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063A -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 Google Patents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063A
KR20200013063A KR1020207001974A KR20207001974A KR20200013063A KR 20200013063 A KR20200013063 A KR 20200013063A KR 1020207001974 A KR1020207001974 A KR 1020207001974A KR 20207001974 A KR20207001974 A KR 20207001974A KR 20200013063 A KR20200013063 A KR 20200013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sports
layer
wa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빈 존 크레이븐
Original Assignee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filed Critical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1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3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of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pellet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8Making granules by agglomerating smalle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29B2009/163Coating, i.e. applying a layer of liquid or solid material on the granu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기재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에 의해 제조되는 스포츠 경기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a) 플라스틱 물질을 응집하는 단계; b) 응집된 상기 플라스틱 물질을 소정의 크기의 범위를 갖는 입자를 형성하도록 입자화하는 단계; c) 유동성(fluent)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입자를 바인딩 물질로 인 시츄(in situ) 코팅하는 단계; d) 스포츠 경기장(sports pitch) 부지 상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자가 서로 접하여, 공동이 있는(voided) 물 침투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도포 물질(laid material)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METHOD OF FORMING A SUBSTRATE FOR A SPORTS SURFACE OF A SPORTS PITCH, SUCH A SUBSTRATE AS WELL AS A SPROTS PITCH PROVIDED WITH SUCH SUBSTRATE}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재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에 관한 것이다.
필드하키, 테니스, 미식 축구 등과 같은 많은 스포츠는 현재, 일반적으로 캐리어(carrier) 뿐만 아니라, 상기 캐리어에서 확장되는 인공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잔디(grass)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된다. 상기 캐리어는 완전한 경기장 설치를 위한 안정적인 하부 표면 기반 구조(subsurface base construction)를 형성하는 기재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인공 잔디 경기장 (ATP, artificial turf pitch) 구조물을 활용하는 스포츠의 예시로는:
축구
미식 축구
호주식 축구
게일릭 풋볼(Gaelic Football)/ 헐링(Hurling)(GAA)
럭비 유니온/리그
하키
크리켓 외야(Cricket outfields) 등이 있다.
스포츠 경기장뿐만 아니라, 전술된 기초적인 방법론은 인공 잔디가 사용될 수 있는 더 작은 다른 영역에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동장
조경/여가 영역
크리켓 투구장
볼 링크
테니스 코트
풋살 코트(Futsul court)
교육 복합용 영역(Education multiple use area)이 있다.
인조 잔디 시스템을 위한 종래의 기반 구조 방법론(base construction methodology)은 역사적으로 기존의 하부-기반을 굴착하고, 이어서 상기 하부-기반을 분급된 암석(graded rock)과 특별히 설계된 배수 시스템으로 대체하는 것을 기초로 했다.
종래 기반 구조 시스템의 사용 및 설계를 제한 및/또는 대체하기 위해 설계된 구조 방법론 및 시스템에 있어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상기 시스템은 주로 비용을 감소시키고, 착수 전(untaken)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환경 활동에 대한 인간의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재활용의 쟁점 및 실천은 더욱 대중화되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정부는 수명이 다한 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늘어난 실행에 대하여 입법화하고 있다. 이러한 실행은, 생활 폐기물의 도로변 재활용에서부터 환경 친화적(environmentally responsible)인 방식으로 재활용하거나 폐기 처분해야할 기업의 법적 의무와 할당량까지, 모든 사회 및 기업의 수준에서 나타난다. 이는 또한, 중요한 정치적 쟁점이 되고 있으며, 사고의 일반적인 경향은 종래의 매립 쓰레기뿐만 아니라, 폐기물, 탄소 배출량(carbon footprint)도 줄이는 것이다.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 및 개인 계약자는 재활용의 목적을 위해서, 매립지로부터 떨어져, 일부 물질을 우회하기 위하여 대형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수집, 분류 및 폐기물 원료로부터 중요 물질을 회수하는 역량을 증가시키는 산업적 공정의 방법을 개선 및 발전시키는 새로운 산업이 개발되었다. 재활용 산업의 가장 큰 부분 중 하나는 플라스틱의 재활용이다. 그러나, 이러한 회사들은 전환이 용이하고, 가장 높은 등급 및 재판매 값을 갖는 물질들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폐 플라스틱은 식별, 정렬, 분리, 정제 및 재활용하기 어려운 것들이 혼합되어(공동으로 섞여)있고, 따라서, 처리하기에 너무 비싸다. 더욱이, 이러한 물질들의 등급은 매우 낮고, 따라서 재판매 값을 거의 갖지 않으며, 그러므로, "수명이 다한(end of life)" 플라스틱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수명이 다한' 플라스틱 물질은 통상적으로 포장 재료, 성형품(moulded article), 제품, 프로파일, 시트, 코팅, 직물 또는 섬유의 형태이고, 일반적인 산업, 제조, 건축 및 생활 폐기물 등 내에서 발견된다. 이는 하기와 같이 광범위하게 설명될 수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으로부터 유래된 플라스틱 과립, 비즈(beads), 펠릿(pellet), 실버(sliver), 조각(flake), 칩(chip) 및 누들(noodle). 이러한 플라스틱의 유형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산업, 제조, 토지 운송, 항공, 농업, 원예, 식품 및 일반 포장, 건축 및 생활 폐기물에서 발견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s), 폴리스티렌 및 폴리우레탄의 군(family)에 제한되지 않지만, 플라스틱으로서 정의되는 모든 군의 폴리머를 포괄한다. 또한, 이러한 물질과 같은 원료는 매립지 및 해양으로부터 표류물과 해양 폐기물의 형태로 회수/수확된 물질로부터 재생된다.
재활용 인공 잔디 표면, 가정용 및 산업용 바닥재로부터 유래된 플라스틱 과립, 비즈, 펠릿, 실버, 조각 및 누들. 상기 플라스틱의 유형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PVC's, 폴리스티렌 및 폴리우레탄의 군을 포괄한다.
상기 물질은 "공급 원료(Feedstock)"로 언급되고, 이러한 물질의 대부분의 양이 이용 가능하다. 공급 원료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유형, 크기, 밀도, 색상이 임의로 혼합되어 포함되고; 특징 또는 본질 면에서 유연한, 경질의, 반경질의, 채워진 또는 확장된 형태이고, 박막(thin sheet), 필름, 섬유 등을 포함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 원료 물질이 보다 균일한 크기, 큰 밀도 및 부피를 갖는 입자의 결과로 나타나는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정은 조밀화(densification) 또는 응집(agglomeration)으로 알려진다.
