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027A -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027A
KR20200019027A KR1020180094595A KR20180094595A KR20200019027A KR 20200019027 A KR20200019027 A KR 20200019027A KR 1020180094595 A KR1020180094595 A KR 1020180094595A KR 20180094595 A KR20180094595 A KR 20180094595A KR 20200019027 A KR20200019027 A KR 2020001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cooling
take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429B1 (ko
Inventor
남춘봉
Original Assignee
남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춘봉 filed Critical 남춘봉
Priority to KR102018009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13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by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86Pre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4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한 송출부, 상기 송출부에서 공급되는 케이블 외측으로 테이프를 테이핑시키기 위한 테이핑부, 상기 테이프가 테이핑된 케이블을 1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1압출부, 상기 제1압출부에 의해 1차 피복된 케이블을 1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1냉각부, 상기 1차 냉각된 케이블을 2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2압출부, 상기 2차 피복된 케이블을 2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2냉각부, 상기 2차 냉각된 케이블을 압연시키기 위한 압연부, 압연된 케이블을 3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3냉각부, 상기 3차 냉각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한 인취부, 및 상기 인취부를 거친 케이블을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인취부와 함께 케이블 전체를 이동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와 테이핑부, 제1압출부, 제1냉각부, 제2압출부, 제2냉각부, 압연부, 제3냉각부, 인취부 및 권취부는 하나의 공정상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나이론을 이용하여 차폐 가능한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공정상에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Shielded cabl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이론을 이용하여 차폐 케이블을 제조하되, 하나의 공정상으로 제조함에 따라, 제조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두 가닥 이상의 선재를 꼬아서(stranding) 제조한 후, 차폐를 위해 다양한 재질을 합사하여 절연재질로 피복하여 마무리 된다.
여기서, 종래 차폐장치는 등록특허 제10-1103633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보빈이 권취된 꼬인 케이블을 이송시키며 차폐 재질을 한 층 이상 감아 차폐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차폐장치는 이송과정에서의 장력을 조절하고, 진동을 방지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이 존재함에 따라, 그 제조과정에서 별도의 비용이 발생된다.
그리고 하나의 복합케이블의 제조를 위하여 꼬인 케이블 제조장치와 차폐장치를 별도의 공간에 각각 설비하여 각각의 제조과정은 물론, 각 과정에서 권취된 보빈을 이송하는 등의 과정이 발생되어 원가는 더욱 증가되어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차폐를 위해, 납성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납성분은 인체에 유해함은 물론,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폐 케이블 제조 시, 납성분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차폐와 피복을 하나의 공정상에서 이루어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한 송출부, 상기 송출부에서 공급되는 케이블 외측으로 테이프를 테이핑시키기 위한 테이핑부, 상기 테이프가 테이핑된 케이블을 1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1압출부, 상기 제1압출부에 의해 1차 피복된 케이블을 1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1냉각부, 상기 1차 냉각된 케이블을 2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2압출부, 상기 2차 피복된 케이블을 2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2냉각부, 상기 2차 냉각된 케이블을 압연시키기 위한 압연부, 압연된 케이블을 3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3냉각부, 상기 3차 냉각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한 인취부, 및 상기 인취부를 거친 케이블을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인취부와 함께 케이블 전체를 이동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와 테이핑부, 제1압출부, 제1냉각부, 제2압출부, 제2냉각부, 압연부, 제3냉각부, 인취부 및 권취부는 하나의 공정상에 배치되며, 나이론을 이용하여 차폐 가능한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공정상에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한 송출부, 상기 송출부에서 공급되는 케이블 외측으로 테이프를 테이핑시키기 위한 테이핑부, 상기 테이프가 테이핑된 케이블을 1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1압출부, 상기 제1압출부에 의해 1차 피복된 케이블을 1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1냉각부, 상기 1차 냉각된 케이블을 2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2압출부, 상기 2차 피복된 케이블을 2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2냉각부, 상기 2차 냉각된 케이블을 압연시키기 위한 압연부, 압연된 케이블을 3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3냉각부, 상기 3차 냉각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한 인취부, 및 상기 인취부를 거친 케이블을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인취부와 함께 케이블 전체를 이동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와 테이핑부, 제1압출부, 제1냉각부, 제2압출부, 제2냉각부, 압연부, 제3냉각부, 인취부 및 권취부는 하나의 공정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출부는, 케이블이 권취된 송출롤러, 상기 송출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한 쌍의 송출거치대, 및 상기 송출롤러에서 이동되는 케이블을 상기 제1압출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송출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출롤러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케이블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송출텐션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출텐션부는, 송출모터로, 케이블이 풀리기 위한 상기 송출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유지하되, 일정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케이블이 풀린다.
