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525A - 구강내 감미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내 감미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525A
KR20200021525A KR1020207002510A KR20207002510A KR20200021525A KR 20200021525 A KR20200021525 A KR 20200021525A KR 1020207002510 A KR1020207002510 A KR 1020207002510A KR 20207002510 A KR20207002510 A KR 20207002510A KR 20200021525 A KR20200021525 A KR 20200021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dosage
dosage form
acid
quick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901B1 (ko
Inventor
율룽 첸
샤오량 탄
유베날 히기로
인드라 프라카시
로버트 엠. 크리겔
유 쉬
하이유 렌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0002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48Di-Peptides sweeteners
    • A23V2250/2482Aspart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5Dihydrochalcone

Abstract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예를 들어, 신속-용해성 스트립)뿐만 아니라, 그러한 구강내 투여 형태를 사용하여 식용 조성물에 감미부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의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구강내 감미제 조성물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6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525,57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예를 들어, 신속-용해성 스트립)뿐만 아니라, 그러한 구강내 투여 형태를 사용하여 식용 조성물에 감미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구강내 투여 형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탕(수크로스)은 전통적으로 식용 제품에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많은 소비자는 설탕의 맛을 선호한다. 그렇지만, 설탕은 고칼로리이며, 많은 소비자는 그들이 즐기는 식용 제품을 계속 소비하면서 그들의 전체 칼로리 섭취량을 줄이기를 원한다.
고강도 감미제는 설탕의 감미도 수준(sweetness level)보다 수 배 더 큰 감미도 수준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감미도 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설탕보다 더 작은 양으로 고강도 감미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합성 고강도 감미제 및 천연 고강도 감미제 둘 모두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로서 시판되는 감미 식용 제품, 예컨대 식이 음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인체는 적절하게 기능하게 위하여 탄수화물을 필요로 하지만(즉, 약 130 g), 많은 사람들은 종종 비영양적 공급원 및 과도하게는 단백질에 이르기까지 필요량보다 훨씬 더 많은 탄수화물을 소비한다.
소비자가 즐기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감미도를 제공하면서, 식용 제품의 탄수화물 함량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할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식용 조성물에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뿐만 아니라, 이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등가 또는 월등한 감미성 강도를 제공하면서, 통상적으로 고강도 감미제로 감미부여된 음료와 대비하여 총 탄수화물 섭취량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된 식용 제품과 대비하여 감소된 탄수화물 농도에서 약 5 내지 약 10 브릭스(brix) 감미도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탄수화물 농도는 약 10%, 약 15%, 약 20%, 약 25% 또는 약 30% 또는 그 이상만큼 감소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라쿨린(miraculin) 및 디하이드로칼콘 유도체를 포함하는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를 제공하며, 구강내 투여 형태는 60초 미만 이내에 완전 용해된다.
일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정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쿨린 푸르트 분말로서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펄프로 제공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 푸르트 분말 내의 미라쿨린의 양은 약 0.01 내지 약 1 중량%, 또는 더 특히 약 0.05 중량%이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고강도 감미제, 적어도 하나의 감미성 증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고강도 감미제는 천연 고강도 감미제이다.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순도는 변동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천연 고강도 감미제는 순도가 약 80% 내지 약 100%, 또는 더 특히 약 90% 내지 약 100%, 더욱 더 특히 약 95% 이상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천연 고강도 감미제는 레바우디오시드(rebaudioside) M, 더 특히 고순도 레바우디오시드 M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고강도 감미제는 합성 고강도 감미제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합성 고강도 감미제는 아스파르탐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부형제는 벌킹제(bulking agent) 유화제, 윤활제, 향미제 및 감미제, 가스 생성 붕해제 또는 초붕해제(superdisintigre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부형제는 수용성 중합체, 가소제 및 타액 유도제로부터 선택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쿨린, 디하이드로칼콘 유도체, 및 레바우디오시드 M 또는 아스파르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강도 감미제를 포함하는 신속-용해성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이며, 신속-용해성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는 필름 또는 정제이다.
일 구현예에서, 미라쿨린 대 디하이드로칼콘(들)의 비는 약 5:1 내지 약 200:1, 또는 더 특히 약 20:1 내지 약 40:1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 대 디하이드로칼콘(들)의 비는 약 5:1 내지 약 100:1, 약 10:1 내지 약 60:1 또는 약 15:1 내지 약 40:1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디하이드로칼콘(들)의 비는 약 2000:1 내지 약 5:1, 또는 더 특히 약 5001:1 내지 약 10:1, 약 200:1 내지 약 20:1, 또는 더 특히 약 150:1 내지 약 50:1, 또는 약 100:1 내지 약 20:1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디하이드로칼콘(들)의 비는 약 500:1 이하, 또는 더 특히 약 400:1, 약 350:1, 약 300:1, 약 250:1, 약 200:1, 약 150:1, 약 100:1, 약 50:1 또는 약 25:1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디하이드로칼콘(들)의 비는 약 10:1 이하, 또는 더 특히 약 5:1, 약 4:1, 약 3:1 또는 약 2:1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펄프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펄프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비는 약 15000:1 내지 약 50:1, 예컨대 약 5000:1 내지 약 100:1 또는 약 2000:1 내지 약 500:1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펄프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펄프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비는 약 200:1 이하, 또는 더 특히 약 150:1, 약 100:1, 약 75:1 또는 약 50:1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은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 플로레틴,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식용 제품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식용 제품을 소비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강내 투여 형태를 소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강내 투여 형태와 식용 제품을 소비하는 사이의 시간 간격은 변동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시간 간격은 약 3분 미만, 또는 더 특히 약 1분 미만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하나 이상의 감미제, 감미성 증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통상적으로 고강도 감미제로 감미부여된 식용 제품과 대비하여, 감소된 탄수화물 농도에서 약 5 내지 약 10 브릭스 감미도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탄수화물 농도는 약 10%, 약 15%, 약 20%, 약 25% 또는 약 30% 또는 그 이상만큼 감소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음료 또는 음료 제품(예를 들어, 음료 시럽)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칼로리 감소(reduced-calorie) 음료 또는 무칼로리(non-calorie) 음료이다.
제4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강내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냉동 건조(동결건조), 정제 성형, 분무 건조, 승화, 직접 압축 또는 나노화(nanonizat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속-용해 정제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용매 캐스팅, 고온 용융 압출, 반용매 캐스팅, 고체 분산 압출 및 롤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속-용해성 스트립이다.
도 1: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 플로레틴 및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NHDC)을 포함한 특정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의 화학 구조를 도시한다.
I.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탄수화물"은 일반적으로 일반 화학식 (CH2O)n(여기서, n은 3 내지 30임)의 다수의 하이드록실 기로 치환된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들의 올리고머 및 중합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식용 제품과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된"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을 제외한, 탄수화물 감미제, 고강도 감미제 또는 둘 모두로 감미부여된 식용 제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붕해 시간"은 타액, 물, 또는 유사한 용매와 접촉된 후에 일체형 구강내 필름이 분해되고 더 이상 일체형 단위로서 인식되지 않는 시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투여 형태"는 용량(dose)이 대상체에 의해 소비되는 형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투여 형태는 고체, 액체 또는 가스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용해가능한 형태"는 입안에서 용해되어 용액이 되는 임의의 조성물을 지칭한다. 일 구현예에서, 그러한 조성물은 어떠한 씹는 동작 없이 입안에 넣은 후 약 60초 이내에 용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신속-용해성 필름" 또는 "신속-용해성 스트립"은 얇은 구강내 필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수화제로서 타액의 도움으로 구강 내에 흡수되고, 타액이 아래로 지나가서 위에 들어감에 따라 입, 인두 및 식도로부터의 위 이전(pre-gastric) 흡수를 통해 그들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고순도" 화합물은 주어진 혼합물에 건조 기준으로 약 95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이소스위트(isosweet)"는 등가의 감미도를 갖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조성물의 감미도는 통상적으로 수크로스 용액을 참조물로 하여 측정된다. 문헌["A Systematic Study of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hips of Sweeteners," G. E. DuBois, D. E. Walters, S. S. Schiffman, Z. S. Warwick, B. J. Booth, S. D. Pecore, K. Gibes, B. T. Carr, and L. M. Brands, in Sweeteners: Discovery, Molecular Design and Chemoreception, D. E. Walters, F. T. Orthoefer, and G. E. DuBois,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91), pp 261-276]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천연 고강도 감미제", "NHIS", "NHIS 조성물", 및 "천연 고강도 감미제 조성물"은 동의어이며, 미가공 형태, 추출된 형태, 정제된 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는 천연에서 발견되는 임의의 감미제를 지칭하며, 특징적으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또는 글루코스보다 더 큰 감미성 강도를 가지면서도 더 적은 칼로리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구강내 투여 형태”는 입에 의해 소비되도록 의도된 투여 형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타액 자극제"는, 예를 들어 구강내 투여 형태의 용해를 돕기 위하여 타액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수크로스 등가(sucrose equivalence)"는 수크로스 참조물 대비 조성물의 감미도를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미각 패널리스트는 1 내지 15% 수크로스(w/v)를 함유하는 참조 수크로스 용액의 감미도를 검출하도록 훈련받는다. 이어서, 다른 조성물을 연속 희석물로 해서 맛보게 하여, 주어진 % 수크로스 참조물에 대한 감미제(즉, 이소스위트)로서 조성물의 농도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감미성 증강제"는 감미제 조성물 또는 감미 조성물의 단맛의 지각을 증강 또는 강화시킬 수 있는 성분 또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감미성 증강제는 어떠한 식별가능한 단맛 그 자체도 제공하지 않으면서 감미제의 단맛을 증강 또는 강화시키는데, 즉 그의 감미성 인식 역치 이하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감미성 인식 역치"는 인간의 미각에 의해 지각가능한 감미 조성물의 최저로 알려진 농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스테비올 글리코시드(들)"는 천연 발생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예를 들어 스테비올모노시드, 스테비올바이오시드, 루부소시드, 둘코시드 B, 둘코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G, 스테비오시드, 레바우디오시드 C, 레바우디오시드 F,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I,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H, 레바우디오시드 L, 레바우디오시드 K, 레바우디오시드 J, 레바우디오시드 X, 레바우디오시드 D, 레바우디오시드 N, 레바우디오시드 O, 합성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예를 들어 효소적으로 글루코실화된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스테비올의 글리코시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합성 고강도 감미제", "SHIS", "SHIS 조성물", 및 "합성 고강도 감미제 조성물"은 동의어이며, 천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임의의 감미제를 지칭하며, 특징적으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또는 글루코스보다 더 큰 감미성 강도를 가지면서도 더 적은 칼로리를 갖는다.
II. 조성물
본 발명은 식용 조성물의 맛을 개질시키는, 예를 들어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구강내 투여 형태, 예를 들어 단회 사용 구강내 투여 형태를 제공한다.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쿨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과 조합된 미라쿨린을 함유하며, 이는 하기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다. 유리하게도, 구강내 투여 형태는 대상체가 식용 조성물을 소비하기 전에 소비할 때 식용 조성물의 맛을 조절하며, 예를 들어 식용 조성물의 감미성을 증가시킨다.
1. 구강내 투여 형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체 점적제(drop) 또는 신속-용해성 전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신속-용해성 약물 전달 시스템은 타액과의 접촉 시에 구강 내에서 빠르게 용해되거나 붕해되고, 그 결과 투여된 화합물(들)(예를 들어, 미라쿨린)의 용액 또는 현탁액이 생성된다. 특정 경우에, 신속-용해성 전달 시스템은 플라스틱 배킹(backing) 상의, 예컨대 패키지 상의 핥아먹을 수 있는 코팅(lickable coating)이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용해성 또는 붕해성 정제, 예컨대 신속-용해성 또는 붕해성 정제이다. FDT(구강분해성 정제로도 알려짐)는 입안에서, 통상적으로 60초 미만 이내에 용해되거나 붕해되는 고체 단위 투여 형태이다. (문헌[Bhowmik et al,. Journal of Chemical and Pharmaceutical Research, 2009, 1(1): 163-177]). 이상적으로, 신속-용해성 정제는 신속한 붕해 속도, 제조 및 저장 과정에서의 파괴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경도, 및 저비용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신속-용해성 정제는 물 없이 그리고/또는 씹지 않고서 투여될 수 있다.
신속-용해성 정제는 통상적으로 수 개의 부형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신속-용해성 정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부형제는 벌킹제, 유화제, 윤활제, 향미제 및 감미제, 가스 생성 붕해제 및 이른바 초붕해제를 포함한다. (문헌[Kuldeep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0; 2 (10): 318-329]).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초붕해제는 가교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크로스카르멜로스), 글리콜산전분나트륨(Primogel, Explotab), 폴리비닐피롤리돈(Polyplasdone)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혀 위에 놓은 후에 정제의 순간적인 붕해를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신속-용해성 정제는 약 3분 미만, 약 2분 미만, 약 70초 미만, 약 65초 미만, 약 60초 미만, 약 55초 미만, 약 50초 미만, 약 45초 미만, 약 40초 미만, 약 35초 미만, 약 30초 미만, 약 25초 미만, 또는 약 20초 미만 이내에 입안/구강 내에서 용해된다.
신속-용해성 정제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하기에 추가로 논의되어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스트립 또는 필름, 예컨대 신속-용해성 스트립 또는 필름(FDF)이다. 스트립 또는 필름은 식용이며, 임의의 유형의 통상적인 용해성 구강내 식용 스트립 또는 필름을 포함한다. 신속-용해성 스트립은 장방형, 정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등과 같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신속-용해성 스트립은 또한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필름은 습윤 표면, 예컨대 혀와의 접촉 시에 수 초 이내에 용해되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소비자가 추가의 액체에 대한 필요성 없이 제품을 먹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신속-용해성 필름은 통상적으로 표면적이 약 1 내지 약 20 cm2, 또는 더 특히 약 1 내지 약 15 cm2, 약 5 내지 약 10 cm2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용해성 필름의 표면적은 약 1 내지 약 10cm2, 또는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또는 약 10 cm2이다. 투여 형태 내의 미라쿨린(또는 미라쿨린 + 하나 이상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의 양은 변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이 양은 약 2% 내지 약 50%, 더 특히 약 5% 내지 약 30%, 더욱 더 특히 약 5% 내지 약 15%이다.
필름은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형제에는 수용성 중합체, 가소제, 계면활성제, 감미제, 타액 자극제, 충전제, 청량제, 및 착색제 또는 향미제가 포함된다.
구강내 붕해성 필름 또는 스트립은 수용해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수용해성 중합체는 투여 형태가 혀 위에 또는 구강에 놓여질 때 타액에 의해 신속하게 수화되고 점막에 부착되어 신속하게 붕해될 수 있게 한다. 수용성 중합체는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천연 수용성 중합체는 탄수화물(예를 들어, 풀루란, 알긴산나트륨, 말토덱스트린, 글리콜산전분나트륨), 단백질(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수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합성 수용성 중합체는 셀룰로스 유도체(예를 들어,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실 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실 프로필셀룰로스), 비닐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아크릴산 중합체(Eudragit®)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필름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알킬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알코올, 알긴산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잔탄 검, 트래거캔스 검, 구아 검, 풀루란, 아카시아 검, 아라비아 검, 및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용해성 필름 내의 수용성 중합체의 중량 백분율은 변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약 40 내지 약 70 중량%, 더 특히 약 40 내지 약 50 중량%, 약 50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약 60 내지 약 70 중량%이다. 일 구현예에서, 수용성 중합체의 중량 백분율은 약 60 내지 약 65 중량%이다.
가소제는 다양할 수 있지만 수용성 중합체와 상용성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신속-용해성 필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소제는 글리세롤,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를 들어, PEG-300, PEG-400), 프로필렌 글리콜, 시트르산염 유도체(예를 들어, 트리아세틴) 및 프탈산염 유도체(예를 들어, 디부틸 프탈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해성 필름 내의 가소제의 중량 백분율은 변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약 0.2 내지 약 20 중량%, 또는 더 특히 약 0.5 내지 약 10 중량%, 또는 더 특히 약 1 내지 약 5 중량%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수용성 중합체는 셀룰로스 유도체이고, 가소제는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수용성 중합체는 비닐 중합체이고, 가소제는 글리세롤이다.
본 발명의 신속-용해성 필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Tween, 염화벤잘코늄 및 폴록사머 407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타액 자극제는 글루코스, 프룩토스, 자일로스, 말토스, 락토스, 수크로스, 아스파르탐, 사카린나트륨, 시트르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및 락트산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타액 자극제의 양은 변동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타액 자극제는 약 2 내지 약 6 중량%로 존재한다.
적합한 청량제는 모노메틸 석시네이트, WS3, WS23 및 Utracoll II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안정제 및 증점제는 천연 검, 예컨대 잔탄 검, 로커스트 빈 검, 카라기난 및 셀룰로스성 유도체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안정제 또는 증점제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 또는 더 특히 약 1 내지 약 3 중량%, 또는 약 3 내지 약 5 중량%이다.
