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315B1 -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315B1
KR101530315B1 KR1020140183409A KR20140183409A KR101530315B1 KR 101530315 B1 KR101530315 B1 KR 101530315B1 KR 1020140183409 A KR1020140183409 A KR 1020140183409A KR 20140183409 A KR20140183409 A KR 20140183409A KR 101530315 B1 KR101530315 B1 KR 101530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coupling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구보경
박보랑
김기태
장대희
손원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센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센솔루션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커튼월의 프레임 또는 창호의 창틀;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의 외면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커버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이동된 물을 창호 또는 구조체의 외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미스트 분사장치; 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MIST SPRAY SYSTEM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유입량을 저감할 수 있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 및 단독주택 등의 주거용 건축물이나 커튼월 방식의 대형 사무용 빌딩 등은 창문이나 구조체의 외면을 통해 채광을 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측 창호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환기를 시킴은 물론 채광에 의해 실내의 조도를 높이는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커튼월이나 면적이 크게 형성된 창호는 채광에 의해 실내의 조도를 높임은 물론 겨울철과 같은 동절기에는 채광에 따른 열을 실내로 흡수하여 난방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름철과 같은 하절기에는 과다한 일사량이 창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온도를 높이는 역기능을 하고, 이는 에어컨 등의 냉방장치의 사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냉방에너지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33224호(2010.12.21)"와 같이 창호부의 외면에 물이 흐르도록 하여 일사유입량을 줄이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물이 창호부에 골고루 흐르지 못해 창호부를 통한 일사유입량을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방울이 외부로 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철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유입량을 줄일 수 있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름철 구조체 및 구조체 주변의 외기온도를 낮춰 실내외온도차에 의한 열 유입량을 줄일 수 있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에너지사용량을 줄여 지역 또는 도시의 열섬효과를 예방할 수 있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커튼월의 프레임 또는 창호의 창틀;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의 외면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커버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이동된 물을 창호 또는 구조체의 외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미스트 분사장치; 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결합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관과 결합하는 배관 결합구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결합하는 분사노즐 결합구와, 상기 몸체, 상기 배관 결합구 또는 상기 분사노즐 결합구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돌출부 결합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 결합구 및 상기 분사노즐 결합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배관 및 상기 분사노즐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 결합구에 삽입되는 연결관 결합돌기와, 상기 연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연결관 결합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로부터 상기 결합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커버 돌기와, 상기 제1커버 돌기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덮개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커버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결합할 시 상기 제2커버 돌기가 안착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한 상기 제2커버 돌기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물이 상기 창호 또는 상기 구조체의 외면에 분사되기 전에 물을 정수하는 칼슘필터 및 5미크론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미스트 분사장치(10)를 내장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결합하고 상기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커튼월의 프레임 또는 창호의 창틀을 구조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의 외면에 연결관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에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커버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의 일면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분사노즐을 결합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일면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분사노즐을 결합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커버의 일면에 상기 연결관과 분사노즐을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를 상기 연결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의 외면에 연결관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구비되는 연결관 결합고리에 상기 연결관을 끼우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구비되는 연결관 결합돌기를 상기 연결관의 돌출부 결합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커버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의 제2커버 돌기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의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에 의하면, 커튼월, 창호 또는 건축물의 외면에 물을 분사하여 미스트 보호망을 형성함으로써 여름철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유입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커튼월, 창호 또는 건축물의 외면에 물을 분사하여 구조체 및 구조체 주변의 외기온도를 낮춤으로써 실내외온도차에 의한 열 유입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사유입량 및 열 유입량이 감소함에 따라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에너지사용량이 감소함으로써 지역 또는 도시의 열섬효과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이 커튼월의 프레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이 창호의 창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장치의 연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튼월의 프레임에 설치된 미스트 분사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창호의 창틀에 설치되는 미스트 분사장치 또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이 커튼월의 프레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이 창호의 창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커튼월(20)의 프레임(21)이나 창호(30)의 창틀(3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의 미스트 분사 시스템(10)은 커튼월(20)의 프레임(21)에 설치된 경우로서 프레임(21)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어 커튼월(20) 외면에 물을 분사하게 된다. 