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274A -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 Google Patents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274A
KR20200012274A KR1020180087365A KR20180087365A KR20200012274A KR 20200012274 A KR20200012274 A KR 20200012274A KR 1020180087365 A KR1020180087365 A KR 1020180087365A KR 20180087365 A KR20180087365 A KR 20180087365A KR 20200012274 A KR20200012274 A KR 2020001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air discharge
block
sofa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주 filed Critical (주)유주
Priority to KR102018008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274A/ko
Priority to PCT/KR2018/013858 priority patent/WO2020022565A1/ko
Publication of KR2020001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로 유입되는 파도에 의하여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며, 이 압축된 공기가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로 배출되도록 하여, 파의 에너지를 감쇠시키고, 또한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를 지난 파도는 외부로 배출되면서 파도의 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는 소파 블록 및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및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WAVE DISSIPATING BLOCK AND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소파 블록 및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형성된 소파 블록 및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가 마련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항만 이용의 척도가 되는 항내의 정온과 항만 가동률은 항 입구로부터 항내로 진입하는 파랑과 방파제를 넘어 항내로 유입되는 월파 및 항내에서 안벽의 벽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반사파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항 입구로부터 항내로 진입하는 파랑은 기본적으로 방파제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방파제의 천단고를 넘어 월파하는 파랑은 천단고를 높임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항내에서 발생하는 반사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율이 적은 소파블럭 및 소파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최선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파블럭이 국, 내외에서 약 10여종이 개발되었고, 현재에도 그 필요성으로 인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5593호 "신 소파블록"(2005. 2. 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6099호 "소음 완화 및 충격 완충을 위한 소파블록"(2012. 3. 6.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5593호는 전방에서 내습하는 거대한 단일의 파랑에너지를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의 내부에서 상하, 좌우 4방향으로 분리하고 진행방향을 블록 외부로 굴절시키도록 하여, 소파블록 내부에 파랑유도공 및 파랑유통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파블록 내부에 상당히 큰 크기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소파블록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또한 그 내부에 파랑유도공 및 파랑유통공을 형성하는 작업이 어려워 소파블록의 제작비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6099호는 크로스 할로우(cross hollow) 타입의 소파블록에 대한 것이나, 소파블록의 전면에서 일부 파랑만이 통수공으로 유입되며, 아울러 통수공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와류발생돌기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파도를 산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콘크리트 구조물인 소파블록에 와류발생돌기를 복잡한 형태로 만드는 것은 곤란하여 비교적 단순하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형태의 와류발생돌기만을 만들고 있기 때문에 파도의 산란 효과가 작을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대부분의 파랑이 통수공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소파블록의 전면에서 반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하여 제안된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3022호 "소파 블록"(2014. 4.30. 등록)은, 직육면체 형태의 블록 몸체와 ;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하며 함몰지게 형성되되 전단면이 넓고 후단면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파 응집부와 ; 일단이 어느 하나의 파 응집부의 후방과 연통되며 타단이 다른 하나의 파 응집부의 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블록 몸체에 내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지게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주름관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파 블록이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블록 몸체의 내부에 비교적 작은 지름을 가진 주름관을 배치하여 소파 블록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하며, 아울러 소파 블록의 전면 대부분에 파 응집부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면으로 입사되는 파도의 대부분이 파 응집부를 통하여 주름관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주름관에서는 매우 많은 숫자의 주름부에 의하여 파도를 산란시켜 파력 에너지를 충분히 감소시킨 후 이를 다시 블록 몸체의 전면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3022호 "소파 블록"(2014. 4.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로 유입되는 파도에 의하여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며, 이 압축된 공기가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로 배출되도록 하여, 파의 에너지를 감쇠시키고, 또한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를 지난 파도는 외부로 배출되면서 파도의 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는 소파 블록 및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에 내장되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부를 가지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파 블록에 있어서 : 하단이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상기 블록 몸체의 외부와 연통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 몸체 내부에 내장되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함몰지게 형성되되 전단면이 넓고 후단면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파 응집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의 각 단부들은 상기 파 응집부와 연결되며, 상기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의 유로 단면적의 0.1~30 %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는, 하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블록 몸체에 내장된 공기 배출용 수직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는, 하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블록 몸체에 내장된 공기 배출용 수직관과,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블록 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폭방향 연장 홈부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후단부가 상기 폭방향 연장 홈부와 연통되며 전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까지 연장되는 전후방향 연장 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블록 몸체의 상면에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가 마련된 소파 블록의 상부에 마련되기 위한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와, 상기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하단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내부를 지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전면 또는 상면으로 연장되는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과, 상단부가 상기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에 연통되며 하단부가 상기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수직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과, 후단부가 상기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과 연통되며 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전면까지 연장되는 전후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로 유입되는 파도에 의하여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며, 이 압축된 공기가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로 배출되도록 하여, 파의 에너지를 감쇠시키고, 또한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를 지난 파도는 외부로 배출되면서 파도의 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는 소파 블록 및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소파 구조물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념 단면도,
도 3은 도 1의 1단 소파 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1단 소파 블록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기준 단면도,
도 7은 도 1의 2단 소파 블록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2단 소파 블록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C-C 기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D-D 기준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3단 소파 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3단 소파 블록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E-E 기준 단면도,
도 14은 도 1의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도 14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소파 구조물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1단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1단 소파 블록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2단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의 2단 소파 블록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C 기준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D-D 기준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의 3단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의 3단 소파 블록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E-E 기준 단면도이며, 도 14은 도 1의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1단 소파 블록(100-1), 2단 소파 블록(100-2), 3단 소파 블록(100-3),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단 소파 블록(100-1), 2단 소파 블록(100-2), 3단 소파 블록(100-3)은 모두 소파 블록(100)이며, 이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설명할 때는 소파 블록(100)이라 칭한다.
