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36B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36B1
KR101594436B1 KR1020150057912A KR20150057912A KR101594436B1 KR 101594436 B1 KR101594436 B1 KR 101594436B1 KR 1020150057912 A KR1020150057912 A KR 1020150057912A KR 20150057912 A KR20150057912 A KR 20150057912A KR 101594436 B1 KR101594436 B1 KR 10159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wledge information
tag
user terminal
inpu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철
Original Assignee
김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철 filed Critical 김선철
Priority to KR102015005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지식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태그와 연동한 후,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식정보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지식정보를 검색, 열람, 저장할 수 있으며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바, 지식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지식정보를 삭제하였더라도 추후에 다시 상기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저장부에서 전송 받아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ARE KNOWLEDGE IN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간에 지식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며, 검색하고, 공유하는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Social Community Service)란,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특정한 관계를 가지는 특정인들을 포함하는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유지하여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종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터넷 기반의 환경에서 사회적 관계를 가지는 사람들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거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러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기존에 형성된 관계의 사람들 사이에서만 정보를 공유하여 제 3 자의 지식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인지 할 수 있는 방법이 미비하여, 산재된 개인 또는 공동체의 지식과 경험을 능동적으로 공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공개 특허공보 제 10-2014-0019135 호(2014. 02. 14 공개)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컨텐츠의 재생산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지식 정보 공유는 온, 오프라인에서 같은 강의를 수강하던 학생과 선생간의 소셜 네트워크 공간에서의 지식 정보 공유인바, 특정 사회적 관계를 가지는 사람들 사이의 정보 공유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공개 특허공보 제 10-2014-0019135 호(2014. 02. 14 공개)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다양한 지식정보를 기존에 형성된 관계의 사람뿐만 아니라 제 3 자와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식정보 생성부에서 수집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태그와 연동하여 지식정보 저장부에 저장하여, 지식정보 검색부에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식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다양한 지식정보를 기존에 형성된 관계의 사람뿐만 아니라 제 3 자와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식정보 생성부에서 수집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태그와 연동하여 지식정보 저장부에 저장하여, 지식정보 검색부에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식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식정보를 열람하고, 저장하며,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수집하고, 업로드하는 지식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고,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태그 관리부, 상기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와 연동하는 제어부,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전송하는 지식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지식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수집하는 지식정보 수집단과, 수집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업로드하는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를 생성하는 태그 생성단과, 입력한 상기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및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태그 DB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은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지식정보 검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식정보 저장부는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와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지식정보 DB단과, 검색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전송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열람하는 표시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전송된 상기 지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된 상기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인 전송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와 관련된 감성, 정황, 가격과 같은 일반적인 관심 사항을 입력해 둔 키워드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와 연동하는 단계,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태그를 이용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태그를 이용하여 저장된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 저장부의 저장된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검색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와 관련된 감성, 정황, 가격과 같은 일반적인 관심 사항을 입력해 둔 키워드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이용하는 바 능동적인 지식정보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태그와 연동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지식정보를 태그와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하다. 