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255A -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255A
KR20200021255A KR1020180096781A KR20180096781A KR20200021255A KR 20200021255 A KR20200021255 A KR 20200021255A KR 1020180096781 A KR1020180096781 A KR 1020180096781A KR 20180096781 A KR20180096781 A KR 20180096781A KR 20200021255 A KR20200021255 A KR 20200021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training
input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343B1 (ko
Inventor
허지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343B1/ko
Priority to US16/229,333 priority patent/US10466739B1/en
Priority to CN201910155485.4A priority patent/CN110853689B/zh
Publication of KR2020002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0Distribution of clock signals, e.g. skew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3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clock generator or timing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9/50012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of ti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5Clock input buf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using a sampl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54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제안 발명은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상 검출 신호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 및 제 2 입력 클럭 중에서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 상기 기준 클럭을 제 1 내지 제 N 클럭 경로들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N 샘플링 클럭을 각각 출력하며, 트레이닝 동작 시 테스트 펄스를 상기 제 1 클럭 경로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데이터 입력 회로; 및 상기 트레이닝 동작 시, 상기 테스트 펄스를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ATA INPUT CIRCUIT}
본 특허문헌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공정 기술의 발달로 높은 집적도를 사용한 SoC(System-On-Chip) 설계가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IT(Information Technology)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광대역 통신망의 대중화는 방대한 정보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속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SOC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반도체 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높은 성능과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클럭의 동기화이다. 클럭 네트워크의 구조에는 트렁크, 메쉬, 대칭 H-tree, 버퍼 클럭 트리 등과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네트워크 구조가 있다. 이들 클럭 구조 중 버퍼 클럭 트리 방식은, 버퍼가 추가적으로 삽입되므로 칩 사이즈가 증가한다는 단점은 있으나, 삽입된 버퍼가 클럭 신호를 증폭시키고 과도한 로딩을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성능의 클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버퍼 클럭 트리 방식은 SoC 설계환경에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라,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클럭을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위상 검출 신호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 및 제 2 입력 클럭 중에서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 상기 기준 클럭을 제 1 내지 제 N 클럭 경로들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N 샘플링 클럭을 각각 출력하며, 트레이닝 동작 시 테스트 펄스를 상기 제 1 클럭 경로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데이터 입력 회로; 및 상기 트레이닝 동작 시, 상기 테스트 펄스를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은, 트레이닝 동작 시, 클럭 트리 구조를 구성하는 다수의 클럭 경로들 중, 제 1 클럭 경로에 테스트 펄스를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펄스를 기준 지연값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위상 비교하여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노멀 동작 시, 상기 위상 검출 신호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 및 제 2 입력 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 클럭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클럭을 상기 제 1 클럭 경로에 인가하여 생성된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시스템은, 반도체 장치; 및 상기 반도체 장치에 제 1 및 제 2 입력 클럭을 제공하며, 입력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장치는, 위상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 클럭 및 상기 제 2 입력 클럭 중에서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 상기 기준 클럭을 제 1 내지 제 N 클럭 경로들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N 샘플링 클럭을 각각 출력하며, 트레이닝 동작 시 테스트 펄스를 상기 제 1 클럭 경로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데이터 입력 회로; 및 상기 트레이닝 동작 시, 상기 테스트 펄스를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라,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클럭을 선택함으로써 셋업/홀드 타임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반도체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 는 도 1 의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3 은 