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808A -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808A
KR20100128808A KR1020090047433A KR20090047433A KR20100128808A KR 20100128808 A KR20100128808 A KR 20100128808A KR 1020090047433 A KR1020090047433 A KR 1020090047433A KR 20090047433 A KR20090047433 A KR 20090047433A KR 20100128808 A KR20100128808 A KR 2010012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consumer terminal
production sit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근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코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코어넷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코어넷
Priority to KR102009004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808A/ko
Publication of KR2010012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라인에서 농, 수, 축산물을 게시 및 판매하는 쇼핑몰시스템과; 상기 쇼핑몰시스템에 접속하여 온라인에 게시된 농, 수, 축산물을 구매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소비자단말기와; 농, 수, 축산물 재배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를 제어하여 농, 수, 축산물 재배되는 현장 및 재배식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송신하는 생산지시스템과; 상기 생산지시스템에서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온라인을 통하여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소비자단말기에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영상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은 상기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원격제어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생산지시스템을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조작신호에 의해 원격제어하도록 중계하므로 상기 소비자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농, 수, 축산물을 재배하는 생산지의 재배환경 및 재배식물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47433
인터넷 쇼핑몰, 농, 수, 축산물, 영상정보, 원격제어

Description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Sales Elevation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Using Imag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농, 수, 축산물의 생산지에 원격제어가 가능한 영상카메라를 설치하여 해당 농가에서 재배되는 농, 수, 축산물의 재배 및 사육과정을 영상촬영하고, 그 영상을 온라인 회원에게 실시간으로 중계하여 해당 영상을 확인한 소비자의 구매내역을 데이타화하여 생산자에게 제공하므로 판매자 및 생산자에게 각 계절별 판매상품이나 수량정도를 예측할 수 있어 농수축산농가의 수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도시인들은 농어촌에서 생산되는 농, 수, 축산물을 많은 유통단계를 거쳐 마트나 시장에 판매되는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현실이고 값싼 외제 농산물이 국산으로 둔갑하거나 유전자 조작 농산물을 구별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농, 수, 축산물을 올바로 믿고 매입하여 먹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농, 수, 축산물 가공제품의 경우에는 가공시 대개 농, 수, 축산물의 형태가 변하므로 신뢰하고 먹기는 더욱 더 어렵다. 이와 같은 현재 유통되는 농, 수, 축산물에 대한 불신이 팽매한 지금의 현실에서는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출증진을 위한 정공법에 해당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1-0094715호를 통하여 재배농가에 영상 시스템을 구비하여 농, 수, 축산물의 성장, 수확, 가공 과정을 초기부터 참관하고 그 농, 수, 축산물을 마음놓고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시스템 운영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해당 농가 또는 양식장, 또는 목장 에서 촬영된 영상만을 일반 소비자가 웹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생산자가 선택적으로 영상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해당 농가의 재배환경이나 재배중인 농, 수, 축산물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소비자의 안전구매를 위한 확실한 신뢰를 주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안심구매를 통한 매출향상을 꾀하였으나 근본적으로 소비자가 계절별 연령대별로 어떤 상품을 선택하고, 각 제품별로 어떤 특징을 소비자가 선호하는지에 대한 데이타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소비자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타가 제공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온라인을 통하여 농, 수, 축산물을 생산하는 생산지에 설치되는 영상카메라를 원격제어하여 농가의 주변환경이나 재배 농, 수, 축산물을 직접 확인할 있도록 하므로 안심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영상정보를 통하여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구매이유 및 해당 제품의 장점과 아울러 각 소비자들의 구매패턴을 분석한 소비자의 구매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의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생산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소비자의 구매패턴정보는 계절별 및 연령대 별 선호식품의 종류, 매출 순위가 높은 각 식품에 대한 구매이유를 포함하여 상기 생산자에게 제공하는 농수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라인에서 농, 수, 축산물을 게시 및 판매하는 쇼핑몰시스템과; 상기 쇼핑몰시스템에 접속하여 온라인에 게시된 농, 수, 축산물을 구매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소비자단말기와; 농, 수, 축산물 재배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를 제어하여 농, 수, 축산물 재배되는 현장 및 재배식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송신하는 생산지시스템과; 상기 생산지시스템에서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온라인을 통하여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소비자단말기에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영상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은 상기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원격제어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생산지시스템을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조작신호에 의해 원격제어하도록 중계하므로 상기 소비자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농, 수, 축산물을 재배하는 생산지의 재배환경 및 재배식물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은 생산자에 대한 고유코드 및 출하상품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쇼핑몰시스템 또는 상기 소비자단말기를 통하여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와;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조작신호를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중계하는 원격제어서버와;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트래픽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웹서버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트래픽기준에 따라서 상기 생산지시스템 및 원격제어서버와 