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770A -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이러한 2개의 이중 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이러한 2개의 이중 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770A
KR20200013770A KR1020207000625A KR20207000625A KR20200013770A KR 20200013770 A KR20200013770 A KR 20200013770A KR 1020207000625 A KR1020207000625 A KR 1020207000625A KR 20207000625 A KR20207000625 A KR 20207000625A KR 20200013770 A KR20200013770 A KR 20200013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pole
antenna member
dipole antenna
gr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 플레안쿠
안드레아스 볼메르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 에스이 filed Critical 카트라인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0001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6Turnstile or like antennas comprising arrangements of three or more elongated elements disposed radially and symmetrically in a horizontal plane about a common cent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0Two collinear substantially straight active elements; Substantially straight single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08Combination of a dipole with a plane reflect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는 2개의 다이폴 절반부(2a, 2b, 3a, 3b)을 포함하며, 각각의 다이폴 절반부는 접지 커넥터(4, 8), 신호 커넥터(6, 10),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를 갖는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평행으로 이어지며,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와 평행으로 이어진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반대 방향으로 이어진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각각의 다이폴 절반부(2a, 2b 또는 3a, 3b)는 각각의 경우에, 단일-부분 설계이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아래를 통과하거나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한다.

Description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이러한 2개의 이중 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
본 발명은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이러한 2개의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폴 안테나 부재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공보 DE 197 22 742 A호 및 DE 196 27 015 A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는 종래의 다이폴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교차 다이폴 또는 다이폴 스퀘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는, 다이폴 또는 안테나 부재 절반부가 DC 연결(즉, 갈바니 전기식으로(galvanically)) 또는 용량성 또는 유도적으로(즉, 전자기적으로) 외부 도체에 연결되는 반면, 동축 연결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DC 연결(즉, 다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 또는 유도적으로 제2 다이폴 또는 안테나 부재 절반부에 연결되도록 공급된다. 여기서 피드(feed)는 서로를 가리키는 다이폴 또는 안테나 부재 절반부의 단부 영역 각각에서 달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공보 DE 10 2015 007 504 A호로부터 명백하며, 상기 문헌은 다이폴 형태의 안테나 부재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중첩되지 않고 캐리어에 의해 반사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4개의 상호 이격된 다이폴 날개부를 포함한다. 피드는 적절한 피드 라인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해당 날개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결합된다. 다른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피드 라인들은 서로 교차한다.
이러한 종류의 통상적인 구조는 또한 국제 공개공보 WO 2014/132254 A1호에서 찾을 수 있다. 개별 다이폴 날개부는 겹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들은 또한 적절한 캐리어를 통해 반사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케이블 또는 마이크로 스트립과 같은 피드 라인은 해당 다이폴 날개부의 방향으로 반사기로부터 캐리어를 따라 위로 안내되고, 해당 다이폴 날개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납땜되기 전에 상부 단부 영역에서 서로 교차한다.
한편, 여기서 단점은 매우 많은 수의 구성 부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이폴 날개부를 갖는 개별 캐리어 및 피드 라인이 있다.
종래 기술의 교차 다이폴의 단점은 추가로 제조 비용 및 결과 비용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중량이 증가하여 SMD 배치 프로세스에서 이러한 구성 부품을 본체에 자동으로 배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유사한 전기적 특성이 달성되며,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교차 다이폴보다 더 쉽고 편리하게 구성될 수 있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항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제34항 및 제37항에 따른 이러한 적어도 2개의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의 유리한 발전은 제2항 내지 제33항에서 찾을 수 있고, 제35항, 제36항, 제38항 및 제39항은 발전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를 포함한다. 이들은 교차 다이폴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편파 평면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서로에 대해 90°회전된다.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 각각은 2개의 다이폴 절반부를 포함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1 다이폴 절반부는 접지 커넥터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를 포함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의 제1 단부는 접지 커넥터의 제1 단부에 연결되며, 접지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기준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2 다이폴 절반부는 신호 커넥터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를 포함한다. 다이폴 신호 날개부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의 제1 단부를 통해 신호 커넥터의 제1 단부에 연결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1 다이폴 절반부 및 제2 다이폴 절반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진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반대 방향으로, 특히, 평면에서 볼 때 서로 180°만큼 오프셋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1 다이폴 절반부는 바람직하게는 단일-부분 설계이다.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2 다이폴 절반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 아래를 통과한다. 반대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물론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 아래를 통과할 수도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 아래를 통과하거나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를 통과할 수도 있다.
즉, 특히,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정확히 하나의 날개부는 다른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정확히 하나의 날개부 아래로 정확히 한 번 통과한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의 경우에, 다이폴 절반부가 각각 단일-부분 설계인 것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접지 커넥터가 있는 해당 다이폴 접지 날개부 및 신호 커넥터가 있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는 단일-부분 설계이다. 더 이상 도파관의 신호 라인 또는 접지 라인을 안내하고 교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는 크게 단순화되고, 이는 다이폴 날개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접지 커넥터는 단지 바람직하게는 접지 커넥터의 제2 단부에서 기준 접지에 연결되는 반면, 신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제1 단부와 반대임)에서 제1 또는 제2 고주파 라인에 연결되어 공급된다.
특히, 이중-편파 교차 쌍극자는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 0.9 mm, 0.8 mm, 0.7 mm, 0.6 mm 또는 0.5 mm 미만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3 mm, 0.5 mm 또는 0.7 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판금 부분으로 형성된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탬핑된 판금 부분 및/또는 절단 판금 부분(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부분)으로 형성된다. 특히, 이는 레이저 절단 방법을 포함하는 판금 스탬핑 및/또는 판금 절단 방법으로 제조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는 바람직하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구부러진 판금 부분 및/또는 각진 판금 부분으로 형성되고, 즉, 이러한 종류의 대응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각각의 다이폴 절반부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단일 부분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은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제조되거나 또는 3D 인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 및/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그들의 주된 길이에 기초하여 공통 평면 또는 상이한 평면에 놓이며, 공통 평면 또는 상이한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특히,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예를 들어, 반사기)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다이폴 신호 날개부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의 가장 큰 표면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와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분리 슬롯에 의해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서로 이격된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서로 이격된 날개부 세그먼트는 서로 길이가 상이하다. 따라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의 갈바니 전기식 연결은 제1 단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제1 단부를 통해 날개부 세그먼트는 해당 접지 커넥터 또는 신호 커넥터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 및/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각각의 경우에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서로 주로 평행하는 구성 요소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며, 이들 세그먼트는 상이한 평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세그먼트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계단형 프로파일이 생성되어, 다이폴 신호 날개부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 중 하나가 다른 하나 아래로 더욱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신호 커넥터 또는 접지 커넥터의 제1 단부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된 세그먼트들은 신호 커넥터 또는 접지 커넥터의 제1 단부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본체의 방향으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해당 다이폴 신호 날개부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적어도 상기 세그먼트의 영역에서 U-형상 프로파일을 갖는다.
교차 다이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들은 이들의 제2 단부에서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단일-부분 설계이다. 이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1 다이폴 절반부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제1 다이폴 절반부가 공통의 부재, 특히 공통의 판금 부분으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해당 접지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제2 단부에서 독점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접지 커넥터들은 이들의 제2 단부에서 시작하여 이들의 제1 단부의 방향으로의 슬롯을 통해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격리되어 있다. 특히, 접지 커넥터의 제1 단부에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 다이폴의 다른 개발에서,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의 제2 단부에는 개구가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 접지 커넥터와 평행하게 이어진 해당 신호 커넥터는 제2 단부를 통해 통과하고, 제1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 및 제1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의 제2 단부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의 동일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이 SMD-납땜 가능하게, 즉, SMD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은 3GHz 내지 4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때, 0.3 g, 0.5 g, 1 g, 2 g 또는 3 g을 초과하지만, 바람직하게는 2.9 g, 1.9 g, 0.9 g 또는 0.4 g 미만의 중량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물론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이 적어도 하나의 본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제1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의 제2 단부를 넘어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본체는 해당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에 의해 관통 가능하다.
교차 다이폴의 개발에서, 교차 다이폴은 제1 및 제2 유지 장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지 장치는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해당 접지 커넥터와 신호 커넥터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제1 및 제2 유지 장치는 해당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접지 커넥터 및/또는 신호 커넥터와 결합되는 복수의 유지 수단을 포함하며, 따라서, 접지 커넥터 및 신호 커넥터의 서로에 대한 변위를 방지한다.
제1 및 제2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부재, 즉, 단일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안테나 장치는 위에 제1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본체는 인쇄 회로 기판 및/또는 반사기일 수 있다. 2개의 교차 다이폴의 신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다.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제1 연결부(고주파 라인)를 통해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제2 연결부(고주파 라인)를 통해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는 신호 커넥터의 제2 단부를 통해 해당 신호 커넥터에 매우 쉽게 공급될 수 있다. 제1 또는 고주파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중간에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내외로 결합된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는 또한 이러한 종류의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는 또한 이동 통신 안테나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하우징은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에 대해 투과성이거나 저 감쇠만을 갖는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은 매우 넓은 대역폭으로 작동하며, 100MHz 내지 6GHz 또는 10GHz의 주파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대략 2.6GHz 및 3.5GHz의 주파수에서 특히 좋은 결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양하게 도시한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다이폴 절반부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다이폴 절반부의 측면을 다양하게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다이폴 절반부의 측면을 다양하게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다이폴 절반부의 측면을 다양하게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0은 교차 다이폴이 SMD 구성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며, 제1 및 제2 유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로부터의 제1 및 제2 유지 장치의 확대된 3차원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서로에 대한 전기적 조정 및 절연을 통한 교차 다이폴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요를 도시한다.
도 14는 적어도 2개의 교차 다이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도 15e 및 도 15f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18a, 도 18b, 도 18c 및 도 18d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20a, 도 20b 및 도 20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21a, 도 21b 및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22a, 도 22b 및 도 22c는 적어도 2개의 교차 다이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다양한 3차원 도면이다.
