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122A -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122A
KR20200021122A KR1020180096469A KR20180096469A KR20200021122A KR 20200021122 A KR20200021122 A KR 20200021122A KR 1020180096469 A KR1020180096469 A KR 1020180096469A KR 20180096469 A KR20180096469 A KR 20180096469A KR 20200021122 A KR20200021122 A KR 20200021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raw material
sealing door
damper
back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927B1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18009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9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3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812/08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롬 내부의 바울로 경사져 형성된 호퍼가 형성된 본체; 상기 호퍼에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어 상기 호퍼를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에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고, 외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원료용기백의 내부포장비닐이 개방된 상태로 맞물려 상기 호퍼와 실링되는 백실링 도어; 및 상기 호퍼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포장비닐이 맞물린 상기 백실링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바울로 연통시키는 댐퍼로 구성되어서, 원료용기자재의 투입시, 백실링 도어와 댐퍼에 의해 외부 미세먼지의 유입, 작업자의 손 또는 원료용기의 포장비닐 파티클로 인해서 바울 또는 충전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System for Docking and Pouring Raw Material Containner Materials}
본 발명은 원료용기자재 투입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용기자재의 바울 투입시, 파티클의 발생과 비산을 차단하고, 외부공기 유입에 따른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약설비 및 위생설비에서, 점안액, 주사제, 제약원료 또는 위생원료가 충진되는 위생처리된 원료용기자재, 예컨대 원료용기, 원료용기의 내부캡, 또는 원료용기의 외부캡을 충전기가 설치된 클린룸(또는 충전실)(10)(원료용기 투입부(A), 내부캡 투입부(B), 외부캡 투입부(C)) 내의 바울(11)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클린룸 출입구 도어를 개방하고 작업자가 직접 내실하여, 비닐포장된 외부포장비닐을 가위로 개봉하고 충전기 도어(12)를 개방한 후 바울(11)에 쏟아부어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바울 투입시, 원료용기의 내부 비닐(최종 비닐) 개봉시 발생하는 파티클 또는 작업자의 손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기도 하고, 충전기 도어(12)의 개방시 외부공기의 유입에 따른 미세먼지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원료용기자재의 바울 투입시, 파티클의 발생과 비산을 차단하고, 외부공기 유입에 따른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원료용기자재 투입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09621호 (수지재 앰플의 제조장치. 2012.01.18. 등록)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료용기자재의 바울 투입시, 파티클의 발생과 비산을 차단하고, 외부공기 유입에 따른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외부와 격리되고, 일측 종단부가 클린롬 내부의 바울로 경사져 형성된 호퍼가 형성된 본체; 상기 호퍼의 타측 종단부에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어 상기 호퍼를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에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고, 외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원료용기백의 내부포장비닐이 개방된 상태로 맞물려 상기 호퍼와 실링되는 백실링 도어; 및 상기 호퍼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포장비닐이 맞물린 상기 백실링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바울로 연통시키는 댐퍼로 구성되되, 상기 프런트 도어의 개방시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를 폐쇄하며, 내부포장비닐과 맞물린 상기 백실링 도어의 폐쇄시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를 개방하여 원료용기, 원료용기의 내부캡 또는 원료용기의 외부캡이 상기 바울로 슬라이딩되어 투입되도록 하고, 원료용기의 투입 완료시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를 폐쇄하고 내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상기 백실링 도어 및 상기 프런트 도어를 순차적으로 폐쇄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백실링 도어와 접촉하는 상기 프런트 도어의 테두리에는 실링이 형성되고, 상기 백실링 도어와 접하는 상기 호퍼의 타측 종단부는 상기 호퍼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는 상기 백실링 도어에는 링 형상의 실링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 타측 종단부 상측에는 상기 백실링 도어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잠금구와 결착하여 고정하는 락킹 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판 형상으로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 상측에는, 상기 댐퍼와 연결 형성되어 수평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분할된 댐퍼를 접거나 펴서 상기 호퍼를 개폐하는 댐퍼 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와 접촉하는 상기 호퍼 내측 또는 상기 댐퍼 핸들에는 상기 댐퍼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도어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에 일정 높이로 접이식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받침대에 원료용기백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원료용기백의 상기 접이식 받침대로의 안착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프런트 도어를 수평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백실링 도어를 수직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백실링 도어와 원료용기의 내부포장비닐을 맞물리는 