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244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244A
KR20200012244A KR1020180087284A KR20180087284A KR20200012244A KR 20200012244 A KR20200012244 A KR 20200012244A KR 1020180087284 A KR1020180087284 A KR 1020180087284A KR 20180087284 A KR20180087284 A KR 20180087284A KR 20200012244 A KR20200012244 A KR 20200012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vaporator
temperature
precool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000B1 (ko
Inventor
김민환
김재영
이요한
김세현
이한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0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Abstract

본 실시예는 증발기와; 증발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와; 공기를 증발기와 응축기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과;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현열교환기와; 배관에 배치된 저장조 및 펌프와;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배관이 증발기 이전에 위치하는 프리쿨러부와,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주변에 현열교환기가 배치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습도를 낮추기 위한 공기조화기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직접 제거함으로써 상대습도를 낮출 수 있다.
제습기가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은 냉각식과 건조식으로 나눌 수 있다.
건조식 제습기는 화학물질인 흡습제를 이용하는 방식인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습상품과 같이 공기 중의 습기를 직접 흡수하거나 흡착시킨다. 흡습제가 습기를 더 이상 흡수하지 못하면 흡습제를 다시 가열해서 이 때 분리되는 습기를 제습기 바깥으로 내보내 다시 흡습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밀폐된 공간에서 소량의 수분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다. 흡습제에는 수분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난 다공성 물질인 실리카겔(silica gel) 등이 있다.
냉각식 제습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습기를 조절한다.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는 이슬점 이하로 공기의 온도를 내려야 한다. 때문에 냉각식 제습기는 냉각을 위해 냉매를 이용한다.
냉각식 제습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한다.
제습기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증발기의 이전에 히트파이프의 프리쿨러부(유입측 히트파이프)를 위치시키고, 증발기의 이후에 열방출부(유출측 히트파이프)를 위치시킬 경우, 증발기 부하를 낮출 수 있고, 압축기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히터파이프가 증발기의 이전과 이후에 배치된 제습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08864 A (2013년01월23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08864 A (2013년01월23일 공개)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파이프를 갖는 제습기는 저온 환경에서 작동시 증발기에 착상이 발생하여 제습 성능이 낮을 수 있고, 고습 환경에서 작동시, 예냉부에 응축수가 생성되어 예냉부가 청결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리쿨러부의 응축수 생성을 최소하하면서 제습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습도에 대응하여 현열교환기를 순환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발기의 착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제습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는 증발기와; 증발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와; 공기를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과;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배관이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와 증발기 이전에 위치하는 프리쿨러부를 포함하는 현열교환기와; 배관에 배치된 저장조 및 펌프와;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현열교환기는 액체의 유동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 각각은 히팅부 및 프리쿨러부를 포함하고, 히팅부를 통과한 액체를 상기 프리쿨러부로 안내하는 제1리턴부와, 프리쿨러부를 통과한 액체를 타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로 안내하는 제2리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현열교환기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프리쿨러부와 연결된 프리쿨러 핀과,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와 연결된 히팅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히팅부 출구와 프리쿨러부 입구 사이의 리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리턴부의 온도가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고,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펌프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리턴부의 온도가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보다 낮으면, 펌프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제어부는 리턴부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이 될 때까지 펌프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제어부는 제습기 기동 후 초기 설정시간 경과 이후에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고,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변동값 이상 감소되면, 펌프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현열교환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프리쿨러부에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현열교환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프리쿨러부에 의해 냉각된 후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증발기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서리가 착상되는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증발기와 응축기 및 현열교환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증발기와 응축기 및 현열교환기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습기는 케이스(1)와, 증발기(2)와; 증발기(2)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3)와; 공기를 증발기(2)와 응축기(3)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4)과, 증발기(2) 주변에 배치된 현열교환기(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된 흡입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공기토출구(13)가 형성된 토출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제습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증발기(2)의 양측면을 덮는 아우터 커버(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흡입 바디(12)는 현열교환기(5)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7)과, 증발기(2)나 현열교환기(5)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은 드레인 팬(18)과, 드레인 팬(18)으로 낙하된 응축수가 모이는 물통(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7)와 드레이 팬(18)과 물통(19)은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케이스(1)의 내부를 압축기(17)이 수용되는 압축기 수용공간과, 물통(19)이 위치하는 물통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2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19)는 베리어(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는 케이스(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튜브(22)에 증발핀(24)이 결합될 수 있다.
