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010Y1 -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Google Patents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5010Y1 KR200495010Y1 KR2020200001819U KR20200001819U KR200495010Y1 KR 200495010 Y1 KR200495010 Y1 KR 200495010Y1 KR 2020200001819 U KR2020200001819 U KR 2020200001819U KR 20200001819 U KR20200001819 U KR 20200001819U KR 200495010 Y1 KR200495010 Y1 KR 2004950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painting
- water
- vertical plate
- wall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는 물감이 페인팅되는 전면을 가지며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된 페인팅 벽; 상기 페인팅 벽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을 세정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제1 파이프를 구비하는 급수부; 및 상기 페인팅 벽의 하단 측에 마련되고,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상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술학원 또는 영유아의 미술체험을 위한 드로잉 카페(drawing cafe) 같은 곳에 설치되어, 벽면을 활용한 다양한 미술활동 시 물감의 부착력 및 고유의 색상 표현력을 높이면서도 세척과 유지 보수 등의 관리가 용이한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유아의 다양한 체험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벽면을 이용한 다양한 미술활동을 진행하는 미술학원 또는 그와 유사한 드로잉 카페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종래의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경우, 백색의 유성 또는 방수 페인트를 벽면에 도장함으로써 물감이 페인팅(painting)되는 벽(이하, "페인팅 벽"이라 함)을 시공하는 방식, 백색의 도기 타일과 줄눈 방수제를 이용하여 페인팅 벽을 시공하는 방식, 및 강화 유리를 이용하여 페인팅 벽을 시공하는 방식이 있다.
먼저, 백색의 유성 또는 방수 페인트를 도장함으로써 페인팅 벽을 시공하는 방식은 페인트 도장이 시간 경과에 따라 균열이 생겨 물이 샐 수 있고, 물감이 착색되었을 시 이를 보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백색의 도기 타일과 줄눈 방수제를 이용하여 페인팅 벽을 시공하는 방식은 도기 타일에 대한 물감의 부착력이 낮고, 도기 타일 사이의 줄눈으로 인해 벽면이 매끈하지 못하며, 줄눈 사이에 물감의 착색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강화 유리를 이용하여 페인팅 벽을 시공하는 방식은 방수 효과는 우수하나, 유리의 투명성 때문에 후면이 비치며 특유의 반사광이 존재하여 물감의 색상 표현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의 특성상 내충격성이 낮으며, 파손 시 부상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물감의 부착력 및 고유의 색상 표현력을 높이면서도 세척과 유지 보수 등의 관리가 용이하고, 내충격성 및 안전성이 높은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타일 형태로 시공가능하여 공간의 크기에 맞춰 시공이 용이하고, 샌딩(sanding) 접합 처리를 통해 이음새 없는 연속적인 벽면을 구성할 수 있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페인팅 벽의 전면(前面; front surface)을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에 있어서, 물감이 페인팅되는 전면을 가지며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된 페인팅 벽; 상기 페인팅 벽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을 세정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제1 파이프를 구비하는 급수부; 및 상기 페인팅 벽의 하단 측에 마련되고,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상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전방 수직판을 가진 저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물감의 부착력 및 고유의 색상 표현력을 높이면서도 세척과 유지 보수 등의 관리가 용이하고, 내충격성 및 안전성이 높다.
2. 타일 형태로 시공가능하여 공간의 크기에 맞춰 시공이 용이하고, 샌딩 접합 처리를 통해 이음새 없는 연속적인 벽면을 구성할 수 있다.
3. 페인팅 벽의 전면을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급수부 중 제1 파이프가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급수부 중 제1 파이프가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급수부 중 제1 파이프가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 2, 및 5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저수부(122)의 일단(122a)에 형성된 제1 측부 수직판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100)는 페인팅 벽(110), 급수부(120), 및 배수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100)는 제2 파이프(140), 지지 프레임(150), 및 베이스 벽(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인팅 벽(110)은 물감이 페인팅되는 전면(111)을 가진 벽으로서,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된다. 페인팅 벽(110)에 페인팅되는 물감은 물에 녹을 수 있는 수성 물감일 수 있다.