소비자단말기간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트래픽관리서버와;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영상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웹서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송신하는 영상관리서버와; 쇼핑몰 회원(소비자)정보 및 생산자정보와 판매상품, 영상정보, 거래내역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산지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원격제어되고,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 라와, 상기 원격제어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카메라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과, 상기 영상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영상저장수단과, 상기 영상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은 생산자별로 고유코드(생산자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생산자고유코드의 서브코드로서 각 생산자별로 출하되는 각 농, 수, 축산물에 서브코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는 회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주소나 거래실적을 포함하는 개인신원정보나 쇼핑몰에서의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와, 등록된 생산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와 주소등의 신원정보 및 원격제어를 위한 아이피정보와 각 생산자별 고유코드와 각 생산자별 고유코드에 따른 서브코드정보가 저장되는 생산자정보DB와, 각 생산자별로 등록된 생산물의 종류와 수량 및 출하예정일과 출하량 그리고 서브코드가 각각 저장되는 판매상품정보DB와, 각 생산지시스템에서 촬영된 영상정보가 촬영일시별로 저장되는 영상정보DB와, 상기 영상제공시스템과 연계된 쇼핑몰시스템에서 판매되는 농, 수, 축산물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저장하는 거래내역정보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의 영상제공방법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농, 수, 축산물의 생산지의 영 상을 촬영하는 생산지시스템으로부터 생산자등록요청을 수신하면, 생산지의 정보를 수신하고, 생산자별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각 생산자의 출하상품에 상기 생산자고유코드의 서브코드를 부여하여 등록하여 저장하는 생산자 등록단계와; 온라인 쇼핑몰시스템을 통해 게시중인 농, 수, 축산물의 정보를 원하는 소비자단말기 또는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의 웹서버에서 관리하는 홈페이지에 등록요청한 소비자단말기에게 회원가입을 승인하고 각 회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개인신상정보를 저장하고 이후에 영상정보의 열람 및 원격제어를 요청할 수 있는 회원으로서 등록하는 회원등록단계와; 상기 생산자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생산지시스템으로부터 재배되는 농, 수, 축산물의 영상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회원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쇼핑몰시스템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생산자에 대한 영상정보의 요청신호 또는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영상을 원격제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생산지시스템과 상기 소비자단말기를 연결시켜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원격조작신호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제어하여 상기 생산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에 송신하는 원격제어단계와; 상기 쇼핑몰시스템의 거래내역 정보를 저장하여 영상정보의 열람회원과 비교하여 공통적으로 포함된 회원에게 각 생산지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등록단계는 상기 생산지시스템으로부터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생산지시스템으로부터 개인신상정보 및 재배되는 농, 수, 축산물의 정보와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고유코드등록단계와; 상기 고유코드등록단계이후, 상기 생산자고유코드에 종속되는 재배되는 농, 수, 축산물별로 서브코드를 발행하는 생산제품 등록단계와;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설치된 각 영상카메라의 위치가 포함되는 생산지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생산자별 고유코드의 서브코드로서 상기 영상카메라별 고유코드를 부여 및 저장하는 영상카메라 고유코드등록단계와; 상기 생산자고유코드를 기준으로 하여 각 생산지시스템의 정보테이블을 데이타베이스에 구축하되, 상기 쇼핑몰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쇼핑몰시스템의 매출내역과 영상정보의 열람한 회원정보의 구매실적을 포함하는 정보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타베이스구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단계는 상기 생산지시스템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영상정보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비자단말기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 저장 및 제공단계와; 상기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소비자 원격제어판단단계와; 상기 소비자단말기에서 원격제어의 요청이 수신되므로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원격제어를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자단말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트랙픽룰적용단계와;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조작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서버에 중계하므로 소비자단말기가 원거리에 위치한 생산지시스템의 영상카메라를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단계와;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원격제어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원격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룰적용단계에 있어서, 소비자단말기별로 원격제어가능한 시간을 설정하되, 접속시간 또는 거래실적별로 소비자단말기의 원격제어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자가 농, 수, 축산물의 생산지에 설치되는 영상카메라를 원격제어할 수 있어 생산자가 각색하지 못하는 실제 그대로의 영상을 통하여 자신이 궁금한 사항을 직접확인 할 수 있는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므로 소비자는 질좋은 상품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농, 수, 축산물의 생산자 및 쇼핑몰은 매출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지의 영상카메라를 소비자가 원격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비자의 과도한 트래픽 발생시에 이를 설정된 룰에 의해 우선권에 부여하므로서 과도한 트래픽에 의한 시스템의 에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농, 수, 축산물을 재배하는 생산자의 재배환경 및 재배식물의 상태를 소비자가 직접확인 할 수 있도록 생산지 및 재배식품의 영상 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생산자(예를 들면, 채소를 생산하는 농가)는 재배지 주변환경 및 재배중인 농, 수, 축산물을 근접 촬영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가 가능한 영상카메라(11)를 구비하여 실시간 영상정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에 송신한다.