도 23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이한 크기의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b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를 포함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는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되어 있고, 제2 다이폴 안테나 소자(3)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는 2개의 다이폴 절반부(2a, 2b)를 포함한다. 유사하게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는 2개의 다이폴 절반부(3a, 3b)를 포함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는 예로서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다이폴 절반부(3a)는 도 2a에서 볼 수 있고,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2 다이폴 절반부(3b)는 도 3a에서 볼 수 있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는 접지 커넥터(4)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를 포함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제1 단부(5a)는 접지 커넥터(4)의 제1 단부(4a)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5)는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는 제1 단부(6a) 및 반대편에 있는 제2 단부(6b)를 갖는 신호 커넥터(6)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를 포함하며,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제1 단부(7a)는 신호 커넥터(6)의 제1 단부(6a)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다이폴 절반부(3a)는 접지 커넥터(8)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를 포함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제1 단부(9a)는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배치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2 다이폴 절반부(3b)는 제1 단부(10a) 및 반대편에 있는 제2 단부(10b)를 갖는 신호 커넥터(1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2 다이폴 절반부(3b)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를 포함하며,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제1 단부(11a)는 신호 커넥터(10)의 제1 단부(10a)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진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진다.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라는 용어는 또한 45°미만의 각도가 접지 커넥터(4, 8)와 해당 신호 커넥터(6, 10) 사이에 포함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0°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30°, 25°, 20°, 15°, 10° 또는 5°미만이다.
접지 커넥터(4, 8)와 해당 신호 커넥터(6, 10) 사이의 거리는 도파관 및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스트립이 생성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와 관련하여, 공기 또는 유전체가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거리가 마이크로 스트립으로 설계된 경우에, 에어 마이크로 스트립의 경우 접지 커넥터(4, 8)와 해당 신호 커넥터(6, 10) 사이의 거리는 5mm, 4mm, 3mm, 2mm, 1mm, 0.8mm, 0.6mm 또는 0.2mm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m, 0.5mm, 0.7mm, 0.9mm, 1.1mm, 2.1mm, 3.1mm, 4.1mm 또는 5.1mm보다 크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반대 방향으로 이어진다. 이는 평면도(도 1b)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와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사이에 대략 180°의 각도가 형성됨을 의미한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180°로부터 10°, 8°, 7°, 5°, 3° 또는 1°미만의 편차가 또한 포함됨을 의미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는 마찬가지로 반대 방향으로 이어진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는 단일-부분 설계이며,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도 단일-부분 설계이다. 도 2a와 관련하여, 이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와 제1 다이폴 날개부(2)의 접지 커넥터(4)가 공통의 (판금) 부분으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도 2b 및 도 3b와 관련하여,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들은 단일-부분 설계이며 단일 (판금)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다이폴 절반부(3a)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2 다이폴 절반부(3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다이폴 절반부(3a)는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단일-부분 설계이고 공통의 (판금) 부분으로만 구성된다. 도 2b 및 도 3a와 관련하여,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은 또한 단일-부분 설계이고 단일 공통의 (판금)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접촉없이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아래를 통과하는, 즉, 아래에서 이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는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접촉없이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할 수도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2a, 2b)는 단일 (공통) (판금) 부분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2a, 2b)는 스탬핑된 판금 부분 및/또는 절단 판금 부분으로 형성된다. 절단 판금 부분은 레이저 및/또는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 판금인 것으로 이해된다. 판금은 여기서 전기 전도성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2a, 2b)는 특정 형상이 달성되도록 구부러진 판금 부분 및/또는 각진 판금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3a, 3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 및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가 정확히 3개의 금속 부분으로 형성되며, 3개의 금속 부분은 서로 다르게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금속 부분은 동일한 공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도 2a 및 도 2b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는 서로 대략 90°의 각도로 이어진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추가적으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와 관련하여 대략 90°의 각도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90°로부터 5°, 4°, 3°, 2° 또는 1°미만의 편차가 또한 포함됨을 의미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마찬가지로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에 대해 대략 90°의 각도로 이어진다.
도 1a 및 도 1b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의 배향을 도시한다.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와 관련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지 않고 대신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를 통한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직사각형의 장변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지고, 직사각형의 단변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와 수직으로 이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주로 수직인 구성 요소로 이어진다. 이는 도 4a 및 도 4b의 측면도와 비교할 때,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평면도(도 1b)에서,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의 더 큰 표면이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b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가 동일한 길이인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들의 길이가 다를 수도 있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b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는 또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길이가 다를 수도 있다. 면밀히 살펴보면,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와 길이가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또는 2개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가 하나 또는 2개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보다 더 길거나 짧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부분 길이에 걸쳐 확장부를 갖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는 도 1b와 관련하여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경우이며,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제1 단부(7a)에서 더 좁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동일한 폭을 갖는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a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는 이들의 제2 단부(4b, 8b)에서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됨을 알 수 있고, 전체는 단일-부분 설계이다. 따라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는 단일 (공통) (판금) 부분으로 형성된다. 접지 커넥터(4, 8)의 제2 단부(4b, 8b)에서, 2개의 접지 커넥터(4, 8)는 지지면(13) 또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상기 지지면(13)을 통해 본체(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3)은 또한, 특히, 다이폴이 SMD 구성 요소로서 구현되는 경우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추가 탭(13a)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촉면(13)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접지 커넥터(4, 8)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제2 단부(4b, 8b)에서만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이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가 제2 단부(4b, 8b)와 제1 단부(4a, 8a) 사이에서 슬롯(14)에 의해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1a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보다 전체 길이를 따라 더 넓다는 것을 추가로 알 수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와 관련하여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원칙적으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가 해당 신호 커넥터(6, 10)보다 적어도 부분 길이를 따라 더 넓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는 인쇄 회로 기판 및/또는 반사기를 포함한다. 반사기는 또한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측면에 전도성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는 또한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일부일 수 있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에서, 전기 위상 중심과 기계적(예를 들어, 회전/무게) 중심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이는 이들 중심이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다른 영역을 통과함을 의미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 각각은 그들 자신의 전기적 위상 중심을 갖는다. 2개의 전기 위상 중심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교차 다이폴(1)의 풋(foot)에서 적어도 -20 dB, -30 dB 또는 -40 dB의 매우 높은 절연 값이 달성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1)의 상이한 다이폴 절반부(2a, 2b 및 3a, 3b)의 상이한 측면(단면)을 도시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전체 길이에 걸쳐 공통 평면에 놓인다. 상기 평면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와 평행하게 배향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배향된다. 원칙적으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이들의 길이 방향 범위의 적어도 대부분에 걸쳐 공통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길이 방향 범위의 대부분에 걸쳐 또는 전체 길이 범위에 걸쳐 공통 평면에 놓이거나, 또는 서로 평행인 적어도 2개의 다른 평면에 배치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E-필드의 필드 분포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분포는 주로 대칭적이며, 특히,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해당 접지 커넥터(4, 8)와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해당 신호 커넥터(6, 10) 사이의 E-필드의 전이부에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에 대한 높은 대칭성이 있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의 대략적인 치수 규격도 도 4a 및 4b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로부터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의 높이, 즉, 거리가 또한 표시되어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0.25λ이고, λ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를 통해 송신 및 수신 가능한 제1 고주파 신호의 중심 주파수이다. ± 0.15 λ의 편차가 허용된다.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사이의 거리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0.25λ이며, 여기서 ± 0.15λ의 편차가 다시 허용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들은 마찬가지로 약 0.25λ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이 경우 λ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2)를 통해 송신 및 수신 가능한 제2 고주파 신호의 중심 주파수이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사이의 거리는 마찬가지로 약 0.25λ이다. 여기에서도 ± 0.15 λ의 편차가 허용된다.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4b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곡선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적어도 2 개의 세그먼트(111, 112)로 분할되고, 이들은 평행하게 또는 서로에 대해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들 세그먼트(111, 112)는 상이한 평면에 배치된다(적어도 하나의 본체(15)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이들 세그먼트(111, 112)는 중간 세그먼트(113)를 통해 갈바니 전기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제1 세그먼트(111)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제2 세그먼트(112)보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1 단부(10a)에 또한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제1 세그먼트(111)는 추가로 신호 커넥터(10)의 제1 단부(10a)보다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부분 길이, 특히, 제1 세그먼트(111)의 길이에 걸쳐 U-형상 프로파일(하강 및 상승 프로파일)을 갖는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파일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른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도 4a 및 4b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신호 커넥터(6, 10)의 제2 단부(6b, 10b)가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의 제2 단부(4b, 8b)를 넘어서 돌출하는 것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신호 커넥터(6, 10)의 제2 단부(6b, 10b)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해당 수신 개구 내로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신호 커넥터(6, 10)의 제2 단부(6b, 10b)가 본체(15)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신호 커넥터(6, 10)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제2 측면, 즉,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제1 측면인 상부 측면 반대편의 측면으로부터 공급되며, 제1 측면(상부 측면) 상에 접지 커넥터(4, 8)가 배치되거나 또는 이들의 제2 단부(4b, 8b)를 통해 고정된다.
원칙적으로, 2개의 동축 케이블 각각의 내부 도체는 플러그, 스크류 및/또는 납땜 연결을 통해 2개의 신호 커넥터(6, 10)의 각각의 제2 단부(6b, 10b) 중 하나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동축 케이블의 해당 외부 도체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의) 추가 접지면을 통해 접지 커넥터(4, 8)의 각각의 제2 단부(4b, 8b) 중 하나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에서, 2개의 개구(17, 18)는 지지면(13) 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의 2개의 제2 단부(4b, 8b)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2 단부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에 제1 개구(17)가 형성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에 제2 개구(18)가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신호 커넥터(6, 10)의 제2 단부(6b, 10b)는 2개의 접지 커넥터(4, 8)의 제2 단부(4b, 8b) 내의 이들 개구(17, 18)를 통과한다. 여기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신호 커넥터(6, 10)는 비접촉 방식으로 배치, 즉,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6)로부터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참조된다. 도 10은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이 SMD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됨을 도시한다. 제1 및 제2 개구(17, 18)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에서 측방향으로 (또한) 연장되어서, 각각의 신호 커넥터(6, 10)가 이들 제2 단부(6b, 10b)를 경유하여 해당 개구(17, 18)를 통해 안내되고(구부러지고),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신호 커넥터(6, 10)의 2개의 제2 단부(6b, 10b) 및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접지 커넥터(4, 8)의 제2 단부(4b, 8b)가 동일 평면에서 종료되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신호 커넥터(6, 10)의 제2 단부(6b, 10b) 및 2개의 접지 커넥터(4, 8)의 제2 단부(4b, 8b)는 SMD-납땜 가능하다. 이러한 납땜 공정은 리플로우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교차 다이폴(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되며, 이와 관련하여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한다. 상대적으로 작은 차이만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형 또는 계단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6a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및 제2 다이폴 절반부(2a, 2b)의 측면(단면)을 도시하고, 도 6b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및 제2 다이폴 절반부(3a, 3b)의 측면(단면)을 도시한다.