검색된 상기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지식정보가 없는 경우 저장하거나 열람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를 태그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태그를 입력할 때 마다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식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갱신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바 검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지식정보를 삭제하더라도 지식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삭제된 상기 지식정보를 다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농어민과 소비자가 함께 지식정보를 공유하면서 농수산물을 키우고 소비하는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식정보를 공유하면서 궁극적으로 농어민이 소비자와의 계약을 통해 농수산물을 키우는 문화를 조성할 수 있으며, 농수산물 직거래 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소비자가 원하는 농수산물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정보공유를 통해 상호신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농어촌의 생활을 선행하여 체험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체험 학습을 통하여 농어촌의 방문을 유도하여 관광수입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귀농하는 사람들에게 체험 학습을 통해 빠른 적응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지식정보 생성부(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태그 관리부(3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지식정보 저장부(4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것으로 농수산물 관련기관 DB부(600)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 “모듈”, “장치”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태그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IT용어사전에 따를 때 글을 쓴 저자가 그 글의 검색을 위하여 감성, 정황, 글쓴이의 의지 등을 나타내는 단어를 입력해 둔 일종의 키워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식정보에 태그가 연동되면 지식정보의 제목이나, 내용, 카테고리 등과는 별도로 폭소노미(folksonomy),즉 일반적인 관심 사항의 주제별로 검색하여 지식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지식정보의 가격은 태그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위에서 언급한 일종의 키워드들의 집합이 아닌 지식정보의 가격을 통해서도 지식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가격은 지식정보의 가격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와 관련된 감성, 정황, 가격과 같은 일반적인 관심 사항을 입력해 둔 키워드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1, …, 10-n), 지식정보 생성부(100), 제어부(200), 태그 관리부(300), 지식정보 저장부(400), 지식정보 검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 …, 10-n)은 지식정보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장치이다. 이동통신망이나 무선랜을 통한 지식정보 교환을 위한 무선송수신기가 탑재되며, 사용자의 지식정보 입력을 위한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등의 입력을 위한 모듈을 탑재한다.
사용자 단말(10-1, …, 10-n)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넷북(Netbook)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 …, 10-n)는 지식정보를 열람하는 표시단(11), 지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12), 지식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생성부(100)에서 수집한다.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된 태그를 태그 관리부(300)에서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와 지식정보를 제어부(200)에서 연동한다. 연동된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식정보 저장부(400)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UCC(User Created Contents), 멀티미디어(multimedia)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생성부(100)에서 수집한다.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를 태그 관리부(300)에서 지식정보 생성자, 카테고리등과 함께 태그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의 경우 상기 설명하였듯이 지식정보 생성자, 지식정보 카테고리, 지식정보 생성일자, 지식정보의 출처등과 함께 생성된다. 여기서 지식정보의 출처는 인터넷 주소의 경우는 도메인, 공개특허공보의 경우 공개번호 및 공개일자, 논문의 경우 논문의 저자 및 논문의 제목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태그는 지식정보의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관리부(300)에서 태그가 생성된 이후, 태그와 지식정보가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120)에 의하여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제어부(200)에서 태그와 지식정보를 연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00)는 지식정보와 태그를 연동하며,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하여 지식정보에 가격이 설정되어있는 경우 지식정보와 가격을 연동한다.
연동된 지식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식정보 저장부(400)로 전송하고,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지식정보 저장부(400)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지식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한 지식정보를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 의하여 지식정보 DB단(410)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하여, 요청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10-1, …, 10-n)의 표시단(11)에서 열람하거나 저장단(12)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전송단(13)에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저장단(12)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저장하지 않았던 경우,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 의하여 지식정보 DB단(410)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저장단(12)에 저장 후, 사용자 단말의 저장단(12)에 저장한 지식정보를 전송단(13)에서 외부 사용자 단말로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요청한 지식정보가 가격이 연동된 지식정보를 경우 외부 사용자 단말은 연동된 가격을 결제한 이후에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의 표시단(11)에서 열람, 저장단(12)에서 저장 및 전송단(13)에서 다른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전송단(13)에서 복수의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요청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검색부(500)에서 검색한다. 지식정보 검색의 경우 후술할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을 통해 태그를 조합하여 태그조합을 생성한다. 이때 태그를 조합하는 것은 태그 DB단(320)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며,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을 통해 별도의 태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별도의 태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입력된 별도의 태그를 태그 DB단(320)의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태그 DB단(320)이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그리고 지식정보 검색부(500)가 지식정보 DB단(410)에 저장된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이때는 지식정보와 연동된 태그를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조합한 태그 또는 별도의 태그와 비교하여 검색한다. 