제3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한 상기 호퍼에 대한 상기 백실링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호퍼를 개폐하는 제4 구동부와, 상기 센서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여서, 상기 제어패널에 의해서,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원료용기백의 안착을 감지하면,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프런트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백실링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제3 구동부가 상기 백실링 도어와 원료용기의 내부포장비닐을 맞물린 후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백실링 도어를 상기 호퍼에 대해 폐쇄하고,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상기 백실링 도어의 폐쇄를 감지하면 상기 제4 구동부는 상기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호퍼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실링 도어 후단의 상기 호퍼 내측에는 배기팬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백실링 도어의 개방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용기자재의 투입시, 백실링 도어와 댐퍼에 이중차단구조 의해, 외부 미세먼지의 유입, 작업자의 손 또는 원료용기의 포장비닐 파티클로 인해서 바울 또는 충전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수동 조작없이, 원료용기자재 안착부터 바울로의 투입까지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직접 출입 필요성을 제거하여서, 이로 인한 오염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서 댐퍼의 개폐 정보를 기록하여, 작업자의 육안 식별없이, 원료용기자재의 투입량 또는 투입소요시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위생처리된 제약관련 원료용기 이외에 건강식품관련 용기 또는 식자재관련용기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재 도킹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호퍼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프런트 도어 및 백실링 도어의 개폐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작업자의 바울 투입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자동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호퍼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프런트 도어 및 백실링 도어의 개폐 동작을 예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작업자의 바울 투입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호퍼(111)가 형성된 본체(110)와, 프런트 도어(120)와, 백실링 도어(130)와, 댐퍼(140)로 구성된다.
우선, 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형성되고, 본체(110)에는 일측 종단부가 클린롬 내부의 바울(20)로 경사져 형성된 호퍼(111)가 바울(20)과 연통 형성된다.
다음, 프런트 도어(12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1)의 타측 종단부에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어 호퍼(111)를 개폐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도어(120)에 인접하여 본체(110)의 외측에 일정 높이로 접이식 받침대(150)가 형성되고, 접이식 받침대(150)에 원료용기백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백실링 도어(130)와 접촉하는 프런트 도어(120)의 테두리에는 실링(121)이 형성되어 프런트 도어(120)와 백실링 도어(130)의 폐쇄시 호퍼(111)를 기밀한다.
다음, 백실링 도어(13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도어(120)의 후단에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고, 외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원료용기백의 내부포장비닐이 개방된 상태로 맞물려 호퍼(111)와 실링된다. 여기서, 내부포장비닐은 PE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백실링 도어(130)와 접하는 호퍼(111)의 타측 종단부는 호퍼(111)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절곡부(111a)가 형성되며, 절곡부(111a)와 대향하는 백실링 도어(130)에는 링 형상의 실링(131)이 형성되어 백실링 도어(130)와 호퍼(111)를 밀폐시킨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1) 타측 종단부 상측에는 백실링 도어(13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잠금구(132)와 결착하여 고정하는 락킹 핸들(133)이 형성되어 백실링 도어(130)를 호퍼(111)에 밀착 고정시킨다.
다음, 댐퍼(1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1)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포장비닐이 맞물린 백실링 도어(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바울(20)로 연통시킨다.
여기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댐퍼(140)는 호퍼(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판 형상으로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호퍼(111) 상측에는, 댐퍼(140)와 연결 형성되어 수평방향 회전에 의해 분할된 댐퍼(140)를 접거나 펴서 호퍼(111)를 개폐 조작하는 댐퍼 핸들(141)이 형성된다.
예컨대, 댐퍼 핸들(141)의 폐쇄 조작에 의해 반원판 형상의 댐퍼(140)가 펴져서 호퍼(111)가 폐쇄되고, 댐퍼 핸들(141)의 개방 조작에 의해 반원판 형상의 댐퍼(140)가 접혀져서 호퍼(111)가 개방되어 백실링 도어(130)와 바울(20)이 연통된다.
한편, 댐퍼(140)와 접촉하는 호퍼(111) 내측 또는 댐퍼 핸들(141)에는 댐퍼(140)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도 8 참조)가 형성되어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서 댐퍼 핸들(141)의 무리한 조작을 예방하는 안전센서로서의 역할을 하여 댐퍼(140)의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리미트 스위치는 댐퍼(140)의 개폐 정보를 기록하여, 작업자의 육안 식별없이, 투입량 또는 투입소요시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댐퍼(140)의 개폐정보를 제어패널(160)로 전송하여 스피커 또는 표시부를 통해 작업자에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프런트 도어(120)의 개방시 댐퍼(140)는 호퍼(111)를 폐쇄하며, 내부포장비닐과 맞물린 백실링 도어(130)의 폐쇄시 댐퍼(140)는 호퍼(111)를 개방하여 원료용기, 원료용기의 내부캡 또는 원료용기의 외부캡이 바울로 슬라이딩되어 투입되도록 하고, 원료용기의 투입 완료시 댐퍼(140)는 호퍼(111)를 폐쇄하고 내부포장비닐이 제거된 백실링 도어(130) 및 프런트 도어(120)를 순차적으로 폐쇄한다.
