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504B1 -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504B1
KR102341504B1 KR1020210096739A KR20210096739A KR102341504B1 KR 102341504 B1 KR102341504 B1 KR 102341504B1 KR 1020210096739 A KR1020210096739 A KR 1020210096739A KR 20210096739 A KR20210096739 A KR 20210096739A KR 102341504 B1 KR102341504 B1 KR 10234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groove
block body
rear end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해양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9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면의 선단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중앙에 오목홈부(115)가 형성되는 호안블록몸체(110)와 상기 호안블록몸체(110)의 양측에 요입 형성된 오목홈(111)과 상기 호안블록몸체(110)의 상면 전후방에 요입 형성된 상단홈(112)과 상기 오목홈(111)과 연결되게 상기 호안블록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연통홈(1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파랑에너지를 교란 및 감쇠시키고 이동시켜 파랑에너지를 단계별 저감시키므로 해안 침식과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Block for prevention coastal erosion and overbreak}
본 발명은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선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해안의 침식과 월파를 방지하는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해안의 침식 방지블록으로 호안블록이 있다. 호안블록은 해안이나 제방을 유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에 설치하는 해안 구조물이다. 이러한 호안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의 무거운 석재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연안에 이를 단순 적층시키는 것에서 해안 구조물을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호안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의 무거운 석재나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별도의 구성이 사용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끊임없이 반복되는 파도의 파랑 에너지를 감쇠시키기 어렵고, 연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0709172호(2007.04.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현장타설없이 굴곡설치가 용이하고 파랑에너지 감쇠를 통해 해안 침식과 월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파(breakwater)부를 적용하여 반사율을 줄이고 단계별 파랑에너지를 저감하는 구조의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 소파부를 적용하고 선단 중앙에 오목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파랑에너지를 교란 및 감쇠시키고 이동시켜 파랑에너지를 단계별 저감시키는 구조의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은 상면의 선단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중앙에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호안블록몸체와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양측에 요입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상면 전후방에 요입 형성된 상단홈 및 상기 오목홈과 연결되게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연통홈을 포함한다.
상기 호안블록몸체는 하면 선단 양측에 형성되며 파랑에너지를 양측면의 연통홈으로 안내하는 삼각형 형상의 양측 소파(breakwater)부와 상기 양측 소파부의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하면 공간과 상기 하면 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연통홈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 되게 상기 양측 소파부와 이격되게 하면 후단에 돌출 형성된 후단돌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목홈부는 내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유공을 형성하고 상기 유공을 상기 양측 소파부가 형성하는 하면 공간과 경사지게 연결하는 내측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단돌부는 상기 하면 공간과 경사지게 연결하는 폭방향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홈은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상면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에 미끄럼 방지용 무늬를 형성하며, 상기 상단홈의 단부는 각각 상기 상면의 일측과 타측으로 개구되는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홈은 상기 하면 공간과 연통되는 직선연통홈과 상기 직선연통홈에서 후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연통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호안블록은 양측 소파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홈부로 유입되는 파랑에너지가 양측 소파부와 후단돌부의 폭방향경사면에 부딪치면서 하면 공간 내에서 교란 및 상쇄 작용이 발생하여 감쇠되고 감쇠된 파랑에너지가 후단돌부의 양측의 직선연통홈과 경사연통홈으로 이동하면서 파랑에너지가 단계별로 저감되는 구조이므로 월파저감 및 연안침식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호안블록에서 파랑에너지가 단계별로 저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호안블록을 시공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이하, '호안블록'이라 칭함)(100)은 호안블록몸체(110)와, 호안블록몸체(110)의 상면 양측에 요입 형성된 오목홈(111)과, 호안블록몸체(110)의 상면 전후방에 요입 형성된 상단홈(112)과, 오목홈(111)과 연결되게 호안블록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연통홈(121)을 포함한다.
호안블록몸체(110)는 상면의 선단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 선단 중앙에 오목홈부(115)가 형성된다.
호안블록(100)은 선단에 양측 소파부(131)를 적용하여 선단 중앙에 오목홈부(115)를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파랑에너지를 교란 및 감쇠시킨 후 이동으로 파랑에너지를 단계별 저감시키는 구조인 것에 특징이 있다.
오목홈(111)은 호안블록몸체(110)의 상면 후단 양측에 요입 형성된다. 오목홈(111)은 물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상면 양측을 내측으로 요입 형성한 것이다.
