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2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024A
KR20200021024A KR1020180096037A KR20180096037A KR20200021024A KR 20200021024 A KR20200021024 A KR 20200021024A KR 1020180096037 A KR1020180096037 A KR 1020180096037A KR 20180096037 A KR20180096037 A KR 20180096037A KR 20200021024 A KR20200021024 A KR 2020002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disposed
waterproof member
display panel
b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832B1 (ko
Inventor
홍원기
이태희
박성국
박소희
서문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832B1/ko
Priority to JP2019057372A priority patent/JP7298975B2/ja
Priority to US16/413,493 priority patent/US10866674B2/en
Priority to CN201910706291.9A priority patent/CN110837310A/zh
Priority to EP19189857.6A priority patent/EP3611603B1/en
Publication of KR2020002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24A/ko
Priority to US17/114,242 priority patent/US118363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를 구비하고, 제1 방수 부재의 높이는 제1 압력 센서의 높이보다 높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방식의 편리함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키 패드(key pad) 등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터치 패널에서 더 나아가 압력 센서를 표시 장치에 장착하여 다양한 입력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력 센서를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하는 경우 방수 및 방진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높이보다 높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범프의 높이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높이보다 높다.
상기 제1 방수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높이와 상기 제1 범프의 높이의 합보다 높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범프의 면적은 상기 압력 감지 셀의 면적보다 작다.
상기 압력 감지 셀은,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 전극과 감지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프의 평면 크기는 상기 압력 감지층의 평면 크기보다 작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된다.
상기 제1 방수 부재의 높이는 상기 수용 홈의 높이보다 높다.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은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와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과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는 제1 점착막,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점착막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케이블 홀,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으로 구부러져 배치되는 표시 회로 보드, 및 상기 표시 회로 보드의 커넥터에 접속되며, 상기 케이블 홀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일 측에서 상기 케이블 홀을 노출시키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일 측에서 상기 케이블 홀을 노출시키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오목부의 폭은 상기 제1 오목부의 폭보다 넓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 회로 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메인 회로 보드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커넥터에 접속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사이,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A 방수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B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 상에 배치된 제1A 방수 부재,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일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된 제1B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나머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C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 상에 배치된 제1A 방수 부재,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일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된 제1B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나머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C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A 범프,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B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A 범프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되는 제1A 방수 부재, 상기 제1B 범프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되는 제1B 방수 부재, 제1B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나머지와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C 방수 부재, 및 제1A 범프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나머지와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D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방수 부재가 압력 센서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방수 부재에 의해 표시 패널과 프레임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의 케이블 홀을 덮지 않도록 압력 센서에는 노치(notch)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표시 회로 보드에 연결된 연결 케이블이 케이블 홀을 통해 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되어, 메인 회로 보드의 메인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회로 보드와 메인 회로 보드는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압력 센서가 표시 장치의 곡면부에 배치됨으로써, 음향 조절 버튼, 전원 버튼, 통화 버튼, 카메라 버튼, 인터넷 버튼, 및 스퀴징 감지 버튼 등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압력 센서를 포함한 입력 감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를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햅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방수 부재와 압력 센서를 일체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압력 센서의 높이와 범프의 높이를 고려하여 방수 부재의 높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메인 회로 보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1 범프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센서와 제2 범프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압력 감지층의 압력에 대한 전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압력 센서들을 물리 버튼으로 활용하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3과 도 4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과 도 4의 Ⅰ-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3과 도 4의 Ⅰ-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또 다른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또 다른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다른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5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다른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30은 도 16과 도 29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다른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16과 도 29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35는 도 16과 도 34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다른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16과 도 34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다른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터치 회로 보드(210), 터치 구동부(220), 표시 패널(300), 표시 회로 보드(310),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압력 센서(510), 제2 압력 센서(520),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 프레임(600), 메인 회로 보드(700), 및 하부 커버(9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윈도우(100)가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프레임(600)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표시 패널(30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우”는 X축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표시 장치(10)는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탄하게 형성된 제1 영역(DR1)과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로부터 연장된 제2 영역(D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DR2)은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DR2)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제2 영역(DR2)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정한 곡률을 갖거나 변화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2 영역(DR2)이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 각각에서 연장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 중 어느 한 측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뿐만 아니라 상하 측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도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영역(DR2)이 표시 장치(10)의 좌우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도 11과 같이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터치 감지 장치(2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910)는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ed adhesive film, 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ed resin, OCR)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에 대응하는 투과부(DA100)와 표시 패널(300)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차광부(NDA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DA100)는 제1 영역(DR1)의 일부와 제2 영역(DR2)들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NDA100)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차광부(NDA100)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데코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부(NDA100)에는 “SAMSUNG”과 같이 회사의 로고 또는 다양한 문자가 패턴될 수 있다. 또한, 차광부(NDA100)에는 전면 카메라, 전면 스피커, 적외선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등을 노출하기 위한 홀들(HH)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전면 스피커, 적외선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 패널(3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홀들(HH)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삭제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커버 윈도우(1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들에서도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 상에 외부 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 필름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 필름이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기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같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가 자기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만 포함하는 반면에,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감지 장치가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패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는 도 11과 같이 제2 접착 부재(92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920)는 투명 접착 필름(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다.
