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857A - 발목을 통해 발 움직임을 댐핑하기 위한 신발과 발 움직임 댐퍼 - Google Patents

발목을 통해 발 움직임을 댐핑하기 위한 신발과 발 움직임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857A
KR20200016857A KR1020197036195A KR20197036195A KR20200016857A KR 20200016857 A KR20200016857 A KR 20200016857A KR 1020197036195 A KR1020197036195 A KR 1020197036195A KR 20197036195 A KR20197036195 A KR 20197036195A KR 20200016857 A KR20200016857 A KR 20200016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amping
arrangement
foo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첸츠 비흘러
티모 슈툼퍼
오스카 부슁거
Original Assignee
베터가즈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터가즈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터가즈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16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damp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에 관한 것으며, 이 장치는 하부 다리(112)를 지탱하기 위한 지지 배열체(2) 및 발(110)에 유지하기 위한 홀더 배열체(3)를 포함하고, 감쇠 배열체(4)에는 지지 배열체(2)와 홀더 배열체(3) 사이의 상대 움직임을 감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40)가 제공되고, 감쇠 배열체(4)는 지지 배열체(2)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착부(42) 및 홀더 배열체(3)에 부착하기 위한 홀더 부착부(41)를 가지며; 지지 배열체(2)는 적어도 하나의 지탱 영역(20, 21) 및 적어도 하나의 지탱 고정부(22)를 포함하고, 지지 배열체(2)는 발목 관절의 복사뼈(114) 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탱 영역(20, 21)으로 지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탱 고정부(22)는 하부 다리(112)에 적용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탱 영역(20, 2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80)에 관한 것으로, 이 신발은 밑창(82) 및 갑피를 포함하며, 전술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를 갖는다.

Description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및 신발
본 발명은,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및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해 대응하여 구성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목 접질림(ankle sprain)에 의해 야기된 외상을 없애기 위해 발 움직임, 즉, 비-생리학적 범위에서 발의 발목 관절 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발목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발목 관절의 움직임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가장 빈번한 형태의 접질림 손상은 내번(inversion)에 후속하는 늘어남(stretching) 또는 찢어짐(tearing)으로 인한 발목 관절 염좌(ankle joint distortion)이다. 내번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목 관절 축에 걸쳐 내번 움직임으로 인해 발과 하부 다리 사이의 거리 변화가 유발된다. 규정된 내번 각도 또는 규정된 내번 속도 또는 내번 가속도를 초과하면, 발목 관절의 인대 손상 또는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규정된 범위 내에서의 움직임을 허용하고 그리고 발목 관절 축 주위의 정해진 움직임 제한 각도에서 시작하여 움직임을 완전히 방지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스플린트(splints) 또는 스플린트 플레이트(splint plates)를 사용함으로써 움직임이 주로 억제되는 비교적 강성 보조기가 알려져 있다.
더욱이, 발목 관절의 움직임이 규정된 움직임 제한 각도만큼 허용되고, 그리고 구조로 인해, 움직임이 이러한 제한 각도로부터 시작하여 완전히 차단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EP 2717809 B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제한 각도에 도달하기 전에는 결코 보호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발목이 비틀릴 때, 특히 이미 인대가 약화되거나 손상된 이후인 경우에는 손상의 위험이 내번 각도뿐만 아니라 비틀림 중에 발생하는 내번 속도 및 내번 가속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한(내번) 각도 미만의 범위에서, 이러한 장치는 결코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더욱이, 제한 각도에 도달 한 후에는, 움직임이 완전히 차단된다. 비틀림 움직임의 갑작스러운 중단은, 발목 관절의 구조에 상당한 하중을 가하며, 그 결과 손상(예를 들어, 뼈가 찢어지거나 연골 손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게다가, 발목 관절의 이러한 차단을 고려하여, 비틀림 움직임이 다음 관절로 전달된다. 발목 관절이 비틀린 경우에는, 그 다음의 관절은 무릎 관절이다. 상당한 레버 암, 바람직하지 않은 힘의 도입 및 무릎 관절의 복잡성으로 인해, 이는 심각한 손상, 예를 들어, 십자 인대 파열(cruciate ligament tears) 또는 반월상 연골 손상(meniscal injuries)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이들 손상이 영향을 받는 사람을 제한하는 방법 때문에, 그리고 이들의 복잡성과 치유에 대한 치유 능력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발목 관절 인대 손상보다 훨씬 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신겨질(pulled on) 때 위험한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제외하고 항상 최소한의 움직임만 허용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DE 10 2014 107 335 A1은 발목 관절을 통한 내번 움직임의 적응적 제한을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발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보조기의 상부 부분이 발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원에 개시된 발목 관절 보조기는 압력 안정 바(pressure-stable bar)를 필요로 하며, 이 압력 안정 바는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에 위치되고 보조기의 상부 영역과 보조기의 하부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며 양쪽 영역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서 상부 영역의 유지를 지원한다. 이 바는 여기서는, 외측 측면의 풀-아웃 장치(pull-out device)를 통해 상부 영역으로 도입된 인장력이 변형 또는 좌굴없이 내측 측면 상에서 압축력으로서 하부 영역으로 이에 의해 복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것은 원위 영역에서의 위치를 확보한다. 그러나, 발의 내측 측면 상의 바는 여전히 발목 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를 제한한다.
공지된 종래 기술로부터 진행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개선된 발 움직임 감쇠 장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예가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난다.
따라서,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가 제안되는데, 이는 하부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지지 배열체 및 발에 보유하기 위한 보유 배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쇠 배열체에는 지지 배열체와 보유 배열체 사이의 상대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가 배열되고; 상기 감쇠 배열체는 지지 배열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착부 및 상기 보유 배열체에 부착하기 위한 보유 부착부를 갖는다. 게다가, 지지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배열체는 발목 관절의 복사뼈 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으로 복사뼈 상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고정부는 상기 하부 다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용어 "발목 관절(ankle joint)"은 상부 및 하부 발목 관절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부 발목 관절의 움직임 축은 실질적으로 발의 족저 굴곡(plantar flexion) 및 후방 신전(dorsal extension)을 허용하고, 하부 발목 관절의 움직임 축은 실질적으로 회외(supination), 내전(adduction) 및 족저 굴곡, 외전(abduction) 및 후방 신전을 포함하는 내번(inversion) 및 외번(eversion)을 실질적으로 허용한다.