도 6a와 관련하여,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71 및 72)로 분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세그먼트(71, 72)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서로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진다. 이어서, 이들 세그먼트(71, 72)는 상이한 평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세그먼트(73)를 통해 갈바니 전기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계단형 프로파일이 생성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배치되는 2개의 세그먼트(51, 52)로 분할된다. 이어서, 이들 세그먼트(51, 52)는 상이한 평면으로 이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세그먼트(53)를 통해 갈바니 전기식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여기에서도 계단형 프로파일이 생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동일하게 또는 대략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5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제1 세그먼트(71)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제1 세그먼트(51)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위로 이어지고, 작은 폭은 이들 2개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가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접촉하거나 (강력하게) 용량성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칙적으로,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각각의 제1 세그먼트들(71 및 51)이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특히, 제1 세그먼트들(51, 71)의 영역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U-형상 프로파일이 달성될 것이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 대한 이러한 종류의 U-형상 프로파일이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또한 U-형상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마찬가지로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91, 92)로 분할된다. 이들 세그먼트(91, 92)는 상이한 평면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중간 세그먼트(9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계단형 프로파일이 초기에 생성된다. 그러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에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제1 세그먼트(91)는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보다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의 방향으로 더 근접하게, 즉, 적어도 하나의 메인 본체(15)의 방향으로 더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연결 세그먼트(93)로 인해 초기에는 하강한 후,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상승 프로파일이 존재하여, 다이폴 접지 날개부는 적어도 제1 세그먼트(91)의 영역에서 U-형상 프로파일을 갖는다.
원칙적으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단지 계단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계단형 프로파일"이라는 용어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제1 세그먼트(111 또는 91)가 해당 신호 커넥터(10) 또는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보다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특히, 끊임없이-상승하는 프로파일은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제2 단부(11b 또는 9b)의 방향으로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다른 다이폴 절반부(2a, 2b 또는 3a, 3b)의 측면(단면)을 도시한다.
도 7, 도 8a, 도 8b의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실질적으로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되며, 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8b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가 서로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따라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에 대한 신호 커넥터(6)와 접지 커넥터(4) 사이의 E-필드의 전이에서 높은 레벨의 대칭이 달성된다. 상기 날개부(5, 7)의 피드 영역에서 E-필드의 주요 분포는 도 8b에서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만이 계단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신호 커넥터(10)의 제1 단부(10a)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보다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를 향하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제1 단부(11a)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제1 단부(9a) 사이의 높이 오프셋이 존재한다. 상기 높이 오프셋은 약간 비대칭적인 E-필드 분포로 이어지지만, 마이크로 스트립(신호 커넥터(10) 또는 접지 커넥터(8))이 대칭적으로 넓어지는 도 4b의 교차 다이폴에 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S 파라미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거리 필드로 이어진다.
도 13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제1 내지 제3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기적 특성 중 일부가 비교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V001)는 도 1a 내지 도 4b에 도시되어 있고, 제2 예시적인 실시예(V002)는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3 예시적인 실시예(V003)는 도 7 내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a는 3GHz 내지 4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3개의 예시적인 실시예 각각에 대해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전기 절연성을 서로 반영하는 전기적인 값을 도시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V001)는 실선으로 도시되고, 제2 예시적인 실시예(V002)는 점선으로 도시되며, 제3 예시적인 실시예(V003)는 도트 라인으로 도시된다. 주파수 외에, S 파라미터도 플로팅되되, 신호 커넥터(6 또는 10)의 제2 단부(6b 또는 10b)가 공급되고, 다른 신호 커넥터(10 또는 6)의 제2 단부(10b 또는 6b)는 신호 레벨과 관련하여 측정된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V003)는 실제로 개별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 사이의 최저 절연을 갖지만 가장 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최고 절연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V001)에서 달성되며, 제2 예시적인 실시예(V002)는 더 낮은 주파수에 더 적합하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V001)는 또한 스미스 그래프(Smith graph)에서 가장 컴팩트한 곡선을 갖기 때문에 가장 넓은 대역폭으로의 적응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b가 참조된다. 2개의 교차 다이폴(1)은 나중에 함께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스미스 그래프에서 임피던스 곡선은 실제 축에서 약 100옴(ohm)으로 매우 컴팩트한 방식으로 이상적으로 놓여야 한다. 전체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어지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에 대한 개별 다이폴 접지 날개(5, 9)의 대칭 구조가 바람직하고, 특히, U-형상 프로파일이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U-형상 프로파일의 경우,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접지 커넥터(4, 8) 및 신호 커넥터(6, 10)의 제1 단부(4a, 6a 및 8a, 10a)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위의)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종료되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공통 높이에서만 다이폴 신호 날개부(11)가 다른 다이폴 신호 날개부(7) 아래를 통과하기 시작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이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분리 슬롯(20)에 의해 대부분의 길이 범위에 걸쳐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서로 이격된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 7', 7")로 각각 분할된다. 이들 날개 세그먼트(5', 5" 및 7', 7")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즉,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어 있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날개부 세그먼트(5', 5")는 길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7', 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마찬가지로 분리 슬롯(20)에 의해 대부분의 길이 범위에 걸쳐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서로 이격된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및 11', 11")로 각각 분할된다. 이들 날개 세그먼트(9', 9" 및 11', 11")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즉,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른 길이를 갖는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9', 9")는 길이가 다르고,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11', 11")는 마찬가지로 길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9', 9", 11', 11")의 유사한 길이로 인해, 교차 다이폴(1)의 공진 주파수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9', 9", 11', 11")의 다른 길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진 주파수 범위가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교차 다이폴(1)의 공진 주파수 범위로서 6 dB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0 dB보다 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dB보다 큰 반사 손실을 갖는 연속 범위가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7', 7")는 길이의 일부에 걸쳐 또는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지 않으며, 대신에 10°, 20°, 30°, 40°, 50°, 60°, 70° 또는 80°보다 큰 각도로 배치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11',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특히,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9', 9", 11', 11")는 또한 사각형 다이폴 및/또는 초-광대역(UWB) 다이폴을 형성한다.
상기 단락들 및 도면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순한 교차 다이폴(1)은 또한 이중-대역 거동 또는 다중-대역 거동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체(15)에 직교하여 최대 다이폴 범위(다이폴의 높이) 및 접지 커넥터(4, 8)와 해당 신호 커넥터(6, 10) 사이의 도파관의 길이뿐만 아니라 본체(15)에 평행한 최대 다이폴 범위(날개부 세그먼트(5, 7, 9, 11)의 길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교차 다이폴(1)의 공진 주파수 범위가 확장될 수 있고 및/또는 적어도 2개의 공진 주파수 범위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차 다이폴(1)의 높이 및/또는 예를 들어, 구불구불한 프로파일로 변경될 수 있는 도파관의 길이는 마찬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9', 9", 11', 11")는 임의로 설계될 수 있으며 전기적 요구 사항 및 생산 방법에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5', 5")는 바람직하게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제1 단부(5a)에서 단지 갈바니 전기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상에 기계적으로 배치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7', 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날개부 세그먼트(7', 7")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제1 단부(7a)에서 단지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고, 특히,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1 단부(6a)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원칙적으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제1 단부(7a 및 5a) 반대편에 배치되는 개방된 제2 단부(7b 및 5b)에서 각각 구부러진 부분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부분은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부러지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높이가 증가된다.
도 9에서, 구부러진 부분은 각각의 경우에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 7', 7")가 다른 길이를 갖도록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 7', 7") 중 하나에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구부러진 부분은 마찬가지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구부러진 부분과 나머지 영역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다.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110°, 120°, 130°, 140°, 150°, 160°또는 170°보다 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5°, 155°, 145°, 135°, 125°, 115°, 105°또는 95°보다 작다.
상기 각도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구부러진 부분과 나머지 부분 사이의 최저 각도이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지지면(13)의 탭(13a)이 하향으로, 즉,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도 9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탭(13a)은 마찬가지로 신호 커넥터(6 및 10)의 제2 단부(6b 및 10b)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개구에 결합되거나 또는 심지어 이러한 개구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지 장치(25, 26)가 또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유지 장치(25, 26)는 도 11a, 도 11b 및 도 12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유지 장치는 모두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제1 유지 장치(25)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유지 장치(25)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결합하고,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와 결합되는 복수의 유지 수단(25a, 25b, 25c, 25d)을 포함하며, 접지 커넥터(4)와 신호 커넥터(6)가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유지 장치(2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유지 장치는 또한 복수의 유지 수단(26a, 26b, 26c, 26d)을 포함한다. 제2 유지 장치(26)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 사이에 배치된다.