또는, 터치 감지 장치(200)는 표시 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은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는 터치 회로 보드(2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회로 보드(210)의 타 측에는 터치 접속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 접속부는 도 3과 같이 표시 회로 보드(310)의 터치 커넥터(312a)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터치 구동부(220)는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구동 전극들에 터치 구동 신호들을 인가하고,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감지 전극들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22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터치 회로 보드(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터치 감지 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커버 윈도우(100)의 투과부(100DA)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들에서도 표시 패널(300)의 영상이 보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발광 소자층, 및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유연하게 구현되므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은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연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유연한 기판 대비 유연성이 적을 수 있다.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기판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스캔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가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는 발광 소자층이 배치된다. 발광 소자층은 애노드 전극들, 발광층, 캐소드 전극, 및 뱅크들을 포함한다. 발광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주입층은 생략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발광 소자층은 화소들이 형성되는 화소 어레이층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 소자층이 형성된 영역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영역의 주변 영역은 비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 상에는 박막 봉지층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은 발광 소자층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는 표시 회로 보드(3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회로 보드(310)의 일 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는 표시 패널(300)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210) 역시 표시 패널(300)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측 끝단에 배치된 터치 접속부는 표시 회로 보드(310)의 터치 커넥터(312a)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회로 보드(31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한다. 표시 구동부(320)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패널(300)의 기판 상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는 도 11과 같이 패널 하부 부재(390)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는 제3 접착 부재(93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930)는 투명 접착 필름(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부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 표시 패널(3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 및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 즉 제1 압력 센서(510), 제2 압력 센서(520), 표시 회로 보드(310) 등이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광 흡수 부재는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 부재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쿠션층일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제1 방열층과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제2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20)는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좌측과 우측은 서로 마주보는 측들이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를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가 하나의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서로 다른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들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는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를 구동하여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3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감지부(330)는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표시 구동부(320)에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는 표시 회로 보드(310)가 아닌 터치 회로 보드(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감지부(330)는 터치 회로 보드(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터치 구동부(220)에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부에는 프레임(60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600)은 합성 수지, 금속, 또는 합성 수지와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프레임(60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과 제2 압력 센서(5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상면과 프레임(6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부재(40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과 제2 압력 센서(52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600)에는 카메라 장치(720)가 삽입되는 제1 카메라 홀(CMH1), 배터리의 발열을 위한 배터리 홀(BH), 및 표시 회로 보드(310)에 접속된 제2 연결 케이블(314)이 통과하는 케이블 홀(CAH)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홀(CAH)은 프레임(600)의 우측 가장자리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 센서(510)는 도 2와 같이 케이블 홀(CAH)을 가리지 않고 노출하기 위해 일 측에서 노치(notch)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오목부(NTH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600)은 표시 패널(300)의 패널 하부 부재(390),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하부에 배치된다. 프레임(600)은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인가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레임(600)의 하부에는 메인 회로 보드(70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메인 프로세서(710), 카메라 장치(720), 및 메인 커넥터(7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과 메인 커넥터(730)는 하부 커버(900)와 마주보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720)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패널(300)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표시 회로 보드(310)의 표시 구동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터치 구동부(220)로부터 터치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판단한 후,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터치 구동부(220) 또는 압력 감지부(330)로부터 압력 감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압력 감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압력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압력 감지 데이터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901)를 진동하여 햅틱(haptic)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집적회로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시스템 칩(system chip)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720)는 카메라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메인 프로세서(710)로 출력한다.
프레임(600)의 커넥터 홀(CAH)을 통과한 제2 연결 케이블(314)은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간극을 통해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 회로 보드(700)는 표시 회로 보드(310)와 터치 회로 보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외, 메인 회로 보드(700)에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모듈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회로 보드(7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더 장착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프레임(60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표시 장치(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0)에는 카메라 장치(720)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카메라 홀(CMH2)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720)의 위치와 카메라 장치(720)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홀들(CMH1, CMH2)의 위치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 커버(900)의 상면에는 진동 발생 장치(9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901)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진동 발생 장치(901)는 메인 프로세서(710)의 진동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901)는 편심 모터(eccentric rotating mass, ERM),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 및 피에조 액츄에이터(piezo actuat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메인 회로 보드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표시 회로 보드(310)와 제3 회로 보드(550)의 연결과 제2 연결 케이블(314)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의 연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4는 평면도인 반면에 도 3과 도 5는 저면도이므로, 도 3과 도 5에서는 도 4에서의 표시 장치(10)의 좌우가 반대로 도시되어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표시 회로 보드(310)를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5에서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회로 보드(310)는 제1 회로 보드(311), 제2 회로 보드(312), 및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 측에 부착되며,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고정 부재들에 의해 도 4와 같이 프레임(600)에 형성된 고정 홀(FH)들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커넥터(311a), 및 제2 커넥터(311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커넥터(311a), 및 제2 커넥터(311b)는 제1 회로 보드(3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는 제2 회로 보드(312)에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313)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보드(311)에 장착된 표시 구동부(320)와 압력 감지부(330)는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311b)는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에 연결된 제3 회로 보드(550)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압력 감지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312)는 터치 커넥터(312a), 제1 연결 커넥터(312b), 및 제2 연결 커넥터(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312b)와 제2 연결 커넥터(312c)는 제2 회로 보드(312)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커넥터(312a)는 제2 회로 보드(312)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커넥터(312a)는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단에 마련된 터치 접속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구동부(220)는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312b)는 제1 회로 보드(311)에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313)의 타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보드(311)에 장착된 표시 구동부(320)와 압력 감지부(330)는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커넥터(312c)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회로 보드(312)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314)의 타 단에는 커넥터 접속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커넥터 접속부(315)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통과하여 프레임(60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내측에는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제1 오목부(NTH1)가 형성되므로,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은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 사이의 간극이 있으므로, 케이블 홀(CAH)을 통과한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커넥터 접속부(315)는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 사이의 간극으로 빠져나와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커넥터 접속부(315)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덮지 않도록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에는 노치(notch) 형태의 제1 오목부(NTH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된 제2 연결 케이블(314)이 케이블 홀(CAH)을 통해 프레임(600)의 하부로 연장되어,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회로 보드(310)와 메인 회로 보드(700)는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1 범프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1 압력 센서(510)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복수의 압력 감지셀들(CE1~CE8)을 포함한다. 도 6에서는 제1 압력 센서(510)가 8 개의 압력 감지셀들(CE1~CE8)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압력 감지 셀들(CE1~CE8)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은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압력 감지 셀들(CE1~CE8)이 1열로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 셀들(CE1~CE8)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은 도 6과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셀들(CE1~CE8)은 용도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은 표시 장치(1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볼륨 제어 버튼(VB+, VB-) 또는 전원 버튼(PB)과 같이 물리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10b과 같이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사용자의 스퀴징(squeezing)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버튼(SQB)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제1 압력 센서(5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물리 버튼으로 사용되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이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 중 일부 압력 감지 셀들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압력 감지 셀들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나, 일부 압력 감지 셀들 각각의 면적과 나머지 압력 감지 셀들 각각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에 중첩되도록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은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에 의해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에 비해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의 압력 감지층(PSL)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범프(530)의 면적은 압력 감지 셀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8 압력 감지 셀(CE8)의 면적이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 각각의 면적에 비해 넓은 경우, 제8 압력 감지 셀(CE8)에 중첩되는 제1 범프(530)의 면적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에 중첩되는 제1 범프(530)들 각각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압력 센서(510)에서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제1 오목부(NTH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20) 및 제2 범프(540)들은 제2 압력 센서(520)가 제1 오목부(NTH1)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서 도 6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1 범프(530)와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7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20)와 제2 범프(5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Ⅲ-Ⅲ’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0)는 제1 기판(SUB1), 제2 기판(SUB2), 구동 라인(TL), 제1 내지 제8 감지 라인들(RL1~RL8, p는 2 이상의 정수), 구동 패드(TP), 제1 내지 제8 감지 패드들(RP1~RP8), 및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을 포함한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4 압력 감지 셀(CE4), 제5 압력 감지 셀(CE5), 및 패드 영역(PAD)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기판(SUB2)을 생략하였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각각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이미드(poly 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8)이 배치된다. 제2 기판(SUB2)과 마주보는 제1 기판(SUB1)의 일면 상에는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8), 구동 패드(TP), 감지 패드들(RP1~RP8)이 배치된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8)이 배치된다.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감지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 셀들(CE1~CE8)은 하나의 구동 라인(TL)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데 비해, 감지 라인들(RL1~RL8)에는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4 압력 감지 셀(CE4)은 구동 라인(TL)과 제4 감지 라인(RL4)에 접속되고, 제5 압력 감지 셀(CE5)은 구동 라인(TL)과 제5 감지 라인(RL5)에 접속될 수 있다.
