Figure pat00051
35
Figure pat00052
-
실시예 분석데이터 (1H NMR, 13C NMR, mass)
1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3 (s, 2H), 7.72 (d, J = 8.4 Hz, 2H), 7.51 (d, J = 8.4 Hz, 2H), 7.44 (m, 4H), 7.40-7.37 (m, 1H), 6.91, (t, J = 6 Hz, 1H), 6.04 (q, J = 5.4, 7.2 Hz, 1H), 3.71 (q, J = 6, 11.4 Hz, 2H), 2.69 (t, J = 6 Hz, 2H), 2.12-2.06 (m, 1H), 1.91-1.85 (m, 1H), 1.48-1.43 (m, 1H), 1.38-1.31 (m, 3H), 0.88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1, 167.5, 163.9, 157.3, 145.5, 134.2, 133.4, 129.3, 128.5, 128.2, 127.1, 126.7, 126.5, 78.7, 36.8, 35.3, 33.7, 27.6, 22.5,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5H28N3O4 + 434.2074, found 434.2069
2 1H NMR (600MHz, CDCl3) δ (ppm): 8.54 (s, 2H), 7.73 (d, J = 8.4 Hz, 2H), 7.52 (d, J = 8.4 Hz, 2H), 7.49-7.46 (m, 1H), 7.34-7.31 (m, 2H), 7.26-7.24 (m, 1H), 6.92 (t, J = 6Hz, 1H), 6.06 (q, J = 6, 7.8 Hz, 1H), 3.72 (q, J = 6, 11.4 Hz, 2H), 2.70 (t, J = 5.4 Hz, 2H), 2.13-2.07 (m, 1H), 1.92-1.86 (m, 1H), 1.49-1.43 (m, 1H), 1.38-1.33 (m, 3H), 0.88 (t, J = 6.6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2, 167.5, 163.8, 159.2, 145.4, 133.4, 133.3, 132.8, 131.0, 130.3, 129.8, 127.4, 127.1, 126.9, 126.7, 78.7, 36.7, 35.3, 33.7, 27.6, 22.5,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5H27ClN3O4 + 468.1685, found 468.1677
3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1 (s, 2H), 7.72 (d, J = 8.3 Hz, 2H), 7.49 (d, J = 8.3 Hz, 2H), 7.43 (m, 1H), 7.39-7.32 (m, 3H), 6.99 (t, J = 5.9 Hz, 1H), 6.04 (q, J = 6, 7.8 Hz, 1H), 3.70 (q, J = 5.8, 11.5 Hz, 2H), 2.69 (t, J = 5.4 Hz, 2H), 2.12-2.06 (m, 1H), 1.91-1.85 (m, 1H), 1.47-1.42 (m, 1H), 1.38-1.33 (m, 3H), 0.87 (t, J = 6.6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2, 167.5, 164.2, 159.6, 157.3, 145.3, 136.0, 135.2, 133.4, 130.5, 128.3, 127.2, 127.2, 126.7, 126.6, 124.6, 78.9, 36.7, 35.3, 33.7, 27.6, 22.5,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5H27ClN3O4 + 468.1685, found 468.1677
4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1 (s, 2H), 7.72 (d, J = 8.4 Hz, 2H), 7.50 (d, J = 7.8 Hz, 2H), 7.42-7.37 (m, 4H), 6.97, (t, J = 6 Hz, 1H), 6.03 (q, J = 6, 7.8 Hz, 1H), 3.71 (q, J = 6, 11.4 Hz, 2H), 2.69 (t, J = 6 Hz, 2H), 2.12-2.06 (m, 1H), 1.91-1.85 (m, 1H), 1.48-1.42 (m,1H), 1.38-1.31 (m, 3H), 0.87 (t, J = 6.6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3, 171.3, 167.5, 164.0, 159.6, 157.1, 145.4, 134.6, 133.4, 132.6, 129.5, 127.7, 127.4, 127.1, 126.7, 78.8, 60.5, 36.7, 35.3, 33.7, 27.6, 22.5, 21.1, 14.2,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5H27ClN3O4 + 468.1685, found 468.1677
5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7 (s, 2H), 7.72 (dd, J = 8.4, 11.6 Hz, 4H), 7.58 (d, J = 8.1 Hz, 2H), 7.51 (d, J = 8.2 Hz, 2H), 6.93 (t, J = 5.9 Hz, 1H), 6.05 (q, J = 6, 7.8 Hz, 1H), 3.72 (q, J = 5.4, 11.4 Hz, 2H), 2.70 (t, J = 5.4 Hz, 2H), 2.14-2.07 (m, 1H), 1.94-1.87 (m, 1H), 1.49-1.43 (m, 1H), 1.39-1.31 (m, 3H), 0.88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5, 171.4, 167.6, 164.4, 163.9, 159.6, 157.4, 145.3, 137.8, 133.4, 130.5, 130.3, 127.2, 126.8, 126.7, 126.3, 124.8, 123.0, 79.0, 60.5, 36.6, 35.3, 33.7, 27.6, 22.4, 21.1, 14.2,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6H27F3N3O4 + 502.1948, found 502.1943
6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2 (s, 2H), 7.73 (d, J = 7.8 Hz, 2H), 7.49 (d, J = 7.8 Hz, 2H), 7.46 (d, J = 8.4 Hz, 2H), 7.38 (d, J = 8.4 Hz, 2H), 7.02 (bs, 1H), 6.03 (q, J = 5.4, 7.2 Hz, 1H), 3.68 (d, J = 4.3 Hz, 2H), 2.65 (bs, 2H), 2.10-2.07 (m, 1H), 1.89-1.85 (m, 1H), 1.43 (m, 1H), 1.33 (s, 9H), 0.86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67.5, 163.8, 157.1, 151.4, 145.5, 133.3, 131.3, 128.4, 127.2, 126.7, 126.2, 78.6, 60.5, 50.8, 36.8, 35.4, 34.6, 34.0, 31.3, 27.6, 22.5, 21.1, 14.2,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9H36N3O4 + 490.2700, found 490.2685
7 1H NMR (600MHz, CDCl3) δ (ppm): 8.59 (s, 2H), 7.72 (d, J = 7.8 Hz, 2H), 7.48 (d, J = 7.8 Hz, 2H), 7.36 (s, 1H), 7.32 (d, J = 1.8 Hz, 2H), 7.00 (bs, 1H), 6.03 (q, J = 6, 7.8 Hz, 1H), 3.67 (bs, 2H), 2.65 (bs, 2H), 2.12-2.08 (m, 1H), 1.90-1.85 (m, 1H), 1.47-1.41 (m, 1H), 1.38-1.30 (m, 3H), 0.87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67.48, 164.5, 157.3, 145.1, 137.2, 135.9, 133.4, 128.2, 127.2, 126.7, 126.1, 124.9, 79.1, 53.4, 50.8, 36.6, 35.4, 33.9, 27.6, 22.5, 14.2,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5H28Cl2N3O4 + 502.1295, found 502.1288
8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4 (d, J = 1.2 Hz, 2H), 7.74-7.70 (m, 2H), 7.65-7.62 (m, 2H), 7.51 (d, J = 12 Hz, 2H), 7.29 (t, J = 12 Hz, 1H), 6.90 (t, J = 6 Hz, 1H), 6.06 (q, J = 6 Hz, 1H), 3.71 (q, J = 6, 12 Hz, 2H), 2.69 (t, J = 6 Hz, 2H), 2.14-2.05 (m, 1H), 1.93-1.87 (m, 1H), 1.48-1.42 (m, 1H), 1.38-1.32 (m, 3H), 0.89-0.85 (m,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3, 167.5, 164.3, 160.5, 159.6, 158.8, 145.2, 144.9, 133.5, 127.5, 127.2, 126.7, 123.2, 122.2, 117.2, 117.0, 111.9, 79.0, 36.6, 35.3, 33.7, 27.6, 22.4,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6H26F4N3O4 + 520.1854, found 520.1817