적합한 향미제는 합성 향미 오일, 정유(essential oil), 민트, 달콤한 제과용 향미제 및 시큼한 과일 향미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착색제는 FD & C 색소, EU 색소, 천연 색소 및 맞춤형 팬톤-매칭 색소(custom Pantone-matched color)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신속-용해성 필름 또는 스트립은 잔탄, 로커스트 빈 검, 구아, 겔란 검,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풀루란, 펙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신속-용해성 필름은 약 3분 미만, 약 2분 미만, 약 70초 미만, 약 65초 미만, 약 60초 미만, 약 55초 미만, 약 50초 미만, 약 45초 미만, 약 40초 미만, 약 35초 미만, 약 30초 미만, 약 25초 미만, 또는 약 20초 미만 이내에 구강 내에서 용해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신속-용해성 필름은 약 90초 내지 약 60초, 약 80초 내지 약 50초, 약 70초 내지 약 40초 또는 약 60초 내지 약 30초의 시간 프레임 내에 구강 내에서 용해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신속-용해성 필름은 약 90초, 약 85초, 약 80초, 약 75초, 약 70초, 약 65초, 약 60초, 약 55초, 약 50초, 약 45초, 약 40초, 약 35초, 약 30초, 약 25초, 약 20초, 또는 약 15초 또는 그보다 짧은 시간 이내에 구강 내에서 용해된다.
용해성 필름의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제형이 하기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신속-용해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하기에 추가로 논의되어 있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신속-용해성 캡슐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신속-용해성 캡슐은 약 3분 미만, 약 2분 미만, 약 70초 미만, 약 65초 미만, 약 60초 미만, 약 55초 미만, 약 50초 미만, 약 45초 미만, 약 40초 미만, 약 35초 미만, 약 30초 미만, 약 25초 미만, 또는 약 20초 미만 이내에 구강 내에서 용해된다.
신속-용해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하기에 추가로 논의되어 있다.
2. 미라쿨린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쿨린을 포함하며, 미라쿨린은 정제된 형태로 또는 미라쿨린 과일 분말로서 제공될 수 있다.
미라쿨린은 식물 신세팔룸 둘시피쿰(Synsepalum dulcificum)(리차델라 둘시피카(Richadella dulcifica)로도 알려짐)의 과일 내에 함유된 맛-개질 당단백질이다. 미라쿨린은 1968년에 미라클 푸르트(miracle fruit, 기적의 열매)의 기능성 성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문헌[Kurihara and Beidler, Science (1968) 161 (847), pp. 1241- 1243]). 미라클 푸르트 식물 및 그의 베리에 대한 일반명은 미라클 푸르트, 미라클 베리, 기적의 베리, 스위트 베리를 포함하며, 이들 종의 기원이 되는 곳인 서아프리카에서는 아그베이언(agbayun), 타아미(taami), 아사아(asaa), 및 레디디(ledidi)를 포함한다. 미라쿨린 단백질은 그 자체로 매우 안정적이며, 기능 손실 없이 수 개월(예를 들어, 6개월) 동안 순수한 형태로 또는 용액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문헌[Gibbs et al., (1996). Sweet and taste-modifying proteins: A review. Nutrition Research, 16(9), 1619-1630]).
미라쿨린은 맛의 지각된 질 및 강도를 변형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예를 들어 식품의 산미성(sourness)을 감미성으로 변화시키는데, 이러한 효과는 수 분 내지 수 시간 지속된다(문헌[Kurihara, Y. (1992). Characteristics of Antisweet Substances, Sweet Proteins, and Sweetness- Inducing Proteins.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3), 231-252]).
미라쿨린의 단량체 형태는 모든 pH에서뿐만 아니라 고농도에서 향미가 없으며; 이량체 형태는 산성 pH에서 그의 맛-변형 활성을 이끌어내며; 사량체 형태가 또한 활성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정신물리학적 연구는 산의 유형이 미라쿨린의 맛-변형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내었는데, 약산이 강산보다 더 강력한 맛-변형 효과를 일으킨다. (문헌[Brouwer et al., Nature 220, 373-374 (1968)].
미라쿨린 단백질의 완전한 아미노산 서열이 결정되어 있다(문헌[Theerasilp et al., J Biol Chem. (1989) 264 (12), pp. 6655-6659]). 이는 191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단일 폴리펩티드이다. 아미노산 서열 및 탄수화물 함량(13.9%)에 기초하여 계산된 분자량은 24,600이다. Asn-42 및 Asn-186이 탄수화물 사슬에 N-글리코시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미라쿨린의 아미노산 서열과 대두 트립신 억제제 사이에 높은 상동성이 확인되어 있다.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또한 결정되어 있다(문헌[Masuda et al., Gene (1995) 161, pp. 175-177]). 미라쿨린 유전자의 전장(full-length) cDNA 서열은 문헌[Masuda et al., Gene (1995) 161, pp. 175-177]에 보고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정제된 미라쿨린을 포함하는 구강내 투여 형태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식물로부터 추출되고 정제될 수 있다(문헌[He et al, Food Chemistry, (2015), 181, p. 19-24]). 대안적으로, 미라쿨린은 유전자도입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식물에서의 유전자도입 생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문헌[Jin et 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3), 56, pp. 271-264]). 특정 식물은 다양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는 상추, 토마토 및 딸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로 제공된 미라쿨린을 포함하는 구강내 투여 형태를 제공한다. 미라클 프루트 분말은 미라클 프루트로부터 생성된 유동가능한 분말이다. 미라클 프루트 분말 내의 미라쿨린의 양은 변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의 약 0.05%를 구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의 미라쿨린을 약 1 내지 약 10 중량%, 예컨대 약 3 내지 약 10 중량%, 약 3 내지 약 7 중량% 또는 약 3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의 미라쿨린을 약 4 내지 약 8%, 예컨대 약 4 내지 약 6%의 양으로 함유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의 미라쿨린을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약 7.0, 약 7.5, 약 8.0, 약 8.5, 약 9.0, 약 9.5 또는 약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정제된 형태로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펄프의 형태로 제공된다.
3.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하나 이상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과 조합된 미라쿨린을 포함한다.
적합한 비제한적인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OR6, 알킬 및 치환된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6은 알킬, 치환된 알킬 및 탄수화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은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CC-00800), 플로레틴,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나린진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화합물 중 몇몇에 대한 화학식이 본 명세서의 도 1에 제공되어 있다.
구강내 투여 형태 내의 하나 이상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중량 백분율은 변동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의 하나 이상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양은 약 1 내지 약 5 중량%, 더 특히 약 1 내지 약 4 중량%, 약 1 내지 약 3 중량%, 또는 더 특히 약 1.45% 또는 약 3.0 중량%이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의 하나 이상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양은 약 1, 약 1.2, 약 1.4, 약 1.6, 약 1.8, 약 2.0, 약 2.2, 약 2.4, 약 2.6, 약 2.8, 약 3.0, 약 3.2, 약 3.4, 약 3.6, 약 3.8, 약 4.0, 약 4.2, 약 4.4, 약 4.6, 약 4.8 또는 약 5.0 중량%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의 하나 이상의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양은 약 5.0 중량% 미만, 약 4.5 중량% 미만, 약 4.0 중량% 미만, 약 3.5 중량% 미만, 약 3.0 중량% 미만, 약 2.5 중량% 미만, 약 2.0 중량% 미만, 약 1.5 중량% 미만, 약 1.0 중량% 미만 또는 약 0.5 중량% 미만이다.
미라쿨린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중량비는 변동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비는 약 2000:1 내지 약 5:1, 예컨대 약 500:1 내지 약 10:1, 약 200:1 내지 약 20:1, 약 150:1 내지 약 50:1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비는 약 500:1 이하, 또는 더 특히 약 400:1, 약 350:1, 약 300:1, 약 250:1, 약 200:1, 약 150:1, 약 100:1, 약 75:1, 약 50:1 또는 약 35:1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디하이드로칼콘(들)의 비는 약 10:1 이하, 예컨대 약 9:1, 약 8:1, 약 7:1, 약 6:1, 약 5:1, 약 4:1, 약 3:1, 약 2:1 또는 약 1:1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디하이드로칼콘(들)의 비는 약 10:1 이하, 예컨대 약 9:1 내지 약 1:1, 약 8:1 내지 약 2:1, 약 7:1 내지 약 3:1 또는 약 6:1 내지 약 4:1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정제된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쿨린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의 비는 약 5:1 내지 약 200:1, 예컨대 약 5:1 내지 약 100:1, 약 10:1 내지 약 60:1 또는 약 15:1 내지 약 40:1이다. 베리당 약 1 내지 1.5 mg의 미라쿨린이 존재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펄프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펄프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비는 약 15000:1 내지 약 50:1, 예컨대 약 5000:1 내지 약 100:1 또는 약 2000:1 내지 약 500:1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펄프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펄프 대 디하이드로칼콘 화합물(들)의 비는 약 200:1, 또는 더 특히 약 150:1, 약 100:1, 약 75:1, 약 100:1, 약 75:1, 약 50:1 또는 약 25:1이다.
4. 천연 고강도 감미제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천연 고강도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 내에 존재하는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양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에 통상적으로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양보다 더 적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소비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 내에 존재하는 천연 감미제의 양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에 통상적으로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양보다 약 10%, 약 15%, 약 20%, 약 25%를 초과하는 양만큼 더 적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소비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 내에 존재하는 천연 감미제의 양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에 통상적으로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양보다 약 10% 내지 약 15%, 약 15% 내지 약 25%, 약 25% 내지 약 35% 또는 약 35% 내지 약 40% 더 적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소비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 내에 존재하는 천연 감미제의 양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에 통상적으로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양보다 약 5,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또는 약 40% 더 적다.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천연 고강도 감미제는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레바우디오시드 D,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레바우디오시드 M, 레바우디오시드 N, 레바우디오시드 O, 레바우디오시드 I, 둘코시드 A, 둘코시드 B, 루부소시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시드, 모그로시드 IIIe, 모그로시드 IV, 이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VI, 나한과(Luo Han Guo) 감미제, 시아메노시드 I, 시라토스, 모나틴 및 이의 염(모나틴 SS, RR, RS, SR), 쿠르쿨린, 글리시리진산 및 이의 염, 타우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플로리진, 트릴로바틴, 바이유노시드, 오슬라딘, 폴리포도시드 A, 프테로카리오시드 A, 프테로카리오시드 B, 무쿠로지오시드, 플로미소시드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시드 A, 사이클로카리오시드 1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순도는 변동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천연 고효력(high potency) 감미제는 임의의 순도 백분율의 추출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천연 고강도 감미제가 비추출물로서 제공될 경우,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순도는, 예를 들어 약 25% 내지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고강도 감미제의 순도는 약 50% 내지 약 100%; 약 70% 내지 약 100%; 약 80%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99.5%; 약 96% 내지 약 100%; 약 97% 내지 약 100%; 약 98% 내지 약 100%; 및 약 99% 내지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쿨린 및 레바우디오시드 M을 함유한다.
최근에, 레바우디오시드 M(문헌에 레바우디오시드 X로도 지칭됨), (13-[2-O-β-D-글루코피라노실-3-O-β-D-글루코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 엔트-카우르-16-엔-19-산-[2-O-β-D-글루코피라노실-3-O-β-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Stevia rebaudiana)로부터 단리되었으며, 다음으로 특징지어진다:
Figure pct00002
레바우디오시드 M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내에 미량, 즉 약 0.05 내지 0.5 중량%로 존재한다. 레바우디오시드 X를 단리하는 방법은 PCT/US2012/070562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레바우디오시드 M은 순수한 화합물, 또는 대안적으로, 추출물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레바우디오시드 M은 약 50% 내지 약 100%; 약 70% 내지 약 100%; 약 80%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99.5%; 약 96% 내지 약 100%; 약 97% 내지 약 100%; 약 98% 내지 약 100%; 및 약 99% 내지 약 100% 범위의 순도로 제공될 수 있다.
레바우디오시드 M은 또한 Chromadex로부터 구매 가능하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i) 구강내 투여 형태의 약 3 내지 약 10 중량%, 더 특히 약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의 미라쿨린; (ii) 구강내 투여 형태의 약 0.01 내지 약 0.1 중량%, 더 특히 약 0.035 중량%로 존재하는 레바우디오시드 M; 및 (iii) 약 1 내지 약 5 중량%, 더 특히 약 1 내지 약 3 중량%, 더욱 더 특히 약 1.45 중량%로 존재하는 플로레틴을 함유하는 구강내 투여 형태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또는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과 조합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레바우디오시드 M으로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보다 더 적은 레바우디오시드 M을 함유하고, 더 특히 레바우디오시드 M으로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보다 약 10% 더 적은, 약 15% 더 적은, 약 20% 더 적은, 약 25% 더 적은, 약 30% 더 적은, 약 35% 더 적은, 약 40% 더 적은, 약 45% 더 적은, 약 50% 더 적은, 약 55% 더 적은, 약 60% 더 적은, 약 65% 더 적은, 약 70% 더 적은 또는 약 75% 더 적은(또는 더 큰) 레바우디오시드 M을 함유하지만, 등가의 또는 월등한 감미도를 유지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i) 약 3 내지 약 10 중량%, 더 특히 약 7.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의 미라쿨린, (ii) 약 0.01 내지 약 0.1 중량%, 더 특히 약 0.035 중량%로 존재하는 레바우디오시드 M, 및 (ii) 약 1 내지 약 5 중량%, 더 특히 약 1 내지 약 3 중량%, 더욱 더 특히 약 1.45 중량%로 존재하는 플로레틴을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또는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과 조합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레바우디오시드 M으로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되는 식용 제품보다 더 적은 레바우디오시드 M을 함유하고, 더 특히 Reb M으로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보다 약 10% 더 적은, 약 15% 더 적은, 약 20% 더 적은, 약 25% 더 적은, 약 30% 더 적은, 약 35% 더 적은, 약 40% 더 적은, 약 45% 더 적은, 약 50% 더 적은, 약 55% 더 적은, 약 60% 더 적은, 약 65% 더 적은, 약 70% 더 적은 또는 약 75% 더 적은(또는 더 큰) Reb M을 함유하지만, 등가의 또는 월등한 감미도를 유지한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미라쿨린 및 레바우디오시드 A를 함유한다.
레바우디오시드 A는 하기 화학 구조를 갖는 고효력 디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감미제이다:
Figure pct00003
.
레바우디오시드 A는 일본, 싱가포르, 대만,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중국, 이스라엘, 인도,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및 파라과이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베르톤(Berton)) 식물("스테비아")로부터, 다른 스테비올 글리코시드와 함께 단리되고 추출된다. 이는 많은 다른 무칼로리 감미제보다 월등한 기능성 및 관능 특성을 갖는 천연 무칼로리 감미제이다. 스테비아의 가공처리 형태는 설탕보다 70 내지 400배 더 강력할 수 있지만; 스테비아는 또한 쓴맛 성분을 갖는다. 스테비아 내에 존재하는 4가지 주요 디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 감미제 중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가 가장 적은 쌉쌀한 맛(astringent), 가장 적은 쓴맛, 그리고 가장 적은 지속된 뒷맛(aftertaste)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그러나, 레바우디오시드 A는 그것을 설탕과 구별되게 하는 향미 및 맛 특성을 여전히 나타낸다. 따라서, 레바우디오시드 A를 변형시켜, 조성물에 감미부여하는 것으로는 유용하지만 레바우디오시드 A보다 더 바람직한 향미 및/또는 시간적 프로파일(temporal profile)을 나타내는 신규한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천연 고강도 감미제는, 하기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합성 고효력 감미제와 함께, 선택적으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미라쿨린 및 고강도 감미제를 포함하는 구강내 투여 형태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이러한 구강내 투여 형태는 단회 사용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구강내 투여 형태는 60초 미만 이내에 완전히 용해될 수 있다. 고강도 감미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감미제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감미제는 레바우디오시드 A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감미제는 레바우디오시드 M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 대 고강도 감미제 화합물(들)의 비는 약 500:1 이하; 450:1 이하, 425:1 이하, 또는 200:1 이하, 또는 더 특히 약 150:1, 약 100:1, 약 75:1 또는 약 50:1이다. 일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 대 고강도 감미제 화합물(들)의 비는 약 425:1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쿨린 대 고강도 감미제 화합물(들)의 비는 약 150:1 이하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로 제공되고,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고강도 감미제 화합물(들)의 비는 약 500:1 이하; 450:1 이하, 425:1 이하, 또는 200:1 이하, 또는 더 특히 약 150:1, 약 100:1, 약 75:1 또는 약 50:1이다. 일 특정 구현예에서,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고강도 감미제 화합물(들)의 비는 약 425:1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라클 프루트 분말 대 고강도 감미제 화합물(들)의 비는 약 150:1 이하이다.
5. 합성 고강도 감미제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합성 고강도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 내에 존재하는 합성 고강도 감미제의 양은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에 통상적으로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합성 고강도 감미제의 양보다 더 적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 내에 존재하는 합성 고강도 감미제의 양은 음료, 또는 더 특히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음료에 통상적으로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합성 고강도 감미제의 양보다 약 10%, 약 15%, 약 20%, 약 25%를 초과하는 양만큼 더 적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합성 감미제의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예는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아드반탐, 이들의 염 등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i) 약 3 내지 약 10% 중량%, 더 특히 약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미라클 프루트 분말 형태의 미라쿨린; (ii) 약 0.01 내지 약 0.1 중량%, 또는 더 특히 약 0.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아스파르탐; 및 (iii) 약 1 내지 약 5 중량%, 더 특히 약 1 내지 약 3 중량%, 더욱 더 특히 약 3 중량% 또는 약 1.45 중량%로 존재하는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을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또는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과 조합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아스파르탐으로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보다 더 적은 아스파르탐을 함유하고, 더 특히 아스파르탐으로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되는 식용 제품(예를 들어, 음료)보다 약 10% 더 적은, 약 15% 더 적은, 약 20% 더 적은, 약 25% 더 적은, 약 30% 더 적은, 약 35% 더 적은, 약 40% 더 적은, 약 45% 더 적은, 약 50% 더 적은, 약 55% 더 적은, 약 60% 더 적은, 약 65% 더 적은, 약 70% 더 적은 또는 약 75% 더 적은(또는 더 큰) 아스파르탐을 함유한다.