구동 라인(TL)은 구동 패드(TP)에 접속되고, 감지 라인들(RL1~RL8)은 감지 패드들(RP1~RP8)에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감지 라인(RL1)은 제1 감지 패드(RP1)에 접속되고, 제2 감지 라인(RL2)은 제2 감지 패드(RP2)에 접속되며, 제3 감지 라인(RL3)은 제3 감지 패드(RP3)에 접속되고, 제4 감지 라인(RL4)은 제4 감지 패드(RP4)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감지 라인(RL5)은 제5 감지 패드(RP5)에 접속되고, 제6 감지 라인(RL6)은 제6 감지 패드(RP6)에 접속되며, 제7 감지 라인(RL7)은 제7 감지 패드(RP7)에 접속되고, 제8 감지 라인(RL8)은 제8 감지 패드(RP8)에 접속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은 제1 기판(SUB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의 일 측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장변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패드 영역(PAD)이 제1 기판(SUB1)의 장변의 중앙에서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기판(SUB1)의 장변의 일 단 또는 타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에는 구동 패드(TP)와 감지 패드들(RP1~RP8)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패드(TP)와 감지 패드들(RP1~RP8)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제3 회로 보드(550)의 구동 리드 라인(TL_F)과 감지 리드 라인들(RL1_F~RL8_F)에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패드(TP)는 구동 리드 라인(TL_F)에 접속되고, 제1 감지 패드(RP1)는 제1 감지 리드 라인(RL1_F)에 접속되며, 제2 감지 패드(RP2)는 제2 감지 리드 라인(RL2_F)에 접속되고, 제3 감지 패드(RP3)는 제3 감지 리드 라인(RL3_F)에 접속되며, 제4 감지 패드(RP4)는 제4 감지 리드 라인(RL4_F)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5 감지 패드(RP5)는 제5 감지 리드 라인(RL5_F)에 접속되며, 제6 감지 패드(RP6)는 제6 감지 리드 라인(RL6_F)에 접속되고, 제7 감지 패드(RP7)는 제7 감지 리드 라인(RL7_F)에 접속되며, 제8 감지 패드(RP8)는 제8 감지 리드 라인(RL8_F)에 접속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3 회로 보드(550)는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되므로, 표시 회로 보드(310)에 장착된 압력 감지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제3 회로 보드(550)의 구동 리드 라인(TL_F)과 제1 압력 센서(510)의 구동 패드(TP)를 통해 구동 라인(TL)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제1 압력 센서(510)의 감지 패드들(RP1~RPp)에 접속된 감지 리드 라인들(RL1_F~RL8_F)을 통해 감지 라인들(RL1~RL8)로부터 전류 값들 또는 전압 값들을 감지함으로써, 압력 감지 셀들(CE1~CE8)들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층(AH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층(AHL)은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층(AHL)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층(AHL)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가장자리를 완전히 둘러싸 제1 압력 센서(510)의 내부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층(AHL)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결합층(AHL)이 패드 영역(PAD)에 형성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p), 압력 감지 셀들(CE1~CEp), 구동 패드(TP), 및 감지 패드들(RP1~RPp)과 중첩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합층(AHL)은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p), 압력 감지 셀들(CE1~CEp), 구동 패드(TP), 및 감지 패드들(RP1~RPp)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층(AHL)은 제1 기판(SUB1)의 일면 또는 제2 기판(SUB2)의 일면에 먼저 부착된 후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합착 과정에서 다른 기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판(SUB1)의 일면과 제2 기판(SUB2)의 일면에 각각 결합층(AHL)이 마련되고,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합착 과정에서 제1 기판(SUB1)의 결합층과 제2 기판(SUB2)의 결합층(AHL)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압력 감지 셀들(CE1~CE8) 각각은 도 9a와 같이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구동 전극(TE1)들, 감지 전극(RE1)들, 및 압력 감지층(PSL)을 포함한다.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구동 전극(TE1)들, 및 감지 전극(RE1)들은 제2 기판(SUB2)과 마주보는 제1 기판(SUB1) 상에 배치된다.