상단홈(112)은 호안블록몸체(110)의 상면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에 미끄럼 방지용 무늬를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갖고, 상단홈(112)의 단부는 각각 상면의 일측과 타측으로 개구되는 배수구(112a)를 구비하여 우천시 호안블록몸체(110)의 상면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용객의 미끄럼 방지 및 안정성을 확보한다.
더불어 상단홈(112)은 배수구(112a) 방향으로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단홈(112) 및 배수구(112a)에는 빗물에 의한 물때를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이 코팅재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단홈(112)은 이물질이 상단홈(112)의 일부를 막아 빗물이 배수구(112a)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벽 또는 내측바닥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이물질차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홈(121)은 오목홈(111)과 연결되게 호안블록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오목홈(111)은 물이 흐르는 구멍 즉, 유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연통홈(121)은 후술할 양측 소파부(131)가 형성하는 하면 공간(132)과 연통되는 직선연통홈(121a)과 직선연통홈(121a)에서 후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형상의 경사연통홈(121b)을 포함한다. 직선연통홈(121a)과 경사연통홈(121b)은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호안블록몸체(110)는 하면 선단 양측에 양측 소파(breakwater)부(131)가 형성된다. 양측 소파부(131)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상되어 파랑에너지를 양측면의 연통홈(121)으로 안내하여 파랑에너지가 이동하는 유공을 형성한다. 양측 소파부(131)의 삼각형 형상은 후술할 하면 공간(132)의 단면적이 연통홈(121)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 되게 한다. 이러한 하면 공간(132)은 양측 소파부(131)와 이격되게 호안블록몸체(110)의 하면 후단에 돌출 형성된 후단돌부(133)와 양측 소파부(131)가 협력하여 형성된다.
하면 공간(132)은 양측 소파부(131)의 사이에 요입 형성된 부분이다.
후단돌부(133)는 하면 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연통홈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 되게 상기 양측 소파부와 이격되게 하면 후단에 돌출 형성된다.
오목홈부(115)는 내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유공을 형성하고, 유공을 양측 소파부(131)가 형성하는 하면 공간(132)과 경사지게 연결하는 내측 경사면(115a)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파랑에너지의 반사파를 줄여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킨다.
또한, 후단돌부(133)는 하면 공간(132)과 경사지게 연결하는 폭방향경사면(133a)을 포함하여 하면 공간(132)으로 유입되는 파랑에너지의 반사파를 줄여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호안블록에서 파랑에너지가 단계별로 저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호안블록(100)은 선단의 오목홈부(115)로 파랑에너지가 유입되고 내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고 하면 공간(132)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내측 경사면(115a)을 가지는 오목홈부(115)의 형상이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키고, 파랑에너지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하면 공간(132)의 후단돌부(133)의 폭방향경사면(133a)에 파랑에너지가 부딪치면서 파랑에너지가 교란 및 감쇠된다. 또한, 오목홈부(115)로 유입되는 파랑에너지는 양측 소파부(131)에 부딪치면서 교랑 및 감쇠된다. 이렇게 교란 및 감쇠된 파랑에너지가 후단돌부(133)의 폭방향경사면(133a)을 따라 폭방향 양측으로 이동하고 연통홈(121)으로 안내된다.
또한, 연통홈(121)으로 안내된 파랑에너지는 직선연통홈(121a)과 경사연통홈(121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향 경사로 인해 파랑에너지의 감쇠와 더불어 유입된 파랑에너지와 입사되는 파랑에너지의 교란 및 상쇄 작용이 발생하여 단계적으로 에너지가 감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호안블록을 시공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호안블록(100)은 양측면이 맞닿도록 길게 설치되고 계단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어 파랑에너지를 단계적으로 교란 상쇄시킴으로써 월파저감 및 연안침식을 방지한다. 월파는 파도 입사파가 점차 높아지면서 목적구조물의 상단으로 넘어가는 현상이다.