여기서, 용어 "복사뼈(anklebone)"는 관절 소켓의 융기부(eminence), 상부 발목 관절의 발목 모타이즈(ankle mortise)로 이해된다. 결과적으로, 본 경우에 용어 "복사뼈"는 외측 복사뼈(lateral malleolus) 및 내측 복사뼈(medial malleolus)를 포함한다. 관절 소켓으로서의 발목 모타이즈의 구성으로 인해, 복사뼈는,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상기와 비교하여 더 큰 표면 단면적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하부 다리의 인접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복사뼈의 둘레는 인접 부분에 비해 더 크다.
감쇠 배열체에는 지지 배열체와 보유 배열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가 제공되고, 감쇠 배열체는 지지 배열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착부 및 보유 배열체에 부착하기 위한 보유 부착부를 갖는다는 사실로 인해, 심지어 발목 관절의 움직임의 제한 각도를 넘는 움직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발의 각각의 위치에서 움직임이 감쇠될 수 있다.
지지 배열체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고정부를 포함하며, 지지 배열체는 발목 관절의 발목 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에서 복사뼈 상에 지지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고정부는 하부 다리에 부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는 사실로 인해, 감쇠 배열체를 통해 보유 배열체의 방향으로 지지 배열체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지지 배열체로부터의 힘은 그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을 통해 복사뼈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발 움직임 감쇠 장치가 사용자에게 장착되거나 신겨질 때, 지지 배열체는 실질적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발목 상에서, 발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즉 근위에서부터, 발 방향으로, 즉 원위로 지지된다. 여기에서, 발목으로부터 근위에 있는 하부 다리의 테이퍼진 영역을 둘러쌈으로서 형태 끼워맞춤 연결이 가능하다. 더욱이, 유연한 방식으로 지지 배열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복사뼈 또는 발목 관절을 광범위하게 덮는 경질 외피(hard shell)를 갖는 강성 배열체는 필요하지 않다.
여기서, 지지 고정부는, 장착되거나 신겨질 때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이 하부 다리에 대해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지지 고정부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편향 아일릿(deflecting eyelet) 및 터치 앤 클로즈 패스너(touch and close fastener)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터치 앤 클로즈 밴드로서 장력이 강한 밴드로서 구성되고, 따라서 편향 아일릿을 통해 하부 다리에서 팽팽하게 당겨지고 터치 앤 클로즈 패스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이 아래로, 즉 원위로 발목뼈에 걸쳐 미끄러질 수 없도록 지지 배열체의 반경 방향 확장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지지 고정부는 또한 지지 배열체 상에 레이싱(lacing)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지지 배열체와 보유 배열체 사이의 전술한 감쇠 장치의 제공과 지지 배열체의 전술한 구성의 조합에 의해, 이에 따라,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생리학적 움직임 동안의 발목 관절의 높은 가동성과 동시에 비-생리학적 움직임 동안의 우수한 보호 효과가, 발 움직임 감쇠 장치에 의한 비틀림 움직임의 감쇠 동안 무릎 관절이 허용될 수 없는 응력을 받지 않으면서 발의 모든 위치에서 얻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이 에너지의 일부는 비틀림동안 발생하고 그렇지 않으면 레버 암이 증가될 때 무릎 관절에 의해 흡수되어야 하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충분히 큰 감쇠 작용이 가능하고 또한 무릎 관절의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가 흡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틀림 동안 발생하는 에너지는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되고 발목 모타이즈의 외부 융기부의 상부 영역을 통해 복사뼈 위로부터 지지 배열체를 통해 하부 다리로 도입되고, 또한 무릎 관절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상된다.
바람직한 개량예에서, 지지 배열체는 가요적이고 유연한 재료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신겨진 상태에서, 장력이 강한 밴드와 결합하여 하부 다리에 대해 놓여지는 발포체(foam)가 형성되며, 이 발포체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하부 레그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지지 고정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지지 배열체를 가요성 발 구속부(foot restraint)로서 구성할 수 있다. 지지 배열체의 가요성으로 인해 복사뼈에서 발생하는 국소 압통점(local pressure points) 또는 마찰점(chafing points)을 회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은 가요성 구조로 인해 복사뼈의 상부측의 표면에 중첩되어 압력을 균일하게 분배한다.