급수부(120)는 페인팅 벽(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을 세정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어, 제1 파이프(121), 저수부(122), 및 차폐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121)는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을 세정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로서, 제1 파이프(212)의 일단(121a)과 타단(121b) 사이에 제1 파이프(212)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급구(12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2의 경우, 제2 파이프(140)의 일단(140a)에 연결된 제1 파이프(121)가 저수부(122) 및 차폐부(12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수부(122) 자체가 제1 파이프(121)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저수부(122) 및 차폐부(123)가 함께 제1 파이프(121)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파이프(140)의 일단(140a)은, 저수부(122) 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저수부(122)의 타단(122b)에 형성된 제2 측부 수직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저수부(122)는 공급된 물을 저장한 후, 저장된 물의 양이 저장 용량을 초과하면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 쪽으로 물을 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저수부(122)는 바닥판(124), 제1 전방 수직판(125), 후방 수직판(126), 제1 측부 수직판(도시되지 않음), 및 제2 측부 수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바닥판(124)은 페인팅 벽(110)의 상면 및 지지 프레임(15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수직판(125)은 바닥판(124)의 전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후방 수직판(126)은 바닥판(124)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부 수직판은 저수부(122)의 일단(122a)에 형성되도록 바닥판(124), 제1 전방 수직판(125) 및 후방 수직판(126)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부 수직판은 저수부(122)의 타단(122b)에 형성되도록 바닥판(124), 제1 전방 수직판(125) 및 후방 수직판(126)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수직판(126)과 제1 및 제2 측부 수직판의 높이는, 저수부(122)에 저장된 물이 제1 전방 수직판(125) 쪽으로 흘러 넘칠 수 있도록, 제1 전방 수직판(125)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차폐부(123)는 이물질이 급수부(120)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2 전방 수직판(127) 및 상부 수평판(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방 수직판(127)은 제1 전방 수직판(125)과의 사이에 틈(120c)을 형성하도록 제1 전방 수직판(12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방 수직판(127)은 저수부(122)로부터 넘친 물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물이 틈(120c)을 통해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 쪽으로 집중되어 흐를 수 있게 한다. 상부 수평판(128)은 제2 전방 수직판(127)의 상단과 후방 수직판(126)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이 급수부(1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부(130)는 페인팅 벽(110)의 하단 측에 마련되고,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물을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배수부(130)는, 예를 들어, 트렌치(trench; 131) 및 배출 프레임(13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131)는 물을 하수구(도시되지 않음)로 배출하기 위한 수로이다. 배출 프레임(132)은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을 트렌치(131)로 배출시키면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트렌치(131)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배출 프레임(132)은 배출판(133), 제1 지지부(134), 및 제2 지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판(133)은 페인팅 벽(110)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이 아래 쪽으로 통과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개구(136)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개구(136)는 물을 트렌치(131) 쪽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제1 지지부(134)는 배출판(133)의 전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부(135)는 배출판(133)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134) 및 제2 지지부(135)는 배출 프레임(132)이 트렌치(131) 상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제2 파이프(140)는 급수부(120)의 외부에 마련되며 제1 파이프(121)에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파이프이다. 제2 파이프(140)의 일단(140a)은 제1 파이프(121b)의 타단(121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140)는 제2 파이프(140) 내에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145)를 가질 수 있다. 페인팅 벽(110)에 페인팅된 물감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밸브(145)를 열어 급수부(120)로부터 물이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을 타고 흘러 내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2 파이프(140)는, 예를 들어, 건물에 설치된 수도 배관일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0)은 페인팅 벽(110)의 후면(112)에 고정되어 페인팅 벽(110)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지지 프레임(150)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151), 및 복수의 수직 프레임(151)에 교차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수평 프레임(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 프레임(151)의 상면 및 최상층 수평 프레임(152a)의 상면은 급수부(120)의 일부를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50)은, 예를 들어, 목재로 형성됨으로써,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에 베이스 벽(160) 방향으로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페인팅 벽(110)은 시멘트, 접착제, 나사, 및/또는 못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지지 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3 및 5의 경우, 수직 프레임(151)이 페인팅 벽(110)의 후면(112)에 배치되고 수평 프레임(152)이 수직 프레임(151)의 후방에 배치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프레임(152)이 페인팅 벽(110)의 후면(112)에 배치되고 수직 프레임(151)이 수평 프레임(152)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3 및 5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150)은 베이스 벽(160)에 고정됨으로써 페인팅 벽(110)을 지지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복수의 수직 프레임(151) 중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151)의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이 고정되고 이러한 바닥 프레임이 페인팅 벽(110)의 양 측에 배치됨으로써, 베이스 벽(160) 없이, 지지 프레임(150)만으로 페인팅 벽(110)이 지지될 수도 있다.