그리고 상기 송출가이드롤러는, 상기 송출롤러와 제1압출부 사이에 구비되되, 제1압출부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제1송출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송출가이드롤러와 제1압출부 사이에 구비되되, 제1송출가이드롤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제2송출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송출거치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송출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출간격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간격조절프레임,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되, 일단부와 타단부의 나사산이 상호 반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간격조절봉, 상기 간격조절봉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각 거치프레임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블럭, 및 상기 간격조절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간격조절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이핑부는, 테이핑프레임, 나이론 테이프가 권취되며, 상기 테이핑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이프롤러, 상기 테이프롤러에서 공급되는 테이프를 상기 케이블에 열융착시키기 위한 포밍부, 및 상기 테이프롤러의 테이프를 상기 제1압출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테이프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밍부는, 상기 송출부에서 공급되는 케이블과 상기 테이핑부에서 공급되는 테이프가 통과하기 위해 내부에 포밍공을 갖는 포밍블럭, 상기 테이프가이드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테이프가 케이블을 감싸도록 상기 포밍블럭의 포밍공으로 감아서 가이드하는 포밍호퍼, 및 상기 포밍호퍼에 의해 감싸진 단부를 향하여 열풍을 공급하여 케이블을 감싼 테이프를 열융착시키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에 의해 열융착된 부분을 밀착시켜 열융착에 의해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열압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열압착부는, 압착롤러이다.
또한, 상기 테이프가이드롤러는, 상기 테이핑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테이프가 하측을 거쳐 이동되는 제1테이프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테이프가이드롤러와 제1압출부 사이에 구비되되, 제1테이프가이드롤러의 상측에 위치되어 테이프가 상측을 거쳐 이동되는 제2테이프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밍호퍼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테이프의 단부는 상기 포밍공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 대각선에 위치되고, 상기 압착롤러는 상기 감싸지는 테이프의 단부와 상기 포밍공의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선과 직교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압출부는, 내부에 제1이송공간부를 갖고, 피복재료를 용융상태로 압출되기 위한 제1압출실린더, 상기 제1압출실린더의 제1이송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복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스크류, 및 상기 제1압출실린더의 제1이송공간부를 가열시켜 이송되는 피복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한 제1가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압출실린더는, 내부에 상기 제1이송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압출실린더몸체, 상기 제1이송공간부에 고체상태의 피복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재료공급부,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1케이블관통공과 상기 제1케이블관통공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상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용융된 피복재료가 압축되기 위한 제1재료압출공을 갖고, 이송되는 케이블의 피복이 이루어지는 제1헤드, 및 상기 제1압출실린더몸체에서 용융된 피복재료를 상기 제1헤드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로를 갖는 제1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부는, 내부에 제1저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압출부를 통해 1차 압출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1냉각수조, 상기 제1냉각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물공급부, 및 상기 제1냉각수조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제1배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냉각수조는, 상기 제1저수공간부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제1내부냉각수조, 상기 제1내부냉각수조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냉각수조와 제1저수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외부냉각수조, 및 상기 제1내부냉각수조와 제1외부냉각수조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저수공간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수조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제1내부냉각수조와 제1외부냉각수조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조조절부는, 상기 제1내부냉각수조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외부냉각수조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랙기어, 상기 제1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외부냉각수조에 구비되는 제1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핸들, 상기 제1랙기어와 평행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내부냉각수조에 연결되는 제1가이드봉, 및 상기 제1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외부냉각수조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블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배수부에 의해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제1냉각수조로 순환시키는 제1순환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순환부는, 상기 제1배수부에 의해 배수되는 물이 저수되는 제1순환조, 상기 제1순화조의 물을 상기 제1냉각수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순환관, 및 상기 제1순환관을 통해 물을 순환시키는 제1순환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압출부는, 내부에 제2이송공간부를 갖고, 피복재료를 용융상태로 압출되기 위한 제2압출실린더, 상기 제2압출실린더의 제2이송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복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스크류, 및 상기 제2압출실린더의 제2이송공간부를 가열시켜 이송되는 피복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한 제2가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압출실린더는, 내부에 상기 제2이송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압출실린더몸체, 상기 제2이송공간부에 고체상태의 피복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재료공급부,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2케이블관통공과 상기 제2케이블관통공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상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용융된 피복재료가 압축되기 위한 제2재료압출공을 갖고, 이송되는 케이블의 피복이 이루어지는 제2헤드, 및 상기 제2압출실린더몸체에서 용융된 피복재료를 상기 제2헤드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로를 갖는 제2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냉각부는, 내부에 제2저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냉각부를 통해 1차 냉각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2냉각수조, 상기 제2냉각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물공급부, 및 상기 제2냉각수조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제2배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연부는, 상기 케이블의 하단부를 압연시키기 위한 하부압연롤, 상기 하부압연롤에 대응되어 상기 케이블의 상단부를 압연시키기 위한 상부압연롤, 및 상기 상부압연롤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압연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연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연가압부는, 압연프레임, 상기 압연프레임에 구비되는 압연하부고정프레임, 상기 압연하부고정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압연상부고정프레임, 상기 압연하부고정프레임과 압연상부고정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압연롤이 구비되는 압연이동프레임, 및 상기 압연이동프레임과 압연하부고정프레임, 상기 압연이동프레임과 압연상부고정프레임 