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064A -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064A
KR20200012064A KR1020180086723A KR20180086723A KR20200012064A KR 20200012064 A KR20200012064 A KR 20200012064A KR 1020180086723 A KR1020180086723 A KR 1020180086723A KR 20180086723 A KR20180086723 A KR 20180086723A KR 20200012064 A KR20200012064 A KR 20200012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effect
war
space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봉
이유석
최준민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최재봉
최준민
이재원
이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봉, 최준민, 이재원, 이유석 filed Critical 최재봉
Priority to KR102018008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064A/ko
Publication of KR2020001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공간강화효과의 발생조건과 비교한 후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내의 강화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여 그 강화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일괄적으로 강화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아군 사용자 캐릭터들이 그러한 공간강화효과를 받기 위해 사용자 캐릭터 주변으로 몰릴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군집 형태의 전쟁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한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ONLINE GAME CAPABLE OF INDUCING COMMUNITY TYPE BATTLE}
본 발명은 게임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공간강화효과의 발생조건과 비교한 후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내의 강화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여 그 강화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일괄적으로 강화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아군 사용자 캐릭터들이 그러한 공간강화효과를 받기 위해 사용자 캐릭터 주변으로 몰릴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군집 형태의 전쟁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한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게임들 중 다양한 세계관을 토대로 한 맵을 제공하고, 그 맵 상에서 상대방 캐릭터를 타격하여 소멸시키는 등 사용자 캐릭터 상호간에 전투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한 명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들이 그룹을 이루거나 단체를 구성한 후 상대방 그룹 또는 단체와 겨루는 전쟁을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복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하게 되는 전쟁의 경우 승리의 보상으로 특정 지역에 대한 지배권과 다양한 아이템 및 버프효과를 받게 되므로, 많은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상대방 그룹 또는 단체와 승부를 겨루곤 한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전쟁에 함께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실제 멀리 떨어진 상태로 전쟁에 참여하게 되고, 전쟁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각자 보유하고 있는 캐릭터의 능력에 따라 상대방 캐릭터와 겨루게 되는바, 전쟁임에도 개별적인 전투와의 차이를 크기 느끼지 못하곤 하였다.
즉, 전쟁에 참여하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군집을 형성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상대방 캐릭터들과 단체로 겨루어야 개별적인 전투와는 다른 대규모 전쟁의 재미를 느낄 수 있고 그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에도, 이러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군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강제하는 수단이 없어 시간이 지날수록 전쟁에 대한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33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3488호
본 발명은,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공간강화효과의 발생조건과 비교한 후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내의 강화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여 그 강화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일괄적으로 강화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아군 사용자 캐릭터들이 그러한 공간강화효과를 받기 위해 사용자 캐릭터 주변으로 몰릴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군집 형태의 전쟁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한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은, 통신망상에서 게임서버에 접속한 후 맵 상에 표출되는 사용자 캐릭터를 조작하여 상대방 캐릭터와 전투 및 전쟁을 수행하는 게임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캐릭터가 맵 상에서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한 전쟁영역에 진입하면 캐릭터들이 아군과 적군으로 구분되어 전쟁영역 상에 표출되는 전쟁영역 진입단계; 상기 전쟁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진행되는 개별적인 전투를 통해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인 킬 카운트(kill count)를 상승시키는 킬 카운팅 단계;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인 킬 카운트를 미리 설정된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과 비교하여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발현조건 판단단계; 및 상기 킬 카운트가 발현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내의 강화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여 그 강화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강화효과를 부여하는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는,
발현조건을 만족시키는 킬 카운트를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의 주변에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할 강화영역의 범위를 특정하는 영역 특정과정; 상기 영역 특정과정에서 특정된 강화영역 전체에 걸쳐 사용자 캐릭터가 충족시킨 발현조건에 상응하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하고 활성화시키는 공간강화효과 발현과정; 및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아군 캐릭터들의 위치정보를 공간강화효과가 부여되는 강화영역의 맵 상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강화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아군 캐릭터에게 그 강화영역에 활성화되어 있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하는 영역별 아군 강화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역 특정과정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 내의 범위로 설정된 강화영역은, 전쟁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바뀔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충족시킨 둘 이상의 사용자 캐릭터에 의해 특정되는 강화영역의 위치정보가 중첩되는 경우, 중첩되는 강화영역에서 발현될 공간강화효과들 중 레벨이 가장 높은 하나의 공간강화효과를 선택하여 강화영역에 발현시키는 중첩효과 수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에서 일정한 발현조건을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에 의해 강화영역에 구현된 공간강화효과의 레벨을 성장시키기 위해, 증가된 사용자 캐릭터의 킬 카운트를 미리 설정된 레벨별 성장조건과 비교하면서 레벨을 성장여부를 판단하는 공간강화효과 성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내의 강화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여 그 강화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일괄적으로 강화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아군 사용자 캐릭터들이 그러한 공간강화효과를 받기 위해 사용자 캐릭터 주변으로 몰릴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군집 형태의 전쟁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 및 레벨 성장조건을 나타내는 예시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발현 및 성장된 공간강화효과의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표.