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653A - 포장상자 봉함구조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봉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653A
KR20200016653A KR1020180091999A KR20180091999A KR20200016653A KR 20200016653 A KR20200016653 A KR 20200016653A KR 1020180091999 A KR1020180091999 A KR 1020180091999A KR 20180091999 A KR20180091999 A KR 20180091999A KR 20200016653 A KR20200016653 A KR 2020001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line
cut
flap
sealing structu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950B1 (ko
Inventor
김병수
박현서
김진성
박잎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덕수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덕수산업(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09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950B1/ko
Priority to CN201822125883.5U priority patent/CN209777018U/zh
Publication of KR2020001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부에 구비되는 제1 절취라인; 및 상기 덮개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의 양측 끝과 이어지는 절취라인으로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취라인에서 멀어질수록 마주보는 절취라인과 간격이 벌어지는 제2, 3 절취라인; 을 포함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상자 봉함구조{SEALING CONSTRUCTION OF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물을 포장 후 봉함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약사법 제63조에 의하면, 의약품의 제조업자 품목허가를 받은 자나 수입자는 자신이 제조 또는 수입한 의약품을 판매할 때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을 봉함(SEALING)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약사법 제63조의 입법취지는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을 봉함처리하여 의약외품의 품질과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보건위생상 위해를 방지하려는데 있다.
한편, 치약은 구강위생용품으로서 의약외품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튜브형태의 용기에 충전한 다음 치약이 충전된 튜브형태의 용기를 직육면체의 개별 포장상자로 한 번 더 포장한다. 치약은 의약외품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치약 개별 포장상자는 약사법 규정에 의해 반드시 봉함처리되어야 한다.
그런데 기존의 치약 개별 포장상자는 봉함처리 없이 포장물이 수납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본체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치약 개별 포장상자는 덮개부를 오픈 후 다시 닫더라도 오픈 여부의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복귀 포장물의 품질과 유효성 및 안전성을 신뢰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봉함을 개봉 후 쉽게 원상으로 회복시킬 수 없도록 하여 의약외품의 품질과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보건위생상 위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장상자 봉함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4618호(2012.06.27.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함을 뜯지 아니하고서는 포장상자를 개봉할 수 없으며, 개봉한 후에는 원상으로 회복시킬 수 없도록 한 포장상자 봉함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덮개부에 구비되는 제1 절취라인; 및 상기 덮개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의 양측 끝과 이어지는 절취라인으로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취라인에서 멀어질수록 마주보는 절취라인과 간격이 벌어지는 제2, 3 절취라인; 을 포함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절취라인은 상기 제2, 3 절취라인과 이어지는 경계를 중심으로 상기 제2, 3 절취라인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취라인이 감싸는 안쪽 영역에는 가압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취라인에 접하지 않는 상기 가압편의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는 접힘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편에 힘을 가하면 상기 제1 절취라인이 절취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편이 상기 접힘라인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접히면서 손가락 삽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취라인과 제2, 3 절취라인이 절취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의 끝단에 제1 플랩이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덮개부와 경계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 양측으로 제2 플랩과 제3 플랩이 대칭 구비되면서 상기 제2 플랩과 제3 플랩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 쪽으로 접히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부에 결합시 상기 제2 플랩과 제3 플랩 위에 중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와 제1 플랩의 경계에 제1 절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절단부를 중심으로 양측 끝단에 제2, 3 절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 사이 및 상기 제1 절단부와 제3 절단부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덮개부와 제1 플랩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2 플랩 부위에는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에 대응 삽입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절단부와 제3 절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3 플랩 부위에는 상기 제1 절단부와 제3 절단부에 대응 삽입 결합되는 제3 돌출부와 제4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봉함을 뜯지 아니하고서는 포장상자를 개봉할 수 없으며, 개봉한 후에는 원상으로 회복시킬 수 없도록 한 포장상자 봉함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 후 원상으로 회복 불가능함에 따라 제조 포장 유통과정에서 포장물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시켜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 후 원상으로 회복 불가능함에 따라 포장물의 품질과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여 국민의 보건위생상 위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개봉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에 있어서 가압부를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구멍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를 당김으로 인해 제2, 3 절취선이 절취되면서 덮개부가 제1, 2 덮개부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치약 등과 같은 의약외품은 포장이 개봉 후 원상 회복이 가능할 경우 품질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봉함을 뜯지 아니하고서는 포장상자를 개봉할 수 없으며, 개봉한 후에는 원상으로 회복시킬 수 없도록 한 포장상자 봉함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덮개부(20)에 구비되는 제1, 2, 3 절취라인(21, 22, 23)을 포함한다. 제2 절취라인(22)은 제1 절취라인(21)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된다. 제3 절취라인(23)은 제1 절취라인(21)의 타측 끝단부와 연결된다.