각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연스프링,을 포함하고, 압연되는 케이블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 상기 상부압연롤을 하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압연상부고정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압연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연조절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상기 압연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연조절봉, 상기 압연조절봉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상기 압연상부고정프레임에 형성되는 압연조절공, 및 상기 압연조절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압연조절핸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냉각부는, 내부에 제3저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압출부를 통해 2차 피복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3냉각수조, 상기 제3냉각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3물공급부, 및 상기 제3냉각수조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제3배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취부는, 하부인취부, 상기 하부인취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3냉각부를 거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한 상부인취부, 및 상기 하부인취부와 상부인취부 사이로 케이블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취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인취부는, 한 쌍의 하부인취롤러, 상기 한 쌍의 하부인취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하부인취벨트, 및 상기 하부인취벨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하부인취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인취부는, 한 쌍의 상부인취롤러, 상기 한 쌍의 상부인취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상부인취벨트, 및 상기 상부인취벨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상부인취가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취가이드부는, 일정 간격을 갖고,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인취가이드롤러로, 상기 하부인취부와 상부인취부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취부에 의해 인취된 케이블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인취텐션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취텐션부는, 인취텐션프레임, 복수의 제1인취홈을 갖고, 상기 인취텐션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인취텐션롤러, 복수의 제2인취홈을 갖고, 상기 제1인취텐션롤러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인취텐션롤러, 및 상기 제1인취텐션롤러와 제2인취텐션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인취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취부를 거친 케이블이 상기 제1인취텐션롤러의 제1인취홈과 제2인취텐션롤러의 제2인취홈에 교번 귄취되어 텐션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2인취텐션롤러를 이동시켜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인취텐션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취텐션이동부는, 상기 인취텐션프레임에 구비되는 인취텐션레일, 상기 제2인취텐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취텐션이동프레임, 및 상기 인취텐션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인취텐션이동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취텐션이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에 의해 이동되는 케이블에 의해 상기 인취텐션이동프레임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인취텐션롤러와 제1인취텐션롤러의 간격이 조절되어 텐션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귄취부는, 케이블이 권취된 권취롤러, 상기 권취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한 쌍의 권취거치대, 및 상기 권취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권취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권취거치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권취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권취간격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귄취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권취간격조절프레임,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되, 일단부와 타단부의 나사산이 상호 반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권취간격조절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간격조절봉, 상기 권취간격조절봉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각 권취거치대에 구비되는 권취간격조절블럭, 및 상기 권취간격조절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권취간격조절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연부에 의해 압연된 케이블 표면에 인쇄물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부는,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인쇄노즐, 및 상기 인쇄노즐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제조장치에 의하면, 나이론을 이용하여 차폐 가능한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공정상에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출부의 송출간격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부의 포밍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냉각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압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냉각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냉각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귄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간격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출부의 송출간격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부의 포밍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냉각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압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냉각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냉각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귄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간격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제조장치(10)는 송출부(100)와 테이핑부(200), 제1압출부(300), 제1냉각부(400), 제2압출부(500), 제2냉각부(600), 압연부(700), 제3냉각부(800), 인취부(900) 및 권취부(1000)를 포함한다.
송출부(100)는 케이블(1)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테이핑부(200)는 송출부(100)에서 공급되는 케이블 외측으로 테이프를 테이핑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1압출부(300)는 테이핑부(200)에 의해 테이프가 테이핑된 케이블을 1차 피복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냉각부(400)는 제1압출부(300)에 의해 1차 피복된 케이블을 1차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압출부(500)는 제1냉각부(400)에 의해 1차 냉각된 케이블을 2차 피복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냉각부(600)는 제2압출부(500)에 의해 2차 피복된 케이블을 2차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압연부(700)는 제2냉각부(600)에 의해 2차 냉각된 케이블을 압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3냉각부(800)는 압연부(700)에 의해 압연된 케이블을 3차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인취부(900)는 제3냉각부(800)에 의해 3차 냉각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권취부(1000)는 인취부(900)를 거친 케이블을 권취시킴에 따라, 인취부(900)와 함께 케이블 전체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송출부(100)와 테이핑부(200), 제1압출부(300), 제1냉각부(400), 제2압출부(500), 제2냉각부(600), 압연부(700), 제3냉각부(800), 인취부(900) 및 권취부(1000)는 하나의 공정상에 배치된다.
이를 위한, 송출부(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출롤러(110)와 송출거치대(120) 및 송출가이드롤러(130)를 포함한다.
송출롤러(110)는 케이블이 권취된다.
그리고 송출거치대(120)는 한 쌍으로, 송출롤러(110)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킨다.
