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338B1 -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 Google Patents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338B1
KR101749338B1 KR1020150111424A KR20150111424A KR101749338B1 KR 101749338 B1 KR101749338 B1 KR 101749338B1 KR 1020150111424 A KR1020150111424 A KR 1020150111424A KR 20150111424 A KR20150111424 A KR 20150111424A KR 101749338 B1 KR101749338 B1 KR 10174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line
water
window frame
jetting
inje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470A (ko
Inventor
최주희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모션테크
최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모션테크, 최주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모션테크
Priority to KR102015011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3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창프레임부 내측에 공급라인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공급받는 물을 분사부로 이동시켜 분사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장비 없이 물을 분사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WINDOW FRAMES FOR SPRAYING WATER}
본 발명은 창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세정액 및 피톤치드액을 물과 함께 분사시킬 수 있는 공급부가 구비되기 창틀에 관한 것이다.
발코니, 베란다 및 건물 외벽 등에 설치되는 창의 내벽은 직접 손쉽게 청소를 할 수 있지만, 외벽은 별도의 청소장비 또는 전문인력을 이용하여 청소한다. 특히, 고층 건물은 안전상의 문제로 인해 일반인이 외벽 청소를 하기 힘들기 때문에 전문인력에 외벽청소를 의뢰하곤 하였다.
외벽을 청소할 수 있는 장비는 고가의 중장비로서, 일반인이 구매하거나 조작하기 힘들고, 전문인력의 고용에는 상당한 고용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외벽이 상당히 더러워질 때까지 방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비가 내리면 외벽에 얼룩이 발생하고, 이를 방치하면 미관상 좋지 못하고, 미세먼지로 건강에도 해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9141호는 양면 물청소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 내벽 및 외벽에 각각 위치하는 청소판을 자석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켜 창문의 내벽 및 외벽을 동시에 청소하는 물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창문의 양면을 모두 동시에 청소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지만, 창문 외의 별도 청소도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과, 밀폐된 창문의 경우 청소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9141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청소도구를 구비하지 않고 창문을 청소할 수 있는 창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창문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도 청소할 수 있는 창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어린이 및 노약자도 손쉽게 내벽 및 외벽 창문을 청소할 수 있는 창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창프레임부, 창프레임부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공급라인, 공급라인 일단과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부 및 공급라인 타단에 구비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공급부는 물호스가 탈장착 되는 특징을 가지는 창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 내부에서 물이 이동되어 창에 물을 분사하여 창문을 청소하기 때문에 별도의 청소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의 내벽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청소하기 어려운 창문 외벽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에 따른 과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탈장착하여 다양한 인테리어를 조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액 및 피톤치드액을 함께 분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청소효과가 뛰어나고,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어 건강에 이롭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 온도상승 및 냉방비 증가를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방충망에 물을 분사하여 미세 먼지를 제거하거나 차단 할 수 있어 실내 공기청정에도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및 3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의 각 구성들이 가지는 두께 및 각도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오늘날 도심에는 수많은 고층빌딩들이 들어서고 있다. 고층빌딩의 건물외벽 에 설치되는 창문은 높은 위치에 존재하여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별도의 청소장치와 전문인력을 이용하여 청소한다. 다만, 청소장치는 고가의 장치 일 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사용하기 힘든 복잡한 장치이며, 전문인력의 고용비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수시로 청소하기 부담스럽다.
