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13A -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13A
KR20200017813A KR1020180093203A KR20180093203A KR20200017813A KR 20200017813 A KR20200017813 A KR 20200017813A KR 1020180093203 A KR1020180093203 A KR 1020180093203A KR 20180093203 A KR20180093203 A KR 20180093203A KR 20200017813 A KR20200017813 A KR 20200017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current
substrate
constant current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304B1 (ko
Inventor
유윤상
Original Assignee
(주)선우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우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선우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9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304B1/ko
Priority to PCT/KR2019/009602 priority patent/WO2020032476A1/ko
Publication of KR2020001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8Current shield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은, 도금 용액이 수용된 수조를 포함하는 전기 도금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소스와, 전원 소스의 양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수조내의 도금 용액에 침지되는 양극부와,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어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와, 기판 클램핑부와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도금용 기판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정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ELECTRO PLA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FUCTION OF CONTROLLING CONSTANT CURRENT}
본 출원은,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처리(Plating, 도금, 착색, 피막 등)는 물질의 표면상태를 개선할 목적으로 물질의 표면에 다른 물질로 된 박막을 피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면처리의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첫째 원재료의 내식성 부족을 보완하고자 특정한 환경속에서도 견딜 수 있는 금속박막을 입히는 방식(防蝕), 둘째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원재료보다 단단한 금속박막을 입히는 표면경화, 셋째 원재료의 표면에 귀금속 또는 색채가 아름다운 금속 합금의 박막을 붙이는 표면 미화, 넷째 빛 또는 열의 반사율을 높인다든지 또는 평활한 표면과 광택을 위해 금속 박막을 붙이는 표면의 평활화 및 반사율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표면처리 방식은 크게 습식표면처리와 건식표면처리로 구분되며, 습식표면처리는 습한 환경 예를 들어 처리용액에 가공물을 함침시켜 표면을 처리하고, 건식표면처리는 진공의 용기에서 플라즈마나 아크, 가열증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처리한다.
이중 습식표면처리 방식은 표면처리 공정전후 및 공정중 이전 공정에서 사용되었던 반응액 및 도금액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단계를 진행하며, 특히 정류기와 같은 전원을 공급하는 측에서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장비의 부식이나 열화 접촉저항 등의 편차로 인하여 하나의 도금 용액에서 처리되는 모든 도금용 기판의 도금 정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불량률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26085호(“복수의 도금공정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도금장치”, 공개일:2011년03월15일)
본 발명은, 하나의 도금 용액에서 처리되는 모든 도금용 기판을 균일하게 도금시켜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원 소스; 상기 전원 소스의 양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상기 수조내의 도금 용액에 침지되는 양극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어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 및 상기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금용 기판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정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원 소스와, 상기 전원 소스의 양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수조내의 도금 용액에 침지되는 양극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어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 도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 도금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 클램핑부에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정전류 제어부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무선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정전류 제어부에서, 무선 수신된 상기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되도록 상기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금용 기판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상기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3 단계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전류 소스와 기판 클랭핑부의 연결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전류 소스에 의해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이 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의 평균값이 상기 기설정된 전류값이 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상기 전류 소스의 전류값이 되는 온오프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측에서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전류를 받는 도금용 기판 측에서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 조절하고 기설정된 도금 전류값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하나의 도금 용액에서 처리되는 모든 도금용 기판을 균일하게 도금시켜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클램핑부를 중심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의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클램핑부를 중심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100)은, 전압 소스(110)와, 전압 소스(110)의 양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수조(10)내의 도금 용액(1)에 침지되는 양극부(120)와, 전압 소스(110)의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어 도금용 기판(S)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140)와, 기판 클램핑부(140)와 전압 소스(110)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도금용 기판(S)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도금용 기판(S)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정전류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압 소스(110)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양극 단자에는 수조(10)내의 도금 용액(1)에 침지되는 양극부(120)가 연결되며, 음극 단자에는 제어 모듈(150)을 통해 도금용 기판(S)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 소스의 일종으로 전압 소스(11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전압 소스(110) 대신 전류 소스가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기판 클램핑부(140)는 연결 프레임(130)에 결합되고, 연결 프레임(130)은 연결 부재(161)를 통해 가이드 레일(16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기판 클램핑부(140)는 가이드 레일(160)의 축방향(D1)을 따라 기설정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 클램핑부(140)가 가이드 레일(160)의 축방향(D1)을 따라 기설정된 속도로 이동하는 연속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배치식의 경우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연결 프레임(130)은 정전류 제어부(150)가 결합되는 수평 지지대(131)와, 기판 클램핑부(140)가 결합되는 수직 지지대(132)를 구비하며, 수평 지지대(131)의 끝단부에 수직 지지대(132)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130)은 도금용 기판(S)의 수량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정전류 제어부(150)는 방열을 위한 히트싱크(151)에 의해 수평 지지대(13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판 클램핑부(140)는 도금용 기판(S)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수직 지지대(132)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정전류 제어부(150)로부터 도금을 위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기판 클램핑부(140)는 도금용 기판(S)으로 전류를 전도하도록 전도성 재질에 의해 이루어지며, 수직 지지대(132)와 절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 클램핑부(140)는 수직 지지대(132)에 결합되는 클램프 지지대(141)와, 수직 지지대(132)와 클램프 지지대(141)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부재(143)와, 도금용 기판(S)을 고정하도록 클램프 지지대(141)에 구비되는 집게 부재(145)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프 지지대(141)는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수직 지지대(132)에 결합되며, 정전류 제어부(150)로부터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절연 부재(143)는 수직 지지대(132)와 클램프 지지대(141) 사이에 결합되어 수직 지지대(132)와 클램프 지지대(141)를 절연시킬 수 있다.