9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1 (s, 2H), 7.72 (d, J = 8.4 Hz, 2H), 7.50 (d, J = 8.4 Hz, 2H), 7.40-7.38 (m, 2H), 7.37-7.34 (m, 2H), 7.15-7.12 (m, 1H), 7.07-7.02 (m, 4H), 6.94 (t, J = 5.9 Hz, 1H), 6.03 (q, J = 5.8, 7.6 Hz, 1H), 3.71 (q, J = 5.9, 11.7 Hz, 2H), 2.69 (t, J = 5.8 Hz, 2H), 2.11-2.05 (m, 1H), 1.91-1.85 (m, 1H), 1.48-1.40 (m, 1H), 1.37-1.31 (m, 3H), 0.87 (t, J = 7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2, 167.5, 163.7, 157.8, 157.0, 156.6, 145.5, 133.4, 129.9, 128.9, 128.0, 127.9, 127.1, 126.7, 123.8, 119.3, 119.2, 78.7, 36.7, 35.3, 33.8, 27.6, 22.5,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31H32N3O5 + 526.2336, found 526.2334
10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1 (s, 2H), 7.72 (d, J = 8.3 Hz, 2H), 7.50 (d, J = 8.4 Hz, 2H), 7.37 (d, J = 7.8 Hz, 2H), 7.27 (d, J = 8.4 Hz, 2H), 6.90 (bs, 1H), 6.03 (q, J = 5.8, 7.7 Hz, 1H), 3.70 (q, J = 6, 12 Hz, 2H), 2.70-2.66 (m, 4H), 2.12-2.05 (m, 1H), 1.91-1.85 (m, 1H), 1.49-1.44 (m, 1H), 1.38-1.31 (m, 3H), 1.25 (t, J = 7.8 Hz, 5H), 0.87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67.4, 163.8, 157.1, 145.5, 144.5, 133.4, 131.6, 128.8, 128.4, 127.1, 126.7, 126.4, 78.6, 36.8, 35.3, 29.7, 28.5, 27.6, 22.5, 15.5, 14.0: HRMS (ESI-TOF) m/z [M + H]+ calculated for C27H32N3O4 + 462.2387, found 462.2369
11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3 (s, 2H), 7.72 (d, J = 8.4 Hz, 2H), 7.51 (d, J = 8.4 Hz, 2H), 7.44 (m, 4H), 7.40-7.37 (m, 1H), 6.91, (t, J = 6 Hz, 1H), 6.04 (q, J = 5.4, 7.2 Hz, 1H), 3.71 (q, J = 6, 11.4 Hz, 2H), 2.69 (t, J = 6 Hz, 2H), 2.12-2.06 (m, 1H), 1.91-1.85 (m, 1H), 1.48-1.43 (m, 1H), 1.38-1.31 (m, 3H), 0.88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1, 167.5, 163.9, 157.3, 145.5, 134.2, 133.4, 129.3, 128.5, 128.2, 127.1, 126.7, 126.5, 78.7, 36.8, 35.3, 33.7, 27.6, 22.5, 14.0; [α]D +72.6 (c = 0.0012 in CH2Cl2)
12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3 (s, 2H), 7.72 (d, J = 8.4 Hz, 2H), 7.51 (d, J = 8.4 Hz, 2H), 7.44 (m, 4H), 7.40-7.37 (m, 1H), 6.91, (t, J = 6 Hz, 1H), 6.04 (q, J = 5.4, 7.2 Hz, 1H), 3.71 (q, J = 6, 11.4 Hz, 2H), 2.69 (t, J = 6 Hz, 2H), 2.12-2.06 (m, 1H), 1.91-1.85 (m, 1H), 1.48-1.43 (m, 1H), 1.38-1.31 (m, 3H), 0.88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76.1, 167.5, 163.9, 157.3, 145.5, 134.2, 133.4, 129.3, 128.5, 128.2, 127.1, 126.7, 126.5, 78.7, 36.8, 35.3, 33.7, 27.6, 22.5, 14.0; [α]D -35.7 (c = 0.0014 in CH2Cl2)
13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2 (s, 2H), 7.73 (d, J = 7.8 Hz, 2H), 7.49 (d, J = 7.8 Hz, 2H), 7.46 (d, J = 8.4 Hz, 2H), 7.38 (d, J = 8.4 Hz, 2H), 7.02 (bs, 1H), 6.03 (q, J = 5.4, 7.2 Hz, 1H), 3.68 (d, J = 4.3 Hz, 2H), 2.65 (bs, 2H), 2.10-2.07 (m, 1H), 1.89-1.85 (m, 1H), 1.43 (m, 1H), 1.33 (s, 9H), 0.86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67.5, 163.8, 157.1, 151.4, 145.5, 133.3, 131.3, 128.4, 127.2, 126.7, 126.2, 78.6, 60.5, 50.8, 36.8, 35.4, 34.6, 34.0, 31.3, 27.6, 22.5, 21.1, 14.2, 14.0; [α]D +31.3 (c = 0.0048 in CH2Cl2)
14 1H NMR (600MHz, CDCl3) δ (ppm): 8.62 (s, 2H), 7.73 (d, J = 7.8 Hz, 2H), 7.49 (d, J = 7.8 Hz, 2H), 7.46 (d, J = 8.4 Hz, 2H), 7.38 (d, J = 8.4 Hz, 2H), 7.02 (bs, 1H), 6.03 (q, J = 5.4, 7.2 Hz, 1H), 3.68 (d, J = 4.3 Hz, 2H), 2.65 (bs, 2H), 2.10-2.07 (m, 1H), 1.89-1.85 (m, 1H), 1.43 (m, 1H), 1.33 (s, 9H), 0.86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67.5, 163.8, 157.1, 151.4, 145.5, 133.3, 131.3, 128.4, 127.2, 126.7, 126.2, 78.6, 60.5, 50.8, 36.8, 35.4, 34.6, 34.0, 31.3, 27.6, 22.5, 21.1, 14.2, 14.0; [α]D -27.3 (c = 0.0037 in CH2Cl2)
15 1H NMR (600MHz, CDCl3) δ (ppm): 8.59 (s, 2H), 7.72 (d, J = 7.8 Hz, 2H), 7.48 (d, J = 7.8 Hz, 2H), 7.36 (s, 1H), 7.32 (d, J = 1.8 Hz, 2H), 7.00 (bs, 1H), 6.03 (q, J = 6, 7.8 Hz, 1H), 3.67 (bs, 2H), 2.65 (bs, 2H), 2.12-2.08 (m, 1H), 1.90-1.85 (m, 1H), 1.47-1.41 (m, 1H), 1.38-1.30 (m, 3H), 0.87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67.48, 164.5, 157.3, 145.1, 137.2, 135.9, 133.4, 128.2, 127.2, 126.7, 126.1, 124.9, 79.1, 53.4, 50.8, 36.6, 35.4, 33.9, 27.6, 22.5, 14.2, 14.0; [α]D +34.8 (c = 0.0040 in CH2Cl2)
16 1H NMR (600MHz, CDCl3) δ (ppm): 8.59 (s, 2H), 7.72 (d, J = 7.8 Hz, 2H), 7.48 (d, J = 7.8 Hz, 2H), 7.36 (s, 1H), 7.32 (d, J = 1.8 Hz, 2H), 7.00 (bs, 1H), 6.03 (q, J = 6, 7.8 Hz, 1H), 3.67 (bs, 2H), 2.65 (bs, 2H), 2.12-2.08 (m, 1H), 1.90-1.85 (m, 1H), 1.47-1.41 (m, 1H), 1.38-1.30 (m, 3H), 0.87 (t, J = 7.2 Hz, 3H); 13C NMR (150MHz, CDCl3) δ (ppm): 167.48, 164.5, 157.3, 145.1, 137.2, 135.9, 133.4, 128.2, 127.2, 126.7, 126.1, 124.9, 79.1, 53.4, 50.8, 36.6, 35.4, 33.9, 27.6, 22.5, 14.2, 14.0; [α]D -26.2 (c = 0.0046 in CH2Cl2)
17 1H NMR (600 MHz, CDCl3) δ 8.47 (s, 2H), 7.72 (d, J = 8.3 Hz, 2H), 7.46 (d, J = 8.2 Hz, 2H), 7.14 (t, J = 5.9 Hz, 1H), 6.07 (q, J = 6.5 Hz, 1H), 3.69 (q, J = 5.9 Hz, 2H), 2.67 (t, J = 5.9 Hz, 2H), 1.65 (d, J = 6.6 Hz,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0, 171.4, 167.6, 162.9, 159.6, 145.8, 133.4, 127.3, 126.1, 111.9, 75.4, 60.5, 35.4, 33.7, 22.8, 21.1, 14.2.
