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918A - 헬리컬 날붙이 드릴 - Google Patents

헬리컬 날붙이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918A
KR20200017918A KR1020180093474A KR20180093474A KR20200017918A KR 20200017918 A KR20200017918 A KR 20200017918A KR 1020180093474 A KR1020180093474 A KR 1020180093474A KR 20180093474 A KR20180093474 A KR 20180093474A KR 20200017918 A KR20200017918 A KR 2020001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utting
helical
edge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901B1 (ko
Inventor
고태조
박기문
위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9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8Drills combined with tool parts or tools for performing additional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08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23B2251/248Drills in which the outer surface is of speci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CFRP 구멍가공 용도의 드릴 비트의 랜드부에 칩 배출 홈의 비틀림각에 비해 상당히 큰 비틀림각을 가지는 미세한 홈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나선형 홈의 공구 선단측 모서리가 예각을 가지는 절삭날을 제공함으로써, 드릴 비트가 구멍을 관통한 후 후퇴될 때 잔여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헬리컬 날을 추가로 포함하는 드릴 비트 구조를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공정의 변경이나 추가 없이 CFRP 구멍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컬 날붙이 드릴{Helical Groove Attached Drill Bit}
본 발명은 탄소 섬유 복합재 CFRP의 구멍 가공 및 디버링(deburring)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복합재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보이며 기존의 금속 소재에 비해 가벼운 무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항공, 자동차 및 스포츠 레저 분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구조재로 사용되는 CFRP는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해 매우 많은 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한편, CFRP는 강성이 매우 높은 소재인 카본파이버가 포함되어 공구 마모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CFRP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절삭 특성을 고려한 전용 공구나 공구 수명을 증대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코팅(CVD coating) 공구 등에 의해 CFRP의 절삭 품질이 개선되고는 있으나, 공구인선의 급격한 초기 마모는 공구 수명주기 내에도 구멍가공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항공기용 CFRP 부품의 경우, 전체 부품 제조비용 중 디버링(deburring) 가공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수준이라고 보고된 바 있을 정도로 구멍가공결함은 전체 제조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예컨대 보잉747의 경우 각종 부품간의 연결을 위한 3억개의 구멍이 있으며, 카본 복합재가 전폭적으로 적용된 보잉787의 경우 CFRP와 관련된 구멍의 개수는 10만개이다. CFRP는 소재 자체의 가격도 높지만, 구멍가공에 소요되는 가공 시간뿐만 아니라 공구 비용도 상당한 수준이다.
CFRP의 구멍가공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종류로는 비절삭 파이버(uncut fiber), 모서리 마멸 헤짐(fraying), 칩핑(chipping), 비절삭 레진(uncut resin), 스폴링(spalling) 및 박리(delamination) 등이 있다. 카본 파이버의 높은 강성, 높은 온도에서 물성이 급변하는 결합 수지, CFRP의 낮은 열전달율 및 CFRP 성형 과정에서 내재된 국부 결함부 등이 이러한 결함 발생의 원인이다.