개량예에서, 지지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배열체에 도입된 힘이 복사뼈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국부적으로 배열되고, 치수적으로 안정적이며 또는 압력 안정 요소를 갖는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배열체는 제 1 측면,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외측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 영역, 및 제 2 측면,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영역을 갖는다. 이에 의해, 지지 배열체는 복사뼈 상에 균일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감쇠 배열체를 통해 보유 배열체로부터 유래하는 힘이 복수의 지지 영역을 통해 복사뼈에 분산되며 이에 따라 한쪽에서 또는 국부적으로 유입되는 큰 힘이 회피되기 때문에, 지지 배열체는 그 위치에서 특히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 1 지지 영역이, 장착되거나 신겨진 상태에서 외측 복사뼈 상에 위에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제 2 지지 영역이, 장착되거나 신겨진 상태에서 내측 복사뼈 상에 위에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된다면, 특히 균일한 지지가 달성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부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배열체의 제 1 측면 - 상기 제 1 측면은 하부 레그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외측 측면에 대응함 - 및 지지 배열체의 제 2 측면 - 상기 제 2 측면은 하부 레그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에 대응함- 에서 지지 배열체에 연결된다. 이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비틀림의 결과로서 보유 배열체로부터 유래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힘은 지지 배열체의 제 1 측면 및 지지 배열체의 제 2 측면에 분배된다.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하부 다리 또는 지지 배열체의 원주 방향을 향하는 힘 성분은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도입된다. 이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한쪽으로 도입되거나 한쪽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인한 미끄러짐 위험이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회피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착부가 제 1 측면 상의 지지 배열체에 부착하기 위한 제 1 지지 아암 및 제 2 측면 상의 지지 배열체에 부착하기 위한 제 2 지지 아암을 갖는다면, 지지 부착부는 재료를 특별히 절약하면서 실현될 수 있다. 더욱이, 지지 아암의 배열에 따르면, 비틀림에 의해 유도된 힘이 특정 방식으로 전환되거나 바람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지지 배열체에 도입될 수 있다. 게다가, 이에 의해, 발 또는 하부 다리의 해부학적 구조가 고려될 수 있고 노출된 지점에서의 마찰점이 이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하고 견고한 실시예에서, 제 1 지지 아암 및 제 2 지지 아암은 일체로 형성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요소는 제 1 지지 아암에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감쇠 요소는 제 2 지지 아암에 통합된다. 이에 의해, 발 움직임 감쇠 장치가 특히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아암이 발목 관절의 내번(inversion) 방향 또는 외번(eversion) 방향으로 각지게 배열된다면, 각각의 감쇠 요소의 풀-아웃 경로는 각각의 지지 아암과 내번 방향 또는 외번 방향 사이에 둘러싸인 각도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감쇠 요소의 감쇠 거동은 감쇠 요소의 상응하는 더 큰 풀 아웃 경로의 존재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지지 아암에 통합된 감쇠 요소는 각각의 지지 아암을 통해 전달되는 힘 또는 힘 성분만을 흡수하거나 감쇠해야 한다. 감쇠 요소는 이에 따라 더 작고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쇠 요소는 보유 부착부에 통합된다. 이에 의해, 감쇠 요소의 작용 방향은 예상된 내번 방향에 정확하게 맞출 수 있거나 이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보유 배열체의 밑창 또는 인서트에 의해 규정된 평면과 함께 보유 부착부가 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그리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7°의 각도로 둘러싼다면, 발목 관절을 통한 움직임의 특히 효과적인 감쇠 또는 구속이 달성될 수 있다.
"밑창(sole)"은 여기서, 장치가 신겨질 때 착용자의 발 하부측의 적어도 일부와 평평하게 접촉하는 영역인 것으로 이해된다. 밑창은 바람직하게는 인서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서, 장치는 완전히 별개의 장치로서 이용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장치는 다른 장치와 결합될 필요없이 기능한다. 특히, 장치의 일부는 신발에 체결되거나 그 내부에 통합될 필요가 없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발 움직임 감쇠 장치에 의해 발목 관절 움직임을 특히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기 위해, 보유 부착부 또는 보유 부착부에 통합된 감쇠 요소는, 발 움직임 감쇠 장치의 측면도, 즉, 발 움직임 감쇠 장치를 착용한 사람의 발의 내부도 또는 측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쇠 요소의 결과적인 작용 방향 또는 결과적인 작용 선이 대체로 발의 중족골 관절(metatarsophalangeal joint)(D5) 영역 다시 말해, 중족골 뼈와 발의 작은 발가락의 근위 지골(proximal phalanx) 사이의 영역에서 보유 영역의 밑창과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 움직임 감쇠 장치를 착용하는 발의 가동성이 작은 정도로만 영향을 받도록, 지지 부착부와 보유 부착부 사이의 천이부가 관절식 또는 가동 방식으로 구성된다. 천이부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조인트, 회전 조인트 또는 횡력 조인트의 형태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천이부는 편향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천이부는 바람직하게는 롤러, 아일릿 및/또는 루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발 움직임 감쇠 장치를 착용한 발의 족저 굴곡 또는 후방 신전의 경우에, 따라서, 지지 부착부는 전술한 움직임의 범위가 발 움직임 감쇠 장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면서 천이부의 영역에서 보유 부착부에 대해 구르거나 이동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발 움직임 감쇠 장치는 양말, 축구 양말, 보조기 또는 붕대에 배열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부착부의 길이를 적응시키기 위해 조정 가능한 부착 영역을 갖는다. 조정 가능한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래치 결합 배열체, 후크 연결부 또는 터치 앤 클로즈 연결부의 형태로 구성된다. 조정 가능한 부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고정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한 목적은 또한 제 10 항의 특징을 갖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예가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난다.
따라서,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이 제안되는데, 이 신발은 밑창과 갑피(upp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발 움직임 감쇠 장치가 신발 상에 배열된다. 신발에 제공되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발 움직임 감쇠 장치로 인해, 신발의 사용자 또는 착용자는 전술한 이점으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신발(shoe)"은 본원에서 갑피 또는 신발 샤프트(shoe shaft) - 후자는 중실 베이스(solid base) 또는 밑창에 연결됨 - 를 갖는 임의의 형태의 신발형 발 복장(shoe-like foot apparel)으로서 이해되고, 특히 보정 신발, 스포츠 신발, 레저 신발 및 부츠이다.
신발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쇠 배열체는 신발의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비틀림의 경우에 발생하는 경로, 특히 결과적인 풀아웃 경로는 이에 의해 가능한 한 크며, 이는 감쇠 배열체의 특히 정밀한 조정 및 특히 효과적인 감쇠를 허용한다. 더욱이, 신발이 발 움직임 감쇠 장치로 쉽게 개조될 수 있고 부품이 쉽게 유지보수 및/또는 교환될 수 있다.