구동 연결 전극(TCE)은 구동 라인(TL)과 구동 전극(TE1)들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 끝단에서 구동 라인(TL)에 연결된다. 구동 전극(T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감지 연결 전극(RCE)은 감지 라인들(RL1~RL8) 중 어느 하나와 감지 전극(RE1)들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감지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 끝단에서 감지 라인들(RL1~RL8)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감지 전극(RE1)들은 감지 연결 전극(R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은(Ag), 구리(Cu)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제1 기판(SUB1) 상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인접하여 배치되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있다. 즉,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 전극(TE1), 감지 전극(RE1), 구동 전극(TE1), 감지 전극(RE1)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층(PSL)은 제1 기판(SUB1)과 마주보는 제2 기판(SUB2)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압력 감지층(PSL)은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층(PSL)은 압력 민감 물질 및 압력 민감 물질이 배치되는 고분자 수지(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주석, 구리 등의 금속 미세 입자들(또는 금속 나노 입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층(PSL)은 QTC(Quantum Tunneling Composite)일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도 9a와 같이 압력 감지층(PSL)과 구동 전극(TE1)들 사이와 압력 감지층(PSL)과 감지 전극(RE1)들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즉,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압력 감지층(PSL)은 구동 전극(TE1)들 및 감지 전극(RE1)들과 이격되어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는 경우, 압력 감지층(PSL)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전극(TE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감지 전극(RE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력 감지층(PSL)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력 감지층(PSL)은 전기적인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 및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압력 센서(510)의 압력 감지 셀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압력 감지층(PSL)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감지 전극(RE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라인의 저항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의 압력 감지 셀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질수록 감지 라인의 저항 값은 낮아질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감지 라인들(RL1~RL8)로부터 전류 값 또는 전압 값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압력 센서(520)는 도 8 및 도 9a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5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 압력 센서(5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압력 센서들을 물리 버튼으로 활용하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이 나타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4 압력 감지 셀들(CE1, CE2, CE3, CE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3 진동 발생 장치(830)는 제5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5, CE6, CE7, CE8)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배치된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4 압력 감지 셀들(CE1, CE2, CE3, CE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4 진동 발생 장치(840)는 제5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5, CE6, CE7, CE8)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a에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에 해당하는 좌측 곡면부의 제5 압력 감지 셀(CE5)을 누르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b에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에 해당하는 좌측 곡면부의 제8 압력 감지 셀(CE8)을 스퀴징(squeezing)하고, 손바닥으로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에 해당하는 우측 곡면부의 제8 압력 감지 셀(CE8)을 스퀴징(squeezing)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표시 장치(10)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과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중에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음향을 높이기 위해 누르는 음향 상향 버튼(VB+)으로 활용되고,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음향을 낮추기 위해 누르는 음향 하향 버튼(VB-)으로 활용되며, 제5 압력 감지 셀(CE5), 제6 압력 감지 셀(CE6),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은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해 누르는 전원 버튼(PWB)으로 활용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스피커의 음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스피커의 음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5 압력 감지 셀(CE5), 제6 압력 감지 셀(CE6),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화면을 끄거나, 표시 장치(10)의 전원 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중에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은 사용자가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통화 버튼(CB)으로 활용되고,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은 사용자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카메라 버튼(CMB)으로 활용되며, 제5 압력 감지 셀(CE5), 제6 압력 감지 셀(CE6),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은 사용자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인터넷 버튼(I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감지 셀(CE1)과 제2 압력 감지 셀(CE2)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3 압력 감지 셀(CE3)과 제4 압력 감지 셀(CE4)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5 압력 감지 셀(CE5), 제6 압력 감지 셀(CE6),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과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에 압력 인가에 따라, 상기 기능들을 포함하거나 제외한 다양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과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마다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와 우측 곡면부 각각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은 스퀴징 감지 버튼(S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에 가해지는 스퀴징 압력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CE7)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해 더 큰 압력일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좌측 곡면부와 우측 곡면부 각각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로부터 스퀴징 압력이 감지되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710)는 좌측 곡면부와 우측 곡면부 각각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로부터 스퀴징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를 슬립 모드에서 온(on)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가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됨으로써, 음향 조절 버튼, 전원 버튼, 통화 버튼, 카메라 버튼, 인터넷 버튼, 및 스퀴징 감지 버튼 등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가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 센서(510)에 압력이 인가된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의 진동과 제2 압력 센서(520)에 압력이 인가된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의 진동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과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 중 어느 위치에 압력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901)의 진동은 상이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901)의 진동은 진동 발생 장치(901)의 진동 주파수, 진동 변위, 및/또는 진동 기간을 조정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과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CE8)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가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촉감, 즉 햅틱(haptic)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감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를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햅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입력 감지 장치로서, 압력 센서들(510, 520)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력 감지 장치로서 터치 감지 장치(200), 지문 인식 센서 또는 카메라 장치(720)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인식되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를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햅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인식이 있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를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햅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홍채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홍채 인식이 있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901)를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햅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과 도 4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압력 센서, 제1 범프, 및 제1 방수 부재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프레임(600)은 제1 영역(DR1)에서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2 영역(DR2)에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되며,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6 접착 부재(960)를 통해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는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 제5 접착 부재(950), 및 제6 접착 부재(96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와 제5 접착 부재(95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은 다른 측면들보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가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수 부재(400)는 도 12와 같이 베이스 필름(411)과 베이스 필름(411)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점착막(412), 및 베이스 필름(411)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점착막(4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41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와 쿠션층,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 점착막(412)과 제2 점착막(413)은 압력 민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제1 점착막(412)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점착되고, 제2 점착막(413)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점착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를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에 가압하여 부착한다. 