본 발명은 CFRP 구멍가공에서 발생되는 결함 중 특히 비절삭 섬유를 포함하는 버(burr)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드릴 비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은, 원기둥 형상의 절삭부 선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절삭날; 절삭부의 외주면 상에 제1비틀림각을 가지고 제1절삭날로부터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홈; 인접하는 제1홈 사이에 배치되는 제1랜드(land); 제1비틀림각보다 큰 제2비틀림각을 가지고 제1랜드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홈; 인접하는 제2홈 사이에 배치되는 제2랜드; 및 제2랜드의 나선형 모서리 중 절삭부의 후단 방향에 배치되어, 절삭부가 후단 방향으로 이송될 때 버(burr)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제3절삭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랜드의 나선형 모서리 중 절삭부의 선단 방향에 위치한 제1모서리는 둔각을 가지고, 제2랜드의 나선형 모서리 중 절삭부의 후단 방향에 위치한 제2모서리로서, 제3절삭날은 예각을 가짐으로써, 헬리컬 날붙이 드릴이 가공물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 후퇴할 때 버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비틀림각은 70도 내지 80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홈의 폭은 0.5 mm 내지 1.5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홈의 깊이는 1 mm 내지 2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모서리는 외주면에 대해 120도 내지 140도의 각도 크기를 가지고, 제2모서리는 외주면에 대해 65도 내지 85도의 각도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CFRP 구멍가공 용도의 드릴 비트의 랜드부에 칩 배출 홈의 비틀림각에 비해 상당히 큰 비틀림각을 가지는 미세한 홈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나선형 홈의 공구 선단측 모서리가 예각을 가지는 절삭날을 제공함으로써, 드릴 비트가 구멍을 관통한 후 후퇴될 때 잔여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헬리컬 날을 추가로 포함하는 드릴 비트 구조에 관한 것이며, 공정의 변경이나 추가 없이 CFRP 구멍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디버링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에 의한 비절삭 파이버 디버링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CFRP 구멍가공 성능을 비교검증하기 위한 실험조건을 나타낸다.
도 7은 선단각이 90도 및 118도인 두 경우의 일반 드릴에 의한 CFRP 구멍가공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선단각이 90도 및 118도인 두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에 의한 CFRP 구멍가공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도7 및 도 8의 가공실험에 따른 구멍 내측 표면조도를 측정 비교한 결과이다.
도 10은 동일 회전수에서 피드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로 가공한 구멍 내주면을 비교한 SEM영상이다.
도 11은 동일 피드에서 회전수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로 가공한 구멍 내주면을 비교한 SEM영상이다.
도 12는 동일 회전수에서 피드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멍가공 내측면을 비교한 3차원 레이저 스캔 영상이다.
도 13은 동일 피드에서 회전수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멍가공 내측면을 비교한 3차원 레이저 스캔 영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 비트(10)는 일반적인 드릴 구조에서 랜드부에 칩 배출 홈(groove, flute)의 비틀림각(helix angle) 보다 상당히 큰 비틀림각을 가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랜드부에 형성된 홈은 드릴 선단측 모서리가 예각을 가져, 드릴이 후퇴할 때 구멍 출구 모서리(820) 및 구멍 내벽의 비절삭 파이버(700)를 절삭하여 제거함으로써 디버링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은, 원기둥 형상의 절삭부 선단(9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절삭날(100); 절삭부의 외주면(110) 상에 제1비틀림각(210)을 가지고 제1절삭날(100)로부터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홈(120); 인접하는 제1홈(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랜드(land, 220); 제1비틀림각(210)보다 큰 제2비틀림각(310)을 가지고 제1랜드(220)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홈(340); 인접하는 제2홈(3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랜드(390); 및 제2랜드(390)의 나선형 모서리 중 절삭부의 후단 방향(2)에 배치되어, 절삭부가 후단 방향(2)으로 이송될 때 버(burr)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제3절삭날(300)을 포함한다.
제2랜드(390)의 나선형 모서리 중 절삭부의 선단 방향(1)에 위치한 제1모서리(350)는 둔각을 가지고, 제2랜드(390)의 나선형 모서리 중 절삭부의 후단 방향(2)에 위치한 제2모서리(360)로서, 제3절삭날(300)은 예각을 가짐으로써,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이 가공물(800)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 후퇴할 때 버를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절삭부의 선단(900)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2랜드(390)의 제1모서리(350)는 둔각을 가져, 드릴이 공구 선단 방향(1)으로 하강하여 구멍가공을 수행할 때 제1모서리(350)가 불필요한 절삭 부하를 부가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홈(340)은 제2비틀림각(310)을 가지고 드릴의 제1랜드(220)에 형성되되, 외주면(110)을 타고 복수의 회전수 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약 3회전인 경우를 예시한다. 인접한 제2홈(340)의 사이에는 제2랜드(390)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비틀림각(310)은 70도이며, 제2비틀림각(310)은 70도 내지 80도 범위일 수 있다.
