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988A - 적층 유리판용 열가소성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유리판용 열가소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988A
KR20200019988A KR1020207002075A KR20207002075A KR20200019988A KR 20200019988 A KR20200019988 A KR 20200019988A KR 1020207002075 A KR1020207002075 A KR 1020207002075A KR 20207002075 A KR20207002075 A KR 20207002075A KR 20200019988 A KR20200019988 A KR 2020001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film
area
glass plate
laminated glass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542B1 (ko
Inventor
마틴 아른트
미셸 카푸칠리
볼프강 본 아베나리우스
리-야 예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01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8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shaping the sheets, e.g. by using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02B2027/0121Parasitic image effect attenuation by suitable positioning of the parasit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Abstract

적층 유리판(1)용 중간층으로 적합한 열가소성 필름(F)으로, 열가소성 필름(F)은
- 0이 아닌 쐐기각을 갖는 카메라 창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영역을 위해 마련되는 정의된 영역(K), 및
- 열가소성 필름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h1)를 가지며, 모든 측면에서 정의된 영역(K)을 둘러싸는 영역(A)을 적어도 포함하고,
열가소성 필름의 정의된 영역(K)에서의 최대 두께(h2max)는 주변 영역(A)에서의 두께(h1)보다 작다.

Description

적층 유리판용 열가소성 필름
본 발명은 적층 유리판용 중간층으로 적합한 열가소성 필름, 그 제조 방법, 적층 유리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적층 유리판은 현재 많은 분야, 특히 차량 분야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차량"이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며, 그 중에서도 자동차, 항공기, 선박, 농기계 또는 작업 장비와도 관련된다.
적층 유리판은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박물관 또는 광고 디스플레이와 같은 정보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건축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적층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중간층으로 적층되는 2개의 유리면들을 갖는다. 유리면들 자체는 만곡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중간층은 일반적으로 미리 정해진 두께, 예를 들어 0.76 mm의 열가소성 물질,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부티랄(PVB)을 포함한다.
적층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관찰자에 대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이중 이미지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중 이미지는 입사광이 일반적으로 두 유리면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고, 대신 빛의 적어도 일부가 먼저 반사되고 그 이후에 제2유리면만을 통과함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이중 이미지는, 특히 어두운 곳에서, 특히 예를 들어 접근하는 차량의 헤드 라이트와 같이 강하게 방출되는 광원에서 두드러진다.
이중 이미지는 주의를 매우 분산시킨다. 특히 카메라 창 분야에서 이러한 이중 이미지는 잘못된 정보를 발생시킨다. 카메라 창은 주변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카메라가 그 뒤에 설치되는 판유리의 영역이다. 이러한 카메라 창은 예를 들어 자율 주행 분야에서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흔히, 적층 유리판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로도 자주 사용된다. 이 경우, 이미지가 투영장치에 의해 적층 유리판 상에 투영되어 관찰자의 시야에 데이터를 삽입한다. 차량 부문에서, 투영장치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에 배치되어, 투영된 이미지가 관찰자의 방향으로 기울어진 적층 유리판의 가장 근접한 유리면에 반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광의 일부는 다시 적층 유리판으로 진입하고, 이후 예를 들어 관찰자의 시점 및 중간층에서 더 멀리 있는 유리면의 내부 경계층에서 반사되고, 이후 적층 유리판에 오프셋(offset)을 남긴다.
여기에서도, 표시될 이미지에 대한 고스트 이미지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발생한다.
일정한 쐐기각(wedge angle)을 구비한 쐐기 필름에 의한 종래의 단순한 고스트 이미지 보상은 투과시 관찰되는 이중 이미지에 대해 과잉 보상하게 된다. 이것은 각각의 관찰자를 혼란스럽게 하거나 최악의 경우 잘못된 정보를 수신하게 한다. 현재까지, 판유리의 표면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지 않고 고정된 각도로 배치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중간층이 선형 및/또는 비선형적으로 증가 및/또는 감소하는 두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자동차 분야에서, 두께는 통상 변경되어 가장 작은 두께가 엔진실을 향하는 적층 판유리의 하단에 마련되는 반면, 천장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두께가 증가한다. 즉, 중간층은 쐐기형이다.
쐐기형 중간층을 갖는 이러한 형식의 적층 유리판과, 이것이 기초로 하는 광학 원리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WO 2015/086234 A1, WO 2015/086233 A1, 및 WO 2009/071135 A1, 미국 특허 US 8,451,541 B2, US 7,060,343 B2, US 6,881,472 B2, US 6,636,370 B2 및 US 5,013,134 또는 독일 공개 특허 출원 DE 196 11 483 A1 및 DE 195 35 053 A1에 개시된다.
중간층의 필요한 쐐기각 진행(progression) 및 결과적인 두께 프로파일(thickness profile)은 각각의 판유리 형상에 대해 별도로 계산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본 발명에 따른 두께 프로파일은 필름을 압출하는 동안 대응되는 슬롯 노즐을 사용하거나, 적절한 온도 프로파일로 가열된 필름을 선택적으로 연신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또한, 예를 들어 압출하는 동안 대응되는 슬롯 노즐을 사용하여 한 방향으로 두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이어서 다른 방향으로 필름을 대응되게 신장함으로써 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제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제조된 필름 웹(film webs)이 보관 및 운송을 위해 롤로 감겨질 때, 롤은 점점 원뿔 모양으로 되어 롤의 취급 및 운송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전체 폭의 적어도 20%의 폭으로 양쪽 에지에 균일한 두께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필름 웹 및 각각의 경우에 필름 웹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후속 쐐기형 두께 프로파일을 제조하는 것이 유럽 특허 EP 0 647 329 B1에 개시된다.