이때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지식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그조합은 지식정보 생성자, 지식정보 카테고리, 지식정보 생성일자, 지식정보의 출처, 지식정보 생성시의 감성, 정황, 가격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식정보 검색부(500)의 검색한 지식정보를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1, …, 10-n)의 표시단(11)에서 지식정보를 열람하거나 저장단(12)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가 아닌 외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 의 표시단(11)에서 지식정보를 열람하거나 저장단(12)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전송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전송단(13)에서 복수의 외부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가, 외부 사용자 단말에서 가격이 입력되어 가격과 연동된 지식정보일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은 지식정보와 연동된 가격을 결제한 이후에 지식정보를 표시단(11)에서 열람, 저장단(12)에서 저장 및 전송단(13)에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전송단(13)에서 복수의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지식정보 생성부(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지식정보 생성부(100)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수집하는 지식정보 수집단(110)과, 수집된 지식정보를 제어부(200)로 업로드하는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식정보 수집단(110)은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수집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의 지식정보로 연동한다.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120)은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와 연동하기 위하여 지식정보를 제어부(200)로 업로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태그 관리부(3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태그 관리부(300)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는 태그 생성단(310)과, 입력한 태그를 이용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태그 DB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 생성단(310)은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를 지식정보 생성자, 카테고리등과 함께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의 경우 지식정보 생성자, 지식정보 카테고리, 지식정보 생성일자, 지식정보의 출처등과 함께 생성된다. 여기서 지식정보의 출처는 인터넷 주소의 경우는 도메인, 공개특허공보의 경우 공개번호 및 공개일자, 논문의 경우 논문의 저자 및 논문의 제목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DB단(320)은 태그 생성단(310)에서 생성한 태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태그 생성단(310)에서 태그가 생성될 때마다 태그 DB단(320)으로 전송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태그 데이터베이스는 지식정보 검색부(500)가 지식정보 저장부(400)의 지식정보 DB단(410)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 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경우에 태그는 상기 설명하였듯이 지식정보 생성자, 지식정보 카테고리, 지식정보 생성일자, 지식정보의 출처등과 함께 생성된다. 여기서 지식정보의 출처는 인터넷 주소의 경우는 도메인, 공개특허공보의 경우 공개번호 및 공개일자, 논문의 경우 논문의 저자 및 논문의 제목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기존에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가 아닌 별도의 태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태그 생성단(310)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별도의 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를 이용하여 태그 DB단(320)에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지식정보 저장부(4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지식정보 저장부(400)는 지식정보 DB단(410)과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식정보 DB단(410)에서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은 지식정보 검색부(500)에서 검색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카테고리별로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것이다. 카테고리는 농업, 수산업, 에너지산업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은 지식정보 검색부(500)에서 검색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한다. 또한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지식정보들의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서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이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가 가격과 연동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10-1, …, 10-n)에 의해 연동된 가격을 결제한 이후에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은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1, …, 10-n)로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지식정보들의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서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이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1, …, 10-n)은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전송된 지식정보를 열람하는 표시단(11),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저장하거나,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전송된 지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12),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지식정보 수집단(110)이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태그 생성단(310)이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어부(200)가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와 지식정보를 연동하는 단계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DB단(42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저장된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식정보 수집단(110)이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수집한다.(S631)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UCC(User Created Contents), 멀티미디어(multimedia)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수집단(110)에서 수집한다. 그리고 지식정보 수집단(110)은 수집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로 연동한다.