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상기 생산자별로 각각의 고유코드와 각 생산자별 재배 농, 수, 축산물에 상기 생산자별 고유코드의 서브코드에 해당되는 상품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각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농수산 상품의 생산자를 웹상에서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소비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시스템(30)에서 판매되는 농, 수, 축산물의 생산자를 상기 영상시스템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영상시스템을 통하여 생산자의 재배환경 및 식품 재배과정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비자는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을 통하여 상기 생산자의 재배지에 설치된 영상카메라(11)를 원격제어하여 미리 촬영된 영상이 아닌 자신이 직접 영상카메라(11)를 원격제어하여 실시간으로 농, 수, 축산물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소비자가 재배지에 설치되는 각각의 영상카메라(11)를 원격제어하여 생산자가 선별하여 촬영한 영상이 아닌 현재 모습 그대로의 재배식품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다 수의 소비자단말기(40)가 동시에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경우에 과도한 트래픽에 의한 시스템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원격제어를 신청하는 소비자를 선별하여 우선권을 줄 수 있도록 트래픽룰을 설정하여 과도한 트래픽에 의한 시스템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에서 원격센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은 생산지내에 설치되는 생산지시스템(10)과, 온라인상에서 농, 수, 축산물을 판매하는 쇼핑몰시스템(30)과,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을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을 등록회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을 원격제어하도록 소비자단말기(40)의 조작신호를 중계하는 영상제어시스템(20)과,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을 통하여 생산지시스템(10)을 원격제어하고 상기 쇼핑몰시스템(30)에서의 구매거래를 진행하는 소비자단말기(40)를 포함한다.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은 유선 또는 무선원격제어되고,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11)와, 상기 영상카메라(11)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고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에 전송하는 원격제어수단(12)과, 상기 영상카메라(11)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영상저장수단(13)과, 상기 영상저장수단(13)에서 저장된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모니터링 관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카메라(11)는 농산물 재배농가, 어패류등의 양식장, 소, 돼지, 닭등의 축산농가에서 레일 또는 기타 지지수단을 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농, 수, 축산물의 재배지 환경이나 재배식물을 원거리 또는 근접촬영하여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카메라(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소비자의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도록 근접촬영 및 원거리 촬영과 함께 단순히 재배식물에 한하지 않고 주변 환경(예를들면, 비닐하우스의 내외부 또는 양식장의 주변경관)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핑몰시스템(30)은 농, 수, 축산물을 온라인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웹상에 게시하고, 소비자단말기(40)를 통하여 구매요청된 상품을 확인하여 그 거래내역을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에 제공한다.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상기 생산자별 고유코드(생산자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생산자고유코드의 서브코드로서 각 생산자별로 출하되는 각 농, 수, 축산물에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영상시스템은 상기 생산지시스템(10)별로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서 저장된 영상정보를 요청하면 이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선택된 생산자의 원격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생산지시스템(10)의 트래픽상태에 따라서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를 중계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하나의 생산지시스템(10)에 대하여 다수의 소비자 단말기가 동시에 원격제어를 요청하면 과도한 트래픽에 의한 시스템에러 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트래픽룰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원격제어를 요청한 소비자단말기(40)의 온라인 접속시간 또는 쇼핑몰 거래 실적과 같은 기준을 마련하므로 동시 요청된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가 설정된 기준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생산자에 대한 고유코드 및 출하상품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쇼핑몰시스템(30) 또는 소비자단말기(40)를 통하여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21)와,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서버(22)와,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트래픽상태를 확인하고, 설정된 트래픽기준에 따라서 상기 생산지시스템(10)과 소비자단말기(40)간의 원격제어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트래픽관리서버(23)와,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영상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웹서버(21)의 요청에 따라 이를 송신하는 영상관리서버(24)와, 쇼핑몰 회원(소비자)정보 및 생산자정보와 판매상품, 영상정보, 거래내역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25)를 포함한다.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쇼핑몰시스템(30)에서 등록된 쇼핑몰 회원정보 또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운영되는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된 회원(소비자)의 가입시에 입력된 개인정보(예를들면, 아이디와 패스워드, 주소, 관심 지역별 농, 수, 축산물)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25)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회원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영상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25)를 검색 및 독출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소비자단말기(40)는 상기 쇼핑몰시스템(30) 및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에 회원가입을 요청하고, 회원가입후에 상기 쇼핑몰시스템(30)에서의 전자상거래와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을 통하여 농, 수, 축산물의 재배과정 및 재배 식품을 영상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으며, 직접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을 원격제어하여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원격제어서버(22)는 상기 웹서버(21)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서 선택된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카메라(11)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원격제어수단(12)을 구동시켜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서 송신되는 조작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수단(12)에 송신한다.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는 상기 웹서버(21)로부터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트래픽룰에 근거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를 순차적으로 이루도록 제어한다.