유럽 특허 EP 1 063 205 B1에는 적층 유리를 위한 중간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층 필름을 위한 출발 조성물은 압출기, 압출 다이(die), 제1냉각 압축롤러, 및 제2냉각 압축롤러를 포함하는 생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데, 2개의 압축롤러는 각각의 경우에 제조될 중간층 필름의 원하는 단면 프로파일에 따라 조정되는 뚜렷한 폭을 갖는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면 열가소성 재료가 냉각 압축롤러에서 과도하게 냉각되어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전에 공지된 쐐기형 열가소성 필름의 추가적인 단점은, HUD를 보는 창에서 쐐기형 프로파일의 면적이 고스트 이미지를 최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훨씬 크다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HUD 영역 및 카메라 창을 갖는 적층 유리판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처럼, 쐐기각의 상이한 변형을 구비한 2개의 영역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유럽 특허 EP 2 883 693 A1은 HUD 영역에 마련된 섹션을 필름으로부터 절단하고, 이후 이것을 쐐기형 프로파일을 갖는 영역으로 대체하도록 제안한다. 그러나, 쐐기형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제안은 없다. 또한, 필름들이 합쳐지는 곳에서 산만하게 보이는 천이(transitions)가 발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 쐐기각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갖는 개선된 열가소성 필름을 제공하고, 그것의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 1에 따른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은 카메라 창 또는 HUD(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정의된 영역을 포함하는 적층 유리판에 적합한 열가소성 필름(F)을 제공한다. 이 정의된 영역은 0이 아닌 쐐기각을 갖는다. 쐐기각은 정의된 영역 내에서 일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특히 제조하기 간단하다. 정의된 영역은 가변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h2)는 또한 정의된 영역 내에서 변한다. 최대 두께(h2max)는 정의된 영역에서 열가소성 필름이 가장 두꺼운 지점에서 측정된다. 정의된 영역에 인접하여 열가소성 필름이 일정한 두께(h1)를 갖는 주변 영역이 위치한다. 정의된 영역에서 최대 두께(h2max)는 주변 영역에서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h1)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필름이 주변 영역보다 모든 곳에서 더 얇은,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영역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h1)를 갖는다. 정의된 영역은 주변 영역으로 모두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의된 영역은 모든 측면에서 주변 영역으로 둘러싸인다. 완성된 자동차 판유리의 설치 상황과 관련하여, 정의된 영역이 상측(천장 에지),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주변 영역에 바로 인접함을 의미한다.
적층 유리판에서의 중간층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사용하면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데, 이것은 적층 유리판의 두께가 정의된 영역 내에서만 변하고 두께 증가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적층된 유리판에서 정의된 영역이 에지 영역(후속 판유리의 총 높이에 대한 판유리 에지로부터 10% 거리)으로 의도된 경우, 이러한 두께 증가는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차체로의 천이가 천장 에지에서 가능한 매끄럽게 나타나야 하기 때문에 광학적인 장점이 있다. 하측 에지보다 상측 에지가 두꺼운 판유리의 경우, 이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잡한 조치가 필요하다.
쐐기각은 한 지점에서 측정된 필름 표면들 사이의 각도이다. 정의된 영역에서 쐐기각이 0이 아니라는 것은, 실질적으로 정의된 영역에서 쐐기각이 0과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쐐기각이 0이 되는 정의된 영역 내에 개별 지점이 있다는 사실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가변 쐐기각 프로파일의 경우, 쐐기각이 증가한 후, 감소하는 쐐기각으로의 천이에서, 대응되는 변곡점에서 쐐기각이 0인 지점이 존재한다.
정의된 영역에서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고 가변적이다. 정의된 영역에서의 쐐기각은 가변적이고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쐐기각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되는 두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양방향 쐐기). 차앞유리에서 다음으로 사용하는 경우, 두 방향은 수직 방향(천장 에지에서 엔진 후드까지, 즉 위에서 아래로)과 수평 방향(오른쪽에서 왼쪽으로)에 해당한다.
주변 영역은 정의된 영역과 직접 인접한 영역이다. 정의된 영역은 주변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다. 통상, 주변 영역의 면적은 정의된 영역의 면적보다 크다.
주변 영역에서, 열가소성 필름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필름이 주변 영역에서 특정 생산 관련 거칠기를 가진다는 사실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생산 관련 거칠기는 인접한 영역에서의 계획된 두께 감소와는 상이하다. 주변 영역에서의 두께(h1)는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20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 내지 850 ㎛, 그리고 통상 380 ㎛ 내지 760 ㎛이다. 이러한 두께를 갖는 필름은 특히 안정적인 적층 유리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은 쐐기각 프로파일이 필요에 따라 조절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정의된 영역을 포함한다.
적층 유리판에 사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은 판유리의 전체면에 걸쳐 연장된다. 치수는 각각의 의도된 용도 및 후속 적층 유리판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치수는 0.25 m 내지 5 m의 길이와 0.25 m 내지 4 m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필름은 하나 또는 적층된 복수의 평평한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필름은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염화 비닐, 폴리아세탈 수지, 주조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와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필름은 실질적으로 PVB로 제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적층 유리판의 중간층으로서 특히 적합하며 양호한 결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필름은 소음 저감 효과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열가소성 필름이 마련된 적층 판유리를 통한 소음의 전달이 유리하게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써 주변 소음 및 구동 소음으로 인한 산만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다겹(multi-ply), 예를 들어 3겹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내부층(음향 코어)은 예를 들어 더 많은 함량의 가소제로 인해, 이것을 둘러싸는 외부층들보다 높은 가소성 또는 탄성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필름은 다겹 구조, 특히 3겹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변 영역에서의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h1)와 정의된 영역에서의 가장 얇은 지점에서의 두께와의 두께 차이(Δh2min)는 0.10 mm 내지 0.30 mm, 바람직하게는 0.15 mm 내지 0.25 mm이다. 이러한 최소의 두께 차이로 인해, 적층 유리판은 임계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완벽하게 적층될 수 있다.