태그 생성단(310)이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한다.(S632)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 생성단(310)이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를 지식정보 생성자, 카테고리등과 함께 생성하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태그를 이용해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 생성단(310)이 생성하는 태그의 경우 지식정보 생성자, 지식정보 카테고리, 지식정보 생성일자, 지식정보의 출처등과 함께 생성된다. 여기서 지식정보의 출처는 인터넷 주소의 경우는 도메인, 공개특허공보의 경우 공개번호 및 공개일자, 논문의 경우 논문의 저자 및 논문의 제목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태그 DB단(320)에서 태그 생성단(310)이 생성한 태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태그 생성단(310)에서 태그가 생성될 때마다 태그 DB단(320)으로 전송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태그 데이터베이스는 지식정보 DB단(400)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검색부(500)가 검색하는 과정에 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가 생성되는 경우에, 태그는 상기 설명하였듯이 지식정보 생성자, 지식정보 카테고리, 지식정보 생성일자, 지식정보의 출처등과 함께 생성된다. 여기서 지식정보의 출처는 인터넷 주소의 경우는 도메인, 공개특허공보의 경우 공개번호 및 공개일자, 논문의 경우 논문의 저자 및 논문의 제목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기존에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가 아닌 별도의 태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태그 생성단(310)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여, 생성된 태그를 이용하여 태그 DB단(320)에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또한 여기서 태그는 지식정보의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태그와 지식정보를 연동한다.(S633)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120)으로부터 업로드된 지식정보와 태그 생성단(310)에서 생성된 태그를 제어부(200)에서 연동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에서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저장부(400)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00)는 지식정보와 태그를 연동하며,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하여 지식정보에 가격이 설정되어있는 경우 지식정보와 가격을 연동한다.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저장부(40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S634)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지식정보 DB단(410)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카테고리별로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된 것이다. 카테고리는 농업, 수산업, 에너지산업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를 가질 수 있다.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635)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복수의 외부 사용자 단말로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검색한다.(S731)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을 통해 태그를 조합하여 태그조합을 생성한다. 이때 태그를 조합하는 것은 태그 DB단(320)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며,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을 통해 별도의 태그를 입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태그조합은 지식정보 생성자, 지식정보 카테고리, 지식정보 생성일자, 지식정보의 출처, 지식정보 생성시의 감성, 정황, 가격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별도의 태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별도의 태그를 태그 DB단(320)의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태그 DB단(320)이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그리고 지식정보 검색부(500)가 지식정보 DB단(410)에 저장된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이때는 지식정보와 연동된 태그를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조합한 태그 또는 별도의 태그와 비교하여 검색한다. 이때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지식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가 저장단(12)에 저장된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판단한다.(S732)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가 저장단(12)에 저장되어 있는 지식정보라면 S734 단계를 수행한다.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가 저장단(12)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지식정보라면 S733 단계를 수행한다.
검색된 지식정보가 저장단(12)에 저장되어 있는 지식정보가 아니라면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저장단(12)에 지식정보를 저장한다.(S733)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된 지식정보를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하여 표시단(11)에서 검색된 지식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저장단(12)에 검색된 지식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검색된 지식정보를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만을 표시단(11)에서 검색된 지식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저장단(12)에 검색된 지식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지식정보 또는 검색된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지식정보가 가격과 연동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연동된 가격을 결제한 이후에 검색된 지식정보를 저장단(12)에 저장하거나, 표시단(11)에서 열람할 수 있다.
검색된 지식정보가 저장단(12)에 저장된 것이라면 검색된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지 않고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734)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된 지식정보가 저장단(12)에 저장된 것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전송단(13)에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저장단(12)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용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8 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1, …, 10-n),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생성부(101), 제어부(200), 태그 관리부(300),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저장부(401),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검색부(501), 농수산물 관련기관 DB부(600)을 포함할 수 있다.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생성부(101)는 상기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식정보 생성부(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저장부(401)은 상기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식정보 저장부(4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생성부(101)는 하기 설명할 것으로 농사정보 DB부(610), 정부정책 DB부(620), 농수산물 관련 기술 및 제품정보 DB부(630), 농어촌체험 및 관광정보 DB부(640), 농수산물 정보 DB부(650)로부터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수집한다.
