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283A - 자동 세척 창틀 - Google Patents

자동 세척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283A
KR20200017283A KR1020180092684A KR20180092684A KR20200017283A KR 20200017283 A KR20200017283 A KR 20200017283A KR 1020180092684 A KR1020180092684 A KR 1020180092684A KR 20180092684 A KR20180092684 A KR 20180092684A KR 20200017283 A KR20200017283 A KR 2020001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tergent
frame
flow path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언찬
성태경
김재희
박가현
박승민
조민기
조현근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283A/ko
Publication of KR2020001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창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력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창틀을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세척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에 있어서,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차가 10mm 내지 20mm로 구성되어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높이가 높은 일측과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는 물분사구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구에는 세척수 유로가 연결되고, 세척수 유로 일측에 연결되는 세제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 유로 및 세제 유로는 각각 물탱크 및 세제탱크로부터 물 및 세제를 공급받고, 상기 물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세척 창틀{Window frames that are automatically cleaned}
본 발명은 세제 및 중화제를 공급하여 창틀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세척 창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 바닥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구비하고, 높은쪽의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세척액을 공급하여 경사면을 따라 먼지나 죽은 벌레 등의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세척액이 배수되도록 하는 자동 세척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태양광에 의한 실내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과 풍수의 차단, 방음 ,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창호는 일반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에 창틀 프레임이 고정 결합되고, 창틀프레임에 여닫이 창문, 고정창문 또는 창유리가 결합되거나 창틀프레임이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에 의해 좌우 상하로 구획된 다수의 구획부에 여닫이 창문, 고정창문 또는 창유리가 고정된다.
종래 창틀프레임은 통상 벽체면에 고정 결합되는 장방형의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창틀프레임을 개폐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창틀프레임은 소정 간격 이격된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창문의 체결 및 체결된 창문을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창틀프레임중 수평프레임은 시간이 지나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게 되고, 쌓여진 이물질을 청소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평프레임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걸레를 이용하여 닦을 경우 먼지가 상기 안내레일의 절곡된 틈사이에 적층되어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 이렇게 틈 사이에 끼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청소를 할 경우 수평프레임의 각 구간을 안내 레일이 막고 있기 때문에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배출되는 오수가 건축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 건축물 외벽을 오염시켜 미관이 안좋아 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가 개폐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창짝의 핸들을 거머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창짝을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창짝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가 창틀프레임 상의 레일을 따라서 회전 된다. 이에 따라 창짝이 점점 맞은편 측의 창틀프레임에 근접하다가 최종적으로 창틀프레임에 터치되어 멈춰섬 으로써 닫히는 동작이 종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틀프레임은 창짝이 결합되는 레일 사이사이의 모서리부위가 직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걸레 등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경우 잘 닦이지 않는다. 즉 레일과 레일 사이의 폭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내부 모서리부 까지 접근이 어려워 청소가 어렵고, 결국 먼지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창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들이 발명되어 왔으며, 창틀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특허문헌으로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22013호가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는 기존 직각으로 형성되던 내부 모서리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변경함으로써 청소 및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창틀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발명들이 있음에도, 대형 건물 등에서는 수많은 창틀을 일일히 세척하기에 어려움이 많으며, 창틀을 세척하지 않은 채로 오랜 시간 방치되는 경우에는 건물 내부 환경에 악영향을 끼쳐서 건물에 있는 사람들에게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창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력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창틀을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세척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창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틀에 있어서,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차가 10mm 내지 20mm로 구성되어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높이가 높은 일측과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는 물분사구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구에는 세척수 유로가 연결되고, 세척수 유로 일측에 연결되는 세제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 유로 및 세제 유로는 각각 물탱크 및 세제탱크로부터 물 및 세제를 공급받고, 상기 물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분사구가 구비된 측면 프레임 베이스와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교차위치에 힌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물튐방지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물분사구 개방 시에는 물튐방지 커버가 하면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물분사구 차단 시에는 물튐방지 커버가 측면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튐방지 커버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및 