18 1H NMR (600 MHz, CDCl3) δ 8.66 (s, 2H), 7.74 (d, J = 8.2 Hz, 2H), 7.51 (d, J = 8.2 Hz, 2H), 7.45 (t, J = 3.4 Hz, 4H), 7.38 (m, 1H), 7.10 (t, J = 5.8 Hz, 1H), 6.20 (q, J = 6.5 Hz, 1H), 3.70 (q, J = 5.8 Hz, 2H), 2.68 (t, J = 5.8 Hz, 2H), 1.68 (d, J = 6.6 Hz,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0, 171.3, 167.6, 163.6, 157.3, 146.2, 134.1, 133.4, 129.3, 128.5, 128.3, 127.3, 126.5, 126.2, 74.8, 60.5, 35.4, 33.8, 22.9, 21.1, 14.2.
19 1H NMR (600 MHz, CDCl3) δ 8.63 (s, 2H), 7.73 (d, J = 8.3 Hz, 2H), 7.52 (d, J = 8.3 Hz, 2H), 7.41 (q, J = 9.4 Hz, 4H), 6.93 (t, J = 5.8 Hz, 1H), 6.20 (q, J = 6.6 Hz, 1H), 3.71 (q, J = 5.9 Hz, 2H), 2.69 (t, J = 5.8 Hz, 2H), 1.69 (d, J = 6.6 Hz,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67.4, 163.8, 157.2, 146.2, 134.6, 133.4, 132.7, 129.5, 127.8, 127.4, 127.2, 126.2, 74.9, 35.3, 33.7, 29.7, 23.0.
20 1H NMR (600 MHz, CDCl3) δ 8.68 (s, 2H), 7.73 (dd, J = 6.8 Hz, 4H), 7.60 (d, J = 8.1 Hz, 2H), 7.55 (d, J = 8.3 Hz, 2H), 6.83 (t, J = 6.1 Hz, 1H), 6.22 (q, J = 6.6 Hz, 1H), 3.72 (q, J = 5.9 Hz, 2H), 2.70 (t, J = 5.9 Hz, 2H), 1.72 (d, J = 6.6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57.5, 146.2, 127.2, 126.8, 126.2, 75.1, 35.2, 33.4, 23.0.
21 1H NMR (600 MHz, CDCl3) δ 8.65 (s, 2H), 7.74 (d, J = 8.3 Hz, 2H), 7.53 (d, J = 8.3 Hz, 2H), 7.48 (d, J = 8.5 Hz, 2H), 7.41 (d, J = 8.5 Hz, 2H), 6.95 (t, J = 5.9 Hz, 1H), 6.20 (q, J = 6.5 Hz, 1H), 3.71 (q, J = 5.9 Hz, 3H), 2.70 (t, J = 5.8 Hz, 2H), 1.69 (d, J = 6.6 Hz, 3H), 1.34 (s, 9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0, 167.4, 163.5, 159.6, 157.1, 151.5, 146.3, 133.4, 131.2, 128.4, 127.2, 126.3, 126.2, 74.7, 35.3, 34.6, 33.7, 31.3, 29.7, 23.0.
22 1H NMR (600 MHz, CDCl3) δ 8.62 (s, 2H), 7.73 (d, J = 8.2 Hz, 2H), 7.50 (d, J = 8.3 Hz, 2H), 7.34 (d, J = 1.8 Hz, 2H), 7.14 (t, J = 5.9 Hz, 1H), 6.19 (q, J = 6.5 Hz, 1H), 3.69 (q, J = 5.9 Hz, 2H), 2.67 (t, J = 5.8 Hz, 2H), 1.68 (d, J = 6.6 Hz,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67.6, 164.2, 159.6, 157.3, 146.0, 137.1, 135.9, 133.4, 128.2, 127.3, 126.2, 126.1, 124.9, 75.2, 60.5, 35.5, 22.9, 21.1, 14.2.
23 1H NMR (600 MHz, CDCl3) δ 8.65 (s, 2H), 7.73 (d, J = 8.2 Hz, 2H), 7.53 (d, J = 8.2 Hz, 2H), 7.37 (t, J = 8.0 Hz, 1H), 7.04 (d, J = 7.7 Hz, 1H), 6.98 (t, J = 1.9 Hz, 1H), 6.93 (q, J = 3.4 Hz, 1H), 6.20 (q, J = 6.5 Hz, 1H), 3.84 (s, 3H), 3.71 (q, J = 5.7 Hz, 2H), 2.69 (t, J = 5.6 Hz, 2H), 1.69 (d, J = 6.6 Hz,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67.4, 163.8, 160.2, 157.3, 146.3, 135.6, 133.4, 130.4, 128.4, 127.2, 126.2, 118.9, 113.5, 112.4, 74.8, 60.5, 55.4, 35.3, 29.7, 23.0, 14.2.
24 1H NMR (600 MHz, CDCl3) δ 8.63 (s, 2H), 7.75 (d, J = 8.2 Hz, 2H), 7.52 (d, J = 8.2 Hz, 2H), 7.20 (dd, J = 3.5 Hz, 1H), 7.13 (t, J = 5.9 Hz, 1H), 7.08 (d, J = 2.2 Hz, 1H), 6.90 (d, J = 8.5 Hz, 1H), 6.20 (q, J = 6.5 Hz, 1H), 3.77 (s, 3H), 3.71 (q, J = 5.8 Hz, 2H), 2.88 (m, 1H), 2.69 (t, J = 5.9 Hz, 2H), 1.67 (d, J = 6.6 Hz, 3H), 1.23 (d, J = 6.9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5.9, 171.3, 167.6, 162.9, 159.1, 154.5, 146.4, 141.7, 133.3, 128.1, 127.5, 127.3, 126.3, 126.2, 122.9, 111.2, 74.6, 60.5, 55.6, 35.4, 33.8, 33.3, 29.7, 24.2, 23.0, 21.1, 14.2.
25 1H NMR (600 MHz, CDCl3) δ 8.66 (s, 2H), 7.74 (d, J = 8.3 Hz, 2H), 7.64 (d, J = 5.5 Hz, 2H), 7.52 (d, J = 8.2 Hz, 2H), 7.30 (t, J = 9.2 Hz, 1H), 7.06 (t, J = 6.0 Hz, 1H), 6.22 (q, J = 6.5 Hz, 1H), 3.70 (q, J = 5.9 Hz, 2H), 2.68 (t, J = 5.9 Hz, 2H), 1.70 (d, J = 6.6 Hz,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1, 167.6, 164.0, 159.6, 158.8, 146.0, 133.4, 127.3, 126.2, 124.3, 123.1, 123.0, 122.2, 117.2, 117.1, 75.2, 60.5, 35.4, 33.7, 22.9, 21.1, 14.2.