원칙적으로, 2개의 유지 장치(25, 26)가 단일 부분, 즉, 공통 (플라스틱 사출-성형된)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제1 유지 장치(25)가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중앙 몸체(27)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유지 수단(25a, 25b) 중 하나는 상기 전면에 그리고 하나는 상기 후면에 제공되며, 잠금 핀 형태이다. 잠금 핀은 중앙 몸체(27)로부터 돌출되고, 각각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신호 커넥터(6)의 개구에서 튀어나오며, 이에 의해,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을 통해 이어지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른 변위가 방지된다. 이들 잠금 핀은 또한 접지 커넥터(4) 및/또는 신호 커넥터(6)의 제거가 방해되거나 방지되도록 래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핑거 형태의 다른 고정 수단(25C, 25D)은 또한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되고, 중앙 몸체(27) 및 접지 커넥터(4)와 신호 커넥터(6)의 방향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들 잠금 핑거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를 뒤에서 결합되게 하여, 접지 커넥터(4)와 신호 커넥터(6)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 핑거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중앙 몸체(28)를 갖는 제2 유지 장치(26)에도 동일한 세부 사항이 적용된다. 제2 유지 장치에는 또한 잠금 핀 형태의 유지 수단(26a, 26b)과 잠금 핑거 형태의 복수의 유지 수단(26c, 26d)이 있으며, 이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를 제2 신호 커넥터(10)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제2 유지 장치(26)의 구조는 제1 유지 장치(25)의 구조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1)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되어 있고, 도 9에 따른 교차 다이폴(1)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한다.
도 15a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분리 슬롯(20)에 의해 대부분의 길이 범위에 걸쳐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각각의 경우에 서로 거리를 두고 이어진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 7', 7")로 분할된다. 이들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 7', 7")는 서로 거리를 두고 이어지며, 즉,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날개부 세그먼트(5', 5")는 길이가 다르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7', 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11',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의 날개부 세그먼트(5', 9')는 이들의 개방 단부(5b, 9b)를 향해 경사져서, 교차 다이폴(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한다. 상기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교차 다이폴(1)의 지지 베이스(13)로부터 멀어지도록 제공된다(상향 경사). 상기 경사는 또한 교차 다이폴(1)의 지지 베이스(13) 방향(하강 경사)으로, 즉, 반사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본체(15)의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는 도 15a에서 약 90°이다. 90°로부터 40°, 30°, 20°, 15°, 10° 또는 5°미만의 편차도 가능하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의 날개부 세그먼트(7' 및 11')도 마찬가지이다.
도 15b 및 도 15c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또는 모든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는 서로 각도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부분들은 바람직하게는 공통 평면에 놓인다. 도 15b 및 도 15c에서, 날개부 세그먼트(5', 5")의 개별 부분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날개부 세그먼트(7', 7")의 부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는 완전히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의 단면 형상은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의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이는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교차 다이폴(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5d, 도 15e 및 도 15f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날개부 세그먼트(5', 5")는 특히, 90°(및 ± 10°또는 ± 5°)의 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7', 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11',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교차 다이폴(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도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 9', 9")를 각각 포함한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분(40)도 존재한다. 연결 부분들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7', 7")의 개방 단부(7b)를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11',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연결 부분(40)은 또한 예를 들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세그먼트(7', 7", 11', 11")를 넘어 돌출된다.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이라는 용어는 또한 단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9', 9")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날개부 세그먼트(5')의 개방 단부(5b)는 L-형상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L-형상 연장부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대부분의 날개부 세그먼트(5')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9')의 개방 단부(9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는 또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7')의 개방 단부(7b)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11)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11')의 개방 단부(11b)에도 적용될 수 있다. L-형상 연장부 대신에, T-형상 연장부 또는 특히, 개방 단부(5b, 9b, 7b, 11b)의 방향으로의 원뿔형 확장부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6c에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에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9')의 제1 세그먼트(91)는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보다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로부터 더 먼 거리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U-형상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는 반사기(도시되지 않음)의 방향으로 부분 길이에 걸쳐 개방된다. 제2 날개부 세그먼트(9")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물론 이는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9', 9")로 분할되지 않으면 다이폴 접지 날개부(9) 자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또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에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는 2개의 신호 커넥터(6, 10)보다 교차 다이폴(1)의 중심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가 교차하면, 이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가 단지 외부로부터 비롯된 해당 유지 장치(25, 2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예컨대, 클립핑 또는 클릭됨) 보다 쉽게 조립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7a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개방된 제2 단부(7b, 5b)에서 T-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단부(7b, 5b)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및 접지 커넥터(4)에 연결된 제1 단부(7a, 5a)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T-형상 설계 대신에 L-형상일 수도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7b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개방된 제2 단부(7b, 5b)에서 확장부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확장부는 평면에서 볼 때 삼각형 또는 원뿔형이다. 제2 단부(7b, 5b)는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7a, 5a)보다 2배 이상 넓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길이의 60%, 50%, 40%, 30% 또는 20% 미만으로 이어진다. 상기 확장부는 선형 또는 계단형 방식으로 이어진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의 교차 다이폴(1)에서, 제2 단부(5b, 7b, 9b, 11b)가 변경되지 않은 교차 다이폴(1)(예를 들어,도 1a)과 비교하여 동일한 치수로 더 높은 대역폭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역폭이 동일하면, 도 16a 및 도 16b의 교차 다이폴(1)에 의해 보다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19a에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는 2개의 신호 커넥터(6, 10)보다 교차 다이폴(1)의 중심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가 교차하면, 이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가 단지 외부로부터 비롯된 해당 유지 장치(25, 2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예컨대, 클립핑 또는 클릭됨) 보다 쉽게 조립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신호 커넥터(6, 10)는 상이한 폭을 가지므로, 유지 수단(25c, 25d, 26c, 26d)에 의해 더 얇은 영역(얇은 폭)에서 신호 커넥터(6, 10) 주위로 결합(클립)되는 유지 장치(25, 26)는 더 두꺼운 영역(두꺼운 폭)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9b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하는 방법을 다시 도시한다. 도 19b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가 도시되어 있고, 공통 금속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9c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들은 동일하게(동일한 치수) 구성되어, 생산이 단순화된다.
도 19a, 도 19b, 도 19c의 교차 다이폴(1)의 경우, 단지 2개의 다른 금속 부분만이 필요하므로 조립이 더 쉽다는 것이 사실이다. 제1 금속 부분은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를 포함하고, 제2 금속 부분은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를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동일한 금속 부분(제2 다이폴 절반부(2b, 3b))이 외부로부터 단일-부분 설계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로 클릭되기 때문에 조립이 더 간단하다. 혼란의 위험이 없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1)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c에 따르면,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이들의 제1 단부(6a, 10a)에서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단락되고, 전체적으로 단일-부분 설계이다. 따라서, 개별 부분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그러나, 전기적인 값이 더 나쁘다. 특히, 피드 지점, 즉, 신호 커넥터(6, 10)의 제2 단부(6b, 10b)에서의 절연 값은 더 나쁘다(> 10 dB,> 15 dB 및 <20 dB). 그러나, 상기 절연 값은 일반적으로 대규모 마이모(MIMO) 및/또는 소형 셀 및/또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여전히 충분하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 및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는 정확히 하나의 금속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는 다른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 아래를 통과하지 않는다.
도 20b는 접지 커넥터(4, 8)의 제2 단부(4b, 8b)의 영역에서 이들의 접지 커넥터(4, 8)를 갖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가 L-형상 또는 C-형상 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각도로 이어진 2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에는 풋(13)이 없다. 대신에, 접지 커넥터(4, 8)는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4b, 8b)의 영역에서 본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0a에는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25)가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25)는 복수의 수용 슬롯에 의해 관통되는 중앙 몸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홀더로서 형성되며, 접지 커넥터(4, 8) 및 신호 커넥터(6, 10)는 이들의 제2 단부(6b, 10b, 4b, 8b)에서 시작하여 수용 슬롯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홀더는 접지 커넥터(4, 8) 및 신호 커넥터(6, 10)의 적어도 부분 길이를 따라 변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25)는 대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접지 커넥터(4, 8) 및 신호 커넥터(6, 10)를 오버몰딩함으로써 형성되는 오버몰딩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다이폴(1)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아래를 통과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는 교차 다이폴(1)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배치된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신호 커넥터(6, 10)는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해당 접지 커넥터(4, 8)의 다른 측면(하나는 외측 및 하나는 내측)에 고정된다.
도 21c에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는 서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2개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는 특히 동일한 공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생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서, 비용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3a)는 다시 단일-부분 설계(도 21b)이며 특히, 정확하게 하나의 제1 금속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정확하게 2개의 제2 금속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 각각은 상기 종류의 제2 금속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교차 다이폴(1)은 (정확하게) 2개의 다른 금속 부분으로만 구성된다. 또한, (정확하게) 3개의 다른 금속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가 다른 금속 부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교차 다이폴(1)은 도시된 각각의 유지 장치(25)(클릭 홀더, 슬라이딩 홀더, 오버몰딩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가 또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도 14는 적어도 2개의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 1b)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30)의 3차원 도면이다.
원칙적으로, 안테나 장치(1)는 단지 하나의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를 포함한다.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 1b)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에 배치된다.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는 제1 연결부(31)를 통해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b)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는 제2 연결부(32)를 통해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b)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된다. 2개의 연결부(32)는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1 고주파 신호는 제1 연결부(31) 내외부로 결합될 수 있는 반면, 제2 고주파 신호는 제2 연결부(32) 내외부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 1b)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는 제1 고주파 신호의 신호 접지부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접지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전도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제1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 1b)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는 제2 고주파 신호의 신호 접지부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접지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된다.
제1 및/또는 제2 고주파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부(31) 또는 제2 연결부(32)의 중심에 결합된다.
적어도 2개의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 1b)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3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2a, 도 22b 및 도 22c에 설명되어 있다.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는 이들의 제1 연결부(31)와 함께 공통의 구부러진 부분 및/또는 스탬핑된 부분 및/또는 레이저 부분 및/또는 각진 부분으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들 단일 몸체이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이들의 제2 연결부(32)와 함께 공통의 구부러진 부분 및/또는 스탬핑된 부분 및/또는 레이저 부분 및/또는 각진 부분으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들 단일 몸체이다.