조밀화 또는 응집은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에서 잘 알려진 공정이고, 상기 플라스틱을 미세한 조각으로 잘게 부수고, 이어서 이를 반 용융(semi molten) 상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마찰을 사용하는 기계에 공급한다. 상기 미세한 조각은 함께 결합하여 물질의 덩어리 및 밀도가 증가하면서, 상기 기계로 유입된다. 상기 기계에서 나오는 플라스틱 덩어리는 냉각되고, 부수어지고, 입자화 되거나, 혹은 그도 아니면 소정의 크기로 세분된다. 상기 조밀화 공정은 하나 이상의 체질(sieving)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유용한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여겨지는 입자가 자동적으로 조밀화 공정의 공급부(infeed)로 되돌아간다. 플라스틱 재활용 공정의 대부분에 있어서, 상기 가공(processor)의 목적은 상기 공정에 투입되는 상기 플라스틱 물질이 동일한 폴리머 종류이고, 상기 물질에 다른 폴리머가 전혀 없어야 하며, 완전히 깨끗한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최종 입자가 플라스틱 산업에서 판매에 적합한 것을 보장하는 많은 전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수집된 많은 폐 플라스틱이 더럽고 너무 혼합되어 있거나, 어떠한 상업적 가치로서 재-재활용되는 능력이 끝나서, 결과적으로 매립되거나 연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상기 응집 공정에서 사용된 플라스틱 물질(상기 공급 원료로 언급됨)은 플라스틱의 임의의 유형이 될 수 있고, 플라스틱이 아닌 일부 외부 물질(예를 들어, 목재, 종이, 섬유)의 존재가 중요치 않으며, 따라서, 전-처리의 양이 감소되고, 매립 또는 연소가 예정된 물질의 늘어난 양이 재사용된다.
본 발명은 a) 플라스틱 물질을 응집하는 단계; b) 응집된 상기 플라스틱 물질을 소정의 크기의 범위를 갖는 입자를 형성하도록 입자화하는 단계; c) 유동성(fluent)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입자를 바인딩 물질로 인 시츄(in situ) 코팅하는 단계; d) 스포츠 경기장(sports pitch) 부지 상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자가 서로 접하여, 공동이 있는(voided) 물 침투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도포 물질(laid material)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sports surface)용 안정적인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프로젝트의 경제적인 비용을 감소시키는 한편, 상기 기반 구조 요소의 탄소 배출량 및 환경적인 영향을 제한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하기 상세한 도면의 묘사와 함께 기재될 것이고, 여기서:
도 1은 기술 분야의 수준에 따라서, 통상적이고, 공지된 동적 기반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충격 패드 프로파일을 갖는 통상적이고, 공지된 설계 기반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인-시츄형(in-situation) 충격 패드 프로파일을 갖는 또 다른 통상적이고, 공지된 설계 기반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예비-형성형(preformed) 충격 패드 프로파일을 갖는 또 다른 통상적이고, 공지된 설계 기반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시츄형 지반층(sub-grade course)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맷의 예비-형성형 지반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시츄형 지반층 및 기능층(performance course)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맷의 예비-형성형(pre-formed) 이중-밀도 기능층 및 지반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시츄형 합성층(composite course)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포맷의 예비-형성형 합성층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존의 재개발 기재(brown field substrate) 상부의 인-시츄형 지반층 및 기능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상기 응집 공정에서 사용된 플라스틱 물질(상기 공급 원료로 언급됨)은 플라스틱의 임의의 유형이 될 수 있고, 플라스틱이 아닌 일부 외부 물질(예를 들어, 목재, 종이, 섬유)의 존재가 중요치 않으며, 따라서, 전-처리의 양이 감소되고, 매립 또는 연소가 예정된 물질의 늘어난 양이 재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기 위해서, 상기 조밀화된 플라스틱 입자는 각 입자의 가장 큰 크기 평면의, (x) 및 그에 수직적인 (y 및 z)가 가장 큰 크기 평면의 적어도 30% 내지 100%의 비가 되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초석(cornerstone)은 상기 공급 원료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는 이어서 입자로 응집되고, 이어서 상기 배경 기술 영역에 기재된 응용 분야에 있어서, 기반 구조 프로파일의 건설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초는, 기준점 로딩(base point loading), 압축 강도, 내장 다공성(in-built porosity) 및 제어/관리된 배수 시설, 및 내장 충격 흡수성을 갖는 인-시츄형(in-situation) 또는 예비-형성형(pre-formed) 모듈 중 하나의 옵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창출하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프로젝트의 경제적인 비용을 감소시키는 한편, 상기 기반 구조 요소의 탄소 배출량 및 환경적인 영향을 제한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시스템은 필요한 굴착 깊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영역(site)으로부터 제거된 페기물(spoil)의 양을 감소시킬 것이다(기존의 지리적 조건에 의존함). 비록 종래의 기반 프로파일의 특정 측면이 여전히 필요하지만, 상기 기반 프로파일을 건설하기 위해 필요한 암석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될 것이다. 지오텍스타일 막(geo-textile membrane) 및 비통기성 캡핑층(non-porous capping layer)은 여전히 필요할 것이다.
기존의 지리적 조건에 대하여 조절(balanced)된 바람직한 특성을 얻고, 건설의 환경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국 구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함께 결합된 응집 물질로서, 상기 입자를 사용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재층을 제공한다.
바인딩 물질(binding material)은 폴리우레탄, 아스팔트(Bitumen), 또는 폴리올레핀 치환체(Polyofin displacement)일 수 있고, 응용 분야 및 필요한 특성에 따른 비율로 상기 입자와 혼합(가열 또는 냉각)된다. 이러한 바인더는 내열성(thermal stability), 내수성(hydrolytic stability)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물에 함침되거나, 습도 및 온도가 변하는 환경에 노출되어도 특성에 현저한 변화가 없다. 그러므로, 상기 바람직한 구조적인 일체성(integrity) 및 물리적 특성은 고정시(on standing) 및 사용시 유지된다.
