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937A -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937A
KR20180130937A KR1020170067196A KR20170067196A KR20180130937A KR 20180130937 A KR20180130937 A KR 20180130937A KR 1020170067196 A KR1020170067196 A KR 1020170067196A KR 20170067196 A KR20170067196 A KR 20170067196A KR 20180130937 A KR20180130937 A KR 20180130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l
local information
us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481B1 (ko
Inventor
최종명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4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또는 위치한 지역의 위치 정보에 근거한 해당 지역 SNS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소식(News), 교육, 독서, 관광, 식당, 행사(축제), 숙소(숙박) 등에 관한 지역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역정보 제공서버는,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위치를 획득하는 지역 선정부; 상기 지역 정보 중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의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수집하는 지역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음성이나 화면으로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획득하기 원하는 지역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하여 지역 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local information using by position and role of us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폰을 통해 SNS(Social Network Service) 앱(App.)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역할에 근거한 해당 지역 SNS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소식(News), 교육, 독서, 관광, 식당, 행사(축제), 숙소(숙박) 등에 관한 지역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많은 SNS 서비스들이 지역 및 국경의 경계 없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SNS는 친구의 개념을 전 세계로 확장함으로써 위치와 무관하게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으며, 전 세계의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SNS는 친구 관계, 혹은 팔로워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또한, SNS는 실생활에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지역에서 진행되는 각종 정보 및 행사 등에 대한 정보는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SNS를 사용하는 경우에 지역 정보 혹은 지역 행사 등은 해당 지역에 관련된 해시태그 검색을 활용하거나 아니면 페이스북의 경우에 지역 관련 그룹 혹은 페이지에 가입해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SNS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로컬 SNS인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에 본사를 둔 Nextdoor가 있다. Nextdoor는 지역기반 소형 커뮤니티 중심의 폐쇄형 SNS이다. 지역 기반 소형 커뮤니티이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로 폐쇄형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실제 거주지에 따라서 그에 해당되는 커뮤니티에 가입할 수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를 사용해서 지역 정보에 접근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과 더불어 많은 불편한 점 혹은 어려운 점이 있다.
첫째로 지역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이에 해당되는 그룹 혹은 페이지에 가입하거나 방문해야 한다.
둘째로 정보 접근에서 역할 구분이 없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 여행을 가기 위해서 처음 방문하는 경우와 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은 다른 정보가 필요한데, 이처럼 상황 혹은 역할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없다.
셋째로 여러 지역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에 매번 지역에 해당되는 그룹이나 페이지를 가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넷째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쉽지 않다. 어떤 지역을 관광하기 위해서 방문하는 경우에 SNS 그룹에는 이와 관련된 정보를 찾기 어렵거나 찾기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지역 관련 그룹은 해당 지역 사람들의 공간이기 때문에 여행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행객들은 블로그 정보를 검색하거나 인터넷 정보를 검색해야 한다.
다섯째 정보를 게시하는 입장에서 지역을 위한 그룹 및 페이지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보를 게시하는 입장에서는 여러 곳에 정보를 게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4436호(등록일 : 2016.02.05)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폰을 통해 SNS(Social Network Service) 앱(App.)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역할에 근거한 해당 지역 SNS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소식(News), 교육, 독서, 관광, 식당, 행사(축제), 숙소(숙박) 등에 관한 지역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은, 지역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하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고, 상기 SNS를 통해 지역 정보를 보유하는 SNS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지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SNS를 기반으로 상기 지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지역 소식(News),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지역정보 제공서버는,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위치를 획득하는 지역 선정부; 상기 지역 정보 중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의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수집하는 지역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음성이나 화면으로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획득하기 원하는 지역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선정부는,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역 목록(list)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근거해 획득한 지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지역 정보에 근거해 해당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상기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정된 지역에 대한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 및 선택 지역 정보를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지역 소식(News) 정보,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선택 옵션 또는 해시 태그(#tag)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정보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는, 방문자가 지역 SNS에 글을 등록할 때 '#방문자' 형태로 등록받고, 상기 선정된 지역의 거주민이 방문자를 위해 지역 SNS에 글을 등록할 때 '#방문자 태그' 형태로 등록받을 수 있다.