복수의 1단 소파 블록(100-1)이 거치된 후, 복수의 2단 소파 블록(100-2)이 거치되며, 이후 복수의 3단 소파 블록(100-3)이 거치되며, 이후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200)이 구축되어, 도 1과 같은 소파 구조물이 완성된다.
물론 소파 구조물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소파 블록(100)이 3단으로 마련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1단만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소파 블록(100)은 블록 몸체(110)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로 이루어진다.
블록 몸체(110)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블록 몸체(110)의 전방부에는 복수의 파 응집부(1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블록 몸체(110)마다 4개 또는 2개의 파 응집부(111)가 형성되었으며, 파 응집부(111)의 숫자는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 응집부(111)는 블록 몸체(110)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함몰지게 형성되며, 전단면이 넓고 후단면이 좁은 형태를 가진다.
파 응집부(111)의 형태로서는 후방을 향하면서 좁아지는 형태의 원뿔대 혹은 다각뿔대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파 응집부(111)의 형태가 원뿔대 형태이면 전단면과 후단면 모두 원형이며, 만일 파 응집부(111)의 형태가 사각뿔대 형태이면 전단면과 후단면 모두 사각형이다.
상기와 같이 전방부에 복수의 파 응집부(111)가 형성된 블록 몸체(110)는 직육면체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블록 몸체(1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블록 몸체(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적층되는 소파 블록을 위하여 소파 블록이 상하간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와 홈부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는 소파 블록의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블록 몸체(110)에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가 내장된다.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플라스틱 관 혹은 플라스틱 관의 조립체에 의하여 구현된다.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어느 하나의 파 응집부(111)와 다른 하나의 파 응집부(111)를 서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파 응집부(111)의 후방과 연통되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파 응집부(111)의 후방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1단 소파 블록(100-1)은 두 개의 파 응집부(111)가 하나의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진 플라스틱 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2단 소파 블록(100-2) 및 3단 소파 블록(100-3)은 4개의 파 응집부(111)가 하나의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일단부가 각각의 파 응집부(111)의 후방과 연통되는 4개의 분기관들과, 상기 분기관들의 타단들이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4개의 분기관들이 접속부에 의하여 서로 접속할 경우 4개의 파 응집부의 후방이 하나의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게 된다.
한편,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가요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 자체의 가격을 절감시키면서도, 현장 상황에 따라 블록 몸체(110) 내부에 비교적 복잡한 경로를 가지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가 내장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가 비교적 복잡한 경로를 가질 수록 파력 에너지의 감소 효과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관의 경우 해수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부식 등이 발생할 위험이 없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로서 금속 재질로 제작된 관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블록 몸체(110)에 내장되면서 블록 몸체(110)의 전면과 연통(엄밀하게는 파 응집부(111)를 매개하여 블록 몸체(110)의 전면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부를 가지게 된다.
즉 1단 소파 블록(100-1)에서는 하나의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2개의 단부가 블록 몸체(110)의 전면과 연통되며, 2단 및 3단 소파 블록(100-2, 1003)에서는 하나의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4개의 단부가 블록 몸체(110)의 전면과 연통된다.
이와 같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파 응집부(111)로 개방된 부위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밀폐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에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가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로 파가 밀려 들어올 때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로서,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의 압축 및 배출에 의하여 파 에너지가 감쇠된다.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는 그 하단이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단이 블록 몸체(11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되, 적어도 일부가 블록 몸체(110) 내부에 내장된다.