하나 이상의 합성 고강도 감미제는, 상기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천연 고효력 감미제와 함께, 선택적으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6. 단맛 증강 조성물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단맛 증강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단맛 증강 조성물은 적합한 감미제와 조합되어 증강된 감미성을 갖는 감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감미성 증강제와 적어도 하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감미성 증강제가 감미제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면서 또한 감미제의 시간적 프로파일 및/또는 향미 프로파일을 설탕과 더 유사하게 변형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구상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감미성 증강제와 적어도 하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이할 수 있다.
단맛 증강 조성물의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예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당산(sugar acid)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 염(유기산 염 및 유기 염기 염을 포함함), 무기 염, 쓴맛 화합물, 향미제 및 향미 성분, 쌉쌀한 맛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계면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중합체, 당-유사 특성을 부여하는 다른 단맛 개선 맛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에 존재하는 단맛 증강 조성물의 양은 음료에 통상적으로 단맛을 가미하는 데 사용되는 단맛 증강 조성물의 양보다 더 적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내에,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그와 함께 사용되는 식용 제품 내에 존재하는 감미성 증강제의 양은 음료, 또는 더 특히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음료에 통상적으로 감미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단맛 증강 조성물의 양보다 약 10%, 약 15%, 약 20%, 약 25%를 초과하는 양만큼 더 적다.
III. 식용 제품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식용 제품에 감미부여하거나 그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식용 제품은 입안에서 사용하기에 또는 섭취에 적합한 임의의 식용 또는 구강내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식용 제품은, 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 식용 겔 혼합물 및 조성물, 치과용 조성물, 식료품(당과 제품, 양념류, 츄잉 검, 곡류 조성물, 제빵 제품, 유제품, 및 식탁용(tabletop) 감미제 조성물), 음료 및 음료 제품을 포함한다.
식용 제품은 하기에 상세하게 기재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기능성 성분은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제, 방부제, 글루코사민, 폴리페놀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적합한 기능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식용 제품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첨가제에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당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 염(유기산 염 및 유기 염기 염을 포함함), 무기 염, 쓴맛 화합물, 카페인, 향미제 및 향미 성분, 쌉쌀한 맛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계면활성제, 유화제, 증량제, 주스, 유제품, 곡류 및 다른 식물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적합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1. 음료
특정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음료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음료"는 즉시 마실 수 있는(ready-to-drink) 음료이다. 적합한 즉시 마실 수 있는 음료는 탄산 음료 및 비탄산 음료를 포함한다. 탄산 음료는 소프트 드링크, 콜라, 레몬라임향(flavored) 스파클링 음료, 오렌지향 스파클링 음료, 포도향 스파클링 음료, 딸기향 스파클링 음료, 파인애플향 스파클링 음료, 진저에일, 소프트 드링크, 루트 비어(root beer) 및 맥아 음료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탄산 음료는 과일 주스, 과일향 주스, 주스 드링크, 넥타르, 식물즙, 식물향 즙, 스포츠 음료, 에너지 드링크, 단백질 드링크, 비타민을 함유하는 영양 강화수(enhanced water), 물 같은 드링크(near water drink)(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향미제를 함유하는 물), 코코넛 워터, 차 유형(예를 들어, 홍차, 녹차, 레드티(red tea), 우롱차), 커피, 코코아 드링크, 우유 성분 함유 음료(예를 들어, 우유 음료, 우유 성분 함유 커피, 카페오레(cafe au lait), 밀크 티, 과일 우유 음료), 곡류 추출물 함유 음료, 스무디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음료는 액체 매트릭스, 즉 이들 성분이 용해되는 기본 성분을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액체 매트릭스는 음료 품질의 물이며, 예를 들어 탈이온수, 증류수, 역삼투수, 탄소 처리수, 정제수, 탈염수 및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액체 매트릭스는 인산, 인산염 완충액, 시트르산, 시트르산염 완충액 및 탄소 처리수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음료는 함유물(inclusion), 즉 펄프, 시드(seed), 청크(chunk) 등을 함유한다.
합성 감미제는 약 0.3 ppm 내지 약 3,5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천연 고효력 감미제는 약 0.1 ppm 내지 약 3,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음료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당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 염(유기산 염 및 유기 염기 염을 포함함), 무기 염, 쓴맛 화합물, 카페인, 향미제 및 향미 성분, 쌉쌀한 맛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계면활성제, 유화제, 증량제, 주스, 유제품, 곡류 및 다른 식물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적합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올은 약 100 ppm 내지 약 250,000 ppm, 예컨대 약 5,000 ppm 내지 약 40,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아미노산은 약 10 ppm 내지 약 50,000 ppm, 예컨대 약 1,000 ppm 내지 약 10,000 ppm, 약 2,500 ppm 내지 약 5,000 ppm 또는 약 250 ppm 내지 약 7,5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뉴클레오티드는 약 5 ppm 내지 약 1,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유기산 첨가제는 약 10 ppm 내지 약 5,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무기산 첨가제는 약 25 ppm 내지 약 25,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쓴맛 화합물은 약 25 ppm 내지 약 25,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향미제는 약 0.1 ppm 내지 약 5,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의 구현예에서, 중합체는 약 30 ppm 내지 약 2,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계면활성제 첨가제는 약 30 ppm 내지 약 2,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약 0.1 ppm 내지 약 1,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알코올 첨가제는 약 625 ppm 내지 약 10,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의 구현예에서, 쌉쌀한 맛 첨가제는 약 10 ppm 내지 약 5,000 ppm의 농도로 음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음료는 하기에 상세하게 기재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기능성 성분은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제, 방부제, 글루코사민, 폴리페놀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적합한 기능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음료의 pH는 감미성 증강에 실질적으로 또는 불리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 음료의 pH 범위의 비제한적인 예는 약 1.8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추가의 예는 약 2 내지 약 5의 pH 범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음료의 pH는 약 2.5 내지 약 4.2일 수 있다. 당업자는, 음료의 pH가 음료의 유형에 기초하여 변동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유제품 음료는 pH가 4.2를 초과할 수 있다.
음료의 적정 산도(titratable acidity)는, 예를 들어 음료의 약 0.01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스파클링 음료 제품은 산도가 음료의 약 0.01 내지 약 1.0 중량%, 예컨대 음료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0.25 중량%이다.
스파클링 음료 제품의 탄산화는 0 내지 약 2%(w/w),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1.0%(w/w)의 이산화탄소 또는 이의 등가물을 갖는다.
음료의 온도는, 예를 들어 약 4℃ 내지 약 100℃, 예컨대 약 4℃ 내지 약 25℃의 범위일 수 있다.
음료는 8 oz 1회분당 최대 약 120 칼로리를 갖는 완전-칼로리(full-calorie) 음료일 수 있다.
음료는 8 oz 1회분당 최대 약 60 칼로리를 갖는 중간-칼로리(mid-calorie) 음료일 수 있다.
음료는 8 oz 1회분당 최대 약 40 칼로리를 갖는 저칼로리(low-calorie) 음료일 수 있다.
음료는 8 oz 1회분당 약 5 칼로리 미만을 갖는 제로-칼로리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칼로리 감소 소다는, 예를 들어 카라멜 색소를 포함한다.
2. 식용 겔 혼합물 및 식용 겔 조성물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식용 겔 또는 식용 겔 혼합물이다.
식용 겔은 먹을 수 있는 겔이다. 겔은 입자들의 네트워크가 액체 매체의 부피에 걸쳐 이어져 있는 콜로이드성 시스템이다. 겔이 주로 액체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액체와 유사한 밀도를 나타낼지라도, 겔은 액체 매체에 걸쳐 이어져 있는 입자들의 네트워크로 인해 고체의 구조적 응집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겔은 고체인 젤리-유사 물질인 것으로 나타난다. 겔은 다수의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겔은 식품, 페인트, 및 접착제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식용 겔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젤 디저트, 푸딩, 젤리, 페이스트, 트라이플, 아스픽, 마시멜로, 구미 캔디(gummy candy) 등을 포함한다. 식용 겔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분말형 또는 과립형 고체로서, 이것에 유체가 첨가되어 식용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유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물, 유제품 유체, 유제품 유사 유체, 주스, 알코올, 알코올성 음료,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특정 구현예에 사용될 수 있는 유제품 유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우유, 배양 우유(cultured milk), 크림, 유청,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정 구현예에 사용될 수 있는 유제품 유사 유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예를 들어 두유 및 비유제품 커피 화이트너가 포함된다. 시장에 나와 있는 식용 겔 제품은 통상적으로 수크로스로 감미부여되기 때문에,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대체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체 감미제를 사용하여 식용 겔에 감미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치과용 조성물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치과용 조성물이다.
치과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활성 치과용 물질 및 기본 재료를 포함한다. 치과용 조성물은 구강 내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구강내 조성물의 형태, 예컨대 구강 청정제, 가글링제, 구강 헹굼제, 치약, 치아 광택제, 세치제(dentifrice), 구강 스프레이, 치아 미백제, 치실 등일 수 있다.
4. 당과 제품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당과 제품이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당과 제품"은 단것, 막대사탕(lollie), 과자류, 또는 유사한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당과 제품은 일반적으로 기본 조성물 성분 및 감미제 성분을 함유한다. 당과 제품은, 통상적으로 설탕이 풍부하거나 통상적으로 달콤한 것으로 인지되는 임의의 식품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당과 제품은 베이커리 제품, 예컨대 페이스트리; 디저트, 예컨대 요거트, 젤리, 마실 수 있는 젤리, 푸딩, 바바리언 크림(Bavarian cream), 블랑망제(blancmange), 케이크, 브라우니, 무스 등, 티 타임 또는 식사 후에 먹는 감미부여된 식품 제품; 냉동 식품; 저온 당과 제품,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유형, 예컨대 아이스크림, 아이스 밀크, 락토-아이스(lacto-ice) 등(감미제 및 다양한 다른 유형의 원료를 우유 제품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고 냉동시킨 식품 제품), 및 아이스 당과 제품, 예컨대 샤베트, 디저트 아이스 등(다양한 다른 유형의 원료를 설탕이 든 액체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고 냉동시킨 식품 제품); 일반 당과 제품, 예를 들어 예들 들어, 구운 당과 제품 또는 찐(steamed) 당과 제품, 예컨대 크래커, 비스킷, 팥만두(bun with bean-jam filling), 할바(halvah), 알파호르(alfajor) 등; 쌀 케이크 및 스낵; 식탁용 제품; 일반적인 설탕 당과 제품, 예컨대 츄잉 검(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씹을 수 있는 검 베이스, 예컨대 치클(chicle) 또는 이의 대체물(제투롱(jetulong), 구타케이 러버(guttakay rubber) 또는 특정 식용 천연 합성 수지 또는 왁스를 포함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함), 하드 캔디, 소프트 캔디, 박하, 누가(nougat) 캔디, 젤리 빈(jelly bean), 퍼지(fudge), 토피(toffee), 타피(taffy), 스위스 밀크 태블릿(Swiss milk tablet), 감초 캔디, 초콜릿, 젤라틴 캔디, 마시멜로, 마지팬(marzipan), 디비니티(divinity), 솜사탕 등; 소스(과일향 소스, 초콜릿 소스 등을 포함함); 식용 겔; 크렘(creme)(버터 크렘, 밀가루 페이스트, 휘핑 크림 등을 포함함); 잼(딸기잼, 마멀레이드 등을 포함함); 빵(스위트 브레드 등) 또는 다른 전분 제품;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5. 양념류 조성물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양념류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양념류는 식품 또는 음료의 향미를 증강시키거나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조성물이다. 양념류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케첩(케찹); 머스터드; 바베큐 소스; 버터; 칠리 소스; 처트니(chutne); 칵테일 소스; 커리; 딥스(dips); 액젓(fish sauce); 서양 고추냉이; 핫소스; 젤리, 잼, 마멀레이드, 또는 과일 통조림(preserve); 마요네즈; 땅콩 버터; 렐리시; 레물라드; 샐러드 드레싱(예를 들어, 오일 식초 드레싱, 시저(Caesar) 드레싱, 프렌치 드레싱, 랜치(ranch) 드레싱, 블루 치즈 드레싱, 러시안 드레싱, 사우전드 아일랜드 드레싱, 이탈리안 드레싱, 및 발사믹 비네그레트 드레싱), 살사; 자우어크라우트(sauerkraut); 간장; 스테이크 소스; 시럽; 타르타르 소스; 및 우스터셔(Worcestershire) 소스가 포함된다.
양념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다른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력 감미제, 벌크 감미제, pH 조절제(예를 들어, 락트산, 시트르산, 인산, 염산, 아세트산, 및 이들의 조합), 충전제, 기능성 작용제(예를 들어, 약제, 영양소, 또는 식품 또는 식물의 성분), 향미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6. 츄잉 검 조성물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츄잉 검 조성물이다.
츄잉 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부분 및 수불용성의 씹을 수 있는 검 베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수용성 부분은 씹는 동안 일정 기간에 걸쳐 향미제의 일부분과 함께 소산되며, 한편 불용성 검 베이스 부분은 입안에 남아 있다. 불용성 검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검이 츄잉 검, 풍선 검, 또는 기능성 검 어느 것으로 간주되는지를 결정한다.
7. 곡류 조성물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곡류 조성물이다.
곡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주식(staple food)으로서 또는 간식(snack)으로서 먹는다. 특정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곡류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즉시 먹을 수 있는 곡류뿐만 아니라 뜨겁게 먹는 곡류(hot cereal)가 포함된다. 즉시 먹을 수 있는 곡류는 소비자에 의해 추가의 가공처리(즉, 조리) 없이 먹을 수 있는 곡류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곡류의 예에는 조식용 곡류 및 스낵 바가 포함된다. 조식용 곡류는 잘게 조각난 형태(shredded), 플레이크 형태(flaky), 부푼 형태(puffy), 또는 압출된 형태를 생성하도록 통상적으로 가공처리된다. 조식용 곡류는 일반적으로 차가운 상태로 먹으며, 종종 우유 및/또는 과일과 혼합된다. 스낵 바는, 예를 들어 에너지 바, 쌀 케이크, 그래놀라 바, 및 영양바를 포함한다. 뜨겁게 먹는 곡류는 일반적으로, 먹기 전에, 통상 우유 또는 물 중에서 조리된다. 뜨겁게 먹는 곡류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그릿(grit), 포리지(porridge), 폴렌타(polenta), 쌀, 및 납작 귀리(rolled oat)가 포함된다.
곡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곡류 성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곡류 성분"은 통곡물 또는 부분 곡물, 통씨 또는 부분씨, 및 전체 또는 부분 그래스와 같은 재료를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곡류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옥수수, 밀, 쌀, 보리, 겨(bran), 겨 배유, 불거(bulgur), 수수, 기장(millet), 귀리, 호밀, 라이밀, 메밀, 포니오, 퀴노아, 콩, 대두, 아마란스, 테프, 스펠트, 및 카니와가 포함된다.
8. 제빵 제품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제빵 제품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빵 제품"은 즉시 먹을 수 있는, 그리고 서빙 전에 준비를 필요로 하는, 구울 준비를 모두 마친 제품, 밀가루, 및 믹스를 포함한다. 제빵 제품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케이크, 크래커, 쿠키, 브라우니, 머핀, 롤, 베이글, 도넛, 스트루들(strudel), 페이스트리, 크로와상, 비스킷, 브레드, 브레드 제품, 및 번(bun)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른 제빵 제품은 일반적으로 감미제, 물, 및 지방의 조합을 포함한다.