HUD 영역에 대해 정의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10,000 mm² 내지 200,000 mm²의 영역에 걸쳐 연장된다. 차량용 차앞유리에서 HUD 영역은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UD 영역은 일반적으로 적층 유리판의 쓰루-비젼(through-vision) 영역에서 운전자 측에 위치된다. "쓰루-비젼 영역"이라는 용어는 쓰루-비젼을 위해 마련되고 이에 적합한 판유리의 영역을 지칭한다. 판유리의 쓰루-비젼 영역은, 특히 투명하고 에지 영역에서의 주위 마스킹 스크린 프린트에서 통상 그러하듯이 불투명한 인쇄 영역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투명한"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투과율이 70%를 초과하는 판유리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완성된 적층 유리판에서, 정의된 영역의 쐐기각은 급격한 증가로 인한 이미지 왜곡을 피하기 위해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천천히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중앙 영역에서, 쐐기각은 미리 최적화된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증가함으로써 고스트 이미지의 생성을 최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이후, 쐐기각이 천천히 감소하는 영역이 이어져서 제1열가소성 필름으로의 천이가 다시 한번 가능한 한 적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쐐기각 진행은 카메라 창 및 HUD 영역에 적합하다.
카메라 창을 위해 정의된 영역은 2,000 mm²- 10,000 mm²의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용 차앞유리의 경우, 카메라 창은 천장 에지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 영역은 더 이상 쓰루-비젼 영역의 일부가 아니다.
열가소성 필름은 제1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갖는다. 일정한 두께(h1)를 갖는 주변 영역에서, 제1면과 제2면의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의된 영역에서 제2면의 평면은 주변 영역에서 제1면의 평면과 계속해서 평행하다(도 4의 실시예 참조). 즉, 재료는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제1면에서만 시작하여 정의된 영역에서 제거되었다. 결과적으로, 정의된 영역에서, 제1면은 주변 영역에서 제2면의 평면에 계속해서 평행하지는 않다. 이 필름은 하나의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의된 영역에서 제1면 및 제2면은 주변 영역에서 제1 및 제2면의 평면들에 평행하지 않다. 이 경우, 재료는 제1면쪽 및 제2면쪽에서 제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재료의 제거는 대칭적으로, 즉 각 지점에서, 제1면쪽에서 제거된 만큼 정확하게 똑같이 제2면쪽에서 제거된다(도 10의 실시예 참조). 결과적으로, 정의된 영역에서, 열가소성 필름은 거울면/대칭면을 갖는다. 대칭면은 이들 평면들 사이의 중앙에서 주변 영역의 제1면 및 제2면의 평면들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대칭 디자인은 특히 양호한 결과를 만든다. 본 실시예는, 다층 열가소성 필름과 조합하여 특히 장점이 있는데, 이것은 필름의 한쪽면에서만 재료가 제거될 보다 각각의 경우에 외측 층들만이 보다 적은 재료 제거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필름은 하나 이상의 정의된 영역,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정의된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정의 영역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HUD 영역으로 마련되고, 판유리의 쓰루-비젼 영역에 위치되며, 제2정의 영역은 카메라 창으로 마련되며, 판유리의 상부 1/3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에서, 정의된 영역에서의 쐐기각 진행은 두께가 감소되어 구현되므로, 복수의 정의된 영역이 완성된 적층 유리판에서 응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필름은 하나 이상의 착색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판유리의 상부 에지에서 이러한 착색 영역은 당업자에게, 예를 들어 "차양 밴드(shaded band)"로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눈부신 햇빛으로 인한 운전자의 산만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열가소성 필름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태양 또는 열 차단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필름은 적외선 범위에서의 반사 코팅 또는 IR 흡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 유리판용 중간층으로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h1)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이 마련된다. 적층 유리판용 중간층으로 적합한 이러한 필름은 공지되어 있다. 제2단계에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미리 정의된 영역에서 레이저에 의해 제거된다. 미리 정의된 쐐기각 프로파일이 생성된다.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사전 계산된 쐐기각 프로파일을 일정한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으로 정확하게 옮길 수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는 그렇게 정밀하게 제조할 수 없는, 비교적 복잡한 쐐기각 프로파일의 경우에 특히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정의된 영역의 위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적응성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대응되는 위치에서 열가소성 중합체를 제거함으로써 우측 운전 또는 좌측 운전을 위한 HUD 영역을 가지는 적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쐐기각은 제거에 의해 생성되므로 재료의 불친화성(material incompatibilities)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정의된 영역이 별도로 제조되어 필름의 오목부에 삽입될 때, 에지에서의 광학 결함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이한 조성을 갖는 다층으로 구성된 필름을 가공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일예는 소음 저감 효과를 갖는 중간층이다. 소량의 재료만이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름은 또한 주의를 분산시키는 광학적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쐐기각 진행이 마련될 수 있다. 소음 저감 효과를 갖는 이러한 중간층은 3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내부층(inner ply)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재료만이 제거된다. 내부층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어서, 이 층(ply)으로부터 재료가 제거되는 경우, 주의를 분산시키는 광학적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주변 영역에 의해 모든 측면에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영역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을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열가소성 필름은 EP 0 647 329 B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다. 거기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가변 쐐기각을 갖는 영역이 열가소성 필름의 에지까지 연장되는 열가소성 필름만이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적층 유리판에서 사용될 때, 판유리의 두께가 상측에서 하측 에지까지 변화한다는 기설명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두 방향으로 가변되는 쐐기각을 사용하면 이중 이미지와 고스트 이미지를 특히 효과적으로 회피하거나 줄일 수 있다. 쐐기각 진행(progression)과 고스트 이미지 및 이중 이미지의 방지 및 감소와의 관계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WO2015086234A1 및 WO2015086233A1에 개시되어 있다. 최적의 쐐기각 진행은 이중 이미지 및 고스트 이미지를 방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미리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가공된 열가소성 필름의 제1면은 레이저로 정의된 영역에서 먼저 처리되고 중합체는 거기에서 제거된다. 이후, 열가소성 필름의 제2면은 동일한 정의된 영역에서 레이저로 처리된다. 