상기 영상관리서버(24)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된 영상을 상기 데이타베이스(25)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관리서버(24)는 상기 웹서버(21)의 제어선택신호, 예를 들면, 설정된기준 또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25)에 저장한다. 상기 영상관리서버(24)는 설정된 기준, 예를들면, 1일 4시간 주기로 각각의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영상을 요청하거나 또는 별도의 영상정보를 요청하지 않더라도 상기 생산지시 스템(10)측의 의지로서 송신하는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아울러 영상관리서버(24)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에 의해 상기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웹서버(21)를 통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송신하고 상기 영상정보 및 영상정보의 수신아이피 및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25)는 회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주소나 거래실적(예를들면, 구매실적에 따른 누적포인트, 최근 접속일자 및 영상정보사용현황)을 포함하는 개인 신상정보나 쇼핑몰시스템(30)에서의 접속일자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251)와, 등록된 생산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와 주소등의 신상정보 및 원격제어를 위한 아이피정보와 각 생산자별 고유코드와 각 생산자별 고유코드에 따른 서브코드정보가 저장되는 생산자정보DB(252)와, 각 생산자별로 등록된 생산물의 종류와 수량 및 출하예정일과 출하량 그리고 각 상품별 고유코드가 각각 저장되는 판매상품정보DB(253)와, 각 생산지시스템(1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영상정보DB(254)와,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과 연계된 쇼핑몰시스템(30)에서 판매되는 농, 수, 축산물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저장하는 거래내역정보DB(2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소비자의 안심구매를 위한 영상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 수의 소비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트래픽룰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순서도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은 생산자가 영상제어시스템(20)에 등록하는 생산자등록단계(S10)와, 소비자가 쇼핑몰시스템(30) 및 영상제어시스템(20)에 회원 등록하는 소비자의 회원등록단계(S20)와,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회원등록된 소비자단말기(40)의 영상정보의 요청 또는 원격제어요청에 의해 소비자단말기(40)에 영상정보 및 원격제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30)와, 쇼핑몰의 거래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생산자등록단계(S10)는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에서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생산자등록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모니터링관리수단(14)을 통해서 입력된 생산지의 신상정보(주소나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개인신상정보)를 수신하고, 생산자 고유코드별로 분류되는 각 생산자의 출하상품에 고유의 서브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25)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비자의 회원등록단계(S20)는 쇼핑몰시스템(30)을 통해 게시중인 농, 수, 축산물의 판매상품의 영상정보를 원하는 소비자 또는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의 웹서버(21)에서 관리하는 홈페이지에 등록요청한 소비자단말기(40)의 회원가입을 승인하고 각 회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개인신상정보를 저장하고 이후에 영상정보의 열람 및 원격제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회원 등록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격제어 및 정보제공단계(S30)는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에서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상기 쇼핑몰시스템(30)에서 판매게시되는 농, 수, 축 산물 판매상품의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생산자의 고유코드로 분류되는 생산지시스템(10)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25)에서 검색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은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선택된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카메라(11)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선택된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카메라(11)를 원격제어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조작신호에 따라 원격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거래내역 저장단계(S40)는 상기 영상제어시스템(20)에서 쇼핑몰시스템(30)으로부터 영상정보 및 원격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은 소비자의 구매내역을 확인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은 영상정보를 열람한 소비자로부터 생산자에 대한 평가를 산출하므로 생산자에게 제공하므로 생산자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개선해야되는 방향을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생산자 등록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생산자등록단계는 등록요청한 생산자에게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고유코드등록단계(S11)와, 각 생산자별 고유코드의 서브코드를 생산제품별로 부여하는 생산제품등록단계(S12)와, 각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카메라(11)의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영상카메라(11) 고유코드등록단계(S13)와, 각 생산지시스템(10)별 영상정보 및 매출 데이타베이스(25)를 구축하는 데이타베이스구축단계(S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유코드등록단계(S11)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개인 신상정보, 예를 들면 주소지나 재배되는 농, 수, 축산물의 정보 및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고유코드를 발행하여 상기 생산자정보DB(252)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고유코드는 각 생산자별로 부여되는 고유코드로서 이후에 재배되는 농, 수, 축산물 판매상품의 생산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품 고유코드가 상기 생산자고유코드의 서브코드로서 부여된다. 아울러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생산자고유코드를 통해서 각 생산자를 검색 및 원격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생산제품등록단계(S12)는 상기 고유코드 등록단계 이후,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생산자고유코드의 서브코드에 해당되는 판매상품의 고유코드를 발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생산자고유코드를 통해서 상기 생산자의 생산지시스템(10) 및 상품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검색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영상카메라 고유코드 등록단계(S13)는 상기 웹서버(21)에 등록된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카메라(11)별로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생산자고유코드의 서브코드로서 각 영상카메라(11)에 고유코드를 부여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관리수단(14)은 각 영상카메라(11)의 위치가 포함되는 생산지의 지도를 송신하게 되며,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지도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카메라(11)의 고유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구축단계(S14)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생산자고유코 드를 기준으로 하여 각 생산지시스템(10)의 정보테이블을 데이타베이스(25)에 구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쇼핑몰시스템(30)와 연동하여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쇼핑몰의 매출내역을 포함하는 정보테이블을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테이블을 구성하여 일시별, 영상카메라(11)의 고유코드별로 각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송신된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정보DB(254)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소비자의 원격제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소비자의 원격제어단계는 대기단계(S31)와,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소비자단말기(40)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 저장 및 제공단계(S32)와,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원격제어요청이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원격제어판단단계(S33)와,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원격제어가 수신되면 트래픽룰을 적용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를 실행하는 트래픽룰적용단계(S34)와,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신호를 중계하는 원격제어단계(S35)와,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36)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정보 저장 및 제공단계(S32)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영상정보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정보를 수신할 경우에 주 기적인 날짜 또는 시간을 통하여 각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생산지시스템(10)의 자유결정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영상정보DB(254)에 저장한다.