26 1H NMR (600 MHz, CDCl3) δ 8.62 (s, 2H), 7.72 (d, J = 8.4 Hz, 2H), 7.53 (d, J = 8.2 Hz, 2H), 7.47 (d, J = 8.6 Hz, 2H), 7.39 (d, J = 8.6 Hz, 2H), 6.83 (t, J = 6.1 Hz, 1H), 6.14 (q, J = 4.7 Hz, 1H), 3.72 (q, J = 5.9 Hz, 2H), 2.70 (t, J = 5.9 Hz, 2H), 2.07 (m, 1H), 1.81 (m, 1H), 1.63 (m, 1H), 0.98 (dd, J = 6.4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0, 167.4, 163.8, 163.2, 157.1, 151.4, 145.9, 133.3, 131.3, 128.4, 127.1, 126.7, 126.2, 46.4, 35.2, 34.6, 33.6, 31.3, 24.7, 23.0, 22.2.
27 1H NMR (600 MHz, CDCl3) δ 8.66 (s, 2H), 7.71 (dd, J = 7.2 Hz, 4H), 7.57 (d, J = 8.2 Hz, 2H), 7.51 (d, J = 8.3 Hz, 2H), 6.98 (t, J = 5.9 Hz, 1H), 6.15 (q, J = 4.7 Hz, 1H), 3.70 (q, J = 5.9 Hz, 2H), 2.68 (t, J = 5.8 Hz, 2H), 2.08 (m, 1H), 1.79 (m, 1H), 1.64 (m, 1H), 0.98 (dd, J = 6.9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2, 167.5, 164.4, 157.5, 145.6, 137.8, 133.4, 130.5, 127.2, 126.8, 126.7, 126.3, 126.2, 126.2, 77.3, 60.5, 46.2, 35.3, 33.7, 31.2, 24.7, 23.0, 22.2, 14.2.
28 1H NMR (600 MHz, CDCl3) δ 8.63 (s, 2H), 7.73 (d, J = 8.3 Hz, 2H), 7.51 (d, J = 8.3 Hz, 2H), 7.43 (t, J = 2.7 Hz, 4H), 7.37 (m, 1H), 7.07 (t, J = 6.0 Hz, 1H), 6.14 (q, J = 4.7 Hz, 1H), 3.70 (q, J = 5.9 Hz, 2H), 2.67 (t, J = 5.9 Hz, 2H), 2.07 (m, 1H), 1.80 (m, 1H), 1.63 (m, 1H), 0.97 (dd, J = 6.4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0, 171.3, 167.5, 163.8, 157.2, 145.7, 134.1, 133.4, 129.3, 128.5, 128.2, 127.2, 126.6, 126.5, 60.5, 46.3, 35.4, 33.8, 24.7, 23.0, 22.2, 21.1, 14.2.
29 1H NMR (600 MHz, CDCl3) δ 8.59 (s, 2H), 7.71 (d, J = 8.3 Hz, 2H), 7.49 (d, J = 8.3 Hz, 2H), 7.36 (t, J = 1.8 Hz, 1H), 7.32 (d, J = 1.9 Hz, 2H), 6.95 (t, J = 6.1 Hz, 1H), 6.13 (q, J = 4.7 Hz, 1H), 3.70 (q, J = 5.9 Hz, 2H), 2.68 (t, J = 5.9 Hz, 2H), 2.07 (m, 1H), 1.77 (m, 1H), 1.63 (m, 1H), 0.97 (dd, J = 7.2 Hz, 7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3, 167.5, 164.5, 157.3, 145.5, 137.2, 135.9, 133.4, 128.2, 127.2, 126.7, 126.1, 124.9, 77.5, 60.5, 46.2, 35.3, 33.7, 24.7, 23.0, 22.2, 21.1, 14.2.
30 1H NMR (600 MHz, CDCl3) δ 8.63 (s, 2H), 7.72 (d, J = 8.3 Hz, 2H), 7.62 (m, 2H), 7.50 (d, J = 8.3 Hz, 2H), 7.28 (t, J = 9.1 Hz, 1H), 7.04 (t, J = 6.0 Hz, 1H), 6.15 (q, J = 4.7 Hz, 1H), 3.69 (q, J = 5.9 Hz, 2H), 2.67 (t, J = 5.9 Hz, 2H), 2.07 (m, 1H), 1.77 (m, 1H), 1.63 (m, 1H), 0.96 (dd, J = 6.7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3, 167.6, 164.2, 158.8, 158.7, 145.5, 133.4, 127.2, 126.7, 124.3, 123.1, 123.0, 122.2, 117.2, 117.0, 77.4, 60.5, 46.2, 35.4, 33.7, 24.7, 22.9, 22.2, 21.0, 14.2.
31 1H NMR (600 MHz, CDCl3) δ 8.54 (s, 2H), 7.73 (d, J = 8.3 Hz, 2H), 7.53 (d, J = 8.2 Hz, 2H), 7.48 (q, J = 3.1 Hz, 1H), 7.32 (q, J = 3.1 Hz, 2H), 7.25 (q, J = 3.1 Hz, 1H), 6.92 (t, J = 5.9 Hz, 1H), 6.16 (q, J = 4.7 Hz, 1H), 3.71 (q, J = 5.9 Hz, 2H), 2.70 (t, J = 5.8 Hz, 2H), 2.08 (m, 1H), 1.80 (m, 1H), 1.64 (m, 1H), 0.98 (dd, J = 6.0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3, 167.5, 163.7, 159.2, 145.7, 133.4, 133.3, 132.8, 131.0, 130.3, 129.8, 127.4, 127.2, 126.8, 126.7, 46.3, 35.3, 33.7, 24.7, 23.0, 22.3.
32 1H NMR (600 MHz, CDCl3) δ 8.61 (s, 2H), 7.72 (d, J = 8.4 Hz, 2H), 7.52 (d, J = 8.3 Hz, 2H), 7.44 (t, J = 1.6 Hz, 1H), 7.36 (m, 2H), 7.32 (m, 1H), 6.87 (t, J = 6.1 Hz, 1H), 6.14 (q, J = 4.7 Hz, 1H), 3.71 (q, J = 5.9 Hz, 2H), 2.70 (t, J = 5.9 Hz, 2H), 2.08 (m, 1H), 1.80 (m, 1H), 1.64 (m, 1H), 0.98 (dd, J = 6.9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4, 167.4, 164.2, 157.3, 145.7, 136.0, 135.2, 133.4, 130.5, 128.3, 127.2, 126.7, 126.6, 124.6, 60.5, 46.2, 35.2, 33.7, 31.6, 24.7, 23.0, 22.7, 22.2, 14.2, 14.1.
33 1H NMR (600 MHz, CDCl3) δ 8.60 (s, 2H), 7.72 (d, J = 8.3 Hz, 2H), 7.51 (d, J = 8.3 Hz, 2H), 7.39 (m, 4H), 7.05 (m, 1H), 6.89 (t, J = 6.0 Hz, 1H), 6.14 (q, J = 4.7 Hz, 1H), 3.71 (q, J = 5.9 Hz, 2H), 2.69 (t, J = 5.8 Hz, 2H), 2.07 (m, 1H), 1.80 (m, 1H), 1.63 (m, 1H), 0.98 (dd, J = 6.7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3, 167.5, 164.0, 157.1, 157.0, 145.7, 134.5, 133.4, 132.6, 129.9, 129.5, 127.9, 127.7, 127.2, 126.7, 123.8, 119.3, 119.2, 60.5, 46.2, 35.3, 33.7, 24.7, 23.0, 22.2, 14.2.