동일한 양의 중합체가 각각의 경우 양쪽에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거울 대칭). 이러한 방식으로, 한쪽면에서의 제거가 감소되어 중합체가 각각의 경우에 표면적으로만 제거될 수 있다. 다층 필름의 경우, 이에 따라 복수의 층들에서 재료가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제거로 인한 광학 결함은 낮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거 깊이는 0.10 mm 내지 0.30 mm, 바람직하게는 0.15 mm 내지 0.25 mm이다. 제거 깊이는 레이저와 재료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재료가 제거되는 깊이이다. 설명된 제거 깊이의 경우, 재료는 매우 표면적으로만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필름 전체에 걸쳐 두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이에 따라 필름은 특히 적층 유리판용 중간층으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제거 깊이에서, 다층 필름, 특히 소음 저감 필름은 또한 정의된 영역의 에지에서 주의를 분산시키는 광학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을 갖는 적층 유리판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유리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유리판, 제2유리판 및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하며, 열가소성 필름은 제1유리판 및 제2유리판 사이에 배치된다. 가변 쐐기각을 가지며 국소적으로 정의된 영역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유리판은, 필름의 두께 변화가 비교적 작은 영역에 대해서만 설정되기 때문에 특히 안정적이다. 일정한 쐐기각을 갖는 종래 기술의 필름의 경우, 두께는 판유리의 전체 높이 및/또는 폭에 걸쳐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으로 변화하여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종래 적층 유리판의 두께는 하단보다 상단에서 더 크다. 또한, 이 두께의 차이는 더 두꺼운 판유리 에지가 때때로 천장 에지로 천이될 때 돌출되기 때문에 장착된 판유리에 광학적 단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을 사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유리판의 두께는 상부 및 하부 에지에서 동일하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층 유리판의 총 두께는 3.5 mm 내지 6.0 mm, 바람직하게는 4.0 mm 내지 6.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4 mm 내지 5.6 mm이다. 이러한 두께를 갖는 적층 판유리는 주변 소음에 대한 차폐 측면에서 적절한 기계적 안정성 및 강도 및 유리한 음향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통상적인 차량, 특히 자동차의 차앞유리로서 사용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두껍고 무겁지는 않다.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인 주 표면들(primary surfaces)과 이것들을 연결하는 주위 측면 에지를 구비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내부 판유리의 두께는 0.3 mm 내지 3.5 mm, 바람직하게는 0.7 mm 내지 2.6 mm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외부 판유리의 두께는 적어도 1.8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 mm이다. 외부 판유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mm 이하이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외부 판유리의 두께는 2.1 mm 내지 4.5 mm, 예를 들어 2.1 mm 내지 3.5 mm 또는 2.5 내지 4.5 mm,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3.5 mm이다. 이 범위에서, 적층 판유리는 유리한 기계적 안정성과 소음 차폐 특성을 갖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앞유리로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여전히 충분히 얇고 가볍다.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는 유리, 특히 창에 일반적인 소다 라임 유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판유리는 원칙적으로 다른 종류의 유리(예를 들어, 붕규산 유리, 석영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외부 판유리와 내부 판유리는 서로 독립적으로, 강화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강화되거나 강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유리가 강화되어야 하는 경우, 이것은 열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 유리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2개의 유리판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은 이 유리판들과 2개의 유리판들을 포함하는 패키지 사이에 배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은 접합된다. 접합은 적층 공정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토클레이브 방법 또는 진공백 방법과 같은 적절한 적층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카메라를 구비한 장치, 그리고 적층 유리판의 사용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설명된다.
도 1은 투과시 이중 이미지가 발생하는 기본적인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반사시 고스트 이미지가 발생하는 기본적인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쐐기형 중간층을 구비한 적층 유리판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의 영역을 관통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카메라 창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유리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카메라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HUD 영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유리판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상기 방법 동안 정의된 영역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의 영역을 관통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의 영역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빔 이미지와 관련하여 투과시 이중 이미지가 발생하는 기본적인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만곡 판유리(1)로 가정한다. 만곡 판유리는, 만곡 유리판(1) 내로의 빔의 진입지점에서 곡률 반경(R+D)을 갖는다. 이제 빛은 광원(3)에서 방출된다. 이 빛은 판유리에 부딪치고, 제1경계면에서의 공기에서 유리로의 천이 및 제2경계면에서의 유리에서 공기로의 천이에서 공지된 굴절 법칙에 따라 굴절되고, 관찰자의 눈(2)에 도달한다. 이 빔은 실선(P)으로 도시된다. 관찰자의 관점에서, 광원(3)은 위치(3')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빔(P')로 도시된다. 그러나, 1차 빔으로 지칭되는 이 빔(P)에 추가하여, 빔은 전술한 방식으로 제2 가스/공기 경계면에서 부분적으로만 굴절된다; 더 작은 부분이 제2경계면에서 반사되고, 빔이 이제 제2경계면을 통과하기 전에 제1경계면에서 다시 한번 반사되고, 관찰자의 눈(2)에 도달한다. 소위 "2차 빔 (secondary beam)"이라고 하는 이 빔은 점선(S)으로 도시된다. 관찰자의 관점에서, 광원(3)은 위치(3")에도 위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1차 빔(P)과 2차 빔(S)이 형성한 각도(η)는 소위 "이중 이미지 각도"이다.
이러한 이중 이미지를 해결하기 위해, 이제 도 1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가정된 2개의 경계층 사이에 쐐기각이 마련될 수 있다.
J.P. Aclocque의 Z.Glastechn.Ber.193(1970) pp.193-198에서 "Doppelbilder als st
Figure pct00001
render optischer Fehler der Windschutzscheibe [차앞유리에서의 방해적인 광학 오류로서의 이중 이미지]"에 따르면, 이중 이미지 각도는 다음 식에 따라 유리판의 곡률 반경과 광선의 입사각의 함수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η는 이중 이미지 각도, n은 유리의 굴절률, d는 유리판의 두께, R은 입사 광선의 위치에서 유리판의 곡률 반경이고, φ는 판유리 접선의 수직에 대한 광선의 입사각이다.
