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129A -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 - Google Patents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129A
KR20200016129A KR1020180091463A KR20180091463A KR20200016129A KR 20200016129 A KR20200016129 A KR 20200016129A KR 1020180091463 A KR1020180091463 A KR 1020180091463A KR 20180091463 A KR20180091463 A KR 20180091463A KR 20200016129 A KR20200016129 A KR 2020001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flame retardant
rub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536B1 (ko
Inventor
박영태
임종욱
이지훈
박지영
엄윤수
구민철
이정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요
주식회사 코스모소재
엄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요, 주식회사 코스모소재, 엄윤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요
Priority to KR102018009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19Use of organic additives halogen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08L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2All layers being foam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및 흡음성을 모두 최고 등급 수준으로 만족하는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고무 베이스로서 저렴한 부틸고무,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및 염화파라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를 특정 함량비로 배합함에 따라서 난연성 및 흡음성을 모두 최고 수준 등급으로 만족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Rubber composition having fire retardant and sound absorbing, and mat for reducing the floor nois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연성 및 흡음성을 모두 최고 등급 수준으로 만족하는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주거형태인 아파트, 빌라 등의 복층건물에서는, 상층 거주자의 생활중 발생하는 충격음과 진동이 하층으로 고스란히 전달되어 상하층 주민 간에 분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아나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거실 등에 소정 크기의 매트를 깔아둠으로써, 아이가 뛰거나 장난칠 때 하층으로 전달되는 충격음과 진동을 어느 정도 방지함과 동시에 아이가 넘어질때 다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매트는, 단층의 발포합성수지로 구성되거나, 발포합성수지층의 하면에 바닥층(고무 베이스)을 적층시켜 구성된 것이 대부분으로, 바닥층(고무 베이스)으로는 부틸고무(IIR, Isobutene-isoprene Rubber)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충격음과 진동을 차단하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상하층 주민 간의 분쟁가능성이 상존하게 된다.
부틸고무(또는 이소부텐-이소프렌 고무(Isobutene-isoprene Rubber), IIR)는 대부분이 이소부텐이고 소량의 이소프렌을 함유한 공중합체이다. NR, SBR, BR, NBR과는 다르게 부틸고무는 단지 소량의 이중결합만 존재하는 아주 포화도가 높은 고무이다. 상기 소량의 불포화부분(이중결합)이 가황에 필요한 자리를 제공한다.
또한, 현재 시판중인 부틸고무를 고무 베이스로 사용한 층간소음 방지 매트는 대부분이 난연성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여, 화재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고무 베이스로서 저렴한 부틸고무,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및 염화파라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를 특정 함량비로 배합한 고무 조성물이 난연성 및 흡음성을 모두 최고 수준 등급으로 만족함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등록특허 10-17658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방진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를 포함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를 포함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7-23 중량부; 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8-12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15-0.35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방진재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연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경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및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경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및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고무 베이스로서 저렴한 부틸고무(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및 염화파라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를 특정 함량비로 배합함에 따라서 난연성 및 흡음성을 모두 최고 수준 등급으로 만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본 발명은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7-23 중량부;
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8-12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15-0.35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천연고무, 무기충전재, 프로세스 오일,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계면활성제, 광차단제, 가공조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으로,
수산화알미늄 17 중량부 미만 또는 23 중량부 초과일 경우 난연성 및 흡음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염화파리핀 8 중량부 미만 또는 12 중량부 초과일 경우 난연성 및 흡음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흠음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0.35 중량부 초과일 경우 난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8.5-21.5 중량부;