일예로서, 제1, 2, 3 절취라인(201, 22, 23)은 톰슨(tomson)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절취 가능한 도트 라인(dotted line)일 수 있다. 제1, 2, 3 절취라인(201, 22, 23)은 "∧"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덮개부(20)는 본체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정면판(11), 배면판(12), 좌판(13), 우판(14) 및 정면판(11)의 일측 연장되어 우판(14)에 접착되는 연결판(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20)는 본체부(10)의 개구부(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구부(16)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형성된다. 덮개부(20)는 본체부(10)의 배면판(12) 끝단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취라인(21)은 본체부(10)와 덮개부(20)가 연결되는 경계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덮개부(20) 영역에 구비된다. 제1 절취라인(21)은 제2, 3 절취라인(22, 23)과 이어지는 경계를 중심으로 제2, 3 절취라인(22, 23)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20)는 본체부(10)와 덮개부(20)가 연결되는 경계 방향으로 볼록한 반원 형태의 곡선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취라인(21)이 감싸는 안쪽 영역에는 반원 형태의 가압편(24)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편(24)의 가장자리 일부는 제1 절취라인(21)과 연결되고 나머지 가장자리 일부는 덮개부(20)와 연결된다.
가압편(24)과 덮개부(20)의 경계에는 접힘라인(25)이 형성된다. 접힘라인(25)은 제1 절취라인(21)과 접하지 않는 라인이다. 일예로서, 접힘라인(25)은 접힘이 용이한 홈 형태의 라인일 수 있다. 접힘라인(25)은 수평 라인일 수 있다.
가압편(24)에 힘 가하면 가압편(24)과 접하는 제1 절취라인(21)이 절취되면서 가압편(24)이 접힘라인(25)을 중심으로 접히게 된다. 제1 절취라인(21)이 절취되고 가압편(24)이 본체부(10)의 개구부(16) 방향으로 접힘에 따라 가압편(24)이 접힌 자리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구멍(26)이 형성된다.
손가락 삽입구멍(26)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덮개부(20)를 상향으로 잡아당기면 제2, 3 절취라인(22, 23)에 힘이 전달되어 제2, 3 절취라인(22, 23)의 절취가 이루어진다. 제1, 2, 3 절취라인(21, 22, 23)이 모두 절취되면 덮개부(20)는 제1 덮개부(20a) 및 제2 덮개부(20b)로 분할되어 원상 복원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2 절취라인(22)과 제3 절취라인(23)은 제1 절취라인(21)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으로 대칭 형성된다. 제2 절취라인(22)과 제3 절취라인(23) 사이 폭은 제1 절취라인(21)에 가까울수록 폭이 좁아지고 제1 절취라인(21)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벌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2, 3 절취라인(21, 22, 23)의 구조가 제1 절취라인(21)에서 제2, 3 절취라인(22, 23)로 당기는 힘이 자연스럽게 전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절취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가락 삽입구멍(26)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덮개부(20)를 잡아당기면 폭이 좁은 손가락 삽입구멍(26)에서의 힘이 집중되면서 제1 절취라인(21)과 이어지는 제2, 3 절취라인(22, 23)으로 자연스럽게 전달되어 제1, 2, 3의 절취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덮개부(20)는 제1 플랩(27)을 더 포함한다. 제1 플랩(27)은 덮개부(20)의 끝단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1 플랩(27)은 조립시 덮개부(20)와 경계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본체부(10)의 개구부(16)에 결합된다.
본체부(10)의 개구부(16) 좌, 우 양측으로 제2 플랩(28)과 제3 플랩(29)이 대칭으로 구비된다. 제2 플랩(28)은 본체부(10)의 좌판(13)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제3 플랩(29)은 본체부(10)의 우판(14) 끝단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 3 플랩(28, 29)은 조립시 좌, 우판(13, 14)의 경계를 중심을 서로 마주보도록 개구부(16) 쪽으로 접힌다. 접혀진 제2, 3 플랩(28, 29) 위에 중첩하여 덮개부(20)가 결합된다.
덮개부(20)와 제1 플랩(27)의 경계 중앙에 제1 절단부(20c)가 구비되고, 좌우 양측 끝단에 제2, 3 절단부(20d, 20e)가 구비된다. 제2, 3 절단부(20d, 20e)는 덮개부(20)의 측면 바깥쪽 끝까지 완전히 절단된다.