피드는 이미 설명한대로 제공된다.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는 제3 연결부(33)를 통해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연결부(33)와 함께 공통의 구부러진 부분 및/또는 스탬핑된 부분 및/또는 레이저 부분 및/또는 각진 부분으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들 단일 몸체이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가장 중요한 점은 이하에 다시 개별적으로 간략하게 제시될 것이다. 특정 신호 커넥터(6 또는 10)는 그 제2 단부(6b 또는 10b)에만 각각 공급된다. 접지 커넥터(4 및 8)로의 접지 연결은 또한 상기 커넥터의 제2 단부(4b, 8b)에서만 각각 달성된다. "단부"라는 용어는 전체 길이의 30% 또는 20% 또는 10% 또는 5% 미만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무선이다. 이는 접지 커넥터(4 또는 8) 또는 신호 커넥터(6 또는 10)의 제2 단부(4b, 6b, 8b, 10b)에서 해당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또는 11)의 방향으로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또는 9)의 방향으로 연결 케이블이 연장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다이폴 절반부(2a, 2b 또는 3a, 3b)의 다른 부분을 전기 전도성으로 다른 또는 동일한 다이폴 절반부(2a, 2b 또는 3a, 3b)의 다른 부분에 연결하는 추가의 납땜된 전기 연결 피스(예를 들어, 추가 연결 플레이트)가 없다. 각각의 다이폴 절반부(2a, 2b 또는 3a, 3b)는 단일-부분 설계이다. 원칙적으로,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 및 3a)는 단일-부분(판금) 부분으로부터 공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일-부분 설계는 납땜 연결을 통해 함께 연결된 2개의 다른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구조가 크게 단순화된다. 여기서,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특히, 솔더 지점없이 구현된다. 유일한 솔더 지점은 제2 단부(4b, 8b 및 6b, 10b)를 각각 해당 신호 접지부 및 기준 접지부에 연결하기 위해 또는 해당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에 각각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교차 다이폴(1)의 풋(베이스(13))에서 적어도 -20 dB, -30 dB 또는 -40 dB의 매우 높은 절연 값이 달성된다. 그룹 배치에서, 전기적 위상 중심과 기계적 중심이 상이한 영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이한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 사이의 디커플링에 대한 추가 자유도가 추가로 가능해진다.
평면도에서,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λ/2 x λ/2의 치수를 가질 수 있는 반면,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사이의 거리는 대략 λ/4이다. "대략"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 25%, 10% 또는 5% 미만의 편차가 또한 포함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는 예를 들어, λ x λ의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λ는 바람직하게는 교차 다이폴(1)이 작동되는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18a에서, 교차 다이폴(1)은 인쇄 회로 기판(50, 51, 5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는 또한 제1 인쇄 회로 기판(50)의 다른 대향 측면에 도체 트랙(50a)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체 트랙(50a)은 유전체 상에 배치되고 유전체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구리 영역이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또한 제2 인쇄 회로 기판(51)의 다른 대향 측면에 도체 트랙(51a)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 상에 도체 트랙(52a, 52b)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 상에 도체 트랙(52c, 52d)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가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2 측면(52") 상에 도체 트랙(52c, 52d)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50)은 제3 인쇄 회로 기판(52)에 수직으로 이어진다. 제2 인쇄 회로 기판(51)은 제3 인쇄 회로 기판(52)에 수직으로 이어진다. 제1 인쇄 회로 기판(50)은 제3 인쇄 회로 기판(52), 특히,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에 납땜되거나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가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에 연결되고,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텍터(6)가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에 연결된다.
제2 인쇄 회로 기판(51)은 제3 인쇄 회로 기판(52), 특히,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2 측면(52")에 납땜되거나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가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에 연결되고,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텍터(10)가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에 연결된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쇄 회로 기판(51)은 또한 제3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측면(52')에 납땜되거나 전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하는 것을 도 18b로부터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2 측면(52")에서 이어지는 반면,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에서 이어진다. 대조적으로, 도 18b에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의 도체 트랙(52a, 52c) 및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의 도체 트랙(52b, 52d)은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일 측면(52', 52"), 특히, 제1 측면(52')에서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 및 신호 커넥터(6, 10)의 해당 도체 트랙(50a, 51a)에 납땜된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도체 트랙(52c)은 도금 쓰루-홀(53)에 의해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반대 측면(52", 52')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도체 트랙(52c)은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에서 제2 측면(52")으로 변경된다(나중에 다시 변경될 수 있음). 이러한 영역에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도체 트랙(52a)은 또한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에서 이어진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도체 트랙(52c)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도체 트랙(52a) 아래를 통과한다. 이 세부 사항은 도 18c에 개별적으로 다시 도시되어 있다.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은 바람직하게는 결합 개구를 가지며, 결합 개구를 통해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50, 51)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교차 다이폴(1)의 더 높은 안정성이 또한 달성된다.
도 18a 내지 18c로부터의 교차 다이폴(1)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8d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양 측면(52', 52")에서 적어도 부분 길이에 걸쳐 이어진다. 추가적인 복수의 도금 쓰루-홀(54)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2개의 도체 트랙(52a)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는 인쇄 회로 기판과의 배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추가 교차 다이폴(1)을 포함하는 다른 안테나 장치(30)가 도 23에 설명되어 있다. 추가 교차 다이폴(1)은 이전의 예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추가 교차 다이폴(1)은 적어도 2개의 컬럼(6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또한 컬럼(60)에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는 8개의 컬럼(60)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추가 교차 다이폴(1)이 각각의 컬럼(60)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8개의 추가 교차 다이폴(1)이 각각의 컬럼(60)에 배치된다. 각각의 컬럼(60)에 배치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컬럼(60)만큼 많은 추가 교차 다이폴(1)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추가 교차 다이폴(1)은 체커 보드 패턴(컬럼(60) 및 로우(61)에서)으로 배치된다. 8개의 컬럼(60) 외에 8개의 로우(61)도 존재한다. 그러나 숫자는 임의로 달라질 수 있다. 로우(61)보다 많은 컬럼(60)이 있거나 또는 컬럼(60)보다 많은 로우(61)가 있을 수 있다.
내부 장치(30)의 조립된 위치에서, 추가 교차 다이폴(1)은 컬럼(60)에서 수직으로(하나는 다른 것 위에) 배치되고, 추가 교차 다이폴(1)은 로우(61)에서 수평으로(인접하게) 배치된다.
동일한 컬럼(60)에서 인접한 추가 교차 다이폴(1)로부터 제1 컬럼(60) 내의 추가 교차 다이폴(1)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다른 컬럼(60)에서 인접한 추가 교차 다이폴(1)로부터 다른 컬럼(60)의 추가 교차 다이폴(1)의 거리에 대응한다. 각각의 컬럼(60)의 모든 추가 교차 다이폴(1)은 바람직하게는 이웃하는 교차 다이폴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다양한 로우(61)의 추가 교차 다이폴(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추가 교차 다이폴(1)의 배치는 안테나 장치(30)의 마이모 동작을 허용한다. 추가 교차 다이폴(1)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에 대해 동일하게 배향된다. 특히,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는 컬럼(60)(안테나 장치(30)의 수직축) 또는 로우(61)(안테나 장치(30)의 수평축)에 대해 대략 45°회전된다. 본체(15)로부터 개별의 추가 교차 다이폴(1)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도시된 추가 교차 다이폴(1)은 특히, 제1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고-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다른 교차 다이폴(62)이 있으며, 이는 이전 예들 중 하나에 따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다른 교차 다이폴(62)은 제2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저-대역)에서 동작한다. 제2 주파수 범위는 제1 주파수 범위보다 낮다. 특히, 제2 주파수 범위의 중심 주파수는 제1 주파수 범위의 중심 주파수보다 낮다.
이러한 경우에, 다른 교차 다이폴(62)은 도 15d의 예에 따라 구성되며, 도 15d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다른 교차 다이폴(62)은 추가 교차 다이폴(1)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2배 또는 3배보다 크다. 이는 특히,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의 길이에 적용된다. 이에 따라, 다른 교차 다이폴(62)에서, 이들은 추가 교차 다이폴(1)보다 더 길다(길이의 2배 또는 3 배). 도시된 다른 교차 다이폴(62)에서, 이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에 대해 적용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른 교차 다이폴(62)은 추가 교차 다이폴(1)의 2개의 컬럼(60) 사이에 그리고 2개의 로우(61) 사이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다른 교차 다이폴(62)은 인접한 추가 교차 다이폴(1)과 관련하여 수평 및 수직 오프셋으로 배치된다.
다른 교차 다이폴(62)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는 바람직하게는 컬럼(60)(안테나 장치(30)의 수직축) 또는 로우(61)(안테나 장치(30)의 수평축)에 평행으로 또는 수직으로 이어진다.
다른 교차 다이폴(62)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교차 다이폴(1) 사이의 공간(2개의 로우 사이 그리고 2개의 컬럼 사이)으로 이어진다.
본체(15)로부터 다른 교차 다이폴(62)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개별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본체(15)로부터 추가 교차 다이폴(1)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의 거리보다 크다(또는 이보다 작거나 또는 이와 동일하다).
도 23의 안테나 장치(30)가 도 15d에 따른 임의의 (다른) 교차 다이폴(62)을 갖지 않고, 대신에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를 갖지 않는 교차 다이폴를 갖는 경우에, 이들 다른 교차 다이폴(62)은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가 컬럼(60)(안테나 장치(30)의 수직축) 또는 로우(61)(안테나 장치(30)의 수평축)에 평행으로 또는 수직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회전된다.