신발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유 부착부는 신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지지 부착부는 신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가 신발에 통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감쇠 배열체가 신발에 통합된다. 이에 의해, 신발의 특히 견고하고 컴팩트한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신발은 예를 들어, 축구 경기 동안 신발을 사용하는 동안 스포츠 연습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신발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더 적거나 없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신발은 외부에서 볼 때 감쇠 목적을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를 갖지 않는 신발과는 전혀 다르지 않은, 아주 약간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의 심미적 외관은 종래의 신발의 외관과 관련하여 아주 실질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신발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배열체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이용 가능하다. 여기서 "별도로 이용 가능(made available separately)"하다는 것은, 지지 배열체가 지지 부착부 또는 감쇠 배열체를 통해서만 신발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의해, 신발은 감쇠 목적을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를 갖지 않는 신발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별 지지 배열체는 신발의 텍스타일 재료에 연결되지 않는 구성 요소이다. 실제 신발과 지지 배열체 사이의 유일한 연결부는 따라서, 지지 부착부이다. 특히 런닝화 또는 축구화와 같이 로우 샤프트를 갖는 신발에서, 이에 따라 발의 최대 가동성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서, 신발은 하이 샤프트를 가지며, 지지 배열체는 하이 샤프트에 통합된다. 이에 의해, 지지 배열체를 별도로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에 의해, 지지 배열체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지지 고정부는 바람직하게는, 아일렛을 갖는 루프(loop), 밴드(band) 또는 슬링(sling)의 형태로 신발의 외측면 상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고정부는 또한 샤프트 및 신발의 주 클로징 장치의 영역, 예를 들어, 레이스 신발의 레이싱 또는 장력이 강한 터치 앤 클로즈 패스너 신발의 터치 앤 클로즈 패스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하기 도면의 설명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로우 샤프트 신발(low-shaft shoe)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하이 샤프트 신발(high-shaft shoe)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다른 측면에서 본 도 4의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로우 샤프트 신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하이 샤프트 신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른 측면에서 본 도 7의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동일한 작용을 하는 요소에는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이러한 요소에 대한 반복 설명은 중복을 회피하기 위해 어느 정도 생략된다.
도 1은 인간 발(110)에 부착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의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는 보조기(orthosis)(60)의 형태이다.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는 보유 배열체(3)를 통해 발(110)의 발목 관절의 복사뼈(anklebone)(114), 즉 발목 모타이즈(ankle mortise) 아래에서 발(110)에 부착된다. 복사뼈(114) 위에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는 지지 배열체(2)에 의해 하부 다리(112)에 부착된다. 지지 배열체(2) 및 보유 배열체(3)는 지지 배열체(2)와 보유 배열체(3)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여기서는 속도 의존적 방식으로 그리고 가속 의존적 방식으로 적응적으로 감쇠시키는 감쇠 배열체(4)를 통해 연결된다. 도 1에 따른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는, 여기서는 발목 관절의 내번 움직임을 적응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발(110)에 부착하기 위해, 보유 배열체(3)는 발(110)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밑창(30)을 갖는다. 밑창(30)은 발 움직임 감쇠 장치(1)의 제 1 측면(46) - 이 측면은 여기에서 발(110)의 외측 측면(L)에 대응함 - 상에서 감쇠 배열체(4)의 보유 부착부(41)에 연결된다. 보유 부착부(41)는 여기에서 보유 부착부(41)에 부착된 아일릿 형태의 천이부(45)에 의해 감쇠 배열체(4)의 지지 부착부(42)에 연결된다. 차례로 지지 부착부(42)를 통해, 감쇠 배열체(4)는 지지 배열체(2)에 연결된다. 지지 부착부(42)는 장력이 강하고 천이부(45)의 아일릿에서 편향되는 밴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착부(42)는 제 1 및 제 2 지지 암(43, 44)으로 분할된다. 제 1 지지 암(43)은 발 움직임 감쇠 장치(1) 또는 지지 배열체(2)의 제 1 측면(46) 상에서 천이부(45)와 지지 배열체(2) 사이를 연장한다. 제 2 지지 아암(44)은 제 1 측면(46) 상에 위치된 천이부(45)로부터 발 움직임 감쇠 장치(1) 또는 지지 배열체(2)의 제 2 측면(47)까지 연장하며 거기서 지지 배열체(2)에 연결된다. 지지 부착부(42) 또는 밴드는 천이부(45)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발목 관절 위(또는 그의 상부 발목 관절 축 위)에서 족저 굴곡(plantar flexion) 또는 후방 신전(dorsal extension) 동안, 지지 부착부(42)의 밴드가 아일릿에서 편향되는 섹션은 이동 범위에 따라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제 1 지지 아암(43) 및 제 2 지지 아암(44)의 길이는 약간 변한다. 이러한 작은 변화는 아일릿에서 밴드의 약간의 슬라이딩에 의해 보상되므로, 견고하게 부착될 때,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또는 압통점(pressure points)이 회피된다.
발목 관절이 내번을 겪게 되면, 보유 배열체(3)와 지지 배열체(2) 사이의 거리는 제 1 측면(46)에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지지 배열체(4)와 천이부(45)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따라서, 천이부(45)의 아일릿을 통해 제 1 측면(46) 상에서 지지 배열체(2)의 제 1 부착 영역으로부터 그리고 제 2 측면(47) 상에서 지지 배열체(2)의 제 2 부착 영역으로의 지지 부착부(42)의 길이로의 연장이 필요할 것이다. 생리학적 범위에서 이러한 움직임을 기본적으로 허용하기 위해서, 감쇠 배열체(4)는 제 1 지지 아암(43)에 통합된 감쇠 요소(40)를 갖는다. 감쇠 요소(40)는 지지 배열체(2)에 고정 연결되는 관형 제 1 댐퍼 부분(48)을 갖고, 그리고 관형 제 1 댐퍼 부분(48)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인출 방향을 따라 제 1 댐퍼 부분(48)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지지 부착부(42)의 밴드에 연결되는 제 2 댐퍼 부분(49)을 갖는다. 제 2 댐퍼 부분(49)은 관형의 제 1 댐퍼 부분(48)의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인출 몸체(pull-out body)를 갖는다. 또한, 감쇠 매체가 감쇠 요소에 포함된다. 제 1 댐퍼 부분(48)에 대한 제 2 댐퍼 부분(49)의 상대 이동 중에, 제 2 댐퍼 부분(49)의 이동은 제 1 댐퍼 부분(48)의 내측 및 제 2 댐퍼 부분(49)의 인출 몸체의 기하학적 형상 및 감쇠 매체의 조성, 특히 점도에 따라 감쇠된다. 감쇠 요소(40)는 여기에서 움직임을 적응적으로 감쇠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적당한 속도 또는 가속의 움직임 동안, 사실상 방해받지 않는 발목 관절의 가동성이 가능할 수 있다. 발목 관절의 인대에 대해 부상의 위험이 있는 고속 및/또는 가속시에 내번이 발생하면, 감쇠 요소(40)는 내번 움직임을 감쇠시키고 부상을 회피한다.