9. 유제품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유제품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제품 및 유제품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제품은 우유, 또는 우유로부터 생성되는 식료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제품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우유, 우유 크림, 사워 크림, 크렘 프레슈(creme fraiche), 버터밀크, 배양 버터밀크, 우유 분말, 연유(condensed milk), 무가당 연유(evaporated milk), 버터, 치즈, 코티지 치즈, 크림 치즈, 요거트, 아이스크림, 냉동 커스터드, 냉동 요거트, 젤라토, 블라(vla), 피이마(piima), 필묠크(filmjoelk), 카즈마크(kajmak), 케피르(kephir), 비일리(viili), 쿠미스(kumiss), 아이락(airag), 아이스 밀크, 카세인, 아이란(ayran), 라시(lassi), 고아(khoa),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생우유로부터의 유제품의 가공처리는 일반적으로 저온살균, 크리밍, 및 균질화 단계를 포함한다. 생우유가 저온살균 없이 소비될 수 있을지라도, 유해한 미생물, 예컨대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곰팡이, 및 효모를 파괴하기 위하여 통상 저온살균된다. 저온살균 단계는 일반적으로 우유를 단시간 동안 고온으로 가열하여 미생물의 수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그럼으로써 질병 위험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는 추가 가공처리 단계에 의해 우유로부터 생성된 유제품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크림이 우유의 상부로부터 스킴(skim)되거나 기계식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우유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세균 배양을 사용하여 크림을 발효시킴으로써 획득된, 지방이 풍부한 유제품인 사워 크림을 포함한다. 세균은 발효 동안 락트산을 생성하며, 락트산은 크림을 시큼하게 하고 걸쭉하게 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크림을 시큼하게 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세균 배양에 의해 약간 시큼하게 된 헤비 크림(heavy cream)인 크렘 프레슈을 포함한다. 크렘 프레슈는 통상적으로 사워 크림만큼 걸쭉하거나 시큼하지 않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배양 버터밀크를 포함한다. 배양 버터밀크는 세균을 우유에 첨가함으로써 수득된다. 그 결과로 인한 발효(여기서, 세균 배양이 락토스를 락트산으로 변환시킴)는 배양 버터밀크에 시큼한 맛을 제공한다. 상이한 방식으로 생성될지라도, 배양 버터밀크는 버터 제조의 부산물인 전통적인 버터밀크와 대체로 유사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유제품은 우유 분말, 연유, 무가당 연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우유 분말, 연유, 및 무가당 연유는 일반적으로 우유로부터 물을 제거함으로써 생성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낮은 수분 함량을 갖는 건조된 우유 고체를 포함하는 우유 분말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연유를 포함한다. 연유는 일반적으로, 물 함량이 감소되고 감미제가 첨가되어, 오랜 보관 수명을 갖는 걸쭉하고 달콤한 제품을 생성하는 우유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무가당 연유를 포함한다. 무가당 연유는 일반적으로, 물의 약 60%가 제거되었고, 냉각되었고, 비타민 및 안정제와 같은 첨가제로 강화되고, 포장되고, 최종적으로 멸균된 신선한 균질화 우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유제품은 건조 크리머 및 본 발명의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블렌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유제품은 버터를 포함한다. 버터는 일반적으로 신선하거나 발효된 크림 또는 우유를 처닝(churning)함으로써 제조된다. 버터는 일반적으로, 물 및 유단백질을 주로 포함하는 작은 소적(droplet)을 둘러싸는 버터지방을 포함한다. 처닝 과정은 버터지방의 미시적 소구체를 둘러싸는 막을 손상시킴으로써, 유지방들이 결합될 수 있게 하고 크림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처닝 과정에 의해 풀-크림(full-cream) 우유로부터 버터를 생성한 후에 잔존하는 시큼한 맛을 내는 액체인 버터밀크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레닛(rennet) 또는 레닛 대체물 및 산성화의 조합을 사용하여 우유를 커들링함으로써 생성되는 고체 식료품인 치즈를 포함한다. 우유를 소화시키기 위해 포유류 위에서 생성되는 효소들의 천연 복합체인 레닛이 우유를 커들링하기 위해 치즈-제조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커들링은, 우유가 커드로 알려진 고체와 유청으로서 알려진 액체로 분리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레닛은 어린 반추동물, 예컨대 소의 위로부터 획득되지만; 레닛의 대체 공급원은 일부 식물, 미생물 유기체, 및 유전자 변형된 세균, 진균, 또는 효모를 포함한다. 게다가, 우유는 산, 예컨대 시트르산을 첨가함으로써 응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닛 및/또는 산성화의 조합이 우유를 커들링하는 데 사용된다. 우유를 커드와 유청으로 분리한 후에, 간단히 커드를 유청 배출(draining)하고, 가염(salting)하고, 포장함으로써 약간의 치즈가 제조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즈의 경우, 더 많은 가공처리가 필요하다. 수백종의 이용가능한 다양한 치즈를 생성하는 데 많은 상이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가공처리 방법은 치즈를 가열하는 단계, 치즈를 작은 큐브(cube)로 잘라서 유청 배출하는 단계, 가염하는 단계, 늘리기 단계, 체더링(cheddaring) 단계, 세척 단계, 성형(molding) 단계, 에이징(aging) 단계, 및 숙성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치즈, 예컨대 블루 치즈는 에이징 전에 또는 에이징 동안에 치즈에 추가의 세균 또는 곰팡이가 도입되어 있어서, 완성된 제품에 향미 및 아로마를 부여한다. 코티지 치즈는, 유청 배출되지만 가압되지 않아서 약간의 유청이 남아 있는 약한 향미를 갖는 치즈 커드 제품이다. 산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커드는 통상 세척된다. 크림 치즈는 크림을 우유에 첨가하고, 이어서 커들링하여 리치 커드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되는 고지방 함량을 갖는 부드러운 순한맛 백색 치즈이다. 대안적으로, 크림 치즈는 탈지유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크림이 커드에 첨가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즈는 커들링 우유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고체 식료품을 포함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요거트를 포함한다. 요거트는 일반적으로 우유의 세균 발효에 의해 생성된다. 락토스의 발효는, 우유 내의 단백질에 작용하여 요거트에 겔-유사 질감 및 시큼함(tartness)을 제공하는 락트산을 생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요거트는 감미제로 감미부여되고/감미부여되거나 향미부여될 수 있다. 향미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과일(예를 들어, 복숭아, 딸기, 바나나), 바닐라, 및 초콜릿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요거트는 또한 상이한 주도(consistency) 및 점도를 갖는 요거트 변형품, 예컨대 다히(dahi), 다디(dadih) 또는 다디아(dadiah), 라브네(labneh) 또는 라바네(labaneh), 불가리안(bulgarian), 케피르(kefir), 및 마트소니(matsoni)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유제품은 마실 수 있는 요거트 또는 요거트 스무디로도 알려진 요거트-기반 음료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요거트-기반 음료는 감미제, 향미제, 다른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들 이외의 다른 유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유제품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우유, 밀크 주스, 커피, 차, 블라, 피이마, 필묠크, 카즈마크, 케피르, 비일리, 쿠미스, 아이락, 아이스 밀크, 카제인, 아이란, 라시, 및 고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유제품 조성물은 또한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감미제 및 향미제, 예컨대 초콜릿, 딸기, 및 바나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유제품 조성물의 특정 구현예는 또한 우유의 영양 조성물을 개선하기 위하여 추가의 영양 보충제, 예컨대 비타민(예를 들어, 비타민 D) 및 미네랄(예를 들어, 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10.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
일 구현예에서, 식용 제품은 식탁용 감미제이다.
식탁용 감미제는 적어도 하나의 벌킹제, 첨가제, 고결방지제, 기능성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벌킹제”는 말토덱스트린(10 DE, 18 DE, 또는 5 DE), 콘 시럽 고체(20 또는 36 DE),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전화당, 소르비톨, 자일로스, 리불로스, 만노스, 자일리톨, 만니톨, 갈락티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락티톨, 이소말트, 말토스, 타가토스, 락토스, 이눌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올, 폴리덱스트로스, 프룩토올리고당,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유도체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과립형 당(수크로스) 또는 다른 고칼로리 감미제, 예컨대 결정질 프룩토스, 다른 탄수화물, 또는 당 알코올이 상당한 칼로리를 추가하지 않고서 우수한 함량 균일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벌킹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어구 "고결방지제" 및 "유동제"는 함량 균일성 및 균일한 용해를 돕는 임의의 조성물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고결방지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타르타르 크림, 규산칼슘, 이산화규소, 미세결정질 셀룰로스(Avicel,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의 FMC BioPolymer) 및 인산삼칼슘이 포함된다. 일 구현예에서, 고결방지제는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형태는 분말 형태, 과립 형태, 패킷, 정제, 샤세, 펠릿, 큐브, 고체, 및 액체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은 건조-블렌드를 포함하는 1회분(식사량 조절(portion control)) 패킷이다. 건조-블렌드 제형은 일반적으로 분말 또는 과립을 포함할 수 있다.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은 임의의 크기의 패킷 내에 담길 수 있지만, 통상적인 식사량 조절 식탁용 감미제 패킷의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예는 대략 2.5 x 1.5 인치이며, 2 티스푼의 과립형 설탕(약 8 g)과 등가의 감미도를 갖는 대략 1 g의 감미제 조성물을 보유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건조-블렌드 식탁용 감미제 제형은 약 1%(w/w) 내지 약 10%(w/w)의 양의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고체 식탁용 감미제 구현예는 큐브 및 정제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큐브의 비제한적인 예는 크기가 과립형 설탕의 표준 큐브와 등가인데, 이때 표준 큐브는 대략 2.2 x 2.2 x 2.2 cm3이고, 중량이 대략 8 g이다. 일 구현예에서, 고체 식탁용 감미제는 정제 형태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이다.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은 또한 액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의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블렌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감미제 조성물이 액체 담체와 배합된다. 액체 식탁용 감미제에 대한 담체 작용제의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에는 물, 알코올, 폴리올, 물 중에 용해된 글리세린 베이스 또는 시트르산 베이스,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당업계에 알려진 형태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의 감미도 등가는 원하는 감미도 프로파일을 획득하도록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은 감미도가 등가량의 표준 설탕의 감미도에 비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은 감미도가 등가량의 설탕의 감미도의 최대 100배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은 감미도가 등가량의 설탕의 감미도의 최대 90배, 80배, 70배, 60배, 50배, 40배, 30배, 20배, 10배, 9배, 8배, 7배, 6배, 5배, 4배, 3배, 및 2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용 제품은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된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식용 제품은 첨가제를 함유하며, 이에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당산 및 이의 상응하는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 염(유기산 염 및 유기 염기 염을 포함함), 무기 염, 쓴맛 화합물, 향미제 및 향미 성분, 쌉쌀한 맛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유화제, 증량제, 검, 착색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중합체, 정유, 항진균제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첨가제는 수크로스와 유사한 맛을 제공하도록 감미제(들)의 시간적 프로파일 및 향미 프로파일을 개선하도록 작용한다.
적합한 아미노산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아라비노스, 트랜스-4-하이드록시프롤린,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α-, β-, 및/또는 δ-이소형),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및 그들의 염 형태,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염 또는 산성 염을 포함한다. 아미노산 첨가제는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형태로 존재하고, D- 또는 L-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절하다면, 아미노산은 α-, β-, γ- 및/또는 δ-이소형일 수 있다. 전술된 아미노산과 그의 상응하는 염(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 또는 이의 다른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산성 염)의 조합이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적합한 첨가제이다. 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아미노산은 또한 변형될 수 있다. 변형된 아미노산은, 적어도 하나의 원자가 첨가되거나, 제거되거나, 치환되거나 또는 이의 조합인 임의의 아미노산(예컨대, N-알킬 아미노산, N-아실 아미노산 또는 N-메틸 아미노산)을 지칭한다. 변형된 아미노산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미노산 유도체, 예를 들어, 트리메틸 글리신, N-메틸-글리신 및 N-메틸-알라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변형된 아미노산은 변형 및 비변형 아미노산을 모두 포괄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은 또한 펩티드 및 폴리펩티드(예컨대, 디펩티드, 트리펩티드, 테트라펩티드 및 펜타펩티드), 예를 들어, 글루타티온 및 L-알라닐-L글루타민을 포괄한다. 적합한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라이신(예컨대, 폴리-L-α-라이신 또는 폴리-L-ε-라이신), 폴리-L-오르니틴(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아미노산의 다른 중합체 형태 및 이의 염 형태(예컨대, 칼슘, 칼륨, 나트륨, 또는 마그네슘 염, 예를 들어 L-글루탐산 모노 소디움 염)을 포함한다.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또한 D- 또는 L-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절하다면, 폴리-아미노산은 α-, β-, γ- δ- 및/또는 ε-이소형일 수 있다. 전술된 폴리-아미노산과 그의 상응하는 염(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 또는 이의 다른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산성 염)의 조합이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적합한 첨가제이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아미노산은, 또한, 상이한 아미노산들의 코중합체일 수도 있다. 폴리-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폴리-아미노산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원자가 첨가되거나, 제거되거나, 치환되거나 또는 이의 조합으로 변형(예컨대, N-알킬 폴리-아미노산 또는 N-아실 폴리-아미노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폴리-아미노산은 변형 및 비변형 폴리-아미노산을 모두 포괄한다. 예를 들어, 변형된 폴리-아미노산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다양한 분자량(MW)의 폴리-아미노산, 예를 들어, 1,500의 MW, 6,000의 MW, 25,200의 MW, 63,000의 MW, 83,000의 MW, 또는 300,000의 MW를 가지는 폴리-L--라이신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아미노산은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1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아미노산은 식용 식품 내에 존재할 때 약 1,000 ppm 내지 약 10,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며, 이 양은, 예를 들어 약 2,500 ppm 내지 약 5,000 ppm 또는 약 250 ppm 내지 약 7,500 ppm이다.
적합한 산화 당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돈산, 우론산, 알다르산, 알긴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카르산, 갈락타르산, 갈락투론산 및 이의 염(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 또는 다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관련 첨가제, 예를 들어, 뉴클레오시드 또는 핵산 염기(예컨대, 구아닌, 시토신, 아데닌, 티민, 우라실)을 포함할 수 있다.
뉴클레오티드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5 ppm 내지 약 1,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유기산 첨가제는 다음을 포함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COOH 모이어티, 예를 들어, C2-C30 카르복실산, 치환된 하이드록실 C2-C30 카르복실산, 부티르산(에틸 에스테르), 치환된 부티르산(에틸 에스테르), 벤조산, 치환된 벤조산(예컨대,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3-하이드록시벤조산, 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된 신남산, 하이드록시산, 치환된 하이드록시벤조산, 아니스산 치환된 사이클로헥실 카르복실산, 탄닌산, 아코니틴산, 젖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이소시트르산, 글루콘산, 글루코헵톤산, 아디프산, 하이드록시시트르산, 말산, 프루이타르산(fruitaric acid)(말산, 푸마르산, 및 타르타르산의 블렌드),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클로로겐산, 살리실산, 크레아틴, 카페인산, 담즙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알긴산, 에리토르브산, 폴리글루탐산, 글루코노 델타 락톤, 및 이들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이의 유도체. 또한, 유기산 첨가제는 D- 또는 L-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유기산 첨가제 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모든 유기산의 나트륨,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염, 예를 들어,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젖산(예컨대, 젖산 나트륨), 알긴산(예컨대, 알긴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벤조산(예컨대, 벤조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칼륨), 소르브산 및 아디프산의 염을 포함한다. 기술된 유기산 첨가제의 예는, 선택적으로,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group)로 치환될 수 있다: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티올, 이민, 설포닐, 설페닐, 설피닐, 설파밀, 카르복시알콕시, 카르복사미도,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무수물, 옥시미노, 하이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르 또는 포스포나토. 특정 구현예에서, 유기산 첨가제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10 ppm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무기산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포스포린산, 포스포러스 산, 폴리포스포린산, 염산, 황산, 탄산, 인산 이수소 나트륨, 및 이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예컨대, 이노시톨 헥사포스페이트 Mg/Ca)을 포함한다.
무기산 첨가제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25 ppm 내지 약 25,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쓴맛 화합물 첨가제는 카페인, 퀴닌, 우레아, 비터 오렌지 오일, 나린진, 콰시아(quassia),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쓴맛 화합물은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25 ppm 내지 약 25,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향미물질 및 향미 성분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닐린, 바닐라 추출물, 망고 추출물, 시나몬, 시트러스, 코코넛, 생강, 비리디플로올(viridiflorol), 아몬드, 멘톨(민트가 없는 멘톨을 포함함), 포도껍질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한다. “향미물질”과 “향미 성분”은 동의어이고,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물질은 또한 향미를 부여하는 임의의 다른 물질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때 인간 또는 동물에게 안전한 천연 또는 비천연(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매 향미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Doehler™ 천연 향미 감미 증강제 K14323(Doehler™, Darmstadt, 독일), Symrise™ 감미제용 천연 향 마스킹제 161453 및 164126(Symrise™, Holzminden, 독일), 천연 Advantage™ 쓴맛 차단제 1, 2, 9 및 10(천연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미국), 및 Sucramask™(Creative Research Management, Stockton, California, 미국)를 포함한다.