평평한 유리판의 경우, 이중 이미지 각도(η)는 다음 공식에 따라 유리 표면들에 의해 형성된 쐐기각(δ)의 함수이다.
Figure pct00003
이에 따라, 전술한 공식을 동일하게 설정하면 이중 이미지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쐐기각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일반적으로, 이 쐐기각은 적층 유리판(1)에서 쐐기형 중간층(F)이 제1유리층(GS1)과 제2유리층(GS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구현된다(도 3 참조). 단순화를 위해 굴절률(n)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데, 이것은 중간층(F)과 유리판(GS1, GS2)의 굴절률의 차이가 아주 작아서 이런 작은 차이로 인한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착상은 만곡 차앞유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순화를 위해, 입사각 및 곡률 반경은 기준 시점(reference eye point)에 대해 가정되며, 이와 함께 결정된 쐐기각은 차앞유리 전체에 사용된다.
그러나, 소위 "파노라마 판유리(panorama panes)"로 지칭되는 대형 적층 유리판(1) 및/또는 곡률이 더 큰 적층 유리판(1)의 경우, 이러한 접근법은 더 이상 적합하지 않으며, 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에서의 쐐기각 진행 변수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후, 예를 들어, 적층 유리판의 가상의 수직 중심선을 따른 점별(pointwise) 계산 및 가능한 보간에 의해, 보상 쐐기각 프로파일(compensation wedge-angle profile, δ)을 결정할 수 있다. 보상 쐐기각 프로파일이 결정된 이후, 대응하는 중간층(F)이 제조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이중 이미지 현상과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며 고스트 이미지라고 지칭한다.
도 2는 빔 이미지를 참조하여 반사시 고스트 이미지가 발생하는 기본적인 상황을 보여준다. 여기서, 만곡 유리판(1)으로 가정한다. 만곡 유리판(1)은 만곡 유리판(1) 내로의 빔의 진입지점에서 곡률 반경(R)을 갖는다. 이제 빛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나타내는 광원(3)에서 방출된다. 이 빛은 각도(θ)로 내부에서 빔(Ri)을 따라 유리판(1)에 부딪치고, 거기에서 동일한 각도(θ)로 반사된다. 반사된 빔(Rr)은 관찰자의 눈(2)에 도달한다. 이 빔 경로는 실선으로 도시된다. 관찰자의 관점에서, 광원(3)은 가상적으로 위치(3'), 즉 유리판(1)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빔(Rv)로 도시된다. 이 첫 번째 빔에 추가하여, 또다른 빔이 관찰자의 눈(2)에 도달한다. 이 빔(R'i)은 마찬가지로 광원(3)으로부터 발생된다. 그러나, 이 빔(R'i)은 공지된 굴절 법칙에 따라 내부 공기/유리 경계면에서 유리판(1) 내로 침투하고, 빔이 내부 경계면을 통과하기 전에 외부 유리/공기 경계면에서 반사되고, 관찰자의 눈(2)에 빔(R'r)으로 도달한다. 이에 따라 "내부 경계면"이란 용어는 관찰자에 더 인접하게 위치한 경계면을 지칭하는 반면, "외부 경계면"이란 용어는 관찰자로부터 더 먼 거리에 있는 경계면을 지칭한다. 이 빔 경로는 점선으로 도시된다. 관찰자의 관점에서, 광원(3)은 가상적으로 위치(3'), 즉 마찬가지로 유리판(1) 전방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빔(R'v)으로 도시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쐐기각은 이제 외부 경계면에서 반사된 빔(R'r)과 내부 경계면에서 반사된 빔(Rr)이 관찰자의 눈(2)에 대해 중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외부 경계면에서 반사된 빔이 내부 경계면에서 부딪치는 빔의 반사 지점에서 빠져 나간다.
그러나, 이것이 하나의 눈 위치에 대해서만 수행된다면, 이로부터 결정된 쐐기각은 최적이 아닌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HUD 디스플레이가 주로 향하는 운전자의 신체 크기와 좌석 위치가 매우 달라서 아주 많은 눈 위치가 가능하다는 사실로 설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상 디스플레이가 눈 위치에 따라 상이한 장소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러한 눈 위치들 각각에 대해 상이한 값의 최적 쐐기각이 때때로 존재한다. 또한, 고스트 이미지에만 최적화된 쐐기각은 일반적으로 이중 이미지를 과도하게 보상하여 그 결과 발생하는 이중 이미지가 이중 이미지와 관련된 관찰자의 지각 및/또는 규제 시험 사양의 준수 및/또는 고객 사양의 준수와 관련하여 다시 문제가 된다.