더욱이, 감쇠 요소(40)는 감쇠 매체를 갖는 제 1 댐퍼 부분(48)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 및 제 2 댐퍼 부분(49)을 제 1 댐퍼 부분(48) 내로 후퇴하거나 미는 위치로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수단을 갖는다. 재설정 수단은, 발이 내번 위치로부터 다시 이동될 때 제 2 댐퍼 부분(49)이 제 1 댐퍼 부분(48) 내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에 의해, 발 움직임 감쇠 장치(1)의 보호 효과는 규정된 제한 내번 각도에 도달할 때 또는 도달한 후뿐만 아니라 발의 실질적으로 모든 위치에서 이용 가능하다.
지지 배열체(2)가 내번의 결과로서 힘의 작용 동안 움직이지 않고, 특히 발(110) 방향으로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 배열체(2)는 제 1 및 제 2 지지 영역(20, 21)을 갖는다. 제 1 지지 영역(20)은, 발 움직임 감쇠 장치(1)가 발(110) 또는 하부 다리(112)에 부착될 때, 상기 제 1 지지 영역이 실질적으로 외측 복사뼈(lateral malleolus)(115) 위에 위치되도록 지지 배열체(2)의 제 1 측면(46) 상에 배열된다. 반대로, 즉 제 2 측면(47) 상에서, 지지 배열체(2)는 제 2 지지 영역(21)(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제 2 지지 영역(21)은, 여기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가 발(110) 또는 하부 다리(112)에 부착될 때, 상기 제 2 지지 영역이 실질적으로 내측 복사뼈(medial malleolus) 위에 위치되도록 지지 배열체(2) 상에 배열된다. 발(110) 방향으로의 인장력이 지지 부착부(42)를 통해 지지 배열체(2) 내로 도입되는 내번의 경우, 지지 배열체(2)는 제 1 지지 영역(20)과 위로부터 발목 관절의 외측 복사뼈(115) 그리고 제 2 지지 영역(21)과 위로부터 발목 관절의 내측 복사뼈 상에 지지된다. 지지 배열체(2)가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 지지 영역(20, 21)이 발(110)의 방향으로 복사뼈(114) 위에서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배열체(2)는 제 1 지지 영역(20) 및 제 2 지지 영역(21)의 위치가 하부 다리에 고정되는 지지 고정부(22)를 갖는다. 지지 고정부(22)는, 여기서 편향 아일릿 및 터치 앤 클로즈 패스너를 갖는 터치 앤 클로즈 밴드(25)로서 설계되고, 따라서, 편향 아일릿을 통해 하부 레그(112)에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고 터치 앤 클로즈 패스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로부터의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는 그 구조 때문에 그의 보호 효과를 전개하는 완전히 분리된 장치로서 구성된다.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를 착용한 사람은 전술한 보호 효과를 얻기 위해 장치(1) 위로 신발을 당기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는 발 아래에 압통점이 발생하지 않고 장치(1)의 신발 아래 또는 신발로의 착용이 발에서 압통점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밑창(30)은 바람직하게는 신발의 인서트를 대체하거나 상기 인서트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인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발 움직임 감쇠 장치(1)가 붕대(70) 상에 제공되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의 제 1 측면(46), 즉 발목 관절의 외측 측면에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붕대(70)는, 주요 구조로서 착용자의 신체에 적합할 수 있는 탄성 압축 니트로 제조된 스타킹(72)을 갖는다.
지지 배열체(2)는, 붕대(70)가 발(110) 및 하부 다리(112)에 부착될 때 복사뼈(114) 위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붕대(70)의 스타킹(72) 상에 배열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배열체(2)는 외측 복사뼈(115)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 영역(20) 및 내측 복사뼈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 영역(21)(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붕대(70)의 하부 측면 상에서, 붕대는 장력이 강하고 작은 직물 탭으로 설계된 보유 부착부(41)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보유 배열체(3)를 갖는다. 루프 형태의 천이부(45)는 보유 부착부(41) 상에 배열된다. 루프를 통해, 도 1로부터의 발 움직임 감쇠 장치(1)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이 강한 밴드로서 구성된 지지 부착부(42)는, 제 2 측면(47) 상에 위치된 제 2 부착 영역(44a)(도시되지 않음)의 방향으로의 지지 배열체(2) 상에서, 제 1 측면(46) 상에 위치된 제 1 부착 영역(43a)으로부터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착부(42)는 따라서 제 1 측면(46) 상의 지지 배열체(2)에 부착하기 위한 제 1 지지 아암(43) 및 제 2 측면(47) 상의 지지 배열체(2)에 부착하기 위한 제 2 지지 아암(44)으로 분할된다.
감쇠 요소(40)는 여기서 제 1 부착 영역(43a)에 배열되고 지지 배열체(2)의 터치 앤 클로즈 밴드(25)의 전체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붕대(70)는 복사뼈(114) 아래에 임의의 뚜렷한 융기부(eminences)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붕대(70)는 가능한 융기부로 인해 발에 압통점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로우 샤프트 신발 아래에서 착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로우 샤프트 신발(80)의 제 1 측면(46)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신발(80)에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가 제공된다. 신발(80)은 신발 밑창(82) 및 갑피(upper), 즉 신발 샤프트(83)를 갖는 레이스 운동화(laced sports shoe)로서 구성되며, 신발 샤프트의 샤프트 단부(86)는 신겨진 상태에서 복사뼈(114) 아래에 배열된다. 신발 샤프트(83)는 복사뼈(114) 위로 연장되지 않는다.
