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119A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119A
KR20200021119A KR1020180096461A KR20180096461A KR20200021119A KR 20200021119 A KR20200021119 A KR 20200021119A KR 1020180096461 A KR1020180096461 A KR 1020180096461A KR 20180096461 A KR20180096461 A KR 20180096461A KR 20200021119 A KR20200021119 A KR 2020002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crops
crop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왕용
Original Assignee
추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왕용 filed Critical 추왕용
Priority to KR102018009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119A/ko
Publication of KR2020002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게임 형태로 구현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플렛폼에 접속하여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을 신청하고,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작물 재배에 필요한 입력신호를 선택하여 농장 장치 내 분양된 재배 공간 내에 설치된 영상장치를 통해 작물의 재배 과정의 영상신호를 실시간 확인하거나, 녹화된 영상신호 및 작물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신호에 따라 게임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을 제공하거나, 플렛폼 실행을 위한 구동 어플(APP)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의 구동 신호에 따라 농지 및 재배 작물 상품의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작물 재배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농장장치 내에 해당 작물의 실행 과정, 촬상된 영상정보, 녹화된 영상자료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가상농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 사용자 단말 별로 신청한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 정보를 각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식별정보를 구분하여 수집, 저장하고, 영상장치를 통해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농지 및 재배 작물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농작물에 따른 비료, 물 공급 주기 등의 재배 방법, 주의사항, 농작물 성장에 필요한 정보, 작업 환경 및 농작물의 생육상태에 대한 이력관리를 통해 작물별로 메뉴얼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영상 송출을 위해 라이브 송출모듈, 미디어 송출모듈이 구비되어 농장장치 내 구비된 영상장치를 통해 촬영된 작물의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영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송출되도록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인코딩하여 라이브/미디어 송출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 상기 농장장치 내 관리자 구비하는 단말로서, 상기 운영서버를 통해 신청한 사용자 단말의 농지, 재배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농장장치에 요청정보 별로 농지를 배분하고, 재배 작물의 재배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농장 장치 내 해당 작물에 대해 사용자 단말 별로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농작물에 관리자를 통해 직접 실행하고, 해당 실행된 결과를 영상장치를 통해 미디어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농작물 생육을 위한 양액 공급 장치, 순환 환풍 장치와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비닐하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비닐 개폐 장치를 구비하여 농작물이 생육되도록 온도, 습도, 조도를 조절하고,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부, 스프링 쿨러를 통해 자동으로 작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이 구비되는 농장장치; 및 농장장치 내에 설치되어 농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카메라로 구비되어, 관리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거나, 녹화된 영상 정보, 촬영된 사진 정보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The management system of virtual farming connect online to offline}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PC, 모바일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의 형태로 구현된 플랫폼을 통해 농작물 재배, 농사의 가상현실을 실제 농장과 연계하여 실제로 재배의 전 과정이 진행되도록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이어주는 가상현실농업이 실현되어 재배 과정과 수확 결과를 실제 얻을 수 있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농업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작물의 상태 정보를 현장의 카메라 장치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작물의 선택, 재배, 성장과정에 간접적으로 참여하여 수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재배된 농작물에 대하여 배송,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도시에 거주함으로써 시간적, 공간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기회가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말농장, 텃밭 등으로 간헐적으로 농장물의 재배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최근 도시에서 다른 일을 하던 사람이 농촌으로 돌아와 농업을 중심으로 정착하는 귀농이 확대되고 있다. 즉, 도시에서 생활하던 인구가 다양한 이유로 농촌으로 삶의 터전을 옮겨 귀농으로 정착하지만, 준비되지 않는 귀농으로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은 수확량이나 품질 등이 온도, 습도 등의 외부 환경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관리에 있어서 많은 노동력과 경험이 요구되고, 특정 농작물의 경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여 해당 전문가와 의견교환 등을 통한 공유가 요구되지만 전문적인 지식없이 경험을 통해 농작물의 재배, 관리를 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의 경우 일정 지식없이 수행하는 것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농업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선택된 가상 농업이 오프라인을 통해 직접 실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농작물 재배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련기술문헌]
1. 모바일 농업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Mobil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gricultural information providing)(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11366호)