송출가이드롤러(130)는 송출롤러(110)에서 이동되는 케이블을 제1압출부(30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송출부(100)는 송출텐션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 송출텐션부(140)는 송출롤러(110)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케이블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송출텐션부(140)는 송출모터로, 케이블이 풀리기 위한 송출롤러(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유지하되, 일정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케이블이 풀린다.
또한 송출가이드롤러(130)는 제1송출가이드롤러(132)와 제2송출가이드롤러(134)를 포함한다.
제1송출가이드롤러(132)는 송출롤러(110)와 제1압출부(300) 사이에 구비되되, 제1압출부(300)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케이블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송출가이드롤러(134)는 제1송출가이드롤러(132)와 제1압출부(300) 사이에 구비되되, 제1송출가이드롤러(132)의 하측에 구비되어 케이블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출부(100)는 송출간격조절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 송출간격조절부(150)는 한 쌍의 송출거치대(1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송출간격조절부(150)는 간격조절프레임(152)과 간격조절봉(154), 간격조절블럭(156) 및 간격조절구동부(158)를 포함한다.
간격조절프레임(152)은 한 쌍의 거치프레임(12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간격조절봉(154)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되, 일단부와 타단부의 나사산이 상호 반대되도록 형성되고, 간격조절프레임(1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간격조절블럭(156)은 간격조절봉(154)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각 거치프레임(120)에 구비된다.
또한 간격조절구동부(158)는 간격조절봉(154)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테이핑부(200)는 테이핑프레임(210)과 테이프롤러(220), 포밍부(230) 및 테이프가이드롤러(240)를 포함한다.
테이프롤러(220)는 나이론 테이프가 권취되며, 테이핑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포밍부(230)는 테이프롤러(220)에서 공급되는 테이프를 케이블에 열융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테이프가이드롤러(240)는 테이프롤러(220)의 테이프를 제1압출부(30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포밍부(2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밍블럭(232)과 포밍호퍼(234) 및 열풍공급부(236)를 포함한다.
포밍블럭(232)은 송출부(100)에서 공급되는 케이블과 테이핑부(200)에서 공급되는 테이프가 통과하기 위해 내부에 포밍공(233)이 형성된다.
또한 포밍호퍼(234)는 테이프가이드롤러(240)를 통해 공급되는 테이프가 케이블을 감싸도록 포밍블럭(232)의 포밍공(233)으로 감아서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열풍공급부(236)는 포밍호퍼(234)에 의해 감싸진 단부를 향하여 열풍을 공급하여 케이블을 감싼 테이프를 열융착시킨다.
여기서, 포밍부(230)는 열압착부(238)를 더 포함한다.
이 열압착부(238)는 열풍공급부(236)에 의해 열융착된 부분을 밀착시켜 열융착에 의해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열압착부(238)의 일 실시 예로 압착롤러(239)로, 하나 이상 구비되어 열융착에 의해 돌출된 부분을 압착하여 외주면을 고르게 형성한다.
또한 테이프가이드롤러(240)는 제1테이프가이드롤러(242)와 제2테이프가이드롤러(244)를 포함한다.
제1테이프가이드롤러(242)는 테이핑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테이프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하측을 통해 변환되어 상측에 위치된 제2테이프가이드롤러(244)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테이프가이드롤러(244)는 제1테이프가이드롤러(242)와 제1압출부(300) 사이에 구비되되, 제1테이프가이드롤러(242)의 상측에 위치되어 테이프가 상측을 거쳐 이동된다.
여기서, 포밍호퍼(234)에 의해 감싸지는 테이프의 단부는 포밍공(233)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 대각선에 위치되고, 열압착부(238)인 압착롤러(239)는 감싸지는 테이프의 단부와 포밍공(233)의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선과 직교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1압출부(3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압출실린더(310)와 제1이송스크류(320) 및 제1가열부(330)를 포함한다.
제1압출실린더(310)는 내부에 제1이송공간부(302)를 갖고, 피복재료를 용융상태로 압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이송스크류(320)는 제1압출실린더(310)의 제1이송공간부(30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복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1가열부(330)는 제1압출실린더(310)의 제1이송공간부(302)를 가열시켜 이송되는 피복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1압출실린더(310)는 제1압출실린더몸체(312)와 제1재료공급부(314), 제1헤드(316) 및 제1넥(318)을 포함한다.
제1압출실린더몸체(312)는 내부에 제1이송공간부(3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재료공급부(314)는 제1이송공간부(302)에 고체상태의 피복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헤드(316)는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1케이블관통공(3162)과 제1케이블관통공(3162)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상에 복수 개 구비되어 용융된 피복재료가 압축되기 위한 제1재료압출공(3164)을 갖고, 이송되는 케이블의 피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넥(318)은 제1압출실린더몸체(312)에서 용융된 피복재료를 제1헤드(316)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로(3182)가 형성된다.