응축기(3)는 케이스(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3)는 증발기(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3)와 증발기(2)의 사이에는 현열교환기(5)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팬(4)은 공기를 증발기(2)와 응축기(3) 순서로 유동시킬 수 있다. 팬(4)은 모터(42)와, 모터(4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로워(44)를 포함할 수 있다.
현열교환기(5)는 공기 유동방향(X)으로 증발기(2)의 전,후에 위치할 수 있다. 현열교환기(5)는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6)을 포함하고, 배관(6)에 배치된 저장조(7) 및 펌프(8)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는 물이나 냉각수 등의 쿨런트 일수 있고, 쿨런트는 배관(6)과 저장조(7) 및 펌프(8)를 순환할 수 있다.
배관(6)의 일부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 이후에 위치되어 증발기(2)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히팅시킬 수 있다. 배관(6)은 증발기(2)와 응축기(3)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6)의 다른 일부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전에 위치하여 증발기(2)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예냉할 수 있다. 배관(6)은 증발기(2) 이전에 위치하는 프리쿨러부(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쿨러부(20)를 통과하는 액체는 프리쿨러부(20)에 의해 증발기(2)로 유입되는 공기의 현열 부하를 낮출 수 있고, 이 경우, 증발기(2)에 의한 제습 효율은 상승될 수 있다.
배관(6)은 액체의 유동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 각각은 증발기(2)의 전방, 좌측, 우측 및 후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 각각은 히팅부(10)와, 프리쿨러부(20) 및 한 쌍의 리턴부(30)(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10)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후에 공기 유동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히팅부(10)는 공기 유동 방향(X) 증발기(2)의 이후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히팅부(10)는 히팅부(10)의 길이 방향(Y) 및 공기 유동 방향(X) 각각과 직교한 방향(Z)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프리쿨러부(20)는 공기 유동 방향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전에 공기 유동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프리쿨러부(20)는 공기 유동 방향(X)으로 증발기(2)의 이전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프리쿨러부(20)는 프리쿨러부(20)의 길이 방향(Y) 및 공기 유동 방향(X) 각각과 직교한 방향(Z)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리턴부(30)(40)는 제1리턴부(30)와, 제2리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턴부(30)는 히팅부(10)를 통과한 액체를 프리쿨러부(20)로 안내할 수 있다.
제2리턴부(40)는 프리쿨러부(20)를 통과한 액체를 배관(6)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타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10)로 안내하는 제2리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턴부(30)와 제2리턴부(40) 중 어느 하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의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 리턴부일 수 있고, 제1리턴부(30)와 제2리턴부(40) 중 다른 하나는 증발기(2)의 좌측에 위치되는 우측 리턴부일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는 공기의 유동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전후 방향(X)으로 유동될 경우,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12)는 상하 방향(Z)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고, 가장 높이가 낮은 최하측 단위 열교환부(H1)와, 가장 높은 최상측 단위 열교환부(H1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측 단위 열교환부(H2~H11)이 배치될 수 있다. 현열교환기(5)는 복수개의 중간측 단위 열교환부(H2~H11)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중간측 단위 열교환부(H2~H11)는 상하 방향(Z)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최하측 단위 열교환부(H1)와 최상측 단위 열교환부(H12) 중 어느 하나는 펌프(8)에서 펌핑된 액체가 도입되는 입구측 단위 열교환부일 수 있다. 그리고, 최하측 단위 열교환부(H1)와 최상측 단위 열교환부(H12)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2)를 순차적 통과한 액체가 저장조(6)로 유동되기 위해 빠져 나오는 출구측 단위 열교환부일 수 있다.
현열교환기(5)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의 히팅부(20)와 연결된 히팅 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열교환기(5)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의 프리쿨러부(20)와 연결된 프리쿨러 핀(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6)은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어느 하나(H1)와 펌프(8)를 연결하는 펌프 연결배관(70, 도 2 참조)와,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다른 하나(H12)와 저장조(7)을 연결하는 저장조 연결배관(8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7)와 펌프(8)는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저장조 펌프 연결배관(90, 도 3 참조)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조(7)와 펌프(8)가 직접 연결될 경우, 저장조(7)의 출구부는 펌프(8)의 입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조(7)는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가 담겨지는 것으로서, 배관(6)의 액체 유동 방향으로 펌프(8)의 전,후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조(7)는 현열교환기(6)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8)는 액체가 배관(6)을 순환할 수 있도록 액체를 펌핑시키는 것으로서, 현열교환기(5)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8)는 속도 가변형 펌프로 구성될 수 있고, 입력 전류값에 따라 최대 출력까지 제어될 수 있다.
