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494B1 -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494B1
KR101687494B1 KR1020150118697A KR20150118697A KR101687494B1 KR 101687494 B1 KR101687494 B1 KR 101687494B1 KR 1020150118697 A KR1020150118697 A KR 1020150118697A KR 20150118697 A KR20150118697 A KR 20150118697A KR 101687494 B1 KR101687494 B1 KR 10168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ercial
data
analysis
so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관
Original Assignee
제이예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예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예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구비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와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사용자 단말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성향 분석 정보와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점포에 색깔, 범위,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가/건물가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권에 대한 평판을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실시간 이슈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 방문 고객의 이동 경로, 활동범위, 고객별 기호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실제 방문 고객, 온라인 방문 고객, 고객 관심도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방문 고객 수, 중복 방문 고객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방문 고객 성별을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분포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점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arketing Analysis Service Loc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구비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와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사용자 단말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성향 분석 정보와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점포에 색깔, 범위,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가/건물가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권에 대한 평판을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실시간 이슈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 방문 고객의 이동 경로, 활동범위, 고객별 기호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실제 방문 고객, 온라인 방문 고객, 고객 관심도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방문 고객 수, 중복 방문 고객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방문 고객 성별을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분포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점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들은 창업이나 마케팅을 위해서 해당 지역에 방문하여 창업이나 마케팅에 필요한 정보를 구하거나, 도서관이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밖에 없어, 불편하고 번거로움은 물론 시간 및 비용적 노력도 많이 소모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0872070호, 2008년 11월 28일 등록)는 지리 정보를 이용한 상권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권 지역의 도로 정보를 인근의 소득수준 자료와 함께 계산하여 상권 영역을 보다 정량화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정형화 된 지표만 가지고 상권을 분석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현실적으로 실용적인 상권 분석 데이터를 제공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최근 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은 또는 점포들은 SNS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다. 예컨대,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방문한 맛집에 대한 평가를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점포들은 자신의 점포에 방문한 고객들의 댓글이나 방문 후기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SNS 정보들은 여러 분야에 매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권 분석에 적용되는 경우, 종래의 지역 기반 서비스나 개인 성향에 대한 분석 툴이 개별적으로 존재하여 통합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를 얻기 어려웠던 환경을 탈피하여 지역성향 및 개인성향이 통합된 상권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구비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와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사용자 단말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성향 분석 정보와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점포에 색깔, 범위,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가/건물가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권에 대한 평판을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실시간 이슈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 방문 고객의 이동 경로, 활동범위, 고객별 기호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실제 방문 고객, 온라인 방문 고객, 고객 관심도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방문 고객 수, 중복 방문 고객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방문 고객 성별을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분포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점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구비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와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사용자 단말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성향 분석 정보와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점포에 색깔, 범위,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가/건물가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권에 대한 평판을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실시간 이슈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 방문 고객의 이동 경로, 활동범위, 고객별 기호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실제 방문 고객, 온라인 방문 고객, 고객 관심도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방문 고객 수, 중복 방문 고객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방문 고객 성별을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분포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점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점포, 지역에 대한 위치기반 소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는, 지역별 거주 인구 데이터, 유동 인구 데이터, 남녀인구 데이터, 외국인 거주 현황 데이터, 상주 인구 데이터, 지가 데이터, 건물가 데이터, 지역별 점포 데이터, 지역별 이슈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기반 소셜 정보는, SNS 계정 정보, 타임라인 정보, 검색어가 포함된 결과목록 정보, 친구ID 정보, 좋아요 체크 목록 정보, 점포 목록 정보, 점포 상세 정보, 점포 방문 고객 정보, 점포 방문 댓글 정보, ID별 라이프 트렉킹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는,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업종명 검색 및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카테고리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점포명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성향 