도 12와 같이 방수 부재(400)의 높이(h1)가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와 제1 범프(530)의 높이(h3)의 합보다 낮은 경우, 방수 부재(400)를 부착하기 위한 힘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부재(400)의 높이(h1)는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와 제1 범프(530)의 높이(h3)의 합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방수 부재(400)의 높이(h1)는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와 제1 범프(530)의 높이(h3)의 합보다 매우 높은 경우,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수 부재(400)의 높이(h1)는 방수 부재(400)를 부착하기 위한 힘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가 손상되는 것과 방수 부재(400) 부착 후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한 압력 감지 여부를 고려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미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범프(530)가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제1 압력 센서(510)의 압력 감지 셀들(CE1~CE8)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제1 범프(530)의 높이(h3)가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 부재(400)의 폭(w)은 수분과 분진의 침투를 막기 위해 적어도 1㎜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부재(40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을 부착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압력 센서(520)가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방수 부재(400)가 제2 압력 센서(520)의 좌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에서 방수 부재(400)와 제1 압력 센서(510)의 배치 위치와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방수 부재(400)와 제2 압력 센서(520)의 배치 위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도 3과 도 4의 Ⅰ-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범프(530)들 각각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에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3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0)는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되며,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되고, 제6 접착 부재(960)를 통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는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 제5 접착 부재(950), 및 제6 접착 부재(96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와 제5 접착 부재(95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범프(530)들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1 압력 센서(51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범프(530)들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14는 도 3과 도 4의 Ⅰ-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방수 부재(400)와 제1 압력 센서(510)가 프레임(600)의 상면에 형성된 수용 홈(GR)에 배치된 것에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4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레임(600)의 상면에는 방수 부재(400)와 제1 압력 센서(5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GR)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GR)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GR)은 프레임(600)의 제2 영역(DR2)들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GR)은 프레임(600)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GR)은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방수 부재(400)와 제1 압력 센서(510)가 수용 홈(GR) 내에 배치되기 위해서, 수용 홈(GR)의 단변은 제1 압력 센서(510)의 단변보다 길고, 수용 홈(GR)의 장변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장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수용 홈(GR)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되며,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6 접착 부재(960)를 통해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는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수용 홈(GR)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 제5 접착 부재(950), 및 제6 접착 부재(96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와 제5 접착 부재(95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제1 범프(530)들이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범프(530)들은 도 13과 유사하게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수용 홈(GR) 내에서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 부재(400)는 수용 홈(GR) 내에서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은 다른 측면들보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가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방수 부재(400)는 수용 홈(GR) 내에서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수용 홈(GR)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수 부재(400)의 높이는 수용 홈(GR)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부재(400)와 제1 압력 센서(510)가 프레임(6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홈(GR) 내에 배치되며, 방수 부재(400)가 수용 홈(GR) 내에서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에 배치되고,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수용 홈(GR)의 바닥면을 부착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방수 부재(400)와 제2 압력 센서(520)가 배치되는 수용 홈(GR)은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에서 방수 부재(400)와 제1 압력 센서(510)가 배치되는 수용 홈(GR)과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방수 부재(400)와 제2 압력 센서(520)가 배치되는 수용 홈(GR)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방수 부재(400) 대신에 제1 방수 부재(41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2 방수 부재(420)가 제2 압력 센서(520)의 하면에 부착되며, 제3 방수 부재(430)와 제4 방수 부재(440)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 하부, 및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510)가 도 15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의 상부, 하부,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 프레임(600)의 상면, 및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제2 오목부(NTH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목부(NTH2)는 제1 방수 부재(41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수 부재(410)의 제2 오목부(NTH2)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오목부(NTH1)를 덮지 않아야 하므로, 공정 오차를 고려할 때, 제1 방수 부재(410)의 제2 오목부(NTH2)의 폭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오목부(NTH1)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방수 부재(420)는 제2 압력 센서(520)의 상부, 하부, 및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력 센서(520)가 도 15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2 방수 부재(420)는 제1 압력 센서의 상부, 하부, 및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 프레임(600)의 상면,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좌측면은 제2 방수 부재(4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방수 부재(430)는 프레임(6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4 방수 부재(440)는 프레임(6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600)의 상측과 하측은 서로 마주보는 측들이다. 제3 방수 부재(430)와 제4 방수 부재(440) 각각은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 제2 방수 부재(420), 제3 방수 부재(430), 및 제4 방수 부재(440)에 의해 패널 하부 부재(390)와 프레임(600)은 부착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와 제3 방수 부재(430) 사이, 제1 방수 부재(410)와 제4 방수 부재(440) 사이, 제2 방수 부재(420)와 제3 방수 부재(430) 사이, 및 제2 방수 부재(420)와 제4 방수 부재(440) 사이에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레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프레임(600)은 제1 영역(DR1)에서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2 영역(DR2)에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 하부, 및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범프(530)의 상면, 및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일 측면을 둘러싸도록 ‘ㄷ’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은 다른 측면들보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제1 압력 센서(510)가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범프(530)들과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 부재(410)는 도 18과 같이 베이스 필름(411)과 베이스 필름(411)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점착막(412), 및 베이스 필름(411)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점착막(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막(412)은 제1 범프(530)의 상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일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점착막(413)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41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 점착막(412)과 제2 점착막(413)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또는, 제1 방수 부재(410)는 도 19와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일 측면을 둘러싸도록 ‘ㄴ’자 형태로 배치되고,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 범프(530)의 상부와 제1A 방수 부재(410a)의 상부에 ‘ㅡ’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방수 부재(410a)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일 측면을 둘러싸도록 ‘ㄱ’자 형태로 배치되고,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와 제1A 방수 부재(410a)의 하부에 ‘ㅡ’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베이스 필름(411a),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점착막(412a), 및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A 점착막(4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일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A 점착막(413a)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베이스 필름(411b),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점착막(412b), 및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B 점착막(4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B 점착막(412b)은 제1 범프(530)의 상면과 제1A 방수 부재(410a)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B 점착막(413b)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A 베이스 필름(411a)과 제1B 베이스 필름(411b)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 제2A 점착막(413a), 제1B 점착막(412b), 및 제2B 점착막(413b)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도 19에서 제1B 점착막(412b)은 제1A 방수 부재(410a)의 제1A 점착막(412a)의 측면과 제2A 점착막(413a)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점착막(412b) 사이의 점착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점착막(412b) 사이의 접착력이 낮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20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방수 부재(410a)의 상면에서 제1A 점착막(412a)과 제2A 점착막(413a)을 연결하는 제3A 점착막(414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과 같이 제1B 점착막(412b)은 제1A 방수 부재(410a)의 제3A 점착막(414a)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점착 면적을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늘릴 수 있으므로,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제1A 베이스 필름(411a)과 제1B 베이스 필름(411b)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 제2A 점착막(413a), 제3A 점착막(414a), 제1B 점착막(412b), 및 제2B 점착막(413b)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 하부, 및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을 부착하므로,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와 제1 압력 센서(510)를 일체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와 제1 범프(53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 방수 부재(410)의 높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2 압력 센서(520)가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방수 부재(420)가 제2 압력 센서(520)의 상부, 하부, 및 좌측을 둘러싸는 것에서 도 17에 도시된 제1 방수 부재(410) 및 제1 압력 센서(510)와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제2 