상술한 호안블록(100)은 오목홈부(115)로 유입되는 파랑에너지가 양측 소파부(131)와 후단돌부(133)의 폭방향경사면(133a)에 부딪치면서 교란 및 상쇄 작용으로 에너지가 감쇠되고 직선연통홈(121a)과 경사연통홈(121b)으로 이동하면서 파랑에너지가 단계별로 저감되는 구조이므로 월파저감 및 연안침식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호안블록
110: 호안블록몸체
111: 오목홈
112 : 상단홈
112a : 배수구
115: 오목홈부
115a: 내측 경사면
121: 연통홈
121a: 직선연통홈
121b: 경사연통홈
131: 양측 소파부
132: 하면 공간
133: 후단돌부
133a: 폭방향경사면

Claims (2)

  1. 상면의 선단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중앙에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호안블록몸체;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양측에 요입 형성된 오목홈;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상면 전후방에 요입 형성된 상단홈; 및
    상기 오목홈과 연결되게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연통홈;
    을 포함하며,
    상기 호안블록몸체는
    하면 선단 양측에 형성되며 파랑에너지를 양측면의 연통홈으로 안내하는 삼각형 형상의 양측 소파(breakwater)부;
    상기 양측 소파부의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하면 공간;
    상기 하면 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연통홈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 되게 상기 양측 소파부와 이격되게 하면 후단에 돌출 형성된 후단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목홈부는 내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유공을 형성하고 상기 유공을 상기 양측 소파부가 형성하는 하면 공간과 경사지게 연결하는 내측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단돌부는 상기 하면 공간과 경사지게 연결하는 폭방향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홈은 상기 호안블록몸체의 상면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에 미끄럼 방지용 무늬를 형성하며, 상기 상단홈의 단부는 각각 상기 상면의 일측과 타측으로 개구되는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홈은
    상기 하면 공간과 연통되는 직선연통홈;
    상기 직선연통홈에서 후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연통홈;
    을 포함하는,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2. 삭제
KR1020210096739A 2021-07-22 2021-07-22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KR10234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39A KR102341504B1 (ko) 2021-07-22 2021-07-22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39A KR102341504B1 (ko) 2021-07-22 2021-07-22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504B1 true KR102341504B1 (ko) 2021-12-21

Family

ID=7916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739A KR102341504B1 (ko) 2021-07-22 2021-07-22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5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19A (ja) * 2003-04-24 2004-11-18 Kankyo Hozen Consul:Kk 護岸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護岸構造物
KR100709172B1 (ko) 2004-10-25 2007-04-18 제일산업 주식회사 링 타입 연결구를 갖는 호안블록
KR20090000362U (ko) * 2007-07-10 2009-01-14 박현우 원형호안블럭
KR20090121864A (ko) * 2008-05-23 2009-11-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KR101027985B1 (ko) * 2010-03-12 2011-04-13 한일 주식회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다목적 해안침식방지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19A (ja) * 2003-04-24 2004-11-18 Kankyo Hozen Consul:Kk 護岸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護岸構造物
KR100709172B1 (ko) 2004-10-25 2007-04-18 제일산업 주식회사 링 타입 연결구를 갖는 호안블록
KR20090000362U (ko) * 2007-07-10 2009-01-14 박현우 원형호안블럭
KR20090121864A (ko) * 2008-05-23 2009-11-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KR101027985B1 (ko) * 2010-03-12 2011-04-13 한일 주식회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다목적 해안침식방지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504B1 (ko)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KR102380258B1 (ko)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JP5460470B2 (ja) グレーチング付き側溝の排水構造
JP6990104B2 (ja) 平板瓦
KR102303960B1 (ko)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선형블록
Gisonni et al. Supercritical flow in manholes with a bend extension
Ijima et al. Permeable seawall with reservoir and the use of “Warock”
JPS633084B2 (ko)
KR101038488B1 (ko)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JP7066910B2 (ja) 平板瓦
JP7079399B2 (ja) 平板瓦
KR20230019735A (ko) 해안침식 및 월파방지 호안블록
JP7066911B2 (ja) 平板瓦
CN215518599U (zh) 一种保护路基的公路拦水带
KR101045998B1 (ko) 홍수의 유속 방향을 변환하는 하천 만곡부의 급류를유도하기 위한 제방
KR200215237Y1 (ko) 호안 피복용 블럭
JP3236557U (ja) 平板瓦
KR100673921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JP3236556U (ja) 平板瓦
JP6990105B2 (ja) 平板瓦
KR200342293Y1 (ko) 콘크리트 해안호안 구조
KR200288506Y1 (ko) 하천의 중앙분리벽 및 양안 붕괴방지시설
CN202610762U (zh) 一种开放式泥石流拦挡坝组
KR100684814B1 (ko) 파도 소거 구조체와 파도 소거 방법
JP3592116B2 (ja) 天端被覆ブロック型ケーソン消波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