상이한 눈의 위치와 HUD 영역에서 이중 이미지의 보상을 모두 고려한 쐐기각 프로파일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서 일정하지 않다. 그 결과로 생기는 중간층(F)에 대한 두께 프로파일은 간단한 압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F)의 영역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플라스틱 필름(F)은, 일례로 PVB로 제조된다. 주변 영역(A)에서, 두께(h1)는 0.76 mm이고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정의된 영역(K)에서, 두께는 감소한다. 가장 얇은 지점에서, 열가소성 필름(F)의 두께는 0.56 mm이다. 즉, 주변 영역의 두께와 정의된 영역의 가장 얇은 지점 사이의 두께 차이(Δh2min)은 0.76 mm - 0.56 mm = 0.20 mm = Δh2min이다. 필름(F)은 주변 영역보다 정의된 영역에서 더 얇다. 즉, 가장 두꺼운 지점에서도 두께(h2max)는 두께 (h1)보다 작다. 정의된 영역(K)에서, 쐐기각은 먼저 제1경계영역(g1)에서 서서히 증가하고, 다음으로, 미리 최적화된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중앙 영역에서 증가한다. 이후, 제2경계영역(g2)에서 쐐기각이 다시 서서히 감소하여 주변 영역(A)으로의 천이가 가능한 적게 보이도록 한다. 따라서, 필름의 두께는 먼저 제1경계영역(g1)에서 서서히 감소한 다음, 미리 최적화된 프로파일에 따라 중앙 영역에서 변하고, 이후 제2경계영역(g2)에서 다시 서서히 감소한다. 설치된 차앞유리에 대해 상하 좌우로 서서히 상승 또는 하강하는 쐐기각을 갖는 2개의 경계 영역을 갖는 이러한 배치는 주변 영역(A)와 정의된 영역(K) 사이의 천이에서 광학적 결함을 최소화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 제2면(10.2)을 따라 재료가 제거되지 않았다는 것을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정의된 영역에서, 제2면은 주변 영역(A)에서와 제1면(10.1)에 평행한, 주변 영역(A)에서와 동일한 평면에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정의된 영역에서, 재료는 제1면(10.1)쪽에서만 제거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유리판(1)의 평면도이다. 적층 유리판은 승용차의 차앞유리로 마련된다. 도면의 상부 에지는 차량의 천장 에지와 접하고 하부 에지는 엔진 에지와 접한다. 카메라 창(K)은 쓰루-비젼 영역 외부의 적층 유리판의 상부 1/3에 배치된다. 차앞유리는 상부 에지 영역에서 마스킹 프린트(9)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킹 프린트는 중앙 시야 밖의 차량 판유리가 부착 부품을 숨기거나 차량 판유리를 차체에 연결시키는 접착제를 자외선에 대해 보호하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마스킹 프린트는 통상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서 도포되고 소성된 검은 색 또는 어두운 에나멜로 구성된다. 이 예에서, 마스킹 프린트(9)는 그 뒤에 위치된 카메라를 감추도록 차량 판유리의 카메라 창(K) 주위로 둘러싼다. 적층 유리판은 2개의 유리층(GS1,GS2)과 이들 유리층 사이에 배치된 열가소성 필름(F)으로 구성된다. 유리층(GS1,GS2)은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되고 두께는 2.1 mm이다. 열가소성 필름(F)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정해진 영역(K)은 카메라 창을 형성한다.
도 6은 설명된 적층 유리판(1) 및 카메라(7)로 구성되는 가능한 카메라 장치(6)를 도시한다. 적층 유리판(1)의 유리층(GS1)은 차량의 외부를 향하고 유리층(GS2)은 내부를 향한다. 카메라(7)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층 유리판(1)을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통과하는 광선을 기록한다. 카메라는 정의된 영역을 조준한다; 이것은 광선이 최적화된 쐐기각 프로파일을 갖는 영역을 통과하도록 카메라가 장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투과시의 이중 이미지가 효율적으로 감소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차선 보조 시스템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주변 영역(A)에 의해 모든 측면이 둘러싸인 HUD 영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유리판(1)을 도시한 것이다. HUD 영역은 정의된 영역에 위치하는데, 여기에는 고스트 이미지 및 이중 이미지를 회피하기 위해 최적화된 쐐기각 프로파일이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HUD 영역은 쓰루-비젼 영역에서 차앞유리의 좌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층(GS1), 유리층(GS2) 및 열가소성 필름(F)으로부터 적층 유리판(1)를 제조하는 동안, 이러한 설계는 사전에 최적화된 쐐기각 프로파일에 따라 정의된 영역(K)에서 우측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제거함으로써 우측 운전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과정을 일례로 나타낸다. 단계 I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4)이 마련된다. 단계 II에서, 레이저(8)는 정의된 영역(K)에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4)의 표면(10)으로부터 대략 1700 mm의 거리에 위치된다. 레이저로서 적합한 것은, 예를 들어, 파장이 10.6 ㎛이고 출력이 250 W인 CO2 레이저이다. 정의된 영역은 레이저에 의해 선(11)으로 가로질러진다(도 9 참조). 도 9는 레이저로 선으로(in lines) 가공되는 정의된 영역(K)의 평면도이다. 레이저 출력은 처음에는 낮았고 점차 증가했다. 10 m/s의 속도(v)에서, 중합체는 정의된 영역에서 선으로 제거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선 이후에 레이저가 0.1 mm만큼 오프셋되고, 이후 중합체는 다음 선을 따라 제거된다. 대략 50개의 선(5 mm) 이후에, 레이저의 출력(P)은 중합체 제거를 증가시키도록 증가되었다. 이것은 또한 제거 깊이를 증가시킨다. 이 작업은 원하는 프로파일이 얻어질 때까지 수행된다. 이러한 단계적인 출력 증가에 의해, 원하는 쐐기각을 명확하게 획득할 수 있었다.
도 10은 제1면(10.1) 및 제2면(10.2)의 정의된 영역에서 레이저로 가공된 열가소성 필름(F)을 도시한다. 여기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거울 대칭되게 제거되었다. 이에 따라, 더 큰 쐐기각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만, 표면에서의 절대 제거 깊이(absolute ablation depths)는 제거가 하나의 표면에서만 수행될 때보다 더 작아진다.
도 11은 도 10에서와 같이 제1면(10.1) 및 제2면(10.2)의 정의된 영역에서 레이저로 가공된 열가소성 필름(F)을 도시한다. 정의된 영역(K)의 쐐기각 진행만이 상이하다. 이 경우, 각각의 면(10.1, 10.2)에서 동일한 양의 재료가 제거되었다. 그 결과, 정의된 영역(K)에서 두 면(10.1, 10.2)이 거울 대칭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거울면/대칭면(S)은 주변 영역에서 제1면(10.1)의 평면 및 제2면(10.2)의 평면에 대해 이들 사이의 중앙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이다. 따라서, 거울면(S)은 주변 영역(A)의 제1면(10.1)의 평면에 평행하고 제2면(10.2)의 평면에 평행한 1/2 h1의 거리에서 연장된다.