향미제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0.1 ppm 내지 약 5,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중합체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키토산, 펙틴, 펙트산, 펙틴산, 폴리우론산, 폴리갈락투론산, 전분, 식품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이의 미가공(crude) 추출물(예컨대, 검 아카시아 세네갈(Fibergum™), 검 아카시아 세얄, 카라기난), 폴리-L-라이신(예컨대, 폴리-L-α-라이신 또는 폴리-L-ε-라이신), 폴리-L-오르니틴(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폴리아르기닌,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에틸렌 이민,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알긴산 나트륨, 헥사메타인산 나트륨 및 이의 염, 및 기타 양이온성 중합체 및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30 ppm 내지 약 2,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소혈청 알부민(BSA), 유청 단백질(이의 분획물 또는 농출물, 예를 들어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단리체, 34% 유청 단백질, 50% 가수분해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을 포함함), 가용성 쌀 단백질, 콩 단백질, 단백질 단리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반응 산물, 당단백질, 및/또는 프로테오글리칸(아미노산(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등)을 함유함), 콜라겐(예컨대, 젤라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콜라겐(예컨대, 가수분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예컨대, 돼지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계면활성제 첨가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폴리소르베이트(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디움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또는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소디움,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헥사데실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소디움 콜레이트, 카바모일, 콜린 클로라이드, 소디움 글리콜레이트, 소디움 타우로데옥시콜레이트, 라우린 알기네이트, 소디움 스테아릴 락틸레이트, 소디움 타우로콜레이트, 레시틴, 수크로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및 기타 유화제 등을 포함한다.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0.1 ppm 내지 약 1,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착색제는 카라멜 색소, 천연 색소, 예컨대 아나토(Annatto), 코치닐(cochineal), 베타닌(betanin), 강황, 파프리카, 사프란, 라이코펜(lycopene), 엘더베리즙(elderberry juice), 판단(pandan), 황색 6호, 황색 5호, 적색 40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알코올 첨가제는 에탄올을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알코올 첨가제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625 ppm 내지 약 10,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쌉쌀한 화합물 첨가제는 탄닌산, 염화유로퓸(EuCl3), 염화가돌리늄(GdCl3), 염화테르븀(TbCl3), 명반, 탄닌산, 및 폴리페놀(예를 들어, 차 폴리페놀)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쌉쌀한 첨가제는 식용 제품, 예컨대 음료 내에 존재할 때 약 10 ppm 내지 약 5,000 ppm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정유는 머스타드 오일, 비터 오렌지 및 스위트 오렌지, 멘타 아벤시스(Mentha arvensis), 페퍼민트, 시더우드, 레몬,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리트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정향 및 스피어민트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항진균제는 나타마이신, 암포테리신, 아니둘라펀진, 카스포펀진, 플루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미카펀진, 포사코나졸, 보리코나졸, 및 플루시토신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첨가제는 통상적인 음료 첨가제, 즉 우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브롬화 식물성 오일, 카로브 빈 검, 수크로스 아세테이트 이소부티레이트, 변성 식품 전분, 글루콘산아연 및 팔미트산 비타민 A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소비품에는 식용 겔 혼합물 및 조성물, 치과용 조성물, 식료품(당과 제품, 양념류, 츄잉 검, 곡류 조성물, 제빵 제품, 유제품, 및 식탁용 감미제 조성물), 음료 및 음료 제품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식용 제품은, 또한,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제품에 실제적인 또는 지각되는 건강상 혜택을 제공함)을 함유할 수 있다. 기능성 성분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항산화제, 식이섬유 공급원, 지방산, 비타민, 글루코사민, 미네랄, 보존제, 수화제, 프로바이오틱, 프리바이오틱, 체중 관리제, 골다공증 관리제, 피토에스트로겐,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 피토스테롤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항산화제
특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건강 및 웰니스(wellness)를 촉진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항산화제”는 세포 및 생물분자에 대한 산화적 손상을 저해,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항산화제는, 해로운 반응을 유발하기 전에 자유 라디칼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세포 또는 생물분자에 대한 산화적 손상을 저해,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항산화제는 일부 퇴행성 질환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합한 항산화제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다음을 포함한다: 비타민, 비타민 보조인자, 미네랄, 호르몬, 카로테노이드, 카로테노이드 터페노이드, 비-카로테노이드 터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산(예컨대,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플라보놀, 플라본, 페놀, 폴리페놀, 페놀의 에스테르, 폴리페놀의 에스테르, 비플라보노이드 페놀산,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다음과 같다: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유비퀴논, 미네랄 셀레늄, 망간, 멜라토닌, α-카로틴, β-카로틴, 라이코펜, 류테인, 제안틴(zeanthin), 크리포잔틴(crypoxanthin), 레스베라트롤, 유게놀, 쿼세틴, 카테킨, 고시폴, 헤스페레틴, 커큐민, 페룰산, 티몰, 하이드록시티로솔, 울금, 타임, 올리브유, 리포산, 글루타티온, 구타민(gutamine), 옥살산, 토코페롤-유래 화합물,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tert-부틸하이드로퀴논, 아세트산, 펙틴, 토코트리에놀, 토코페롤, 코엔자임 Q 10, 제아잔틴,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사포닌, 리모노이드, 캠페드롤(kaempfedrol), 미리세틴, 이소람네틴, 프로안토시아니딘, 쿼세틴, 루틴, 루테올린, 아피게닌, 탠저리틴,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에로딕티올(erodictyol), 플라반-3-올(예컨대, 안토시아니딘), 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및 이의 갈레이트 형태, 에피갈로카테킨 및 이의 갈레이트 형태(ECGC) 테아플라빈 및 이의 갈레이트 형태, 테아루바긴, 이소플라본 피토에스트로겐, 게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아니토시아닌(anythocyanin), 시아니딩(cyaniding), 델피니딘, 말비딘, 펠라르고니딘, 페오니딘, 페튜니딘, 엘라그산, 갈산, 살리실산, 로즈마리산, 신남산 및 이의 유도체(예컨대, 페룰산), 클로로겐산, 키코르산, 갈로탄닌, 엘라기탄닌, 안토잔틴, 베타시아닌 및 다른 식물 색소, 실리마린, 시트르산, 리그난, 항영양소, 빌리루빈, 요산, R-α-리포산, N-아세틸시스테인, 엠블리카닌, 사과 추출물, 사과 껍질 추출물(애플페논), 로이보스 추출물 적색, 로이보스 추출물, 녹색, 산사나무 열매 추출물, 적색 라스베리 추출물, 볶지 않은 커피콩 항산화제(GCA), 아로니아 추출물 20%, 포도 씨 추출물(VinOseed), 코코아 추출물, 홉 추출물, 망고스틴 추출물, 망고스틴 겉껍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석류 추출물, 석류 겉껍질 추출물, 석류씨 추출물, 산사나무 열매 추출물, 포멜라(pomella) 석류 추출물, 시나몬 껍질 추출물, 포도 껍질 추출물, 빌베리 추출물, 파인 겉껍질 추출물, 피크노제놀, 엘더베리 추출물, 멀베리 뿌리 추출물, 구기자(구기)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잎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울금 추출물, 시트러스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블랙 커런트, 생강, 아사이 분말, 볶지 않은 커피 콩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피틴산, 또는 이의 조합.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합성 항산화제, 예를 들어,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또는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합한 항산화제의 다른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과일, 야채, 차, 코코아, 초코렛, 양념, 허브, 쌀, 가축으로부터의 내장육, 효모, 전곡, 또는 곡물 알갱이를 포함한다.
식물에서 발견되는 일 군의 화학물질인, 폴리페놀(또한, “폴리페놀산”으로도 알려짐)이라고 불리는 식물영양소 부류에 속하는 특정한 항산화제는 분자 당 하나를 초과하는 페놀기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건강상 혜택이 폴리페놀로부터 유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암, 심장병, 및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정신력 및 체력의 개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합한 폴리페놀은 카테킨,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안토시아닌, 쿼세틴, 루틴,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 커큐민, 푸니칼라긴, 엘라기탄닌, 헤스페리딘, 나린진, 시트러스 플라보노이드, 클로로겐산, 다른 유사 물질들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카테킨, 예를 들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카테킨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녹차, 백차, 흑차, 우롱차, 초코렛, 코코아, 레드 와인, 포도 씨, 적포도 껍질, 자색 포도 껍질, 적포도 주스, 자색 포도 주스, 베리류, 피크노제놀, 및 적사과 껍질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프로시아니딘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적포도, 자색 포도, 코코아, 초코렛, 포도 씨, 레드 와인, 카카오콩, 크랜베리, 사과 껍질, 자두, 블루베리, 블랙 커런트, 쵸크베리, 녹차, 수수, 시나몬, 보리, 붉은 강낭콩, 강낭콩, 홉, 아몬드, 헤이즐넛, 피칸, 피스타치오, 피크노제놀, 및 다채로운 베리류를 포함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안토시아닌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안토시아닌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레드 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크랜베리, 라스베리, 체리, 석류, 딸기, 엘더베리, 쵸크베리, 적포도 껍질, 자색 포도 껍질, 포도 씨, 레드 와인, 블랙 커런트, 레드 커런트, 코코아, 자두, 사과 껍질, 복숭아, 적색 배, 적양배추, 적양파, 레드 오렌지, 및 블랙베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쿼세틴, 루틴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쿼세틴 및 루틴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적사과, 양파, 케일, 늪지 산앵두나무, 월귤, 쵸크베리, 크랜베리, 블랙베리, 블루베리, 딸기, 라스베리, 블랙 커런트, 녹차, 흑차, 자두, 살구, 파슬리, 리크, 브로콜리, 고추, 베리 와인, 및 은행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레스베라트롤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레스베라트롤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적포도, 땅콩, 크랜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멀베리, 일본 이타도리(Itadori) 차, 및 레드 와인을 포함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이소플라본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이소플라본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두, 대두제품, 콩류, 알팔파 스파우트, 병아리콩, 땅콩, 및 붉은 토끼풀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커큐민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커큐민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울금 및 겨자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푸니칼라긴, 엘라기탄닌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푸니칼라긴, 및 엘라기탄닌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석류, 라스베리, 딸기, 월넛, 및 오크 에이지 레드 와인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시트러스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헤스페리딘 또는 나린진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시트러스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헤스페리딘 또는 나린진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오렌지, 자몽, 및 시트러스 과즙을 포함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클로로겐산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클로로겐산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볶지 않은 커피콩, 예르바 마테, 레드 와인, 포도 씨, 적포도 껍질, 자색포도 껍질, 적포도 주스, 자색 포도 주스, 사과 주스, 크랜베리, 석류, 블루베리, 딸기, 해바라기, 에키네시아, 피크노제놀, 및 사과 껍질을 포함한다.
식이 섬유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식이 섬유 공급원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식이 섬유 공급원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조성 및 결합에서 상당히 다른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중합체 탄수화물들이 식이 섬유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비전분-다당류, 리그닌,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β-글루칸, 펙틴, 검, 점액(mucilage), 왁스, 이눌린, 올리고당, 프룩토올리고당, 사이클로덱스트린, 키틴,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당류는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단당류로 구성된 탄수화물의 복합체이다. 비전분 다당류는 β-결합으로 결합되는데, β-결합을 절단하는 효소의 결여로 인해 인간이 소화할 수 없다. 반대로, 소화가능한 전분 다당류는 일반적으로 α(l-4) 결합을 포함한다.
리그닌은, 산소첨가된 페닐프로판 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거대하고, 고도로 분지화되고, 가교결합된 중합체다. 셀룰로스는 포유동물 아밀라제가 가수분해할 수 없는 β(1-4) 결합에 의해 연결된 글루코스 분자의 선형 중합체다. 메틸셀룰로스는 셀룰로스의 메틸 에스테르로, 종종, 점증제 및 유화제로서 식품류에 사용된다. 메틸셀룰로스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예컨대, GlaxoSmithKline 의 Citrucel, Shire Pharmaceuticals의 Celevac). 헤미셀룰로스는 주로 글루쿠로노- 및 4-O-메틸글루쿠록실란으로 이루어진 고도로 분지화된 중합체다. β-글루칸은 혼합 연결 (1-3), (1-4) β-D-글루코스 중합체로 주로 곡물, 예를 들어 귀리 및 보리에서 발견된다. 펙틴, 예를 들어 베타 펙틴은 주로 D-갈락투론산으로 구성된 일 군의 다당류로서 다양한 정도로 메톡실화된다.
검 및 점액은 광범위한 상이한 분지화 구조를 나타낸다. 구아 씨의 땅 배젓으로부터 유래된 구아 검은 갈락토만난이다. 구아검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예컨대, Novartis AG의 Benefiber). 다른 검, 예를 들어, 아라비아 검 및 펙틴도 여전히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 또 다른 검은 잔탄 검, 젤란 검, 타라 검, 사일륨 씨 겉껍질 검 및 메뚜기 콩 검을 포함한다.
왁스는 에틸렌 글리콜 및 2개의 지방산의 에스테르로서, 일반적으로 물에서 불용성인 소수성 액체로 생성된다.
이눌린은 프룩탄으로 알려진 탄수화물의 한 부류에 속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올리고당을 포함한다. 이눌린은 일반적으로 말단 글루코스 단위와 β(2-1)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프룩토스 단위로 구성된다. 올리고당은 통상적으로 3 내지 6개의 구성성분 당을 함유하는 당 중합체다. 올리고당은, 일반적으로, 단백질 내 상용성(compatible) 아미노산 측쇄 또는 지질 분자에 O-또는 N-결합된 것으로 발견된다. 프룩토올리고당은 프룩토스 분자의 단쇄로 이루어진 올리고당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단위로 구성된 사이클릭 올리고당들의 패밀리이다. 이들은 전분으로부터 효소적 전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α-사이클로덱스트린은 6원 설탕 고리 분자이며, 한편 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은 각각 7원 및 8원 설탕 고리 분자를 갖는다. 비-사이클릭 덱스트린은 말토덱스트린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간에 의해 쉽게 소화된다. 소화 저항성 말토덱스트린이 구매 가능하다(예를 들어, ADM에 의한 Fibersol-2).
식이 섬유의 식품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곡물류, 콩류, 과일류 및 야채류를 포함한다. 식이 섬유를 제공하는 곡물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귀리, 호밀, 보리, 밀을 포함한다. 섬유를 제공하는 콩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완두콩 및 콩, 예를 들어 대두를 포함한다. 섬유의 공급원을 제공하는 과일류 및 야채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사과, 오렌지, 배, 바나나, 베리류, 토마토, 그린 빈,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당근, 감자, 샐러리를 포함한다. 식물의 과실, 예를 들어, 겨, 견과, 및 씨앗(예를 들어, 아마씨)도 또한 식이 섬유의 공급원이다. 식이 섬유를 제공하는 식물의 일부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줄기, 뿌리, 잎, 씨, 과육 및 껍질을 포함한다.
식이 섬유는 일반적으로 식물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되지만, 소화될 수 없는 동물성 산물, 예를 들어 키틴도, 또한, 식이 섬유로 분류된다. 키틴은, 셀룰로스의 결합과 유사한 β(1-4) 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세틸글루코사민의 단위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식이 섬유의 공급원은, 종종, 물에서의 용해도에 기반하여 가용성 및 불용성 섬유의 2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진다. 가용성 및 불용성 섬유 모두는 식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정도로 식물 식품에서 발견된다. 비록 물에서는 불용성이더라도, 불용성 섬유는 수동적인 친수성 성질을 가져서 대량의 부드러워진 변을 증가시키고, 배설물 고체가 장관을 통과하는 체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돕는다.
불용성 섬유와는 달리, 가용성 섬유는 물에 쉽게 용해된다. 가용성 섬유는 대장 내 발효를 통한 능동적인 대사 과정을 거쳐서 장 균총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설물 고체의 질량을 증가시킨다. 장 박테리아에 의한 섬유의 발효는, 또한, 상당한 건강상의 혜택을 가지는 최종 산물을 생산한다. 예를 들어, 식품 질량의 발효는 가스 및 단쇄 지방산을 생성한다. 발효 중 생성되는 산은 다양한 유익한 성질을 가지는 부티르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및 발레르산을 포함하는 데, 예를 들면, 췌장 인슐린 방출에 작용하여 혈당 수치를 안정화시키고, 글리코겐 분해에 의한 간 조절을 제공한다. 또한, 섬유 발효는 간에 의한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하시키고, LDL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혈액 수치를 낮춤으로써,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 낮출 수 있다. 발효 중 생성되는 산은 대장 pH를 낮춤으로써, 암 폴립 형성으로부터 대장 내벽을 보호한다. 낮은 대장 pH는, 또한, 미네랄 흡수를 증가시키고, 대장 점액층의 장벽 성질을 개선하고, 염증성 및 부착성 자극을 저해한다. 섬유의 발효는, 또한, 보조 T 세포, 항체, 백혈구, 비장세포, 사이토키닌 및 림프구의 생성을 자극함으로써 면역계에도 유익할 수 있다.
지방산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지방산"은 임의의 직쇄 모노카르복실산을 지칭하고,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장쇄 지방산, 중쇄 지방산, 단쇄 지방산, 지방산 전구체(오메가-9 지방산 전구체를 포함함) 및 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장쇄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긴 지방족 꼬리를 가지는 임의의 다중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유기산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오메가-3 지방산”은 탄소 사슬의 말단부 메틸 말단으로부터 3번째 탄소-탄소 결합으로서 제1 이중 결합을 가지는 임의의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지칭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장쇄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오메가-6 지방산”은 탄소 사슬의 말단부 메틸 말단으로부터 6번째 탄소-탄소 결합으로서 제1 이중 결합을 가지는 임의의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오메가-3 지방산은, 예를 들어 조류, 생선, 동물, 식물,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적합한 오메가-3 지방산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리놀렌산, 알파-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에노산, 스테아리돈산, 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합한 오메가-3 지방산은 어유(예컨대, 멘헤이든유, 참치유, 연어유, 가다랑어유, 및 대구유), 미세조류 오메가-3 오일 또는 이의 조합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적합한 오메가-3 지방산은, 미세조류 DHA 오일(Martek, Columbia, MD), OmegaPure(Omega Protein, Houston, TX), Marinol C-38(Lipid Nutrition, Channahon, IL), 가다랑어유 및 MEG-3(Ocean Nutrition, Dartmouth, NS), Evogel(Symrise, Holzminden, Germany), 참치 또는 연어로부터의 해양유(Arista Wilton, CT), OmegaSource 2000, 멘헤이든으로부터의 해양유 및 대구로부터의 해양유(OmegaSource, RTP, NC)와 같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오메가-3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적합한 오메가-6 지방산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리놀레산, 감마-리놀렌산, 디홈모(dihommo)-감마-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디에논산, 도코사디에논산, 아드레날린산, 도코사펜타에논산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합한 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함유하는 모노아실기세롤(monoacylgycerol),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함유하는 디아실기세롤(diacylgycerol), 또는 오메가-3 및/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함유하는 트리아실기세롤(triacylgycerol)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비타민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비타민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비타민은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소량으로 필요한 유기 화합물이다. 생체는, 탄수화물 및 단백질과 같은 다른 영양성분과는 달리, 비타민을 분해하지 않고 사용한다. 현재까지, 13종의 비타민이 알려졌으며, 1종 이상이 본원의 감미부여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은,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비타민 Bl,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7, 비타민 B9, 비타민 B12, 및 비타민 C를 포함한다. 다수의 비타민은, 또한, 대안적인 화학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가 아래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다양한 다른 화합물들이 일부 권위자들에 의해 비타민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유사 비타민(pseudo-vitamin)이라고 불리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유비퀴논(코엔자임 Q10), 판가민산, 디메틸글리신, 태스트릴(taestrile), 아미그달린, 플라바노이드, 파라-아미노벤조산, 아데닌, 아데닐산, 및 s-메틸메티오닌과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비타민이라는 용어는 유사 비타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타민은 비타민 A, D, E, K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지용성 비타민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비타민은 비타민 Bl,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비오틴, 판토텐산, 비타민 C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비타민이다.