분석 정보는,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상권 성향 분석 정보는,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소셜 위치기반 정보와 공공 기반 정보를 통합 분석한 지역 마케팅 시뮬레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이점과, 지역별 트렌드와 분포도에 따른 개인 성향 분석이 가능한 이점과, 지역과 사람간 관계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위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소셜 네트워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업종별 상권(또는 점포)의 분포와, 업종별 개인성향, 지역분석, 온라인 연계 성향 분석, SNS 트랜드를 예측하여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창업이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입력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분석을 처리하는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소셜 네트워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특정 지역의 마케팅 분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50)과,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여 공공 기반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공유하는 공공기관 서버(155)와,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여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제공 또는 공유하는 SNS 처리 서버(160)와,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여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제공하는 포탈 서버(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점포, 지역에 대한 위치기반 소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기반 소셜 정보는, SNS 계정 정보, 타임라인 정보, 검색어가 포함된 결과목록 정보, 친구ID 정보, 좋아요 체크 목록 정보, 점포 목록 정보, 점포 상세 정보, 점포 방문 고객 정보, 점포 방문 댓글 정보, ID별 라이프 트렉킹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는, 지역별 거주 인구 데이터, 유동 인구 데이터, 남녀인구 데이터, 외국인 거주 현황 데이터, 상주 인구 데이터, 지가 데이터, 건물가 데이터, 지역별 점포 데이터, 지역별 이슈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0)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105), 공공 기반 데이터 처리부(110), 인터페이스 제공부(115), 정보 수신부(120),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125),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130), 정보 생성부(135), 정보 출력부(140) 및 저장매체(14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105)는 SNS 처리 서버(160), 포탈 서버(165) 및 공공기관 서버(155)로부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도면1에는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105)가 상기 서버(10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105)는 상기 SNS 처리 서버(160), 포탈 서버(165) 및 공공기관 서버(155)의 일부이거나, 상기 SNS 처리 서버(160), 포탈 서버(165) 및 공공기관 서버(155)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공공기관 서버(155)로부터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는 경우에 따라 상기 SNS 처리 서버(160), 포탈 서버(165)를 통해서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본 도면1에는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 처리부(110)가 상기 서버(10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SNS 처리 서버(160), 포탈 서버(165) 및 공공기관 서버(155)의 일부이거나, 상기 SNS 처리 서버(160), 포탈 서버(165) 및 공공기관 서버(155)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50)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업종명 검색 및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카테고리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점포명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125)는 상기 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145)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130)는 상기 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145)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125)를 통해 추출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130)를 통해 추출된 공공 기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성향 분석 정보와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가/건물가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권에 대한 평판을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실시간 이슈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지역 성향 분석 정보는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 방문 고객의 이동 경로, 활동범위, 고객별 기호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실제 방문 고객, 온라인 방문 고객, 고객 관심도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방문 고객 수, 중복 방문 고객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방문 고객 성별을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분포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점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35)는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상권 성향 분석 정보는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 출력부(140)는 상기 정보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에 매핑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출력부(140)는 상기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색깔, 범위,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지도 데이터 상의 점포에 반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출력부(140)는 상기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지도 데이터 상의 점포에 반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14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가 상기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과정에서 처리, 생성, 추출, 수신,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매체(145)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점포, 지역에 대한 위치기반 소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위치기반 소셜 정보는 SNS 계정 정보, 타임라인 정보, 검색어가 포함된 결과목록 정보, 친구ID 정보, 좋아요 체크 목록 정보, 점포 목록 정보, 점포 상세 정보, 점포 방문 고객 정보, 점포 방문 댓글 정보, ID별 라이프 트렉킹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145)는 지역별 거주 인구 데이터, 유동 인구 데이터, 남녀인구 데이터, 외국인 거주 현황 데이터, 상주 인구 데이터, 지가 데이터, 건물가 데이터, 지역별 점포 데이터, 지역별 이슈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매체(145)가 상기 서버(1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상기 저장매체(145)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서버(100)의 외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는 별도의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함을 밝힌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서버(100)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업종별 상권(또는 점포)의 분포와, 업종별 개인성향, 지역분석, 온라인 연계 성향 분석, SNS 트랜드를 예측하여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창업이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과정은, 서버(100)에서 SNS 처리 서버(160), 포탈 서버(165), 공공기관 서버(155)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관리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점포, 지역에 대한 위치기반 소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위치기반 소셜 정보는 SNS 계정 정보, 타임라인 정보, 검색어가 포함된 결과목록 정보, 친구ID 정보, 좋아요 체크 목록 정보, 점포 목록 정보, 점포 상세 정보, 점포 방문 고객 정보, 점포 방문 댓글 정보, ID별 라이프 트렉킹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는 지역별 거주 인구 데이터, 유동 인구 데이터, 남녀인구 데이터, 외국인 거주 현황 데이터, 상주 인구 데이터, 지가 데이터, 건물가 데이터, 지역별 점포 데이터, 지역별 이슈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된 이후,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로그인)이 확인되면(205), 상기 접속한 사용자 단말(150)로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위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10).