즉, 상기 웹서버(21)는 주기적으로 특정시간과 날짜를 정하여 주기적으로 영상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함도 가능하며, 또는 이와는 별도로 생산지시스템(10)으로부터 수시로 영상정보를 송신함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소비자단말기(40)는 쇼핑몰시스템(30)에서 운영하는 쇼핑몰홈페이지를 통해 농, 수, 축산물상품을 검색하여 영상정보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웹서버(21)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선택된 상품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판매상품정보DB(253)를 통하여 해당 상품의 생산자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고유코드를 갖는 영상정보를 영상정보DB(254)에서 독출한다. 이후에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서 선택한 상품의 생산자가 송신한 영상정보리스트를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송신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서 선택한 영상정보를 소비자단말기(40)에 송신한다.
상기 소비자 원격제어판단단계(S33)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원격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비자단말기(40)는 쇼핑몰시스템(30) 또는 상기 웹서버(21)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특정 판매상품의 재배과정및 생산지에 대한 주변환경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생산지에 설치된 영상카메라(11)를 직접조작하여 자신이 궁금해 하는 재배식물 또는 닭, 소, 돼지등의 사료나 축사의 청결도등의 생산지 내의 주변정보를 직접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생산지 환경, 온도나 주변의 오염여부, 농약살포여부와 같은 축산물, 수산물 또는 농산물의 재배과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원격제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서버(22)에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요청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요청신호는 대상이 되는 생산자고유코드가 포함되며,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생산자정보DB(252)를 통하여 상기 생산자고유코드를 검색하여 생산지시스템(10)에 할당된 아이피주소와 함께 상기 원격제어서버(22)에 인가한다. 아울러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요청신호를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 송신한다.
상기 트래픽룰적용단계(S34)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요청신호를 인가하므로서,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설정된 트래픽룰에 따라서 하나의 생산지시스템(10)에 원격제어를 요청한 다 수의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원격제어서버(22)에 인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설정되는 트래픽룰은 접속 시간대 또는 거래실적이 높은 소비자단말기(40)를 우선순위로 할수도 있고 또는 운영자에 의해 다른 기준을 갖고 설정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7에서 후술한다.
상기 원격제어단계(S35)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조작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서버(22)에 중계하므로 소비자단말기(40)가 원거리에 위치 한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카메라(11)를 원격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원격제어서버(22)로부터 원격제어가능여부에 대한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조작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서버(22)에 중계한다. 따라서 상기 원격제어서버(22)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서 수신되는 조작신호를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송신하며,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원격제어수단(12)에서 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서버(22)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11)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할당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원격제어서버(22)로부터 원격제어가능한 영상카메라(11)와 위치가 포함된 지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서 직접 원격제어할 영상카메라(11)를 선택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원격제어수단(12)은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에 따라서 상기 영상카메라(11)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원격제어수단(12)은 상기 영상카메라(11)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링관리수단(14)에 의해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며, 영상저장수단(1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수단(12)은 상기 영상저장수단(13)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원격제어서버(22)를 통해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소비자단말기(40)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11)중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11)를 이동 및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자신이 직접 재배식물 및 주변환경을 촬영하도록 상기 영상카메라(11)를 조작한다.
상기 정보저장단계(S36)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25)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상기 영상정보DB(254)에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 날짜와 시간, 대상(생산지시스템(10)), 원격제어 영상카메라(11)와 같은 정보를 상기 회원정보DB(251)에 저장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자의 원격제어 또는 생산지시스템(10)에서의 농, 수, 축산물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안심구매를 이루어 낼 수 있어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트래픽제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트래픽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접속시간대와 원격제어 사용가능한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트래픽룰을 일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제어단계(S34)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하여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로서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래픽관리신호를 수신하는 트래픽관리신호 수신단계(S341)와,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생산지시스템(10)의 트래픽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S342)와, 생산지시스템(10)에 원격제어를 위한 접속상태를 확인하는 사용판단단계(S343)와, 상기 사용판단단계에서 대상인 생산지시스템(10)이 원격제어 사용중 인것이 확인되면 사용가능시간을 확인하는 시간확인단계(S344)와, 원격제어를 요청한 소비자단말기(40)에 원격제어가 가능한 시간대를 통보하는 메세지발송단 계(S345)와, 상기 상태확인단계(S342)이후에 다 수의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동시에 원격제어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동시요청 판단단계(S346)와, 상기 동시요청판단단계(S346)에서 하나 이상의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동시에 원격제어가 이루어졌다면, 각 소비자단말기(40)의 로그인시간을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부여단계(S347)와,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생산지시스템(10)의 원격제어수단(12)과 상기 소비자단말기(40)를 연결하므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제어 및 저장단계(S348)를 포함한다.