GS1: 유리층 1, 유리판 1
GS2: 유리층 2, 유리판 2
F: 열가소성 필름
K: 정의된 영역
A: 주변 영역
g1: 제1경계영역
g2: 제2경계영역
h1: 미가공된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 주변 영역(A)에서의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
h2: 정의된 영역에서의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
h2max: 정의된 영역에서의 열가소성 필름의 최대 두께
S: 대칭면, 거울면
1: 유리판
2: 눈
3: 광원, HUD 프로젝터
4: 일정한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 미가공된 열가소성 필름
5: HUD 장치
6: 카메라 장치
7: 카메라
8: 레이저
9: 마스킹 프린트
10: 열가소성 필름의 면
10.l: 열가소성 필름의 제1면
10.2: 열가소성 필름의 제2면
11: 선

Claims (16)

  1. 적층 유리판(1)용 중간층으로 적합한 열가소성 필름(F)으로,
    열가소성 필름(F)은
    - 0이 아닌 쐐기각을 갖는 카메라 창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영역을 위해 마련되는 정의된 영역(K), 및
    - 열가소성 필름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h1)를 가지며, 모든 측면에서 정의된 영역(K)을 둘러싸는 영역(A)을 적어도 포함하고,
    열가소성 필름의 정의된 영역(K)에서의 최대 두께(h2max)는 주변 영역(A)에서의 두께(h1)보다 작은, 열가소성 필름(F).
  2. 제 1 항에 있어서,
    정의된 영역(K)은 가변 쐐기각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F).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주변 영역(A)에서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h1)는 50 ㎛ 내지 2000 ㎛, 바람직하게는 300 ㎛ 내지 850 ㎛,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380 μm 내지 760 μm 사이인, 열가소성 필름(F).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필름(F)은 실질적으로 PVB로 제조된, 열가소성 필름(F).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필름(F)은 소음 저감 효과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F).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의된 영역(K)은 HUD 영역을 위해 2000 mm² 내지 200,000 mm², 바람직하게는 10,000 mm² 내지 200,000 mm²의 면적에 걸쳐 연장되고, 카메라 창을 위해 2000 mm²내지 10,000 mm²의 면적에 걸쳐 연장되는, 열가소성 필름(F).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필름(F)은 제1면(10.1) 및 대향하는 제2면(10.2)을 가지며, 제1면 및 제2면의 평면들은 주변 영역(A)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열가소성 필름은 정의된 영역(K)에서 주변 영역에서의 제1면(10.1)과 제2면(10.2)의 평면들에 대해 평면들 사이의 중앙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거울면/대칭면(S)을 가지는, 열가소성 필름(F).
  8. 적층 유리판용 중간층으로 적합한 열가소성 필름(F)의 제조 방법으로,
    열가소성 필름(F)은 0이 아닌 쐐기각을 갖는 적어도 정의된 영역(K)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필름(F)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h1)를 갖는 주변 영역(A)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필름의 정의된 영역(K)에서의 최대 두께(h2max)는 주변 영역(A)에서의 두께 (h1)보다 작으며,
    상기 방법은
    - 일정한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4)을 마련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영역(K)에서 레이저(8)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중합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정의된 영역(K)에서 쐐기각은 변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먼저, 일정한 두께(4)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의 제1면(10.1)을 정의된 영역 (K)에서 레이저(8)로 가공하고, 다음으로, 열가소성 필름의 제2면(10.2)을 동일한 정의된 영역(K)에서 레이저(8)로 가공하는,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 깊이는 0.10 mm 내지 0.30 mm, 바람직하게는 0.15 mm 내지 0.25 mm 사이인, 방법.
  12. 제1유리층(GS1), 제2유리층(GS2) 및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F)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 유리판(1)으로,
    열가소성 필름(F)는 제1유리층(GS1)과 제2유리층(GS2)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 유리판(1).
  13. 적층 유리판(1)의 제조 방법으로,
    - 제1유리판(GS1)을 마련하는 단계,
    - 제2유리판(GS2)을 마련하는 단계,
    - 제1유리판(GS1) 상에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필름(F)을 배치하는 단계,
    - 열가소성 필름(F) 상에 제2유리판(GS2)을 배치하는 단계,
    - 제2유리판(GS2)을 열가소성 필름(F)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적층 유리판(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역을 비추기 위한 프로젝터(3)와, 제 12 항에 따른 적층 유리판(1)을 포함하고,
    프로젝터(3)는 작동 중에 정의된 영역(K)을 실질적으로 비추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5).
  15. 카메라(7)와, 제 12 항에 따른 적층 유리판(1)을 포함하고,
    카메라(7)는 정의된 영역(K)을 향하고 적층 유리판(1)을 통과하는 광선을 기록하는, 카메라 장치(6).
  16. 제 12 항에 따른 적층 유리판(1)을 수상, 육상 및 공중에서의 운송 수단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또는 카메라 창을 구비한 앞면 판유리로 사용.