상기 입자는 느슨한 입자 형태이고, 응용 분야 및 필요한 특성에 따라서 0.5㎜ 내지 20㎜ 범위의 입자 크기가 요구된다. 상기 비율 또는 입자 크기의 범위는 필요한 특성에 따라서 조정된다. 상기 바인딩 물질이 상기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수식을 사용하여 여기에 추가된다. 상기 바인더의 비율은 8 중량% 내지 3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은 입자 및 바인더의 비율(proportion)을 사용하여 다공성 투과 형태로 제조되고, 이로써 충분한 공동(void) 또는 틈새 공간이 상기 입자 사이에 남는다. 상기 공동(void)의 공간은 양에 있어서, 예를 들어, 15% 내지 60%의 부피로 사용되는 미립자(particulate)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void)의 공간은 수직 및 수평, 모든 방향으로 배수되도록 하므로 이로울 것이다.
공동(void)의 공간은 또한, 물의 저장 또는 감쇠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당히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이고, 공지된 동적 기반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Turf surface)
2. 느슨한 암석 바인딩 (Loose stone binding)
3. 분급된 암석 하부-기반 (Grade rock sub-base)
4. 비통기성 캡핑층 (Non-porous capping layer)
5. 자연 토양 (Natural soils)
6. 필드 배수관 (Field water drains)
종래 기술 수준에 따라서, ATP를 건설할 때, 많은 프로젝트는 '풀 빌드(full build)'로서 언급되고, 미개간지(virgin site)에 건설되는 뉴-빌드 경기장으로 정의되며, 안정적인 지반(sub-grade), 배수 시스템, 통기성 기반, 선택적인 충격 흡수층 및 마지막으로, 인공 잔디 표면의 건설을 포함한다.
상기 건설 공정의 개시는 존재하는 하부-토양(5)의 소정의 깊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 깊이는 특정 부지(site)의 조건을 측정하고, 분류하는 지리적 조사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조건은 기존의 지반, 및 지역 배수 시설, 강우량 및 일반적인 지역 요소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 데이터로부터 굴착의 깊이 및 기반 구조의 프로파일이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깊이 및 제거된 폐석(spoil)(5)의 부피는 상당히 넓은 범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평균 0.5 미터 깊이의 제거가 수행된다. 또한, ATP의 평균 크기는 6000 평방 미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6000㎡ 경기장의 건설에 있어서, 제거될 폐석의 양은 3000㎥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모든 폐석은 매립지로 수송되고, 이러한 이유로 수송, 매립 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 영향을 준다.
상기 하부-토양 기반으로부터 새로운 기반 구조로의 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의 캡핑층(4) 및 특별하게 분급된 암석/분진(3)이 상기 새로운 기반의 주요 몸체가 건설되기 전에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캡핑층(4)의 최상부 위에 배수 시스템(6)이 설치되고, 이는 상기 상부 암석 하부-기반을 통하여 아래로 침투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드 패턴의 배수 파이프로써 설계된다. 상기 파이프는 물을 경기 영역(playing area)에서 제거하여, 고리 모양의 메인 육지 배수구(drain) 또는 이와 유사한 배수 조절 시스템으로 이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물이 상기 잔디 시스템 기능의 일부 또는 더운 날씨 동안의 냉각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저장 시설로 배관되고, 상기 경기장 상으로 다시 재순환된다.
상기 굴착된 영역 (캡핑층(4)과 함께)은 이제, 특별하게 분급된 암석(2 및 3)의 층으로 채워질 필요가 있고, 이는 상기 경기 표면(1)에 설치되는 안정적이고, 자유로운 배수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다. 상기 암석은 공급되어, 특정 사양으로 분급되어야 하며, 이러한 암석은 부지로 수송되어, 채워지고, 다져지며, 밀집될 필요가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정확한 암석의 사양은 오직 특정 채석장에서만 가능할 수 있고, 결국 비용 및 환경적 영향을 추가할 수 있다.
대부분의 표준 ATP 시스템은 '동적(dynamic)' 또는 '설계(engineered)' 기반 구조 중 하나로 설계된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일부 국지적인 시장에서 적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는 몇몇의 변수가 있다.
동적 기반 (또한, 비-결합(un-bound) 기반으로 알려짐)은 느슨한 암석 구조(2)를 갖는 기반 프로파일을 통하여 정의되고, 밀집된 암석 바인딩 층을 차지한다. 상기 바인더 층은 미세하게 분급된 암석 분진으로 구성되고, 안정적이고 자유롭게 배수되도록 설계된다.
도 2는 충격 패드 프로파일을 갖는 통상적이고, 공지된 설계 기반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7. 아스팔트 도포층 (Asphalt wearing course)
8. 아스팔트 부하 지지층 (Asphalt load bearing layer)
3. 분급된 암석 하부-기반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6. 필드 배수관
비록, 설계 기반 (또한, 결합(bound) 기반으로 알려짐)이 도 1을 참조로 전술된 상기 느슨한 암석 구조(2)를 여전히 갖지만, 이는 상기 느슨한 바인딩 층으로 도포하는 대신에, 통상적으로 통기성 아스팔트의 두 층으로 도포되고, 참조부호 7 및 8로 나타난다.
제1층 또는 레벨링(levelling)/부하 지지층(8)은 역청(Bitumen)과 관련한 특정 균일 암석 등급으로 구성되고, 25 밀리미터(㎜)의 평균 깊이로 도포된다. 도포층(7)으로 알려진 제2층은 상기 제1 아스팔트 층(8) 상에 도포되고, 역청(Bitumen)과 관련한 더 미세하게 분급된 암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도포층을 설치함에 있어서, 완성된 표면이 평평하고, 릿지(ridge), 딥(dip) 및 범프(bump)가 없는 것을 보장하는 엄격한 허용 오차가 요구된다. 이 중요한 요소는 매우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작동되는 비싼 도포 기기를 요구하고, 기반 건설 전체에 있어서 상당한 비용을 차지한다. 나아가,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공정이다.
상기 상부 도포층(7)이 설치됨에 있어서, 수용할 수 있는 허용 오차를 벗어나 설치되고, 결과적으로 비싼 개선 작업이 요구되는 것은 흔한 현상이다. 이러한 작업은 상기 프로젝트에 예산을 벗어난 비용을 추가하고, 상기 프로젝트가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설치될 인공 잔디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서, 상기 완성된 기반 구조(7-8-3-4) 상에 충격 흡수층 (9 또는 10)(도 3 및 4에 나타남)을 요구할 수 있다. 매우 넓은 범위의 '충격 패드' 시스템이 이용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두 주요 카테고리로 나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시츄형(In-situation).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비-형성형(Pre-formed).
