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396B1 -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396B1
KR102207396B1 KR1020200114986A KR20200114986A KR102207396B1 KR 102207396 B1 KR102207396 B1 KR 102207396B1 KR 1020200114986 A KR1020200114986 A KR 1020200114986A KR 20200114986 A KR20200114986 A KR 20200114986A KR 102207396 B1 KR102207396 B1 KR 10220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unit
cleaning
inner sp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옥
Original Assignee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1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6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2Cleaning travelling work, e.g. a web, articles on a conveyor
    • B08B1/143
    • B08B1/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는, 미닫이 방식의 윈도우가 적용되는 외부창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상단틀과 상기 하단틀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외부 창틀 구조는, 상기 상단틀과, 상기 상단틀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틀과, 상기 한 쌍의 측면틀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기 하단틀을 갖는 창호 테두리 부; 및, 상기 하단틀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틀에 이물질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단틀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Outdoor window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독주택, 연립주택, 기숙사,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외부 창틀 구조의 씰(sill) 부분에 쌓인 흙, 먼지 등을 주기적 또는 필요시에 자체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창틀 프레임중 수평프레임은 시간이 지나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게 되고, 쌓여진 이물질을 청소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평프레임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걸레를 이용하여 닦을 경우 먼지가 상기 안내레일의 절곡된 틈사이에 적층되어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 이렇게 틈 사이에 끼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청소를 할 경우 수평프레임의 각 구간을 안내 레일이 막고 있기 때문에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배출되는 오수가 건축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 건축물 외벽을 오염시켜 미관이 안좋아 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하여 외부와 면한 창틀 하부 씰(sill)에 미세 먼지, 황사, 흙 먼지 등이 쌓여 각종 해충들의 서식지가 되고, 미관상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등 쾌적한 주거 생활에 나쁜 영향을 준다. 또한 단열의 목적으로 보통 외부 창호는 이중창이 설치되므로, 이들 미닫이 창호 하부 씰(sill) 부위를 청소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럽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0-0059766호(공개일: 2000.10.05)가 있다.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외부 창틀의 씰 부분에 일정 이상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이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세정액을 사용하여 씰 부분을 세정하고, 세정 후 오수 배수 및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씰 부분을 세정하기 이전에 창호와 씰 부분을 서로 차단하여 씰 부분을 세정하는 과정에 발생되는 오수 및 이물질이 창호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는, 미닫이 방식의 윈도우가 적용되는 외부창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상단틀과 상기 하단틀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외부 창틀 구조는,
상기 상단틀과, 상기 상단틀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틀과, 상기 한 쌍의 측면틀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기 하단틀을 갖는 창호 테두리 부; 및,
상기 하단틀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틀에 이물질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단틀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하단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하단틀의 내부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핑 부와,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와,
상기 하단틀에 연결되며, 와이핑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오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와,
상기 와이핑 부와, 상기 세정액 공급부와, 상기 배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틀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형성됨을 감지하는 이물질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 센서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기설정된 수준의 이물질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세정액 공급부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정된 양의 세정액을 공급하고,
상기 와이핑 부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면을 와이핑하고,
상기 와이핑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이물질 및 상기 오수를 배수시킨다.
또한 상기 와이핑 부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봉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 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브러쉬 부재를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브러쉬 부재는, 이동시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내부면을 와이핑한다.
특히,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내부면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 공기 배출홀에 연결되는 건조 공기 공급 튜브와,
상기 건조 공기 튜브로 설정되는 건조 공기를 제공하는 건조 공기 공급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부의 동작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를 사용하여 상기 건조 공기 공급 튜브로 상기 건조 공기를 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하단틀의 내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기설정되는 기준 광량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이물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틀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발생되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기설정되는 기준 수위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부를 사용하여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발생된 물을 외부로 강제 배수시킨다.
또한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양측벽 상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틀의 일측부에는, 차단막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부가 구동되기 이전에,
상기 권취부를 사용하여 상기 차단막을 풀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하단틀의 양측에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홈 각각에는, 봉 형상의 보조 가이드 부재와, 상기 보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브러쉬 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브러쉬 부재를 이동시키는 보조 리니어 모터가 설치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외부 창틀의 씰 부분에 일정 이상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이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세정액을 사용하여 씰 부분을 세정하고, 세정 후 오수 배수 및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씰 부분을 세정하기 이전에 창호와 씰 부분을 서로 차단하여 씰 부분을 세정하는 과정에 발생되는 오수 및 이물질이 창호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 공급부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 공급부 및 배수부 및 건조부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틀에 수위 센서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틀에 차단막이 이동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는, 미닫이 방식의 윈도우(10)가 적용되는 외부창틀 구조에 적용된다.