먼저, 미관상의 문제가 있다. 수시로 청소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상당히 더러워진 경우에만 청소를 할 수 있어, 비가 내린 뒤 창문에 얼룩이 진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전문장비 및 전문인력을 사용하기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문장비 및 전문인력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건강상의 문제가 있다. 수시로 청소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건물외벽에 달라붙은 미세먼지들로 인해 주변에서 생활하는 인원들의 건강에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방충망은 격자형상의 그물 형상이므로 미세 먼지가 상당히 많이 달라붙기 때문에 건강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 특히 방충망을 수시로 청소하는 것이 건강에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창문 및 방충망에 물을 분사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창틀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손쉽게 창문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면, 건물 내부의 냉방에 도움이된다. 창문으로 건물외벽이 형성되는 경우, 그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고,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외부 온도에 의해 내부 온도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내부 냉방을 하는 경우 외부의 높은 온도로 인해 냉방율이 떨어지게 되어 냉방비가 상당히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문의 온도를 낮춰 냉방 효율을 높이는 것이 관건인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사용자가 직접 물을 분사시켜 창문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창문에 오물이 붙으면 햇빛에 의한 열을 그대로 흡수하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물을 통해 오물을 제거하게 되면 열 전도율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햇빛을 반사하여 결과적으로 내부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 시 초기 화재 진압에 효과가 있다. 화재 발생 시, 건물외벽을 통해 상층으로 화재가 번지는 경우가 빈번한데, 창문에 물을 분사한다면 이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창문에 물을 분사한다면, 화재 발생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여 창문이 팽창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창문 파편으로 인한 추가적인 인명피해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은 창프레임부(10), 공급부(100), 공급라인(200) 및 분사부(40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창프레임부(10)는 내측에 창 또는 방충망(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테 형상으로 구비되어, 발코니 및 베란다와 같은 건물외벽에 설치된다.
또한, 창프레임부(10)는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부(400), 물을 공급받는 공급부(100) 및 공급받은 물을 창프레임부(10) 내부 공간을 통해 분사부(400)로 이동시키는 공급라인(2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제부터,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도 4를 참고하면, 창프레임부(10)는 내측에 창 또는 방충망(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테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사각 또는 직사각 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창프레임부(10)는 사각의 테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주면에 창 또는 방충망(2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홈(11) 또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프레임부(10)의 외관은 일반적인 창문의 섀시(sash)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창프레임부(10)의 내부는 일반적인 섀시와 같이 중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공급부(100)는 외부의 물호스(30)와 연결되어 물을 최초로 공급받는 구성이다. 창프레임부(10)가 이동식인 경우,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 물호스(30)로 인해 창프레임부(10)의 움직임이 방해 받지 않도록 물호스(10)는 공급부(100)와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공급부(100)에 물호스(30)가 체결되면 물호스(30) 내부의 관을 따라 서로 물길이 연결되어 이어지고, 공급부(100)에서 물호스(30)가 제거되면 물호스(30)가 연결되는 체결부가 밀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급부(100)는 사용자가 물호스(30)를 수월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창프레임부(10)의 하측 방향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부(100)는 공급라인(200)으로 공급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물호스(30)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부(100)는 균일한 압력의 물을 공급라인(200)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또는 magnetic valve)가 공급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100)는 물호스(30)에서 공급받는 물을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균일한 수압으로 변경하여 공급라인(200)으로 물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수압을 갖는 물호스(30)에 모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100)는 물호스(30)를 통해 공급받는 물의 정화를 위하여 필터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공급부(100)는 필터부(110)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깨끗한 물로 창 또는 방충망(20)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100)는 액주입기(120)를 구비할 수 있다. 액주입기(120)는 다양한 첨가물을 물에 섞는 구성으로서, 공급부(100)가 공급라인(200)으로 물을 공급할 때 다양한 첨가물을 섞어 공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첨가물은 세제 및 피톤치드액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제를 액주입기(120)로 물과 섞어 분사하면 물 분사를 통해 손쉽게 지워지지 않는 오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피톤치드액과 같이 음이온 효과를 줄 수 있는 액을 액주입기(120)로 물과 섞어 분사하면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액주입기(120)는 반드시 액체 첨가물을 혼합하는 액주입기로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고체 첨가물도 혼합할 수 있는 액주입기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급라인(200)은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사부(400)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공급라인(200)은 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파이프, 호스 및 홈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로 구비되는 공급라인(200)인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따라서, 창프레임부(10)는 내부에 공급부(100)로부터 분사부(400)까지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파이프가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분사부(400)는 공급라인(200)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창 또는 방충망(20)을 향하여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공급라인(200)과 연결되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400)는 물을 분사하여 창 또는 방충망(20)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창프레임부(10)의 상측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분사부(400)는 분출 단면이 좁게 구비되는 노즐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400)는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서, 분사부(400)는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분사부, 폭포수 형태로 물을 배출하는 분사부 및 빗물의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테리어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분사부(40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을 구비하면, 창 및 방충망(2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사용자가 별도의 청소도구 및 전문인력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청소할 수 있다. 조작 또한 간편 하다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 창 및 방충망(20)의 외부는 일반인이 청소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이용하여 손쉽게 건물 외벽에 위치하는 창 및 방충망(20)의 후면을 청소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은 창 및 방충망(20)이 밀폐되어도 전면 및 후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실내 방향에 위치하는 창 및 방충망(20)의 전면과 빌딩 외벽 방향에 위치하는 창 및 방충망(20)의 후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은 본 발명의 창프레임부(10), 공급부(100), 공급라인(200) 및 분사부(400)를 포함한다.