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기본 정보와 지자체 정보, 축제 정보를 고정된 정보를 제공하고, 점수나 추천수에 따라 정렬해서 제공하거나,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의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지역 정보를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 변경 및 관리할 수 있는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거주 지역, 특성(주민, 첫방문자, 여행객)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a) 지역 선정부가 다수의 지역 중 지역 정보를 획득하기 원하는 지역을 하나 이상 선정하는 단계; (b) 정보 선택부가 상기 선정된 지역에 대한 다수의 정보 중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c) 지역정보 수집부가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d) 지역정보 제공부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지역 선정부는,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역 목록(list)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지역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근거해 획득한 지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지역 정보에 근거해 해당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정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지역 소식(News) 정보,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상기 지역정보 DB로부터 상기 선정된 지역에 대한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 또는 선택 지역 정보를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기본 정보와 지자체 정보, 축제 정보를 고정된 정보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점수나 추천수에 따라 정렬해서 제공하거나,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의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 변경 및 관리할 수 있는 정보로 구분하여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거주 지역, 특성(주민, 첫방문자, 여행객)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선택 옵션 또는 해시 태그(#tag)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지역 정보 중 상기 정보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섹션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출원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하여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오픈 SNS에 기반하여 지역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위해서 해당 그룹 혹은 페이지에 가입하거나 방문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 혹은 역할에 따라 해당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지역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에 매번 지역에 해당되는 그룹이나 페이지를 가입할 필요가 없다.
또한, 지역 SNS에 기반하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찾기 쉽다. 즉, 어떤 지역을 관광하기 위해서 방문하는 경우에 지역 SNS 그룹에서 이와 관련된 정보를 찾기가 쉽다.
그리고, 정보를 게시하는 입장에서 여러 곳에 정보를 게시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지역정보 제공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지역 정보가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가 지역 SNS에 기반한 지역 정보를 화면으로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지역 정보를 지도 이미지와 연동해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가 SNS와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 ~ 114),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120) 및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 ~ 114)와 SNS 서버(120) 및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는 유선과 무선을 포함한 네트워크로 연동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 ~ 114)는 지역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단말기로서, 예컨대, 스마트 폰이나 무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SNS 서버(120)는 하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SNS를 제공하고, 제공된 SNS를 통해 지역 정보를 보유하게 된다. 예컨대, SNS 서버(120)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인스타그램(Instagram), 사이월드(cyworld), 블로그(blog)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SNS에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있다. 각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 중 일부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 이름, 대화명(별명), 아이디(ID, Identification number), 전자우편 주소(e-mail address)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관계는 친구/일촌/팔로워(follower)/이웃 등과 같은 명칭으로 방향성을 가지거나 양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 ~ 114)를 통해 SNS 서버(120)에 접속해 특정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지역 정보를 검색해 볼 수 있다.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선택한 지역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SNS를 기반으로 지역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지역 소식(News),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하나의 지역 정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는, 지역 선정부(210), 정보 선택부(220), 지역정보 수집부(230), 지역정보 제공부(240), 제어부(250) 및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DB)(26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기(110 ~ 114) 및 SNS 서버(12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역 선정부(210)는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위치를 획득한다.
또한, 지역 선정부(210)는,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역 목록(list)을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선정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10 ~ 114)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근거해 획득한 지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지역 정보에 근거해 해당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선택부(220)는 선정된 지역의 지역 정보 중 사용자 단말기(110)의 선택에 따라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한다. 즉, 정보 선택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지역에 대한 지역 소식(News) 정보,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지역정보 수집부(230)는 선정된 지역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선택된 정보의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수집한다.
즉, 지역정보 수집부(230)는 해당 지역의 SNS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의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소식(News)이나,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하나를 수집하는 것이다.