글루코사민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글루코사민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글루코사민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키토사민으로도 불리는 글루코사민은 아미노당으로서, 글리코실화 단백질 및 지질의 생화학적 합성에서의 중요한 전구체로 여겨진다. D-글루코사민은 연골 내에 글루코사민-6-포스페이트의 형태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데, 프룩토스-6-포스페이트 및 글루타민으로부터 합성된다. 하지만 글루코사민의 다른 형태도 가능할 수 있는데,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염화 글루코사민, 황산 글루코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또는 임의의 다른 염 형태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글루코사민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한 랍스터, 게, 쉬림프 새우 또는 프론 새우의 껍질의 산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서, 글루코사민은, 미국 특허 공개 제2006/017239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키틴을 함유하는 진균류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감미부여된 조성물은 또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네랄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미네랄은 생물체에 필요한 유기 화합물 원소를 포함한다. 미네랄은 광범위한 조성물(예컨대, 원소, 단순 염 및 실리케이트 복합체)로 구성되고, 또한 결정 구조가 매우 상이할 수 있다. 미네랄은 식품 및 음료 내에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보충물로서 첨가되거나, 식품 또는 음료와는 별개로 소비되고 투여될 수 있다.
미네랄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요구되는 벌크 미네랄 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요구되는 미량 미네랄로 분류된다. 벌크 미네랄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약 100 mg 이상의 양이 요구되고, 미량 미네랄은 하루에 약 100 mg 미만의 양이 요구되는 미네랄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미네랄은 벌크 미네랄, 미량 미네랄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벌크 미네랄의 비제한적인 예는 칼슘, 염소, 마그네슘, 인, 칼륨, 나트륨, 및 황을 포함한다. 미량 미네랄의 비제한적인 예는 크로뮴, 코발트, 구리, 불소, 철, 망간, 몰리브데늄, 셀레늄, 아연,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요오드는 일반적으로 미량 미네랄로 분류되지만, 다른 미량 미네랄보다는 많은 양이 필요하고, 종종 벌크 미네랄로 분류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미네랄은 미량 미네랄이고, 인간 영양에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비스무트, 보론, 리튬, 니켈, 루비듐, 규소, 스트론튬, 텔루륨, 주석, 티타늄, 텅스텐, 및 바나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구현된 미네랄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현예에서, 미네랄은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가지는 그들의 이온 형태일 수 있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미네랄은 그들의 분자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황 및 인은 종종 자연에서, 황산염, 황화물 및 인산염으로 발견된다.
보존제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보존제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존제는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보존제는 항미생물제, 항산화제, 항효소제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항미생물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황산염, 프로피온산염, 벤조산염, 소르브산염, 질산염, 아질산염, 박테리오신, 염, 당, 아세트산, 디메틸 디카보네이트(DMDC), 에탄올, 및 오존을 포함한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보존제는 아황산염이다. 아황산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산화항, 중아황산 나트륨 및 아황산 수소 칼륨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보존제는 프로피온산염이다. 프로피온산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 칼슘 및 프로피온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보존제는 벤조산염이다. 벤조산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벤조산 나트륨 및 벤조산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보존제는 소르브산염이다. 소르브산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소르브산 칼륨, 소르브산 나트륨, 소르브산 칼슘 및 소르브산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보존제는 질산염 및/또는 아질산염이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질산 나트륨 및 아질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존제는 박테리오신, 예를 들어, 니신이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보존제는 에탄올이다.
또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보존제는 오존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보존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효소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및 금속 킬레이팅제,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을 포함한다.
수화제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수화제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수화제는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수화 산물은 신체가 배출을 통해 소실되는 체액을 대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체액은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으로 소실되고, 노폐물을 배출하기 위해 소변으로 소실되고, 폐에서 기체를 교환하기 위해 수증기로 소실된다. 체액 소실은 또한 다양한 외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신체 활동, 건조한 공기에의 노출, 설사, 구토, 이상고열, 쇼크, 혈액 소실, 및 저혈압을 포함한다. 체액 소실을 유발하는 질환은 당뇨병, 콜레라, 위장관염, 적리 및 황열병을 포함한다. 체액 소실을 유발하는 이영양증의 형태는, 알코올의 과도한 섭취, 전해질 불균형, 단식, 및 빠른 체중 감소를 포함한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서, 수화 산물은 생체가 운동 중에 소실되는 체액을 대체하는 것을 돕는 조성물이다. 따라서, 특정한 일 구현예에서, 수화 산물은 전해질이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화물, 인산염, 중탄산염,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해질은, 개시내용이 명백하게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 미국 특허 제5,681,569호에도 또한 기술되어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전해질은 이의 상응하는 수용성 염으로부터 수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염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염화물, 탄산염, 황산염, 아세트산염, 중탄산염, 시트르산염, 인산염, 인산수소, 타르타르산염, 소르브산염, 시트르산염, 벤조산염,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해질은 주스, 과일 추출물, 야채 추출물, 차 또는 차 추출물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수화 산물은 근육에 의해 연소되는 에너지 저장원을 보충하는 탄수화물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탄수화물은, 개시내용이 명백하게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 미국 특허 제4,312,856호, 제4,853,237호, 제5,681,569호, 및 제6,989,171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탄수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복합 다당류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형의 단당류의 비제한적인 예는 트리오스, 테트로스, 펜토스, 헥소스, 헵토스, 옥토스, 및 노노스를 포함한다. 적합한 단당류의 구체적인 유형의 비제한적인 예는 글리세르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에리트로스, 트레오스, 에리트롤로스, 아라비노스, 릭소스, 리보스, 자일로스, 리불로스, 자일룰로스, 알로스, 알트로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굴로스, 이도스, 만노스, 탈로스, 프룩토스, 사이코스, 소르보스, 타가토스, 만노헵툴로스, 세도헵툴로스, 옥톨로스, 및 시알로스를 포함한다. 적합한 이당류의 구체적인 예는 수크로스, 락토스, 및 말토스를 포함한다. 적합한 올리고당류의 구체적인 예는 사카로스, 말토트리오스, 및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탄수화물은 옥수수 시럽, 첨채당, 사탕수수 설탕, 주스, 또는 차에 의해 제공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수화는 세포 재수화를 제공하는 플라바놀이다. 플라바놀은 식물에 존재하는 천연 물질의 한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모이어티에 부착된 2-페닐벤조피론 분자 골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플라바놀의 비제한적인 예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3-갈레이트,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 3-갈레이트, 테아플라빈 3'-갈레이트, 테아플라빈 3,3' 갈레이트, 테아루비긴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플라바놀의 몇몇 공통적인 공급원은, 차 식물, 과일, 야채 및 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플라바놀은 녹차로부터 추출된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서, 수화 산물은 운동 내구력을 증강하기 위한 글리세롤 용액이다.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용액의 소화는 유익한 생리학적 효과, 예를 들어 혈관의 확장, 심박동수의 저하 및 직장 온도의 저하를 제공한다.
프로바이오틱/프리바이오틱
일정한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바이오틱, 프리바이오틱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바이오틱, 프리바이오틱 또는 이들의 조합은 건강 및 웰니스를 촉진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은 유효량으로 소비될 때 건강에 유익한 미생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프로바이오틱은 인체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위장관 미생물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고, 영양과는 별개인 건강 상 이점을 제공한다. 프로바이오틱은, 제한없이, 박테리아, 효모 및 진균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은 인체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위장관 미생물균총에 이로운 영향을 미치고, 영양과는 별개인 건강 상 이점을 부여하는 유익한 미생물이다. 프로바이오틱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인간에게 유익한 효과를 부여하는 락토바실리(Lactobacillis), 비티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또는 스트렙토코키(Streptococci) 속의 박테리아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바이오틱은 락토바실리 속으로부터 선택된다. 락토바실리(즉, 락토바실리우스(Lactobacillus) 속의 박테리아, 이하에서는 “L.”)는 수백년간 식품 보존제로서 그리고 인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인간 장관에서 발견되는 락토바실리의 종들의 비제한적인 예는 L.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L. 카세이(L. casei), L. 퍼멘텀(L. fermentum), L. 살리바 로스(L. saliva roes), L. 브레비스(L. brevis), L. 레이히만니(L. leichmannii), L. 플랜타럼(L. plantarum), L. 셀로비오서스(L. cellobiosus), L. 루테리(L. reuteri), L. 람노서스(L. rhamnosus), L. GG, L. 불가리쿠스(L. bulgaricus), 및 L. 써모필러스(L. thermophilu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은 비피도박테리아 속으로부터 선택된다. 비피도박테리아도, 또한, 탄수화물 대사의 결과물로 단쇄 지방산(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및 부티르산), 젖산 및 포름산을 생성함으로써 인간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 위장관에서 발견되는 비피도박테리아의 종의 비제한적인 예는 B. 안굴라텀(B. angulatum), B. 아니말리스(B. animalis), B. 아스테로이데스(B. asteroids), B. 비피덤(B. bifidum), B. 보움(B. boum), B. 브레베(B. breve), B. 카테누라틈(B. catenulatum), B. 코에리눔(B. choerinum), B. 코리네포메(B. coryneforme), B. 쿠니쿨리(B. cuniculi), B. 덴티움(B. dentium), B. 갈리쿰(B. gallicum), B. 갈리나룸(B. gallinarum), B. 인디쿰(B indicum), B. 론굼(B. longum), B. 마그눔(B. magnum), B. 메리시쿰(B. merycicum), B. 미니뭄(B. minimum), B. 슈도카테눌라툼(B. pseudocatenulatum), B. 슈도론굼(B. pseudolongum), B. 사이크래로필륨(B. psychraerophilum), B. 풀로룸(B. pullorum), B. 루미난티움(B. ruminantium), B. 사애크라레(B. saeculare), B. 스카르도비(B. scardovii), B. 시미애(B. simiae), B. 서브틸(B. subtile), B. 써마시도필룸(B. thermacidophilum), B. 써모필룸(B. thermophilum), B. 유리날리스(B. urinalis), 및 B. 종(B. s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은 스트렙토코커스 속으로부터 선택된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는 그람 양성, 조건적 혐기성이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는 젖산 박테리아로 분류되고, 우유 및 유제품에서 흔히 발견되며, 요거트의 생성에 사용된다. 이러한 박테리아의 다른 비제한적인 프로바이오틱 종은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루스(Streptococcus salivarus) 및 스트렙토코커스 크레모리스(Streptococcus cremoris)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프로바이오틱을 포함하는 식품류의 비제한적인 예는 요거트, 사우어크라프트(sauerkraut), 케피어(kefir), 김치, 발효 야채 및 장내 미생물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 동물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구성요소를 함유하는 기타 식품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프리바이오틱스는 장 내에서 유익한 박테리아의 생장을 촉진하는 조성물이다. 프리바이오틱 물질은 관련된 프로바이오틱에 의해 소비되거나 관련된 프로바이오틱이 살아있는 것을 돕거나 이의 생장을 자극할 수 있다. 유효량으로 소비될 때, 프리바이오틱은 또한 인체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위장관 미생물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단순한 영양과는 별개인 건강 상 이점을 부여한다. 프리바이오틱 식품은 대장으로 들어가 내인성 박테리아를 위한 기질로 작용함으로써, 숙주에게 간접적으로 에너지, 대사 물질 및 필수 미량영양소를 제공한다. 신체의 프리바이오틱 식품의 흡수 및 소화는, 소장에서의 소화와 흡수에서 벗어난 영양소로부터 숙주를 위한 에너지를 구하는, 박테리아 대사활성에 좌우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프리바이오틱은, 제한 없이, 무코다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 아미노산, 비타민, 영양분 전구체, 단백질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프리바이오틱은, 제한 없이 다당류 및 올리고당류를 포함하는, 식이 섬유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프로바이오틱의 수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가지는데, 이는 프로바이오틱에 의해 부여되는 이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라 프리바이오틱으로 분류되는 올리고당의 비제한적인 예는 프룩토올리고당류, 이눌린, 이소말토-올리고당류, 락티톨, 락토수크로스, 락툴로스, 피로덱스트린, 대두 올리고당류,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류, 및 자일로-올리고당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프리바이오틱은 아미노산이다. 비록 다수의 알려진 프리바이오틱이 분해되어 프로바이오틱을 위한 탄수화물을 제공하지만, 일부 프로바이오틱은 육성을 위한 아미노산도, 또한, 필요로 한다.
프리바이오틱은, 제한 없이, 바나나, 베리류, 아스파라거스, 마늘, 밀, 귀리, 보리(및 다른 전곡), 아마씨, 토마토, 예루살렘 아티초크, 양파 및 치커리, 녹색 야채(예컨대, 단델리온 그린, 시금치, 콜라드 그린, 근대, 케일, 겨자잎, 무우청), 및 콩류(예컨대, 렌틸, 강낭콩, 병아리콩, 해군 강낭콩, 흰 강낭콩, 검은콩)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된다.
체중 관리제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체중 관리제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체중 관리제는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체중관리제”는 식욕 억제제 및/또는 열발생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식욕 억제”라는 문구는 “식욕 포만 조성물”, “포만제”, 및 “포만 성분”과 동의어이다. “식욕 억제”라는 문구는 거대영양성분, 허브 추출물, 외인성 호르몬, 식욕감퇴제, 식욕억제제, 의약품, 및 이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효량으로 전달될 때, 사람의 식욕을 억제하거나, 저해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아니면 낮추는 것이다. “열발생제”라는 문구는 거대영양성분, 허브 추출물, 외인성 호르몬, 식욕감퇴제, 식욕억제제, 의약품, 및 이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효량으로 전달될 때, 사람의 열발생 또는 대사를 활성화거나 아니면 증진하는 것이다.
적합한 체중관리제는 단백질, 탄수화물, 식이 지방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거대영양성분을 포함한다. 단백질, 탄수화물, 및 식이 지방의 소비는 식욕 억제 효과를 지니는 펩티드의 방출을 자극한다. 예를 들어, 단백질 및 식이 지방의 소비는 위장 호르몬 콜레사이토키닌(CCK)의 방출을 자극하는 반면, 탄수화물 및 식이 지방의 소비는 글루카콘-유사 펩티드 1(GLP-1)의 방출을 자극한다.
적합한 거대영양성분 체중 조절제는, 또한,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탄수화물은 일반적으로, 신체가 에너지를 위해 글루코스로 전환하는, 당, 전분, 셀룰로스 및 검을 포함한다. 탄수화물은, 종종, 소화가능한 탄수화물(예컨대, 단당류, 이당류 및 전분) 및 소화불가능한 탄수화물(예컨대, 식이 섬유)의 2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연구에서는 소화불가능한 탄수화물 및 소장 내 소화 및 흡수가 감소된 복합체 중합체 탄수화물이 음식 섭취를 저해하는 생리학적 반응을 자극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원에 구현된 탄수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소화불가능한 탄수화물 또는 감소된 소화성을 가지는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탄수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덱스트로스; 이눌린; 단당류 유래 폴리올, 예를 들어 에리트리톨, 만니톨,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 이당류 유래 알코올, 예를 들어 이소말트, 락티톨, 및 말티톨; 및 수소첨가 전분 가수분해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탄수화물을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체중 관리제는 식이 지방이다. 식이 지방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단일불포화 지방산보다 더 큰 포만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원에 구현된 식이 지방은, 바람직하게는,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포함한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서, 체중 관리제는 허브 추출물이다. 다수의 유형의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이 식욕 억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의 추출물이 식욕 억제 성질을 가지는 식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후디아(Hoodia), 트리코카울론(Trichocaulon), 카랄루마(Caralluma), 스타펠리아(Stapelia), 오르베아(Orbea), 아스클레피아스(Asclepias), 및 카멜리아(Camelia) 속의 식물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는 김네마 실베스터(Gymnema Sylvestre), 콜라 너트, 시트러스 오란티움(Citrus Auran tium), 예르바 마테(Yerba Mate), 그리포니아 심플릭시폴리아(Griffonia Simplicifolia), 구아라나(Guarana), 몰약(myrrh), 구굴(guggul) 지질 및 블랙 커런트 씨 오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허브 추출물은 임의의 유형의 식물 물질 또는 식물 바이오매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식물 물질 및 바이오매스의 비제한적인 예는 줄기, 뿌리, 잎, 식물 물질로부터 수득된 건조 분말, 수액 또는 건조 수액을 포함한다. 허브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식물로부터 수액을 추출하고, 그런 다음, 수액을 분무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용매 추출 절차가 채용될 수도 있다. 초기 추출 후, 증진된 활성을 가지는 허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초기 추출물을 (예컨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더 분획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서, 허브 추출물은 후디아 속의 식물로부터 유래되며, 이의 종은 H. 알스토니(H. alstonii), H.컬로리(H. currorii), H. 드레제이(H. dregei), H. 플라바(H. flava), H. 고르도니(H. gordonii), H. 저스타태(H. jutatae), H. 목사메데시스(H. mossamedensis), H. 오피시날리스(H. officinalis), H. 파르비플로라이(H. parviflorai), H. 페디셀라타(H. pedicellata), H. 필리페라(H. pilifera), H. 루스치(H. ruschii), 및 H. 트리엡네리(H. triebneri)를 포함한다. 후디아 식물은 남아프리카에 자생하는 다육성 줄기이다. P57로 알려진 후디아의 스테롤 글리코시드가 후디아 종의 식욕 억제 효과를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허브 추출물은 카랄루마 속의 식물로부터 유래되며, 이의 종은 C. 인디카(C.indica), C. 핌브리아타(C. fimbriata), C. 아테누아타(C. attenuate), C. 투베쿨라타(C. tuberculata), C. 에둘리스(C. edulis), C. 아드센덴스(C. adscendens), C. 스탈라그미페라(C. stalagmifera), C. 움벨라테(C. umbellate), C. 페니실라타(C. penicillata), C. 루셀라나(C. russellana), C. 레트로스피센(C. retrospicens), C 아라비카(C. Arabica), 및 C. 라시안타(C. lasiantha)를 포함한다. 카랄루마 식물은 후디아와 동일한 아과인, 박주가리과에 속한다. 카랄루마는 인도에 자생하는 작고 똑바른 통통한 식물로서 의약학적 성질, 예를 들어, 식욕 억제를 나타내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글리코시드의 프레그난기에 속하는 글리코시드로부터 기인하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카라투베르시드(caratuberside) A, 카라투베르시드 B, 보우세로시드(bouceroside) I, 보우세로시드 II, 보우세로시드 III, 보우세로시드 IV, 보우세로시드 V, 보우세로시드 VI, 보우세로시드 VII, 보우세로시드 VIII, 보우세로시드 IX, 및 보우세로시드 X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허브 추출물은 트리코카울론의 속의 식물로부터 유래한다. 트리코카울론 식물은, 일반적으로, 남아프리카에 자생하는 다육으로서, 후디아와 유사하고, T. 필리페룸(T. piliferum) 및 T. 오피시날(T. officinale) 종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허브 추출물은 스타펠리아 또는 오르베아 속의 식물로부터 유래되며, 이의 종은, 각각, S. 기간틴(S. gigantean) 및 O. 바리에가테(O. variegate)를 포함한다. 스타펠리아 및 오르베아 식물은 동일한 후디아와 동일한 아과인, 박주가리과에 속한다. 어떠한 이론에도 얽매이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식욕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스타바로시드 A, B, C, D, E, F, G, H, I, J, 및 K를 포함하는, 사포닌, 예를 들어, 프레그난 글리코시드인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허브 추출물은 아스클레피아스의 속의 식물로부터 유래한다. 아스클레피아스 식물도, 또한, 식물의 박주가리 과에 속한다. 아스클레피아스 식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A. 인카르나테(A. incarnate), A. 쿠라싸이카(A. curassayica), A. 시리아카(A. syriaca), 및 A. 투베로스(A. tuberose)를 포함한다. 어떠한 이론에도 얽매이길 바라지 않으면서, 추출물은 식욕 억제 효과를 가지는, 스테로이달 화합물, 예를 들어, 프레그난 글리코시드 및 프레그난 아글리콘을 포함한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서, 체중 관리제는 체중 관리 효과를 가지는 외인성 호르몬이다. 이러한 호르몬의 비제한적인 예는, CCK, 펩티드 YY, 그렐린, 봄베신 및 가스트린-분비 펩티드(GRP), 엔테로스타틴, 아포지단백질 A-IV, GLP-1, 아밀린, 소마스타틴, 및 렙틴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체중 관리제는 의약품이다. 비제한적인 예는, 펜테님(phentenime), 디에틸프로피온,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시부트라민(sibutramine), 리모나반트(rimonabant), 옥신토모둘린(oxyntomodulin), 플록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floxetine hydrochloride), 에페드린(ephedrine), 펜에틸아민(phenethylamine), 또는 다른 자극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체중 관리제는, 본원에 제공된 감미부여된 조성물용 기능성 성분으로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활용될 수 있다.