34 1H NMR (600 MHz, CDCl3) δ 8.60 (s, 2H), 7.72 (d, J = 8.3 Hz, 2H), 7.52 (d, J = 8.2 Hz, 2H), 7.39 (d, J = 8.6 Hz, 2H), 7.36 (t, J = 8.0 Hz, 2H), 7.14 (t, J = 7.4 Hz, 1H), 7.05 (dd, J = 7.3 Hz, 3H), 6.87 (t, J = 6.0 Hz, 1H), 6.13 (q, J = 4.7 Hz, 1H), 3.71 (q, J = 5.9 Hz, 2H), 2.69 (t, J = 5.8 Hz, 2H), 2.08 (m, 1H), 1.80 (m, 1H), 1.63 (m, 1H), 0.97 (dd, J = 6.4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1, 167.4, 163.7, 157.8, 157.0, 156.6, 145.8, 133.4, 129.9, 129.5, 129.0, 128.0, 127.9, 127.7, 127.1, 126.7, 123.8, 119.3, 119.2, 46.3, 35.2, 33.7, 24.7, 23.0, 22.2.
35 1H NMR (600 MHz, CDCl3) δ 8.61 (s, 2H), 7.72 (d, J = 8.3 Hz, 2H), 7.52 (d, J = 8.2 Hz, 2H), 7.36 (d, J = 8.2 Hz, 2H), 7.27 (d, J = 9.0 Hz, 2H), 6.92 (t, J = 6.0 Hz, 1H), 6.13 (q, J = 4.7 Hz, 1H), 3.71 (q, J = 5.9 Hz, 2H), 2.68 (m, 4H), 2.08 (m, 1H), 1.79 (m, 1H), 1.63 (m, 1H), 1.25 (t, J = 7.6 Hz, 3H), 0.97 (dd, J = 6.4 Hz, 6H); 13C NMR (150 MHz, CDCl3) δ 176.3, 167.5, 163.7, 157.1, 145.9, 144.5, 133.3, 131.5, 128.8, 128.5, 127.2, 126.7, 126.4, 60.5, 46.3, 35.3, 33.7, 28.5, 24.7, 23.0, 22.2, 15.5, 14.2, 14.1.
<비교예 1> (S)-3-(4-(1-(4'-tert-부틸-2,6-디메틸디페닐-4-일옥시)-4,4,4-트리플루오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하기 반응식에 따라 (GCGR (glucagon receptor) 길항제로 잘 알려진 LY-2409021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53
단계 1: 메틸 4-(4,4,4-트리플루오로-1-하이드록시부틸)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 (2.00 g, 12.2 mmol)을 출발물질로 (3,3,3-trifluoropropyl)magnesium bromide (24.0 ml, 12.2 mmol)및 dry THF (tetrahydrofuran) (40 ml)를 사용하여 0 ℃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TLC로 확인하여 출발물질이 없어짐을 확인 후, 1N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 (acidified)하고,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1.69 g, 수율: 53%)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단계 2: 메틸 4-(4,4,4-트리플루오로부타노일)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의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1.69 g, 6.44 mmol)을 출발물질로 하여, PDC (Pyridinium Dichromate) (3.60 g, 9.67 mmol), 4ÅMS (molecular sieves) (500 mg)및 DCM (Dichloromethane) (32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Celite로 필터한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940 mg, 수율: 56%)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단계 3: (R)-메틸 4-(4,4,4-트리플루오로-1-하이드록시부틸)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940 mg, 3.61 mmol)을 출발물질로 하여, (S)-Me-CBS catalyst (100 mg, 0.361 mmol), BH3-THF complex (5.40 ml, 5.42 mmol)및 dry THF (18 ml)를 사용하여 0 ℃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856 mg, 수율: 90%)을 흰색 고체 상태로 얻었다.
단계 4: (S)-메틸 4-(1-(4-브로모-3,5-디메틸페녹시)-4,4,4-트리플루오로부틸)벤조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3의 화합물 (856 mg, 3.26 mmol)을 출발물질로 5-브로모-2-하이드록시피리미딘 (996 mg, 3.92 mmo), DIAD (Diisopropyl azodicarboxylate) (0.80 ml, 4.24 mmol), PPh3 (Triphenylphosphine) (1.10 g, 4.24 mmol) 및 THF (16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2 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 (300 ml)와 물, Brine을 첨가하여 세척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필터,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746 mg, 수율: 51%)을 오일 상태로 얻었다.
단계 5: (S)-4-(1-(4-브로모-3,5-디메틸페녹시)-4,4,4-트리플루오로부틸)벤조익 애시드의 제조
상기 단계 4의 화합물 (746 mg, 1.68 mmol)을 출발물질로 LiOH-H2O (141 mg, 3.35 mmol) 및 THF:H2O (v:v=1.5:1) (13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1N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 (acidified)하고, 에틸이스터 (100 ml)로 추출하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693 mg, 수율: 96%)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단계 6: (S)-에틸 3-(4-(1-(4-브로모-3,5-디메틸페녹시)-4,4,4-트리플루오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5의 화합물 (693 mg, 1.61 mmol)을 출발물질로 베타알라닌에틸이스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94 mg, 3.22 mmol), HOBt (492 mg, 3.22 mmol), EDCI (616 mg, 3.22 mmol), DIEA (0.84 ml, 4.82 mmol)및 DMF (8 ml)를 사용하여 50 oC로 1시간 반응하였다.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760 mg, 수율: 89%)을 오일 상태로 얻었다.
단계 7: (S)-에틸 3-(4-(1-(4'-tert-부틸-2,6-디메틸디페닐-4-일옥시)-4,4,4-트리플루오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6에서 얻은 화합물 (760 mg, 1.43 mmol)을 출발물질로, 페닐 보로닉 애시드 (383 mg, 2.149 mmol), Na2CO3 (456 mg, 4.30 mmol), Pd (dppf)Cl2 (52.4 mg, 0.072 mmol), DMF (dimethylformamide) (7.17 ml)를 사용하여, 90 ℃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이스터 (300 ml)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690 mg, 수율: 82%)을 오일 상태로 얻었다.
단계 8: (S)-3-(4-(1-(4'-tert-부틸-2,6-디메틸디페닐-4-일옥시)-4,4,4-트리플루오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LY-2409021)의 제조
상기 단계 7에서 얻은 화합물 (80 mg, 0.137mmol)을 출발물질로, LiOH-H2O (11.5 mg, 0.274 mmol), THF:H2O (1.5:1=v:v) (1 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1N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 (acidified)하고, 에틸이스터 (30 ml)로 추출하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 화합물 (50.0 mg, 수율: 65%)을 흰색 고체상태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75 (d, J = 8.1 Hz, 2H), 7.44 (d, J = 7.8 Hz, 2H), 7.34 (d, J = 8.1 Hz, 2H), 6.96 (d, J = 8.1 Hz, 2H), 6.74 (s, 1H), 6.52 (s, 2H), 5.21 (s, 1H), 3.72 (d, J = 5.5 Hz, 2H), 2.72 (m, 2H), 2.30 (m, 2H), 2.12 (s, 6H), 1.91 (s, 9H).
<비교예 2> N-(3-시아노-6-(1,1-디메틸프로필)-4,5,6,7-테트라하이드로-1-벤조티엔-2-일)-2-에틸부탄아미드 (sc-203972)의 준비
Figure pat00054
GCGR (glucagon receptor) 길항제로 잘 알려진 sc-203972를 Santa Curz Biotechnology (CAS 438618-32-7))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실험재료의 준비> 및 <실험방법>
본 발명의 실험예에 사용된 재료 (세포, 동물 모델 등)의 제조방법 및 실험방법을 하기에 나타내었다.
1. 세포 배양
인간 GCGR (Glucagon receptor)을 발현하는 cAMP HunterTM CHO-K1 GCGR Gs cell line (CHO-K1 GCGR Gs cells)은 DiscoveRx (Fremont, USA)에서 구입하였다. 세포를 CHO-K1 배지 (DiscoverX, Fremont, USA)에서 유지시켰다. 1 차 마우스 간세포 (Primary mouse hepatocytes)를 10% 소태아혈청 (FBS, GibcoBL, Grand Island, NY, USA)과 1 % 항생제 (100 unit/ml 페니실린 (penicillin)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GibcoBL, Grand Island, NY, USA)가 함유된 HepatoZYME (GibcoBL, Grand Island, NY, USA)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는 주위 산소 및 5 % CO2와 함께 37 ℃의 가습 배양기 (humidified incubator)에서 하위융합조건 (subconfluent condition)으로 유지시켰다.