도 8은 도 2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자동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원료용기백의 접이식 받침대(150)로의 안착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제1 센서와, 프런트 도어(120)를 수평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구동부와, 제1 구동부와 연동하여 백실링 도어(130)를 수직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구동부와, 백실링 도어(130)와 원료용기의 내부포장비닐을 맞물리는 제3 구동부와, 제2 구동부에 의한 호퍼(111)에 대한 백실링 도어(130)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댐퍼(140)를 구동하여 호퍼(111)를 개폐하는 제4 구동부와, 전술한 센서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패널(160)를 포함하여서,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원료용기백의 안착부터 원료용기자재의 바울(20)로의 투입까지 자동화로 공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패널(160)에 의해서, 제1 센서에 의해 원료용기백의 안착을 감지하면, 제1 구동부는 프런트 도어(120)를 개방하며, 제2 구동부는 백실링 도어(130)를 개방하며, 제3 구동부가 백실링 도어(130)와 원료용기의 내부포장비닐을 맞물린 후 제2 구동부는 백실링 도어(130)를 호퍼(111)에 대해 폐쇄하고, 제2 센서에 의해 백실링 도어(130)의 폐쇄를 감지하면 제4 구동부는 댐퍼(140)를 구동하여 호퍼(111)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호퍼(111)에 대해 백실링 도어(130)가 폐쇄되면 댐퍼(140)는 개방되고, 댐퍼(140)가 폐쇄되면 백실링 도어(130)는 개방되도록 이중 개폐구조로 구성되고, 백실링 도어(130) 후단의 호퍼(111) 내측에는 배기팬이 형성되어 제2 구동부와 연동하여 백실링 도어(130)의 개방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의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은 원료용기 투입부(A) 이외에, 내부캡 투입부(B)의 투입 공정 또는 외부캡 투입부(C)의 투입 공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원료용기의 투입시, 백실링 도어와 댐퍼에 의해 외부 미세먼지의 유입, 작업자의 손 또는 원료용기의 포장비닐 파티클로 인해서 바울 또는 충전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동 조작없이, 원료용기자재 안착부터 바울로의 투입까지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직접 출입 필요성을 제거하여서 이로 인한 오염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서 댐퍼의 개폐 정보를 기록하여, 작업자의 육안 식별없이, 투입량 또는 투입소요시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위생처리된 제약관련 원료용기 이외에 건강식품관련 용기 또는 식자재관련용기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 바울 110 : 본체
111 : 호퍼 111a : 절곡부
120 : 프런트 도어 121 : 실링
130 : 백실링 도어 131 : 실링
132 : 잠금구 133 : 락킹 핸들
140 : 댐퍼 141 : 댐퍼 핸들
150 : 접이식 받침대 160 : 제어패널

Claims (7)

  1. 외부와 격리되고, 일측 종단부가 클린롬 내부의 바울로 경사져 형성된 호퍼가 형성된 본체;
    상기 호퍼의 타측 종단부에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어 상기 호퍼를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단에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힌지 개폐되고, 외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원료용기백의 내부포장비닐이 개방된 상태로 맞물려 상기 호퍼와 실링되는 백실링 도어; 및
    상기 호퍼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포장비닐이 맞물린 상기 백실링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바울로 연통시키는 댐퍼로 구성되되,
    상기 프런트 도어의 개방시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를 폐쇄하며, 내부포장비닐과 맞물린 상기 백실링 도어의 폐쇄시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를 개방하여 원료용기, 원료용기의 내부캡 또는 원료용기의 외부캡이 상기 바울로 슬라이딩되어 투입되도록 하고, 원료용기의 투입 완료시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를 폐쇄하고 내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상기 백실링 도어 및 상기 프런트 도어를 순차적으로 폐쇄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실링 도어와 접촉하는 상기 프런트 도어의 테두리에는 실링이 형성되고,
    상기 백실링 도어와 접하는 상기 호퍼의 타측 종단부는 상기 호퍼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는 상기 백실링 도어에는 링 형상의 실링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 타측 종단부 상측에는 상기 백실링 도어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잠금구와 결착하여 고정하는 락킹 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호퍼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판 형상으로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 상측에는, 상기 댐퍼와 연결 형성되어 수평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분할된 댐퍼를 접거나 펴서 상기 호퍼를 개폐하는 댐퍼 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와 접촉하는 상기 호퍼 내측 또는 상기 댐퍼 핸들에는 상기 댐퍼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도어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에 일정 높이로 접이식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받침대에 원료용기백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포장비닐이 제거된 원료용기백의 상기 접이식 받침대로의 안착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프런트 도어를 수평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백실링 도어를 수직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백실링 도어와 원료용기의 내부포장비닐을 맞물리는 제3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한 상기 호퍼에 대한 상기 백실링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호퍼를 개폐하는 제4 구동부와, 상기 센서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여서,