도 3은 인-시츄형 충격 패드를 갖는 통상적이고, 공지된 설계 기반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9. 인-시츄형 충격 패드
7. 아스팔트 도포층
8. 아스팔트 부하 지지층
3. 분급된 암석 하부-기반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6. 필드 배수관
도 3 구현예의 상기 인-시츄형 패드(9)는 상기 기반 구조 상에 직접적으로 기기에 의해 현장에서(on-site) 설치된 패드로서 정의된다. 대부분의 인-시츄형 패드는 상기 동적 또는 설계 기반 구조 상부에 직접적으로 도포되고, 폴리우레탄 바인더와 혼합된 고무 입자의 조합을 사용한다.
이러한 패드에 사용된 상기 고무 입자는 일반적으로 재활용된/분쇄된 자동차 및 트럭 타이어로부터 공급되고,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로 언급된다. 일부 시장에서는 자갈콩(pea gravel)이 상기 고무와 혼합되고, 다시 폴리우레탄 바인더와 결합된다. 상기 혼합물은 상기 충격 패드의 깊이 및 균등성(evenness)을 조절하는 특정 도포 기기에 의해 상기 기반 구조 상부에 도포된다.
상기 설치 형태의 이점은, 상기 패드(9)가 상기 기반 구조(7-8-3-4)에 부착되고, 그 결과로, 설치되는 동안 및 경기장의 경기 수명 모두 동안에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것이다. 상기 패드의 형태에는 이음매 또는 조인트가 없고, 따라서 실패에 대한 가능성을 제한한다.
상기 공정은 매우 특정화된 장치를 요구하고, 매우 숙력된 기술자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아스팔트 도포층(7)을 도포하는 것과 같이, 요구되는 허용 오차가 매우 엄격하고 종종 개선 작업이 요구된다.
도 4는 예비-형성형 충격 패드를 갖는 통상적이고, 공지된 설계 기반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10. 예비-형성형 충격 패드
7. 아스팔트 도포층
8. 아스팔트 부하 지지층
3. 분급된 암석 하부-기반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6. 필드 배수관
예비-형성형 충격 패드(10)는 당해 분야에서 특정화된 회사에 의하여, 작업 부지(work site)에서 떨어져 제조된 패드이다. 비록 상기 충격 패드(10)의 형태도 SBR 고무 및 폴리우레탄 바인더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나, 다른 예비-형성형 시스템이 더 더욱 광범위한 재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대안적인 시스템은 열린 및 닫힌 셀 발포체, 펠트, 3차원적인 랜덤 혹은 직조 매트릭스와 같은 다른 많은 충격 흡수 물질을 포함하고, 이 모두는 재활용된 물질 자체 중 하나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예비-형성형 제품이 조절된 공장 환경에서 만들어짐에 따라, 두께, 밀도 및 성능의 허용 오차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다양한 포맷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것은 롤(roll) 또는 패널(panel)이다. 이러한 롤 또는 패널(10)은 상기 작업 장소에 수송되고, 상기 기반 구조 상부에 일반적으로 잔디를 설치하는 작업자에 의해 다양한 기술로 설치된다. 특정화된 설치 장치가 거의 요구되지 않고, 상기 작업 기술 수준이 감소된다. 상기 제품이 조절된 환경 하에서 제조됨에 따라, 상기 엄격한 허용 오차 기준을, 제한된 필요 개선 작업과 함께, 만족하기 더 쉬워진다.
그러나, 이러한 패드 유형의 단점은 제조 장소에서 상기 작업 부지로 운송하는 추가 비용이 드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패드의 포맷은 상당히 큰 경향이 있고, 결국 얼마나 많은 평방 미터를 컨테이너 또는 트럭이 적재할 수 있을지 제한이 있다.
더욱이, 예비-형성형 패드(10)는 치수 불안정 및 잔디가 설치되는 동안과 상기 경기장의 운동 수명 동안의 이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설치되는 동안에 조인트 또는 이음매(10a)에 있어서 실패에 대한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상기 기반/하부-기반(7-8-3-4)에 있어서 임의의 작은 기복은 상기 예비-형성형 층(10)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마스크된' 또는 평탄화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예비-형성형 충격 패드(10)(도 4)의 이용은, 인-시츄형 패드(9)(도 3)와 비교할 때, 더 비싼 시스템이다.
전술된 상기 기반 구조 프로파일 및 방법론은 상기 프로젝트 전체 비용의 약 40~50%를 차지하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표면 사용의 요구 및 스포츠/스포츠 운영 단체(sports governing body)에 의해 지정된 바이오-기계적 요구에 기인하여, 인조 잔디 아래에 상기 충격 패드의 사용은 더욱 보편화되고 있고, 특히, 축구, 미식 축구, 럭비, 호주식 축구 및 게일릭 풋볼에 관하여 증가하는 시장 규모에 있어서 그러하다.
충격 패드의 대부분의 형태는 상기 스포츠/특정 스포츠에 대한 바이오-기계적 성능에 있어서, 만족스러운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으나, 이는 종종 다른 스포츠에 대한 성능의 요구 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진정한 '크로스 코드(cross code)', 즉 복수의 용도 표면인 잔디 시스템을 설계하는 능력이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가장 높은 축구 성능 기준을 준수하는 표면은 최고 수준의 호주식 축구 표면에 있어서 요구되는 성능 특성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하기에 가능한 입자의 비율, 입자 크기 범위 및 바인더의 중량에 의한 함량을 응용분야에 기초한 실시예로서 나타낸다.
실시예 1
0.5㎜ 내지 5㎜ 크기의 입자 및 입자의 10 중량% 함량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는 바이오-기계적 수치값에 있어서, 향상된 특성을 나타내지만, 일반(civil) 설계 수치값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비율은 근본적인 지질이 기존 하부-토양/지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안정적인 영역, 또는 기존의 ATP가 보수되어, 이러한 이유로 암석 기반 층이 미리 존재하는 영역에 적합하다.
상기 층은 충격 흡수성, 및 여전히 물 관리의 특성과 점(point) 및 수평(spread) 부하와 같은 일부 일반 설계 수치값을 제공하는 안정적 수치값(safty value)을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층의 깊이에 따라, 기반 구조 깊이에 있어서 약간의 감소를 허용한다.
실시예 2
5㎜ 내지 10㎜ 크기의 입자 및 입자의 15 중량% 함량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는 바이오-기계적 수치값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것이고, 일반 설계 수치값에 대해서도 우수한 수치값을 나타낼 것이다. 우수한 물(water) 관리 특성을 제공하는 동안 필요한 특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비율은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상기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층의 깊이에 따라, 기반 구조 깊이에 있어서, 상당한 감소를 허용한다.
