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50Y1 -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 Google Patents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50Y1
KR200432950Y1 KR2020060024913U KR20060024913U KR200432950Y1 KR 200432950 Y1 KR200432950 Y1 KR 200432950Y1 KR 2020060024913 U KR2020060024913 U KR 2020060024913U KR 20060024913 U KR20060024913 U KR 20060024913U KR 200432950 Y1 KR200432950 Y1 KR 200432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luid
window frame
fluid flow
flui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민호
Original Assignee
전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호 filed Critical 전민호
Priority to KR2020060024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5Hand apparatus with built-in electric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8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with ducts for cabl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 채용한 유리창이 개시된다. 창틀의 실내측 측면에는 유체유입구가 형성되고, 창틀의 실외측 측면에는 유체유출구가 형성되며,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는 창틀 내부에 형성된 유체유동공간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유입구를 통해 펌프 등을 이용하여 세척액을 분사하면 유체유출구를 통해 세척액이 창의 실외측 판면에 분사된다.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유리창 외면에도 물이나 세제 또는 와셔액 등과 같은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수작업에 의한 유리창 외면의 소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세척액을 공급하는 그 자체로도 유리창 외면의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유리창, 창틀, 세척, 분사, 유체유동관

Description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 채용한 유리창 {Window frame capable of spreading washing water to outer side of window, and Window employing the same}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정면도,
도 3 은 도 2 의 B 방향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 는 도 3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 와 유사한 도면,
도 6 은 도 7 의 부분 측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 채용한 유리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건물 등에 설치되는 유리창의 경우와 같이 창의 외측 판면에 물이나 와셔액 또는 세제의 살포가 곤란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살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유리창 및 이를 위한 구조를 구비한 창틀에 관한 것이다.
대형 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에 채용되는 유리창은 대개 그 크기가 크고 강한 풍력에 의한 영향이 건물 내로 미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유리창이 설치된 후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먼지나 공해물질 등이 유리창에 묻게 되어 유리창을 소제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런데, 대형 건물은 건물 내부에서 유리창을 소제하기가 어려우므로 별도의 청소 용역회사에 의뢰하여 소제 작업을 하여야 한다. 대형 건물 외관의 소제 작업은 옥상에 고정된 밧줄에 의존하여 사람이 직접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매우 위험하고, 또한 그 위험에 따른 비용도 매우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진행할 때, 유리창을 소제하기 위해서는 물이나 세제 또는 와셔액 등과 같은 세척액을 지속적으로 외부에서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형 건물 뿐만아니라 아파트 베란다의 유리창 등과 같은 비교적 소형 건물에서도 발생하며, 여닫이식 유리창 뿐만아니라 미닫이식 유리창에서도 발생한다.
또한, 건물에 따라서는 수작업에 의한 소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하게 세척액을 유리창에 뿌려주는 작업만으로도 원하는 정도의 소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의 유리창, 또는 열 수 없도록 설계된 유리창의 경우에는 세척액을 유리창 외면에 공급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유리창 외면에도 물이나 세제 또는 와셔액 등과 같은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유리창 외면의 소제 작업을 용이하게 하거나 그 자체로 유리창 외면의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유리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은, 창틀의 일 외측면에 형성된 유체유입구, 상기 창틀의 타 외측면에 형성된 유체유출구,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창틀 내부에 형성된 유체유동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유동공간 내에는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출구에 각각 양단이 개구되어 있는 유체유동관이 설치된다.