하면 프레임 길이의 10% 내지 40%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분사구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는 물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물배출구와 연결된 배출수 유로에는 배출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사구 내측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물 및 세제가 공급될 때, 난류를 발생시켜 물 및 세제를 혼합하고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유로 일측에 연결되는 중화제 유로가 구비되어, 상기 중화제 유로는 중화제탱크로부터 세제 중화제를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는 세척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모터로 물튐방지 커버를 하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펌프를 구동시켜 소정의 시간동안 물을 공급하는 제1헹굼단계; 상기 헹굼단계 후, 세제 유로를 개방하여 물 및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 후, 세제 유로를 차단하고 중화제 유로를 개방하여 물 및 중화제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중화단계; 상기 중화단계 후, 중화제 유로를 차단하고 물을 공급하는 제2헹굼단계 및; 상시 제1헹굼단계 내지 제2헹굼단계 동안 배출수 펌프를 구동시켜 물을 배출하는 배출단계;에 따라 창틀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인력 없이도 창틀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제와 물을 충분히 혼합시킬 수 있도록 난류를 형성시키는 소정의 돌기가 물 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유속을 지나치게 빠르게 하지 않더라도 난류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튐방지 커버가 구비되어, 세척작업 시 물분사구 근처에서 세척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상태의 오염물질을 종합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세척 창틀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세척 창틀의 물분사구의 상세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세척 창틀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에 있어서,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차가 10mm 내지 20mm로 구성되어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높이가 높은 일측과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는 물분사구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구에는 세척수 유로가 연결되고, 세척수 유로 일측에 연결되는 세제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 유로 및 세제 유로는 각각 물탱크 및 세제탱크로부터 물 및 세제를 공급받고, 상기 물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창틀 바닥은, 수평하게 구성되며 창문을 지지하는 창문 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종래의 창틀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창틀 바닥면인 하면 프레임 베이스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경사면은 양 끝단의 높이 차이가 10mm 내지 20mm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가 너무 큰 경우에는 제조단가 증가 및 창틀 시공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경사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세척수가 제대로 흘러가지 않고 하면 프레임 베이스에 잔유물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형태의 창틀 및 창문의 크기를 고려하여, 경사면 양 끝단의 높이 차이를 10mm 내지 20mm로 한정하는 것이다.
높이차/창문너비 100cm 120cm 140cm
10cm 2.86 2.38 2.04
20cm 5.65 4.73 4.07
상기 표는 창틀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길이(창문너비) 및 높이차에 따른 경사각 값(단위 : º)을 환산한 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창문너비가 100cm 내지 140cm로 설정하였으나, 외벽 창문 외에도 거실 분합 창문 등 대형 창틀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높이 차이 10mm 내지 20mm는,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경사각 2도 내지 6도의 범위로 볼 수 있다.
물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고압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버블을 발생시켜 세척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에어배관을 물 유로에 연결하여 고압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에어배관 및 공기펌프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액체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유로에 체크밸브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제어부에는 일정 시간마다 세척작업을 자동으로 진행시키는 정기세척제어, 필요시에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세척작업을 진행하는 수동세척제어, 창틀 오염 감지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여 창틀 오염이 소정의 수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세척하는 오염감지제어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사구가 구비된 측면 프레임 베이스와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교차위치에 힌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물튐방지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물분사구 개방 시에는 물튐방지 커버가 하면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물분사구 차단 시에는 물튐방지 커버가 측면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경우, 세척수가 비산되어 창문 또는 건물 내부에 세제/오염물질 등이 묻을 수 있다. 특히 물분사구 노즐 측에서 비산 현상이 많이 발생하므로, 물 분사구 주변에서 세척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물튐방지 커버는 평상시에는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 밀착되어 창문을 여닫는 데에 지장이 없도록 구비되며, 세척작업 시에만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위쪽을 막는다. 힌지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세척작업 진행 시 자동으로 물튐방지 커버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창문이 잠긴 상태가 아니라면, 모터에 의해 물튐방지 커버가 회전하면서 창문을 자동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별도로 창문을 개방하는 장치가 없어도 된다. 창문이 잠겨서 물튐방지 커버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경고메세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별도의 관제서버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메세지를 도시할 수도 있고, 창틀에 스피커를 구비하여 창문이 닫혀있음을 알리는 경보 문구를 방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튐방지 커버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및 하면 프레임 길이의 10% 내지 40%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물튐방지 커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비산방지 효과가 적으므로 창틀 길이의 10% 정도의 길이가 권장된다. 창틀 길이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압력을 달리 할 수 있는데, 창틀이 길어질수록 창틀 전체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의 압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창틀 길이의 10% 비율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물튐방지 커버가 필요하다.