공급라인(200)은 공급부(100)와 연결되는 제 1 공급라인(210)과 제 1 공급라인(210) 및 분사부(400)와 각각 연결되는 제 2 공급라인(220)으로 구획된다. 상세하게는, 제 2 공급라인(220)은 분사부(400)가 형성되는 창프레임부(10)의 상단에 위치하고, 제 1 공급라인(210)은 제 2 공급라인(220)과 공급부(100)를 연결한다.
제 1 공급라인(210)은 창프레임부(10)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제 2 공급라인(220)은 사용자 또는 전기적인 장치를 통해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 2 공급라인(220)은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소정 각도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회전운동을 통해 분사부(400)의 창프레임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선택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2 공급라인(220)이 위치하는 창프레임부(10)에는 밀폐된 소정공간(300)이 형성된다. 또한, 밀폐된 소정공간(300)은 벽부(350)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소정공간(300)은 수직하는 방향으로 벽부(350)가 형성되어 벽부(350)를 기준으로 전면 방향의 전면공간(310) 및 창프레임부(10)의 후면 방향의 후면공간(320)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제 2 공급라인(220)이 위치하는 창프레임부(10)의 상단부는 내부에 밀폐된 소정공간(300)이 형성되고, 소정공간(300)은 수직한 벽부(350)를 통해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으로 구획된다.
이때, 벽부(350)는 제 2 공급라인(220)이 삽입 체결되어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벽부(350)에는 제 2 공급라인(220)이 삽입 체결되고, 제 2 공급라인(220)은 벽부(350)에 체결되어 회전운동 할 수 있으며,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은 서로 밀폐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벽부(350)에는 제 2 공급라인(220)이 삽입 체결되어 회전운동 함과 동시에,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이 서로 밀폐되어야 하기 때문에 벽부(35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원형의 단면은 제 2 공급라인(22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제 2 공급라인(2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부(4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400)는 제 2 공급라인(220)에 형성되는 분사홈(250), 전면공간(310) 일면에 형성되는 전면분사노즐(410) 및 후면공간(320) 일면에 형성되는 후면분사노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공급라인(2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타공되는 복수의 분사홈(250)이 형성되고,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의 일면에는 각각 전면분사노즐(410) 및 후면분사노즐(420)이 형성된다.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분사홈(250)은 노즐로 구비되는 분사홈(250) 일 수 있으며, 복수의 타공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또한, 분사홈(250)은제 2 공급라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전면분사노즐(410)은 전면공간(310)의 일단에 형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창프레임부(10)의 상측 저면인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고, 후면 분사노즐(420)은 후면공간(320)에 형성되고 전면분사노즐(410)과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분사노즐(410) 및 후면분사노즐(42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탈장착 가능한 분사부(400)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에서는, 원통형의 제 2 공급라인(220)의 일단은 제 1 공급라인(210)과 체결됨과 동시에 제 2 공급라인(220)은 벽부(350)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제 2 공급라인(22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제어부의 전기적의 신호를 통해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급라인(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선상에 분사홈(250)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공급라인(220)이 회전 운동하면, 분사홈(250)의 방향이 전면공간(310) 또는 후면공간(320) 중 어느 한 공간을 향한다. 또한, 분사홈(250)에서 배출된 물이 전면공간(310) 또는 후면공간(320) 중 어느 한 공간에 차올라 전면분사노즐(410) 또는 후면분사노즐(420) 중 어느 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또한, 분사홈(250)을 벽부(350)를 바라보도록 위치시키는 경우, 벽부(350)에 의해 분사홈(250)이 차단되기 때문에 물이 분사되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은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창프레임부(10)의 전면, 후면 또는 양면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홈(250)이 구비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홈(250)은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을 포함하고, 제 1 분사홈(251)은 제 2 공급라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타공들의 집합이고, 제 2 분사홈(252)은 제 1 분사홈(251)에서 소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타공들의 집합이다.