상기 윈도우(10)는 상단틀(110)과 상기 하단틀(130)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외부 창틀 구조는 상기 상단틀(110)과, 상기 상단틀(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틀(12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틀(1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기 하단틀(130)을 갖는 창호 테두리 부(100)와, 상기 하단틀(130)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틀(130)에 이물질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단틀(130)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세정하는 세정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부(200)는, 상기 하단틀(13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틀(13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핑 부(210)와,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220)와, 상기 하단틀(130)에 연결되며, 와이핑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오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230)와, 상기 와이핑 부(210)와, 상기 세정액 공급부(220)와, 상기 배수부(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형성됨을 감지하는 이물질 센서(3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300)는,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310)와,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이물질 센서(300)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기설정된 수준의 이물질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세정액 공급부(220)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정된 양의 세정액을 공급하고, 상기 와이핑 부(210)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면을 와이핑하고, 상기 와이핑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배수부(230)를 통해 상기 이물질 및 상기 오수를 배수시킨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와이핑 부(210)는,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봉 형상의 가이드 부재(211)와, 상기 가이드 부재(2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 부재(212)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브러쉬 부재(212)를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213)를 구비한다.
상기 브러쉬 부재(212)는, 이동시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의 내부면을 와이핑한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단틀(1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홈(130a)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홈(130a) 각각에는, 봉 형상의 보조 가이드 부재(211')와, 상기 보조 가이드 부재(2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브러쉬 부재(212')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브러쉬 부재(212')를 이동시키는 보조 리니어 모터(213')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 공급부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세정액 공급부(220)는 세정액 공급기(221)와, 세정액 공급 라인(222)을 갖는다.
상기 세정액 공급라인(222)은 하단틀(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세정액 공급기(221)를 사용하여 상기 세정액 공급라인(222)을 따라 하단틀(130)의 내부로 세정액을 일정량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230)는 배수 라인(231)과 배수 펌프(232)를 갖는다. 상기 배수 라인(231)은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에 연결된다. 상기 배수 펌프(232)는 배수 라인(23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배수 펌프(232)를 구동시켜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에 수용된 오수 및 이물질을 배수 라인(231)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 공급부 및 배수부 및 건조부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의 내부면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 공기 배출홀(420)에 연결되는 건조 공기 공급 튜브(410)와, 상기 건조 공기 튜브(410)로 설정되는 건조 공기를 제공하는 건조 공기 공급기(40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배수부(230)의 동작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400)를 사용하여 상기 건조 공기 공급 튜브(410)로 상기 건조 공기를 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틀에 수위 센서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수광부(320)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기설정되는 기준 광량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이물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에 발생되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5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기설정되는 기준 수위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배수부(230)를 사용하여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에 발생된 물을 외부로 강제 배수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틀에 차단막이 이동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하단틀(130)의 내부 공간의 양측벽 상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틀(130)의 일측부에는, 차단막(610)이 권취되는 권취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세정부(200)가 구동되기 이전에, 상기 권취부(600)를 사용하여 상기 차단막(610)을 풀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13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외부 창틀의 씰 부분에 일정 이상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이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세정액을 사용하여 씰 부분을 세정하고, 세정 후 오수 배수 및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씰 부분을 세정하기 이전에 창호와 씰 부분을 서로 차단하여 씰 부분을 세정하는 과정에 발생되는 오수 및 이물질이 창호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테두리 부
200 : 세정부
210 : 와이핑 부
220 : 세정액 공급부
230 : 배수부
240 : 제어부
300 : 이물질 감지센서

Claims (4)

  1. 미닫이 방식의 윈도우가 적용되는 외부창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단틀과 하단틀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외부 창틀 구조는,
    상기 상단틀과, 상기 상단틀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틀과, 상기 한 쌍의 측면틀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기 하단틀을 갖는 창호 테두리 부; 및,
    상기 하단틀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틀에 이물질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단틀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부는,