2. 마우스 1차 간세포의 분리
간세포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0 주령의 수컷 C57BL/6N 마우스를 마우스 당 150 μl의 케타민을 사용하여 마취시켰다. 관류 완충액 I (perfusion buffer I)을 사용하여 간문맥 (portal vein)을 통해 10 분 동안 관류시킨 다음, 5 분 동안 관류 완충액 II (perfusion buffer II)를 관류시켰다. 간을 제거하고, 차가운 고 글루코스 DMEM (cold high glucose DMEM)에서 해부하여 간세포를 분리 하였다. 세포를 4 ℃에서 5 분간 50 g으로 원심분리하고 차가운 고 글루코스 DMEM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4 ℃에서 5 분간 50 g으로 원심분리 하였다. 간세포는 Percoll gradient centrifugation (중단 없이, 4 ℃에서 5 분간 250 g)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간세포는 10 % FBS와 1 % 항생제가 함유된 HepatoZYME (GibcoBL, Grand Island, NY, USA)에서 유지시켰다.
3. 세포독성 분석 (In vitro)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세포 독성은 Cell Counting Kit-8 (CCK-8) assay (Dojindo, Japan)에 의해 결정되었다. 마우스 1 차 간세포를 96-well 플레이트에 1 x 104 cells/well로 접종하고 세포 플레이팅 시약 (Cell plating reagent)(DiscoverX, Fremont, USA)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을 20 μM로 24 시간 동안 처리 하였다. 처리 하루 후, CCK-8 용액을 첨가하고 세포를 37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기록하였다.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세번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4. cAMP 생성 측정
CHO-K1 GCGR Gs 세포를 CHO-K1 배지 (DiscoverX, Fremont, USA)에서 유지시켰다. 96-well 플레이트에 1 × 104 cells/well을 접종 하였다. 다음날, 37 ℃ 및 5 % CO2에서 15 분간 PBS중의 실시예 화합물 (20 μM)로 세포를 처리하였다. 배양 후, 0.1 nM 글루카곤 및 10 μM 포스콜린 (forskolin)을 첨가하고, 세포를 37 ℃ 및 5 % CO2에서 30 분 동안 추가 배양시켰다. cAMP는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HitHunter® cAMP Assay for Small Molecules Kit (DiscoveRx, Fremont, US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발광 (Luminescence)은 Victor 3 (Perkin Elmer,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5. 마우스 1차 간세포의 글루코스 생성 측정
마우스 1 차 간세포를 12-well 플레이트에 2.5 × 105 cells/well로 접종 하였다. 24 시간 후, 예열된 포도당 무첨가 DMEM (glucose-free DMEM) 배지에서 세포를 두 번 세척하고 포도당 무첨가 DMEM에서 3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실시예 화합물 (20 μM), 당신생과정 기질 (gluconeogenic substrates)(20 mM 소듐 락테이트 (sodium lactate) 및 2 mM 소듐 피루베이트 (sodium pyruvate)) 및 10 nM 글루카곤으로 처리하였다. 30 분 후, glucose assay kit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배지내의 글루코스를 정량화하고 세포 단백질 농도로 보정하였다. 다섯 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세번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6. 당뇨 마우스 모델 (db/db mice)에서의 항혈당강하 효과 평가
6 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대전광역시, 한국)에서 구입하여, 한국 가천 대학교 의과 대학의 이길여 (Lee Gil Ya) 암 및 당뇨연구원의 동물 관리센터에서, 음식 및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12 시간의 명암주기에서 온도가 조절되는 방에서 특정 병원균이없는 상태 (specific pathogen-free conditions)로 유지하였다. 혈당 수치 400 mg/dL 이상인 db/db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했다. 실시예 11 (도면에서, (R)-7a), 실시예 12 (도면에서, (S)-7a) 또는 비교예 1 (도면에서, LY2409021)(멸균수에서 10 % DMSO를 갖는 9 % 부형제 (cremophore)에 용해) 화합물을 50 mg/kg의 양으로 1일 1회씩 4주간 삽관하여 경구투여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또는 비교예 1 화합물 투여 4 주째에 glucose analyzer (Onetouch® Ultra, Lifescan, Johnson & Johnson, Milpitas, CA, USA)를 사용하여 혈당치를 확인하였다. 모든 동물 실험은 이길여 암 및 당뇨 연구원의 기관 동물 관리 및 사용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7. 글루카곤 유발 분석 (Glucagon challenge assay)
당뇨 db / db 마우스에 실시예 11 (도면에서, (R)-7a), 실시예 12 (도면에서, (S)-7a) 또는 비교예 (도면에서, LY2409021)(멸균수에서 10 % DMSO를 갖는 9 % 부형제 (cremophore)에 용해) 화합물을 50mg / kg의 양으로 1일 1회씩 4주간 삽관하여 경구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후 4 주째에, 마우스를 5 시간 동안 단식시킨 다음, 실시예 11, 실시예 12 또는 비교예 화합물을 50 mg/kg의 양으로 위관으로 경구투여하였다. 1 시간 후, 글루카곤을 15 μg/kg의 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 한 후, 글루카곤 주입 후 15, 30, 45 및 60 분에 혈당치를 측정 하였다.