여기서, 선정된 지역의 SNS는, 방문자가 지역 SNS에 글을 등록할 때 '#방문자' 형태로 등록받고, 상기 선정된 지역의 거주민이 방문자를 위해 글을 등록할 때 '#방문자 태그' 형태로 등록받을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수집부(23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 변경 및 관리할 수 있는 정보로 구분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수집부(23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거주 지역, 특성(주민, 첫방문자, 여행객)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지역정보 DB(260)에 저장할 수 있다.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지역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한다. 즉,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지역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화면으로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하거나, 음성 등으로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지역에 대한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 또는 서비스 결정 정보를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읽어와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지역 정보가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기본 정보와 지자체 정보, 축제 정보를 고정된 정보로 제공하고, 점수나 추천수에 따라 정렬해서 제공하거나,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의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해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선정된 지역의 SNS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획득하기 원하는 지역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하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260)는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또한,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260)는, 지역 정보를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 변경 및 관리할 수 있는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260)는,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거주 지역, 특성(주민, 첫방문자, 여행객)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정보 DB(260)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저장 장치이거나, 하나 또는 복수의 저장 장치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구분 단위일 수도 있다. 또는 지역정보 DB(260)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저장 장치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구분 단위 중 일부일 수 있다. 지역정보 수집부(230)에서 수집된 지역 정보는 지역정보 DB(260)에 저장될 때, 각 사용자 별로 구분될 수 있도록 개별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는, SNS 기반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을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함으로써, 각 사용자 단말기(110 ~ 114)는 내부에 설치된 SNS 기반 지역정보 제공 앱(App)을 사용자에 의해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SNS 기반 지역정보 제공 앱(App)을 통해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130)에서 지역 선정부(210)는 다수의 지역 중 지역 정보를 획득하기 원하는 지역을 하나 이상 선정한다(S410).
이때, 지역 선정부(210)는,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역 목록(list)을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선정부(210)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근거해 획득한 지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 ~ 114)로부터 전송받고, 전송받은 지역 정보에 근거해 해당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이어, 정보 선택부(220)는 선정된 지역의 지역 정보 중 사용자 단말기(110)의 선택에 따라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한다(S420).
즉, 정보 선택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지역에 대한 지역 소식(News) 정보,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어, 지역정보 수집부(230)는 선정된 지역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정보의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수집한다(S530).
이때, 선정된 지역의 SNS는, 방문자가 지역 SNS에 글을 등록할 때 '#방문자' 형태로 등록받고, 선정된 지역의 거주민이 방문자를 위해 글을 등록할 때는 '#방문자 태그' 형태로 등록받을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수집부(23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 변경 및 관리할 수 있는 정보로 구분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수집부(23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거주 지역, 특성(주민, 첫방문자, 여행객)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지역정보 DB(2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지역 정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으로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하거나, 음성 등으로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한다(S44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는 사용자의 정보 혹은 위치를 기반으로 지역 SNS 커뮤니티를 선택해서 지역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씨가 거주하는 지역은 B 도시인데, 현재 C 도시를 여행 목적으로 방문하는 경우, A씨가 앱을 실행시키면, 앱은 실행 시에 현재 위치인 C 도시의 지역 SNS 소식을 보여줄지 여부를 물어본다. A씨가 C 도시를 선택하면, C 도시의 지역 SNS 소식을 볼 수 있다. 도시를 선택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A의 원래 거주지인 B 도시의 SNS 정보를 보여주다가, 현재 위치를 의미하는 아이콘을 선택해서 C 도시 SNS 정보를 보여주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A씨는 C 도시의 SNS 정보를 이용해서 근처의 맛있는 추천 식당, 관광지, 혹은 축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가 지역 SNS에 기반한 지역 정보를 화면으로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기본 정보(지역 뉴스 등)와 지자체 정보, 축제 정보를 고정된 정보로 제공하거나,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의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해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정보에 대해, 점수나 추천수에 따라 정렬해서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정보에 대해, 접속 수나 댓글 수에 따라 설정된 점수나, 각 사용자들이 추천해 준 추천수에 따라, 점수나 추천수가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대로 정렬해서 제공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A씨는 B 도시에서 거주하기 때문에 B 지역에 관련된 사건, 사고, 지역 정치/경제, 문화, 지역 상점 할인 행사 등의 소식에 관심이 많다. 반면에 이번에 잠깐 방문한 C 지역은 여행 목적으로 방문했기 때문에 C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보다는 C 지역에서 유명한 식당, 볼거리, 축제, 특산물 판매점, 숙소 등에 관심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는 지역 SNS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입장(혹은 역할)에 따라 다른 정보를 제공해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상기 선정된 지역에 대한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 또는 서비스 결정 정보를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읽어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지역 정보에 대해 위도와 경도의 값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눠서, 이것을 URL 혹은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http://위도값_경도값.some.com
http://www.some.com/service.jsp?위도값_경도값
geo://위도값.경도값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이버나 구글 지도에서 지역 정보가 나오는데, 소규모 상점이나 공공장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에 각 상점 혹은 공공장소에 대한 안내 홈페이지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기반 지역 정보를 지도 이미지와 연동해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지역정보 제공서버(130)는, 기존 SNS와 결합해서 지역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존 SNS의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의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북의 그룹(혹은 페이지)을 사용하고, 이와 매칭되는 지역정보 제공부(LB SNS)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공서버가 SNS와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위와 같이 지역정보 제공서버(130)가 SNS 서버(120)와 결합해서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다음 표 1과 같이 위치 정보(위도, 경도)와 SNS 정보(LB SNS, FB)를 매핑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사용할 수 있다.