실시예 3
10㎜ 내지 20㎜ 크기의 입자 및 입자의 20 중량% 함량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구조는 바이오-기계적 수치값에 있어서 감소된 특성을 가져올 것이나, 일반 설계 수치값은 향상시켰다. 이러한 응용은 근본적인 지리(geo-graphical)가 불안정하거나, 최종 용도(the end use)의 수요가 점 부하에 있어서 높은 일반 수치값을 요구하는 영역에 적합하다. 상기 층은 여전히 물 관리의 특성을 제공하는 소정의 충격 흡수 수치값, 및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층의 물 저장에 대한 향상된 능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조의 내구력(strength)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기반 구조의 깊이를 감소시킨다.
상기 열거된 실시예는 소프트(soft), 미디움(medium), 하드(hard) 구조를 나타내지만, 0.5~20㎜ 범위에 걸친 입자들의 입자 크기, 및 바인더 함량의 비율, 및 상기 층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이 설계하고 공식화하는 능력을 제공하고, 기술자(tailor)가 모든 응용분야 및 환경에 대한 해결책을 만든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층은 비-플라스틱 물질, 예를 들어, 고무 입자, 재활용 유리 조각, 암석 조각, 용암석(lava stone) 및 자갈콩을 포함함으로써 이로울 수 있다. 이러한 포함은 스포츠 성능의 값 또는 일반 설계 값에 있어서 추가되는 값을 부여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상기 운동 표면의 설계 및 요구사항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단일층 중 어느 하나이고, 표준 '동적' 기반 구조 프로파일을 대체할 ㅅ수 있다. 상기 층은 이제 '지반층'로 언급된다.
상기 시스템이 충격 패드를 요구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어서 제2층(본 명세서에서 '기능층'로 언급됨)이 상기 지반층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응용분야는 지반층 및 기능층에 대하여, 필요한 값을 제공하는 합성 단일층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반층는 부하 지지 및 배수층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고, 대부분의 굴착 깊이 및 표준 구조 프로파일에서 요구되는 암석의 실질적인 부피를 대체한다. 상기 층의 두께는 근본적인 지리적 조건에 따라서 10㎜ 내지 10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층은 필요한 성능에 따라 계산된 입자 크기 비율의 입자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한편, 파라미터가 기존의 지리적 및 배수 조건, 점 부하(point loading) 및 안정성 요구 사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기 층의 본성이 수평적으로 및 수직적으로 자유로운 물의 흐름을 허용하고, 따라서 표준 필드 배수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
필요하다면, 기반 프로파일링(profiling) 및 설계는 상기 지반층 내부에 물이 보유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물의 보유의 이점은 이중 이점을 가진다; 첫째로, 작은 인공 대수층(aquifer)을 형성하고, 이로써 물이 보유되고, 물 완전-인조의(water fully-synthetic)(물-기초의) 하키 경기장으로 재-순환되도록 한다. 둘째로, 충전(infill) 시스템을 갖는 경기장에 있어서, 상기 운동 표면 상부의 작은 대수층으로부터 물이 재순환됨으로써, 또는 상기 지반층(sub-grade layer) 위로부터 상기 충전 물질에 물을 보유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운동 표면을 냉각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지반층 설치의 두 가지 방법은:
1.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층(전술된 인-시츄형 방법)의 직접적 설치, 및
2.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층(전술된 미리 형성되는 방법)의 간접적 설치일 수 있다.
도 5는 인-시츄형 지반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11. 인-시츄형 지반층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상기 물질은 소정의 비율로 함께 혼합되고, 바인딩 용액이 추가되어 상기 물질과 함께 혼합된다. 결과적인 혼합물은 아스팔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기기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캡핑층(4) 상부에 도포된다. 한편, 정확한 수준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기술 수준 및 용이성(smoothness)은 여전히 중요하며, 이는 새롭고 특별한 요구사항 또는 숙련이 없는 기존의 기술이다.
도 6은 예비-형성형 패널 포맷의 지반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11. 인터-락킹(inter-locking) 프로파일을 갖는 패널 포맷의 예비-형성형 지반층.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상기 지반층(11)는 패널 포맷으로 별도의 장소(off-site)에서 제조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캡핑층(4) 위에 설치된다. 상기 물질은 소정의 비율로 함께 혼합되고, 바인딩 용액이 추가되어 상기 물질과 함께 혼합된다. 결과적인 혼합물이 압출, 또는 몰드되거나(moulded), 덩어리로 형성될 수 있고, 얇게 잘리거나, 아니면 상기 패널(11)이 현장에서 설치되는 동안 가까이 맞춰지거나, 함께 끼워지도록 하는 인터-락킹 계면(11a-11b)을 갖는 개별적인 패널, 보드 또는 타일(11)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이동(delivery) 방법의 이점은 상기 층(11)의 일관성이 엄격한 제조 조건 하에서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패널(11)의 설계는 또한, 특정 장치를 요구하지 않고, 모든 날씨 조건에서 빠르고, 쉽게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 다른 개선 사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능층(12)(도 7 및 8)이 전체 구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12)은 추가적인 점 부하를 갖는 안정적인 충격 흡수층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아스팔트 도포층(wearing asphalt course) 및 인-시츄형 또는 예비-형성형 충격 패드를 대체한다. 상기 층(12)의 두께는, 필요한 충격 흡수 특징에 따라서, 5㎜ 내지 10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층은 하나 이상의 전술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필요한 성능에 따라서 계산된다. 상기 층(12)은 통기성이고, 전술된 지반층와 동일한 물 조절 및 관리의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지반층(12) 설치의 두 가지 방법은:
1.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반층 상부에 상기 기능층의 직접적 설치(전술된 인-시츄형 방법)
2.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반층 상부에 상기 기능층의 간접적 설치(전술된 예비-형성형 방법)일 수 있다.
도 7은 인-시츄형 지반층 및 기능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12. 인-시츄형 기능층
11. 인-시츄형 지반층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상기 물질은 상기 소정의 비율로 함께 혼합되고, 바인딩 용액이 추가되어 상기 물질과 함께 혼합된다. 결과적인 혼합물(12)이 아스팔트와 같은 방식으로, 동일한 기기를 활용하여 상기 지반층(11) 상부에 직접적으로 도포된다. 상기 기능층(12)의 바인더는 상기 지반층(11)의 경화된 바인더와 반응하여, 두 층(11 및 12)이 서로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한편, 정확한 수준 및 용이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기술 수준은 여전히 중요하고, 이는 새로운 특정 요구사항 또는 숙련이 없는 기존의 기술이다.