보유 배열체(3)는 신발 밑창(82) 및 갑피, 즉 신발 샤프트(83)에 의해 형성된다. 발(110)에 대한 위치적으로 안정적인 부착이 레이싱(lacing)(84)에 의해 달성되며, 이를 통해 신발 샤프트(83)가 발(110)의 윤곽 위로 당겨질 수 있다. 제 1 측면(46), 즉 발(110)의 외측 측면에서,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플랜지 형태의 보유 부착부(41)가 신발 샤프트(83)에 체결된다. 감쇠 요소(40)가 플랜지에 체결된다. 감쇠 요소(40)는 장력이 강한 편직물 형태의 지지 부착부(42)에 의해 천이부(45)에 고정 연결된다. 지지 부착부(42)는 지지 배열체(2)의 제 1 측면(46) - 상기 측면은 하부 다리(1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발목 관절의 외측 측면에 해당함 - 상의 부분에 의해, 그리고 지지 배열체(2)의 제 2 측면(47) - 상기 측면은 하부 다리(1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에 해당함 - 상의 추가 부분에 의해 지지 부분(2)에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 부착부(42)를 통해 지지 배열체(2)로 감쇠 배열체(4)에 의해 도입된 힘은 제 1 측면(46) 및 제 2 측면(47) 둘 모두에서 지지 배열체(2)로 도입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배열체(2)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지지 배열체(2)는 감쇠 배열체(4)의 지지 부착부(42)를 통해서만 신발 샤프트(83)에 연결된다. 신겨진 상태에서, 복사뼈(114) 위에 배열된 지지 배열체(2)와 복사뼈(114) 아래에 위치된 샤프트 단부(86) 사이에 거리가 존재한다.
도 4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를 갖는 하이 샤프트 신발(8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신발(80)의 기본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3의 신발의 기본 구조에 대응하지만, 도 4의 신발(80)은 하이 샤프트(85)를 갖는다는 점이 상이하다. 따라서, 신겨진 상태에서, 신발(80)의 샤프트 단부(86)는 복사뼈(114) 위에 놓이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 부호(114)로 표시된다. 더욱이, 지지 배열체(2)는 신발(80)에 통합된다. 지지 배열체(2)는 제 1 측면(46) 상의 외측 복사뼈(115) 위에서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 영역(20), 및 제 2 측면(47) 상의 내측 복사뼈(116)(도시되지 않음) 위에서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 영역(21)(여기서는, 감추어져 있음)을 갖는다. 지지 영역(20, 21)은 하이 샤프트(85)의 내부에 배열된다. 지지 배열체(2)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터치 앤 클로즈 밴드(25) 형태의 지지 고정부(22)가 하이 샤프트(85) 상에 제공된다.
도 5는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인 제 2 측면(47)에서 본 도 4의 신발(8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지지 부착부(42)는, 여기에서 참조 부호(116)로 표시되는 내측 복사뼈의 위치의 대략 후방 단부까지 제 2 측면(47)에서 연장된다.
도 6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를 갖는 로우 샤프트 신발(8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신발(80)은 실질적으로 도 3의 신발에 대응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도 6에 도시된 신발(80)은 편평한 편직물 대신에, 장력이 강하며 보유 부착부(41)에 대한 천이부(45)에 의해 제 1 지지 아암(43) 및 제 2 지지 아암(44)으로 분할되는 밴드 형태의 지지 부착부(42)를 갖는다는 것이다. 제 1 지지 암(43)은 제 1 측면(46) 상에 위치된 제 1 부착 영역(43a)에서 지지 배열체(2)에 연결되고, 제 2 측면(47) 상에 위치된 제 2 부착 영역(44a)(도시되지 않음)에서 지지 배열체(2)에 연결된다. 천이부(45)는 고정 솔기(fixed seam)로 구성된다.
도 7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를 갖는 하이 샤프트 신발(8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하이 샤프트 신발(80)은 평탄한 편직물 대신에, 지지 부착부(42)가 레이스 형태로 가능하고, 이 레이스는 장력이 강하며,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가지며, 보유 배열체(41)에 대한 천이부(45)에 의해 제 1 지지 아암(43) 및 제 2 지지 아암(44)으로 분할된다. 제 1 지지 암(43)은 제 1 측면(46) 상에 위치된 제 1 부착 영역(43a)에서 지지 배열체(2)에 연결되고, 제 2 측면(47) 상에 위치된 제 2 부착 영역(44a)(도시되지 않음)에서 지지 배열체(2)에 연결된다. 천이부(45)는 제 2 댐퍼 부분(46)의 단부에서 아일렛으로서 구성되며, 아일렛에서는 레이스가 움직일 수 있게 유지된다.
도 8은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인 제 2 측면(47)에서 본 도 7의 신발(8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지지 부착부(42)는, 여기에서 참조 부호(116)로 표시되는 내측 복사뼈의 위치의 대략 후방 단부까지 제 2 측면(47)에서 연장된다. 더욱이, 터치 앤 클로즈 밴드 아래에 배열된 제 2 부착 영역은 참조 부호 44a로 표시되어 있다.
강성 부착부 대신에,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 1 부착 영역(43a) 및/또는 제 2 부착 영역(44a)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아암(43, 44) 중 적어도 하나는 래치결합 배열체, 지지 부착부 상에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후크를 갖는 후크 연결부, 또는 터치 앤 클로즈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부착 영역(43a, 44a)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고정부(22)의 끼워맞춤에 의해 추가로 고정된다.