위도 경도 LB SNS FB
34.4850 126.23 목포 SNS 목포 그룹
한편,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방문 서비스에 대한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 도시에서 C 도시로 물건을 운송하는 경우에, C 도시에서 다시 B 도시로 갈 때는 빈 차량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차량 운전자가 C 도시의 지역 SNS에 B 도시로 운송 서비스를 등록(일자와 시간을 포함해서) 하면, 이러한 운송 정보를 각 사용자 단말기(110 ~ 114)에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정보 제공부(240)는 지역을 방문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강사, 연예인, A/S 기사 등이 해당 지역 SNS에 일시를 등록해서 각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 컨설턴트 A씨는 회사 H의 요청으로 도시 C를 방문할 계획이 있고, H 회사에서는 3시간 정도 컨설팅을 진행할 계획이 있는 경우에, C 도시를 방문한 동안에 다른 회사의 컨설팅도 진행하도록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A씨는 C 도시의 다른 기업 컨설팅을 위해서 방문해야 하는 시간,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컨설팅 받는 기업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A씨의 직업은 강연, 컨설팅, 특정 방문 서비스, 유명인의 사인회, 화물 및 운송 차량(비행기, 배 등) 등 직접 방문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폰을 통해 SNS(Social Network Service) 앱(App.)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역할에 근거한 해당 지역 SNS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소식(News), 교육, 독서, 관광, 식당, 행사(축제), 숙소(숙박) 등에 관한 지역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110 ~ 114 : 사용자 단말기
120 : SNS 서버 130 : 지역정보 제공서버
210 : 지역 선정부 220 : 정보 선택부
230 : 지역정보 수집부 240 : 지역정보 제공부
250 : 제어부 260 : 지역정보 DB

Claims (19)

  1. 지역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하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고, 상기 SNS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를 보유하는 SNS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지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SNS를 기반으로 상기 지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지역 소식(News),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하나의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2.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위치를 획득하는 지역 선정부;
    상기 지역 정보 중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하기 원하는 메뉴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수집하는 지역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음성이나 화면으로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획득하기 원하는 지역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선정부는,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역 목록(list)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역을 선정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근거해 획득한 지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지역 정보에 근거해 해당 지역을 선정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상기 지역정보 DB로부터 상기 선정된 지역에 대한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 또는 선택 지역 정보를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지역 소식(News) 정보,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선택 옵션 또는 해시 태그(#tag)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지역 정보 중 상기 정보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기본 정보와 지자체 정보, 축제 정보를 고정된 정보를 제공하고, 점수나 추천수에 따라 정렬해서 제공하거나,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의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해 제공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지역 정보를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 변경 및 관리할 수 있는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거주 지역, 특성(주민, 첫방문자, 여행객)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
  11.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지역정보 제공서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a) 지역 선정부가 다수의 지역 중 지역 정보를 획득하기 원하는 지역을 하나 이상 선정하는 단계;
    (b) 정보 선택부가 상기 선정된 지역에 대한 다수의 정보 중 획득하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c) 지역정보 수집부가 상기 선정된 지역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d) 지역정보 제공부가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지역 선정부는,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역 목록(list)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역을 선정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지역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근거해 획득한 지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지역 정보에 근거해 해당 지역을 선정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정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지역 소식(News) 정보, 교육 정보, 독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상기 지역정보 DB로부터 상기 선정된 지역에 대한 위도와 경도 값에 매칭된 URL 정보 또는 선택 지역 정보를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기본 정보와 지자체 정보, 축제 정보를 고정된 정보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점수나 추천수에 따라 정렬해서 제공하거나,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의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정렬해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 변경 및 관리할 수 있는 정보로 구분하여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를 사용자의 나이, 직업, 성별, 거주 지역, 특성(주민, 첫방문자, 여행객)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역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지역 정보에 대해, 선택 옵션 또는 해시 태그(#tag)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지역 정보 중 상기 정보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 종류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지역 정보 제공 방법.