도 8은 예비-형성형 이중-밀도 기능층(12) 및 패널 포맷의 지반층(11) 구조 프로파일(2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20. 인터-락킹 프로파일을 갖는 이중 밀도 패널 포맷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상기 지반층(11)이 별도의 장소에서 제조(도 6을 참조로 전술됨)된 것과 같이, 상기 개별적인 패널(11 및 12)이 '이중 밀도' 패널(20)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반층(11)용 물질이 여전히 소정의 비율로 함께 혼합되고, 바인딩 용액이 추가되어 상기 물질과 함께 혼합된다. 결과적인 혼합물이 이전과 같이 패널(11) 내부로 압출 또는 몰드된다. 그러나, 상기 기능층(12)용 물질이 여전히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고, 바인딩 용액이 추가되어 상기 물질과 함께 혼합되는 두번째 단계가 있다. 상기 물질은 이어서, 상기 동일한 패널(20) 내부의 구분되는 두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지반층 또는 층(11)의 최상부에 압출 또는 몰드된다.
상기 패널은 이제 두 층(11 및 12)의 필요한 특성을 모두 갖게 된다. 상기 패널은 인터-락킹 '수형(male)' 또는 '암형(female)' 프로파일(20a-20b)을 갖도록 설계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개별적인 패널(20)이 현장에 설치되는 동안 서로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delivery) 방법의 이점은 상기 층(20)의 일관성이 엄격한 제조 조건 하에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패널(20)의 설계는 또한, 특정 장치를 요구하지 않고, 모든 날씨에서 빠르고, 쉽게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지리(geological) 및 스포츠 경기의 사양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합성ㅊ츠층(composite grade)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합성층은 하나의 층(13)이고, 상기 지반층/층(11) 및 기능층/층(12)의 성능을 모두 제공한다. 상기 성능은 상기 물질의 선택 및 상기 물질의 혼합 비율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상기 층(13)은 전술된 인-시츄형 또는(of) 예비-형성형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층의 두께는 필요한 특징에 따라서, 5㎜ 내지 10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층(13)은 통기성이고, 전술된 다른 방법과 같이 동일한 물 조절 및 관리의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합성층의 두 가지 설치 방법은:
1.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층의 직접적 설치(전술된 인-시츄형 방법);
2.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층의 간접적 설치(전술된 예비-형성형 방법)일 수 있다.
도 9는 인-시츄형 합성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을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13. 인-시츄형 합성층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상기 물질은 소정의 비율로 함께 혼합되고, 바인딩 용액이 추가되어 상기 물질과 함께 혼합된다. 결과적인 혼합물(13)이 아스팔트와 같은 방식으로 동일한 기기를 활용하여, 상기 캡핑층(4) 상부에 직접적으로 도포된다.
한편, 정확한 수준 및 용이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기술 수준은 여전히 중요하고, 이는 새로운 특정 요구 사항 또는 숙련이 없는 기존의 기술이다.
도 10은 패널 포맷의 예비 형성형 합성층 구조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13. 인터-락킹 프로파일을 갖는 패널 포맷의 예비-형성형 합성층
4. 비통기성 캡핑층
5. 자연 토양
상기 합성층(13)은 별도의 장소에서 패널(13')로 제조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캡핑층(4) 상에 설치된다. 상기 물질은 소정의 비율로 함께 혼합되고, 바인딩 용액이 추가되어, 상기 물질과 함께 혼합된다. 결과적인 혼합물이 인터-락킹 '남성용' 및 '여성용' 프로파일(13a-13b)을 갖도록 설계된 패널(13') 내부로 압출 또는 몰드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패널(13')이 설치되는 동안에 서로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 방법의 이점은 상기 층(13)의 일관성이 엄격한 제조 조건 하에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패널(13)의 설계는 또한, 특정 장치를 요구하지 않고, 모든 날씨 조건 하에서 빠르고, 쉽게 설치되도록 한다.
도 11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재개발(brown field)' 지역 상에 ATP를 건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개발 지역은 이전에 일부 다른 목적, 예를 들어, 오래된 매립지, 미사용된 산업 현장, 교육 및 주거 지역 등으로 사용되었던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영역들이 농업 및/또는 천연 토지 외에, 이전의 사용이 없었던 영역으로 정의되는 '그린 필드(green field)' 영역과는 구별되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1은 기존의 재개발 기재(4-5) 상의 인-시츄형 지반층 및 기능층 구조 프로파일(14)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잔디 표면
14. 고정 연석(Retaining curb stone)
13. 인-시츄형 또는 예비 형성형 지반층
4. 비통기성 캡핑층
5. 기존 재개발 하부 기재
그린 필드 영역의 보존은 국가 및 지역 정부가 최우선으로 하고 있고, 쓸모 없어진 영역을 재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표준 ATP 기반 구조 프로파일이 시공 예정된 경기장의 수준에 못 미치는 기존 기재의 굴착 및 제거를 요구함에 따라, 재개발 지역에 관한 문제를 일으킨다(지역 조건 등에 의존함). 만약,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영역이 철거된 산업 단지라면, 콘크리트 및 기반(foundation)이 여전히 내장되어 있을 것이다. 보통, 이는 완전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제거를 요구할 것이다. 상기 제안된 주요한 시스템은 상기 경기장이 기존의 지면 상에, 어떠한 제거 없이 건설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술된 상기 구조, 기반 프로파일 및 상기 설치 방법 (인-시츄형 및 예비-형성형)은 동일하게 유지되고, 상기 캡핑층(4)이 상기 기존의 지면(ground)(5) 상에 형성된다. 상기 시스템의 구성(composition) 및 두께는 건설되고 있는 표면의 유형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콘크리트 또는 파편(rubble)층 상의 건설은 이미 많은 양의 부하 지지력(load bearing) 및 수평적 역량(spread capacity)을 가질 것이며, 따라서 상기 층의 구조(design)가 충격 흡수 및 배수에 집중하여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된 기재가 기술됨에 따라서, 그린 필드 스포츠 영역 상의 굴착의 양을 감소시키고, 콘크리트 바닥, 재개발 지역과 같은 기존의 평평한 기재를 부수는 필요성을 피하는 중요한 기회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는 입자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안정적이고 실질적으로 비압축성(incompressible)이며, 물이 침투 가능하거나, 물을 보유하는 기재를 형성하기 위해 바인더로 코팅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합한 물질이 "수명이 다한" 플라스틱 물질인 것으로 밝혀졌고, 이들은 그 화학 물질로 인하여, 이미 재활용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더럽거나, 아니면 분류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 공정에 의해 더 이상 재활용할 수 없는 플라스틱 물질이다. 환경적인 이점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이 더 이상 매립 또는 소각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상기 물질은 또한, 미래의 재사용, 재가공 또는 재활용을 위해 보존된다.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반이 예비-형성 부분(preform part)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는, 적절한 층을 기존의 도포용 기계(pavement paver)를 사용하여 인 시츄로(in situ) 형성함으로써 특히 유리하게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상기 물질에 오직 그레이더(grader) 또는 스크래퍼 바(scraper bar)의 압력만 있고, 본질적으로 어떠한 압밀 작용(compaction)이 없이 자가 평탄화 물질(self levelling material)의 2½ 미터 폭의 층으로 도포된다. 이는 상기 시스템이 기존의 기술(existing technology and existing skills)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분야의 업무(local practice)에 관련한 용도의 범위에 대하여 용이하게 개방되어 있고, 도포된 표면 상부의 작은 기복(undulation)을 평평하게 할 것이다.