제습기는 현열교환기(5)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00)는 프리쿨러부(20)로 유입되는 액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히팅부(10) 출구(12)와 프리쿨러부(20) 입구(22) 사이의 온도를 센싱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100)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히팅부(10) 출구(12)와 프리쿨러부(20) 입구(22)를 잇는 리턴부(30)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100)는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H1~H12) 중 입구측 단위 열교환부(H1)의 제1리턴부(30)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100)는 센싱된 센싱값의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습기는 증발기(2)에 설치된 증발기 온도센서(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온도센서(102)는 증발기(3)에 설치될 수 있고, 센싱된 센싱값의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습기는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외기센서(104)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센서(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기센서(104)와 습도센서(106) 각각은 센싱된 센싱값의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제습기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등의 저장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팬(4), 펌프(8) 및 압축기(17)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습기의 운전시, 팬(4)과 펌프(8) 및 압축기(17)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펌프(8)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외기센서(104)에서 센싱된 외기온도와 습도센서(106)에서 센싱된 습도에 의해 프리쿨러부(2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노점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산출된 노점온도를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이 최소화되게 펌프(8)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증발기(2)의 착상이 최소화되게 펌프(8)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고 증발기(2)의 착상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 펌프(8)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될 조건이거나 증발기(2)의 착상이 생성될 조건이면, 펌프(8)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하지 않고 최대 출력 보다 낮은 출력으로 펌프(8)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리턴부(30)의 온도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고,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리턴부(30)의 온도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면, 프리쿨러부(20)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고, 제어부(110)는 배관(6) 내 액체가 최대한 신속하게 히팅부(10)와 프리쿨러부(20)를 순환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는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있다.
여기서, 설정온도는 증발기(2)에 착상이 생성되지 않는 온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O℃ 일 수 있다.
한편,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O℃와 같이 고온이면, 증발기(2)에는 서리가 생성되지 않고, 이 경우에도 제어부(110)는 배관(6) 내 액체가 최대한 신속하게 히팅부(10)와 프리쿨러부(20)를 순환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는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있다.
즉, 리턴부(30)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인 조건은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는 제1조건일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면, O℃) 이상인 조건은 증발기(2)에 착상이 발생되지 않는 제2조건일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이러한 제1조건과 제2조건이 모두 만족이면, 펌프(7)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은 제습기의 운전 도중에 리턴부(30)의 온도가 프리쿨러부(20)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보다 낮으면, 펌프(7)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리턴부(30)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이 될 때까지 펌프(7)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제어부(110)는 펌프(7)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고, 이 경우, 프리쿨러부(20)에 응축수가 착상되는 시기는 최대한 지연될 수 있다. 제어부(110)에 의해 펌프(7)의 출력이 낮아지면,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의 유량은 감소되고, 프리쿨러부(20)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의 온도는 펌프(7)가 최대 출력으로 제어되는 경우 보다 승온되며, 프리쿨러부(20)의 응축수 생성은 최소화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습기 기동 후 초기 설정시간(예를 들면, 10분) 경과 이후에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고,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변동값(예를 들면, 0.5℃) 이상 감소되면, 펌프(7)의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초기 설정시간은 제습기의 운전시, 사이클이 안정화될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사이클이 안정화된 이후에 센싱된 증발온도의 변화에 따라, 펌프(7)의 출력을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온도는 증발기(2)에 착상이 생성되지 않는 온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O℃ 일 수 있다.