상기 유체유출구는 하향개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창틀에 설치되는 유리창 외표면 측으로 구배되어 개구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체유출구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유체유출구가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유체유입구에는 고무 패킹 등으로 형성되는 개폐부재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유체유동관의 상기 유체유출구측 개구는 상향개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창틀 내에는 상기 유체유동공간을 상기 창틀의 실내측 부위에 대해 격리시키기 위한 격벽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체유동관은 상기 창틀의 상부에서 그 단부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체유동관이 단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유리창 외면에도 물이나 세제 또는 와셔액 등과 같은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유리창 외면의 소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세척액을 공급하는 그 자체로도 유리창 외면의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창틀 및 상기 창틀에 고정된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100)은, 창틀(10)과 창(40)을 구비하며, 이에 부가하여 세척액을 창(40)의 외면에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창틀(10)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제조되며, 중앙 부위에 창(40)을 형성하는 판상의 유리가 고정되어 있는 일반적인 유리창의 구조를 갖는다. 창틀(10)의 상하부에는 미닫이식으로 유리창(100)을 열 수 있도록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미닫이식은 물론 여닫이식 유리창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유리창 자체가 열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방식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창틀(10)의 구조는 도 1 에 도시된 구조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창(40)은 통상적으로 유리 재질로 제조되며 또한 사각 판의 형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창(40)의 재질 또한 유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강화 플라스틱이나 기타 유리창(100)으로서 사용되는 여타 종류의 재질로서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본원고안의 명세서 내에서 '유리창'으로 기재된 것은 그 재질이 유리로서 제조된 것만으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통상적으로 유리 이외의 재질로 제조된 경우에도 유리창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므로 유리창으로 명명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100)의 창틀(10)에는 유체유입구(30), 유체유출구(51), 및 유체유동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유입구(30)는 창틀(10)의 실내측 면(도면상에서 지면 앞쪽이 실내측이고 지면 뒷쪽이 실외측임)의 우측 프레임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유체유입구(30)는 창틀(10)에 설치된 유리창(100)의 실외측 판면에 분사될 세척액을 투입하는 부분으로서, 그 위치는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나 세척액 투입을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의 높이방향상의 중간 지점보다 하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체유입구(3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펌프 등과 연결하여 세척액을 외부 동력에 의해 공급하는 부위로서, 이러한 펌프 등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체유입구(30)에는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는 창틀(10)에 기밀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창틀(10)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유체유출구(51)는 창틀(10)의 실외측 면의 상측 프레임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유체유출구(51)는 유체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된 세척액이 분사되는 부분으로서, 그 위치는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나 유체유출구(51)를 통해 세척액 분사시 강한 힘으로 분사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창틀(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유체유출구(51)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액이 단순히 자유 낙하만에 의하여도 창(40) 전체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유체유출구(51)가 창틀(10)의 상측 연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체유출구(51)는 도 2 와 같이 하향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세척액이 유체유출구(51)를 통해 유출되자마자 창(40)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체유출구(51)는 창틀(10)에 설치되는 유리창(100) 외표면 측으로 구배되어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유동공간(50)은 유체유입구(30)와 유체유출구(51)를 연통시키도록 창틀(10) 내부에 형성된다. 유체유동공간(50)은 기본적으로 관상으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유체유입구(30)의 위치와 유체유출구(51)의 위치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유체유입구(30)와 유체유출구(51)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체유동공간(50)은 창틀(10) 내에서 유체유입구(30)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창틀(10) 우측 상부 코너 부근에서 좌향 절곡되어 창틀(10)의 좌측 상부 코 너 영역까지 연장될 것이다. 유체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된 세척액은 이 유체유동공간(50)을 통해 흘러가서 유체유출구(51)를 통해 유리창(100)의 외측 판면에 분사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유출구(51)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유출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체유출구(51)의 구조에 의하면, 유체유동공간(50) 내의 각 부분의 압력의 편차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된 상태로 창틀(10)의 상부에서 세척액을 고르게 하향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유체유입구(30)는 개폐부재(20)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부재(20)는 유체유입구(30)의 형상에 맞게 제조되어, 유체유입구(30)를 통해 세척액을 투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 유체유입구(30)에 삽입되어 폐쇄한다. 