    상기 제어패널에 의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원료용기백의 안착을 감지하면,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프런트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백실링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제3 구동부가 상기 백실링 도어와 원료용기의 내부포장비닐을 맞물린 후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백실링 도어를 상기 호퍼에 대해 폐쇄하고,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상기 백실링 도어의 폐쇄를 감지하면 상기 제4 구동부는 상기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호퍼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실링 도어 후단의 상기 호퍼 내측에는 배기팬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백실링 도어의 개방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KR1020180096469A 2018-08-20 2018-08-20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KR10213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69A KR102132927B1 (ko) 2018-08-20 2018-08-20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69A KR102132927B1 (ko) 2018-08-20 2018-08-20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22A true KR20200021122A (ko) 2020-02-28
KR102132927B1 KR102132927B1 (ko) 2020-07-13

Family

ID=6963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469A KR102132927B1 (ko) 2018-08-20 2018-08-20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9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504B2 (ja) * 1994-12-02 1998-09-10 株式会社プランテック 廃棄物の貯留排出装置
JP2004123116A (ja) * 2002-09-30 2004-04-22 Kyowa Exeo Corp 粉粒体投入構造
KR101062212B1 (ko) * 2009-05-13 2011-09-06 엔솜 주식회사 쓰레기 투입장치
KR101109621B1 (ko) 2010-01-28 2012-02-06 하나제약 주식회사 수지재 앰플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504B2 (ja) * 1994-12-02 1998-09-10 株式会社プランテック 廃棄物の貯留排出装置
JP2004123116A (ja) * 2002-09-30 2004-04-22 Kyowa Exeo Corp 粉粒体投入構造
KR101062212B1 (ko) * 2009-05-13 2011-09-06 엔솜 주식회사 쓰레기 투입장치
KR101109621B1 (ko) 2010-01-28 2012-02-06 하나제약 주식회사 수지재 앰플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927B1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867B1 (ko) 두 밀폐된 공간을 봉합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처리하는 기구
US5490546A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roducts flowing out under gravity
US5523519A (en) System for facilitating safe transfer of hazardous material
JP2020042006A (ja) 閉じ込み容積との密封接続用装置を備えた密封エンクロージャ用移送システム
US4946071A (en) Materials handling equipment
US20110170807A1 (en) Flexible container closure
US20100012220A1 (en) Receptacle for flexible bulk-material packing drums as well as filling module for bulk material containing the receptacle
CN101939229A (zh) 具有盖子的食品包装以及用于包装的封闭系统
ATE182306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füllen von gefährlichen stoffen in behälter
EP0521252A1 (de) Abfüllanlage für gefährliche, schütt- oder fliessfähige Medien
JP4533387B2 (ja) 連結要素ならびに連結要素を含む接続装置
US9637261B2 (en) Packing apparatus in a sterile environment with a loading and supply system of articles
CN114072351B (zh) 在卫生条件下灌装和密封罐的机器
KR20200021122A (ko) 원료용기자재 도킹 및 투입 시스템
CN112203947B (zh) 对接密封件、对接方法、第一柔性壳体和第二柔性壳体以及该对接密封件的使用
CN101128263A (zh) 具有促动入口的生物样本容器盖子
CN104093634A (zh) 用于无污染地排空至少部分柔性的容器的排空方法和排空装置
US20110240651A1 (en) Receptacle and waste bag
US7510363B2 (en) Bundle handling device
CN205770341U (zh) 一种全自动控制的食品包装机
US9248925B2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EP1468917B1 (en) Discharge and dosing device for the transfer of flowable material between two containers
US973844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aste management
AU2011262454A1 (en) Bag holding and sealing apparatus
US20240153660A1 (en) Transfer system for a sealed enclosure having a sealed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o an enclosed vol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