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9-11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2-0.3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8.5-21.5 중량부;
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9-11 중량부;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2-0.3 중량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14.5-15.5 중량부;
천연고무 4.5-5.5 중량부;
무기충전재로서 실리카 43-47 중량부;
무기충전재로서 카본 0.15-0.25 중량부;
무기충전재로서 탄산칼슘 28-32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14 중량부;
산화아연 6-8 중량부;
스테아린산 1-2 중량부;
PEG-4000 1-2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9-11 중량부;
가공조제 1-2 중량부;
노화방지제 1-2 중량부;
산화방지제 1.5-2.5 중량부;
가황제 1.0-1.4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브루밍 방지제) 5-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부틸고무'는 고무 베이스 및 흡음재 역할을 하고,
상기 '난연제'는 난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발포제'는 고무 베이스 무게 저감 및 흡음 보조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난연제'가 난연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함량에 따라서 흡음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점과, '발포제'가 고무 베이스에 기포를 발생시켜 무게를 저감하는 본연의 효과 이외에 함량에 따라서 흡음성뿐만 아니라 난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점을 알아낸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매트 및 방진재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 난연성 방진재 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경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및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 또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에 있어서, 상기 연질 EVA 발포고무층의 비중은 0.65-0.75일 수 있고, 상기 경질 EVA 발포고무층의 비중은 1.1-1.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질 EVA 발포고무층은 매트의 최상층에 적층되므로 부드러운 성질이 필요하고, 상기 경질 EVA 발포고무층은 매트의 중간에 삽입되므로 매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단단한 성질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에 있어서, 상기 PU 발포고무층의 비중은 0.2-0.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PU 발포고무층은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난연성 및 흡음성 테스트용 '고무 베이스'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니더(KNEADER) 장치에 부틸고무, EPDM, 천연고무를 넣어 70-9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5-20분 소련 단계를 거친 다음, 무기충전재, 난연제 및 첨가제(하기 표 1에서 6-14번의 성분)를 투입하여 약 130-200초 범위 내에서 혼련작업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18인치 로라(Roller) 장치에서 가황제, 촉진제(브루밍 방지제), ADCA(Azodicarbonamide) 발포제를 투입하여, 로라 온도 60-70℃에서 약 15분 정도 내림 작업후 두께10mm*폭300mm*길이1000mm의 시트형태로 만들었다. 만든 시트는 18-20℃의 고무숙성실에서 6-10시간 숙성작업을 마치고, 목적에 맞는 크기로 재단하고, 목적에 맞는 모양으로 성형 프레스 작업하여 사용하였다.
난연성 테스트용 샘플은 130×13×2 mm 크기로 재단하였고,
흡음성 테스트용 샘플은 250×250×10 mm 크기로 재단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부)
기능 또는 역할
1 부틸고무 80 고무 베이스 및 흡음 역할
2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15 부틸고무의 물성 보완 역할
3 천연고무 5 고무 베이스의 미끄럼 방지
4 실리카 45 무기충전재(부형제 역할)
5 카본(흑연) 0.2 무기충전재(부형제 역할)
6 프로세스오일
(CAS no. 64742-65-0; 제조사: (주)이득; 제품명: P-4)
12 용매 역할
7 탄산칼슘 30 무기충전재(부형제 역할)
8 산화아연 7 가교 보조제
9 스테아린산 1.5 가교 보조제
10 PEG-4000
(CAS no. 25322-68-3; 제조사: ICI Surfactants, 영국)
1.5 계면활성제(무기충전재와 고무 성분의 혼합 보조 역할)
11 이산화티타늄(TiO2) 10 고무 베이스 색 보존
12 가공조제
(제조사: STRUKTOL, 독일; 제품명: FL)
1.5 고무성분 혼합에 도움 역할
13 파라핀왁스
(제조사: (주)대운; 제품명: SUNOC#150)
1.5 노화방지제(광차단 역할)
14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2 산화방지제(곰팡이 예방 역할)
15 ADCA(Azodicarbonamide) 0.25 발포제(무게 감소 및 흡음 보완 역할)
16 수산화알미늄 20 난연제
17 염화파라핀 10 난연제
18 황(sulfur) 1.2 가황제(고무성분 가교 역할)
19 N-Cyclohexyl-2-benzothiazolylsulfenamide (CAS no.: 95-33-0) 1 가황촉진제(완성품에서 약물이 베어 나오는 브루밍 현상 방지 역할)
20 2,2'-Dithiobis(benzothiazole) (CAS no.: 120-78-5) 1.5 가황촉진제(완성품에서 약물이 베어 나오는 브루밍 현상 방지 역할)
21 Bis(dimethylthiocarbamoyl) disulfide (CAS no.: 137-26-8) 1.5 가황촉진제(완성품에서 약물이 베어 나오는 브루밍 현상 방지 역할)
22 Zinc(II) Dibutyldithiocarbamate (CAS no.: 136-23-2) 1.5 가황촉진제(완성품에서 약물이 베어 나오는 브루밍 현상 방지 역할)
하기 표 3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3-5에서 제조한 샘플들은,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제1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제2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의 제조
연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비중 0.7>;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비중 0.25>;
경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비중 1.15>;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비중 0.25>; 및
실시예 1의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접착공정을 통해 매트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각층의 두께는 고무 베이스 10mm를 제외하고는 모두 5mm이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의 단면도이다.