태그 관리부(300)에서는 수집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에 대하여 태그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 생성단(310)이 생성하는 태그의 경우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의 생성기관, 생성일자, 사용가능한 분야등의 정보와 함께 생성된다. 그리고 태그 DB단(320)에서 태그 생성단(310)이 생성한 태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형성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태그 생성단(310)에서 태그가 생성될 때마다 태그 DB단(320)으로 전송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태그 데이터베이스는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검색부(501)가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저장부(401)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 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형성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경우에 태그는 상기 설명하였듯이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의 생성기관, 생성일자, 사용가능한 분야등의 정보와 함께 생성된다. 이런 정보들은 기본적으로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기존에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가 아닌 별도의 태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태그 생성단(310)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한 별도의 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를 이용하여 태그 DB단(320)에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또한 여기서 태그는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의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태그 생성단(310)에서 생성된 태그를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와 연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120)으로부터 업로드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와 태그 생성단(310)에서 생성된 태그를 제어부(200)에서 연동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에서 태그와 연동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저장부(400)로 전송한다.
태그와 연동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저장부(401)에서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식정보 DB단(410)에서 태그와 연동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검색부(501)는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지식정보 DB단(410)에 저장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검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입력을 통해 태그를 조합하여 태그조합을 생성한다. 이때 태그를 조합하는 것은 태그 DB단(320)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며,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을 통해 별도의 태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설명하였듯이 태그 생성단(310)이 생성하는 태그의 경우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의 생성기관, 생성일자, 사용가능한 분야등의 정보와 함께 생성된다. 그리고 태그 DB단(320)에서 태그 생성단(310)이 생성한 태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형성된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태그 생성단(310)에서 태그가 생성될 때마다 태그 DB단(320)으로 전송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서 별도의 태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별도의 태그를 태그 DB단(320)의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것으로 태그 DB단(320)이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그리고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검색부(500)가 지식정보 DB단(410)에 저장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이때는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와 연동된 태그를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조합한 태그와 비교하여 검색한다. 이때 검색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태그는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의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10-1, …, 10-n)의 입력에 의해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는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열람, 저장,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420)에서 태그와 연동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지식정보 DB단(41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1, …, 10-n)로 전송한다.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10-1, …, 10-n)은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열람,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 받은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표시단(11)에서 열람하며, 전송 받은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저장단(12)에서 저장하고, 전송 받은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전송단(13)에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것으로 농수산물 관련기관 DB부(600)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농수산물 관련기관 DB부(600)는 농사정보 DB부(610), 정부정책 DB부(620), 농수산물 관련 기술 및 제품정보 DB부(630), 농어촌체험 및 관광정보 DB부(640), 농수산물 정보 DB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농사정보 DB부(610)는 농업기술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농촌진흥청 DB단(611), 종자, 종묘, 기술거래, 기술사업화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 DB단(612), 각 지역의 기상정보등을 저장하고 있는 기상청 DB단(613), 농업기술 및 원예작물 병충해정보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 DB단(614), 농업 기초기반 기술연구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국립농업과학원 DB단(615), 채소, 과수, 화훼, 품종육성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DB단(616)을 포함할 수 있다.
정부정책 DB부(620)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정책, 국정과제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농림축산식품부 DB단(621), 해양수산부의 정책, 국정과제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DB단(622),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를 제외한 관계부처의 정책, 국정과제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련부처 DB단(623)을 포함할 수 있다.
농수산물 관련 기술 및 제품정보 DB부(630)는 농자재기업리스트, 농자재기업에서 제공하는 농자재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농자재기업 DB단(631), 신재생에너지기업리스트, 신재생에너지기업에서 제공하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기업 DB단(632), 물류 및 유통기업리스트, 물류 및 유통기업에서 제공하는 관련 서비스정보등을 저장하고 있는 물류 및 유통기업 DB단(633)을 포함할 수 있다.
농어촌체험 및 관광정보 DB부(640)는 농어촌정보 관련 지식정보등을 저장하고 있는 제 2 농림축산식품부 DB단(641), 농어촌정보, 농어촌 지역개발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DB단(642), 농어촌 관광정보, 관광상품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한국관광공사 DB단(643)을 포함할 수 있다.