이에, 이동되는 케이블의 외주면을 향해 피복재료를 공급하여 1차 피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냉각부(4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냉각수조(410)와 제1물공급부(420) 및 제1배수부(430)를 포함한다.
제1냉각수조(410)는 내부에 제1저수공간부(402)를 갖고, 제1압출부(300)를 통해 1차 압출된 케이블이 통과된다.
또한 제1물공급부(420)는 제1냉각수조(4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배수부(430)는 제1냉각수조(410)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것으로, 일정량을 물이 저수됨은 물론, 물의 흐름을 발생시켜 1차 피복된 케이블을 냉각시킨다.
이를 위한, 제1냉각수조(410)는 제1내부냉각수조(412)와 제1외부냉각수조(414) 및 제1수조조절부(416)를 포함한다.
제1내부냉각수조(412)는 제1저수공간부(402)의 일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외부냉각수조(414)는 제1내부냉각수조(4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1내부냉각수조(412)와 제1저수공간부(402)를 형성한다.
제1수조조절부(416)는 제1내부냉각수조(412)와 제1외부냉각수조(414)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저수공간부(40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는, 피복재료의 온도에 따라, 냉각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케이블에 맞도록 길이가 조절되어 사용됨이 당연하다.
여기서, 제1배수부(430)는 제1내부냉각수조(412)와 제1외부냉각수조(414)에 각각 구비되어 수위가 조절된다.
그리고 제1수조조절부(416)는 제1랙기어(4161)와 제1구동기어(4162), 제1구동핸들(4163), 제1가이드봉(4164) 및 제1가이드블럭(4165)을 포함한다.
제1랙기어(4161)는 제1내부냉각수조(41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외부냉각수조(414)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1구동기어(4162)는 제1랙기어(4161)에 치합되도록 제1외부냉각수조(414)에 구비된다.
제1구동핸들(4163)은 제1구동기어(4162)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봉(4164)은 제1랙기어(4161)와 평행하도록 일단부가 제1내부냉각수조(412)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블럭(4165)은 제1가이드봉(4164)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1외부냉각수조(414)에 구비된다.
이 제1냉각부(400)는 제1순환부(4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1순환부(440)는 제1배수부(430)에 의해 배수되는 물을 제1냉각수조(410)로 순환시킨다.
이를 위한, 제1순환부(440)는 제1순환조(442)와 제1순환관(444) 및 제1순환펌프(446)를 포함한다.
제1순환조(442)는 제1배수부(430)에 의해 배수되는 물이 저수된다.
그리고 제1순환관(444)은 제1순환조(442)의 물을 제1냉각수조(410)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순환펌프(446)는 제1순환관(444)을 통해 물을 순환시킨다.
또한 제2압출부(5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압출실린더(510)와 제2이송스크류(520) 및 제2가열부(530)를 포함한다.
제2압출실린더(510)는 내부에 제2이송공간부(502)를 갖고, 피복재료를 용융상태로 압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이송스크류(520)는 제2압출실린더(510)의 제2이송공간부(50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복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가열부(530)는 제2압출실린더(510)의 제2이송공간부(502)를 가열시켜 이송되는 피복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2압출실린더(510)는 제2압출실린더몸체(512)와 제2재료공급부(514), 제2헤드(516) 및 제2넥(518)을 포함한다.
제2압출실린더몸체(512)는 내부에 제2이송공간부(5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재료공급부(514)는 제2이송공간부(502)에 고체상태의 피복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헤드(516)는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2케이블관통공(5162)과 제2케이블관통공(5162)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상에 복수 개 구비되어 용융된 피복재료가 압축되기 위한 제2재료압출공(5164)을 갖고, 이송되는 케이블의 피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2넥(518)은 제2압출실린더몸체(512)에서 용융된 피복재료를 제2헤드(516)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로(5182)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냉각부(600)는 제2냉각수조(610)와 제2물공급부(620) 및 제2배수부(630)를 포함한다.
제2냉각수조(610)는 내부에 제2저수공간부(602)를 갖고, 제1냉각부(400)를 통해 1차 냉각된 케이블이 통과된다.
또한 제2물공급부(620)는 제2냉각수조(6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배수부(630)는 제2냉각수조(610)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부(700)는 하부압연롤(710)과 상부압연롤(720) 및 압연가압부(730)를 포함한다.
하부압연롤(710)은 케이블의 하단부를 압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부압연롤(720)은 하부압연롤(710)에 대응되어 케이블의 상단부를 압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압연가압부(730)는 상부압연롤(72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압연력을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압연가압부(730)는 압연프레임(731)과 압연하부고정프레임(732), 압연상부고정프레임(733), 압연이동프레임(734) 및 압연스프링(735)을 포함한다.
압연하부고정프레임(732)은 압연프레임(731)에 구비된다.