제2랜드(390)는 드릴 공구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단면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홈(340)의 단면은 드릴 공구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을수록 유리하고, 비절삭 파이버(700) 등을 절삭하여 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정도의 깊이와 폭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드릴의 기본 사양이나 가공물(800)인 CFRP의 버 발생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홈(340)의 입구측 폭(370)은 1 mm, 깊이(380)는 1.5 mm이며, 제2홈(340)의 공구 선단(900)측 제2모서리(360)는 드릴 외주면(110)을 기준으로 75도의 예각을 가지는 날카로운 모서리로 형성되며, 제2홈(340)의 공구 선단(900) 반대측 제1모서리(350)는 130도의 둔각으로 설정된다. 제2홈(340)의 폭(370)과 깊이(380)는 일 실시예의 경우 비절삭 파이버(700)가 최대 약 2.5 mm 수준의 길이로 발생하는 것을 참조하여 선정하였다.
제2랜드(390)의 공구 후단 방향(2)에 형성된 제3절삭날(300)은 드릴이 가공물(800)에 구멍을 형성할 때는 절삭에 참여하지 않으며, 드릴이 구멍을 관통한 후 공구 후단 방향(2)으로 후퇴할 때, 즉, 구멍 출구 모서리(820) 및 구멍 내주면(810)에 발생할 수 있는 버를 가공할 때만 절삭을 수행한다. 제3절삭날(300)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절삭을 수행함으로써, 드릴 절삭날의 파손이나 급격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3절삭날(300)은 양의 절삭날 각도(positive rake angle)을 가져 CFRP의 구멍 내측에서 레진으로부터 파이버가 박리되는 등의 원인으로 지지상태가 저하되었을 수 있는 비절삭 파이버(700)를 매우 낮은 절삭부하 상태에서 예리하게 절삭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디버링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릴은 선단(900) 측에서 봤을 때 반시계방향(3)으로 회전하며, 관통 구멍이 형성된 후 드릴이 상부로 후퇴하면서 제2절삭날(200) 및 제3절삭날(300)이 구멍 내주면(810) 및 구멍 출구 모서리(820)를 후가공한 후, 구멍으로부터 드릴이 분리되는 개념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에 의한 비절삭 파이버 디버링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절삭 파이버(700)는 드릴이 회전하며 후퇴하는 과정에서 제2홈(340)에 수용되며, 제3절삭날(300)이 회전 및 전진함에 따라 절삭되어 제거된다. 제3절삭날(300)은 공구 후단 방향(2)으로 드릴 후퇴 시에만 버 제거에 관여함으로써 양의 절삭날 각도를 가짐에도 마모 정도가 낮을 수 있어 드릴의 필요한 공구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CFRP 구멍가공 성능을 비교검증하기 위한 실험조건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검증을 위한 실험은 직조 형태의 CFRP에 대해 진행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은 단방향(UD: uni-directional) CFRP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드릴 공구의 경우, 주어진 절삭 조건에서 약 길이 2.5 mm 수준의 비절삭 파이버가 모든 직조 방향에서 관찰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선단각이 90도 및 118도인 두 경우의 일반 드릴에 의한 CFRP 구멍가공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선단각이 90도 및 118도인 두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에 의한 CFRP 구멍가공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7과 도 8을 비교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의 경우에는 잔여 비절삭 파이버(700)가 매우 적게 남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해당 비교실험의 경우 드릴 선단각이 90도인 경우에 보다 버 발생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멍 출구 모서리(820)의 가공 상태도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의 경우가 우수하였다.