2개의 인접한(수평으로 인접하고 수직으로 인접한) 다른 교차 다이폴(62) 사이의 거리는 2개의 인접한 추가 교차 다이폴(1)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른 교차 쌍극자(62)를 갖는 2개의 컬럼이 있으며, 여기서 2개의 다른 교차 다이폴(62)은 각각의 컬럼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여기서는 2개의 로우을 참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교차 쌍극자(62)를 갖는 더 많은 컬럼 및/또는 로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컬럼(60) 및/또는 로우(61)에서 모든 추가 교차 다이폴의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는 연결부를 통해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와 함께 공통의 구부러진 부분 및/또는 스탬핑된 부분 및/또는 레이저 부분 및/또는 각진 부분으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다. 다른 교차 다이폴(6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컬럼(60)에서 추가 교차 다이폴(1)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1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다른 교차 다이폴(6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는 공통 피드를 가질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컬럼(60)에서 추가 교차 다이폴(1)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다른 교차 다이폴(6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는 공통 피드를 가질 것이다.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에는 발룬(balun)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확히 하나의 신호 커넥터(6, 10)가 각각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정확하게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만큼 많은 신호 커넥터(6, 10)가 있다. 피드는 또한 이들 신호 커넥터(6, 10)를 통해(독점적으로) 제공된다. 각각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정확히 하나의 신호 커넥터(6, 10)에 의해서만 접촉된다. 또한, 다른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신호 커넥터(6, 10)와 추가로 접촉할 수도 있다. 이는 신호 커넥터(6, 10)가 단일-부분 설계인 경우에 적용된다. 이는 접지 커넥터(4, 8)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에는 추가 커넥터가 없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피드 또는 접지부와 접촉에 대한 추가 연결은 제공되지 않는다.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는 각각 정확히 하나의 접지 커넥터(4, 8) 및 정확히 하나의 신호 커넥터(6, 10)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제1 단부(5a)는 정확히 하나의 추가 부재(접지 커넥터(4)의 제1 단부(4a))에만 연결된다.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제1 단부(7a)는 정확히 하나의 추가 부재(신호 커넥터(6)의 제1 단부(6a))에만 연결된다.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신호 커넥터(6)와 접지 커넥터(4) 사이의 전기장은 다이폴 접지 날개부(5)와 다이폴 신호 날개부(7) 사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진다.
신호 커넥터(10)와 접지 커넥터(8) 사이의 전기장은 다이폴 접지 날개부(9)와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사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되고 및/또는 표시된 모든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Claims (39)

  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가 제공되며;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는 2개의 다이폴 절반부(2a, 2b)를 포함하고,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는 2개의 다이폴 절반부(3a, 3b)을 포함하고;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는 접지 커넥터(4)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를 포함하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제1 단부(5a)는 접지 커넥터(4)의 제1 단부(4a)에 연결되고, 제1 단부(4a)와 대향하는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는 제1 단부(6a) 및 반대편에 있는 제2 단부(6b)를 갖는 신호 커넥터(6)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를 포함하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제1 단부(7a)는 신호 커넥터(6)의 제1 단부(6a)에 연결되고;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다이폴 절반부(3a)는 접지 커넥터(8)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를 포함하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제1 단부(9a)는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에 연결되고, 제1 단부(8a)와 대향하는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2 다이폴 절반부(3b)는 제1 단부(10a) 및 반대편에 있는 제2 단부(10b)를 갖는 신호 커넥터(10)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를 포함하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제1 단부(11a)는 신호 커넥터(10)의 제1 단부(10a)에 연결되고;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지고,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지며;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반대 방향으로 이어지고;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반대 방향으로 이어지며;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아래를 통과하거나,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하거나, 또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아래를 통과하거나, 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 제1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되고; 및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와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되고; 및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와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되고; 및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와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L-형상 또는 T-형상이거나 또는 이들의 개방된 제2 단부(7b, 5b)에 확장부를 포함하며, 제2 단부(7b, 5b)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및 접지 커넥터(4)에 연결된 제1 단부(7a, 5a)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또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L-형상 또는 T-형상이거나 또는 이들의 개방된 제2 단부(11b, 9b)에 확장부를 포함하며, 제2 단부(11b, 9b)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10) 및 접지 커넥터(8)에 연결된 제1 단부(11a, 9a)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다이폴 절반부(2a)는 단일-부분 설계이며,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는 단일-부분 설계이고;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다이폴 절반부(3a)는 단일-부분 설계이며,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2 다이폴 절반부(3b)는 단일-부분 설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5. 제4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2a, 2b)는,
    a) 스탬핑된 판금 부분 및/또는 절단 판금 부분; 및/또는 구부러진 판금 부분 및/또는 각진 판금 부분; 및/또는
    b)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제1 및/또는 제2 다이폴 절반부(3a, 3b)는,
    a) 스탬핑된 판금 부분 및/또는 절단 판금 부분; 및/또는 구부러진 판금 부분 및/또는 각진 판금 부분; 및/또는
    b)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들(7, 11)은 서로 대략 90°의 각도로 이어지고; 및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들(5, 9)은 서로 대략 90°의 각도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들(7, 11) 및/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들(5, 9)은 적어도 이들의 길이 방향 범위의 대부분에 걸쳐 공통 평면에 놓이거나 또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다른 평면에 놓이고, 및/또는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들(7, 11) 및/또는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들(5, 9)은 단면이 직사각형이되, 직사각형의 장변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와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주로 평행한 구성 요소로 이어지고, 직사각형의 단변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와 수직으로 이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에 주로 수직인 구성 요소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들(7, 11)은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길이가 상이하고; 및/또는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들(5, 9)은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길이가 상이하고; 및/또는
    - 적어도 하나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또는 2개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는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 중 하나 또는 둘 다와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더 길거나 또는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부분 길이에 걸쳐 확장부를 갖고; 및/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부분 길이에 걸쳐 확장부를 갖고;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각각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및 접지 커넥터(4)에 연결되는 제1 단부(7a, 5a)에 대향하여 배치된 이들의 개방된 제2 단부(7b, 5b)에서 부분 길이에 걸쳐 만곡형으로 이어진 부분을 가지며, 이들 부분은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로부터 이격되며 만곡되고; 및/또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 각각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 및 접지 커넥터(8)에 연결되는 제1 단부(11a, 9a)에 대향하여 배치된 이들의 개방된 제2 단부(11b, 9b)에서 부분 길이에 걸쳐 만곡형으로 이어진 부분을 가지며, 이들 부분은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로부터 이격되며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각각의 경우에, 이들의 길이 방향 범위의 대부분에 걸쳐 또는 이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리 슬롯(20)에 의해 서로 거리를 두고 이어진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7', 7", 5', 5")로 분할되며, 서로 거리를 두고 이어진 날개부 세그먼트들(7', 7", 5', 5")은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길이가 상이하며;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각각의 경우에, 이들의 길이 방향 범위의 대부분에 걸쳐 또는 이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리 슬롯(20)에 의해 서로 거리를 두고 이어진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11', 11", 9', 9")로 분할되며, 서로 거리를 두고 이어진 날개부 세그먼트들(11', 11", 9', 9")은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1. 제10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5', 7')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또는 신호 커넥터(6)에 연결되는 제1 단부(5a, 7a)에 대향하여 배치된 개방된 제2 단부(5b, 7b)에서 부분 길이에 걸쳐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는 방식으로 이어진 경사진 부분을 갖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9', 11')는 각각의 경우에,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 또는 신호 커넥터(10)에 연결되는 제1 단부(9a, 9a)에 대향하여 배치된 개방된 제2 단부(9b, 11b)에서 부분 길이에 걸쳐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는 방식으로 이어진 경사진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의 단면 형상은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의 길이에 걸쳐 일정하거나 가변적이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의 단면 형상은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의 길이에 걸쳐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 또는 모든 날개부 세그먼트(5', 5", 7', 7")는 서로 각도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부분은 각각 공통 평면에 놓이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또는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 또는 모든 날개부 세그먼트(9', 9", 11', 11")는 서로 각도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부분은 각각 공통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날개부 세그먼트들(5', 5")은 특히, 9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고;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날개부 세그먼트들(7', 7")은 특히, 9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날개부 세그먼트들(9', 9")은 특히, 9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날개부 세그먼트들(11', 11")은 특히, 9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5', 5")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에 연결되는 제1 단부(5a)에 대향하여 배치된 이들의 개방된 제2 단부(5b)에서 2개의 제2 단부(5b)를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시키는 공통의 연결 부분을 갖고;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7', 7")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에 연결되는 제1 단부(7a)에 대향하여 배치된 이들의 대응하는 개방된 제2 단부(7b)에서 2개의 제2 단부(7b)를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시키는 공통의 연결 부분(40)을 갖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9', 9")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에 연결되는 제1 단부(9a)에 대향하여 배치된 이들의 대응하는 개방된 제2 단부(9b)에서 2개의 제2 단부(9b)를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시키는 공통의 연결 부분을 갖고;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2개의 날개부 세그먼트(11', 11")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에 연결되는 제1 단부(11a)에 대향하여 배치된 이들의 대응하는 개방된 제2 단부(11b)에서 2개의 제2 단부(11b)를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시키는 공통의 연결 부분(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주로 평행하는 구성 요소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71, 72)로 분할되며, 이들 세그먼트(71, 72)는 다른 평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세그먼트(73)를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계단형 프로파일이 생성되고;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주로 평행하는 구성 요소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51, 52)로 분할되며, 이들 세그먼트(51, 52)는 다른 평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세그먼트(53)를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계단형 프로파일이 생성되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주로 평행하는 구성 요소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111, 112)로 분할되며, 이들 세그먼트(111, 112)는 다른 평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세그먼트(113)를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계단형 프로파일이 생성되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주로 평행하는 구성 요소로 이어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91, 92)로 분할되며, 이들 세그먼트(91, 92)는 다른 평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세그먼트(93)를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계단형 프로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7. 