설계 요구에 따라, 창틀에는 창문이 3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크기가 동일한 2짝의 창문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창문의 구조를 고려하여 창문과 간섭하지 않도록 창틀 길이의 40%를 물튐방지 커버 길이의 상한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물분사구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는 물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물배출구와 연결된 배출수 유로에는 배출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물배출구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일반 창틀에 구비되는 물구멍은 매립될 수 있다. 창틀 외부(건물 외측)로 개방된 물구멍이 있을 경우, 세제 등의 성분이 포함된 액체가 건물 외벽을 타고 흐르거나, 건물 주변의 바닥에 떨어져서 환경오염 및 미관을 해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배출용 물구멍의 매립이 필요할 것이다. 반면에, 창문 레일 사이에 구비된 물구멍은 오히려 통상의 창틀보다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창문 레일에 소정의 간격마다 물구멍이 구비되어, 창문 레일로 인해 구분되어있는 창틀 하면 프레임 베이스 사이사이에 세척수가 교차하며 흐를 수 있게 되어 창틀 하면 전체를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물배출구는 세척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 물구멍과 같이 우천시 쌓인 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통상 빗물에 포함된 먼지 성분 및 비에 씻겨서 창틀로 유입된 오염물질이 창틀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속적으로 빗물을 제거하면서 오염물질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다.
빗물 제거 후 바닥면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이 건조되어 창틀 바닥면에 굳어버리지 않도록 우천시 상기 물분사구로부터 소정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씻어내는 제어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창틀의 오염물질은 창틀 바닥에 적층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세척작업을 수작업으로 해왔으며, 단단하게 굳어버려서 제거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여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물분사구 내측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물 및 세제가 공급될 때, 난류를 발생시켜 물 및 세제를 혼합하고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세제와 물을 따로 공급하거나, 한 배관을 통해 같이 공급하는 경우에도 단순 주입만 하는 경우에는 세제가 물에 섞이지 않은 채로 창틀을 따라 흘러가기 때문에, 세제의 세척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세제가 그대로 버려질 수 있다. 세제와 물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물 유로 및 세제 유로의 혼합부 이후의 배관에서, 복수개의 돌기들을 구비하여 난류를 형성시킨다.
일반적으로 난류 형성은 높은 Reynolds number에서 이루어지지만, 높은 유속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동 창틀 세척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구비되는 상기 돌기들로 인하여, 적절한 유속에서 돌기들을 거쳐 난류가 더 쉽게 형성되고, 물과 세제의 혼합이 촉진된다. 또한, 난류로 인한 버블의 발생도 가능하다. 버블 발생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물 및 세제 혼합액이 흐르는 배관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공기배관으로 혼합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공기 분사를 위한 공기펌프가 별도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유로 일측에 연결되는 중화제 유로가 구비되어, 상기 중화제 유로는 중화제탱크로부터 세제 중화제를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는 세척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모터로 물튐방지 커버를 하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펌프를 구동시켜 소정의 시간동안 물을 공급하는 제1헹굼단계; 상기 헹굼단계 후, 세제 유로를 개방하여 물 및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 후, 세제 유로를 차단하고 중화제 유로를 개방하여 물 및 중화제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중화단계; 상기 중화단계 후, 중화제 유로를 차단하고 물을 공급하는 제2헹굼단계 및; 상시 제1헹굼단계 내지 제2헹굼단계 동안 배출수 펌프를 구동시켜 물을 배출하는 배출단계;에 따라 창틀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작업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따라 진행된다. 창틀에 오염물질이 굳어서 쉽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불림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세척액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40도 내지 60도 온도범위에서 느린 유속으로 1분가량 불림 과정(제1헹굼단계)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창틀에 굳은 채로 고정된 오염물질이 쉽게 떨어져 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일부 오염물질은 온수만으로도 세척이 진행된다.
제1헹굼단계 후에는, 세제와 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공급하여 세척을 진행한다. 난류 형성을 통해, 세제를 물에 최대한 혼합시키며 버블을 형성하여 세척 효율이 증대된다. 수압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본 과정에서는 제1헹굼단계 보다는 강한 수압이 필요하다.
세척단계 후에는, 창틀에 남아있는 세제 및 잔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제 중화제를 혼합할 수 있다. 창틀에 세제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세제 성분이 증발하며 건물 내부에 세제 냄새를 유발하거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세제 성분을 충분히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중화제를 통해 세제가 충분히 씻겨나갈 수 있도록, 세척단계보다 약한 수압이 필요하다. 중성세제 또는 친환경세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화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동안, 창틀에서 물이 넘치지 않도록 배출단계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배출펌프를 통해 창틀에 있는 유체를 지속적으로 흡입한다. 대형 오염물질로 인해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물배출구 입구에 별도의 교체가능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배출단계에서 적절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창틀로부터 물이 넘칠 수 있으므로, 물 공급 유로 및 배출 유로에 각각 유량계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유량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배출 유로의 유량이 더 작을 경우 제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유량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물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므로, 창틀에서 물의 넘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 공급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적층된 오염물질, 입자가 큰 오염물질 및 굳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 오염물질 등을 종합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 세척 창틀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새로 제작되는 창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서도 소정의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세척 창틀을 실시할 수 있다.