제1 절단부(20c)와 제2 절단부(20d) 사이 및 제1 절단부(20c)와 제3 절단부(20e) 사이에 연결부(20f)가 구비된다. 연결부(20f)에 의해 덮개부(20)와 제1 플랩(27)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단부(20c)와 제2 절단부(20d)를 향하는 제2 플랩(28) 측면 부위에는 제1 돌출부(28a)와 제2 돌출부(28b)가 구비된다. 조립시 제1 돌출부(28a)는 제1 절단부(20c)에 대응 삽입되고, 제2 돌출부(28b)는 제2 절단부(20d)에 대응 삽입된다.
제1 절단부(20c)와 제3 절단부(20e)를 향하는 제3 플랩(29) 측면 부위에는 제3 돌출부(29a)와 제4 돌출부(29b)가 구비된다. 조립시 제3 돌출부(29a)는 제1 돌출부(28a)와 함께 제1 절단부(20c)에 대응 삽입되고, 제4 돌출부(29b)는 제3 절단부(20e)에 대응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절단부(20c)에 제1, 3돌출부(28a, 29a)가 삽입 결합되고, 제2 절단부(20d)에 제2 돌출부(28b)가 삽입 결합되며, 제3 절단부(20e)에 제4 돌출부(29b)가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해 제1 플랩(27)과 제2, 3 플랩(28, 29)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루어 한 번 결합되면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봉함구조의 절취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의 개봉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절취라인(21)의 절취를 위해 손가락을 가압편(24)에 위치시킨 다음 가압편(24)을 누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에 있어서 가압부를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압편(24)에 손가락의 힘이 전달되면서 제1 절취라인(21)의 절취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절취라인(21)은 손가락 끝단과 같은 곡선 라인으로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가압편(24)을 누를 경우 절취가 이루어지면서 손가락이 절취된 부위로 삽입된다.
제1 절취라인(21)이 절취되면서 가압편(24)이 접힘라인(25)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접힘에 따라 가압편(24)이 있던 자라에 손가락 삽입구멍(26)이 형성되고 손가락 삽입구멍(26)으로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봉함구조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구멍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를 당김으로 인해 제2, 3 절취선이 절취되면서 덮개부가 제1, 2 덮개부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손가락이 손가락 삽입구멍(26)에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20)를 당기면 제2, 3 절취라인(22, 23)에 힘이 전달되면서 절취가 있가 이루어진다. 제2, 3 절취라인(22, 23)이 절취됨에 따라 덮개부(20)가 원상 복원이 불가능한 제1 덮개부(20a)와 제2 덮개부(20b)로 분할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2, 3 절취라인의 절취에 의해 덮개부가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로 분할 절취되어 회복 불가능함에 따라 제조 포장 유통과정에서 포장물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시켜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물의 품질과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보건위생상 위해를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절단부에 제1, 3돌출부가 삽입 결합되고, 제2 절단부에 제2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며, 제3 절단부에 제4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어 제1 플랩과 제2, 3 플랩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한 번 결합되면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음에 따라 제1, 2, 3 절취라인을 뜯지 아니하고서는 포장상자를 개봉할 수 없기 때문에 포장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정면판
12 : 배면판
13 : 좌판
14 : 우판
15 : 연결판
16 : 개구부
20 : 덮개부
20a : 제1 덮개부
20b : 제2 덮개부
20c : 제1 절단부
20d : 제2 절단부
20e : 제3 절단부
20f : 연결부
21 : 제1 절취라인
22 : 제2 절취라인
23 : 제3 절취라인
24 : 가압편
25 : 접힘라인
26 : 손가락 삽입구멍
27 : 제1 플랩
28 : 제2 플랩
28a : 제1 돌출부
28b : 제2 돌출부
29 : 제3 플랩
29a : 제3 돌출부
29b : 제4 돌출부

Claims (10)

  1. 덮개부에 구비되는 제1 절취라인; 및
    상기 덮개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의 양측 끝과 이어지는 절취라인으로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취라인에서 멀어질수록 마주보는 절취라인과 간격이 벌어지는 제2, 3 절취라인;
    을 포함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은 상기 제2, 3 절취라인과 이어지는 경계를 중심으로 상기 제2, 3 절취라인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라인이 감싸는 안쪽 영역에는 가압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라인에 접하지 않는 상기 가압편의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는 접힘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에 힘을 가하면 상기 제1 절취라인이 절취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편이 상기 접힘라인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접히면서 손가락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라인과 제2, 3 절취라인이 절취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의 끝단에 제1 플랩이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덮개부와 경계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양측으로 제2 플랩과 제3 플랩이 대칭 구비되면서 상기 제2 플랩과 제3 플랩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 쪽으로 접히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부에 결합시 상기 제2 플랩과 제3 플랩 위에 중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제1 플랩의 경계에 제1 절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절단부를 중심으로 양측 끝단에 제2, 3 절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 사이 및 상기 제1 절단부와 제3 절단부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덮개부와 제1 플랩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2 플랩 부위에는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에 대응 삽입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절단부와 제3 절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3 플랩 부위에는 상기 제1 절단부와 제3 절단부에 대응 삽입 결합되는 제3 돌출부와 제4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봉함구조.