일례로,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은 제 2 공급라인(220)을 따라 소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반드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각도 이격된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을 한 쌍으로 제 2 공급라인(220)을 따라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15를 참고하면, 제 2 및 3 실시예에 따른 분사홈, 제 1 분사홈 또는 제 2 분사홈의 직경값(a)은 벽부(350)의 두께값(b)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켜 제 1 분사홈(251)이 벽부(350)를 바라보도록 고정시킨 경우, 벽부(350)의 두께값(b)이 제 1 분사홈(251)의 직경값(a)보다 크면, 제 1 분사홈(251)에서 배출되는 물은 벽부(350)에 의해 차단되어 제 2 분사홈(252)을 통해서 물이 배출된다. 다만, 벽부(350)의 두께값(b)이 제 1 분사홈(251)의 직경값보다 작으면 제 1 분사홈(251)에서 배출되는 물이 벽부(35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물이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의 개구된 직경값(a)은 벽부(350)의 두께값(b)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부(350)의 두께값(b)은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의 이격된 직경의 거리값(c) 보다 크게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켜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 사이에 벽부(350)를 위치시키는 경우, 벽부(350)의 두께값(b)을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의 이격된 각도의 거리값(c) 보다 작게 구비하면, 벽부(350)가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에서 배출되는 물을 차단하지 않아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에 모두 물이 배출되어 전면 및 후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제 3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하게 되면, 사용자 또는 제어부가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킴으로써, 전면공간(310) 또는 후면공간(320) 중 어느 한 공간을 선택하여 물을 배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에 모두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의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제어부 또는 레버부가 구비되는데, 제어부는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키는 동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저장된 조건 값을 통해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레버부를 통해 직접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동력부 및 레버부는 제 2 공급라인(2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2 공급라인(220)과 직접 또는 기어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부위가 밀폐되도록 구비되어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에 수용되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창프레임부 11 : 가이드홈
20 : 창, 방충망 30 : 물호스
100 : 공급부 110 : 필터부
120 : 액주입기 200 : 공급라인
210 : 제 1 공급라인 220 : 제 2 공급라인
250 : 분사홈 251 : 제 1 분사홈
252 : 제 2 분사홈 300 : 소정공간
310 : 전면공간 320 : 후면공간
350 : 벽부 400 : 분사부
410 : 전면분사노즐 420 : 후면분사노즐

Claims (7)

  1. 창프레임부(10);
    상기 창프레임부(10)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공급라인(220);
    상기 공급라인(200) 일단과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부(400); 및
    상기 공급라인(200) 타단에 구비되는 공급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100)는 물호스(20)가 탈장착 되고,
    상기 공급라인(200)은 상기 공급부(100)와 연결되는 제 1 공급라인(21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부(400)와 연결되는 제 2 공급라인(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급라인(220)을 소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창프레임부(10)의 전면 및 후면에 선택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는 필터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는 액주입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400)는 탈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급라인(220)이 위치하는 상기 창프레임부(10)의 내측은 밀폐된 소정공간(300)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공간(300)은 벽부(3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벽부(350)를 기준으로 전면공간(310) 및 후면공간(320)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2 공급라인(220)은 상기 벽부(350)에 일부가 삽입 체결되어 회전운동 하고,
    상기 분사부(400)는,
    상기 제 2 공급라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분사홈(250);
    상기 전면공간(310) 일면에 형성되는 전면분사노즐(410); 및
    상기 후면공간(320) 일면에 형성되는 후면분사노즐(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홈(250)은 제 1 분사홈(251) 및 제 2 분사홈(25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사홈(251)과 상기 제 2 분사홈(252)은 소정각도 이격되어 상기 제 2 공급라인(220)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벽부(350)의 두께(b)는,
    상기 제 1 분사홈(251) 및 상기 제 2 분사홈(252)의 직경(a)보다 넓고,
    상기 제 1 분사홈(251)과 상기 제 2 분사홈(252)의 이격된 거리(c) 보다 좁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기능을 갖는 창틀.