방수 부재(420)와 제2 압력 센서(5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범프(530)들 각각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에서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1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범프(530)들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범프(530)들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1 압력 센서(51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범프(530)들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방수 부재(41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와 외측에 배치되고, 제1 방수 부재(410)의 상부에 배치되지 않은 것에서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2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일 측면을 둘러싸도록 ‘ㄴ’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은 다른 측면들보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가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는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 부재(410)는 도 23과 같이 베이스 필름(411)과 베이스 필름(411)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점착막(412), 및 베이스 필름(411)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점착막(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막(412)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일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점착막(413)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의 상면에서 제1 점착막(412)의 측면과 제2 점착막(413)의 측면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41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 점착막(412)과 제2 점착막(413)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도 23에서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은 제1 점착막(412)의 측면과 제2 점착막(413)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제1 방수 부재(410)와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의 점착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1 방수 부재(410)와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의 접착력이 낮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24와 같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방수 부재(410)의 상면에서 제1 점착막(412)과 제2 점착막(413)을 연결하는 제3 점착막(4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4와 같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은 제3 점착막(414)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와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의 점착 면적을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늘릴 수 있으므로, 제1 방수 부재(410)와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5는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범프(530)들 각각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에서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5에서는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범프(530)들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은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범프(530)들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1 압력 센서(51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범프(530)들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26은 도 15와 도 16의 Ⅰ-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프레임(600)은 제1 영역(DR1)에서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2 영역(DR2)에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제1 범프(530)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범프(530)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범프(530)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 부재(410)는 도 27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 제1B 방수 부재(410b), 및 제1C 방수 부재(4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일부와 제1 압력 센서(510)의 측면들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나머지와 제1 압력 센서(510)의 측면들의 나머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베이스 필름(411a),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점착막(412a), 및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A 점착막(4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측면들에 부착될 수 있다. 제2A 점착막(413a)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베이스 필름(411b),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점착막(412b), 및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B 점착막(4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B 점착막(412b)은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B 점착막(413b)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B 점착막(412b)의 측면과 제2B 점착막(413b)의 측면은 제1 범프(530)의 측면들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C 베이스 필름(411c), 제1C 베이스 필름(411c)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C 점착막(412c), 및 제1C 베이스 필름(411c)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C 점착막(41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C 점착막(412c)은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C 점착막(413c)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C 점착막(412c)의 측면과 제2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1 범프(530)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A 베이스 필름(411a), 제1B 베이스 필름(411b), 및 제1C 베이스 필름(411c)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 제2A 점착막(413a), 제1B 점착막(412b), 제2B 점착막(413b), 제1C 점착막(412c), 및 제2C 점착막(413c)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도 27에서 제1B 점착막(412b)의 측면은 제1A 점착막(412a)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2B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2A 점착막(413a)의 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1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1A 점착막(412a)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2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2A 점착막(413a)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점착 면적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점착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접착력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접착력이 낮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28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방수 부재(410a)의 상면에서 제1A 점착막(412a)과 제2A 점착막(413a)을 연결하는 제3A 점착막(41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방수 부재(410b)의 하면에서 제1B 점착막(412b)과 제2B 점착막(413b)을 연결하는 제3B 점착막(41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C 방수 부재(410c)의 하면에서 제1C 점착막(412c)과 제2C 점착막(413c)을 연결하는 제3C 점착막(41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8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점착 면적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점착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접착력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 하면, 및 측면들 상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을 부착하므로,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와 제1 압력 센서(510)를 일체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와 제1 범프(53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 방수 부재(410)의 높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2 방수 부재(420) 및 제2 압력 센서(520)는 도 26에 도시된 제1 방수 부재(410) 및 제1 압력 센서(5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 방수 부재(420) 및 제2 압력 센서(5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방수 부재(41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제2 방수 부재(420)가 제2 압력 센서(52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에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9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510)가 도 29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 프레임(600)의 상면, 및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방수 부재(420)는 제2 압력 센서(520)의 상부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력 센서(520)가 도 29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2 방수 부재(420)는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 프레임(600)의 상면,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좌측면은 제2 방수 부재(42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0은 도 16과 도 29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프레임(600)은 제1 영역(DR1)에서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2 영역(DR2)에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일 측면을 둘러싸도록 ‘ㄴ’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은 다른 측면들보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과 같이 제1 압력 센서(510)가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은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5 접착 부재(95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5 접착 부재(950)는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 부재(410)는 도 31과 같이 베이스 필름(411)과 베이스 필름(411)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점착막(412), 및 베이스 필름(411)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점착막(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막(412)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과 제1 범프(53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점착막(413)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의 하면에서 제1 점착막(412)의 측면과 제2 점착막(413)의 측면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41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 점착막(412)과 제2 점착막(413)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도 31에서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점착막(412)의 측면과 제2 점착막(413)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제1 방수 부재(410)와 프레임(600) 사이의 점착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1 방수 부재(410)와 프레임(600) 사이의 접착력이 낮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24와 같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방수 부재(410)의 하면에서 제1 점착막(412)과 제2 점착막(413)을 연결하는 제3 점착막(4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2와 같이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3 점착막(414)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와 프레임(600) 사이의 점착 면적을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늘릴 수 있으므로, 제1 방수 부재(410)와 프레임(600)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33은 도 16과 도 29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범프(530)들 각각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에서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33에서는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5 