그리고 압연상부고정프레임(733)은 압연하부고정프레임(732)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
압연이동프레임(734)은 압연하부고정프레임(732)과 압연상부고정프레임(733)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압연롤(720)이 구비된다.
또한 압연스프링(735)은 압연이동프레임(734)과 압연하부고정프레임(732), 압연이동프레임(734)과 압연상부고정프레임(733) 각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압연가압부(730)에 의하면, 압연되는 케이블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 상부압연롤(720)을 하측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압연부(700)는 압연조절부(740)를 더 포함한다.
이 압연조절부(740)는 압연상부고정프레임(73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압연조절부(740)는 압연조절봉(742)과 압연조절공(744) 및 압연조절핸들(746)을 포함한다.
압연조절봉(742)은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압연프레임(7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압연조절공(744)은 압연조절봉(742)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압연상부고정프레임(733)에 형성된다.
압연조절핸들(746)은 압연조절봉(742)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3냉각부(800)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냉각수조(810)와 제3물공급부(820) 및 제3배수부(830)를 포함한다.
제3냉각수조(810)는 내부에 제3저수공간부(802)를 갖고, 제2압출부(500)를 통해 2차 피복된 케이블이 통과된다.
그리고 제3물공급부(820)는 제3냉각수조(8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3배수부(830)는 제3냉각수조(810)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된다.
여기서, 제3냉각수조(810)는 제1냉각수조(410)와 제2냉각수조(61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최소 제1냉각수조(410)의 길이보다 4배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물공급부(820)와 제3배수부(830)는 제3냉각수조(810)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물공급과 배수가 이루어져 피복된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취부(900)는 하부인취부(910)와 상부인취부(920) 및 인취가이드부(930)를 포함한다.
상부인취부(920)가 하부인취부(910)에 대응하여 제3냉각부(800)를 거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인취가이드부(930)는 하부인취부(910)와 상부인취부(920) 사이로 케이블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하부인취부(910)는 하부인취롤러(912)와 하부인취벨트(914) 및 하부인취가압부(916)를 포함한다.
하부인취롤러(912)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하부인취벨트(914)는 한 쌍의 하부인취롤러(912)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된다.
또한 하부인취가압부(916)는 하부인취벨트(914)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인취부(920)는 상부인취롤러(922)와 상부인취벨트(924) 및 상부인취가압부(926)를 포함한다.
상부인취롤러(922)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부인취벨트(924)는 한 쌍의 상부인취롤러(922)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된다.
또한 상부인취가압부(926)는 복수 개로, 상부인취벨트(924)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인취가이드부(930)는 한 쌍의 인취가이드롤러(932)로 일정 간격을 갖고,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인취가이드부(930)는 하부인취부(910)와 상부인취부(9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인취부(900)는 인취텐션부(940)을 더 포함한다.
이 인취텐션부(940)는 인취부(900)에 의해 인취된 케이블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인취텐션부(940)는 인취텐션프레임(942)과 제1인취텐션롤러(944), 제2인취텐션롤러(946) 및 인취구동부(948)를 포함한다.
제1인취텐션롤러(944)는 복수의 제1인취홈(945)을 갖고, 인취텐션프레임(942)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인취텐션롤러(946)는 복수의 제2인취홈(947)을 갖고, 제1인취텐션롤러(944)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인취구동부(948)는 제1인취텐션롤러(944)와 제2인취텐션롤러(94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인취텐션부(940)에 의하면, 인취부(900)를 거친 케이블이 제1인취텐션롤러(944)의 제1인취홈(945)과 제2인취텐션롤러(946)의 제2인취홈(947)에 교번 귄취되어 텐션이 유지된다.
여기서, 인취부(900)는 인취텐션이동부(950)를 더 포함한다.
이 인취텐션이동부(950)는 제2인취텐션롤러(946)를 이동시켜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인취텐션이동부(950)는 인취텐션레일(952)과 인취텐션이동프레임(954) 및 인취텐션이동롤러(956)를 포함한다.
인취텐션레일(952)은 인취텐션프레임(942)에 구비된다.
그리고 인취텐션이동프레임(954)은 제2인취텐션롤러(94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인취텐션이동롤러(956)는 인취텐션레일(952)을 따라 이동되도록 인취텐션이동프레임(95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인취텐션이동부(950)에 의하면, 권취부(1000)에 의해 이동되는 케이블에 의해 인취텐션이동프레임(954)이 이동됨에 따라, 제2인취텐션롤러(946)와 제1인취텐션롤러(944)의 간격이 조절되어 텐션이 조절된다.
그리고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귄취부(1000)는 권취롤러(1010)와 권취거치대(1020) 및 권취구동부(1030)를 포함한다.
권취롤러(1010)는 케이블이 권취된다.
또한 권취거치대(1020)는 한 쌍으로, 권취롤러(1010)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킨다.
권취구동부(1030)는 권취롤러(10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케이블을 권취시킨다.
이에, 케이블이 권취롤러(1010)에 용이하게 권취되어 이송된다.