8.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Graph Pad Prism software를 사용하여 Fisher's protecte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에 따라, * p < 0.05, ** p < 0.01 or *** p < 0.001에서 분산 분석 (ANOVA)으로 여러 그룹 비교를 수행하였다. IC50 값은 세가지 독립적인 검증의 시험 화합물에 대해 검증되었고 Graph Pad Prism software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실험예 1>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마우스 1차 간세포 (primary hepatocytes)에 실시예 1 내지 10 화합물을 각각 20 μM씩 24시간동안 처리하고, Cell Counting Kit-8 (CCK-8)를 통해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도 1은 실시예 화합물의 세포 생존률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GA: 비교예 2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이 80% 이상의 세포 생존률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GCGR 활성 저해 효과 평가
1) cAMP 생성 저해 효과
글루카곤은 간에서 GCGR (Glucagon receptor)을 매개로하여 글리코겐 분해 및 글루코스 생성을 촉진하여 공복시 혈당을 상승시킨다. GCGR은 주로 cAMP-protein kinase A (PKA) 경로를 통해 작용한다. 글루카곤에 의해 GCGR가 활성화 될 경우,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adenylate cyclase)의 활성화에 의해 세포 내 cAMP 수준이 증가되고, 이어, PKA (protein kinase A)가 활성화된다. 이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GCGR 신호 전달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GCGR 신호 전달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리포터 세포주 (reporter cell line) cAMP HunterTM CHO-K1 GCGR Gs 세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0 화합물처리에 따른 세포 내 cAMP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에 따른 세포내 글루카곤 유도 cAMP 생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GA: 비교예 2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루카곤 처리 (Vehicle)는 cAMP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을 처리할 경우, 글루카콘에 의해 유도된 cAMP 생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의 대부분은 10 μM을 사용하였을 때, 60 % 이상의 cAMP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cAMP의 생성을 저해시키므로, GCGR 신호 전달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2) 글루코스 생성 억제 평가
GCGR 활성화시 글루코스 생성이 증가되는 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글루코스 생성률을 평가하여 GCGR 활성 저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10 nM 글루카곤 및 당신생과정 기질 (gluconeogenic substrates)(2 mM 소듐 피루베이트 (sodium pyruvate) 및 20 mM 소듐 락테이트 (sodium lactate)) 존재하에, 마우스 1 차 간세포를 실시예 1 내지 10 화합물 (20 μM)으로 처리 하였다. 글루카곤으로 처리 30 분 후에 글루코스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에 따른 세포내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생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GA: 비교예 2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 대부분은 마우스 1 차 간세포에서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글루코스 생성을 저해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 6, 7, 9 및 10 화합물은 60 % 이상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실시예 6 및 7은 80% 이상의 현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처리함에 따라,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글루코스의 생성이 감소된 것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GCGR 활성을 저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3) 화합물의 용량 의존적 cAMP 생성 저해 효과 평가
상기 실험예 2.-2)에서 우수한 글루코스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실시예 1, 6, 7, 9 및 10 화합물의 CHO-K1 GCGR Gs 세포에서 글루카곤 유도 cAMP 생성에 대한 용량 의존적 저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CHO-K1 GCGR Gs 세포에서 글루카곤 유도 cAMP 생성에 대한 실시예 1, 6, 7, 9 및 10 화합물의 용량 의존적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cAMP 생성은 0.0001, 0.001, 0.01, 0.1, 1, 10 또는 100 μM의 실시예 화합물 및 0.1 nM 글루카곤으로 처리한 후 CHO-K1 GCGR Gs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세가지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한다. ** p < 0.01 vs. Vehicle, GA; GCGR antagonist I (Santa Cruz Biotechnology, sc-203972)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 농도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 cAMP 생성 저해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은 20 μM 이하의 낮은 IC50 값을 나타내어, 낮은 농도로 처리하여도 우수한 cAMP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 6 및 7은 각각 4.1 μM, 6.0 μM, 6.9 μM로 7 μM이하의 현저히 낮은 IC50값을 나타내어, 우수한 cAMP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cAMP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바, 이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GCGR 신호 전달을 억제하여 GCGR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3>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글루코스 생성 저해 효과 평가
글루카곤에 의한 GCGR의 활성화는 간에서 글리코겐분해 (glycogenolysis)와 글루코스신생합성 (gluconeogenesis)를 유도하여 글루코스 생성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별 글루코스 생성 저해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 2 수행을 통해 도출한 실시예 1, 6 및 7 화합물을 사용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량 의존적 글루코스 생성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우스 1 차 간세포를 10 nM의 글루카곤 및 당신생과정 기질 (gluconeogenic substrates)(2 mM 소듐 피루베이트 (sodium pyruvate) 및 20 mM 소듐 락테이트 (sodium lactate)) 존재하에 1, 5, 10, 20, 50 또는 100 μM의 실시예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글루코스 생성은 glucose assay kit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세가지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한다. * p < 0.05, ** p < 0.01, or *** p < 0.001 vs. 10 nM Glucagon (black bar)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생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6 및 7 화합물은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글루코스 생성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및 6 화합물은 10 μM으로 처리하였을 때,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글루코스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글루코스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바, 이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GCGR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4> 약동학 분석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동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3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실시예 1 및 6 화합물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경구 위관영양법 (oral gavage)으로 C57BL/6 마우스에 실시예 1 및 6을 10 mg/kg로 투여하고 혈액 내의 화합물의 수준을 0.25, 0.5, 0.75, 1, 2, 3, 4, 6 및 8 시간 후에 측정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Cmax (ng/ml) AUC (hr×ng/ml) Tmax (h)
1 9460 ± 640 27256 ± 2183 0.67 ± 0.0
6 2885 ± 205 6256 ± 1266 0.84 ± 0.1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최고 혈중 농도 (Cmax), 약물 생체이용률 (AUC), 최고 혈중농도 도달시간 (Tmax) 모두 우수한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화합물은 모든 값에서 실시예 6보다 우수한 값을 나타내어 약물로서의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의 글루코스 생성 저해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는 카이랄 중심 (chiral center)가 존재하는 바, 화합물의 카이랄성에 따른 화합물의 약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화합물 중 높은 약리효과를 나타내었던 실시예 1 및 6 및 이들의 거울상이성질체인 실시예 11, 12, 15 및 16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1 차 간세포를 10 nM의 글루카곤 및 당신생과정 기질 (gluconeogenic substrates)(2 mM 소듐 피루베이트 (sodium pyruvate) 및 20 mM 소듐 락테이트 (sodium lactate)) 존재하에 3 시간 동안 실시예 1 및 6 및 이들의 거울상이성질체인 실시예 11, 12, 15 및 16 화합물을 20 μM으로 처리 하였다. 글루카곤으로 처리 하고 30 분 후, 글루코스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도 6은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처리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7f: 실시예 6, (S)-7f: 실시예 16, (R)-7f: 실시예 15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이의 거울상 이성질체 (실시예 11 및 12)는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글루코스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특히, (R) form인 실시예 11은 라세미체인 실시예 1 또는 (S) form인 실시예 12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및 이의 거울상이성질체 (실시예 15 및 16) 또한 글쿠카곤에 의해 유도된 글루코스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나, 실시예 1 및 이의 거울상이성질체보다는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6>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의 글루코스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는 카이랄 중심 (chiral center)가 존재하는 바, 화합물의 카이랄성에 따른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화합물 중 높은 약리효과를 나타내었던 실시예 1 및 6 및 이들의 거울상이성질체인 실시예 11, 12, 15 및 16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1 차 간세포에 실시예 1 및 6 및 이들의 거울상이성질체인 실시예 11, 12, 15 및 16 화합물을 20 μM으로 24 시간 동안 처리하고, 세포 생존력을 CCK-8 assay에 의해 측정하였다. * p < 0.05, ** p < 0.01, or *** p < 0.001 vs. Vehicle, # p < 0.05, ## p < 0.01 or ### p < 0.001
도 7은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7a: 실시예 1,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7f: 실시예 6, (S)-7f: 실시예 16, (R)-7f: 실시예 15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이의 거울상 이성질체 (실시예 11 및 12)는 세포 생존률이 70% 이상으로 세포 독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R) form인 실시예 11은 라세미체인 실시예 1 또는 (S) form인 실시예 12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어,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및 이의 거울상이성질체 중 (R) form인 실시예 15는 세포 생존률이 80% 이상으로 세포 독성이 낮았으나, (S) form인 실시예 16은 강한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7> 마우스에서의 혈당 강하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in vivo 약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혈당 강하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 및 9에 나타내었다.
1)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의 화합물 투여에 따른 혈당 강하 효과 평가
높은 약리효과를 나타내었던 실시예 11 및 12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당뇨 db/db 마우스에 4주간 1일 1회 실시예 11 및 12와 비교예 1을 각각 50 mg/kg로 경구투여하였다. 처리 4주후,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화합물 처리에 따른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LY-2409021: 비교예 1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중 글루코스 (포도당, glucose) 수치는 대조군 (Vehicle)에 비해 실시예 11 및 12 화합물 모두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11 화합물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의 글루카곤 유도 혈당 상승에 대한 화합물의 혈당 강하 효과 평가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혈당 상승을 강하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글루카곤 유발 분석 (Glucagon challenge assay)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당뇨 db/db 마우스를 5 시간 동안 금식시킨 후, 실시예 11, 12 및 비교예 1 화합물을 50 mg/kg으로 경구투여하였다. 1 시간 후, 15 ㎍/kg의 글루카곤을 복강 내 주사하였다. 글루카곤 주입 후, 혈당치를 15, 30, 45, 60 분 후에 측정하였다. (n = 4-6 / group)* p < 0.05, ** p < 0.01 or *** p < 0.001 vs. Vehicle group
도 9는 화합물 처리에 따른 혈중 글루카곤 유도 글루코스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S)-7a: 실시예 12, (R)-7a: 실시예 11, LY-2409021: 비교예 1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15㎍ / kg의 글루카곤이 투여된 당뇨 db/db 마우스에 실시예 11 및 12 투여 할 경우,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혈중 글루코스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GCGR 길항 작용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당뇨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AMP 또는 글루카곤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여 GCGR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in vitro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도 확인하였으며, 세포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 검증된 바, GCGR 활성 관련 질환인 대사성 질환 특히, 당뇨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8> GCGR 신호 전달 억제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GCGR 신호 전달 억제 효과를 평가히기 위하여, 리포터 세포주 (reporter cell line) cAMP HunterTM CHO-K1 GCGR Gs 세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처리에 따른 세포 내 cAMP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1-10, 17-35 화합물을 각각 5, 10 및 20 μM씩 처리하고, cAMP 수준을 측정하였다.