접착 부재(95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5 접착 부재(95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범프(530)들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1 압력 센서(51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범프(530)들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범프(530)들이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것에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9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에 부착된 제1 범프(530)들을 덮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제1 범프(530)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범프(530)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수 부재(420)는 제2 압력 센서(520)의 하면에 부착된 제2 범프(540)들을 덮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방수 부재(420)는 제2 압력 센서(520)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제2 범프(540)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2 압력 센서(520)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수 부재(420)는 제2 범프(540)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5는 도 16과 도 34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390), 및 프레임(600)은 제1 영역(DR1)에서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2 영역(DR2)에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제1 범프(530)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범프(530)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범프(530)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 부재(410)는 도 36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 제1B 방수 부재(410b), 및 제1C 방수 부재(4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일부와 제1 압력 센서(510)의 측면들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나머지와 제1 압력 센서(510)의 측면들의 나머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베이스 필름(411a),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점착막(412a), 및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A 점착막(4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측면들에 부착될 수 있다. 제2A 점착막(413a)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베이스 필름(411b),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점착막(412b), 및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B 점착막(4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B 점착막(412b)은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B 점착막(413b)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B 점착막(412b)의 측면과 제2B 점착막(413b)의 측면은 제1 범프(530)의 측면들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C 베이스 필름(411c), 제1C 베이스 필름(411c)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C 점착막(412c), 및 제1C 베이스 필름(411c)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C 점착막(41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C 점착막(412c)은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C 점착막(413c)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C 점착막(412c)의 측면과 제2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1 범프(530)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A 베이스 필름(411a), 제1B 베이스 필름(411b), 및 제1C 베이스 필름(411c)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 제2A 점착막(413a), 제1B 점착막(412b), 제2B 점착막(413b), 제1C 점착막(412c), 및 제2C 점착막(413c)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도 36에서 제1B 점착막(412b)의 측면은 제1A 점착막(412a)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2B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2A 점착막(413a)의 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1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1A 점착막(412a)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2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2A 점착막(413a)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점착 면적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점착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접착력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접착력이 낮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37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방수 부재(410a)의 하면에서 제1A 점착막(412a)과 제2A 점착막(413a)을 연결하는 제3A 점착막(41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방수 부재(410b)의 상면에서 제1B 점착막(412b)과 제2B 점착막(413b)을 연결하는 제3B 점착막(41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C 방수 부재(410c)의 상면에서 제1C 점착막(412c)과 제2C 점착막(413c)을 연결하는 제3C 점착막(41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8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점착 면적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점착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접착력과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 하면, 및 측면들 상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을 부착하므로,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와 제1 압력 센서(510)를 일체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와 제1 범프(53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 방수 부재(410)의 높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38은 도 16과 도 34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A 범프(531)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B 범프(532)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에서 도 3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38에서는 도 35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A 범프(531)들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제1B 범프(532)들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A 범프(531)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 제1B 범프(532)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 하면, 및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A 범프(531)들의 측면들과 제1B 범프(532)들의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 부재(410)는 제1A 범프(531)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과 패널 하부 부재(390) 사이에 배치되고, 제1B 범프(532)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은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 부재(410)는 도 39와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 제1B 방수 부재(410b), 제1C 방수 부재(410c), 및 제1D 방수 부재(41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범프(531)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범프(532)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B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나머지와 제1 압력 센서(510)의 측면들의 나머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D 방수 부재(410d)는 제1A 범프(531)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나머지와 측면들의 나머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베이스 필름(411a),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점착막(412a), 및 제1A 베이스 필름(411a)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A 점착막(4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은 제1A 범프(531)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A 점착막(413a)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의 측면과 제2A 점착막(413a)의 측면은 제1A 범프(531)의 측면들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베이스 필름(411b),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점착막(412b), 및 제1B 베이스 필름(411b)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B 점착막(4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B 점착막(412b)은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B 점착막(413b)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B 점착막(412b)의 측면과 제2B 점착막(413b)의 측면은 제1B 범프(532)의 측면들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C 베이스 필름(411c), 제1C 베이스 필름(411c)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C 점착막(412c), 및 제1C 베이스 필름(411c)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C 점착막(41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C 점착막(412c)은 제1 범프(5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하면의 나머지와 측면들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C 점착막(413c)은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C 점착막(412c)의 측면과 제2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1B 범프(532)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D 방수 부재(410d)는 제1D 베이스 필름(411d), 제1D 베이스 필름(411d)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D 점착막(412d), 및 제1D 베이스 필름(411d)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1D 점착막(413d) 포함할 수 있다. 제1D 점착막(412d)은 제1A 범프(531)들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의 나머지와 측면들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D 점착막(413d)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D 점착막(412d)의 측면과 제2D 점착막(413d)의 측면은 제1A 범프(531)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A 베이스 필름(411a), 제1B 베이스 필름(411b), 제1C 베이스 필름(411c), 및 제1D 베이스 필름(411d)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와 쿠션층이 결합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A 점착막(412a), 제2A 점착막(413a), 제1B 점착막(412b), 제2B 점착막(413b), 제1C 점착막(412c), 제2C 점착막(413c), 제1D 점착막(412d), 및 제2D 점착막(413d)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도 39에서 제1B 점착막(412b)의 측면은 제1A 점착막(412a)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2B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2A 점착막(413a)의 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1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1D 점착막(412d)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2C 점착막(413c)의 측면은 제2D 점착막(413d)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점착 면적과 제1D 방수 부재(410d)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점착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접착력과 제1D 방수 부재(410d)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접착력이 낮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40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는 제1A 방수 부재(410a)의 하면에서 제1A 점착막(412a)과 제2A 점착막(413a)을 연결하는 제3A 점착막(41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B 방수 부재(410b)는 제1B 방수 부재(410b)의 상면에서 제1B 점착막(412b)과 제2B 점착막(413b)을 연결하는 제3B 점착막(41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C 방수 부재(410c)는 제1C 방수 부재(410c)의 상면에서 제1C 점착막(412c)과 제2C 점착막(413c)을 연결하는 제3C 점착막(414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D 방수 부재(410d)는 제1D 방수 부재(410d)의 하면에서 제1D 점착막(412d)과 제2D 점착막(413d)을 연결하는 제3D 점착막(414d)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0과 같이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점착 면적과 제1D 방수 부재(410d)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점착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제1A 방수 부재(410a)와 제1B 방수 부재(410b) 사이의 접착력과 제1D 방수 부재(410d)와 제1C 방수 부재(410c)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 하면, 및 측면들 상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프레임(600)의 상면을 부착하므로, 제1 방수 부재(41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0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수 부재(410)와 제1 압력 센서(510)를 일체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와 제1 범프(53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 방수 부재(410)의 높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커버 윈도우