도 2 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 파형도 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5 는 도 4 의 클럭 생성 회로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6 은 도 4 의 병렬화부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7 은 도 4 의 반도체 장치의 노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8 은 도 4 의 반도체 장치의 트레이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은 반도체 시스템(1)의 블록도 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반도체 시스템(1)은 반도체 장치(10) 및 반도체 장치(10)와 데이터(DQ)를 송수신하며 반도체 장치(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 제어 신호(CTRL) 및 클럭(CLK)을 제공하는 컨트롤러(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CTRL)는, 예컨대, 칩 선택 신호(CS),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 글로벌 리셋 신호(RST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가 메모리 장치일 경우, 반도체 장치(10)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램의 일 종류로서 시스템의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디램(Synchronous DRAM)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식 디램이 시스템 클럭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DDR(double-data-rate) 방식의 동기식 디램인 경우, 각종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의사 차동 신호 방식(pseudo differential signaling)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CLK)은 정 클럭(PCLK)(이하에서, “제 1 입력 클럭(PCLK)”이라고 한다) 및 부 클럭(NCLK)(이하에서, “제 2 입력 클럭(NCLK)”이라고 한다)를 포함하는 차동 클럭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는, 클럭 생성 회로(12), 데이터 입력 회로(14) 및 내부 회로(16)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반도체 장치(10)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 및 제어 신호(CTRL)를 버퍼링하고 디코딩하는 버퍼(미도시) 또는 디코더(미도시)와, 데이터(DQ)를 컨트롤러(20)로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 회로(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지만, 발명의 요지를 충실히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도 1 의 반도체 장치(10)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클럭 생성 회로(12)는,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 중 하나를 입력받아 다수의 샘플링 클럭들(GCLK1~GCLK8)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 생성 회로(12)는, 제 1 입력 클럭(PCLK)을 입력받아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을 생성할 수 있다. 클럭 생성 회로(12)는, 클럭 버퍼들(예를 들어, 다수의 인버터들)로 이루어진 클럭 트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럭 생성 회로(12)는, 제 1 입력 클럭(PCLK)을 서로 다른 클럭 경로들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클럭 트리 구조의 다수의 클럭 경로들은 서로 다른 지연량을 가질 수 있다. 즉, 다수의 클럭 경로 중 어느 경로를 통해 출력되느냐에 따라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은 서로 다른 클럭 트리 지연량을 가지며, 이러한 샘플링 클럭 사이의 서로 다른 지연량은 클럭 스큐(skew)로 정의될 수 있다. 클럭 스큐가 설계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클럭 레이스 문제가 발생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내부 회로(16)의 구성들이 설계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회로(14)는,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에 따라 데이터(DQ)를 병렬화하고,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 중 하나(예를 들어,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병렬화된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데이터 입력 회로(14)는, 병렬화부(14A) 및 정렬부(14B)를 포함할 수 있다.
병렬화부(14A)는, 제 1 입력 클럭(PCLK)에 따라 데이터(DQ)를 병렬화하여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출력할 수 있다. 정렬부(14B)는,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정렬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출력할 수 있다.
내부 회로(16)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 제어 신호(CTRL) 및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에 따라,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처리할 수 있다.
도 3 은 도 2 의 반도체 장치(10)의 동작 파형도 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병렬화부(14A)는, 제 1 입력 클럭(PCLK)의 라이징 에지에 따라 데이터(DQ)를 래치하고, 제 2 입력 클럭(NCLK)의 라이징 에지에 따라 데이터(DQ)를 래치한다. 병렬화부(14A)는, 제 1 입력 클럭(PCLK)의 다음 라이징 에지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각각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출력할 수 있다.