< 실험예 1> 난연성 및 흡음성 평가
난연성 평가 방법
난연성 평가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25×13×10 mm 크기의 고무 베이스를 난연성 테스트용 샘플로 하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UL 94 V (Vertical Burning Test)' 평가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UL 94 V 난연성 평가는 플라스틱 제품의 수직 방향으로 불꽃을 가했을 때, 제품의 연소 양상 및 주위로의 화염 전파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시편은 130×13×2 mm 크기로 실시하고, 20 mm 길이의 불꽃을 10초간 시편에 접염 후, 시편의 연소 시간 t1 측정 및 연소 양상을 기록한다. 1차 접염 후 연소가 종료되면, 다시 10초간 접염 후 시편의 연소시간 t2 및 불똥이 맺힌 시간(glowing time) t3을 측정하고, 연소 양상을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t1, t2, t3의 연소시간 및 연소 양상(적하에 의한 탈지면 발화 여부, 클램프까지의 연소 여부 등)을 판단하여, 등급을 V-0(최고 등급), V-1, V-2 등급으로 산출한다.
평가기준은 하기 표 2와 같이, 시편의 연소시간 t1, t2, t3 및 연소 양상에 따라 등급을 부여한다.
평가 방법 V-0 V-1 V-2
개별 연소 시간 (t1 또는 t2) ≤10초 ≤30초 ≤30초
전처리 조건 별 전체 연소시간 (t1+t2) ≤50초 ≤250초 ≤250초
2차 접염 후의 연소 및 불똥이 맺힌 시간 (t2+t3) ≤30초 ≤60초 ≤60초
클램프(125mm 표시)까지의 연소 여부 No No No
불똥 적하에 의한 탈지면의 발화 No No Yes
흡음성 (충격음 감소) 평가 방법
흡음성 평가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연성 층간소음방지 매트를 흡음성 테스트용 샘플로 하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KS F2865:2015(바닥 표면 마감재의 경량 및 중량충격음 저감량 실험실 측정방법)'의 시험방법으로 바닥충격음레벨 저감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수음실 용적은 57.02m2이고,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샘플[슬래브두께 210mm; 벽두께 250mm; 형상: 직방형6면체(ISO 10140-5 Type)]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연성 층간소음방지 매트를 시공한 전후에, 다양한 충격(100, 125, 160, 200, 250, 315, 400, 500, 630, 800, 1000, 1250, 1600, 2000, 2500, 3150 Hz)을 가하여 전달되는 충격음 평균 감소량(dB) 및 평균 감소율(%)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참조로, 충격음 평균 감소율이 60%를 초과하는 제품은 흡음성(차음성) 최고 등급 "S급", 55-60%에 해당하는 제품은 "A급", 55% 미만에 해당하는 제품은 "B급"으로 분류하였다.