3단 소파 블록(100-3)에서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는,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은 전체가 블록 몸체(110)에 내장된 상태로서, 하단부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블록 몸체(110)의 상면까지 연장된다. 물론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은 플라스틱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 특히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유로 단면적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유로 단면적의 0.1~30 %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유로 단면적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유로 단면적의 1~5 % 이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유로 단면적이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유로 단면적의 0.1 % 미만이라면,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을 통한 공기 배출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어 공기에 의한 파 에너지 감쇠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만일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유로 단면적이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유로 단면적의 30 % 초과라면,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로 파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공기가 거의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을 통하여 배출되어 공기에 의한 파 에너지 감쇠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1단 및 2단 소파 블록(100-1, 100-2)에서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는,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과 폭방향 연장 홈부(132)와 전후방향 연장 홈부(133)으로 이루어진다.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은 3단 소파 블록(100-3)에 마련된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생략한다.
폭방향 연장 홈부(132)는 블록 몸체(110)의 상면에서 블록 몸체(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폭방향 연장 홈부(132)와 연통되기 위하여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상단부에는 폭방향 연장 홈부(132)와 연통되기 위한 작은 홈을 형성하게 된다.
전후방향 연장 홈부(133)는 블록 몸체(110)의 상면에서 블록 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후단부가 폭방향 연장 홈부(132)와 연통되며 전단부가 블록 몸체(110)의 전면까지 연장된다.
이때 전후방향 연장 홈부(133)의 전단부는 두 개의 파 응집부(111) 사이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는 모든 파 응집부(111)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블록 몸체(11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1단 소파 블록(100-1)에서 폭방향 연장 홈부(132)와 전후방향 연장 홈부(133)는, 2단 소파 블록(100-2)이 상부에 안치되면서 공기 배출 통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2단 소파 블록(100-2)에서 폭방향 연장 홈부(132)와 전후방향 연장 홈부(133)는, 3단 소파 블록(100-3)이 상부에 안치되면서 공기 배출 통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3단 소파 블록(100-3)의 상부에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200)이 마련된다.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200)은,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와,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는 3단 소파 블록(100-3)들이 설치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내부에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220)가 내장된다.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220)는 3단 소파 블록(100-3)의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상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하단부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내부를 지나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전면 또는 상면으로 연장되는 배관 형태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220)는,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2)과, 수직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1)과, 전후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2)과, 수직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1)과, 전후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3)은 플라스틱 관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2)은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내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 형태이다.
수직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1)은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내부에서 상단부가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2)에 연통되되 하단부가 3단 소파 블록(100-3)의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전후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3)은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내부에서 후단부가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2)과 연통되며 전단부가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전면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220)는 3단 소파 블록(100-3)의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상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하단부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내부를 지나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배관 형태이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220)는 3단 소파 블록(100-3)의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의 상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하단부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내부를 지나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210)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배관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몸체(110)의 전면 대부분은 파 응집부(111)의 전단면들이 차지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하나의 블록 몸체(110)의 전면의 단면적에 대하여 복수의 파 응집부(111)의 전단면(파도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부위)의 면적의 합은 50~99%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블록 몸체(110)의 전면의 단면적이란, 블록 몸체의 높이가 2.5m이고 블록 몸체의 가로방향 길이가 2.5m일 때 블록 몸체의 전면의 단면적은 6.25m2(2.5 x 2.5)로 계산된다. 아울러 파 응집부의 전단면(파도 유입부)의 각각의 면적이 1m2(1m x 1m)이라고 하면 4개의 파 응집부의 전단면의 면적의 합은 4m2으로 계산되며, 그 비율은 64%이다.
만일 50% 미만인 경우 파도의 매우 많은 부분이 본 소파 블록의 파 응집부가 형성되지 않은 전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이며 바람직하지 않으며, 99% 초과하는 경우 블록 몸체(110)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블록 몸체(110)가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 응집부(111)를 통하여 유입된 대부분의 파도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이때 파도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 길이를 따라 유동하면서 파력 에너지가 감소된다.
특히 파도가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로 유입될 때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의 공기가 밀폐된 상태가 된다면(다른 단부들은 해수에 의하여 막힌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로 파가 유입되는 경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 내부의 공기는 파도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동시에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130)를 통하여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파도의 에너지를 감쇠시킨다.
즉 1단 및 2단 소파 블록(100-1, 100-2)에서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 폭방향 연장 홈부(132), 전후방향 연장 홈부(133)를 지나 블록 몸체(110)의 전면을 향하여 압축 공기의 형태로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분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파도의 에너지(혹은 바람의 에너지)가 감쇠될 수 있다.