여기서, 귄취부(1000)는 권취간격조절부(1040)를 더 포함한다.
이 권취간격조절부(1040)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권취거치대(10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권취간격조절부(1040)는 권취간격조절프레임(1042)과 권취간격조절봉(1044), 권취간격조절블럭(1046) 및 권취간격조절구동부(1048)를 포함한다.
권취간격조절프레임(1042)은 한 쌍의 권취거치대(102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권취간격조절봉(1044)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되, 일단부와 타단부의 나사산이 상호 반대되도록 형성되고, 권취간격조절프레임(104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권취간격조절블럭(1046)은 권취간격조절봉(1044)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각 권취거치대(1020)에 구비된다.
또한 권취간격조절구동부(1048)는 권취간격조절봉(1044)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제조장치(10)는 인쇄부(1100)가 더 포함된다.
이 인쇄부(1100)는 압연부(700)에 의해 압연된 케이블 표면에 인쇄물을 인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인쇄부(1100)는 인쇄노즐(1110)과 잉크공급부(1120)를 포함한다.
인쇄노즐(1110)은 잉크를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잉크공급부(1120)는 인쇄노즐(1110)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이송되는 케이블의 외주면에 인쇄물을 용이하게 인쇄시킬 수 있다.
10 : 케이블 제조장치 100 : 송출부
200 : 테이핑부 210 : 테이핑프레임
220 : 테이프롤러 230 : 포밍부
240 : 테이프가이드롤러 300 : 제1압출부
400 : 제1냉각부 500 : 제2압출부
600 : 제2냉각부 700 : 압연부
800 : 제3냉각부 900 : 인취부
1000 : 권취부 1100 : 인쇄부

Claims (10)

  1.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한 송출부;
    상기 송출부에서 공급되는 케이블 외측으로 테이프를 테이핑시키기 위한 테이핑부;
    상기 테이프가 테이핑된 케이블을 1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1압출부;
    상기 제1압출부에 의해 1차 피복된 케이블을 1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1냉각부;
    상기 1차 냉각된 케이블을 2차 피복시키기 위한 제2압출부;
    상기 2차 피복된 케이블을 2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2냉각부;
    상기 2차 냉각된 케이블을 압연시키기 위한 압연부;
    압연된 케이블을 3차 냉각시키기 위한 제3냉각부;
    상기 3차 냉각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한 인취부; 및
    상기 인취부를 거친 케이블을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인취부와 함께 케이블 전체를 이동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와 테이핑부, 제1압출부, 제1냉각부, 제2압출부, 제2냉각부, 압연부, 제3냉각부, 인취부 및 권취부는 하나의 공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케이블이 권취된 송출롤러;
    상기 송출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한 쌍의 송출거치대; 및
    상기 송출롤러에서 이동되는 케이블을 상기 제1압출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송출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부는,
    테이핑프레임;
    나이론 테이프가 권취되며, 상기 테이핑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이프롤러;
    상기 테이프롤러에서 공급되는 테이프를 상기 케이블에 열융착시키기 위한 포밍부; 및
    상기 테이프롤러의 테이프를 상기 제1압출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테이프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출부는,
    내부에 제1이송공간부를 갖고, 피복재료를 용융상태로 압출되기 위한 제1압출실린더;
    상기 제1압출실린더의 제1이송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복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스크류; 및
    상기 제1압출실린더의 제1이송공간부를 가열시켜 이송되는 피복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한 제1가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부는,
    내부에 제1저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압출부를 통해 1차 압출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1냉각수조;
    상기 제1냉각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물공급부; 및
    상기 제1냉각수조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제1배수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출부는,
    내부에 제2이송공간부를 갖고, 피복재료를 용융상태로 압출되기 위한 제2압출실린더;
    상기 제2압출실린더의 제2이송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복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스크류; 및
    상기 제2압출실린더의 제2이송공간부를 가열시켜 이송되는 피복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한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각부는,
    내부에 제2저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냉각부를 통해 1차 냉각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2냉각수조;
    상기 제2냉각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물공급부; 및
    상기 제2냉각수조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제2배수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부는,
    상기 케이블의 하단부를 압연시키기 위한 하부압연롤;
    상기 하부압연롤에 대응되어 상기 케이블의 상단부를 압연시키기 위한 상부압연롤; 및
    상기 상부압연롤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압연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연가압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냉각부는,
    내부에 제3저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압출부를 통해 2차 피복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3냉각수조;
    상기 제3냉각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3물공급부; 및
    상기 제3냉각수조의 저수된 물이 배출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제3배수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취부는,
    하부인취부;
    상기 하부인취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3냉각부를 거친 케이블을 인취시키기 위한 상부인취부; 및
    상기 하부인취부와 상부인취부 사이로 케이블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취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조장치.