상기 트래픽관리신호 수신단계(S341)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상기 웹서버(21)로부터 트래픽관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수신된 원격제어요청신호에 포함된 해당 생산지시스템(10) 및 소비자단말기(40)의 아이피주소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는 상기 웹서버(21)로부터 트래픽관리신호를 수신하면, 대상 생산지시스템(10)의 연결관계를 확인한다.
상기 상태확인단계(S342)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상기 생산지시스템(10)의 원격제어수단(12)을 통해 현재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접속되는 소비자단말기(40)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는 상기 원격제어서버(22)를 통해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접속되는 소비자단말기(40)의 유무를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는 상기 원격제어서버(22)에 해당 생산지시스템(10)의 트래픽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판단단계(S343)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상기 원격제어서 버(22)를 통해 해당 생산지시스템(10)의 트래픽상태를 확인하여 추가로 또는 신규로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는 설정된 트래픽룰을 원격 제어가 가능한 시간을 제한하여 설정되었다면,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 접속된 소비자단말기(40)별로 원격제어 가능시간에 따라서 다음 순위의 소비자단말기(40)를 결정 및 사용가능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간확인단계(S344)는 상기 사용판단단계에서 현재 접속된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 사용가능한 시간을 확인하여 원격제어를 요청한 소비자단말기(40)의 사용가능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메세지발송단계(S345)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상기 시간확인단계(S344)의 확인결과, 현재 접속된 소비자단말기(40)가 있다면, 접속된 소비자단말기(40)의 잔여시간을 확인하여 원격제어 요청한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시간대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로부터 상기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소비자단말기(40)에 이를 송신한다.
상기 동시요청 판단단계(S346)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원격제어를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자단말기(40)가 동시에 동일 생산지시스템(10)의 원격제어를 요청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우선순위 부여단계(S347)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상기 동시요청판단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소비자단말기(40)로부터 동시에 원격제어를 요청하였 다면, 설정된 우선순위 기준에 따라서 각각의 소비자단말기(40)에 원격제어 순위를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각 소비자단말기(40)의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된 우선순위 기준은, 예를들면, 각 소비자단말기(40)의 로그인시간, 또는 연계되는 쇼핑몰시스템(30)의 거래실적에 따라서 적립된 포인트를 기준으로 설정함도 가능하며 이는 시스템 운영자의 응용에 따라서 다양한 우선순위 기준을 설정함도 가능하다.
상기 원격제어 및 저장단계(S348)는 상기 트래픽관리서버(23)에서 상기 시간확인단계(S344) 및 우선순위 부여기준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상기 원격제어를 요청한 소비자단말기(40)가 생산지시스템(10)의 영상카메라(11)를 원격제어하고, 상기 원격제어에 따른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거래내역확인 및 저장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래내역저장단계(S40)는 상기 쇼핑몰시스템(30)에 등록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거래정보수신단계(S41)와, 상기 쇼핑몰의 농, 수, 축산물을 구매한 회원정보와 영상정보의 확인 및 원격제어를 실시한 소비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42)와, 상기 영상정보를 열람한 회원중에서 상품을 구매한 회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설문조사단계(S43)와, 상기 설문조사단계에서 수신된 설문평가를 통하여 각 생산자의 농, 수, 축산물재배 환경이나 방법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는 평가산출단계(S44)를 포함한다.
상기 거래정보수신단계(S41)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쇼핑몰시스템(30) 를 통해 농, 수, 축산물 구매 회원의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쇼핑몰시스템(30)은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각각의 농, 수, 축산물상품의 구매고객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25)의 거래내역정보DB(255)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거래내역정보DB(255)를 검색하여 일정 기간동안 또는 회원의 상품을 구매할 때 마다 해당 회원의 거래내역정보를 확인함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확인단계(S42)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영상정보DB(254)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열람하고, 또한 원격제어를 실시한 소비자단말기(40)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21)는 상기 영상정보DB(254)와 회원정보DB(251)를 검색하여 상기와 같은 영상정보 열람 또는 생산지시스템(10)의 원격제어를 실시한 소비자단말기(40)의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설문조사단계(S43)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정보확인단계와 거래정보수신단계를 비교하여 영상정보의 열람 또는 원격제어를 실시한 소비자단말기(40)의 회원정보와 쇼핑몰의 상품구매고객의 정보가 상호 일치되는 회원에게 생산지시스템(10)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설문지를 발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설문지는 구매를 하게된 동기와 그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평가결과는 상기 생산지시스템(10)에 통보된다.