2. 농업 홍보 방법 및 농업 홍보 장치(Agriculture promotion method and agriculture promotion device)(특허등록번호 제10-174924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C, 모바일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의 형태로 구현된 농업 플랫폼을 통해 농작물 재배, 농사의 가상 현실을 실제 농장과 연계하여 실제로 재배의 전과정이 진행되도록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이어주는 가상현실농업이 실현되어 재배 과정과 수확 결과를 실제 얻을 수 있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농업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작물의 상태 정보를 현장의 카메라 장치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작물의 선택, 재배, 성장과정에 간접적으로 참여하여 수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재배된 농작물에 대하여 배송,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은, 게임 형태로 구현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플렛폼에 접속하여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을 신청하고,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작물 재배에 필요한 입력신호를 선택하여 농장 장치 내 분양된 재배 공간 내에 설치된 영상장치를 통해 작물의 재배 과정의 영상신호를 실시간 확인하거나, 녹화된 영상신호 및 작물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신호에 따라 게임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을 제공하거나, 플렛폼 실행을 위한 구동 어플(APP)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의 구동 신호에 따라 농지 및 재배 작물 상품의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작물 재배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농장장치 내에 해당 작물의 실행 과정, 촬상된 영상정보, 녹화된 영상자료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가상농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 사용자 단말 별로 신청한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 정보를 각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식별정보를 구분하여 수집, 저장하고, 영상장치를 통해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농지 및 재배 작물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농작물에 따른 비료, 물 공급 주기 등의 재배 방법, 주의사항, 농작물 성장에 필요한 정보, 작업 환경 및 농작물의 생육상태에 대한 이력관리를 통해 작물별로 메뉴얼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영상 송출을 위해 라이브 송출모듈, 미디어 송출모듈이 구비되어 농장장치 내 구비된 영상장치를 통해 촬영된 작물의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영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송출되도록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인코딩하여 라이브/미디어 송출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 상기 농장장치 내 관리자 구비하는 단말로서, 상기 운영서버를 통해 신청한 사용자 단말의 농지, 재배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농장장치에 요청정보 별로 농지를 배분하고, 재배 작물의 재배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농장 장치 내 해당 작물에 대해 사용자 단말 별로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농작물에 관리자를 통해 직접 실행하고, 해당 실행된 결과를 영상장치를 통해 미디어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농작물 생육을 위한 양액 공급 장치, 순환 환풍 장치와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비닐하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비닐 개폐 장치를 구비하여 농작물이 생육되도록 온도, 습도, 조도를 조절하고,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부, 스프링 쿨러를 통해 자동으로 작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이 구비되는 농장장치; 및 농장장치 내에 설치되어 농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카메라로 구비되어, 관리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거나, 녹화된 영상 정보, 촬영된 사진 정보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의 운영서버는 게임 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 실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의 접속신호에 따라 농지 및 재배 작물 상품의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작물 재배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농장장치 내에 해당 작물의 실행 과정, 촬상된 영상정보, 녹화된 영상자료를 수신하여 가상농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서버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농장 및 재배 상품의 구매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거나, 농장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요청 정보에 따라 재배된 농작물의 실체 상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가상 농업을 위하여 게임 형태의 플랫폼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농장장치 내 분양된 농지 분할 및 농작물의 경작 신호를 저장후 전송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되도록 하는 저장부 및 농장장치를 통해 재배된 농작물에 대하여 판매를 위한 주문정보, 배송정보, 결제 상태/고객관리, 고객상담, 업체 주문, 업체 관리, 통계를 관리하고, 고객의 작물의 배송, 교환, 구입의 서비스를 제공신호에 따라 해당 고객에게 해당 작물에 대해 교환, 판매 등의 제반적인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은, PC, 모바일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의 형태로 구현된 농업 플랫폼을 통해 농작물 재배, 농사의 가상현실을 실제 농장과 연계하여 실제로 재배의 전과정이 진행되도록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이어주는 가상현실농업이 실현되어 재배 과정과 수확 결과를 실제 얻을 수 있고, 재배된 농작물에 대하여 배송,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와 현장 농장과 연계하여 제공된 농업 플랫폼상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작물의 재배, 성장과정의 상태 정보를 현장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작물의 선택, 재배, 성장과정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실제로 재배된 수확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은, 게임형태로 구비된 농업 플랫폼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농작물의 재배, 양육 및 생육 과정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농작물의 성장 과정을 농장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최종 소비자가 해당 농산물 등의 제품에 대하여 높은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고, 농업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마켓팅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은 PC, 사용자 단말의 어플을 통해 장소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농작물 재배에 따른 농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전용 어플을 통해 원격에서 농장의 효율적인 농작물의 재배환경을 조성하고, 농작물 표준재배 기술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실제 농작물 재배지 환경과 비교하여 농작물을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은 게임형태의 가상농업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를 고려하여 도시인,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용 접목하여 농작물 재배를 통해 농업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고, 오프라인의 재배지를 사용자의 방문을 유도하여 카페, 식당 또는 캠핑과 같은 유관적인 사업과 접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농업 관리시스템의 운영서버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농업 관리시스템 운영서버 중 관리부의 세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농업 