농수산물 정보 DB부(650)는 지역특산물, 농특산물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농협 DB단(651), 농어민이 생산한 농특산물, 수산물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농어민 DB단(652), 지역 어촌계에서 생산된 수산물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수협 DB단(653), 농수산물 가격, 무역정보, 농산물 관련 박람회등의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DB단(6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하였듯이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생성부(101)는 농사정보 DB부(610), 정부정책 DB부(620), 농수산물 관련 기술 및 제품정보 DB부(630), 농어촌체험 및 관광정보 DB부(640), 농수산물 정보 DB부(650)로부터 각종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수집한다.
이는 상기 설명하였듯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1, …, 10-n)에서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를 열람, 저장,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알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구성들의 역할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 …, 10-n: 사용자 단말 11: 표시단
12: 저장단 13: 전송단
100: 지식정보 생성부 110: 지식정보 수집단
120: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 200: 제어부
300: 태그 관리부 310: 태그 생성단
320: 태그 DB단 400: 지식정보 저장부
410: 지식정보 DB단 420: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
500: 지식정보 검색부 101: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생성부
401: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저장부
501: 농수산물 관련 지식정보 검색부
600: 농수산물 관련기관 DB부 610: 농사정보 DB부
620: 정부정책 DB부
630: 농수산물 관련 기술 및 제품정보 DB부
640: 농어촌체험 및 관광정보 DB부 650: 농수산물 정보 DB부
611: 농촌진흥청 DB단 612: 농업기술실용화재단 DB단
613: 기상청 DB단 614: 농업기술센터 DB단
615: 국립농업과학원 DB단 616: 국립원예특작과학원 DB단
621: 제 1 농림축산식품부 DB단 622: 해양수산부 DB단
623: 관련부처 DB단 631: 농자재기업 DB단
632: 신재생에너지기업 DB단 633: 물류 및 유통기업 DB단
641: 제 2 농림축산식품부 DB단 642: 한국농어촌공사 DB단
643: 한국관광공사 DB단 651: 농협 DB단
652: 농어민 DB단 653: 수협 DB단
654: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DB단

Claims (12)

  1. 지식정보를 열람하고, 저장하며,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수집하고, 업로드하는 지식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고,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태그 관리부;
    상기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와 연동하는 제어부;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전송하는 지식정보 저장부;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지식정보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전송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열람하는 표시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지식정보 검색부가 검색한 지식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때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를 상기 지식정보 저장부로부터 전송 받아 저장하는 저장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단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때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지식정보 저장부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를 생성하는 태그 생성단과,
    입력한 상기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및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태그 DB단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를 수집하는 지식정보 수집단과,
    수집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업로드하는 제 1 지식정보 업로드단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생성단은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가 아닌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별도의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 DB단은
    상기 태그 생성단이 생성한 상기 별도의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와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새로이 입력한 태그와 추가로 연동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식정보 검색부는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를 이용하여 태그와 연동된 지식정보를 검색하고,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별도의 태그를 조합한 태그조합을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정보 저장부는,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와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지식정보 DB단;
    상기 지식정보 검색부가 검색한 지식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와 관련된 감성, 정황, 가격과 같은 일반적인 관심 사항을 입력해 둔 키워드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6. 지식정보 수집단이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지식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태그 생성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와 연동하는 단계;
    지식정보 DB단이 상기 태그와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이 상기 지식정보 DB단에 저장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지식정보 검색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 저장부의 저장된 상기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지식정보 검색부가 검색한 상기 지식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저장단이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때, 상기 저장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를 상기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으로부터 전송 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때, 상기 저장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를 상기 제 2 지식정보 업로드단으로부터 전송 받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때, 전송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지식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지식정보 저장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생성단이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태그 DB단이 생성된 상기 태그를 이용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태그 생성단이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가 