적용 가능한 경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시된 모든 개별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결합 및/또는 상호 교환될 수 있다.
1 발 움직임 감쇠 장치
2 지지 배열체
20 지지 영역
22 지지 고정부
23 편향 아일렛
24 터치 앤 클로즈 패스너
25 터치 앤 클로즈 밴드
3 보유 배열체
30 밑창
4 감쇠 배열체
40 감쇠 요소
41 보유 부착부
42 지지 부착부
43 제 1 지지 아암
43A 제 1 부착 영역
44 제 2 지지 아암
44A 제 2 부착 영역
45 천이부
46 제 1 측면
47 제 2 측면
48 제 1 감쇠 부분
49 제 2 감쇠 부분
60 보정기
70 붕대
72 스타킹
80 신발
82 신발 밑창
83 신발 샤프트
84 레이싱
85 하이 샤프트
86 샤프트 단부
110 발
112 하부 다리
114 발목뼈
115 외측 복사뼈
116 내측 복사뼈
N 내측 측면
L 외측 측면

Claims (14)

  1.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foot movement damping device)(1)로서,
    하부 다리(1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배열체(support arrangement)(2) 및 발(110) 상에 보유하기 위한 보유 배열체(retaining arrangement)(3)를 포함하고,
    감쇠 배열체(4)에는 지지 배열체(2)와 보유 배열체(3) 사이의 상대 움직임을 감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40)가 배열되고, 상기 감쇠 배열체(4)는 지지 배열체(2)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착부(42) 및 보유 배열체(3)에 부착하기 위한 보유 부착부(41)를 가지며;
    상기 지지 배열체(2)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20, 21)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고정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배열체(2)는 발목 관절의 복사뼈(114) 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20, 21)으로 복사뼈(114) 상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고정부(22)는 상기 하부 다리(112)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20, 2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배열체(2)는, 제 1 측면(46),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외측 측면(lateral side)(L)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 영역(20); 및 제 2 측면(47),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medial side)(M)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영역(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착부(4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배열체(2)의 제 1 측면(46) - 상기 제 1 측면은 하부 레그(1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외측 측면(L)에 대응함 - 및 지지 배열체(2)의 제 2 측면(47) - 상기 제 2 측면은 하부 레그(1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발목 관절의 내측 측면(M)에 대응함- 에서 지지 배열체(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착부(42)는 제 1 측면(46) 상에서 지지 배열체(2)에 부착하기 위한 제 1 지지 아암(43) 및 제 2 측면(47) 상에서 지지 배열체(2)에 부착하기 위한 제 2 지지 암(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암(43) 및 상기 제 2 지지 암(44)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요소(40)는 상기 제 1 지지 아암(43)에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감쇠 요소(40)는 상기 제 2 지지 아암(44)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요소(40)는 상기 보유 부착부(41)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배열체(3)의 밑창(30)에 의해 규정된 평면과 함께 상기 보유 부착부(41)는 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그리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7°의 각도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착부(42)와 상기 보유 배열체(3) 사이의 천이부(45)는 관절식 또는 가동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발 움직임 감쇠 장치.
  10.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80)로서,
    밑창(82) 및 최상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신발(80)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 움직임 감쇠 장치(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배열체(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신발(80)의 외부 측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배열체(41)는 상기 신발(8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지지 부착부(42)는 상기 신발(8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 요소(40)는 상기 신발(80)에 통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쇠 배열체(4) 전체는 상기 신발(80)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배열체(2)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80)은 하이 샤프트(85)를 가지며,
    상기 지지 배열체(2)는 상기 하이 샤프트(85)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관절을 통한 발 움직임을 감쇠시키기 위한 신발.
KR1020197036195A 2017-05-08 2018-05-08 발목을 통해 발 움직임을 댐핑하기 위한 신발과 발 움직임 댐퍼 KR20200016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9877.1 2017-05-08
DE102017109877.1A DE102017109877A1 (de) 2017-05-08 2017-05-08 Fußbewegungsdämpfungsvorrichtung und Schuh zum Dämpfen einer Fußbewegung über das Sprunggelenk
PCT/EP2018/061933 WO2018206611A1 (de) 2017-05-08 2018-05-08 FUßBEWEGUNGSDÄMPFUNGSVORRICHTUNG UND SCHUH ZUM DÄMPFEN EINER FUßBEWEGUNG ÜBER DAS SPRUNGGELE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857A true KR20200016857A (ko) 2020-02-17

Family

ID=6214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195A KR20200016857A (ko) 2017-05-08 2018-05-08 발목을 통해 발 움직임을 댐핑하기 위한 신발과 발 움직임 댐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547588B2 (ko)
EP (1) EP3621562B1 (ko)
JP (1) JP2020519414A (ko)
KR (1) KR20200016857A (ko)
CN (1) CN110868966B (ko)
CA (1) CA3062715C (ko)
DE (1) DE102017109877A1 (ko)
DK (1) DK3621562T3 (ko)
ES (1) ES2923378T3 (ko)
HR (1) HRP20220876T8 (ko)
HU (1) HUE059310T2 (ko)
PL (1) PL3621562T3 (ko)
PT (1) PT3621562T (ko)
SI (1) SI3621562T1 (ko)
WO (1) WO2018206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4932A1 (de) * 2018-10-09 2020-04-09 Betterguards Technology Gmbh Fußbewegungsdämpfungsvorrichtung und Schuh