관리시스템의 농장장치에 설치된 영상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통신망(200), 운영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미디어서버(500), 관리자단말(600), 농장장치(700), 영상장치(800) 및 배송장치(900) 등을 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시스템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서비스를 받는 주체로서, 게임 형태로 구현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플렛폼에 접속하여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을 신청하여 비료, 물 등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작물 재배에 필요한 입력신호를 선택하고 운영서버로 해당 선택신호를 전송하여 농장 장치(700) 내 분양된 재배 공간 내에 설치된 영상장치를 통해 전송된 입력신호에 따라 관리자를 통해 해당 전송신호의 실행을 통해 작물의 재배 과정의 영상신호를 실시간 확인하거나, 녹화된 영상신호 및 작물의 상태 정보를 실행하여 확인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농장장치(700) 내 재배된 작물에 대해 운영서버(300)를 통해 배송장치(900)를 구동하여 해당 작물을 직접 공급받거나 수신인 정보를 제공하여 경작된 작물을 선물, 재배된 타 농작물과 교환 또는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농장장치 내 분양된 공간을 방문하여 농작물의 성장과정을 확인하거나 농작물의 수확, 수확된 농작물로 요리하여 타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디지털 TV 같은 고정형 가전기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운영서버(300)를 통해 게임 형태로 구현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플렛폼의 구동 어플(APP)을 수신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이동에 따라 해당 재배 공정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서비스의 제공 주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신호에 따라 게임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을 제공하거나, 플렛폼 실행을 위한 구동 어플(APP)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구동 신호에 따라 농지 및 재배 작물 상품의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작물 재배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하여 농장장치(700) 내에 해당 작물의 실행 과정, 촬상된 영상정보, 녹화된 영상자료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가상농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300)는 농장장치(700) 내 설치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직접 촬영하거나, 녹화된 영상 자료를 미디어서버(500)를 통해 해당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재배 작물의 배송신호를 수신하여 배송장치(900)를 통해 배송, 판매신호를 수신하여 판매하게 된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작물별 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고, 작물별 개별 재배 메뉴얼을 제공하거나, 재배된 작물의 교환, 판매 등의 유통을 위해 고객의 주문, 배송, 결제에 대하여 배송장치(900)와 연계하여 진행하거나, 고객상담, 연계된 업체 관리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300)는 미디어서버(500)와 연계하여 농장장치(700) 내 설치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실시간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자료를 사용자 단말(100) 별로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400)를 통해 저장하게 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 단말(100) 별로 신청한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 정보를 각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구분하여 수집, 저장하고, 농장장치(700) 내 영상장치(800)를 통해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농작물에 따른 비료, 물 공급 주기 등의 재배 방법, 주의사항, 농작물 성장에 필요한 정보, 작업 환경 및 농작물의 생육상태에 대한 이력관리를 통해 작물별로 메뉴얼하여 저장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농작물의 재배에 따른 주별, 월별, 계절별, 농작물 농작물의 표준 재배 기술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메뉴얼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농장장치(700) 내 구비된 카메라 등의 영상장치(800)에 대하여 식별 정보를 설정하여 카메라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저장된 영상 데이터, 작물별 메뉴얼 정보를 전송하고, 접속신호 또는 저장된 농작물의 정보를 비교하여 통계화된 재배 작물의 선호도를 저장,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400)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500)는 농장장치(700) 내 구비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촬영된 작물의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영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실시간으로 송출하게 되는데, 미디어 서버(500)는 실시간 영상 송출을 위해 라이브 송출모듈, 미디어 송출모듈이 구비되고, 영상장치(800)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인코딩하여 라이브/미디어 송출모듈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500)는 영상장치(800)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운영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소스코드에 따라 해당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된 농업에 관련된 정보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소스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BMP, JPG(JPEG), GIF, EPS, TIF(TIFF), PSD, PIC, DXF. PP3, PICT, PNG, DCS(Desktop Color Separations), FlashPix, PCX, PDF, PIXAR, Raw, Scitex CT(sct), Targa 중 하나의 파일포맷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미디어 서버(500)는 농장장치(700) 내 영상장치(800)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 또는 녹화된 영상신호의 전송 요청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하여 촬영 조건, 촬영 시간대, 촬영 횟수, 영상 감지 여부의 전송 주기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600)은 상기 농장장치(700) 내 관리자 구비하는 단말로서,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신청한 사용자 단말(100)의 농지, 재배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농장장치(700)에 요청정보별로 농지를 배분하고, 재배 작물의 재배를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즉, 관리자 단말(600)은 운영서버(300)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농장 장치 내 해당 작물에 대해 사용자 단말(100) 별로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농작물에 관리자를 통해 직접 실행하고, 해당 실행된 결과를 영상장치(800)를 통해 미디어서버(5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농장장치(700)는 농작물 생육을 위한 양액 공급 장치, 순환 환풍 장치와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비닐하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비닐 개폐 장치를 구비하여 농작물이 생육되도록 온도, 습도, 조도를 조절한다. 또한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부, 스프링 쿨러를 통해 자동으로 작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이 구비된다.