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업종명 검색 및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카테고리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점포명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마케팅 분석을 원하는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가 입력되면(21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와 공공 기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145)로부터 추출한다(220).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와 공공 기반 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추출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성향 및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권 성향을 분석하고(225),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2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는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역 성향 분석 정보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가/건물가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권에 대한 평판을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실시간 이슈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권 성향 분석 정보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 방문 고객의 이동 경로, 활동범위, 고객별 기호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실제 방문 고객, 온라인 방문 고객, 고객 관심도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방문 고객 수, 중복 방문 고객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방문 고객 성별을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분포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점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에 매핑하여 출력한다(235).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위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서버(100)에 사용자 단말(150)의 접속(로그인)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접속한 사용자 단말(150)로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를 위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도면3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업종명 검색 및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카테고리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점포명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예컨대, 홍대) 및 상권 카테고리(예컨대,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 및 상권 카테고리가 입력된 이후, 마케팅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화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마케팅 시뮬레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이라는 지역 정보가 입력되고, “삼겹살”이라는 상권 카테고리 정보가 입력된 이후, 본 발명에 따라 마케팅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출력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4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 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상권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점포가 지도 상에 매핑되어 출력되며, 출력된 점포에 대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하나 이상의 점포에 대한 고객 방문 수, 고객 중복 방문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최대 방문자 성별의 확인이 가능하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3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 및 상권 카테고리가 입력되고 마케팅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화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마케팅 시뮬레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정된 지역에 대한 지역 성향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업종 키워드별 온라인 트렌드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상권 카테고리를 통해 검색된 점포에 대한 상세 분석(예컨대, 온라인 관심 방문자 정보, 온라인 음식점 관심도 표출, 최다 방문자 성향 정보 등)이 가능하다.
또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점포의 최다 방문자의 인적 네트워크의 확인도 가능하다.
또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업종 키워드별 온라인 실시간 이슈에 대한 확인이나, 일자별 온라인 관심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00 : 서버 105 :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
110 : 공공 기반 데이터 처리부 115 : 인터페이스 제공부
120 : 정보 수신부 125 :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
130 :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 135 : 정보 생성부
140 : 정보 출력부 145 : 저장매체
150 : 사용자 단말 155 : 공공기관 서버
160 : SNS 처리 서버 165 : 포털 서버

Claims (8)

  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구비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처리부;
    공공 기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
    사용자 단말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추출부;
    상기 수신된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성향 분석 정보와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및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점포에 색깔, 범위,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구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가/건물가 분포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반 데이터 및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권에 대한 평판을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실시간 이슈를 분석한 지역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역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 방문 고객의 이동 경로, 활동범위, 고객별 기호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실제 방문 고객, 온라인 방문 고객, 고객 관심도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방문 고객 수, 중복 방문 고객 수, 온라인 방문기 작성 수, 방문 고객 성별을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내 점포에 대한 분포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점 카테고리 검색 결과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 및 공공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권 카테고리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한 상권 성향 분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권 성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위치기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점포, 지역에 대한 위치기반 소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 기반 데이터는, 지역별 거주 인구 데이터, 유동 인구 데이터, 남녀인구 데이터, 외국인 거주 현황 데이터, 상주 인구 데이터, 지가 데이터, 건물가 데이터, 지역별 점포 데이터, 지역별 이슈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소셜 정보는,