정렬부(14B)는,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래치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정렬부(14B)가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래치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셋업/홀드 타임(setup/hold time)을 확보하여야 한다. 즉, 셋업/홀드 타임이 적정한 마진(Margin)을 확보해야만 래치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클럭에 정확히 센터링(Centering)되어 정렬부(14B)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클럭 생성 회로(12)의 클럭 트리 구조에서, 샘플링 클럭(GCLK1)이 출력되는 클럭 경로의 클럭 트리 지연량(CTD)이 6 ns 인 경우, 셋업/홀드 타임이 적정한 마진(예를 들어, 4 ns)을 확보하기 때문에 정렬부(14B)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샘플링 클럭(GCLK1)이 출력되는 클럭 경로의 클럭 트리 지연량(CTD)이 3 ns 인 경우, 셋업/홀드 타임이 적정한 마진(4 ns)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렬부(14B)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입력 회로(14)가 클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할 때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라 셋업/홀드 타임의 마진이 부족할 수 있다. 이하, 제안 발명은,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라,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클럭을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0)의 블록도 이다. 도 5 는 도 4 의 클럭 생성 회로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0)는, 클럭 선택부(110), 클럭 생성 회로(120), 데이터 입력 회로(140), 트레이닝 회로(160) 및 내부 회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선택부(110)는, 위상 검출 신호(PD_DET)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 클럭(MCLK)을 출력할 수 있다. 클럭 선택부(110)는, 멀티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다. 클럭 선택부(110)는, 위상 검출 신호(PD_DET)가 로직 하이 레벨일 때 제 2 입력 클럭(NCLK)을 기준 클럭(MCLK)으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하고, 위상 검출 신호(PD_DET)가 로직 로우 레벨일 때 제 1 입력 클럭(PCLK)을 기준 클럭(MCLK)으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클럭 생성 회로(120)는, 기준 클럭(MCLK)을 제 1 내지 제 8 클럭 경로(도 5 의 P1~P8)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클럭 생성 회로(120)는, 트레이닝 동작 시 인가되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제 1 내지 제 8 클럭 경로(P1~P8) 중, 제 1 클럭 경로(P1)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클럭 생성 회로(120)는, 직렬 연결된 다수의 클럭 버퍼(B1~B14)을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8 클럭 경로(P1~P8)를 형성하는 클럭 트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의 클럭 트리 구조의 클럭 생성 회로(120)는, 클럭 버퍼(B1, B3, B7)로 구성된 제 1 클럭 경로(P1), 클럭 버퍼(B1, B3, B8)로 구성된 제 2 클럭 경로(P2), 클럭 버퍼(B1, B4, B9)로 구성된 제 3 클럭 경로(P3), 클럭 버퍼(B1, B4, B10)로 구성된 제 4 클럭 경로(P4), 클럭 버퍼(B2, B5, B11)로 구성된 제 5 클럭 경로(P5), 클럭 버퍼(B2, B5, B12)로 구성된 제 6 클럭 경로(P6), 클럭 버퍼(B2, B13)로 구성된 제 7 클럭 경로(P7), 클럭 버퍼(B2, B6, B14)로 구성된 제 8 클럭 경로(P8)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생성 회로(120)는, 기준 클럭(MCLK)을 제 1 내지 제 8 클럭 경로(P1~P8)를 통해 가변적으로 지연시켜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샘플링 클럭(GCLK1)은 제 1 클럭 경로(P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클럭 생성 회로(120)는, 트레이닝 동작 시 인가되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제 1 샘플링 클럭(GCLK1)이 출력되는 제 1 클럭 경로(P1)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 1 샘플링 클럭(GCLK1)과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는 동일한 클럭 경로(P1)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연량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4 를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 회로(140)는,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에 따라 데이터(DQ)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병렬화하고,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샘플링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데이터 입력 회로(140)는, 병렬화부(142) 및 정렬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병렬화부(142)는, 제 1 입력 클럭(PCLK)에 따라 데이터(DQ)를 병렬화하여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출력할 수 있다. 정렬부(144)는,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정렬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출력할 수 있다.
트레이닝 회로(160)는, 트레이닝 동작 시 소정 구간 펄싱하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를 출력하고,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와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트레이닝 회로(160)는, 펄스 생성부(162), 기준 지연부(164) 및 위상 검출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펄스 생성부(162)는, 트레이닝 모드 신호(TM)에 따라 소정 구간 펄싱하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생성할 수 있다. 트레이닝 모드 신호(TM)는, 컨트롤러(도 1 의 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TRL)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트레이닝 모드 신호(TM)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의 형태로 제공되어 디코딩되어 생성될 수 있다.
기준 지연부(164)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지연값은, 정렬부(144)의 셋업/홀드 타임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상 검출부(166)는,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와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생성할 수 있다. 위상 검출부(166)는,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의 위상이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보다 앞선 경우,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로직 하이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트레이닝 회로(160)는, 테스트 펄스(T_PULSE)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제 1 클럭 경로(P1)의 지연량만큼 지연된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와 기준 지연값만큼 지연된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생성할 수 있다.