상기 영상장치(800)는 농장장치(700) 내에 설치되어 농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카메라로 구비되어, 관리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500)로 전송하거나, 녹화된 영상 정보, 촬영된 사진 정보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미디어 서버(500)로 제공하는데, 첨부된 도 6과 같이 농장장치(700) 내에 다수의 카메라 장치가 구비되어 농장의 상태와 농작물의 성장과정을 촬상하거나, 영상 데이터를 녹화하거나, 이미지를 사진 촬영한다.
상기 배송장치(900)는 상기 농장장치(700) 내 재배된 작물에 대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해당 작물을 직접 배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수신인 정보로 경작된 작물을 선물, 재배된 타 농작물과 교환 또는 구매할 수 있다.
한편, 배송장치(900)는 운영서버(300)를 통해 지정된 타 판매자, 구매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경작된 작물의 판매, 배송에 따른 제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망(2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통신망(20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0)은 사용자 단말(100), 운영서버(300), 미디어서버(500), 관리자 단말(600), 배송장치(900) 및 장치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농업 관리시스템의 운영서버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가상 농업 관리시스템의 운영서버(300)는 제어부(310), 입력부(320), 저장부(330), 연동부(340), 출력부(350), 전송부(360) 및 관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영서버(3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어부(310)는 게임 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의 실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신호에 따라 농지 및 재배 작물 상품의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작물 재배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하여 농장장치(700) 내에 해당 작물의 실행 과정, 촬상된 영상정보, 녹화된 영상자료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가상농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서버(3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농장장치(700) 내 설치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녹화된 영상, 기록된 사진 정보를 미디어서버(500)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재배 작물의 배송 신호를 수신하여 배송장치(900)를 통해 배송, 판매신호를 수신하여 판매를 위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작물별 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도록 하고, 작물별 개별 재배 메뉴얼을 제공하거나, 재배된 작물의 교환, 판매 등의 유통을 위해 고객의 주문, 배송, 결제를 위하여 배송장치(900)와 관련된 운영서버(300)의 세부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연계된 미디어서버(500)와 농장장치(700) 내 설치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실시간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자료를 사용자 단말(100) 별로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320)는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농장 및 재배 상품의 구매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거나, 농장장치(7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요청 정보에 따라 재배된 농작물의 실체 상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부(36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330)는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가상 농업을 위하여 게임 형태의 플랫폼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농장장치(700) 내 분양된 농지 분할 및 농작물의 경작 신호를 저장후 상기 전송부(36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350)는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디어 서버(500)를 통해 전송된 농장장치(700) 내 농지 및 재배 물품의 영상 정보, 녹화된 이미지정보 또는 농장장치(700) 내 재배 농작물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전송부(360)는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가상 농업을 위한 게임 형태의 플렛폼 정보가 포함된 구동어플(APP), 가상 농업을 위해 농장 및 재배 상품의 정보를 전송하거나, 신청된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신청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전송부(360)는 관리자 단말(600)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농장 및 재배 물품 정보, 농장장치(700)에서 재배된 농작물의 영상, 녹화된 영상데이터의 요청신호를 미디어 서버(500)로 전송하여 해당 결과 신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관리부(370)는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농장장치(700)를 통해 재배된 농작물에 대하여 판매를 위한 주문정보, 배송정보, 결제 상태/고객관리, 고객상담, 업체 주문, 업체 관리, 통계 등을 관리한다.