KR1020180091999A 2018-08-07 2018-08-07 포장상자 봉함구조 KR10208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99A KR102085950B1 (ko) 2018-08-07 2018-08-07 포장상자 봉함구조
CN201822125883.5U CN209777018U (zh) 2018-08-07 2018-12-18 包装盒的封口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99A KR102085950B1 (ko) 2018-08-07 2018-08-07 포장상자 봉함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653A true KR20200016653A (ko) 2020-02-17
KR102085950B1 KR102085950B1 (ko) 2020-04-23

Family

ID=6967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999A KR102085950B1 (ko) 2018-08-07 2018-08-07 포장상자 봉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95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64A (ja) * 2004-11-12 2006-06-01 Rengo Co Ltd 再封緘機能付包装箱
US20090072018A1 (en) * 2007-09-13 2009-03-19 Gi.Bi.Effe S.R.I. Box with inviolable security seal
KR20120068262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장박스
KR20120004618U (ko) 2010-12-17 2012-06-27 한미약품 주식회사 플랩을 구비한 봉함 케이스.
JP2013513531A (ja) * 2009-12-10 2013-04-22 フェデラル エクスプ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改善された開放システム付きの段ボール箱
JP2013209114A (ja) * 2012-03-30 2013-10-10 Sanyo Energy Higashiura Co Ltd 包装用箱
JP2014141276A (ja) * 2013-01-24 2014-08-07 Asahi Printing Co Ltd 包装用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64A (ja) * 2004-11-12 2006-06-01 Rengo Co Ltd 再封緘機能付包装箱
US20090072018A1 (en) * 2007-09-13 2009-03-19 Gi.Bi.Effe S.R.I. Box with inviolable security seal
JP2013513531A (ja) * 2009-12-10 2013-04-22 フェデラル エクスプ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改善された開放システム付きの段ボール箱
KR20120068262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장박스
KR20120004618U (ko) 2010-12-17 2012-06-27 한미약품 주식회사 플랩을 구비한 봉함 케이스.
JP2013209114A (ja) * 2012-03-30 2013-10-10 Sanyo Energy Higashiura Co Ltd 包装用箱
JP2014141276A (ja) * 2013-01-24 2014-08-07 Asahi Printing Co Ltd 包装用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950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1620B2 (ja) 喫煙品用パック
KR101531005B1 (ko) 담배 제품용 강성 담배갑
KR102029525B1 (ko) 개봉 확인용 씰
US10994887B2 (en) Rigid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JP2014511312A (ja) 喫煙品用パッケージ
EP2999637A1 (en) Box having tamper-evident closure
JP2015501764A (ja) 喫煙品用パッケージ
JP2007238182A (ja) たばこ製品用の接着したヒンジ付きふたを備えている硬質パッケージ
EP3010835B1 (en) Hinged-lid packet with a retaining device for keeping the lid in the closed position, and relative packing method
KR20200016653A (ko) 포장상자 봉함구조
JP2005058230A (ja) タバコ商品のヒンジ式蓋付き硬質パッケージ及びそのためのブランク材
CN108137207B (zh) 具有内包装的容器
JP2017132483A (ja) 包装箱
JP2013018502A (ja) 食品密封収容袋包装箱、食品密封収容袋包装体及び箱原板
JP6047878B2 (ja) リクローズカートン
JP5925745B2 (ja) 包装用箱及びその展開シート
KR102050781B1 (ko) 음식물 포장용 용기
US20210053713A1 (en) Tamper-evident paperboard food container
CN209777018U (zh) 包装盒的封口结构
US11174067B2 (en) Container including tamper proof closure
JP3217875U (ja) 包装箱
JP6886780B2 (ja) 包装体
KR20200051240A (ko) 포장상자 봉함구조
JP3189143U (ja) 包装用箱
JP2022098589A (ja) カートン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