내부 회로(180)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 제어 신호(CTRL) 및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에 따라,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처리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0)가 메모리 장치일 경우, 메모리 셀 영역(미도시)와, 센스 앰프/라이트 드라이버가 배치되는 주변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회로(16)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 제어 신호(CTRL) 및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에 따라,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라이트 하거나, 메모리 셀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컨트롤러(도 1 의 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 은 도 4 의 병렬화부(142)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병렬화부(142)는, 제 1 및 제 2 프리-래치(142A, 142B) 및 제 1 및 제 2 포스트-래치(142C, 14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리-래치(142A)는, 제 1 입력 클럭(PCLK)에 응답하여 데이터(DQ)를 래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2 프리-래치(142B)는, 제 2 입력 클럭(NCLK)에 응답하여 데이터(DQ)를 래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1 포스트-래치(142C)는, 제 1 입력 클럭(PCLK)에 응답하여 제 1 프리-래치(142A)의 출력을 래치하여 제 1 병렬 데이터(DATA_R)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포스트-래치(142D)는, 제 1 입력 클럭(PCLK)에 응답하여 제 2 프리-래치(142B)의 출력을 래치하여 제 2 병렬 데이터(DATA_F)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병렬화부(142)는, 제 1 입력 클럭(PCLK)의 라이징 에지에 따라 데이터(DQ)를 래치하고, 제 2 입력 클럭(NCLK)의 라이징 에지에 따라 데이터(DQ)를 래치하고, 제 1 입력 클럭(PCLK)의 다음 라이징 에지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각각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 은 도 4 의 반도체 장치(100)의 트레이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8 은 도 4 의 반도체 장치(100)의 노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이하에서, 반도체 장치(100)의 노멀 동작은 트레이닝 동작을 제외한 동작으로,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100)가 메모리 장치의 경우, 라이트 동작 혹은 리드 동작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트레이닝 동작 시 트레이닝 모드 신호(TM)가 활성화되면, 펄스 생성부(162)는 소정 구간 펄싱하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생성한다. 클럭 생성 회로(120)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제 1 클럭 경로(P1)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를 출력한다. 기준 지연부(164)는, 테스트 펄스(T_PULSE)를 셋업/홀드 타임에 대응되는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를 출력한다. 위상 검출부(166)는,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와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트레이닝 회로(160)는, 테스트 펄스(T_PULSE)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제 1 클럭 경로(P1)의 지연량만큼 지연된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와 기준 지연값만큼 지연된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의 위상이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보다 앞선 경우, 위상 검출 신호(PD_DET)는 로직 하이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클럭 선택부(110)는, 위상 검출 신호(PD_DET)가 로직 하이 레벨일 때 제 2 입력 클럭(NCLK)을 기준 클럭(MCLK)으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하고, 위상 검출 신호(PD_DET)가 로직 로우 레벨일 때 제 1 입력 클럭(PCLK)을 기준 클럭(MCLK)으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닝 동작을 통해,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 중 하나가 기준 클럭(MCLK)으로 출력되도록 위상 검출 신호(PD_DET)가 설정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노멀 동작(예를 들어, 라이트 동작) 시 트레이닝 모드 신호(TM)는 비활성화되고, 트레이닝 회로(160)는 동작하지 않는다.
클럭 선택부(110)는, 트레이닝 동작을 통해 설정된 위상 검출 신호(PD_DET)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 클럭(MCLK)을 출력한다. 클럭 생성 회로(120)는, 기준 클럭(MCLK)을 제 1 내지 제 8 클럭 경로(P1~P8)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을 각각 출력한다. 병렬화부(142)는, 제 1 입력 클럭(PCLK)에 따라 데이터(DQ)를 병렬화하여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출력한다. 정렬부(144)는,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정렬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 중 선택된 기준 클럭(MCLK)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가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이하에서는, 기준 지연값이 4 ns 으로 설정된 경우, 도 9 는 클럭 트리 지연량(CTD)이 기준 지연값 보다 작은 3 ns 이고, 도 10 은 클럭 트리 지연량(CTD)이 기준 지연값 보다 큰 6 ns 인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클럭 트리 지연량(CTD)이 기준 지연값 보다 작은 경우, 즉,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의 위상이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보다 앞서므로, 트레이닝 회로(160)는, 트레이닝 동작 시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로직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노멀 동작 시, 클럭 선택부(110)는, 위상 검출 신호(PD_DET)가 로직 하이 레벨일 때 제 2 입력 클럭(NCLK)을 기준 클럭(MCLK)으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클럭 생성 회로(120)는, 기준 클럭(MCLK)을 제 1 내지 제 8 클럭 경로(P1~P8)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을 각각 출력한다.
병렬화부(142)는, 제 1 입력 클럭(PCLK)의 라이징 에지에 따라 데이터(DQ)를 래치하고, 제 2 입력 클럭(NCLK)의 라이징 에지에 따라 데이터(DQ)를 래치한다. 병렬화부(142)는, 제 1 입력 클럭(PCLK)의 다음 라이징 에지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각각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출력한다.
정렬부(144)는,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래치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로 출력한다. 이 때, 제 2 클럭(NCLK)이 기준 클럭(MCLK)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도 3 의 셋업/홀드 타임에 비해, 도 8 의 셋업/홀드 타임이 더 큰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부(144)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 을 참조하면, 클럭 트리 지연량(CTD)이 기준 지연값 보다 큰 경우, 즉, 제 2 트레이닝 신호(D_PULSE)의 위상이 제 1 트레이닝 신호(P_PULSE)의 위상보다 앞서므로, 트레이닝 회로(160)는, 트레이닝 동작 시 위상 검출 신호(PD_DET)를 로직 로우 레벨로 출력한다.