도 2의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창호(30)의 창틀(31)에 설치된 경우로서 창틀(31)의 외면에 설치되어 창호(30)의 유리에 물을 분사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미스트 분사 시스템는 벽면이나 지붕 등의 구조체(40) 외면에 설치되어 창호(30)의 유리 또는 창호(30)의 유리를 포함한 구조체(40) 외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펌프(50)를 통해 공급받은 액체 상태에 물을 분무형태로 커튼월(20)이나 창호(30)에 뿌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설치위치나 환경 등과 관계없이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상하, 좌우 또는 사선방향 등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있다. 뿐만 아니라 분사된 물은 외부온도와 열교환을 통해 기체가 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분사된 물이 외부로 흐르거나 일정공간에 고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미스트 분사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은 우수 등을 재활용하거나 지하수 등을 사용함으로써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운영에 따른 유지관리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물이 커튼월(20)이나 창호(30)에 분사되는 전에 물을 정수하기 위한 칼슘필터(12) 및 5미크론 필터(13)를 구비할 수 있다. 칼슘필터(12) 및 5미크론 필터(13)는 물을 정수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터이다. 커튼월(20) 또는 창호(30)에 분사되는 물을 칼슘필터(12) 및 5미크론 필터(13)를 통해 정수함으로써 얼굴 등의 신체부위에 닿거나 입을 통해 몸속에 유입되더라도 안전하며, 분사된 물에 의해 커튼월(20) 또는 창호(30)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칼슘필터(12) 및 5미크론 필터(13)가 동시에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칼슘필터(12)와 5미크론 필터(13)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튼월(20), 창호(30) 또는 구조체(40)의 외면에 미스트 분사 시스템을 설치하여 커튼월(20), 창호(30) 또는 구조체(40)의 외면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여름철 커튼월(20)이나 창호(30)를 통해 유입되는 일사유입량을 줄일 수 있고, 구조체(40) 주변의 외기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실내외온도차에 의한 실내 측으로의 열 유입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창호(30)에 물이 분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창호(30)를 개방하여 분사되고 있는 물을 실내로 직접 유입시킴으로써 실내를 자연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유입량과 열 유입량이 줄어들어 실내온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에어컨이나 선풍기 등의 냉방에너지사용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미스트 분사장치(1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장치(10)는 배관(11), 연결관(100), 커버(300) 및 분사노즐(400)을 구비할 수 있다.
배관(11)은 커튼월(20)의 프레임(21) 외면에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고자하는 위치까지 물이 도달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관(100)은 다수개의 배관(11)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전환하거나 물이 흐르는 방향을 두 갈래 이상으로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마다 구비되어 배관(11)의 설치방향을 바꿔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전환하거나 물이 흐르는 방향을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100)이 구비됨으로써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전환하거나 물이 흐르는 방향을 분할하기 위해 배관(11)을 구부리거나 절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부러진 배관(11)에 의한 수압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절개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커버(300)는 배관(11) 및 연결관(100)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비바람이나 각종 위험요소로부터 배관(11) 및 연결관(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00)는 프레임(21)과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데 별도의 결합부재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아닌 끼워 맞춤 결합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00)를 프레임(21)으로부터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어 배관(11) 또는 연결관(100)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300)와 프레임(21)의 결합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분사노즐(400)은 연결관(100)과 연결되고 커버(300)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관(11)을 통해 연결관(100) 내부까지 이동된 물은 분사노즐(400)을 통해 분무형태로 커튼월(20)에 뿌려지게 된다. 물의 분무 정도나 뿌려지는 방향 및 각도는 분사노즐(400)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커버(300)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수리 또는 교체 시 커버(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수리 또는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프레임(21)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프레임(21)은 돌출부(200a)와 결합부(200b)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200a)는 연결관(100)이 프레임(2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연결관 결합돌기(221)와 연결관 결합고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관 결합돌기(221)는 프레임(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후술할 연결관(100)의 돌출부 결합구(140)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관 결합돌기(221)가 돌출부 결합구(140)에 삽입됨으로써 연결관(100)이 프레임(21)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연결관(100)을 