KR1020150111424A 2015-08-07 2015-08-07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KR10174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24A KR101749338B1 (ko) 2015-08-07 2015-08-07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24A KR101749338B1 (ko) 2015-08-07 2015-08-07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70A KR20170017470A (ko) 2017-02-15
KR101749338B1 true KR101749338B1 (ko) 2017-06-21

Family

ID=5811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424A KR101749338B1 (ko) 2015-08-07 2015-08-07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8718A (zh) * 2017-05-12 2017-07-14 陕西科技大学 一种多功能智能窗户
CN107138452B (zh) * 2017-06-06 2019-04-02 徐欢 一种用于门窗边框安装前自动清灰设备
CN111005664A (zh) * 2019-12-10 2020-04-14 崔建国 一种防蚊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950Y1 (ko) * 2006-09-15 2006-12-07 전민호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KR101530315B1 (ko) * 2014-12-18 2015-06-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141A (ko) 2008-12-30 2010-07-08 이지현 건축물 유리창의 양면 물청소 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950Y1 (ko) * 2006-09-15 2006-12-07 전민호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KR101530315B1 (ko) * 2014-12-18 2015-06-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70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409B1 (ko) 건물의 창으로 들어오는 먼지 차단장치
KR101749338B1 (ko)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KR101112604B1 (ko) 천정형 에어컨 청소장치
KR101556388B1 (ko) 여닫이 복합창호
KR101390969B1 (ko) 실내온도 저감장치
JP2009030310A (ja) 外装建具材洗浄装置
US7063281B2 (en) Water conserving and cleaning apparatus
KR102094162B1 (ko) 석면 분진 제거용 분무장치
KR101593205B1 (ko) 유리창 청소장치
US2311670A (en) Method of cleaning buildings or the like
JPH0788446A (ja) 飛翔体を用いた清掃装置
CN110206282A (zh) 一种简易防虫防腐用墙面装修工艺
KR20130084438A (ko) 건물 외벽 청소장치
KR200483260Y1 (ko) 헤라 기능을 갖는 실리콘 분사 노즐
CN104314032A (zh) 一种用于建筑工地的洒水车
CN204185808U (zh) 一种用于建筑工地的洒水车
KR102357404B1 (ko) 스프레이 건용 도료 비산방지 장치 및 그 작업방법
CN202426447U (zh) 一种高层建筑玻璃、纱窗清洁器
KR102214955B1 (ko) 분무수단이 구비되는 야외용 먼지털이장치
KR200432950Y1 (ko)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KR20100016693A (ko) 간이 에어 샤워기
CN103590356A (zh) 新型洒水车
CN205550626U (zh) 一种带有自动清洁水垢功能的淋浴花洒
KR20100004229A (ko) 세척식 창문
JP5232417B2 (ja) 外壁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