노멀 동작 시, 클럭 선택부(110)는, 위상 검출 신호(PD_DET)가 로직 로우 레벨일 때 제 1 입력 클럭(PCLK)을 기준 클럭(MCLK)으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클럭 생성 회로(120)는, 기준 클럭(MCLK)을 제 1 내지 제 8 클럭 경로(P1~P8)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8 샘플링 클럭(GCLK1~GCLK8)을 각각 출력한다.
병렬화부(142)는, 제 1 입력 클럭(PCLK) 및 제 2 입력 클럭(NCLK)에 따라 데이터(DQ)를 병렬화하여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로 출력할 수 있다. 정렬부(144)는, 제 1 샘플링 클럭(GCLK1)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DATA_R, DATA_F)를 래치하여 제 1 및 제 2 내부 데이터(DIN_R, DIN_F)로 출력한다. 이 때, 제 1 클럭(PCLK)이 기준 클럭(MCLK)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셋업/홀드 타임이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부(144)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안 발명은, 트레이닝 동작 시 클럭 트리 지연량에 따라 데이터를 샘플링하는데 이용되는 클럭을 선택하고, 라이트 동작 시 선택된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샘플링한다. 따라서, 데이터 샘플링 시 셋업/홀드 타임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위상 검출 신호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 및 제 2 입력 클럭 중에서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
    상기 기준 클럭을 제 1 내지 제 N 클럭 경로들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N 샘플링 클럭을 각각 출력하며, 트레이닝 동작 시 테스트 펄스를 상기 제 1 클럭 경로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데이터 입력 회로; 및
    상기 트레이닝 동작 시, 상기 테스트 펄스를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회로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회로는,
    트레이닝 모드 신호에 따라 소정 구간 펄싱하는 상기 테스트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상기 테스트 펄스를 상기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딜레이부; 및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검출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회로는,
    상기 제 1 입력 클럭 및 상기 제 2 입력 클럭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병렬화하여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를 출력하는 병렬화부; 및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를 정렬하는 정렬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지연값은,
    상기 정렬부의 셋업/홀드 타임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생성 회로는,
    직렬 연결된 다수의 클럭 버퍼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클럭 경로들을 형성하는 클럭 트리 구조로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샘플링 클럭에 따라, 상기 데이터 입력 회로에서 정렬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내부 회로
    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7. 반도체 장치; 및
    상기 반도체 장치에 제 1 및 제 2 입력 클럭을 제공하며, 입력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장치는,
    위상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 클럭 및 상기 제 2 입력 클럭 중에서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
    상기 기준 클럭을 제 1 내지 제 N 클럭 경로들로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N 샘플링 클럭을 각각 출력하며, 트레이닝 동작 시 테스트 펄스를 상기 제 1 클럭 경로로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생성 회로;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데이터 입력 회로; 및
    상기 트레이닝 동작 시, 상기 테스트 펄스를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회로
    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회로는,
    트레이닝 모드 신호에 따라 소정 구간 펄싱하는 상기 테스트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상기 테스트 펄스를 상기 기준 지연값 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딜레이부; 및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검출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회로는,
    상기 제 1 입력 클럭 및 제 2 입력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병렬화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를 출력하는 병렬화부; 및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를 정렬하는 정렬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지연값은,
    상기 정렬부의 셋업/홀드 타임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반도체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생성 회로는,
    직렬 연결된 다수의 클럭 버퍼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N 클럭 경로들을 형성하는 클럭 트리 구조로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샘플링 클럭에 따라, 상기 데이터 입력 회로에서 정렬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내부 회로
    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13. 트레이닝 동작 시, 클럭 트리 구조를 구성하는 다수의 클럭 경로들 중, 제 1 클럭 경로에 테스트 펄스를 인가하여 제 1 트레이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펄스를 기준 지연값만큼 지연시켜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트레이닝 신호와 상기 제 2 트레이닝 신호를 위상 비교하여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노멀 동작 시, 상기 위상 검출 신호에 따라 제 1 입력 클럭 및 제 2 입력 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 클럭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클럭을 상기 제 1 클럭 경로에 인가하여 생성된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입력 클럭 및 상기 제 2 입력 클럭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병렬화하여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샘플링 클럭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병렬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지연값은,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정렬할 때 셋업/홀드 타임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96781A 2018-08-20 2018-08-20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9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81A KR102597343B1 (ko) 2018-08-20 2018-08-20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16/229,333 US10466739B1 (en) 2018-08-20 2018-12-21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ata input circuit
CN201910155485.4A CN110853689B (zh) 2018-08-20 2019-03-01 包括数据输入电路的半导体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81A KR102597343B1 (ko) 2018-08-20 2018-08-20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55A true KR20200021255A (ko) 2020-02-28