상기 관리부(370)는 고객의 작물등을 배송, 교환, 구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원하는 고객을 위해 해당 작물에 대해 교환, 판매 등의 제반적인 동작을 관리한다.
첨부된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방법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통신망(200)을 통해 운영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을 위하여 게임 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운영서버(300)에서 제공되는 플렛폼 구동 어플(APP)를 다운받아 이를 실행하여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운영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농장장치(700) 내 농지 및 재배 물품 품목을 확인하여 필요한 농지의 크기, 재배를 원한 농작물의 물품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농지 및 농작물 물품은 운영서버(300)의 저장부(330)에 저장되고,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되어 관리자를 통해 농장장치(700) 내에 신청한 농지 및 재배 물품이 분양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500)는 영상장치(800)를 통해 분양된 농지 및 재배 물품의 상태 정보, 촬영된 영상정보를 실시간 확인하거나, 녹화된 영상데이터 또는 기록된 사진 정보를 운영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제공된 분양된 농지 및 재배 물품의 상태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단말(10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제공되는 농작물의 재배 메뉴얼 참조하여 비료, 물 등의 농작물 재배 정보를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하면, 해당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정보에 대해 운영서버(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송부(360)를 통해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되면 해당 관리자는 농장장치(700)내 해당 농작물에 실행하게 된다.
상기의 농작물 재배공정은 농장장치(700) 내 구비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실시간 촬상되거나, 설정된 주기에 따라 녹화된 데이터가 상기 미디어 서버(500)로 전송되면, 해당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미디어 서버(500)는 해당 미디어를 디코딩하여 운영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게 된다.
일련의 재배공정을 통해 수확된 농작물을 운영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배송장치(900)를 통해 재배된 작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해당 작물을 직접 배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수신인 정보로 경작된 작물을 선물, 재배된 타 농작물과 교환 또는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판매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는 배송장치를 통해 지정된 타 판매자, 구매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경작된 작물의 판매, 배송를 진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 통신망
300 : 운영서버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미디어서버
600 : 관리자 단말
700 : 농장장치
800 : 영상장치
900 : 배송장치

Claims (4)

  1. 게임 형태로 구현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플렛폼에 접속하여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을 신청하고,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작물 재배에 필요한 입력신호를 선택하여 농장 장치 내 분양된 재배 공간 내에 설치된 영상장치를 통해 작물의 재배 과정의 영상신호를 실시간 확인하거나, 녹화된 영상신호 및 작물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100);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신호에 따라 게임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을 제공하거나, 플렛폼 실행을 위한 구동 어플(APP)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구동 신호에 따라 농지 및 재배 작물 상품의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작물 재배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농장장치(700) 내에 해당 작물의 실행 과정, 촬상된 영상정보, 녹화된 영상자료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가상농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300);
    사용자 단말(100) 별로 신청한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 정보를 각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식별정보를 구분하여 수집, 저장하고, 영상장치(800)를 통해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의 농지 및 재배 작물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농작물에 따른 비료, 물 공급 주기 등의 재배 방법, 주의사항, 농작물 성장에 필요한 정보, 작업 환경 및 농작물의 생육상태에 대한 이력관리를 통해 작물별로 메뉴얼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0);
    영상 송출을 위해 라이브 송출모듈, 미디어 송출모듈이 구비되어 농장장치(700) 내 구비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촬영된 작물의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영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실시간으로 송출되도록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인코딩하여 라이브/미디어 송출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500);
    상기 농장장치(700) 내 관리자 구비하는 단말로서,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신청한 사용자 단말(100)의 농지, 재배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농장장치(700)에 요청정보 별로 농지를 배분하고, 재배 작물의 재배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농장 장치 내 해당 작물에 대해 사용자 단말(100) 별로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농작물에 관리자를 통해 직접 실행하고, 해당 실행된 결과를 영상장치(800)를 통해 미디어서버(500)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600);
    농작물 생육을 위한 양액 공급 장치, 순환 환풍 장치와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비닐하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비닐 개폐 장치를 구비하여 농작물이 생육되도록 온도, 습도, 조도를 조절하고,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부, 스프링 쿨러를 통해 자동으로 작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이 구비되는 농장장치(700); 및
    농장장치(700) 내에 설치되어 농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카메라로 구비되어, 관리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500)로 전송하거나, 녹화된 영상 정보, 촬영된 사진 정보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미디어 서버(500)로 전송하는 영상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300)는