    상기 하단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하단틀의 내부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핑 부와,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와,
    상기 하단틀에 연결되며, 와이핑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오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와,
    상기 와이핑 부와, 상기 세정액 공급부와, 상기 배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틀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형성됨을 감지하는 이물질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 센서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기설정된 수준의 이물질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세정액 공급부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정된 양의 세정액을 공급하고,
    상기 와이핑 부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면을 와이핑하고,
    상기 와이핑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이물질 및 상기 오수를 배수시키고,
    상기 와이핑 부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봉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 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브러쉬 부재를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브러쉬 부재는, 이동시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내부면을 와이핑하되,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내부면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 공기 배출홀에 연결되는 건조 공기 공급 튜브와,
    상기 건조 공기 튜브로 설정되는 건조 공기를 제공하는 건조 공기 공급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부의 동작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를 사용하여 상기 건조 공기 공급 튜브로 상기 건조 공기를 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하고,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하단틀의 내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기설정되는 기준 광량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이물질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틀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발생되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측정되는 수위가 기설정되는 기준 수위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부를 사용하여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에 발생된 물을 외부로 강제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틀의 내부 공간의 양측벽 상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틀의 일측부에는, 차단막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부가 구동되기 이전에,
    상기 권취부를 사용하여 상기 차단막을 풀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단틀의 양측에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홈 각각에는, 봉 형상의 보조 가이드 부재와, 상기 보조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브러쉬 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브러쉬 부재를 이동시키는 보조 리니어 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200114986A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KR10220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986A KR102207396B1 (ko)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986A KR102207396B1 (ko)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396B1 true KR102207396B1 (ko) 2021-01-26

Family

ID=7431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986A KR102207396B1 (ko)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3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0479A (zh) * 2021-12-03 2022-03-11 深圳市信睿半导体照明有限公司 一种led植物灯用清洁装置
CN114197996A (zh) * 2021-11-25 2022-03-18 台衡精密测控(昆山)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窗户安全系统
KR102515658B1 (ko) 2023-01-27 2023-03-29 주식회사 대고원이앤씨 자가세정기능을 갖는 외부창틀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998A (ja) * 1999-12-31 2001-07-10 Mei Planning:Kk ガラス清掃装置
KR101566191B1 (ko) * 2015-07-09 2015-11-05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붙박이창
KR20200017283A (ko) * 2018-08-08 2020-0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세척 창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998A (ja) * 1999-12-31 2001-07-10 Mei Planning:Kk ガラス清掃装置
KR101566191B1 (ko) * 2015-07-09 2015-11-05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붙박이창
KR20200017283A (ko) * 2018-08-08 2020-0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세척 창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7996A (zh) * 2021-11-25 2022-03-18 台衡精密测控(昆山)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窗户安全系统
CN114160479A (zh) * 2021-12-03 2022-03-11 深圳市信睿半导体照明有限公司 一种led植物灯用清洁装置
KR102515658B1 (ko) 2023-01-27 2023-03-29 주식회사 대고원이앤씨 자가세정기능을 갖는 외부창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396B1 (ko) 건축물의 자가 세정 기능을 구비한 외부창틀 구조
CN218014347U (zh) 一种电力电缆外皮清洁装置
KR100720135B1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100363665B1 (ko) 유리창 청소장치
CN211004077U (zh) 一种便于清洁的电梯轿厢
CN112924641A (zh) 一种带自清洗功能的水质监测仪
KR102515658B1 (ko) 자가세정기능을 갖는 외부창틀구조
KR100581220B1 (ko) 발코니 유리창 세척장치
KR20050110554A (ko) 고층건물의 밖의 유리면과 건물 외벽면을 원격 조종으로닦는 방법과 그 장치
KR102397636B1 (ko) 자동 청소장치 및 시스템
KR100949182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GB2106574A (en) Window condensation disposal
KR20120136778A (ko) 창틀 새시
CN210798688U (zh) 一种防渗漏外窗
KR100912036B1 (ko) 결로처리가스켓을 갖는 창호
CN212248101U (zh) 一种水利渠道用闸门
KR102641253B1 (ko) 셀프세척이 가능한 건축물용 외부창틀구조물
KR20200017283A (ko) 자동 세척 창틀
CN112854994A (zh) 一种便于清洁的高空窗户
KR100949181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KR100620274B1 (ko) 유리창 또는 유리창문의 바깥 유리면을 유리창 안쪽에서닦는 방법과 그 장치
KR950002881Y1 (ko) 신발세척기
CN218382113U (zh) 一种有机玻璃加工用强度检测装置
CN114046001B (zh) 一种建筑外墙自清洗雨棚及清洗方法
CN220598932U (zh) 一种具有自动开合功能的防雨天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