KR1020170067196A 2017-05-30 2017-05-30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6A KR102087481B1 (ko) 2017-05-30 2017-05-30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6A KR102087481B1 (ko) 2017-05-30 2017-05-30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37A true KR20180130937A (ko) 2018-12-10
KR102087481B1 KR102087481B1 (ko) 2020-03-10

Family

ID=6467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96A KR102087481B1 (ko) 2017-05-30 2017-05-30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4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44B1 (ko) * 2019-06-03 2020-05-15 강성돈 위치기반 여행도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13969B1 (ko) * 2019-10-28 2020-06-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정보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관광 목적 sns 이미지 데이터 분류의 정확도 향상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00097119A (ko) * 2019-02-07 2020-08-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여행 정보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14638B1 (ko) * 2022-09-07 2023-12-15 (주)휴먼아이티솔루션 포토 리뷰 게시물 내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의 관광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11913660B2 (en) 2019-04-26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1607B1 (ko) * 2023-05-16 2024-02-29 이규형 실시간으로 시간 및 위치 속성을 갖는 위치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71A (ko) * 2014-06-13 2015-12-24 (주)달팽이 위치 기반의 여행용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594436B1 (ko) 2015-04-24 2016-02-17 김선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87494B1 (ko) * 2015-08-24 2016-12-19 제이예스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71A (ko) * 2014-06-13 2015-12-24 (주)달팽이 위치 기반의 여행용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594436B1 (ko) 2015-04-24 2016-02-17 김선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87494B1 (ko) * 2015-08-24 2016-12-19 제이예스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119A (ko) * 2019-02-07 2020-08-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여행 정보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13660B2 (en) 2019-04-26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9144B1 (ko) * 2019-06-03 2020-05-15 강성돈 위치기반 여행도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13969B1 (ko) * 2019-10-28 2020-06-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정보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관광 목적 sns 이미지 데이터 분류의 정확도 향상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141777B1 (ko) * 2019-10-28 2020-08-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sns 이미지 데이터의 관광 목적 분류 및 관광객별 선호도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614638B1 (ko) * 2022-09-07 2023-12-15 (주)휴먼아이티솔루션 포토 리뷰 게시물 내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의 관광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641607B1 (ko) * 2023-05-16 2024-02-29 이규형 실시간으로 시간 및 위치 속성을 갖는 위치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481B1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481B1 (ko)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76746B1 (ja) 地図を利用した情報共有システム
CN107092638B (zh) 基于位置从地图历史提供相关元素信息的方法和计算装置
JP5602864B2 (ja) 位置ベースのサービスミドルウェア
US201003251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eo-location and social group indexing
KR101785196B1 (ko)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관광정보시스템
US20120054035A1 (en) Internet telema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nd social information
US20080234929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in a vehicle, locations of interest
JP5846576B2 (ja) 訪問地近隣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US9158790B2 (en) Server, dictionary creation method, dictionary cre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WO2012077388A1 (ja) 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90047200A (ko)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문화 관광 콘텐츠 제공 플랫폼의 운영방법
CN104077329A (zh) 一种信息推荐方法和系统
US10079888B2 (en) Generation and use of numeric identifiers for locating objects and navigating in spatial maps
JP2018013987A (ja) 情報提供装置
Wörndl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e-Tourism
US202103040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travel itinerary with booking options
US20120289156A1 (en) Multiple uses of an e-book reader
JP4374016B2 (ja) 訪問スポット抽出プログラムおよび関心度評価プログラム
EP3007072A1 (en) Method for displaying site page related to current position in desired condition order in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JP2003196351A (ja) 訪問スポット抽出プログラムおよび関心度評価プログラム
JP690316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959180B2 (ja) 仲介装置サーバ及び更新情報取得システム
JP4978219B2 (ja) 情報伝達システムおよび情報サーバ
JP4167164B2 (ja) 営業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