베이스 벽(160)은 지지 프레임(150)의 후단이 고정되는 벽이다. 베이스 벽(160)은, 예를 들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 또는 야외의 옹벽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감이 페인팅되는 전면(111)을 가진 페인팅 벽(110)이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페인팅 벽(110)에 대한 물감의 부착성 및 물감이 페인팅 벽(110)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색상 표현력이 우수하고, 페인팅 벽(110)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 시 샌딩(sanding)을 통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며, 충격에 강하여 파손될 위험이 적으며, 파손되더라도 파편화되지 않아 안전성이 높다. 또한, 타일 형태로 시공이 가능하여, 공간의 크기에 맞춰 시공이 용이하고, 샌딩 접합 처리를 통해 이음새 없는 연속적인 벽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100)는 페인팅 벽(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을 세정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제1 파이프(121)를 구비하는 급수부(120), 및 페인팅 벽(110)의 하단 측에 마련되고,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부(13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물을 이용한 반복적인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수부(120)가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전방 수직판(125)을 가진 저수부(122)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을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급수부(120)가 제1 파이프(121)만을 가진 비교예를 가정한다. 이러한 비교예는 제1 파이프(121)의 복수의 공급구(121c)를 통해 물이 공급되더라도 복수의 공급구(121c) 간의 간격이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페인팅 벽(110)의 전면을 균일하게 세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하여, 도 1 및 2에 도시된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100)는 제1 파이프(121)로부터 나온 물이 저수부(122)에 공급되어 차오른 후,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전방 수직판(125) 위를 넘쳐 흘러 내리는 방식으로 세정하기 때문에, 페인팅 벽(110)의 전면(111)을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110: 페인팅 벽
120: 급수부 121: 제1 파이프
122: 저수부 123: 차폐부
130: 배수부 131: 트렌치
132: 배출 프레임 140: 제2 파이프
145: 밸브 150: 지지 프레임
151: 수직 프레임 152: 수평 프레임
160: 베이스 벽
120: 급수부 121: 제1 파이프
122: 저수부 123: 차폐부
130: 배수부 131: 트렌치
132: 배출 프레임 140: 제2 파이프
145: 밸브 150: 지지 프레임
151: 수직 프레임 152: 수평 프레임
160: 베이스 벽
Claims (7)
-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에 있어서,
물감이 페인팅되는 전면을 가지며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된 페인팅 벽;
상기 페인팅 벽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을 세정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제1 파이프,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전방 수직판을 가진 저수부, 및 상기 제1 전방 수직판과의 사이에 물이 흐르는 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전방 수직판의 전방에 배치된 제2 전방 수직판을 가진 차폐부를 구비하는 급수부; 및
상기 페인팅 벽의 하단 측에 마련되고, 상기 페인팅 벽의 전면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파이프에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팅 벽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페인팅 벽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페인팅 벽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이 아래 쪽으로 통과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진 배출판을 포함하는 배출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이 고정되는 베이스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819U KR200495010Y1 (ko) | 2020-05-29 | 2020-05-29 |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819U KR200495010Y1 (ko) | 2020-05-29 | 2020-05-29 |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280U KR20200001280U (ko) | 2020-06-17 |
KR200495010Y1 true KR200495010Y1 (ko) | 2022-02-15 |
Family
ID=7112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819U KR200495010Y1 (ko) | 2020-05-29 | 2020-05-29 |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501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7995B1 (ko) * | 2021-11-11 | 2023-11-14 | 윤현화 | 미술 교육용 벽면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20162A (ja) * | 2008-11-17 | 2010-06-03 | Intec Corp | 多機能装飾壁面材 |
KR101500153B1 (ko) * | 2013-09-26 | 2015-03-09 | 주식회사 홍익비젼미술 | 수세식 유리칠판조립체 |
KR101753540B1 (ko) * | 2016-11-25 | 2017-07-04 | 황영준 | 드로잉 카페 |
-
2020
- 2020-05-29 KR KR2020200001819U patent/KR20049501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20162A (ja) * | 2008-11-17 | 2010-06-03 | Intec Corp | 多機能装飾壁面材 |
KR101500153B1 (ko) * | 2013-09-26 | 2015-03-09 | 주식회사 홍익비젼미술 | 수세식 유리칠판조립체 |
KR101753540B1 (ko) * | 2016-11-25 | 2017-07-04 | 황영준 | 드로잉 카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280U (ko) | 2020-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95032B2 (en) | Linear drain assemblies | |
KR200495010Y1 (ko) | 미술활동용 벽면 구조 | |
KR20170105966A (ko) | 조립식 욕실 바닥 | |
US10047510B2 (en) | Rimless toilet pan and a method of flushing same | |
CN110743230A (zh) | 一种建筑机械油漆安全分装过滤装置 | |
KR101220986B1 (ko) | 욕실형 컨테이너의 배수장치 | |
CN206308780U (zh) | 一种导流底板 | |
ES2258053T3 (es) | Plato de ducha. | |
CN109864644B (zh) | 一种卫生间淋浴房底盘及其施工方法 | |
KR100714029B1 (ko) | 건물용 바닥재 | |
KR200432950Y1 (ko) |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 |
CN211735682U (zh) | 卫生间底盒及卫生间地面 | |
KR20200017283A (ko) | 자동 세척 창틀 | |
CN208573630U (zh) | 便捷清洗机 | |
CN217389716U (zh) | 乌龟饲养盆 | |
CN211568925U (zh) | 一种带过滤的水槽 | |
CN215332550U (zh) | 一种可便捷清洁的落地窗 | |
CN211341107U (zh) | 一种镂空景观喷泉池结构 | |
CN208415528U (zh) | 一种用于隔断噪音的园林建筑外墙连接装置 | |
CN212200622U (zh) | 节约型洗脸槽 | |
KR102597995B1 (ko) | 미술 교육용 벽면 장치 | |
KR20060023745A (ko) |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 |
CN212078790U (zh) | 一种园林用易清洁绿色遮阳棚 | |
CN221653239U (zh) | 一种建筑设计用组合种植装置 | |
CN212583430U (zh) | 桥梁施工用护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