프레임(2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 결합고리(222)는 연결관 결합돌기(221)와 동일한 방향으로 고리형태의 모양으로 돌출되어 돌출부 결합구(140)와 연결관 결합돌기(221)가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관(100)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관 결합고리(222)가 연결관(100)의 외면 일부를 감쌈으로써 수압이나 진동에 의한 유동을 막고, 돌출부 결합구(140)가 연결관 결합돌기(2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아 연결관(100)이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00b)는 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커버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200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커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은 미스트 분사장치(10)의 연결관(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장치의 연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장치(10)의 연결관(100)은 몸체(110), 배관 결합구(120), 분사노즐 결합구(130) 및 돌출부 결합구(14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110)는 배관 결합구(120), 분사노즐 결합구(130) 및 돌출부 결합구(140)를 일체화하는 것으로서 배관(11)을 통해 흐르는 물이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의 형태는 배관(11)과 동일한 원통형의 파이프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관 결합구(120)는 배관(11)과 결합하는 곳으로서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원통형의 파이프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관 결합구(120)의 내부 단면은 배관(11)의 단면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해 배관(11)과 배관 결합구(120)가 결합한 후 배관(11)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 결합구(120)는 연결관(100)의 역할에 따라 구비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연결관(100)의 경우에는 두 개의 배관 결합구(120)가 구비되어 각각 배관(11)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흐름을 두 개 방향으로 분할하기 위한 연결관(100)의 경우에는 세 개의 배관 결합구(120)가 구비되어 각각 배관(11)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의 흐름을 전환하거나 물의 흐름을 분할할 시에는 몸체(110)에 배관 결합구(120)만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분사노즐 결합구(130)는 배관(11)을 통해 이동된 물이 분사노즐(40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분사노즐(400)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 결합구(130)는 배관 결합구(120)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분사노즐 결합구(130)에 결합된 분사노즐(400)을 분리한 후 배관(11)을 결합하거나 배관 결합구(120)에 결합된 배관(11)을 분리한 후 분사노즐(40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 결합구(120) 및 분사노즐 결합구(130)에는 패킹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패킹부재(150)는 배관(11) 또는 분사노즐(400)이 삽입되는 배관 결합구(120) 및 분사노즐 결합구(130)의 일면에 구비되어 배관(11) 또는 분사노즐(400)과 연결된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높이고 연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150)가 구비되지 않는 배관 결합구(120) 및 분사노즐 결합구(130)의 타면에는 삽입된 배관(11)이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턱(16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1)을 배관 결합구(120)나 분사노즐 결합구(130)에 삽입할 시 배관(11)을 삽입해야 하는 정도를 눈으로 보지 않고 배관(11)이 걸림턱(160)에 걸리는 것을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 결합구(140)는 배관 결합구(120) 또는 분사노즐 결합구(130)의 외면에 구비되어 연결관(100)과 결합하는 프레임(21)의 연결관 결합돌기(210)와 결합하여 연결관(100)이 프레임(2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 결합구(140)와 프레임(21)은 끼워 맞춤 방식을 통한 결합을 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배관 결합구(120), 분사노즐 결합구(130), 돌출부 결합구(140), 패킹부재(150) 및 걸림턱(160)이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보였으나, 배관 결합구(120), 분사노즐 결합구(130), 돌출부 결합구(140), 패킹부재(150) 및 걸림턱(160)은 다양한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미스트 분사장치(10)의 커버(3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장치(10)의 커버(300)는 덮개(310), 제1커버 돌기(320) 및 제2커버 돌기(33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310)는 프레임(21)에 설치된 배관(11) 및 연결관의 상측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고, 제1커버 돌기(320)는 프레임(21)의 결합부(200b)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 돌기(330)는 제1커버 돌기(32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되는데 덮개(3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21)의 결합부(200b)는 커버가 프레임(21)에 결합할 시 제2커버 돌기(330)가 안착하는 안착홈(2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 돌기(330)가 안착홈(230)에 안착된 후 제2커버 돌기(330)가 안착홈(2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2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결합부재나 용접 등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커버(300)와 프레임(21)이 결합할 수 있으며, 수압이나 진동에 의해 커버(300)가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1)에 커버가 결합함으로써 배관(11) 및 연결관(100)을 덮어 비바람이나 외부 위험요소들로부터 배관(11) 및 연결관(100)을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관(11)이나 연결관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었을 시 커버를 프레임(2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게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 돌기(320)는 커버가 프레임(21)과 결합할 시 커버가 결합한 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프레임(21)의 상부 및 하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해 향후 커튼월(20)과 커버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 돌기(320)에는 커버(300) 외부로 노출되는 분사노즐(400)이 커버(300) 내부에 구비되는 연결관(10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400)의 일단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321)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도 9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커튼월(20)의 프레임(21)에 구비되는 미스트 분사장치(10)를 구비할 수 있다.