압밀 작용의 부재는 상기 입자 물질이 다른 입자 물질에 상기 물질을 통하여 공동(void)의 패턴을 형성하면서 접하도록 부착되어, 물에 대해 투과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이것이 비투과성 표면 상에 도포된다면, 형성된 상기 물질의 본성은 측면 모세관 현상으로 하여금, 물이 상기 기재의 측면 경계를 통하여 나오게 할 것이고, 때때로 상기 기재 위치 아래에 형성되는 배수 시설을 필요하지 않게 한다. 이는 또한, 상기 기재가 배수 시설의 그레이딩(grading) 없이 평평하게 펼쳐지는 것을 의미하고, 대부분 기존의 배열 내에서 발생한다.
상기 바인딩 물질은 폴리우레탄, 역청(Bitumen) 또는 폴리올레핀 치환체일 수 있고, 상기 기재의 8 내지 2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자는 우수한 공동(void)의 패턴을 제공하기 위한 크기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0)

  1. a) 플라스틱 물질을 응집하여, 응집된 상기 플라스틱 물질을 소정의 크기의 범위를 갖는 입자를 형성하도록 입자화하는 단계;
    b) 유동성(fluent)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입자를 바인딩 물질로 인 시츄(in situ) 코팅하는 단계;
    c) 스포츠 경기장(sports pitch) 부지 상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입자가 서로 접하여, 15% 내지 60% 부피의 공동(void)의 공간을 갖고 물 침투 가능하며 비압축성(incompressible)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도포 물질(laid material)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조 상에 캐리어(carrier)로부터 연장되는 인공 잔디 섬유를 갖는 상기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 경기장을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재활용 인공 잔디 표면으로부터 유래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0.5~20mm의 크기를 갖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물질의 비율은 상기 입자의 8중량% 내지 30중량% 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0.5~5mm의 크기를 갖고, 상기 바인딩 물질의 비율은 상기 입자의 10중량% 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5~10mm의 크기를 갖고, 상기 바인딩 물질의 비율은 상기 입자의 15중량% 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10~20mm의 크기를 갖고, 상기 바인딩 물질의 비율은 상기 입자의 20중량% 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물질은 폴리우레탄, 역청(Bitumen), 또는 폴리올레핀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인접한 층(adjacent layers)에 형성되고, 인접하는 엣지(abutting edges)를 갖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물질이 상기 인접하는 엣지(abutting edges)에 부착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침투 가능하며 비압축성(incompressible)인 구조의 두께는 20㎜ 내지 100㎜ 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물 침투 가능하며 비압축성인 구조 위에 충격 흡수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흡수층 위에 인공 잔디 섬유를 갖는 상기 캐리어(carrier)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포츠 경기장(sports pitch) 부지 상에 비통기성 캡핑층(Non-porous capping layer)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캡핑층 상에 상기 유동성 물질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 침투 가능하며 비압축성인 구조를 통해 수평적으로 및 수직적으로 자유로운 물의 흐름에 의해 배수가 제공되며, 필드 배수가 요구되지 않는
    방법.
  15. 스포츠 경기장 부지 상에 형성된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는,
    a) 응집된 플라스틱 물질을 입자화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크기의 범위를 갖는 입자; 및
    b) 바인딩 물질로 코팅된 상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 및 상기 바인딩 물질을 혼합하여 얻은 재료는 상기 입자가 서로 접하여 15% 내지 60% 부피의 공동(void)의 공간을 갖고 물 침투 가능하며 비압축성(incompressible)인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스포츠 경기장은 캐리어(carrier)에서 연장되는 인공 잔디 섬유를 갖는 상기 기재 상에 위치된 상기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스포츠 경기장.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경기장(sports pitch) 부지는 비통기성 캡핑층(Non-porous capping layer) 및 상기 캡핑층 상에 형성된 상기 기재를 포함하는
    스포츠 경기장.
  17. 제15항에 있어서,
    인공 잔디 섬유를 갖는 상기 캐리어(carrier) 아래의 상기 스포츠 경기장
    부지 내에는 필드 배수가 제공되지 않는
    스포츠 경기장.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경기장은
    공동이 있는(voided) 상기 물 침투 가능하며 비압축성인 구조 위에 충격 흡수층 및 상기 충격 흡수층 위에 인공 잔디 섬유를 갖는 상기 캐리어(carrier)를 더 포함하는
    스포츠 경기장.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 침투 가능하며 비압축성(incompressible)인 구조의 두께는 20㎜ 내지 100㎜ 인
    스포츠 경기장.
  20. 물의 저장 또는 감쇠를 제공하기 위한 제19항에 따른 스포츠 경기장의 사용에 의해, 물은 상기 물 침투 가능한 구조의 공동의 공간(void space)에 저장되는
    스포츠 경기장.