골다공증 관리제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골다공증 관리제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골다공증 관리제는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골다공증은 뼈 강도를 약화시키는 골격 장애로서, 뼈 골절의 위험의 증가를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골다공증은 뼈 미네랄 밀도(BMD)의 감소, 뼈 미세 구조의 파괴, 및 뼈 내 비콜라겐성 단백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일정한 구현예에서, 골다공증 관리제는 적어도 하나의 칼슘 공급원이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칼슘 공급원은, 칼슘을 함유하는 임의의 화합물로서, 염 복합체, 가용화된 종들, 및 기타 형태의 칼슘을 포함한다. 칼슘 공급원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미노산으로 킬레이팅된 칼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수산화 칼슘, 황산 칼슘, 염화 칼슘, 인산화 칼슘, 인산 수소 칼슘, 인산 이수소 칼슘, 시트르산 칼슘, 말레산 칼슘, 칼슘 시트레이트 말레이트, 글루콘산 칼슘, 타르타르산 칼슘, 젖산 칼슘, 이의 가용화 종,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골다공증 관리제는 마그네슘 공급원이다. 마그네슘 공급원은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임의의 화합물로, 염 복합체, 가용화된 종들, 및 기타 형태의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마그네슘 공급원의 비제한적인 예는 염화 마그네슘, 시트르산 마그네슘, 마그네슘 글루셉테이트, 글루콘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마그네슘 피콜레이트(picolate), 황산 마그네슘, 이의 가용화 종,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서, 마그네슘 공급원은 아미노산으로 킬레이팅된 마그네슘 또는 크레아틴으로 킬레이팅된 마그네슘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골다공증 제제는 비타민 D, C, K, 이들의 전구체 및/또는 베타-카로텐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다수의 식물 및 식물 추출물이, 또한,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효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어떠한 이론에도 얽매이지 않기를 바라면서, 식물 및 식물 추출물은 골 형성 단백질을 자극하고/하거나 골 재흡수를 저해함으로써, 골 재형성 및 강도를 자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골다공증 관리제로서 적합한 식물 및 식물 추출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05/0106215호에 개시된 타락사쿰(Taraxacum) 및 아멜란치어(Amelanchier) 속의 종들, 및 미국 특허 공개 제2005/0079232호에 개시된 린데라(Lindera), 아르테미시아(Artemisia), 아코루스(Acorus), 카르타무스(Carthamus), 카룸(Carum), 크디니움(Cnidium), 쿠르쿠마(Curcuma), 사이퍼루스(Cyperus), 주니퍼루스(Juniperus), 프루누스(Prunus), 이리스(Iris), 치코리움(Cichorium), 도도나애(Dodonaea), 에피메디움(Epimedium), 에리고노움(Erigonoum), 소야(Soya), 멘타(Mentha), 오시뭄(Ocimum), 티무스(thymus), 타나세툼(Tanacetum), 플란타고(Plantago), 스페아민트(Spearmint), 빅사(Bixa), 비티스(Vitis), 로즈마리누스(Rosemarinus), 러스(Rhus), 및 아네툼(Anethum) 속의 종들을 포함한다.
피토에스트로겐
일정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피토에스트로겐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피토에스트로겐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피토에스트로겐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로서, 통상적으로, 피토에스트로겐을 가지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의 소화에 의해 인체에 전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피토에스트로겐”은 신체에 들어가면, 임의의 정도로 에스트로겐 유사 효과를 유발하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피토에스트로겐은 신체 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고 약간의 에스트로겐 유사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합한 피토에스트로겐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소플라본, 스틸벤, 리그난, 리소사이클산 락톤, 코우메스탄, 코우메스트로I, 에쿠올,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피토에스트로겐의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다음을 포함한다: 전곡, 곡류, 섬유, 과일, 야채, 블랙 코호시, 아가베 뿌리, 블랙 커랜트, 검은 산사나무, 체이스트베리, 백당나무, 당귀 뿌리, 땃두릅나무 뿌리, 일각수초(false unicorn) 뿌리, 인삼 뿌리, 개쑥갓(groundsel) 허브, 감초, 명근(liferoot) 허브, 익모초 허브, 모란 뿌리, 라스베리 잎, 장미과 식물, 샐비어 잎, 사르사(sarsaparilla) 뿌리, 톱야자 장과, 야생 참마 뿌리, 서양 톱풀 꽃(yarrow blossom), 콩류, 대두, 대두 제품(예컨대, 미소, 콩가루, 두유 콩, 대두 단백질 단리체, 템펜(tempen), 또는 두부), 병아리콩, 견과, 렌틸, 종자, 토끼풀, 붉은 토끼풀, 단델리온 잎, 단델리온 뿌리, 호로파 씨(fenugreek seed), 녹차, 홉, 레드 와인, 아마씨, 마늘, 양파, 아마인, 보리지(borage), 양박주가리속 식물(butterfly weed), 캐러웨이(caraway), 순비기나무(chaste tree), 바이텍스(vitex), 대추, 딜(dill), 회향씨(fennel seed), 고투 콜라(gotu kola), 큰 엉겅퀴(milk thistle), 페니로얄(pennyroyal), 석류, 개사철쑥(southernwood), 콩가루, 탄지(tansy), 및 칡(kudzu vine)의 뿌리(갈근 뿌리) 등, 및 이의 조합.
피토영양소의 군에 속하는 이소플라본은 폴리페놀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놀(또한, “폴리페놀산”으로도 알려짐)은 분자 당 하나 이상의 페놀기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일 군의 화학물질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적합한 피토에스트로겐 이소플라본은 게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 비오카닌(biochanin) A,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이들 각각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글리코시드 및 글리코시드 접합체, 마타이레시놀(matairesinol), 세코이솔라리시레시놀(secoisolariciresinol), 엔테로락톤(enterolactone), 엔테로디올(enterodiol), 콩 단백질로 만든 고기 대용품,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위한 이소플라본의 적합한 공급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두, 대두 제품, 콩류, 알팔파 새싹(alfalfa sprouts), 병아리콩, 땅콩, 및 붉은 토끼풀을 포함한다.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
일정한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은 다양한 군의 유기 화합물이다. 알코올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화합물이 탄소 원자에 결합된 하이드록실기(-OH)를 특징으로 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1차라는 용어는 이러한 화합물 내에서 하이드록실기에 결합된 탄소 원자가 단 하나의 다른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포화된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화합물이 탄소 대 탄소 파이 결합이 없음을 특징으로 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지방족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화합물 내 탄소 원자가 고리보다는 직쇄 또는 분지쇄로 함께 결합되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장쇄라는 용어는 이러한 화합물 내 탄소 원자의 수가 적어도 8개의 탄소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한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의 비제한적인 예는 8개의 탄소 원자인 1-옥탄올, 9 탄소인 1-노나놀, 10개의 탄소 원자인 1-데카놀, 12개 탄소 원자인 1-도데카놀, 14개 탄소 원자인 1-테트라데카놀, 16개의 탄소 원자인 1-헥사데카놀, 18개 탄소 원자인 1-옥타데카놀, 20개의 탄소 원자인 1-에이코사놀, 22개의 탄소인 1-도코사놀, 24개의 탄소인 1-테트라코사놀, 26개의 탄소인 1-헥사코사놀, 27개의 탄소인 1-헵타코사놀, 28개의 탄소인 1-옥타노솔, 29개의 탄소인 1-노나코사놀, 30개의 탄소인 1-트리아콘타놀, 32개의 탄소인 1-도트리아콘타놀, 및 34개의 탄소인 1-테트라콘타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은 폴리코사놀이다. 폴리코사놀은, 주로, 28개 탄소인 1-옥타노솔 및 30개의 탄소인 1-트리아콘타놀뿐 아니라 낮은 농도의 기타 알코올, 예를 들어, 22개의 탄소인 1-도코사놀, 24개의 탄소인 1-테트라코사놀, 26개의 탄소인 1-헥사코사놀, 27개의 탄소인 1-헵타코사놀, 29개의 탄소인 1-노나코사놀, 32개의 탄소인 1-도트리아콘타놀, 및 34개의 탄소인 1-테트라콘타놀로 구성된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의 혼합물에 대한 용어이다.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은 천연 지방 및 오일로부터 유래된다. 장쇄 1차 지방족 포화 알코올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이러한 공급원들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폴리코사놀은 사탕수수(Saccharum officinarium), 마(예컨대, Dioscorea opposite), 쌀(예컨대, Oryza sativa)의 겨 및 밀랍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 및 물질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폴리코사놀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이러한 공급원들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 기술은, 그 개시내용이 명백하게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05/0220868호에서 찾을 수 있다.
피토스테롤
일정한 구현예에서, 기능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피토스테롤, 피토스타놀, 및 이의 조합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피토스테롤, 피토스타놀, 또는 이의 조합은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음료 내에, 건강 및 안녕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스타놀”이라는 문구는 “식물 스타놀” 및 “피토스타놀”과 동의어이다.
식물 스테롤 및 스타놀은, 자연적으로, 많은 과일, 야채, 견과, 씨앗, 곡물, 콩류, 식물유, 나무 껍질 및 다른 식물 공급원에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사람은 보통 식물 스테롤과 스타놀을 매일 소비하지만, 소비되는 양은 유의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또는 다른 건강 상 이점을 나타내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식물 스테롤 및 스타놀을 가지는 식품 및 음료를 보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테롤은, C-3에 하이드록실기를 가지는, 스테로이드의 하위군이다. 일반적으로, 피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처럼 스테로이드 핵 내에 이중 결합을 가지지만, 피토스테롤은, 또한, 에틸 또는 메틸기 또는 추가적인 이중 결합과 같이 C-24에 치환된 측쇄(R)를 포함할 수 있다. 피토스테롤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적어도 44개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피토스테롤이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옥수수, 대두, 밀, 및 우드유와 같은 식물로부터 유래되지만, 이들은, 또한, 합성적으로 생성되어 천연에 존재하는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피토스테롤의 성질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피토스테롤의 비제한적인 예는, 4-데스메틸스테롤(예컨대, β-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22-데하이드로브라시카스테롤(dehydrobassicasterol), 및 △5-아베타스테롤), 4-모노메틸 스테롤, 및 4,4-디메틸 스테롤(트리터펜 알코올)(예컨대, 사이클로아르테놀, 24-메틸렌사이클로아르테놀, 및 사이클로브라놀)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스타놀”이라는 문구는 “식물 스타놀” 및 “피토스타놀”과 동의어이다. 피토스타놀은 자연에 단지 미량으로 존재하는 포화된 스테롤 알코올이며, 예를 들어, 피토스테롤의 수소첨가에 의해 합성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피토스타놀의 비제한적인 예는 β-시토스타놀, 캄페스타놀, 사이클로아르타놀, 및 다른 트리터펜 알코올의 포화 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 모두는, α 및 β 이성질체(예컨대, 각각, 포유동물에서 혈청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 중 하나를 포함하는, α-시토스테롤 및 β-시토스타놀)와 같은 다양한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은, 또한, 그들의 에스테르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의 에스테르를 유도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그 개시내용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 미국 특허 제6,589,588호, 제6,635,774호, 제6,800,317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2003/0045473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 에스테르의 비제한적인 예는, 시토스테롤 아세테이트, 시토스테롤 올레이트, 스티그마스테롤 올레이트 및 이들의 상응하는 피토스타놀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은, 또한, 그들의 유도체도 포함할 수 있다.
IV. 사용 방법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식용 제품을 소비하기 전에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를 투여/소비함으로써 식용 제품의 맛을 변형시키는(예를 들어, 그의 감미성에 감미부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강내 투여 형태와 식용 제품을 소비하는 사이의 시간 간격은 변동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시간 간격은 약 1분, 약 2분, 약 3분, 약 4분, 약 5분, 약 6분, 약 7분, 약 8분, 약 9분 또는 약 10분 또는 그 이상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시간 간격은 약 10초, 약 15초, 약 30초, 약 45초 또는 약 60초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내 투여 형태는 통상적인 양의 감미제, 예를 들어 고강도 감미제로 감미부여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식용 제품과 조합 시에 동일하거나 월등한 감미성 강도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총 탄수화물 섭취량은, 예를 들어 약 10%, 약 15%, 약 20%, 약 25% 또는 약 30% 또는 그 이하로 더 적다. 식용 제품은 그 자체가 감미제 및/또는 감미성 증강제를 함유할 수 있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감미성 인식 역치를 초과하는 농도로 적어도 하나의 감미제(예를 들어, 고강도 감미제, 예컨대 레바우디오시드 M 또는 아스파르탐)를 포함하는 음료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음료를 소비하기 전에 개시된 구강내 투여 형태를 소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식용 조성물은 통상적인 것에 의해 감미부여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음료에 비하여 감소된 탄수화물 총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첨가된 감미제 또는 감미성 증강제를 함유하지 않는 음료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음료를 소비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강내 투여 형태를 소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 또는 구강내 투여 형태 + 식용 제품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감미부여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음료에 비하여 감소된 탄수화물 총 함량을 갖는다.
V.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강내 투여 형태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신속-용해성 정제이며, 제조 방법은 냉동 건조(동결건조), 정제 성형, 분무 건조, 승화, 직접 압축 또는 나노화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신속-용해성 스트립이며, 제조 방법은 용매 캐스팅, 고온 용융 압출, 반용매 캐스팅, 고체 분산 압출 및 롤링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신속-용해성 스트립이며, 제조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신속-용해성 캡슐이며, 제조 방법은 통상적인 경질 캡슐의 관통(perforating) 또는 진공-건조를 포함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필름/스트립
Figure pct00006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Fiber-Sol 2, 미라클 프루트 분말 및 아스파르탐.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CC00800(PG 중 6.25%) 및 글리세롤.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필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a)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사전-블렌딩된 용액을 붓는다. b) 푸시 바(push bar)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필름을 서서히 캐스팅한다.
7. 캐스팅된 필름(들)을 상온에서, 또는 더 신속한 건조를 위해서는 사전설정된 온도의 오븐 내에서 하룻밤 건조되게 한다.
8. 캐스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5 내지 10% 수분), 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고, 관능 평가를 위하여 약 0.04 내지 0.3 g의 크기로 자른다.
1. 관능 평가 실시예
2. 미라클 프루트 펄프/분말 및 CC00800, 플로레틴 및 NHDC를 함유하는 필름/스트립의 관능 평가
제조된 미라클 프루트 분말 및 CC00800 필름/스트립의 관능 평가를 하기에 열거된 다양한 음료에서 완료하였다. 12명의 참가자가 있다. 상이한 용량(0.04 g 내지 1.0 g)의 필름/스트립을 제공하고, 약 15초 이상 동안 입/혀에서 유지하였다. 평가된 음료 및 관능 코멘트가 하기에 열거되어 있다.