아닌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별도의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태그 DB단이 상기 별도의 태그를 이용하여 저장된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식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태그와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와 연동된 상기 지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새로이 입력한 태그와 추가로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식정보 검색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 저장부의 저장된 상기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별도의 태그를 조합한 태그조합을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태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상기 지식정보와 관련된 감성, 정황, 가격과 같은 일반적인 관심 사항을 입력해 둔 키워드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57912A 2015-04-24 2015-04-2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912A KR101594436B1 (ko) 2015-04-24 2015-04-2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912A KR101594436B1 (ko) 2015-04-24 2015-04-2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36B1 true KR101594436B1 (ko) 2016-02-17

Family

ID=5545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912A KR101594436B1 (ko) 2015-04-24 2015-04-2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937A (ko) 2017-05-30 2018-12-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07A (ko) * 2000-05-24 2001-12-07 윤연두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10059301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30111868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140019135A (ko) 2012-08-06 2014-02-14 (주) 소프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컨텐츠의 재생산방법
KR20140035079A (ko) * 2012-09-13 2014-03-21 류인익 실버지식 뱅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07A (ko) * 2000-05-24 2001-12-07 윤연두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10059301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30111868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140019135A (ko) 2012-08-06 2014-02-14 (주) 소프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컨텐츠의 재생산방법
KR20140035079A (ko) * 2012-09-13 2014-03-21 류인익 실버지식 뱅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937A (ko) 2017-05-30 2018-12-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adón et al. Effect of woody-plant encroachment on livestock production in North and South America
Eggers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management strategy among small-scale private forest owners in Sweden
Torres et al. Addressing reproducibility in cryopreservation, and considerations necessary for commercializ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in support of genetic resources of aquatic species
KR101347448B1 (ko) 펫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Valbuena et al. Options to support sustainable trajectories in a rural landscape: Drivers, rural processes, and local perceptions in a Colombian coffee-growing region
Arthur et al. Procedures for the quarantine of live aquatic animals: a manual.
KR10159443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4615672A (zh) 一种农业科技成果检索、展示方法及客户端和服务器
Singh et al.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to dairy farmers in Jammu and Kashmir: Developing a web module
Lucas-García et al. Spatial proximity of ‘Ataulfo’to ‘Haden’cultivar increases mango yield and decreases incidence of nubbins
Jellema et al. Open data and smallholder food and nutritional security.
Rabbani Mapping of Digital Service Providers in Bangladesh for the Aquaculture: increasing income, diversifying diets, and empowering women in Bangladesh and Nigeria project
Silveira et al. Prevalence of absenteeism in medical appointments in a basic health unit in the south of Brazil.
Cameron et al. Drawing meaning and direction from private native forest research–a summation of two recent studies
Shah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gricultural development of India
Nankya et al. Community seedbanks in Uganda: Fostering access to genetic diversity and its conservation
Araújo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griculture and Land Cover in Matopiba, Brazil (1985–2020)
Underhill et al. Infrared Thermal Imaging: A practical educational tool to improve smallholder farmer postharvest practice in Fiji
Borras et al. Market-led agrarian reform: trajectories and contestations.
Mohd Hatta et 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leptospirosis in urban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protocol.
Addison et al. Open data and smallholder food and nutritional security
Liaquat School of Computing, Ulster University, Belfast, UK {majid-m2, cd. nugent, i. cleland}@ ulster. ac. uk
Zufan Abera Damtew et al. Correlates of the Women's Development Army strategy implementation strength with household reproductive, maternal, newborn and child healthcare practices: a cross-sectional study in four regions of Ethiopia.
Borre et al. Investigating self-reported health by occupational group after a 10-year lag: results from the total Belgian workforce.
Nurmoja et al. The social networks of free-roaming domestic dogs in island communities in the Torres Strait,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