DE102018131463B4 (de) * 2018-12-07 2020-07-02 Betterguards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r Stabilisierung von Bewegungen zweier sich relativ zueinander bewegbarer Körper
EP3874985A1 (en) * 2020-03-03 2021-09-08 Actiweight Labs AS Footwear
DE102020130060A1 (de) 2020-11-13 2022-05-19 Betterguards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adaptiven Stabilisieren einer Körpergelenkbewegung
AT525602A1 (en) 2021-11-02 2023-05-15 Edera Safety Gmbh & Co Kg Dynamically dependent movement blockade system
DE102022116790A1 (de) 2022-07-05 2024-01-11 Betterguards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Begrenzen und/oder Dämpfen einer Fußbewegung über das Sprunggelenk, und Schuh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7209A (en) * 1967-06-26 1970-09-08 Jariba Corp Drop foot support
US3613273A (en) * 1970-03-02 1971-10-19 William J Parker Ankle support
FR2558043B1 (fr) * 1984-01-13 1986-05-16 Adidas Chaussures Chaussure de sports ou de loisirs a tige haute
US4547981A (en) * 1984-04-27 1985-10-22 William Thais Shoe with ankle protector
US4936295A (en) * 1987-09-22 1990-06-26 Crane Larry A Lateral support for ankle
US4982733A (en) * 1989-05-17 1991-01-08 Finlayson & Singlehurst S T S (sub-talar stabilizer) ankle brace
US5382224A (en) * 1992-10-13 1995-01-17 Spangler; Harry V. Drop foot brace
DE4404911C2 (de) * 1994-02-16 1997-10-02 Georg Dr Ahlbaeumer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oder orthopädischer Strumpf, mit Sprunggelenkstabilisierung
US5833639A (en) * 1995-10-27 1998-11-10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Short leg walker
JPH09206347A (ja) * 1996-02-02 1997-08-12 Toyoda Mach Works Ltd 短下肢装具およびその評価装置
US5921947A (en) * 1996-08-14 1999-07-13 Kessler; Sigurd Bandage for the fixation of the ankle joint
DE29614127U1 (de) * 1996-08-14 1996-09-26 Kessler Sigurd Bandage zur Fixierung des Sprunggelenks
FR2755584B1 (fr) * 1996-11-08 1999-01-15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comportant un collier mobile
JPH1156940A (ja) * 1997-08-12 1999-03-02 Hiroshi Okumura 足矯正用装具
JP4156909B2 (ja) * 2002-11-18 2008-09-24 川村義肢株式会社 短下肢装具
US20050177083A1 (en) * 2004-02-09 2005-08-11 Heil Arlan D. Foot eversion inhibitor
US20060075661A1 (en) * 2004-05-14 2006-04-13 Ramsey Makray D Uni-sex multi-sport footwear accessory
CA2661520A1 (en) * 2008-04-04 2009-10-04 Michel Sylvestre Footwear for sporting activity having tightening belts
JP5120209B2 (ja) * 2008-11-04 2013-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5493724B2 (ja) * 2009-11-05 2014-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短下肢装具
EP3108860B1 (en) 2011-06-10 2023-12-27 Exo Ligament B.V. Assembly comprising a shoe, a shaped piece connected with the shoe to support the ankle, and a set of a shaped piece and fixing means for attachment to the shoe
JP2013027657A (ja) * 2011-07-29 2013-02-07 Okamoto Kk 足用矯正具
DE102012011433A1 (de) * 2012-05-25 2013-11-28 Vinzenz Bichler Vorrichtung mit dilatantem Material zur adaptiven Bewegungsbegrenzung
AU2013277932B2 (en) 2012-06-19 2017-07-27 Pod Global Ip Pty Ltd Ankle supports
US10610398B2 (en) * 2013-07-11 2020-04-07 Jacob Benford Ankle support device
FR3011445B1 (fr) 2013-10-03 2016-02-26 Salomon Sas Chaussure
DE102014107335A1 (de) 2014-05-23 2016-01-07 Betterguards Technology Gmbh Orthopädische Vorrichtung zur Begrenzung der Bewegung eines zwischen einem ersten und zweiten Körperbereich angeordneten Gelenks
DE102014113363A1 (de) * 2014-09-17 2016-03-17 Petra Meyer-Clasen Orthese, insbesondere Fußhebeorthese
DE102015107405A1 (de) * 2015-05-12 2016-11-17 Betterguards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Begrenzen einer Bewegung eines zwischen einem ersten Körperteil und einem zweiten Körperteil angeordneten Gele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220876T1 (hr) 2022-10-14
CN110868966A (zh) 2020-03-06
US20210137719A1 (en) 2021-05-13
EP3621562B1 (de) 2022-04-20
PT3621562T (pt) 2022-07-20
US11547588B2 (en) 2023-01-10
SI3621562T1 (sl) 2022-10-28
CA3062715C (en) 2023-10-03
CN110868966B (zh) 2022-04-08
ES2923378T3 (es) 2022-09-27
WO2018206611A1 (de) 2018-11-15
HUE059310T2 (hu) 2022-11-28
PL3621562T3 (pl) 2022-09-19
EP3621562A1 (de) 2020-03-18
JP2020519414A (ja) 2020-07-02
HRP20220876T8 (hr) 2022-11-25
DE102017109877A1 (de) 2018-11-08
DK3621562T3 (da) 2022-07-18
CA3062715A1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588B2 (en) Foot movement damping device and shoe for damping a foot movement via the ankle joint
DK2996642T3 (en) PROPRIOCEPTIVE ORTHOSIS TO SUPPORT A LED
EP0705543B1 (en) Lower leg protection garment
KR101555003B1 (ko) 발 관절 서포터
RU2469683C2 (ru) Коленный бандаж
US20090005717A1 (en) Ankle Joint Bandage
EP3102161B1 (en) Support brace
US20210378355A1 (en) Foot movement limiting device and shoe
JP6364574B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JPH03254744A (ja) サポーター
JP2010518898A (ja) 外反母趾の防止および/または治療のための補強ストッキングまたはソックス
KR20120139662A (ko) 풋 웨어
US20220047005A1 (en) Dynamic Socks and Associated Methods
IE20100556A1 (en) An orthopaedic hosiery item
JP7051860B2 (ja) 長時間の座位に適した膝支持装具
JP7420139B2 (ja) 下肢矯正具
JP2004242764A (ja) 足関節装具
JP6223870B2 (ja) サポーター
IE20090678U1 (en) An orthopaedic hosiery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