구성 성분 함? (중량부) 난연성 등급 충격음
부틸고무 난연제 발포제
수산화알미늄 염화파라핀 ADCA(Azodicarbonamide) 평균 감소량 평균 감소율
실시예
1-1
80 17 10 0.25 V-1 35.8dB A급
57.1%
실시예
1-2
80 18.5 10 0.25 V-0 37.8dB S급
60.2%
실시예
1-3
80 20 10 0.25 V-0 38.4dB S급
61.2%
실시예
1-4
80 21.5 10 0.25 V-0 38.2dB S급
60.9%
실시예
1-5
80 23 10 0.25 V-1 34.9dB A급
55.6%
실시예
2-1
80 20 8 0.25 V-1 35.9dB A급
57.2%
실시예
2-2
80 20 9 0.25 V-0 38.0dB S급
60.6%
실시예
2-3
80 20 10 0.25 V-0 38.4dB S급
61.2%
실시예
2-4
80 20 11 0.25 V-0 37.9dB S급
60.4%
실시예
2-5
80 20 12 0.25 V-1 35.0dB A급
55.8%
실시예
3-1
80 20 10 0.15 V-0 34.1dB B급
54.3%
실시예
3-2
80 20 10 0.20 V-0 37.9dB S급
60.4%
실시예
3-3
80 20 10 0.25 V-0 38.4dB S급
61.2%
실시예
3-4
80 20 10 0.30 V-0 38.5dB S급
61.4%
실시예
3-5
80 20 10 0.35 V-2 38.9dB S급
62.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부틸고무, 2)난연제(수산화알루미늄 및 염화파라핀), 및 3)발포제의 함량은 고무 베이스 샘플의 난연성 및 흡음성에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3-5 중에서 난연성 'V-0 등급'과 충격음 평균 감소율 'S급'을 동시에 만족하는 샘플은 특정 함량비에서만 나타나 임계적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인체 유해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 베이스의 인체 유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인체 유해성 평가를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Polybrominated Biphenyls(PBBs) - - -
1 Bromobiphenyl mg/kg (1) 불검출
2 Dibromobiphenyl 불검출
3 Tribromobiphenyl 불검출
4 Tetrabromobiphenyl 불검출
5 Pentabromobiphenyl 불검출
6 Hexabromobiphenyl 불검출
7 Heptabromobiphenyl 불검출
8 Octabromobiphenyl 불검출
9 Nonabromobiphenyl 불검출
10 Decabromobiphenyl 불검출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PBDEs) - - -
11 Bromodiphenyl ether mg/kg (1) 불검출
12 Di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13 Tri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14 Trtra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15 Penta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16 Hexa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17 Hepta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18 Octa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19 Nona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20 Decabromodiphenyl ether 불검출
21 납 (Pb) (2) 불검출
22 카드뮴 (Cd) (2) 불검출
23 수은 (Hg) (3) 불검출
24 6가 크로뮴 (Cr6 +) (4) 불검출
(1) IEC 62321-6:2015
(2) IEC 62321-5:2013
(3) IEC 62321-4:2013
(4) IEC 62321-7-2:201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 베이스는 어떠한 인체 유해성 물질도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7-23 중량부;
    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8-12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15-0.35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8.5-21.5 중량부;
    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9-11 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2-0.3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천연고무, 무기충전재, 프로세스 오일,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계면활성제, 광차단제, 가공조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베이스로서 부틸고무 또는 할로겐화부틸고무 80 중량부 기준;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8.5-21.5 중량부;
    난연제로서 염화파라핀 9-11 중량부;
    발포제로서 ADCA(Azodicarbonamide) 0.2-0.3 중량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14.5-15.5 중량부;
    천연고무 4.5-5.5 중량부;
    무기충전재로서 실리카 43-47 중량부;
    무기충전재로서 카본 0.15-0.25 중량부;
    무기충전재로서 탄산칼슘 28-32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14 중량부;
    산화아연 6-8 중량부;
    스테아린산 1-2 중량부;
    PEG-4000 1-2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9-11 중량부;
    가공조제 1-2 중량부;
    노화방지제 1-2 중량부;
    산화방지제 1.5-2.5 중량부;
    가황제 1.0-1.4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5-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5. 제1항의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
  6. 제1항의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
  7. 제1항의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방진재.