상기 저장단계(S44)는 상기 웹서버(21)에서 상기 생산자정보DB(251)와 회원정보DB(252)에 설문조사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생산자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농, 수, 축산물의 재배를 독려 할 수 있으며, 상기 생산자는 소비자의 의견을 직접 들을 수 있어 자신의 재배방식에서의 부족한 점, 또는 장점이 어떤 건지를 정확히 알 수 있어 보다 좋은 양질의 농, 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신의 사업영역에 대한 확장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에서 원격센터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생산자 등록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소비자의 원격제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트래픽제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에서 거래내역확인 및 저장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부호의 설명*
10 : 생산지시스템 11 : 영상카메라
12 : 원격제어수단 13 : 영상저장수단
14 : 모니터링관리수단 20 : 영상제어시스템
21 : 웹서버 22 : 원격제어서버
23 : 트래픽관리서버 24 : 영상관리서버
25 : 데이타베이스 30 : 쇼핑몰시스템
40 : 소비자단말기 251 : 회원정보DB
252 : 생산자정보DB 253 : 상품정보DB
254 : 영상정보DB 255 : 거래내역정보DB

Claims (7)

  1. 온라인에서 농, 수, 축산물을 게시 및 판매하는 쇼핑몰시스템과;
    상기 쇼핑몰시스템에 접속하여 온라인에 게시된 농, 수, 축산물을 구매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소비자단말기와;
    농, 수, 축산물 재배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를 제어하여 농, 수, 축산물 재배되는 현장 및 재배식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송신하는 생산지시스템과;
    상기 생산지시스템에서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온라인을 통하여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소비자단말기에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영상제어시스템(20)을 포함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은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구매내역을 계절별, 연령대별, 지역별로 구분한 소비자의 구매정보와,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구매이유를 포함하는 설문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매 및 설문정보를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은
    상기 쇼핑몰시스템 또는 상기 소비자단말기를 통하여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쇼핑몰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단말기에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이유가 포함된 설문메세지를 상기 소비자단말기에 송신하여 이를 수신하고,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구매정보를 계절별, 지역별, 연령대별로 분류하는 웹서버와;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트래픽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웹서버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트래픽기준에 따라서 상기 생산지시스템 및 원격제어서버와 소비자단말기 간의 트래픽을 제어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조작신호를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중계하는 원격제어서버와;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영상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웹서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송신하는 영상관리서버와; 쇼핑몰 회원(소비자)정보 및 생산자정보와 각 생산자별 매출정보와 각 소비자별 구매정보 및 소비자의 상품 구매이유를 포함하는 설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정보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지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원격제어되고,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카메라와, 상기 원격제어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카메라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과, 상기 영상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영상저장수단과, 상기 영상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소비자의 구매정보 및 설문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는
    회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주소나 거래실적을 포함하는 개인신원정보나 쇼핑몰에서의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와, 등록된 생산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와 주소등의 신원정보 및 원격제어를 위한 아이피정보와 각 생산자별 고유코드와 각 생산자별 고유코드에 따른 서브코드정보가 저장되는 생산자정보DB와, 각 생산자별로 등록된 생산물의 종류와 수량 및 출하예정일과 출하량 그리고 서브코드가 각각 저장되는 판매상품정보DB와, 각 생산지시스템에서 촬영된 영상정보가 촬영일시별로 저장되는 영상정보DB와, 상기 영상제공시스템과 연계된 쇼핑몰시스템에서 판매되는 농, 수, 축산물에 대한 계절별, 연령대별 및 지역별로 판매되는 상품정보와 각 소비자의 상품을 구매하게 된 이유가 포함된 설문정보를 저장하는 거래내역정보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5.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농, 수, 축산물의 생산지의 영상을 촬영하는 생산지시스템으로부터 생산자등록요청을 수신하면, 주소 및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시스템의 회원으로 등록하는 생산자등록단계와;
    상기 온라인 쇼핑몰시스템을 통해 게시중인 농, 수, 축산물의 정보를 원하는 소비자단말기 또는 상기 영상제어시스템의 웹서버에서 관리하는 홈페이지에 등록요청한 소비자단말기에게 회원가입을 승인하고 각 회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개인신상정보를 저장하고 이후에 영상정보의 열람 및 원격제어를 요청할 수 있는 회원 으로서 등록하는 회원등록단계와;
    상기 생산자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생산지시스템으로부터 재배되는 농, 수, 축산물의 영상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회원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쇼핑몰시스템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생산자에 대한 영상정보의 요청신호 또는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영상을 원격제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생산지시스템과 상기 소비자단말기를 연결시켜 상기 소비자단말기의 원격조작신호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기 생산지시스템의 제어하여 상기 생산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소비자단말기에 송신하는 원격제어단계와;
    상기 쇼핑몰시스템의 거래내역 정보를 저장하여 영상정보의 열람회원과 비교하여 공통적으로 포함된 회원에게 각 생산지에 대한 평가 및 구매이유가 포함된 설문정보를 발송 및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상기 쇼핑몰시스템으로부터 계절별, 지역별, 연령대별로 소비자의 구매상품정보를 분류 및 저장하여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송신하는 매출향상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원격제어단계에서 영상정보를 열람한 소비자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열람회원정보저장단계와;
    상기 쇼핑몰시스템으로부터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판매상품정보의 저장단계와;
    상기 영상정보열람회원정보와 판매상품정보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된 소비자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는 소비자단말기의 정보추출단계와;
    상기 정보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소비자단말기에 해당 상품의 구매이유가 포함된 설문메세지를 송신하는 메세지송신단계와;
    상기 메세지수신단계에서 송신된 설문메세지가 포함된 설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세지저장단계와;
    상기 메세지저장단계 이후에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상기 설문정보를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 정보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쇼핑몰시스템으로부터 소비자단말기의 상품구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정보를 계절별, 소비자연령별, 지역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정보분류단계와;
    상기 정보분류단계에서 분류된 계절별, 소비자연령별, 지역별로 분류된 상품중에서 소비자의 구매율에 따른 상품정보를 각각 독출하여 상기 생산지시스템에 송신하는 정보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 정보제공방법.