집게 부재(145)는 도금용 기판(S)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지지대(141)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며, 도금용 기판(S)의 도금 처리시에 도금 용액에 일부가 잠기게 된다. 이러한 집게 부재(145)를 통해 클램프 지지대(141)로 인가되는 전류가 도금용 기판(S)으로 전달되도록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다.
또한, 집게 부재(145)는 도금용 기판(S)의 도금 처리시에 발생하는 도금물질의 흡착이나 표면 식각 등으로 인하여 전기 저항성이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집게 부재(145)의 저항 변화는 집게 부재(145)를 통해 도금용 기판(S)으로 인가되는 도금 전류값을 변화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도금 전류값의 변화를 정전류 제어부(150)가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류 제어부(15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류 제어부(150)는 기판 클램핑부(140)와 전압 소스(110)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 프레임(130)의 수평 지지대(131)에 결합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정전류 제어부(150)는 도금용 기판(S)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류 제어부(150)는 도금용 기판(S)의 도금을 위한 전류를 기판 클램핑부(140)로 인가하며, 기판 클램핑부(140) 및 도금 용액의 전기 저항(R) 변화에 따라 도금용 기판(S)으로 인가되는 도금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류 제어부(150)는 기판 클램핑부(140)와 전압 소스(110)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된 전류 소스(151)와,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전류 소스(151)와 기판 클랭핑부(140)의 연결을 개폐함으로써, 전류 소스(151)에 의해 도금용 기판(S)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이 되도록 하는 스위칭 소자(152)와,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소스(151)는 부하에 관계없이 그에 대하여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일 수 있으며, 그 일단은 기판 클램핑부(140)에 타단은 전압 소스(11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152)는 제어부(155)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전류 소스(151)와 기판 클랭핑부(140)의 연결을 개폐함으로써, 전류 소스(151)에 의해 도금용 기판(S)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152)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ield-effect transistor, FET), 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Gate turn-off thyristor, GTO), 및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하는 반도체 스위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5)는 스위칭 소자(152)에 인가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스위칭 신호는 도금용 기판(S)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이 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151a 참조)일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스위칭 신호는 도금용 기판(S)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정전류 소스(151)의 전류값이 되는 온/오프 신호일 수도 있다.
제어부(155)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브(153)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5)는 기판 클램핑부(140)와 도금 용액의 저항(R) 변화에 따라 도금용 기판(S)의 도금용 기판 전류값 및 도금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으로 유지되도록 게이트 드라이브(15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5)는 기판 클램핑부(140)와 도금 용액의 저항이 감소됨으로 인하여 도금용 기판(S)으로 인가되는 도금 전류값이 증가 또는 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도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이 되도록 게이트 드라이브(153)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드라이브(153)는 제어부(155)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스위칭 소자(152)를 구동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154)는 전류 소스(151)와 기판 클램핑부(140)를 개폐함에 의해 도금용 기판(S)에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션트 저항(Rs)을 통해 전압의 형태로 감지하고, 감지된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제어부(155)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형태로 션트 저항(Rs)을 이용한 전류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홀 센서와 같은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무선통신부(156)는 안테나(ANT)를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155)로 전달할 수 있으며, 안테나(ANT)를 통해 도금용 기판(S)에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외부 서버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통신부(156)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 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외부 서버는 PLC, 컴퓨터, 노트북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정전류 제어부(150)는 기판 클램핑부(140)에 연결된 단순히 전류 소스(15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전기 도금 시스템(100)은 단일의 기판 클램핑부 및 단일의 정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기판 클램핑부(140) 및 그에 대응되는 정전류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적어도 2 이상의 기판 클램핑부(140)에 고정된 도금용 기판(S)에 흐르는 전류는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음(즉, 적어도 2 이상의 기판 클램핑부(140)에 고정된 도금용 기판(S)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거나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측에서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전류를 받는 도금용 기판 측에서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 조절하고 기설정된 도금 전류값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하나의 도금 용액에서 처리되는 모든 도금용 기판을 균일하게 도금시켜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사항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 소스(110)와, 전압 소스(110)의 양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수조(10)내의 도금 용액(1)에 침지되는 양극부(120)와, 전압 소스(110)의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어 도금용 기판(S)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140)와, 도금용 기판(S)에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150)를 구비한 전기 도금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판 클램핑부(140)에 도금용 기판(S)을 고정시키는 단계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S401).