미스트 분사장치(10)는 배관(11), 연결관(100), 커버(300) 및 분사노즐(4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는 덮개(310), 제1커버 돌기(320) 및 제2커버 돌기(33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310)는 프레임(21)에 설치된 배관(11) 및 연결관의 상측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고, 제1커버 돌기(320)는 프레임(21)의 결합부(200b)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커버 돌기(320)는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 돌기(32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되어 덮개(3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2커버 돌기(330) 또한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커버 돌기(330)가 안착하는 결합부(200b)의 안착홈(230)과 안착홈(230)에 안착된 후 제2커버 돌기(3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240) 또한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버 돌기(320) 및 제2커버 돌기(330)는 결합부(200b)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00b)는 돌출부(200a)가 구비되는 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00a)에는 연결관이 결합하기 때문에 커버를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제1커버 돌기(320)의 위치를 통해 연결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분사노즐(400)이 관통하는 관통홀(321)은 제1커버 돌기(320)가 덮개(31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에 따라 제1커버 돌기(320) 또는 덮개(3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1커버 돌기(320)가 덮개(31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위에도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은 프레임(21)에 케이스(50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500)는 프레임(21)의 외면에 소정길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데 내부공간(510), 개폐부재(520) 및 결합홀(530)을 구비할 수 있다.
내부공간(510)은 미스트 분사장치(10)가 내장되는 곳으로서 내장된 미스트 분사장치(10)는 내부공간(51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5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개폐부재(520)는 내부공간(510)에 내장된 미스트 분사장치(10)를 용이하게 유지관리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내부공간(510)을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폐부재(520)에는 힌지를 구비하여 힌지를 축으로 개폐부재(520)가 프레임(21)으로부터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5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결합홀(530)은 미스트 분사장치(10)의 분사노즐(400)이 케이스(5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홀(530)은 분사노즐(40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크기로 형성되도록 해 결합홀(530)을 통해 미스트 분사장치(1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500)의 내부공간(510)에 미스트 분사장치(10)가 내장됨으로써 비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미스트 분사장치(10)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520)를 통해 용이하게 케이스(500)의 내부공간(510)을 개방할 수 있어 배관(11) 또는 연결관이 손상 또는 파손되었을 때 편리하게 교체 및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커튼월(20)의 프레임(21) 또는 창호(30)의 창틀(31)을 구조체(40)에 설치하는 단계(S110)와, 상기 프레임(21)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31)의 외면에 연결관을 결합하는 단계(S120)와, 상기 연결관에 배관(11)을 연결하는 단계(S130)와,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11)을 덮는 커버를 상기 프레임(21) 또는 상기 창틀(31)에 결합하는 단계(S140)와, 상기 커버의 일면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분사노즐(400)을 결합하는 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버(300)의 일면을 통해 연결관(100)과 분사노즐(400)을 결합하는 단계(S150)이전에는 커버(300)의 일면에 연결관(100)과 분사노즐(400)을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321)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관(100)에 배관(11)을 연결하는 단계(S130)이전에는 배관(11)과 연결관(100)의 연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150)를 연결관(100)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21)의 외면 또는 창틀(31)의 외면에 연결관을 결합하는 단계(S120)는 프레임(21)에 구비되는 돌출부(200a)의 연결관 결합고리(222)에 연결관(100)을 끼우는 단계와, 프레임(21)에 구비되는 돌출부(200a)의 연결관 결합돌기(221)를 연결관(100)의 돌출부 결합구(140)에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100) 및 배관(11)을 덮는 커버(300)를 프레임(21) 또는 창틀(31)에 결합하는 단계(S140)는 커버의 제2커버 돌기(330)가 프레임(21) 또는 창틀(31)의 안착홈(230)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미스트 분사장치 20: 커튼월
30: 창호 40: 구조체
50: 펌프 60: 고정부재
100: 연결관 200a: 돌출부
200b; 결합부 300: 커버
400: 분사노즐 500: 케이스

Claims (14)

  1. 커튼월의 프레임 또는 창호의 창틀; 및
    상기 프레임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의 외면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커버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이동된 물을 창호 또는 구조체의 외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미스트 분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과 결합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은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관과 결합하는 배관 결합구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결합하는 분사노즐 결합구와, 상기 몸체, 상기 배관 결합구 또는 상기 분사노즐 결합구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돌출부 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 결합구에 삽입되는 연결관 결합돌기와, 상기 연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연결관 결합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결합구 및 상기 분사노즐 결합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배관 및 상기 분사노즐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로부터 상기 결합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커버 돌기와,
    상기 제1커버 돌기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덮개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커버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결합할 시 상기 제2커버 돌기가 안착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한 상기 제2커버 돌기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물이 상기 창호 또는 상기 구조체의 외면에 분사되기 전에 물을 정수하는 칼슘필터 및 5미크론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미스트 분사장치를 내장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결합하고 상기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
  10. 커튼월의 프레임 또는 창호의 창틀을 구조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의 외면에 연결관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에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커버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의 일면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분사노즐을 결합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 또는 상기 창틀의 외면에 연결관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구비되는 연결관 결합고리에 상기 연결관을 끼우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구비되는 연결관 결합돌기를 상기 연결관의 돌출부 결합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면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분사노즐을 결합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커버의 일면에 상기 연결관과 분사노즐을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배관을 연결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를 상기 연결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
  13. 삭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및 상기 배관을 덮는 커버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의 제2커버 돌기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창틀의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분사 시스템의 설치방법.