KR1020090047433A 2009-05-29 2009-05-29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8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433A KR20100128808A (ko) 2009-05-29 2009-05-29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433A KR20100128808A (ko) 2009-05-29 2009-05-29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808A true KR20100128808A (ko) 2010-12-08

Family

ID=4350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433A KR20100128808A (ko) 2009-05-29 2009-05-29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88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70B1 (ko) * 2013-12-04 2015-04-13 박정근 튀김유의 실시간 산가 측정 및 산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902249A (zh) * 2015-06-27 2015-09-09 北京航星网讯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农牧业获取图像提炼适用于北斗通讯的数据的方法
KR20200060112A (ko) * 2018-11-22 2020-05-29 김민수 양어장 통합관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70B1 (ko) * 2013-12-04 2015-04-13 박정근 튀김유의 실시간 산가 측정 및 산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5084044A1 (ko) * 2013-12-04 2015-06-11 박정근 튀김유의 실시간 산가 측정 및 산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38540A1 (en) * 2013-12-04 2016-11-24 Jung Geun PARK Real-Time Frying Oil Acid Value Measuring And Frying Oil Acid Valu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10694893B2 (en) * 2013-12-04 2020-06-30 Jung Geun PARK Real-time frying oil acid value measuring and frying oil acid valu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CN104902249A (zh) * 2015-06-27 2015-09-09 北京航星网讯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农牧业获取图像提炼适用于北斗通讯的数据的方法
CN104902249B (zh) * 2015-06-27 2017-12-05 北京航星网讯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农牧业获取图像提炼适用于北斗通讯的数据的方法
KR20200060112A (ko) * 2018-11-22 2020-05-29 김민수 양어장 통합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963B1 (ko) 양어장 통합관리시스템
Eastwood et al. Getting the most out of advanced farm management technologies: roles of technology suppliers and dairy industry organisations in supporting precision dairy farmers
Chibanda et al. The typical farm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by the Agri Benchmark network
KR101936317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파밍 방법
Smith et al. Internet of animal health things (IoAH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P2002297625A (ja) 農水畜産物情報検索システム、農水畜産物、農水畜産物生産方法及び農水畜産物情報提供方法
KR101895800B1 (ko)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5078238A (ja) 農作物の販売管理システム
KR20100128808A (ko) 영상정보를 이용한 농, 수, 축산물 매출향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8446A (ko) 온라인을 이용한 농, 수, 축산물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9638A (ko)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149622A (ko) Vr 기반 스마트팜 교육 시스템
KR101483960B1 (ko)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현실 연계 작물재배 게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7660B1 (ko) 스마트팜을 이용한 농산물 분양 시스템
KR20130082894A (ko) 전통음식 레시피를 이용한 레시피 오픈 마켓과 연동되는 농수산물 공동 구매 솔루션
KR20010083818A (ko) 네트워크를 통하여 농축산물의 재배 및 사육이 가능한사이버 농장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070075005A (ko) 연속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617A (ko) 재배 과정의 실시간 중계 기반 농작물 거래 시스템
KR20010094715A (ko) 농수산물의 성장, 수확, 가공 과정을 실시간으로 중계또는 데이터 편집 중계하는 인터넷 시스템 운영방법
KR20200057440A (ko) 양돈 성장 조건 플랫폼 기반 출하 예측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00002A (ja) 生産物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
KR20010096416A (ko) 물품의 선 구매와 선 구매된 물품의 생산과정 관찰 시스템
KR1012017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육성 시스템 및 방법
CN107784508A (zh) 一种智能化农副业产品管理系统及方法
JP5555017B2 (ja) 農作物購入予約方法、農作物購入予約システム及び農作物購入予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