음료 샘플
Figure pct00007
실시예 2: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들을 포함하는 용해가능한 스트립을 제조한다:
[표 2]
Figure pct00008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풀루란, 미라클 프루트 분말 및 아스파르탐.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플로레틴(PG 중 6.25%) 및 글리세롤.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필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a)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사전-블렌딩된 용액을 붓는다. b) 푸시 바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필름을 서서히 캐스팅한다.
7. 캐스팅된 필름(들)을 상온에서, 또는 더 신속한 건조를 위해서는 사전설정된 온도의 오븐 내에서 하룻밤 건조되게 한다.
8. 캐스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5 내지 10% 수분), 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고, 관능 평가를 위하여 약 0.04 내지 0.3 g의 크기로 자른다.
실시예 3:
하기 표 3에 나타낸 성분들을 포함하는 용해가능한 스트립을 제조한다:
[표 3]
Figure pct00009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풀루란, 미라클 프루트 분말 및 레바우디오시드 M.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플로레틴(PG 중 6.25%) 및 글리세롤.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필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a)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사전-블렌딩된 용액을 붓는다. b) 푸시 바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필름을 서서히 캐스팅한다.
7. 캐스팅된 필름(들)을 상온에서, 또는 더 신속한 건조를 위해서는 사전설정된 온도의 오븐 내에서 하룻밤 건조되게 한다.
8. 캐스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5 내지 10% 수분), 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고, 관능 평가를 위하여 약 0.04 내지 0.3 g의 크기로 자른다.
실시예 4:
하기 표 4에 나타낸 성분들을 포함하는 용해가능한 스트립을 제조한다:
[표 4]
Figure pct00010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 잔탄, 로커스트 빈 검, 풀루란, 미라클 프루트 분말.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NHDC(PG 중 6.25%) 및 글리세롤.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필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a)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사전-블렌딩된 용액을 붓는다. b) 푸시 바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필름을 서서히 캐스팅한다.
7. 캐스팅된 필름(들)을 상온에서, 또는 더 신속한 건조를 위해서는 사전설정된 온도의 오븐 내에서 하룻밤 건조되게 한다.
8. 캐스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5 내지 10% 수분), 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고, 관능 평가를 위하여 약 0.04 내지 0.3 g의 크기로 자른다.
실시예 5:
하기 표 5에 나타낸 성분들을 포함하는 용해가능한 스트립을 제조한다:
[표 5]
Figure pct00011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 잔탄, 로커스트 빈 검, 풀루란, 미라클 프루트 분말.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NHDC(PG 중 5%), 글리세롤 및 오렌지 향미제.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필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a)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사전-블렌딩된 용액을 붓는다. b) 푸시 바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필름을 서서히 캐스팅한다.
7. 캐스팅된 필름(들)을 상온에서, 또는 더 신속한 건조를 위해서는 사전설정된 온도의 오븐 내에서 하룻밤 건조되게 한다.
8. 캐스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5 내지 10% 수분), 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고, 관능 평가를 위하여 약 0.04 내지 0.3 g의 크기로 자른다.
실시예 6: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들을 포함하는 용해가능한 스트립을 제조한다:
[표 6]
Figure pct00012
제조 절차:
1. 용기 내에서 미라클 프루트 펄프를 칭량하고 해동시킨다.
2.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 펙틴, Fiber-Sol 2.
3.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PG 중 6.25%) 및 글리세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필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a)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사전-블렌딩된 용액을 붓는다. b) 푸시 바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필름을 서서히 캐스팅한다.
7. 캐스팅된 필름(들)을 상온에서, 또는 더 신속한 건조를 위해서는 사전설정된 온도의 오븐 내에서 하룻밤 건조되게 한다.
8. 캐스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약 5 내지 10% 수분), 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고, 관능 평가를 위하여 약 0.04 내지 0.3 g의 크기로 자른다.
실시예 7: 식용 겔 또는 식용 겔 혼합물
Figure pct00013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Fiber-Sol 2, 미라클 프루트 분말 및 레바우디오시드 M.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PG 중 6.25%).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관능 평가를 위하여 칭량 팬 내에 약 0.1 g 내지 2.0 g의 식용 겔을 준비한다.
실시예 8: 식용 액체 농축물 또는 점적제
Figure pct00014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Fiber-Sol 2, 미라클 프루트 분말 및 레바우디오시드 M.
2. 습윤 성분을 칭량한다 -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PG 중 6.25%).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용기에 소르브산칼륨을 첨가하고, 3 내지 5분 동안 혼합한다.
5.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6. 고압 균질기에 의해 3000 psi(2500 psi + 500 psi)에서 용액을 균질화한다.
7.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8. 관능 평가를 위하여 칭량 팬 내에 약 0.05 g 내지 2.0 g의 식용 액체 농축물/점적제를 준비한다.
실시예 9: 건조 분말 믹스(이는 또한 정제 또는 겔 캡슐로 제조될 수 있음)
Figure pct00015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Fiber-Sol 2, 미라클 프루트 분말, 플로레틴 및 레바우디오시드 M.
2. 관능 평가를 위하여 칭량 팬 내에 약 0.02 g 내지 0.5 g의 건조 분말 믹스를 준비한다.
실시예 10: 필름/스트립 - 미라클 프루트 분말 단독
Figure pct00016
제조 절차:
1.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Fiber-Sol 2 및 미라클 프루트 분말.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
3. 용기 내에서 가공처리수의 양을 칭량한다.
4. 사전-블렌딩된 건조 성분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혼합한다.
5. 필요하다면 용액을 진공 탈기한다.
6. 필름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a)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사전-블렌딩된 용액을 붓는다. b) 푸시 바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필름을 서서히 캐스팅한다.
7. 캐스팅된 필름(들)을 상온에서, 또는 더 신속한 건조를 위해서는 사전설정된 온도의 오븐 내에서 하룻밤 건조되게 한다.
8. 캐스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5 내지 10% 수분), 플레이트로부터 필름을 박리하고, 관능 평가를 위하여 약 0.04 내지 0.3 g의 크기로 자른다.
3. 관능 평가 실시예
4. 미라클 프루트 펄프/분말을 함유하는 필름/스트립의 관능 평가
제조된 미라클 프루트 분말 필름/스트립의 관능 평가를 하기에 열거된 다양한 음료에서 완료하였다. 12명의 참가자가 있다. 상이한 용량(0.04 g 내지 1.0 g)의 필름/스트립을 제공하고, 약 15초 이상 동안 입/혀에서 유지하였다. 평가된 음료 및 관능 코멘트가 하기에 열거되어 있다.
음료 샘플
Figure pct00017
실시예 11: (상이한 형상으로 제조하고 압축하기 위한) 환제(pill) 및 페이스트를 위한 도우
Figure pct00018
제조 절차:
1. (1 g의 Fiber-Sol 2를 제외한) 다음의 모든 건조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펙틴, Fiber-Sol 2, 미라클 프루트 분말.
2. 다음의 모든 습윤 성분들을 칭량하고 사전-블렌딩한다: 프로필렌 글리콜 중 CC00800 및 글리세롤.
3. (1 g의 Fiber-Sol 2를 제외한) 건조 블렌드를 약 15분 동안 도우 블렌더를 사용하여 습윤 블렌드와 블렌딩한다.
4. 블렌딩된 도우의 0.02 g 내지 0.5 g의 작은 조각들을 준비하고, Fiber-Sol 2 분말을 산분(dusting)하여 고결화를 방지한다.
5. 관능 평가를 위하여 칭량 팬 내에서 0.02 g 내지 0.5 g의 작은 조각들을 준비한다.
실시예 12: 과일 비트(bit) 또는 과일 조각의 생성
Figure pct00019
건조 성분들을 균일한 분말 블렌드로서 사전-블렌딩한다. 액체 성분들을 균일한 혼합물로서 사전-혼합한다. 액체 혼합물을 건조 분말 블렌드에 서서히 첨가하여 도우를 제조한다. 이어서, 도우를 장기간 동안(최대 5일) 상온에서 또는 승온, 예컨대 35 ℃에서 저장한다. 에이징된 도우를 가압하여 약 1 내지 2 mm 두께의 과일 시트를 형성하고, 과일 조각(예를 들어, 2 mm X 1 cm X 1 cm) 또는 비트(예를 들어, 2 mm X 2 mm X 2 mm)로 자른다. 과일 조각 및 과일 비트는 그 자체로 소비될 수 있거나 다른 성분, 예컨대 탄산화된 결정과 블렌딩될 수 있다.
실시예 13: 과일 비트 또는 과일 조각의 생성
Figure pct00020
건조 성분들을 균일한 분말 블렌드로서 사전-블렌딩한다. 액체 성분들을 균일한 혼합물로서 사전-혼합한다. 액체 혼합물을 건조 분말 블렌드에 서서히 첨가하여 도우를 제조한다. 이어서, 도우를 장기간 동안(최대 1 내지 2일) 상온에서 저장한다. 도우를 가압하여 약 1 내지 2 mm 두께의 과일 시트를 형성하고, 과일 조각(예를 들어, 2 mm X 1 cm X 1 cm) 또는 비트(예를 들어, 2 mm X 2 mm X 2 mm)로 자른다. 과일 조각 및 과일 비트는 그 자체로 소비될 수 있거나 다른 성분, 예컨대 탄산화된 결정과 블렌딩될 수 있다.
실시예 14: 과일 비트 및 탄산화된 결정
Figure pct00021
이어서, 0.5 g의 과일 비트(예를 들어, 2 mm X 2 mm X 2 mm)와 0.5 g의 이소말트 탄산화된 결정을 블렌딩하고, 소비를 위한 수분 장벽 파우치 내에 포장한다.
실시예 15: 과일 비트 및 탄산화된 결정
Figure pct00022
이어서, 0.4 g의 과일 비트(예를 들어, 2 mm X 2 mm X 2 mm)와 0.6 g의 이소말트 탄산화된 결정을 블렌딩하고, 소비를 위한 수분 장벽 파우치 내에 포장한다.

Claims (24)

  1. 미라쿨린(miraculin) 및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로칼콘 유도체를 포함하며, 미라쿨린과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로칼콘 유도체는 약 500:1 이하의 비로 존재하는,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2. 제1항에 있어서, 미라쿨린과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로칼콘 유도체는 약 100:1 이하의 비로 존재하는,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3. 제1항에 있어서, 미라쿨린과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로칼콘 유도체는 약 10:1 이하의 비로 존재하는,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4. 제1항에 있어서, 미라쿨린은 미라클 프루트 분말로서 제공되는,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5. 제4항에 있어서, 미라쿨린 푸르트 분말 내의 미라쿨린의 양은 약 0.01 내지 약 1 중량%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하이드로칼콘 유도체는 헤스페레틴 디하이드로칼콘(CC-00800), 플로레틴,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나린진 디하이드로칼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강도 감미제, 적어도 하나의 감미성 증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강도 감미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강도 감미제는 천연 고강도 감미제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강도 감미제는 레바우디오시드(rebaudioside) M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0. 제9항에 있어서, 레바우디오시드 M은 순도가 약 80% 내지 약 100%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1.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강도 감미제는 레바우디오시드 A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강도 감미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강도 감미제는 합성 고강도 감미제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3.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강도 감미제는 아스파르탐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4.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중합체, 가소제 및 타액 유도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5. 제1항에 있어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정제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6. 제1항에 있어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필름인,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
  17. 식용 제품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방법으로서,
    식용 제품을 소비하기 전에 제1항의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를 소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식용 제품은 음료 또는 음료 제품인,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식용 제품은 칼로리 감소(reduced-calorie) 음료 또는 무칼로리(non-calorie) 음료인,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식용 제품을 소비하기 전 3분 미만 이내에 소비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신속-용해성 구강내 투여 형태는 식용 제품을 소비하기 전 1분 미만 이내에 소비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구강내 투여 형태는, 통상적으로 감미부여된 식용 제품과 대비하여 감소된 탄수화물 농도에서 약 5 내지 약 10 브릭스(brix) 감미도(sweetness)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농도는 약 10% 이상만큼 감소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농도는 약 25% 이상만큼 감소되는, 방법.
KR1020207002510A 2017-06-27 2018-06-27 구강내 감미제 조성물 및 방법 KR102628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5579P 2017-06-27 2017-06-27
US62/525,579 2017-06-27
PCT/US2018/039828 WO2019006010A1 (en) 2017-06-27 2018-06-27 ORAL SWEETENER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525A true KR20200021525A (ko) 2020-02-28
KR102628901B1 KR102628901B1 (ko) 2024-01-24

Family

ID=6474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510A KR102628901B1 (ko) 2017-06-27 2018-06-27 구강내 감미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1106B2 (ko)
EP (1) EP3644745A4 (ko)
KR (1) KR102628901B1 (ko)
CN (1) CN111295101B (ko)
MX (1) MX2019015630A (ko)
WO (1) WO2019006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95851A1 (en) * 2021-03-22 2022-09-22 Darrien Allen Mir Strip
WO2022221443A1 (en) * 2021-04-13 2022-10-20 Ryp Labs, Inc. Edible spray or coating composition for extending life of perishable good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13455635B (zh) * 2021-07-05 2022-07-22 湖南华诚生物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罗汉果糖的甜感强化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3183846A1 (en) * 2022-03-23 2023-09-28 The Coca-Cola Company Enhanced hydration beverages with improved tas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8323A (en) * 1970-04-15 1975-08-05 Mirlin Corp Taste modifying composition
KR20060123705A (ko) * 2003-08-25 2006-12-04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모나틴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7107596A1 (en) * 2006-03-22 2007-09-27 Symrise Gmbh & Co. Kg Use of 4-hydroxydihydrochalcones and their salts for enhancing an impression of sweetness
JP2009240256A (ja) * 2008-03-31 2009-10-22 Kishu Umemasa:Kk 味覚修飾用可食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44218A1 (en) * 2009-12-11 2011-06-16 David Posner Taste-Modified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20170119032A1 (en) * 2015-10-29 2017-05-04 Senomyx, Inc. High intensity sweeten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1087A (en) 1970-04-15 1972-08-01 Meditron Inc Chewing gum composition
US4031260A (en) * 1971-05-14 1977-06-21 Nutrilite Products, Inc. Salts of dihydrochalc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sweeteners
US4304794A (en) * 1978-12-14 1981-12-08 Chimicasa Gmbh Artificial-sweetener composition and proces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US5464619A (en) 1994-06-03 1995-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compositions containing green tea solids, electrolytes and carbohydrates to provide improved cellular hydration and drinkability
DE19646392A1 (de) * 1996-11-11 1998-05-14 Lohmann Therapie Syst Lts Zubereitung zur Anwendung in der Mundhöhle mit einer an der Schleimhaut haftklebenden, Pharmazeutika oder Kosmetika zur dosierten Abgabe enthaltenden Schicht
US7923437B2 (en) 2001-02-16 2011-04-12 Cargill, Incorporated Water soluble β-glucan, glucosamine, and N-acetylglucosam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1325681A1 (en) 2001-12-11 2003-07-0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 for promotion of bone growth and maintenance of bone health
EP1325682A1 (en) 2001-12-11 2003-07-0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Food or pet food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for maintenance of bone health and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s
US20030045473A1 (en) 2002-07-19 2003-03-06 Sarama Robert Joseph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cardiovascular health
US20050220868A1 (en) 2004-03-31 2005-10-06 Marcor Development Corporation Policosanol composition and its use in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US20070196516A1 (en) 2005-10-18 2007-08-23 Chambers Scott A Sugar substitute and rapid localized delivery system
WO2013032462A1 (en) * 2011-08-31 2013-03-07 Adams Dany Spe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sking taste
SG11201609600UA (en) * 2014-06-12 2016-12-29 Four LLC Sweet taste receptor antagonist compositions
US20180133243A1 (en) * 2016-11-16 2018-05-17 Holista Colltech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crude formulations of fortified sugar for glycemic contr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8323A (en) * 1970-04-15 1975-08-05 Mirlin Corp Taste modifying composition
KR20060123705A (ko) * 2003-08-25 2006-12-04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모나틴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7107596A1 (en) * 2006-03-22 2007-09-27 Symrise Gmbh & Co. Kg Use of 4-hydroxydihydrochalcones and their salts for enhancing an impression of sweetness
JP2009240256A (ja) * 2008-03-31 2009-10-22 Kishu Umemasa:Kk 味覚修飾用可食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44218A1 (en) * 2009-12-11 2011-06-16 David Posner Taste-Modified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20170119032A1 (en) * 2015-10-29 2017-05-04 Senomyx, Inc. High intensity swee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95101B (zh) 2023-09-01
EP3644745A1 (en) 2020-05-06
KR102628901B1 (ko) 2024-01-24
US11491106B2 (en) 2022-11-08
EP3644745A4 (en) 2021-04-21
CN111295101A (zh) 2020-06-16
MX2019015630A (es) 2020-02-20
US20200163874A1 (en) 2020-05-28
WO2019006010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2897B2 (en) Steviol glycoside sweeteners with improved flavor profiles
RU2721853C2 (ru) Экстракты стевии
US20200054058A1 (en) Sweetness and Taste Improvement of Steviol Glycoside and Mogroside Sweeteners with Dihydrochalcones
CA2999767C (en) Steviol glycoside blends, compositions and methods
BR122020009091B1 (pt) Método para purificar reb x
AU2017241771B2 (en) Sweetness and taste improvement of steviol glycoside or mogroside sweeteners with flavonoids
KR102628901B1 (ko) 구강내 감미제 조성물 및 방법
RU2727426C2 (ru) Экстракты стев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