도 10은 실시예 화합물의 GCGR 신호전달 억제 효과를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SD-366: 실시예 17, SD-367: 실시예 18, SD-368: 실시예 19, SD-369: 실시예 20, SD-370: 실시예 21, SD-371: 실시예 22, SD-372: 실시예 23, SD-373: 실시예 24, SD-374: 실시예 25, SD-375: 실시예 26, SD-376: 실시예 27, SD-499: 실시예 28, SD-500: 실시예 29, SD-501: 실시예 30, SD-502: 실시예 31, SD-503: 실시예 32, SD-504: 실시예 33, SD-505: 실시예 34, SD-506: 실시예 35, 7a: 실시예 1, 7b: 실시예 2, 7c: 실시예 3, 7d: 실시예 4, 7e: 실시예 5, 7f: 실시예 6, 7g: 실시예 7, 7h: 실시예 8, 7i: 실시예 9, 7j: 실시예 10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루카곤 처리 (Vehicle)는 cAMP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을 처리할 경우, 글루카콘에 의해 유도된 cAMP 생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10 화합물은 5 μM을 사용하였을 때도 글루카곤 처리에 따른 cAMP 생성을 50% 이상 감소시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GCGR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100 ㎎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건강식품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500n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mg
비타민 E 1.0mg
비타민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m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m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mg
판토텐산 칼슘 0.5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음료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500n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매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ml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5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콕시, 비치환된 C6-10아릴 또는 비치환된 C6-10아릴옥시이고;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알콕시이고;
    l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콕시, 비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이고;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알콕시이고;
    l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1 또는 2이고; 및
    n은 1 내지 5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킬,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콕시, 비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이고;
    R2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콕시이고;
    l은 1 또는 2이고;
    m은 1이고; 및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OMe, Cl, Et, i-Pr, t-Bu, CF3 또는 페녹시이고;
    R2는 Me, i-Bu 또는 n-Bu이고;
    R3은 수소이고;
    l은 1 또는 2이고;
    m은 1이고; 및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at00056
    는 페닐에 결합된 알킬옥시와 파라 (para) 위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 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 3-(4-(1-((5-(2-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 3-(4-(1-((5-(3-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4>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5> 3-(4-(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6>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7>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8>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9> 3-(4-(1-((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0> 3-(4-(1-((5-(4-Ethyl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1> (R)-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2> (S)-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3> (R)-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4> (S)-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5> (R)-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6> (S)-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펜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7> 3-(4-(1-(5-(4-브로모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오닉 애시드;
    <18> 3-(4-(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19>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0> 3-(4-(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1>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2>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3> 3-(4-(1-(5-(3-메톡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4> 3-(4-(1-(5-(5-이소프로필-2-메톡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5>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에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6> 3-(4-(1-(5-(4-tert-부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7> 3-(4-(3-메틸-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8> 3-(4-(3-메틸-1-(5-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29> 3-(4-(1-(5-(3,5-디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0> 3-(4-(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1> 3-(4-(1-(5-(2-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2> 3-(4-(1-(5-(3-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3> 3-(4-(1-(5-(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34> 3-(4-(3-메틸-1-(5-(4-페녹시페닐)피리미딘-2-일옥시)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및
    <35> 3-(4-(1-(5-(4-에틸페닐)피리미딘-2-일옥시)-3-메틸부틸)벤즈아미도)프로파노익 애시드.
  7.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 (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 (단계 2)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057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l, m 및 n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4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5알킬이고;
    X1은 할로겐이고; 및
    L1
    Figure pat00058
    또는
    Figure pat00059
    이다).
  8.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고인슐린혈증, 지방간, 고요산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대사증후군 (Syndrome X) 및 이상지질혈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GCGR (Glucagon Receptor)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혈중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글루카곤에 의해 유도된 cAMP 생성 또는 글루코스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80097480A 2018-08-21 2018-08-21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7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80A KR102176621B1 (ko) 2018-08-21 2018-08-21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80A KR102176621B1 (ko) 2018-08-21 2018-08-21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41A true KR20200021741A (ko) 2020-03-02
KR102176621B1 KR102176621B1 (ko) 2020-11-10

Family

ID=6980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80A KR102176621B1 (ko) 2018-08-21 2018-08-21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000A (ko) * 2021-04-23 2022-11-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414B1 (ko) * 2002-02-13 2006-08-02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신규한 피리딘- 및 피리미딘-유도체
KR20140082633A (ko) * 2011-07-28 2014-07-02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특정 키뉴레인-3-모노옥시제나제 억제제들, 이의 약학 조성물들 및 이의 사용 방법들
KR20150118203A (ko) 2008-08-13 2015-10-21 메타베이시스 테라퓨틱스, 인크. 글루카곤 길항제
KR20170053118A (ko) * 2015-11-04 2017-05-15 현대약품 주식회사 싸이클로 헥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414B1 (ko) * 2002-02-13 2006-08-02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신규한 피리딘- 및 피리미딘-유도체
KR20150118203A (ko) 2008-08-13 2015-10-21 메타베이시스 테라퓨틱스, 인크. 글루카곤 길항제
KR20140082633A (ko) * 2011-07-28 2014-07-02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특정 키뉴레인-3-모노옥시제나제 억제제들, 이의 약학 조성물들 및 이의 사용 방법들
KR20170053118A (ko) * 2015-11-04 2017-05-15 현대약품 주식회사 싸이클로 헥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000A (ko) * 2021-04-23 2022-11-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621B1 (ko)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91377B2 (en) 3,5-disubstituted pyrazoles useful as checkpoint kinase 1 (Chk1) inhibitors, and their preparations and applications
EP2197858B1 (en) 1,3,5-triazine-2,4,6-triamine compound or pharmaceutical acceptable salt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RU2770027C1 (ru) Новый ингибитор hif-1-альфа,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связанных с ангиогенезом заболеваний глаз, содержащая его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KR20180002539A (ko)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176621B1 (ko)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97205B1 (ko) 벤조옥사졸론 또는 벤조싸이아졸론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74395B1 (ko) 쿠마린-3-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200418820A (en) Use of kynurenine 3-hydroxyl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slets of Langerhans cells
KR20110053837A (ko) N1-(펜에틸)-n2-치환된 바이구아나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ES2527137T3 (es) Compuestos de fenantrenona,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EP3007721B1 (en) Non-agglomerating bioconjugates of amylin-mimetic compounds and polyethyleneglycol
KR101664281B1 (ko) 3,4-다이클로로페닐기를 포함하는 아세트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06541B1 (ko) 바이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58293B1 (ko) 테트라하이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34947B1 (ko) Trpv1 길항제로서 벤즈이미다졸론계 시남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42658B1 (ko) 치환된 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PARα, PPARγ 및 PPAR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247148B (zh) Wnt通路调节剂
CN107417669B (zh) 3-(1h-吲唑)-四氢嘧啶-2-酮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KR20200026104A (ko) 인체 유래의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의존 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저해물질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또는 고지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63919A (ko) 신규한 피페라진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이성질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55868A (ko) 4-옥소-4h-크로멘-2-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232663A1 (zh) 一类具有抗癌活性的氨基取代吲嗪类化合物及其衍生物
WO2009005469A2 (en) The use of compounds such as pyridoxal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or disease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KR20110101488A (ko) 올란자핀 지나포에이트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