그리고, 설정온도 변동값은 증발기(2)의 착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변동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0.5℃ 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안정화 시간인 초기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은 조건과, 초기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의 증발온도의 변화값(즉, 이전 안정화 증발온도- 현재 안정화 증발온도)이 설정온도 변동값(예를 들면, 0.5℃) 초과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증발기(2)에 착상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펌프(7)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온도 변동값이 0.5℃ 이고, 초기 설정시간 이후에 측정된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1℃이며, 그 이후에 측정된 현재 증발기(2)의 증발온도가 -2℃이면, 증발기(2)의 증발온도는 설정온도 변동값인 0.5 ℃ 이상 감소된 상태이고, 제어부(110)는 펌프(7)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습기의 운전 도중에 펌프(7)의 출력을 낮추면, 배관(6)을 순환하는 액체의 유량은 감소되고, 프리쿨러부(2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는 펌프(7)가 최대 출력으로 제어될 때 보다 높으며, 증발기(2)에는 펌프(7)가 최대 출력으로 제어될 때 보다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고, 증발기(2)의 착상은 최대한 지연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열교환기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2')(H3')(S4')(S5')(H6') 각각이 한 쌍의 히팅부(10')와 한 쌍의 프리쿨러부(20')와 제1리턴부(30) 및 제2리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히팅부(10')는 리턴밴드(19)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프리쿨러부(20')는 리턴밴드(29)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리턴부(30)는 한 쌍의 히팅부(10') 중 하나와 한 쌍의 프리쿨러부(20') 중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제2리턴부(30)는 한 쌍의 프리쿨러부(20') 중 다른 하나와 배관(6)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타 단위 열교환부의 한 쌍의 히팅부(1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리턴부(30) 및 제2리턴부(4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H1')(H2')(H3')(S4')(S5')(H6') 각각은 증발기(2)의 후방과 증발기(2)의 좌우 중 일측과 증발기(2)의 전방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 히팅부(10') 및 2개 프리쿨러부(20')가 단위 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증발기 3: 응축기
4: 팬; 5: 현열교환기
6: 배관 7: 저장조
8: 펌프 10: 히팅부
20: 증발부 110: 제어부

Claims (9)

  1.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기와;
    공기를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 순서로 유동시키는 팬과;
    액체가 순환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이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히팅부와 상기 증발기 이전에 위치하는 프리쿨러부를 포함하는 현열교환기와;
    상기 배관에 배치된 저장조 및 펌프와;
    상기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열교환기는 상기 액체의 유동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 각각은
    상기 히팅부 및 프리쿨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를 통과한 액체를 상기 프리쿨러부로 안내하는 제1리턴부와,
    상기 프리쿨러부를 통과한 액체를 타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로 안내하는 제2리턴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열교환부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제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열교환기는
    상기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프리쿨러부와 연결된 프리쿨러 핀과,
    상기 복수개 단위 열교환부의 히팅부와 연결된 히팅 핀을 더 포함하는 제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 출구와 프리쿨러부 입구 사이의 리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부의 온도가 상기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상이고,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펌프를 최대 출력으로 제어하는 제습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부의 온도가 상기 프리쿨러부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의 출력을 낮추는 제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부의 온도가 상기 노점온도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펌프의 출력을 낮추는 제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습기 기동 후 초기 설정시간 경과 이후에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고,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가 설정온도 변동값 이상 감소되면, 상기 펌프의 출력을 낮추는 제습기.
KR1020180087284A 2018-07-26 2018-07-26 제습기 KR10209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84A KR102095000B1 (ko) 2018-07-26 2018-07-26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84A KR102095000B1 (ko) 2018-07-26 2018-07-26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44A true KR20200012244A (ko) 2020-02-05
KR102095000B1 KR102095000B1 (ko) 2020-04-23

Family

ID=6951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284A KR102095000B1 (ko) 2018-07-26 2018-07-26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3590B (zh) * 2021-01-12 2021-11-23 南京航空航天大学 带双预冷系统的镶嵌泡沫翅片板的蒸发式冷凝器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397A (ko) 2021-01-11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864A (ko) 2011-07-13 2013-01-23 (주)에이치박엔지니어링 히트파이프가 구비된 제습기용 증발기
KR101578532B1 (ko) * 2015-06-23 2015-12-17 온시스텍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제습 공조기.
KR20170061935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864A (ko) 2011-07-13 2013-01-23 (주)에이치박엔지니어링 히트파이프가 구비된 제습기용 증발기
KR101578532B1 (ko) * 2015-06-23 2015-12-17 온시스텍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제습 공조기.
KR20170061935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3590B (zh) * 2021-01-12 2021-11-23 南京航空航天大学 带双预冷系统的镶嵌泡沫翅片板的蒸发式冷凝器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000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7872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43844B2 (en) Desiccant-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40190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ditioned air to an enclosed structure
US9874365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5983451B2 (ja) 暖房システム
WO2005095865A1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73599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JP2009106889A (ja) 調湿装置
JP4783048B2 (ja) 恒温恒湿装置
KR102095000B1 (ko) 제습기
WO2015125250A1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KR101729581B1 (ko)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US6935132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0281522A (ja) 換気装置
KR101122725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KR102133974B1 (ko) 식재료 건조 시스템
KR20180138486A (ko) 제습기
KR101987788B1 (ko) 제습 장치
JP5811729B2 (ja) 空調システム
CN220473894U (zh) 调湿模组及橱柜
JP2011012882A (ja) 調湿装置
JP2006004254A (ja) 自動販売機
JP6015436B2 (ja) 調湿装置
CN117991835A (zh) 调湿模组及橱柜
JP2010139144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