이에 따라 세척액 투입 작업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창틀(10)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폐부재(20)는 고무 패킹으로 제조함으로써 삽입 및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패킹의 색상도 창틀(1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100) 또는 창틀(10)의 구조에 의하면, 개폐부재(20)를 인출하고 유체유입구(30)에 펌프를 연결하여 물이나 세제 또는 와셔액 등과 같은 세척액을 투입함으로써, 유체유동공간(50)을 거쳐 유체유출구(51)를 통해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유리창(100) 외면에 세척액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세척을 위한 세척액을 별도로 공급받는 번거로움이 없게 된다. 나아가, 별도의 유리창(100) 외면 세척 작업 없이 세척액을 공급하는 것만으로도 유리창(100) 외면의 세척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 는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체유출구(52)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슬릿 형상으로 유체유출구(5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창(40)의 외면의 수평방향상의 전 영역에 걸친 고른 세척액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체유출구(51)의 직하부에서는 창(40)의 전 영역에 고르게 세척액이 분사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 의하면 긴 슬릿 형상의 유체유출구(52)를 통해 선상으로 세척액이 공급되므로 고른 세척액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미세척되는 부분이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는 유체유동공간(50) 내에 유체유동관(60)이 개재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에서 유체유동공간(50)은 그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또한, 유체유동관(60)은 유체유동공간(50) 내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도 5 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되어야 할 것이나 도시의 편의상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유체유동관(60)은 창틀(10)의 상부 프레임에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형성된 유체유동공간(도 5 및 도 6 에는 도시되지 않음) 내의 전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체유입구(30)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유체유동공간(50)의 유체유출구(51)를 향해 개구되어 있는 다수의 유체유출구(6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유입구(30)에 유입된 세척액은 유체유동관(60)에 공급되어 유체유동관(60)의 유체유출구(6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유체유동관(60)의 유체유출구(61)는 도 5 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다수의 유출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전술한 유체유출구(51)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창틀(10)에 형성된 유체유출구(51)는 유체유동관의 유출측 개구의 개수 및 형상과 무관하게 세척액의 분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4 의 예와 같이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유동관(60)의 유체유출구(61) 또한 하향개구되어 있으며, 나아가 그 개구 방향이 창(40)의 판면을 향해 구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체유동관(60)은 그 재질이 플라스틱, 고무, 금속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유동관(60)을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창틀(10)의 제작이 더욱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도 1 내지 도 4 의 실시예에서는 창틀(10)에 유체유입구(30)와 유체유출구(51) 및 유체유동공간(50)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러한 유체유동공간(50)이 세척액의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밀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유체유동관(60)을 별도로 마련하여 유체유동공간(50) 내에 삽입할 경우에는 유체유동공간(50) 자체는 기밀적으로 유지되지 않아도 되며, 단지 유체유동관(60)과 유체유입구(30)의 연결 부위만을 기밀적으로 패킹하면 된다.
나아가, 유체유동관(60)의 형상이나 크기에도 제약이 거의 없게 되므로, 단지 창틀(10) 제작시 창틀(10) 내에 소정의 공간만을 마련하여 두면 된다. 따라서, 창틀(10)의 제작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7 은 도 6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의 실시예에서는 유체유동관(160)의 배치 및 창틀(10)의 구조가 도 6 의 실시예와 다소 상이하다. 즉, 창틀(10)의 상부 프레임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유체유동공간(50) 및 유체유출구(151)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유체유동공간(150)과 유체유출구(15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유체유동공간(150) 내에는 유체유동관(16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유체유동관(160)은 그 유체유출구(161)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유동관(160)에 공급된 세척액은 유체유동관(160) 내부에 전체적으로 충진된 후에 유체유출구(161)를 통해 넘쳐서 유체유동공간(150)으로 유출되며, 넘친 세척액은 이후 유체유출구(151)를 통해 창(40)에 공급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면, 유체유동관(160)에 세척액이 전체적으로 충진된 후에 세척액이 유출되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의 압력이 미치는 부위의 차이 또는 세척액이 먼저 공급되는 부위의 차이에 기인하는 유체유출구(161)를 통한 배출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창틀(10) 내부에는 창틀(10) 내의 유체유동공간(150)을 창틀(10)의 실내측 부위와 격리시키는 격벽(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15)에 의하여, 유체유동공간(150)에 공급된 세척액이 유리창(100)의 실내측 부위로 새어나오는 현상이 없게 된다.