KR1020207002075A 2017-07-27 2018-07-17 적층 유리판용 열가소성 필름 KR102398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3444 2017-07-27
EP17183444.3 2017-07-27
PCT/EP2018/069372 WO2019020432A1 (de) 2017-07-27 2018-07-17 Thermoplastische kunststofffolie für eine verbundglas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988A true KR20200019988A (ko) 2020-02-25
KR102398542B1 KR102398542B1 (ko) 2022-05-25

Family

ID=5950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075A KR102398542B1 (ko) 2017-07-27 2018-07-17 적층 유리판용 열가소성 필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052639B2 (ko)
EP (1) EP3658371B1 (ko)
JP (1) JP6898510B2 (ko)
KR (1) KR102398542B1 (ko)
CN (1) CN109562606B (ko)
BR (1) BR112019021726A2 (ko)
CA (1) CA3065668A1 (ko)
ES (1) ES2887851T3 (ko)
HU (1) HUE055545T2 (ko)
MA (1) MA49672B1 (ko)
PL (1) PL3658371T3 (ko)
RU (1) RU2738173C1 (ko)
WO (1) WO2019020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4799B2 (en) * 2018-08-08 2022-12-13 Rangel Fernandez Aerospace-grade sensor replacement method
CN114787688A (zh) * 2019-11-29 2022-07-22 旭硝子欧洲玻璃公司 用于从抬头显示器(hud)投影图像的层压窗玻璃
CN116141775A (zh) * 2021-10-08 2023-05-23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夹层玻璃及抬头显示系统
WO2023200013A1 (ja) * 2022-04-15 2023-10-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22114785B3 (de) * 2022-06-13 2023-09-21 Cariad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scheibe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38A (en) * 1992-06-25 1997-06-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haped interlayers for head-up display windshield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80021011A (ko) * 2005-05-11 2008-03-0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쐐기 프로파일을 갖는 중합체 중간층
JP2010024138A (ja) * 2001-06-15 2010-02-04 E I Du Pont De Nemours & Co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フロントガラス用の成形された中間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11435A1 (en) * 2015-07-16 2017-01-19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having enhanced surface roughnes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332A (en) 1989-09-28 1998-09-22 Ppg Industries, Inc. Windshield for head-up display system
US5013134A (en) 1989-09-28 1991-05-07 Hughes Aircraft Company Ghost-free automotive head-up display employing a wedged windshield
JPH03264184A (ja) 1990-03-13 1991-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ルスレーザによる分解除去方法
CA2138251C (en) 1992-06-25 2002-07-30 Bert C. Wong Shaped interlayers for head-up display windshield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DE19535053A1 (de) 1994-10-04 1996-04-11 Volkswagen Ag Gekrümmte Verbundscheibe
DE19611483A1 (de) 1995-09-21 1997-10-02 Volkswagen Ag Gekrümmte Verbundscheibe
EP1273559B1 (en) 1998-03-11 2004-12-2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WO1999063389A1 (en) * 1998-06-03 1999-12-09 Nippon Sheet Glass Co., Ltd. Head-up display device and laminated glass for head-up display device
JP4371654B2 (ja) * 2002-12-25 2009-11-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7223883A (ja)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JP2008201667A (ja) * 2007-01-24 2008-09-04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わせガラス
PT2217438T (pt) 2007-12-07 2018-07-05 Saint Gobain Para-brisas curvo para veículos fabricado em vidro laminado
JP2010105016A (ja) 2008-10-30 2010-05-13 Toray Advanced Film Co Ltd レーザー加工方法およびレーザー加工装置
CN105793033B (zh) * 2013-12-12 2018-04-03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在垂直和水平方向上具有在一些区段中非线性连续楔形嵌件的复合玻璃板的热塑性薄膜
PL2883693T3 (pl) 2013-12-12 2019-04-30 Saint Gobain Sposób wytwarzania termoplastycznej folii łączonej dla szyby ze szkła zespolonego
ES2897698T3 (es) 2013-12-12 2022-03-02 Saint Gobain Película termoplástica para una luna de vidrio laminado con una capa interior en forma de cuña seccionalmente continua no lineal en dirección vertical
CN106457773B (zh) * 2014-12-08 2018-10-16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平视显示器(hud)的具有小的厚度的复合玻璃
MX2017015948A (es) * 2015-06-11 2018-04-20 Saint Gobain Arreglo de proyeccion para una pantalla de visualizacion frontal (hud) analogica de contacto.
JPWO2016208370A1 (ja) * 2015-06-25 2018-04-2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
MA46751B1 (fr) * 2016-11-14 2020-10-28 Saint Gobain Vitre de véhicule comprenant un corps conducteur de lumière pour un capteur
US10338400B2 (en) * 2017-07-03 2019-07-02 Holovisions LLC Augmented reality eyewear with VAPE or wear technology
DE102019002986A1 (de) * 2018-05-07 2019-11-07 AGC Inc. Laminiertes gla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38A (en) * 1992-06-25 1997-06-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haped interlayers for head-up display windshield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2010024138A (ja) * 2001-06-15 2010-02-04 E I Du Pont De Nemours & Co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フロントガラス用の成形された中間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21011A (ko) * 2005-05-11 2008-03-0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쐐기 프로파일을 갖는 중합체 중간층
WO2017011435A1 (en) * 2015-07-16 2017-01-19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having enhanced surface rough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8039A (ja) 2020-09-17
EP3658371B1 (de) 2021-07-14
RU2738173C1 (ru) 2020-12-09
HUE055545T2 (hu) 2021-12-28
MA49672A (fr) 2021-04-28
BR112019021726A2 (pt) 2020-05-05
MA49672B1 (fr) 2021-07-29
US11052639B2 (en) 2021-07-06
PL3658371T3 (pl) 2021-11-02
CN109562606B (zh) 2022-06-24
KR102398542B1 (ko) 2022-05-25
CN109562606A (zh) 2019-04-02
JP6898510B2 (ja) 2021-07-07
ES2887851T3 (es) 2021-12-28
EP3658371A1 (de) 2020-06-03
CA3065668A1 (en) 2019-01-31
WO2019020432A1 (de) 2019-01-31
US20200147934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7093B2 (ja) 合わせガラス
JP6570660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hud)用の投影システム
KR102398542B1 (ko) 적층 유리판용 열가소성 필름
KR102274626B1 (ko) 열가소성 조합필름의 제조 방법
EP3441375B1 (en) Laminated glass
JP2017105665A (ja) 合わせガラス
WO2017090562A1 (ja) 合わせガラス
JP7003929B2 (ja) 合わせガラス
JP7477292B2 (ja) 合わせガラス
US20230288699A1 (en)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erformance
JP7059780B2 (ja) 合わせガラス
US20230016592A1 (en) Laminated glazing for projecting an image from a head-up display (hud)
CN116157259A (zh) 具有增强的在透射中的光学性能的夹层
EA045130B1 (ru) Многослойное остекление для проец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 индикаторной панели на ветровом стекле (hu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