200: 터치 감지 장치 210: 터치 회로 보드
220: 터치 구동부 300: 표시 패널
310: 표시 회로 보드 311: 제1 회로 보드
312: 제2 회로 보드 313: 제1 연결 케이블
314: 제2 연결 케이블 320: 표시 구동부
390: 패널 하부 부재 400: 방수 부재
410: 제1 방수 부재 420: 제2 방수 부재
430: 제3 방수 부재 440: 제4 방수 부재
510: 제1 압력 센서 520: 제2 압력 센서
530: 제1 범프 540: 제2 범프
550: 제3 회로 보드 600: 프레임
700: 메인 회로 보드 710: 메인 프로세서
720: 카메라 장치 730: 메인 커넥터
900: 하부 커버

Claims (27)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높이보다 높은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프의 높이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높이보다 높은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높이와 상기 제1 범프의 높이의 합보다 높은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범프의 면적은 상기 압력 감지 셀의 면적보다 작은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셀은,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 전극과 감지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프의 평면 크기는 상기 압력 감지층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 부재의 높이는 상기 수용 홈의 높이보다 높은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와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외측과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는 제1 점착막;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점착막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케이블 홀;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으로 구부러져 배치되는 표시 회로 보드; 및
    상기 표시 회로 보드의 커넥터에 접속되며, 상기 케이블 홀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일 측에서 상기 케이블 홀을 노출시키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일 측에서 상기 케이블 홀을 노출시키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의 폭은 상기 제1 오목부의 폭보다 넓은 표시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 회로 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메인 회로 보드의 하면 상에 배치된 메인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22.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A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제1B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면과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 상에 배치된 제1A 방수 부재;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일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된 제1B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나머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C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면과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 상에 배치된 제1A 방수 부재;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일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된 제1B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나머지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C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A 범프;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B 범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는,
    상기 제1A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되는 제1A 방수 부재;
    상기 제1B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일부와 측면들의 일부에 배치되는 제1B 방수 부재;
    제1B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하면의 나머지와 제1 압력 센서의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C 방수 부재; 및
    제1A 범프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압력 센서의 상면의 나머지와 측면들의 나머지에 배치되는 제1D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096037A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KR10258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37A KR102589832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JP2019057372A JP7298975B2 (ja) 2018-08-17 2019-03-25 表示装置
US16/413,493 US10866674B2 (en) 2018-08-17 2019-05-15 Display device
CN201910706291.9A CN110837310A (zh) 2018-08-17 2019-08-01 显示装置
EP19189857.6A EP3611603B1 (en) 2018-08-17 2019-08-02 Display device
US17/114,242 US11836312B2 (en) 2018-08-17 2020-12-0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37A KR102589832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24A true KR20200021024A (ko) 2020-02-27
KR102589832B1 KR102589832B1 (ko) 2023-10-16

Family

ID=6754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037A KR102589832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866674B2 (ko)
EP (1) EP3611603B1 (ko)
JP (1) JP7298975B2 (ko)
KR (1) KR102589832B1 (ko)
CN (1) CN1108373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9446B2 (en) * 2018-01-11 2021-08-10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589832B1 (ko) * 2018-08-17 202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 2018-08-20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084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854292B (zh) 2019-11-08 2022-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制作方法
CN114115578A (zh) * 2020-08-31 2022-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压感组件、中框组件、显示组件及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6172A (ja) * 2009-09-29 2011-04-14 Nissha Printing Co Ltd 感圧センサを備えたタッチ入力デバイスの実装構造
KR20110039304A (ko) * 2008-12-25 2011-04-15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압압검출기능을 가진 터치 패널 및 당해 터치 패널용 감압센서
US20180081485A1 (en) * 2016-09-21 2018-03-22 Apple Inc. Gasket with embedded capacitive sensor
US20180183912A1 (en) * 2016-12-22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through bend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4622B2 (ja) * 1999-12-06 2005-06-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感圧装置
US20080238884A1 (en) * 2007-03-29 2008-10-02 Divyasimha Harish Edge sensors forming a touchscreen
JP4842358B2 (ja) 2008-12-04 2011-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US8654524B2 (en) 2009-08-17 2014-02-18 Apple Inc. Housing as an I/O device
JP2011047893A (ja) * 2009-08-28 2011-03-10 Nissha Printing Co Ltd 圧力検出ユニット
US8633916B2 (en)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JPWO2011122346A1 (ja) * 2010-03-29 2013-07-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表示装置
US9262002B2 (en) * 2010-11-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 screen
US9557857B2 (en) * 2011-04-26 2017-01-31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response
JP5392866B2 (ja) * 2011-11-15 2014-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ーム部材
US8975540B2 (en) 2011-12-19 2015-03-10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with support frames and mechanically-bonded plastic and methods for forming such electronic devices
US9886116B2 (en) 2012-07-26 2018-02-06 Apple Inc.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CN103680384B (zh) * 2012-09-26 2016-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柔性膜线缆的显示装置
KR102118381B1 (ko) * 2013-03-06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4849892A (zh) 2014-02-17 2015-08-19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显示装置
US20160062517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Multi-Layer Transparent Force Sensor
US9298220B2 (en) 2014-09-02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087394B2 (ja) 2015-06-17 2017-03-0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表示一体型入力装置
KR20160149982A (ko) 2015-06-18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506256B1 (ko) * 2015-08-31 2023-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CN105890830B (zh) 2016-04-29 2019-03-05 宸盛光电有限公司 一种压力感测装置
KR102570830B1 (ko) 2016-06-29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의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7472B1 (ko) 2016-07-29 2023-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081400A1 (en) 2016-09-21 2018-03-2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ealing elements having embedded sensors
KR101841583B1 (ko) 2016-12-05 201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모듈 배치 구조
KR102553104B1 (ko) 2018-08-01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9832B1 (ko) * 2018-08-17 202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304A (ko) * 2008-12-25 2011-04-15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압압검출기능을 가진 터치 패널 및 당해 터치 패널용 감압센서
JP2011076172A (ja) * 2009-09-29 2011-04-14 Nissha Printing Co Ltd 感圧センサを備えたタッチ入力デバイスの実装構造
US20180081485A1 (en) * 2016-09-21 2018-03-22 Apple Inc. Gasket with embedded capacitive sensor
US20180183912A1 (en) * 2016-12-22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through bend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1603A3 (en) 2020-05-27
EP3611603B1 (en) 2023-09-27
US10866674B2 (en) 2020-12-15
CN110837310A (zh) 2020-02-25
JP2020027269A (ja) 2020-02-20
US20200057522A1 (en) 2020-02-20
JP7298975B2 (ja) 2023-06-27
US11836312B2 (en) 2023-12-05
EP3611603A2 (en) 2020-02-19
KR102589832B1 (ko) 2023-10-16
US20210117033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691B1 (ko) 표시 장치
KR102589832B1 (ko) 표시 장치
US11353981B2 (en)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on a side surface
KR102589782B1 (ko)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표시 장치
KR102582263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102555824B1 (ko) 표시 장치
US20230168759A1 (en)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36887B1 (ko) 표시 장치
KR102644091B1 (ko) 표시 장치
US11609609B2 (en) Press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