KR102597343B1 KR102597343B1 (ko) 2023-11-06

Family

ID=6839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81A KR102597343B1 (ko) 2018-08-20 2018-08-20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66739B1 (ko)
KR (1) KR102597343B1 (ko)
CN (1) CN1108536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3223B2 (ja) * 2020-11-24 2024-03-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20230035805A (ko) * 2021-09-06 202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신호 지연 경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16386685B (zh) * 2023-03-29 2024-05-28 浙江力积存储科技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校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6954306B (zh) * 2023-09-20 2024-01-02 芯动微电子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时钟移相方法和装置
CN117457041A (zh) * 2023-11-03 2024-01-26 上海奎芯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适用于门控时钟信号的训练装置和训练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0407A1 (en) * 2004-06-16 2005-12-22 Loke Alvin L S Delay-locked loop and a method of testing a delay-locked loop
US20070146035A1 (en) * 2005-12-28 2007-06-28 Intel Corporation Receive clock deskew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20154186A1 (en) * 2010-12-17 2012-06-21 Mahmudul Hassan Low power serial to parallel converter
US20130034134A1 (en) * 2007-05-29 2013-02-07 Rambus Inc. Adjusting Clock Error Across A Circuit Interface
US20150364170A1 (en) * 2014-06-12 2015-12-17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clock synchron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61394D1 (en) * 1986-05-23 1989-01-12 Itt Ind Gmbh Deutsche Pulse-edge coincidence detector and its use for selecting a sampling signal
US6111807A (en) * 1998-07-17 2000-08-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lowing easy and fast text
JP2004198269A (ja) * 2002-12-19 2004-07-15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909329B2 (en) * 2003-09-02 2005-06-21 Agere Systems Inc. Adaptive loop bandwidth circuit for a PLL
KR20060075008A (ko) 2004-12-28 2006-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지연 고정 루프 및 그의 제어 방법
US8699647B2 (en) * 2009-06-23 2014-04-15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Fast phase alignment for clock and data recovery
KR101179462B1 (ko) * 2010-11-30 2012-09-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시스템
KR20180072316A (ko) * 2016-12-21 2018-06-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0407A1 (en) * 2004-06-16 2005-12-22 Loke Alvin L S Delay-locked loop and a method of testing a delay-locked loop
US20070146035A1 (en) * 2005-12-28 2007-06-28 Intel Corporation Receive clock deskew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30034134A1 (en) * 2007-05-29 2013-02-07 Rambus Inc. Adjusting Clock Error Across A Circuit Interface
US20120154186A1 (en) * 2010-12-17 2012-06-21 Mahmudul Hassan Low power serial to parallel converter
US20150364170A1 (en) * 2014-06-12 2015-12-17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clock synchron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343B1 (ko) 2023-11-06
US10466739B1 (en) 2019-11-05
CN110853689A (zh) 2020-02-28
CN110853689B (zh)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343B1 (ko) 데이터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7975162B2 (en) Apparatus for aligning input data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310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ck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236101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data aligner
US9524759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apturing data using a divided clock
US7719904B2 (en) Data input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capable of adapting to a phase skew between a data strobe signal and an external clock signal
US7161856B2 (en)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391089B2 (en) Method and circuit of calibrating data strobe signal in memory controller
KR20100001828A (ko) 셋업/홀드 타임 측정 장치
US20050232063A1 (en)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in DDR memory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20170098539A (ko) 데이터 정렬 장치
US20210091772A1 (en)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a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the signal generation circuit
JP4061029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バッファ及び信号伝送回路
US20080201596A1 (en) Clock buffer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US1038835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using the same
US200400080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kewing data with respect to command on a DDR interface
US7408822B2 (en) Alignment of memory read data and clocking
KR100762882B1 (ko)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 제어 회로
KR100886645B1 (ko) 클럭 버퍼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50062472A (ko) 반도체 집적회로
US2004007993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976406B1 (ko) 플립플롭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030165077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ermitting early detection of defective test data
KR20040017733A (ko) 최적 래치 타이밍 설정 기능을 가진 에스디램 컨트롤러
KR100870422B1 (ko) 패스트신호제어회로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