도 9는 도7 및 도 8의 가공실험에 따른 구멍 내측 표면조도를 측정 비교한 결과이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버 발생의 정도 뿐만 아니라, 가공된 구멍의 내주면 표면조도도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에 의한 가공 결과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0은 동일 회전수에서 피드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로 가공한 구멍 내주면을 비교한 SEM영상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반 드릴의 경우에는 구멍 내주면(810)의 원주 방향과 나란히 배열된 파이버가 절삭되지 않고 그대로 노출된 경우도 관찰되며, 이는 드릴의 피드가 증가할수록 커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멍가공을 위해 드릴이 하강하는 경우 상당한 절삭부하가 제1절삭날(100) 및 제2절삭날(200)에 작용하며, 절삭가공에 의한 발열이 가공소재에 누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본 파이버를 잡고 있는 레진(resin)의 온도가 상승하며 카본 파이버가 절삭되기 위한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출된 버 뿐만 아니라 구멍 원주면에 인접하여 나란한 비절삭 파이버(700)가 절삭되지 않고 돌출되어 결과적으로 표면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은 공구 후단 방향(2)으로 후퇴 시에 제3절삭날(300)이 구멍 내주면(810)을 2차 가공하면서 비절삭 파이버(700)를 절삭하고 더 좋은 품질의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1은 동일 피드에서 회전수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로 가공한 구멍 내주면을 비교한 SEM영상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일 피드에서 회전수를 증가시킨 경우에 절삭부하, 발열 등의 요인으로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일반 드릴의 경우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의 경우 모두 관찰된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의 경우에 그 정도가 덜함을 확인하였다.
도 12는 동일 회전수에서 피드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멍가공 내측면을 비교한 3차원 레이저 스캔 영상이다.
도 13은 동일 피드에서 회전수를 달리한 경우, 일반 드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의 구멍가공 내측면을 비교한 3차원 레이저 스캔 영상이다.
도 12 및 도 13은, 구멍 내주면(810)의 일부분 완곡부에 대한 형상을 레이저로 3차원 스캔하여 그 높낮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가공물(800)은 직조된 카본 파이버가 적층된 형태임을 3차원 레이저 스캔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진한 남색의 선분 형태는 원주면과 나란한 카본 파이버들 사이로 볼 수 있으며, 이들 선분 형태가 층 영역이 다수 포함된 영역에 대한 스캔 결과이다. 또한, 일반 공구로 가공된 표면은 다수의 점 형태가 포함되는데, 이는 스캔된 원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직조된 카본 파이버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컨대 원주면에 수직인 카본 파이버가 절삭되며 탄성 변형으로 일시 눌렸던 레진 부위가 가공 종류 후 올라오면서 카본 파이버의 절삭면이 레진 면 보다 낮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캔된 원주면에 나란한 층의 가공 상태도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날붙이 드릴(10)이 우수하다. 보다 자세히 영상을 비교 검토하며, 특히 원주면에 카본 파이버가 수직으로 직조된 영역의 가공 상태는 일 실시예의 경우, 매우 깨끗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일반 공구의 경우와 비교하여 우수한 표면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릴 비트에 추가로 구비된 제3절삭날(300)은 특히, 공구가 후단 방향(2)으로 후퇴할 때 절삭이 이루어지는 절삭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릴이 구멍가공을 위해 하강하며 절삭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는 상당한 절삭부하와 절삭열이 작용하며, 또한 배출되는 다수의 경도가 높은 카본 파이버 칩에 의해 절삭날의 마모가 빨라질 수 있다. 즉, 드릴 하강 방향으로 가공할 때 버 제거를 하도록 제2홈(340)의 드릴 선단(900)에서 먼 쪽의 모서리가 예각이 되도록 제3절삭날(300)을 형성한다고 가정하면, 가공소재에 누적되는 열에 의해 버 제거 효율이 저하될 수도 있고, 배출되는 다수의 카본 파이버 칩에 의해 예각인 절삭날의 마모가 급격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 제3절삭날(300)의 경우에는 절삭 칩 및 절삭열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수 있어, 드릴 공구 수명을 더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원기둥 형상의 절삭부 선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절삭날;