    SNS 계정 정보, 타임라인 정보, 검색어가 포함된 결과목록 정보, 친구ID 정보, 좋아요 체크 목록 정보, 점포 목록 정보, 점포 상세 정보, 점포 방문 고객 정보, 점포 방문 댓글 정보, ID별 라이프 트렉킹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마케팅 분석 대상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업종명 검색 및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상권 카테고리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점포명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성향 분석 정보는,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권 성향 분석 정보는,
    열선, 분포도, 그래프, 문자/숫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18697A 2015-08-24 2015-08-24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87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97A KR101687494B1 (ko) 2015-08-24 2015-08-24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97A KR101687494B1 (ko) 2015-08-24 2015-08-24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494B1 true KR101687494B1 (ko) 2016-12-19

Family

ID=5773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697A KR101687494B1 (ko) 2015-08-24 2015-08-24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4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937A (ko) * 2017-05-30 2018-12-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1670A (ko) 2018-11-26 2020-06-03 문종건 콜마케팅 방법
KR20200115694A (ko) * 2019-03-06 2020-10-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08062B1 (ko) * 2021-01-13 2021-10-05 (주)창업인 창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85226A (ko)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5227A (ko)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전자설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1838A (ko)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미플랫 창업 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434A (ko)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상에 게재된 웹 문서 기반 상권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3655A (ko) * 2013-04-12 2014-10-23 주식회사 신한은행 상권 관리 시스템 및 상권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434A (ko)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상에 게재된 웹 문서 기반 상권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3655A (ko) * 2013-04-12 2014-10-23 주식회사 신한은행 상권 관리 시스템 및 상권 관리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937A (ko) * 2017-05-30 2018-12-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7481B1 (ko) * 2017-05-30 2020-03-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와 사용자 역할에 따라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1670A (ko) 2018-11-26 2020-06-03 문종건 콜마케팅 방법
KR20200115694A (ko) * 2019-03-06 2020-10-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95636B1 (ko) 2019-03-06 2021-08-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5226A (ko)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5227A (ko)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전자설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08062B1 (ko) * 2021-01-13 2021-10-05 (주)창업인 창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81838A (ko)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미플랫 창업 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94B1 (ko)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 통합 마케팅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Hamid et al. How smart is e-tourism? A systematic review of smart tourism recommendation system applying data management
US10726050B2 (en) Assigning social networking system users to households
US104553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geo-blocks and geo-fences to discover lookalike mobile devices
Önder et al. Tracing tourists by their digital footprints: The case of Austria
US89097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global location information, 2D and 3D mapping, social media, and user behavior and information for a consumer feedback social media analytics platform for providing analytic measurements data of online consumer feedback for global brand products or services of past, present or future customers, users, and/or target markets
CN106991576B (zh) 一种地理区域的热力展现方法和装置
US98771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user location history
US20170195854A1 (en) Predicting Human Movement Behaviors Using Location Services Model
WO2017011345A1 (en) Mobile attribute time-series profiling analytics
JP2016081509A (ja) 施設特性を更新する方法、施設をプロファイリング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6910090A (zh) 上下文信息使用系统、装置和方法
KR20130090612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키워드 분석을 통한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gryzkov et al. Analysing successful public spaces in an urban street network using data from the social networks Foursquare and Twitter
Zhou et al. Development of the system to support tourists excursion behavior using augmented reality
CN112241489A (zh) 信息推送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ebeillac et al. Contribution of geotagged twitter data in the study of a social group’s activity space. the case of the upper middle class in delhi, india
KR102018382B1 (ko) 맛집정보 제공시스템
KR20150083673A (ko) 여행 플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797504A (zh) 用于计划和预订旅程的方法和系统
CN116823535A (zh) 一种基于多模态大模型的行程规划及智能导览系统
Vavpotič et al. Using a market basket analysis in tourism studies
Yamamoto Navigation system for foreign tourists in Japan
US11575641B2 (en) Estimating device, estimating method, and estimating program
CN104123281A (zh) 使用位置信息提供建议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