KR1020207001974A 2011-04-05 2012-04-02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KR20200013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05755.1 2011-04-05
GB201105755A GB201105755D0 (en) 2011-04-05 2011-04-05 ATP base construction
PCT/NL2012/050217 WO2012138216A1 (en) 2011-04-05 2012-04-02 Method of forming a substrate for a sports surface of a sports pitch, such a substrate as well as a sports pitch provided with such substrat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9308A Division KR20140038961A (ko) 2011-04-05 2012-04-02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063A true KR20200013063A (ko) 2020-02-05

Family

ID=440719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9308A KR20140038961A (ko) 2011-04-05 2012-04-02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KR1020207001974A KR20200013063A (ko) 2011-04-05 2012-04-02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9308A KR20140038961A (ko) 2011-04-05 2012-04-02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9260823B2 (ko)
EP (1) EP2694739B1 (ko)
KR (2) KR20140038961A (ko)
CN (1) CN103547736A (ko)
AU (1) AU2012240649B2 (ko)
BR (1) BR112013025776A2 (ko)
CA (1) CA2832275C (ko)
DK (1) DK2694739T3 (ko)
ES (1) ES2712564T3 (ko)
GB (1) GB201105755D0 (ko)
RU (1) RU2013144964A (ko)
TR (1) TR201903760T4 (ko)
WO (1) WO2012138216A1 (ko)
ZA (1) ZA201308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9739B2 (en) 2013-04-18 2019-08-06 Viconic Sporting Llc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ssemblies of shock tiles
US10130089B2 (en) 2014-07-24 2018-11-20 Live Holdings LLC Fishing caddy system and method
WO2016099253A1 (en) 2014-12-19 2016-06-23 Ten Cate Thiolon B.V. Sports field construction
NL2014621B1 (en) 2015-04-13 2017-01-20 Ten Cate Thiolon Bv Modular Structure For Installing An Artificial Playing Field.
NL2014875B1 (en) * 2015-05-28 2017-01-31 Ten Cate Thiolon Bv Artificial Turf System.
US20170291389A1 (en) * 2016-04-07 2017-10-12 Kent Weisenberg Laminate Surface Covering Suited for Marine Environments
WO2018119206A1 (en) * 2016-12-22 2018-06-28 Viconic Sporting Llc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ssemblies of shock tiles
WO2019195299A1 (en) 2018-04-02 2019-10-10 Shaw Industries Group, Inc. Shock pad for synthetic turf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9082973A (zh) * 2018-09-18 2018-12-25 潘桢 一种曲丝草坪塑胶跑道制作方法
US11585102B2 (en) 2018-11-07 2023-02-21 Viconic Sporting Llc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payment system
US10982451B2 (en) 2018-11-07 2021-04-20 Viconic Sporting Llc Progressive stage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layment system
US20210388563A1 (en) * 2020-06-15 2021-12-16 Jason Warren Bell Geocell-Based Drainage Base for Synthetic Turf
DK3936297T3 (da) 2020-07-10 2022-11-14 Formaturf Gmbh Fremgangsmåde til bearbejdning af kunstgræ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2132A1 (de) * 1975-01-27 1976-07-29 Serge Dalimie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odenbelags
US5514722A (en) * 1994-08-12 1996-05-07 Presidential Sports Systems, Inc. Shock absorbingg underlayment for artificial playing surfaces
GB2294856A (en) * 1994-11-09 1996-05-15 J G Tex Co Ltd Underground drainage material for golf courses
FR2749594B1 (fr) * 1996-06-06 1998-08-14 Muller Rene Revetement de sol pour terrains de sports, forme avec des granules de plastiques et de gommes
AUPR998002A0 (en) * 2002-01-17 2002-02-07 Design Develop Commercialise Pty Ltd Modular plastic flooring
US7488525B2 (en) * 2005-10-14 2009-02-10 Sof' Solutions, Inc. Impact-attenuating, firm, stable, and slip-resistant surface system
DE602005012632D1 (de) * 2005-12-23 2009-03-19 Mondo Spa Kunstrasen und Verfahren für dessen Verlegung
CN201169737Y (zh) * 2007-09-27 2008-12-24 厦门开亦成科技有限公司 一种渗水跑道
US20100102468A1 (en) * 2008-10-27 2010-04-29 Hsin-Min Ch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vironment-friendly composite material
WO2010075098A1 (en) * 2008-12-15 2010-07-01 Textile Management Associates, Inc. Method of recycling synthetic turf and infill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2275C (en) 2020-05-05
US20160138227A1 (en) 2016-05-19
TR201903760T4 (tr) 2019-05-21
US20140287843A1 (en) 2014-09-25
NZ616446A (en) 2015-11-27
US9932713B2 (en) 2018-04-03
AU2012240649B2 (en) 2016-07-14
WO2012138216A1 (en) 2012-10-11
BR112013025776A2 (pt) 2016-12-20
ZA201308253B (en) 2014-08-27
EP2694739B1 (en) 2018-12-19
GB201105755D0 (en) 2011-05-18
ES2712564T3 (es) 2019-05-13
RU2013144964A (ru) 2015-05-10
EP2694739A1 (en) 2014-02-12
DK2694739T3 (en) 2019-03-11
CN103547736A (zh) 2014-01-29
KR20140038961A (ko) 2014-03-31
US9260823B2 (en) 2016-02-16
CA2832275A1 (en) 2012-10-11
AU2012240649A1 (en)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2713B2 (en) Method of forming a substrate for a sports surface of a sports pitch, such a substrate as well as a sports pitch provided with such substrate
US9790645B2 (en) Structural underlayment support system and panel for use with paving and flooring elements
CN1981090A (zh) 透水的地面覆盖层以及生产这种地面覆盖层的方法
NO117485B (ko)
US20080240860A1 (en) Synthetic drainage and impact attenuation system
WO2016099253A1 (en) Sports field construction
CN205999746U (zh) 一种透水型塑胶跑道
Hein et al. Bases and Subbases for Concrete Pavements:[techbrief]
US20170319943A1 (en) Artificial turf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0497253B1 (ko) 폐타이어, 폐우레탄 컬러 고무칩을 이용한 투수성 탄성포장재
KR20140114711A (ko) 경량혼합토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방법 및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성토층
CN201843043U (zh) 一种绿建筑环保人工运动场结构
NZ616446B2 (en) Method of forming a substrate for a sports surface of a sports pitch, such a substrate as well as a sports pitch provided with such substrate
Karim Foamed bitumen stabilised sandstone aggregates
Zhou Feasibility Study of Lean Oil Sand as Base and Surface Material on Gravel Roads in Alberta
CN217266706U (zh) 一种厂拌热再生路面结构
WO2007123493A1 (en) A playing fiel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laying field
US20030230373A1 (en) Engineered tire particle aggregates and constructs
CN204139022U (zh) 与合成材料制成的拼装式塑料地板结合使用的塑胶跑道
CN115110364A (zh) 一种固废利用电石灰粉煤灰稳定土路面结构及施工方法
Chasi STOCKPILE LIFE OF f-OAM STAElLlSED MATERIAL AND THE IMPLICATIONS FOR LABOUR INTENSIV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