이후, 정전류 제어부(150)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무선 수신할 수 있다(S402).
다음, 정전류 제어부(150)는 무선 수신된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되도록 도금용 기판(S)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도금용 기판(S)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S403).
구체적으로, 정전류 제어부(150)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정전류 소스(151)와 기판 클랭핑부(140)의 연결을 개폐함으로써, 정전류 소스(151)에 의해 도금용 기판(S)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스위칭 신호는, 도금용 기판(S)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이 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이거나, 또는 도금용 기판(S)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정전류 소스(151)의 전류값이 되는 온오프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류 제어부(150)는 기판 클램핑부(140)와 전압 소스(110)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측에서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전류를 받는 도금용 기판 측에서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 조절하고 기설정된 도금 전류값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하나의 도금 용액에서 처리되는 모든 도금용 기판을 균일하게 도금시켜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전기 도금 시스템
1: 도금 용액
10: 수조
110: 전압 소스
120: 양극부
130: 연결프레임
131: 수평지지대
132: 수직지지대
140: 기판 클램핑부
141: 클램프 지지대
143: 절연부재
145: 집게 부재
150: 정전류 제어부
151: 전류소스
153: 게이트 드라이브
154: 전류감지부
155: 제어부
156: 무선통신부
160: 가이드 레일
161: 연결부재
S: 도금용 기판
Rs: 션트 저항

Claims (8)

  1. 전원 소스;
    상기 전원 소스의 양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수조내의 도금 용액에 침지되는 양극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어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 및
    상기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금용 기판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정전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상기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된 전류 소스;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 소스와 상기 기판 클랭핑부의 연결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전류 소스에 의해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이 되도록 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의 평균값이 상기 기설정된 전류값이 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상기 전류 소스의 전류값이 되는 온/오프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무선 수신하고, 상기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 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클램핑부는,
    연결 프레임에 결합되는 클램프 지지대;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 지지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 지지대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 및
    상기 클램프 지지대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집게 부재;
    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금 시스템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기판 클램핑부 및 그에 대응되는 정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기판 클램핑부에 고정된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는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상기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된 전류 소스;
    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8. 전원 소스와, 상기 전원 소스의 양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며 수조내의 도금 용액에 침지되는 양극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 연결되어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 도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 도금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 클램핑부에 도금용 기판을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정전류 제어부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을 무선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정전류 제어부에서, 무선 수신된 상기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되도록 상기 도금용 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금용 기판에 기설정된 크기의 도금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상기 기판 클램핑부와 상기 전원 소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3 단계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전류 소스와 기판 클랭핑부의 연결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전류 소스에 의해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이 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의 평균값이 상기 기설정된 전류값이 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도금용 기판을 흐르는 도금 전류의 전류값이 상기 전류 소스의 전류값이 되는 온오프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방법.