제16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1 단부(6a)에 연결되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제1 세그먼트(71)는 신호 커넥터(6)의 제1 단부(6a)보다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에 더 근접하거나 또는 더 멀리 배치됨에 따라,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부분 길이에 걸쳐 U-형상 프로파일을 갖고;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1 단부(4a)에 연결되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제1 세그먼트(51)는 접지 커넥터(4)의 제1 단부(4a)보다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에 더 근접하거나 또는 더 멀리 배치됨에 따라,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부분 길이에 걸쳐 U-형상 프로파일을 갖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1 단부(10a)에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제1 세그먼트(111)는 신호 커넥터(10)의 제1 단부(10a)보다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에 더 근접하거나 또는 더 멀리 배치됨에 따라,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부분 길이에 걸쳐 U-형상 프로파일을 갖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에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제1 세그먼트(91)는 접지 커넥터(8)의 제1 단부(8a)보다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에 더 근접하거나 또는 더 멀리 배치됨에 따라,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부분 길이에 걸쳐 U-형상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로부터 0.10 λ, 0.15 λ, 0.20 λ, 0.25 λ, 0.30 λ, 0.35 λ 또는 0.40 λ보다 크고, 0.45 λ, 0.40 λ, 0.35 λ, 0.30 λ, 0.25 λ, 0.20 λ 또는 0.15 λ보다 작은, 또는 0.15 λ, 바람직하게는 0.25 λ에 해당하는 길이 및/또는 거리를 갖고, λ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를 통해 전송 가능한 제1 고주파 신호의 중심 주파수이며;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로부터 0.10 λ, 0.15 λ, 0.20 λ, 0.25 λ, 0.30 λ, 0.35 λ 또는 0.40 λ보다 크고, 0.45 λ, 0.40 λ, 0.35 λ, 0.30 λ, 0.25 λ, 0.20 λ 또는 0.15 λ보다 작은, 또는 0.15 λ, 바람직하게는 0.25 λ에 해당하는 길이 및/또는 거리를 갖고, λ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를 통해 전송 가능한 제1 고주파 신호의 중심 주파수이며;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로부터 0.10 λ, 0.15 λ, 0.20 λ, 0.25 λ, 0.30 λ, 0.35 λ 또는 0.40 λ보다 크고, 0.45 λ, 0.40 λ, 0.35 λ, 0.30 λ, 0.25 λ, 0.20 λ 또는 0.15 λ보다 작은, 또는 0.15 λ, 바람직하게는 0.25 λ에 해당하는 길이 및/또는 거리를 갖고, λ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를 통해 전송 가능한 제2 고주파 신호의 중심 주파수이며;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로부터 0.10 λ, 0.15 λ, 0.20 λ, 0.25 λ, 0.30 λ, 0.35 λ 또는 0.40 λ보다 크고, 0.45 λ, 0.40 λ, 0.35 λ, 0.30 λ, 0.25 λ, 0.20 λ 또는 0.15 λ보다 작은, 또는 0.15 λ, 바람직하게는 0.25 λ에 해당하는 길이 및/또는 거리를 갖고, λ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를 통해 전송 가능한 제2 고주파 신호의 중심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1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는 이들의 제2 단부(4b, 8b)에서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단일-부분 설계이고; 및/또는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이들의 제1 단부(6a, 10a)에서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단일-부분 설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0. 제19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는 이들 각각의 제2 단부(4b, 8b)에서만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는 이들의 제2 단부(4b, 8b)와 제1 단부(4a, 8a) 사이에서 슬롯(14)에 의해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정확히 하나의 제1 금속 부분을 포함하며,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들(2a, 3a)은 상기 하나의 제1 금속 부분으로 형성되고; 및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정확히 2개의 제2 금속 부분을 포함하며,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각각의 제2 다이폴 절반부(2b, 3b)는 제2 금속 부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1 다이폴 절반부들(2a, 3a) 및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제2 다이폴 절반부들(2b, 3b)은 정확히 3개의 금속 부분으로 형성되며, 3개의 금속 부분은 서로 다르게 구성되되, 적어도 2개의 금속 부분은 동일한 공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는 적어도 부분 길이를 따라 또는 전체 길이를 따라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보다 넓고; 및/또는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는 적어도 부분 길이를 따라 또는 전체 길이를 따라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는 제2 단부(4b)에 개구(17)를 가지며;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는 개구(17)를 통해 안내되어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 및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가 동일한 평면에서 종료되며,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및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는 제2 단부(8b)에 개구(18)를 가지며;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는 개구(18)를 통해 안내되어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가 동일한 평면에서 종료되며,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음에 따라,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은 SMD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를 넘어 돌출되어서, 적어도 하나의 본체(15)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에 의해 관통되며; 및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를 넘어 돌출되어서, 적어도 하나의 본체(15)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재료로 구성되는 제1 유지 장치(25)가 제공되며;
    제1 유지 장치(25)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유지 장치(25)는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와 결합되고, 또한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와도 결합되는 복수의 유지 수단(25a, 25b, 25c, 25d)을 포함하며, 접지 커넥터(4) 및 신호 커넥터(6)가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고;

    -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재료로 구성되는 제2 유지 장치(26)가 제공되며;
    제2 유지 장치(26)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유지 장치(26)는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와 결합되고, 또한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와도 결합되는 복수의 유지 수단(26a, 26b, 26c, 26d)을 포함하며, 접지 커넥터(8) 및 신호 커넥터(10)가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6. 제25항에 있어서,
    - 제1 유지 장치(25)는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중앙 몸체(27)를 포함하며, 각각의 전면 및 후면 상에는,
    a) 중앙 몸체(27)로부터 돌출되고, 하나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개구에서 튀어나오며, 하나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개구에서 튀어나옴에 따라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른 변위를 방지하는, 잠금 핀의 형태인 유지 수단(25a, 25b)이 배치되고; 및/또는
    b) 중심 몸체(27)로부터 접지 커넥터(4) 및 신호 커넥터(6)의 방향으로 이격되며 돌출되며,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를 뒤에서 결합되게 함에 따라 접지 커넥터(4)와 신호 커넥터(6)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핑거의 형태인 복수의 유지 수단(25c, 25d)이 배치되고;

    - 제2 유지 장치(26)는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중앙 몸체(28)를 포함하며, 각각의 전면 및 후면 상에는,
    a) 중앙 몸체(28)로부터 돌출되고, 하나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개구에서 튀어나오며, 하나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개구에서 튀어나옴에 따라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른 변위를 방지하는, 잠금 핀의 형태인 유지 수단(26a, 26b)이 배치되고; 및/또는
    b) 중심 몸체(28)로부터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 및 신호 커넥터(10)의 방향으로 이격되며 돌출되며,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를 뒤에서 결합되게 함에 따라 접지 커넥터(8)와 신호 커넥터(1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핑거의 형태인 복수의 유지 수단(26c, 26d)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 제1 유지 장치(25) 및 제2 유지 장치(26)는 서로 연결되어 단일-부분 설계이며; 및/또는
    - 제1 유지 장치(25) 및 제2 유지 장치(26)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8.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재료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25)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장치는,
    a) 복수의 수용 슬롯에 의해 관통되는 중심 몸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홀더로, 접지 커넥터들(4, 8) 및 신호 커넥터들(6, 10)이 이들 수용 슬롯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거나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홀더는 접지 커넥터들(4, 8) 및/또는 신호 커넥터들(6, 10)의 적어도 부분 길이를 따라 변위 가능한, 슬라이딩 홀더로서; 또는
    b) 플라스틱 재료로 접지 커넥터들(4, 8) 및 신호 커넥터들(6, 10)을 오버몰딩함으로써 형성되는 오버몰딩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2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는 제1 고주파 신호의 신호 접지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접지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및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는 제2 고주파 신호의 신호 접지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접지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3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본체(15)는 인쇄 회로 기판 및/또는 반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3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전기 위상 중심과 기계적 중심은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의 다른 영역을 통과하며; 및/또는
    -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신호 커넥터들(6, 10)은 이들의 제2 단부(6b, 10b)에만 공급되고; 및/또는
    -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에는 접지 커넥터들(4, 8) 및/또는 신호 커넥터들(6, 10)의 제2 단부(4a, 6a, 8a, 10a)를 제외하고 납땜 지점 및/또는 케이블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3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는 제1 인쇄 회로 기판(50)의 다른 대향 측면에 도체 트랙(50a)으로서 형성되며;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제2 인쇄 회로 기판(51)의 다른 대향 측면에 도체 트랙(51a)으로서 형성되고;
    -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7)는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에 도체 트랙(52a, 52b)으로서 형성되며,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 및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에 납땜되거나 전자기적으로 결합되고;
    -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 및 다이폴 신호 날개부(11)는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제1 측면(52') 및/또는 제2 측면(52')에 도체 트랙(52c, 52d)으로서 형성되며,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 및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에 납땜되거나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33. 제32항에 있어서,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은 도금 쓰루-홀(53)을 포함하여서,
    a)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아래를 통과할 수 있으며,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도체 트랙(52d)은 다이폴 신호 날개부(7)의 도체 트랙(52b)과 유사하게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다른 측면(52', 52")에서 안내되거나; 또는
    b)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9)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할 수 있으며, 다이폴 접지 날개부(9)의 도체 트랙(52c)은 다이폴 신호 날개부(5)의 도체 트랙(52a)과 유사하게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다른 측면(52', 52")에서 안내되거나; 또는
    c)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가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 아래를 통과할 수 있으며,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도체 트랙(52a)은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도체 트랙(52d)과 유사하게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다른 측면(52', 52")에서 안내되거나; 또는