또한 3단 소파 블록(100-3)에서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용 수직관(131)을 지나,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수직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1),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2), 전후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223)을 지나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전면을 향하여 압축 공기의 형태로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분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파도의 에너지(혹은 바람의 에너지)가 감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의 압축과 배출에 의하여 파 에너지가 감쇠되면서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120)을 지난 파도는 다른 파 응집부(111)로 유출되면서 다른 파 응집부(111)로 유입되는 파도의 파력 에너지를 감소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소파 블록 110 : 블록 몸체
111 : 파 응집부 120 :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
130 :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
131 : 공기 배출용 수직관 132 : 폭방향 연장 홈부
133 : 전후방향 연장 홈부
200 :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210 :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
220 :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
221 :수직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 222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
223 :전후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

Claims (6)

  1.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에 내장되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부를 가지는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파 블록에 있어서 : 하단이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상기 블록 몸체의 외부와 연통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 몸체 내부에 내장되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함몰지게 형성되되 전단면이 넓고 후단면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파 응집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의 각 단부들은 상기 파 응집부와 연결되며, 상기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의 유로 단면적의 0.1~30 %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는, 하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블록 몸체에 내장된 공기 배출용 수직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는, 하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 내장용 연결관 부재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블록 몸체에 내장된 공기 배출용 수직관과,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블록 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폭방향 연장 홈부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후단부가 상기 폭방향 연장 홈부와 연통되며 전단부가 상기 블록 몸체의 전면까지 연장되는 전후방향 연장 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5. 블록 몸체의 상면에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가 마련된 소파 블록의 상부에 마련되기 위한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와, 상기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와 연통되기 위한 하단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내부를 지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전면 또는 상면으로 연장되는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 콘크리트용 공기 배출관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과, 상단부가 상기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에 연통되며 하단부가 상기 공기 배출용 수직관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수직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과, 후단부가 상기 폭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과 연통되며 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의 전면까지 연장되는 전후방향 연장 공기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80087365A 2018-07-26 2018-07-26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KR20200012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65A KR20200012274A (ko) 2018-07-26 2018-07-26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PCT/KR2018/013858 WO2020022565A1 (ko) 2018-07-26 2018-11-14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및 소파 블록용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65A KR20200012274A (ko) 2018-07-26 2018-07-26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74A true KR20200012274A (ko) 2020-02-05

Family

ID=6918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65A KR20200012274A (ko) 2018-07-26 2018-07-26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12274A (ko)
WO (1) WO20200225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282B1 (ko) * 2020-11-18 2021-10-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KR102350525B1 (ko) * 2021-09-14 2022-01-13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해수 통수 및 파력 감쇄 성능을 강화한 파력 감쇄 블록 및 설치 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22B1 (ko) 2012-12-03 2014-05-08 김상기 소파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094B2 (ja) * 1993-07-20 1999-01-13 株式会社大林組 消波堤用ブロック
KR100280583B1 (ko) * 1998-05-15 2001-02-01 박병권 경사제의 해수유입용 수로 구조
KR100706288B1 (ko) * 2007-01-23 2007-04-13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호안구조물 양압력 해소용 에어파이프 설치구조
KR101126341B1 (ko) * 2011-04-21 2012-03-22 이오진 케이슨과 이를 포함한 항만 구조물
KR101678143B1 (ko) * 2016-06-27 2016-11-21 (주)에스엔비 파도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22B1 (ko) 2012-12-03 2014-05-08 김상기 소파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282B1 (ko) * 2020-11-18 2021-10-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KR20220068125A (ko) * 2020-11-18 2022-05-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KR102350525B1 (ko) * 2021-09-14 2022-01-13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해수 통수 및 파력 감쇄 성능을 강화한 파력 감쇄 블록 및 설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565A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2274A (ko) 파 에너지 감쇠용 공기 배출 통로가 마련된 소파 블록
KR101393022B1 (ko) 소파 블록
CN102733352A (zh) 一种开放式泥石流拦挡坝组
CN205100176U (zh) 竖井消能装置
KR100609016B1 (ko) 경사면을 갖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N202992286U (zh) 带有射流装置的防火止回阀
KR101251957B1 (ko) 방음벽용 소음 감쇠블럭체 및 이들로 구성되는 방음벽
ITRM20090542A1 (it) Montante per barriere acustiche e relativa barriera acustica.
US6019189A (en) Noise barrier wall
KR101662511B1 (ko) 튜브형 방음판
CN103174281A (zh) 一种薄壁构件及共用排气管道
JPS63236809A (ja) 波浪吸収消波ブロツクおよびこのブロツクを用いた消波壁
KR200375593Y1 (ko) 신 소파블럭
KR100519545B1 (ko) 신 소파블럭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의 소파구조
KR200407112Y1 (ko) 흡차음 겸용 가설 방음판
KR101875119B1 (ko) 한옥의 지붕 구조
JP2005536731A5 (ko)
KR200319186Y1 (ko) 스피커형 흡음기를 가진 방음벽
CN202610762U (zh) 一种开放式泥石流拦挡坝组
KR102624034B1 (ko) 지지력을 강화한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200250242Y1 (ko) 논둑용 블록
JPH0448123B2 (ko)
KR102341504B1 (ko)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KR200182646Y1 (ko) 방음블록
CN209839362U (zh) 扁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