    상기 절삭부의 외주면 상에 제1비틀림각을 가지고 상기 제1절삭날로부터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홈;
    인접하는 상기 제1홈 사이에 배치되는 제1랜드(land);
    상기 제1비틀림각보다 큰 제2비틀림각을 가지고 상기 제1랜드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홈;
    인접하는 상기 제2홈 사이에 배치되는 제2랜드; 및
    상기 제2랜드의 나선형 모서리 중 상기 절삭부의 후단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부가 후단 방향으로 이송될 때 버(burr)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제3절삭날;
    을 포함하는
    헬리컬 날붙이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랜드의 나선형 모서리 중 상기 절삭부의 선단 방향에 위치한 제1모서리는 둔각을 가지고,
    상기 제2랜드의 나선형 모서리 중 상기 절삭부의 후단 방향에 위치한 제2모서리로서, 상기 제3절삭날은 예각을 가짐으로써,
    상기 헬리컬 날붙이 드릴이 가공물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 후퇴할 때 버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헬리컬 날붙이 드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틀림각은 70도 내지 80도 범위인
    헬리컬 날붙이 드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의 폭은 0.5 mm 내지 1.5 mm 범위인
    헬리컬 날붙이 드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의 깊이는 1 mm 내지 2 mm 범위인
    헬리컬 날붙이 드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서리는 상기 외주면에 대해 120도 내지 140도의 각도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2모서리는 상기 외주면에 대해 65도 내지 85도의 각도 크기를 가지는
    헬리컬 날붙이 드릴.
KR1020180093474A 2018-08-10 2018-08-10 헬리컬 날붙이 드릴 KR10214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74A KR102143901B1 (ko) 2018-08-10 2018-08-10 헬리컬 날붙이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74A KR102143901B1 (ko) 2018-08-10 2018-08-10 헬리컬 날붙이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18A true KR20200017918A (ko) 2020-02-19
KR102143901B1 KR102143901B1 (ko) 2020-08-12

Family

ID=6967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474A KR102143901B1 (ko) 2018-08-10 2018-08-10 헬리컬 날붙이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8645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貫通穴のバリレス加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穴開け工具
JP2014012302A (ja) * 2012-07-04 2014-01-23 Fukui Prefecture 複合材料用ドリル並びにそれを用いた機械加工方法及び機械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8645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貫通穴のバリレス加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穴開け工具
JP2014012302A (ja) * 2012-07-04 2014-01-23 Fukui Prefecture 複合材料用ドリル並びにそれを用いた機械加工方法及び機械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01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1792B2 (ja) ドリル及びドリルヘッド
JP5366003B2 (ja) ルーターエンドミル
JP5945283B2 (ja) ドリル
JP5135614B2 (ja) 複合材料用ドリル並びにそれを用いた機械加工方法及び機械加工装置
JP5823840B2 (ja) ドリル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5184902B2 (ja) 繊維強化複合材の穴あけ工具と穴あけ方法
WO2009122937A1 (ja) エンドミル
JP5451831B2 (ja) 繊維強化複合材の穴あけ工具と穴あけ方法
JP5610292B2 (ja) エンドミル
KR101351128B1 (ko) 엔드 밀
JP5828217B2 (ja) ドリル
JP2009039811A (ja) 繊維強化複合材の穴あけ工具と穴あけ方法
WO2010143595A1 (ja) 穴あけ工具
JP2006150553A (ja) ドリル
JP2019171493A (ja) ドリル
JP6918013B2 (ja) 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方法
JP2014012302A (ja) 複合材料用ドリル並びにそれを用いた機械加工方法及び機械加工装置
CN214392488U (zh) 一种用于复合材料钻孔用环形刀具
JP2013252588A (ja) クアドラプルアングルドリル
WO2016047803A1 (ja) ドリル及びドリルヘッド
JP2016064477A (ja) ドリル
KR20200017918A (ko) 헬리컬 날붙이 드릴
JP5691424B2 (ja) ドリル
JP2009039810A (ja) 繊維強化複合材の穴あけ方法
JP2019005882A (ja) 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