    d)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11)가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다이폴 접지 날개부(5) 아래를 통과할 수 있으며, 다이폴 신호 날개부(11)의 도체 트랙(52d)은 다이폴 접지 날개부(5)의 도체 트랙(52a)과 유사하게 제3 인쇄 회로 기판(52)의 다른 측면(52', 52")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3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 1b)을 갖는 안테나 장치로,
    - 적어도 하나의 본체(15)가 제공되며;
    -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a, 1b)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에 배치되고;
    -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는 제1 연결부(31)를 통해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며;
    -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는 제2 연결부(32)를 통해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의 제2 단부(10b)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 제1 고주파 신호는 제1 연결부(31) 내외부로 결합되거나 또는 제1 연결부(31) 내외부로 결합 가능하며;
    - 제2 고주파 신호는 제2 연결부(32) 내외부로 결합되거나 또는 제2 연결부(32) 내외부로 결합 가능하며;
    - 제1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 1b)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접지 커넥터(4)의 제2 단부(4b)는 제1 고주파 신호의 신호 접지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접지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되고;
    - 제1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 1b)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접지 커넥터(8)의 제2 단부(8b)는 제2 고주파 신호의 신호 접지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5)의 접지부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는 이들의 제1 연결부(31)와 함께 공통의 구부러진 부분 및/또는 스탬핑된 부분 및/또는 레이저 부분 및/또는 각진 부분으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형성되며; 및/또는
    -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부재(3)의 신호 커넥터(10)는 이들의 제2 연결부(32)와 함께 공통의 구부러진 부분 및/또는 스탬핑된 부분 및/또는 레이저 부분 및/또는 각진 부분으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들(4, 8) 및 제2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b)의 2개의 다이폴 안테나 부재(2, 3)의 접지 커넥터(4, 8)들은 제3 연결부(33)를 통해 서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연결부(33)와 함께 공통의 구부러진 부분 및/또는 스탬핑된 부분 및/또는 레이저 부분 및/또는 각진 부분으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7.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을 갖는 안테나 장치(30)로,
    - 적어도 하나의 본체(15)가 제공되며;
    - 적어도 하나의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은 적어도 하나의 본체(15) 상에 배치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는 제1 연결부(31)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31)를 통해 제1 고주파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1, 1a)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부재(2)의 신호 커넥터(6)의 제2 단부(6b) 내외부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 컬럼(60) 및 로우(61)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본체(15)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추가 교차 다이폴(1)이 제공되며;
    - 복수의 교차 다이폴(1)은 각각의 컬럼(60)에 배치되고;
    - 컬럼 및 로우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본체(15)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다른 교차 다이폴(62)이 추가로 제공되며;
    - 추가 교차 다이폴(1)은 다른 교차 다이폴(62)보다 작고;
    - 동일한 컬럼(60)에서 2개의 인접한 추가 교차 다이폴(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컬럼에서 2개의 인접한 다른 교차 다이폴(62)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며;
    - 추가 교차 다이폴(1)은 제1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고; 및
    다른 교차 다이폴(1)은 제2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며, 제1 주파수 범위는 제2 주파수 범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추가 교차 다이폴(1)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교차 다이폴(6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와 관련하여 45°만큼 오프셋되며; 및/또는
    - 다른 교차 다이폴(62)의 다이폴 신호 날개부(7, 11) 및 다이폴 접지 날개부(5, 9)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교차 다이폴(1)의 2개의 컬럼(61) 사이 그리고 2개의 로우(62) 사이의 공간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207000625A 2017-06-09 2018-06-08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이러한 2개의 이중 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 KR20200013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2811 2017-06-09
DE102017112811.5 2017-06-09
DE102017116920.2A DE102017116920A1 (de) 2017-06-09 2017-07-26 Dual-polarisierter Kreuzdipol und Antennenanordnung mit zwei solchen dual-polarisierten Kreuzdipolen
DE102017116920.2 2017-07-26
PCT/EP2018/065207 WO2018224666A1 (de) 2017-06-09 2018-06-08 Dual-polarisierter kreuzdipol und antennenanordnung mit zwei solchen dual-polarisierten kreuzdipo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770A true KR20200013770A (ko) 2020-02-07

Family

ID=6433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625A KR20200013770A (ko) 2017-06-09 2018-06-08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이러한 2개의 이중 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7905B2 (ko)
EP (1) EP3635814B1 (ko)
KR (1) KR20200013770A (ko)
CN (1) CN110870134B (ko)
DE (1) DE102017116920A1 (ko)
WO (1) WO2018224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3645B (zh) * 2017-07-07 2021-11-23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超宽带宽低频带辐射元件
DE102018120612A1 (de) 2018-02-23 2019-08-29 Kathrein Se Multibandantennenanordnung für Mobilfunkanwendungen
DE102019108901A1 (de) 2019-03-22 2020-09-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enanordnung für Mobilfunksysteme mit zumindest einem dual-polarisierten Kreuzdipol
EP3949013A2 (en) * 2019-03-26 2022-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rasera antenna radiator (far) for 5g array antennas
FI130874B1 (fi) * 2019-05-07 2024-05-02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Antennielementti ja antennijärjestelmä langattomaan tiedonsiirtoon
WO2021000176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天线振子
KR20210158218A (ko) * 2020-06-23 202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구조
US11329385B2 (en) * 2020-08-07 2022-05-10 Nokia Shanghai Bell Co., Ltd. Tripod radiating element
US11936119B2 (en) * 2021-01-29 2024-03-19 KYOCERA AVX Components (San Diego), Inc. Isolated magnetic dipole antennas having angled edges for improved tuning
US11962102B2 (en) 2021-06-17 2024-04-16 Neptune Technology Group Inc. Multi-band stamped sheet metal antenna
WO2023117096A1 (en) 2021-12-22 2023-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with dual polarized radiators
WO2023117097A1 (en) 2021-12-22 2023-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and cell site
WO2024030810A1 (en) * 2022-08-05 2024-02-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Low-cost ultra-wideband cross-dipole radiating elements and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arrays of such radiat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8809B4 (de) * 1994-10-31 2004-11-04 Rohde & Schwarz Gmbh & Co. Kg Dipolspeiseanordnung
DE19627015C2 (de) 1996-07-04 2000-07-13 Kathrein Werke Kg Antennenfeld
DE19722742C2 (de) 1997-05-30 2002-07-18 Kathrein Werke Kg Dualpolarisierte Antennenanordnung
US6072439A (en) * 1998-01-15 2000-06-06 Andrew Corporation Base station antenna for dual polarization
JP3725415B2 (ja) * 2000-10-19 2005-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装置
US6597324B2 (en) * 2001-05-03 2003-07-22 Radiovector U.S.A. Llc Single piece element for a dual polarized antenna
KR100563118B1 (ko) * 2003-08-21 2006-03-27 주식회사 굿텔 유전체 기판을 이용한 다이폴 안테나
US7616168B2 (en) * 2005-08-26 2009-11-10 Andrew Llc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of a crossed dipole pair dual polarized antenna
CN2879454Y (zh) * 2005-09-09 2007-03-14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双极化天线
DE202005015708U1 (de) * 2005-10-06 2005-12-29 Kathrein-Werke Kg Dual polarisierte Dipolstrahler
KR100826115B1 (ko) * 2006-09-26 2008-04-29 (주)에이스안테나 빔폭 편차를 개선시킨 절곡된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
WO2008148569A2 (en) * 2007-06-06 2008-12-11 Fractus, S.A.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 dual-band dual-polarized antenna assembly and dual-polarized antenna array
CN201112567Y (zh) * 2007-10-31 2008-09-10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宽频双极化天线阵子
FR2939569B1 (fr) * 2008-12-10 2011-08-26 Alcatel Lucent Element rayonnant a double polarisation pour antenne large bande.
US8558747B2 (en) * 2010-10-22 2013-10-15 Dielectric, Llc Broadband clover leaf dipole panel antenna
KR101711150B1 (ko) * 2011-01-31 2017-03-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편파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다중대역 안테나 시스템
CA2772517A1 (en) * 2011-03-25 2012-09-25 Pc-Tel, Inc. High isolation dual polarized dipole antenna elements and feed system
WO2012157796A1 (ko) * 2011-05-18 2012-11-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슬롯 커플 방식 방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US9966664B2 (en) * 2012-11-05 2018-05-08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 Ltd. Low band and high band dipole designs for triple band antenna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14132254A1 (en) * 2013-02-26 2014-09-04 Galtronics Corporation Ltd. Dual-polarized dipole antenna and cruciform coupling element therefore
CN103682678A (zh) 2013-12-03 2014-03-26 华南理工大学 具有y形馈电单元的双极化基站天线
DE102015007504B4 (de) * 2015-06-11 2019-03-28 Kathrein Se Dipolförmige Strahleranordnung
JP5885011B1 (ja) * 2015-08-20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機器
DE102015011426A1 (de) * 2015-09-01 2017-03-02 Kathrein-Werke Kg Dual-polarisierte Antenne
US20170085009A1 (en) 2015-09-18 2017-03-23 Paul Robert Watson Low-profile, broad-bandwidth, dual-polarization dipole radiating element
US10530068B2 (en) * 2017-07-18 2020-01-07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Dual-linear-polarized, highly-isolated, crossed-dipole antenna and antenna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5814A1 (de) 2020-04-15
WO2018224666A1 (de) 2018-12-13
EP3635814B1 (de) 2024-03-27
US11217905B2 (en) 2022-01-04
CN110870134B (zh) 2021-09-28
CN110870134A (zh) 2020-03-06
US20200106195A1 (en) 2020-04-02
DE102017116920A1 (de)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770A (ko) 이중-편파 교차 다이폴 및 이러한 2개의 이중 편파 교차 다이폴을 갖는 안테나 장치
US10283832B1 (en) Cavity backed slot antenna with in-cavity resonators
KR101031052B1 (ko) 멀티밴드 안테나 컴포넌트
US7327317B2 (en) Dual-polarized microstrip patch antenna
US6677909B2 (en) Dual band slot antenna with single feed line
US7518554B2 (en) Antenna array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120146872A1 (en) Antenna radiating element
CN109314314B (zh) 阵列天线
WO2013150857A1 (ja)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これらのコネクタで構成される同軸コネクタ
CN107078382B (zh) 用于机动车辆的多结构宽带单极天线
US8593352B2 (en) Triple-band antenna with low profile
EP1994604A2 (en) Ultra wide band flat antenna
US8354963B2 (en) Low-profile three-dimensional antenna
EP1777782B1 (en) Impedance transformation type wide band antenna
KR100805028B1 (ko) 패치 안테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694253B (zh) 一种平衡微带线馈电的超宽带偶极天线
US20100066612A1 (en) Wideband antenna
US663618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tenna
CN210723363U (zh) 一种低耦合微带馈电超宽带陷波天线
US8610639B2 (en) Surface-independent body mount conformal antenna
KR200307069Y1 (ko) 굽힘 구조를 갖는 2중밴드 안테나
CN112952384A (zh) 天线组件和电子设备
KR100858969B1 (ko) 향상된 대역저지 특성을 갖는 보우타이형 광대역 모노폴안테나
CN110875518B (zh) 一种嵌套矩形和e型结构的8陷波超宽带天线结构
CN215418583U (zh) 微带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