KR1020180094595A 2018-08-13 2018-08-13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KR10213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95A KR102138429B1 (ko) 2018-08-13 2018-08-13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95A KR102138429B1 (ko) 2018-08-13 2018-08-13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027A true KR20200019027A (ko) 2020-02-21
KR102138429B1 KR102138429B1 (ko) 2020-07-27

Family

ID=6967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595A KR102138429B1 (ko) 2018-08-13 2018-08-13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4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52A (ko) * 2020-07-28 2022-02-04 제이에이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초전도 선재 래핑장치 및 래핑방법
KR20220071986A (ko) * 2020-11-23 2022-06-02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송전케이블 코어 이중함침 제조장치
CN114851503A (zh) * 2022-07-04 2022-08-05 昆山市新智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复合电缆的制造设备及柔性复合电缆
CN117219374A (zh) * 2023-11-09 2023-12-12 东北塑力电缆有限公司 一种加强型矿用橡套电缆的生产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7337A (ja) * 1994-12-15 1996-06-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ケーブルの架橋装置
KR101103633B1 (ko) * 2009-12-22 2012-01-11 한상수 전선 케이블용 세선 피복장치
KR101481739B1 (ko) * 2014-07-15 2015-01-14 주식회사 디케이씨 내화케이블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101650519B1 (ko) * 2016-04-20 2016-08-23 대원전선주식회사 케이블 제조용 내화테이프 바인딩장치
KR20170125274A (ko) * 2016-05-04 2017-11-14 남춘봉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101813163B1 (ko) * 2017-08-31 2017-12-28 한영공업(주) 이너 케이블 제조 장치
KR20180001979A (ko) * 2016-06-28 2018-01-05 남춘봉 전선 피복용 압출장치
KR20180103522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씨맥 수평 현수제어를 이용한 압출 케이블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7337A (ja) * 1994-12-15 1996-06-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ケーブルの架橋装置
KR101103633B1 (ko) * 2009-12-22 2012-01-11 한상수 전선 케이블용 세선 피복장치
KR101481739B1 (ko) * 2014-07-15 2015-01-14 주식회사 디케이씨 내화케이블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101650519B1 (ko) * 2016-04-20 2016-08-23 대원전선주식회사 케이블 제조용 내화테이프 바인딩장치
KR20170125274A (ko) * 2016-05-04 2017-11-14 남춘봉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20180001979A (ko) * 2016-06-28 2018-01-05 남춘봉 전선 피복용 압출장치
KR20180103522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씨맥 수평 현수제어를 이용한 압출 케이블 냉각 시스템
KR101813163B1 (ko) * 2017-08-31 2017-12-28 한영공업(주) 이너 케이블 제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52A (ko) * 2020-07-28 2022-02-04 제이에이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초전도 선재 래핑장치 및 래핑방법
KR20220071986A (ko) * 2020-11-23 2022-06-02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송전케이블 코어 이중함침 제조장치
CN114851503A (zh) * 2022-07-04 2022-08-05 昆山市新智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复合电缆的制造设备及柔性复合电缆
CN114851503B (zh) * 2022-07-04 2022-09-20 昆山市新智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复合电缆的制造设备及柔性复合电缆
CN117219374A (zh) * 2023-11-09 2023-12-12 东北塑力电缆有限公司 一种加强型矿用橡套电缆的生产设备
CN117219374B (zh) * 2023-11-09 2024-01-16 东北塑力电缆有限公司 一种加强型矿用橡套电缆的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429B1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9027A (ko)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US3905853A (en) Reinforced plastics tubes
KR101637316B1 (ko)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CN1902358B (zh) 挠性牵引构件
EP104781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twisted cable and the cable produced thereby
US411354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ubes by helically winding sheets
KR102115343B1 (ko) 케이블 보호 튜브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03182B1 (ko)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CN101553363A (zh) 平板形碳加热单元的涂覆装置及其涂覆方法
CN117079898B (zh) 一种电缆纵包机
EP0936051B1 (en) Device for replacing a full winding roll by sheet extrusion
FI93030C (fi) Laite ja menetelmä köyden tai useista johtimista kierretyn kaapelin päällystämiseksi
KR101803236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CN217531952U (zh) 柔性加热通道
JP2007331110A (ja) 長繊維強化樹脂ストランドの製造装置
CN210651989U (zh) 一种储料装置以及制造钢丝冠带的生产线
KR101663007B1 (ko) 케이블 제조용 내화테이프 공급장치
KR101803237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CN116994837B (zh) 一种低烟无卤高阻燃隔氧层中压线缆及生产工艺
KR102498266B1 (ko) 멀티탭용 케이블 제조장치
CN205451934U (zh) 一种电缆用铝管成型系统
CN216838309U (zh) 一种熔体纺丝纺纱机
KR101442735B1 (ko) 열가소성 필름-연속섬유 복합체 제조장치
CN116313316B (zh) 一种拖链电缆护套挤包装置
KR20170125758A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