    미디어서버(500)와 연계하여 농장장치(700) 내 설치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실시간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자료를 사용자 단말(100) 별로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400)를 통해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재배된 작물의 교환, 판매 요청신호에 따라 배송장치(900)를 통해 배송, 판매 절차가 진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300)는
    게임 형태로 구현된 작물 재배의 플렛폼 실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신호에 따라 농지 및 재배 작물 상품의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작물 재배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하여 농장장치(700) 내에 해당 작물의 실행 과정, 촬상된 영상정보, 녹화된 영상자료를 수신하여 가상농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서버(3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0),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농장 및 재배 상품의 구매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거나, 농장장치(7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요청 정보에 따라 재배된 농작물의 실체 상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320),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가상 농업을 위하여 게임 형태의 플랫폼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농지 및 재배 작물의 상품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농장장치(700) 내 분양된 농지 분할 및 농작물의 경작 신호를 저장후 전송부(36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기록되도록 하는 저장부(330), 및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농장장치(700)를 통해 재배된 농작물에 대하여 판매를 위한 주문정보, 배송정보, 결제 상태/고객관리, 고객상담, 업체 주문, 업체 관리, 통계를 관리하고, 고객의 작물의 배송, 교환, 구입의 서비스를 제공신호에 따라 해당 고객에게 해당 작물에 대해 교환, 판매 등의 제반적인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0)는
    작물별 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도록 하고, 작물별 개별 재배 메뉴얼을 제공되도록 하고, 농장장치(700) 내 설치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녹화된 영상, 기록된 사진 정보를 미디어서버(500)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재배 작물의 배송 신호를 수신하여 배송장치(900)를 통해 판매하거나,
    연계된 미디어서버(500)와 농장장치(700) 내 설치된 영상장치(800)를 통해 실시간 촬상된 영상정보와 녹화된 영상자료를 사용자 단말(100) 별로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을 위한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KR1020180096461A 2018-08-20 2018-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KR20200021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61A KR20200021119A (ko) 2018-08-20 2018-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61A KR20200021119A (ko) 2018-08-20 2018-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19A true KR20200021119A (ko) 2020-02-28

Family

ID=6963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461A KR20200021119A (ko) 2018-08-20 2018-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1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186A (ko)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미스터아빠 메타버스 기반의 농수산물 재배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115923A (zh) * 2023-10-16 2023-11-24 罗普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算法的智慧农业人员行为识别系统
WO2024080449A1 (ko) * 2022-10-14 2024-04-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영농 교육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186A (ko)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미스터아빠 메타버스 기반의 농수산물 재배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4080449A1 (ko) * 2022-10-14 2024-04-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영농 교육 플랫폼 시스템
CN117115923A (zh) * 2023-10-16 2023-11-24 罗普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算法的智慧农业人员行为识别系统
CN117115923B (zh) * 2023-10-16 2023-12-22 罗普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算法的智慧农业人员行为识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119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가상 농업 관리 시스템
JP200918122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3606102A (zh) 远程农场控制方法及系统
KR20180006735A (ko) 사물인터넷 기반 식물 재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CN105654313A (zh) 智能云秤及通过智能云秤进行物联网溯源的方法
JP2020024703A (ja) 生産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24701A (ja) 生産流通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133860A (zh) 基于物联网的可溯源绿色健康消费系统
WO2019024206A1 (zh) 可视化蔬菜追溯方法、商城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M512735U (zh) 農產品產銷標籤建置系統
KR20210149622A (ko) Vr 기반 스마트팜 교육 시스템
KR20200080015A (ko) 가상농장 경작 시스템 및 방법
JP6246243B2 (ja) サーバ装置、作業依頼システム、作業依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512936A (zh) 基于大数据的智慧农业系统
CN112070579A (zh) 小程序定制化下单、可视化管理商家与消费者对接系统
JPH11134398A (ja) 貸農園管理システム
KR101749242B1 (ko) 농업 홍보 방법 및 농업 홍보 장치
KR102401786B1 (ko) 작물을 생육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4334572A (ja) 生産物販売仲介システム及び方法、生産物販売仲介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128446A (ko)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8808A (ko)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5347A (ko) 반려인들을 위한 반려동물 매칭 및 양육 가이드 콘텐츠 제공 시스템
CN111985899A (zh) 一种农作物生长过程的管理系统及方法
JP2002108970A (ja) 植物栽培育成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8029617A (ja) サーバ装置、作業依頼システム、作業依頼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