  8. 연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경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및
    제1항의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EVA 발포고무층의 비중은 0.65-0.75이고,
    상기 경질 EVA 발포고무층의 비중은 1.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U 발포고무층의 비중은 0.2-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흡음 매트.
  11. 연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경질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고무층;
    PU(polyurethane) 발포고무층; 및
    제1항의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고무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EVA 발포 고무층의 비중은 0.65-0.75이고,
    상기 경질 EVA 발포 고무층의 비중은 1.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U 발포고무층의 비중은 0.2-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층간소음 방지 매트.
KR1020180091463A 2018-08-06 2018-08-06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 KR10226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63A KR102269536B1 (ko) 2018-08-06 2018-08-06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63A KR102269536B1 (ko) 2018-08-06 2018-08-06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29A true KR20200016129A (ko) 2020-02-14
KR102269536B1 KR102269536B1 (ko) 2021-06-25

Family

ID=6951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463A KR102269536B1 (ko) 2018-08-06 2018-08-06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040B1 (ko) * 2020-05-26 2021-07-09 김주윤 층간 소음방지 매트
CN113462088A (zh) * 2021-08-04 2021-10-01 深圳市奥科杰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吸声降噪型复合橡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06A (ko) * 2001-08-22 2003-03-03 주식회사 세라그린 방진고무발포용 조성물,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
KR100838711B1 (ko) * 2007-04-04 2008-06-16 영보화학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차음구조
JP5026232B2 (ja) * 2007-11-15 2012-09-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ブチル系ゴム発泡体の製造方法
KR101765870B1 (ko) 2016-12-19 2017-08-08 이종열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06A (ko) * 2001-08-22 2003-03-03 주식회사 세라그린 방진고무발포용 조성물,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
KR100838711B1 (ko) * 2007-04-04 2008-06-16 영보화학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차음구조
JP5026232B2 (ja) * 2007-11-15 2012-09-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ブチル系ゴム発泡体の製造方法
KR101765870B1 (ko) 2016-12-19 2017-08-08 이종열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040B1 (ko) * 2020-05-26 2021-07-09 김주윤 층간 소음방지 매트
CN113462088A (zh) * 2021-08-04 2021-10-01 深圳市奥科杰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吸声降噪型复合橡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536B1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305B2 (en) Fire retardant elastic foam material
KR100922995B1 (ko) 난연 팽창 고무 및 그 제조 방법, 난연 팽창 고무를 이용한화염 방지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EP2666626B1 (en) Flame-retardant polyolefin foam and its production
KR102269536B1 (ko) 난연성 및 흡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매트
KR102010146B1 (ko) 팽창흑연을 포함하는 실리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스켓의 제조 방법
CN105713306A (zh) 一种复合阻尼隔音毡及其制备方法
JP6069053B2 (ja) 緩衝材およびシール材
KR10030825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20200024416A (ko) 층간 소음 저감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KR101302556B1 (ko) 친환경 난연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KR20170141419A (ko) 충격 흡수용 골프 매트
CN107629354B (zh) 一种主动型防火聚氯乙烯天花软膜及其制备方法
KR100504148B1 (ko)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
KR100653253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EP1714997A1 (en) Composition of acoustic insulating and vibration dampening material
JP5919147B2 (ja) 吸音材およびシール材
KR100559577B1 (ko) 저비중 차음재 조성물
KR20100082706A (ko) 난연 팽창 고무 및 그 제조 방법
JP6076162B2 (ja) 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ゴム発泡体およびシール材
GB2145940A (en) Non-flexible fire retardant foam
KR101821482B1 (ko) 난연성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1571B1 (ko)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KR20220143997A (ko) 단열성 및 열안정성을 가지는 층간소음 저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KR101594845B1 (ko) 디플렉터 워터필름 수지 조성물
JP2022156654A (ja) ゴム発泡体、及びゴム発泡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