기존에 설치된 창틀은 하면 프레임 베이스가 수평하게 되어있어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데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으나, 상기 기재된 2도 내지 6도 가량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1도 정도의 각도만을 형성시키고, 펌프의 압력을 통해 물을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경사면의 각도가 낮더라도 일측에서는 물을 지속 공급하고, 일측에서는 배수펌프로 유체를 흡입하고 있기 때문에, 세척액이 적체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3에서는 각종 배관이 벽에 매립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관을 위하여 벽에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하여, 창틀의 안쪽(건물 내벽측)에서 물분사구 및 물배출구를 연결시킬 수 있다. 시공하는 경우에는 창틀의 바깥쪽(건물 외벽측)에 형성된 물구멍을 밀폐시켜야 할 것이다.
11 : 창틀 하면 프레임 베이스
12', 12'' : 창틀 측면 프레임 베이스
2 : 물분사구
21 : 세척수 유로
211 : 돌기부
22 : 세제 유로
221, 231 : 체크밸브
23 : 중화제 유로
3 : 물튐방지 커버
31 : 힌지
4 : 물배출구
5 : 창문

Claims (6)

  1. 창틀에 있어서,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차가 발생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높이가 높은 일측과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는 물분사구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구에는 세척수 유로가 연결되고, 세척수 유로 일측에 연결되는 세제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 유로 및 세제 유로는 각각 물탱크 및 세제탱크로부터 물 및 세제를 공급받고,
    상기 물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구가 구비된 측면 프레임 베이스와 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교차위치에 힌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물튐방지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물분사구 개방 시에는 물튐방지 커버가 하면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물분사구 차단 시에는 물튐방지 커버가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 커버는,
    상기 측면 프레임 및 하면 프레임 길이의 10% 내지 40%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구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 프레임 베이스에는 물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물배출구와 연결된 배출수 유로에는 배출수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구 내측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물 및 세제가 공급될 때, 난류를 발생시켜 물 및 세제를 혼합하고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유로 일측에 연결되는 중화제 유로가 구비되어, 상기 중화제 유로는 중화제탱크로부터 세제 중화제를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는 세척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모터로 물튐방지 커버를 하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펌프를 구동시켜 소정의 시간동안 물을 공급하는 제1헹굼단계;
    상기 헹굼단계 후, 세제 유로를 개방하여 물 및 세제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 후, 세제 유로를 차단하고 중화제 유로를 개방하여 물 및 중화제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중화단계;
    상기 중화단계 후, 중화제 유로를 차단하고 물을 공급하는 제2헹굼단계 및;
    상시 제1헹굼단계 내지 제2헹굼단계 동안 배출수 펌프를 구동시켜 물을 배출하는 배출단계;에 따라 창틀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창틀
KR1020180092684A 2018-08-08 2018-08-08 자동 세척 창틀 KR20200017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684A KR20200017283A (ko) 2018-08-08 2018-08-08 자동 세척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684A KR20200017283A (ko) 2018-08-08 2018-08-08 자동 세척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83A true KR20200017283A (ko) 2020-02-18

Family

ID=6963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684A KR20200017283A (ko) 2018-08-08 2018-08-08 자동 세척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2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396B1 (ko) * 2020-09-08 2021-01-26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396B1 (ko) * 2020-09-08 2021-01-26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0860B2 (ja) 外装建具材洗浄装置
KR101556388B1 (ko) 여닫이 복합창호
US4233692A (en) Rest rooms
CN109011911B (zh) 一种烟尘油污净化过滤装置
KR102207396B1 (ko)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KR20180042594A (ko)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KR20200017283A (ko) 자동 세척 창틀
KR102515658B1 (ko) 자가세정기능을 갖는 외부창틀구조
KR100949182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KR200432950Y1 (ko)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CN205492519U (zh) 洗菜机
KR101854670B1 (ko) 평판 필터 세정장치
CN112854994A (zh) 一种便于清洁的高空窗户
CN214441252U (zh) 一种电梯自动清洁装置
JP5003971B2 (ja) 昆虫類侵入防止装置
KR200495010Y1 (ko)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KR100949181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KR100651858B1 (ko) 식기세척기
CN207702825U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冰箱显示屏
JP2010001629A (ja) 貯水施設用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499241B1 (ko) 건축물 창틀 프레임 구조
CN105750251A (zh) 一种快速自动水洗清洁风干台
CN210730392U (zh) 一种洁净室智能清洁风淋室
CN212550706U (zh) 一种循环水清洗的厨房油烟清洗装置
CN209379532U (zh) 一种丁字架清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