도 8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8 에서도 유체유동공간(50)은 그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유 사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유체유동관(260)은 유체유동공간(50) 내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도 8 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되어야 할 것이나 도시의 편의상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도 5 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유체공유동관(260)이 수평 방향에 대해 다소 기울어져 있다는 점이 도 5 의 실시예와 다소 상이하다. 즉, 창틀(10) 상부 부위의 유체유동관(260)은 그 단부로 갈수록 하향 구배되도록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다. 또한, 유체유동관(260)에는 마찬가지로 다수의 유체유출구(261)가 형성되어 있으나, 특히, 유체유동관(260)의 단부 영역에는 배수용 유체유출구(2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유체유동관(260)에 공급되는 세척액이 자연스럽게 유체유동관(260)의 말단부 측으로 흐르면서 충진되고, 이에 따라 유체유동관(260) 말단부 영역에서의 압력 저하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세척 완료 후 세척액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잔여 세척액이 유체유동관(260)의 말단부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고, 또한 말단부측의 배수용 유체유출구(26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유체유동관(260) 내부에 세척액이 잔류하지 않게 되어 세척 완료 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유리창 외면에도 물이나 세제 또는 와셔액 등과 같은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유리창 외면의 소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 가, 세척액을 공급하는 그 자체로도 유리창 외면의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5)

  1. 창틀의 일 외측면에 형성된 유체유입구,
    상기 창틀의 타 외측면에 형성된 유체유출구,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창틀 내부에 형성된 유체유동공간, 및
    상기 유체유동공간 내에 개재되며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출구에 각각 양단이 개구되어 있는 유체유동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체유동관의 상기 유체유출구측 개구는 상향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동공간을 상기 창틀의 실내측 부위에 대해 격리시키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3. 창틀의 일 외측면에 형성된 유체유입구,
    상기 창틀의 타 외측면에 형성된 유체유출구,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창틀 내부에 형성된 유체유동공간, 및
    상기 유체유동공간 내에 개재되며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출구에 각 각 양단이 개구되어 있는 유체유동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체유동관은 상기 창틀의 상부에서 그 단부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동관의 단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창틀, 및 상기 창틀에 의해 고정되는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KR2020060024913U 2006-09-15 2006-09-15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KR200432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13U KR200432950Y1 (ko) 2006-09-15 2006-09-15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13U KR200432950Y1 (ko) 2006-09-15 2006-09-15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585A Division KR20060023745A (ko) 2004-09-10 2004-09-10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50Y1 true KR200432950Y1 (ko) 2006-12-07

Family

ID=4178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13U KR200432950Y1 (ko) 2006-09-15 2006-09-15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055B1 (ko) * 2012-09-26 2013-01-10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우수를 이용한 창호세척장치
KR101244444B1 (ko) 2011-02-07 2013-03-21 임만수 유리창 강우장치
KR101749338B1 (ko) * 2015-08-07 2017-06-21 주식회사 블루모션테크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444B1 (ko) 2011-02-07 2013-03-21 임만수 유리창 강우장치
KR101221055B1 (ko) * 2012-09-26 2013-01-10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우수를 이용한 창호세척장치
KR101749338B1 (ko) * 2015-08-07 2017-06-21 주식회사 블루모션테크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498B1 (ko) 조립식 욕실 바닥
KR200432950Y1 (ko)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JP2009030310A (ja) 外装建具材洗浄装置
KR20060023745A (ko)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KR101096647B1 (ko)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
KR101749338B1 (ko)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KR100949182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JP5283953B2 (ja) サッシの設置構造
KR100644156B1 (ko) 창의 외측 판면의 소제가 가능한 유리창
KR101402653B1 (ko) 건축물의 욕실 욕조에 내장되는 바닥 세척시설
KR200495010Y1 (ko)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KR20200017283A (ko) 자동 세척 창틀
KR200425676Y1 (ko)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KR100547000B1 (ko) 청소가 용이한 창문 프레임 구조
KR101350256B1 (ko) 집수 어셈블리
KR100949181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KR101440548B1 (ko) 청소기능을 갖는 미서기창
CN211473535U (zh) 淋浴房隐藏式排水组件
KR101753037B1 (ko)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243557B1 (ko) 플라워형 샤워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CN212053380U (zh) 建筑幕墙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KR200197353Y1 (ko) 투명 방음벽의 세척장치
KR20130008175A (ko)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의 시공방법
KR101395404B1 (ko) 스프링클러용 수해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