KR1020180093203A 2018-08-09 2018-08-09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11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03A KR102111304B1 (ko) 2018-08-09 2018-08-09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9/009602 WO2020032476A1 (ko) 2018-08-09 2019-08-01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03A KR102111304B1 (ko) 2018-08-09 2018-08-09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13A true KR20200017813A (ko) 2020-02-19
KR102111304B1 KR102111304B1 (ko) 2020-05-18

Family

ID=6941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203A KR102111304B1 (ko) 2018-08-09 2018-08-09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1304B1 (ko)
WO (1) WO20200324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591A (ko) * 2020-04-03 2021-10-14 (주)포인텍 양산형 고품질 도금 장치
KR20210123611A (ko) * 2020-04-03 2021-10-14 (주)포인텍 이동형 수직애노드가 장착된 도금장치
KR102341098B1 (ko) * 2021-05-24 2021-12-28 제타엠텍 주식회사 스마트폰안테나용 미세패턴 몰드 자동화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695B1 (ko) * 2022-12-29 2023-09-07 (주)선우하이테크 정전류 제어모듈을 이용한 습식 표면처리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532A (ja) * 2005-03-18 2006-09-28 Nakabohtec Corrosion Protecting Co Ltd 電気防食における被防食体の電位の測定方法、電位測定装置、電気防食方法及び装置
KR100927848B1 (ko) * 2009-03-02 2009-11-23 길주형 백금 대체용 비철금속재 전극센서를 이용한 유사백금흑 도금방법
KR20110026085A (ko)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복수의 도금공정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도금장치
KR20130071861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도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6736A (ko) * 2012-10-31 2014-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도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3285A (ko) * 2013-06-10 2016-01-08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력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7043815A (ja) *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めっき装置、めっき方法、及び基板ホルダ
KR101859395B1 (ko) * 2017-10-18 2018-05-18 (주)네오피엠씨 기판 도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1708A1 (de) * 1979-12-19 1981-07-02 Schering Ag Berlin Und Bergkamen, 1000 Berl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regelung von teilstromstaerken eines gleichrichter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532A (ja) * 2005-03-18 2006-09-28 Nakabohtec Corrosion Protecting Co Ltd 電気防食における被防食体の電位の測定方法、電位測定装置、電気防食方法及び装置
KR100927848B1 (ko) * 2009-03-02 2009-11-23 길주형 백금 대체용 비철금속재 전극센서를 이용한 유사백금흑 도금방법
KR20110026085A (ko)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복수의 도금공정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도금장치
KR20130071861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도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6736A (ko) * 2012-10-31 2014-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도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3285A (ko) * 2013-06-10 2016-01-08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력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7043815A (ja) *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めっき装置、めっき方法、及び基板ホルダ
KR101859395B1 (ko) * 2017-10-18 2018-05-18 (주)네오피엠씨 기판 도금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591A (ko) * 2020-04-03 2021-10-14 (주)포인텍 양산형 고품질 도금 장치
KR20210123611A (ko) * 2020-04-03 2021-10-14 (주)포인텍 이동형 수직애노드가 장착된 도금장치
KR102341098B1 (ko) * 2021-05-24 2021-12-28 제타엠텍 주식회사 스마트폰안테나용 미세패턴 몰드 자동화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476A1 (ko) 2020-02-13
KR102111304B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304B1 (ko) 정전류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도금 시스템 및 방법
JP6479085B2 (ja) 半導体処理用の交流駆動を用いる多重ヒータアレイ
KR101300325B1 (ko) 기판 도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639564B (zh) 用于一电弧炉的供电装置及方法
JP4028892B2 (ja) 電解金属析出のために電流パルスを発生するための方法と回路配置
TWI474403B (zh) 高效能高準確度加熱驅動器
US11229092B2 (en) Heating circuit and induction cooking hob
JP2007317651A (ja) アーク炉電力供給デバイス
KR102164884B1 (ko) 개별 지그의 전류를 제어하는 도금장치
US20200324359A1 (en) Resistance Welding Apparatus and Resistance Welding Method for the Resistance Welding of at least One Component
WO2024094129A1 (zh) 电镀装置
KR20210011983A (ko) 전기 도금 장치 및 전기 도금 방법
JP2010539334A (ja) 電気化学コーティング設備の給電回路網の電流制御装置
CN111917673B (zh) 用于在rf环境中的装置的控制方法和系统
JP2015500401A (ja) 被加工物を被覆するための被覆装置及び方法
KR20190036619A (ko) 전기도금라인의 무선행거에 장착된 기판에 인가되는 전류의 제어방법
TW202236351A (zh) 多區加熱裝置、下電極組件及電漿處理裝置
CN113258799A (zh) 变流单元和浸涂设备
KR102171785B1 (ko) 이더켓 인터페이스 및 헤드룸 제어를 이용한 도금 전력 공급
KR101622375B1 (ko) 직교류 비대칭 전원을 이용한 알미늄 소재의 전기착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539458B2 (ja) 電解水生成機用電源
KR102066166B1 (ko) 효율성을 증대시킨 전착 도장 시스템
EP2849329B1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CN113943968A (zh) 具备个别分区的电镀装置
KR19990008480U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웨이퍼 온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