KR1020140183409A 2014-12-18 2014-12-18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53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09A KR101530315B1 (ko) 2014-12-18 2014-12-18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09A KR101530315B1 (ko) 2014-12-18 2014-12-18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315B1 true KR101530315B1 (ko) 2015-06-23

Family

ID=5351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409A KR101530315B1 (ko) 2014-12-18 2014-12-18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3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980A (ko) * 2015-09-01 2017-03-09 유의정 경사창을 갖는 건물의 내부 온도 저감을 위한 지하수 살수 시스템
KR101749338B1 (ko) * 2015-08-07 2017-06-21 주식회사 블루모션테크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KR102517638B1 (ko) * 2021-10-27 2023-04-05 주식회사 필터테크 기하학적 구조가 가능한 쿨링포그 이지컨넥팅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44Y1 (ko) * 2000-09-26 2001-03-02 김근기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
JP2002201727A (ja) * 2000-12-28 2002-07-19 Shin Nippon Air Technol Co Ltd 都市空間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JP7116766B2 (ja) * 2020-10-16 2022-08-10 株式会社ヴィッツ 判別システム、判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44Y1 (ko) * 2000-09-26 2001-03-02 김근기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
JP2002201727A (ja) * 2000-12-28 2002-07-19 Shin Nippon Air Technol Co Ltd 都市空間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JP7116766B2 (ja) * 2020-10-16 2022-08-10 株式会社ヴィッツ 判別システム、判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338B1 (ko) * 2015-08-07 2017-06-21 주식회사 블루모션테크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창틀
KR20170026980A (ko) * 2015-09-01 2017-03-09 유의정 경사창을 갖는 건물의 내부 온도 저감을 위한 지하수 살수 시스템
KR101725313B1 (ko) * 2015-09-01 2017-04-10 유의정 경사창을 갖는 건물의 내부 온도 저감을 위한 지하수 살수 시스템
KR102517638B1 (ko) * 2021-10-27 2023-04-05 주식회사 필터테크 기하학적 구조가 가능한 쿨링포그 이지컨넥팅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409B1 (ko) 결로방지용 후드캡
US8118109B1 (en) Roof elements comprising integral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530315B1 (ko) 미스트 분사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530316B1 (ko) 미스트 분사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N109723334B (zh) 一种便于逃生的防火门
JP4551989B2 (ja) 屋根の散水装置
CN206495466U (zh) 一种新型三重防雨水保护风管结构
TWM509829U (zh) 通風罩
KR20090092853A (ko) 건물 설치용 살수 방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의 확산을방지하는 방법
KR20100002350A (ko)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용 홀더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5462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수 역류방지장치
CN202018113U (zh) 一种空调器冷凝水排水管
KR20170040914A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GB254589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
KR200315639Y1 (ko) 닥트 설치용 스프링클러 장착 장치
CN218305911U (zh) 一种喷淋联动控制器
CN116427555B (zh) 预制装配式防火及主动自洁功能隔震支座系统及使用方法
CN219755588U (zh) 一种防燃气泄漏的堵盒结构
KR101568933B1 (ko)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CN210463445U (zh) 一种适用于模块集成房侧墙安装的防风沙管道式换气装置
CN220404690U (zh) 一种楼房外墙控火系统
CN209027027U (zh) 外罩组件、接管结构和空调室内机
CN209027031U (zh) 外罩组件、接管结构和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