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 및 레벨 성장조건을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에 부여되는 보상 버프의 예시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은, 통신망상에서 게임서버에 접속한 후 맵 상에 표출되는 사용자 캐릭터를 조작하여 상대방 캐릭터와 전투 및 전쟁을 수행하는 게임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캐릭터가 맵 상에서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한 전쟁영역에 진입하면 캐릭터들이 아군과 적군으로 구분되어 전쟁영역 상에 표출되는 전쟁영역 진입단계(S100)와, 상기 전쟁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진행되는 개별적인 전투를 통해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인 킬 카운트(kill count)를 상승시키는 킬 카운팅 단계(S200)와,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인 킬 카운트를 미리 설정된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과 비교하여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발현조건 판단단계(S300)와, 상기 킬 카운트가 발현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내의 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여 그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강화효과를 부여하는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은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 단말기와 같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상에서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상대방 캐릭터에 타격을 가하여 소멸시킬 수 있게 한 전투형 온라인 게임으로서, 다수의 캐릭터들을 아군과 적군으로 나눈 후 상대방 그룹인 적군에 속하는 캐릭터를 소멸시키는 전쟁이나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RPG 게임이나 쟁게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쟁영역 진입단계(S100)는, 온라인 게임을 위해 제공되는 맵 상에서 아군과 적군으로 나누어 여러 캐릭터들 상호 간에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전쟁영역을 선택하면, 자신이 속해있는 그룹에 의해 아군과 적군으로 구분된 상태로 전쟁역역의 맵 상에 캐릭터가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한 영역에 표출되는 캐릭터의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들이 아군 캐릭터와 적군 캐릭터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온라인 게임을 위해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각 캐릭터들은 이미 고유의 외형과 색상을 갖고 있는바, 캐릭터 자체의 외형과 색상은 유지한 상태에서 캐릭터 주변에 표출되는 캐릭터 명칭의 색을 변경 표출(예를 들어, 아군은 파란색 캐릭터 명칭, 적군은 붉은색 캐릭터 명칭)하여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한 영역 내에서 함께 표출되는 다수의 캐릭터들 중 공격할 적군 사용자 캐릭터와 군집을 이루어야 할 아군 사용자 캐릭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킬 카운팅 단계(S200)는, 게임서버에서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한 전쟁영역에 진입한 사용자 캐릭터마다 그 사용자 캐릭터가 개별적인 전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인 킬 카운트(Kill count)를 카운팅하며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게임서버는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몬스터나 적군 NPC를 소멸시킨 경우에는 상승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적군 상대방 캐릭터가 소멸된 경우에만 킬 카운트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킬 카운팅 단계(S200)에서 카운팅되며 누적 상승되던 킬 카운트는 그 사용자 캐릭터가 적군 캐릭터의 공격에 의해 소멸될 경우 초기화되어, 부활한 후에는 킬 카운트가 다시 처음부터 카운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 캐릭터가 전쟁영역을 벗어나 외부로 나갈 경우에도 누적되던 킬 카운트가 초기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킬 카운트가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충족시켜 사용자 캐릭터 주변의 강화영역 내에 위치하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공간강화효과의 지속시간이 종료하게 될 경우에도, 그러한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충족시켰던 사용자 캐릭터의 킬 카운트가 초기화된 후 다시 처음부터 카운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현조건 판단단계(S300)는,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서버에서 상기 킬 카운팅 단계(S200)에서 누적된 각 사용자 캐릭터의 킬 카운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상의 킬 카운트와 비교하여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게임서버에서는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킬 카운트의 개수를 적군 상대방 캐릭터 1명으로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적군 상대방 캐릭터를 소멸시킬 경우 바로 공간강화효과가 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킬 카운트의 개수를 그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이 까다롭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이 충족되어 어느 아군 캐릭터에 의해 공간강화효과가 발생된다면 다른 아군 사용자 캐릭터들이 그러한 공간강화효과를 받기 위해 그 아군 캐릭터 주변으로 몰려오게 됨으로써, 전쟁 중 자연스럽게 군집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개별적인 전투뿐만 아니라 군집 단위의 전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S400)는, 사용자 캐릭터가 달성한 킬 카운트가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전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 내에서 사용자 캐릭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 주변의 일정 범위 내 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시킴으로써, 적군 캐릭터와 전투를 수행하고 있는 아군 캐릭터들에게 구현된 공간강화효과가 미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S400)는, 발현조건을 만족시키는 킬 카운트를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의 주변에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할 강화영역의 범위를 특정하는 영역 특정과정(S410)과, 상기 영역 특정과정에서 특정된 강화영역 전체에 걸쳐 사용자 캐릭터가 충족시킨 발현조건에 상응하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하고 활성화시키는 공간강화효과 발현과정(S420)과,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아군 캐릭터들의 위치정보를 공간강화효과가 부여되는 강화영역의 맵 상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강화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아군 캐릭터에게 그 강화영역에 활성화되어 있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하는 영역별 아군 강화과정(S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역 특정과정(S410)은, 사용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하는 주변 영역을 공간강화효과가 부여되는 강화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강화영역의 크기는 전쟁의 규모나 맵의 규모 또는 상대방 캐릭터와의 전투에 필요한 공간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맵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축척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를 중심으로 한 20 ~ 30m 반경 이내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 내의 범위로 설정된 강화영역은, 전쟁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바뀌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캐릭터에 의해 구현된 강화영역이 사용자 캐릭터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함으로써, 아군 캐릭터들이 공간강화효과를 누리기 위해 사용자 캐릭터를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아군 캐릭터와 적군 캐릭터 상호간의 개별적인 전투를 벗어나 군집 단위의 전쟁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간강화효과 발현과정(S420)은, 상기 영역 특정과정에서 특정된 강화영역 전체에 걸쳐 그 강화영역에 진입하는 아군 캐릭터들이 받을 수 있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강화영역에 활성화된 공간강화효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군 캐릭터들의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효과일 수 있음은 물론, 방어력 강화, 회복시간 단축, 이동속도 증가, 회피율 증가, 아이템 획득확률 증가 등 다양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 내의 강화영역에 공간강화효과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아군 캐릭터 사용자들이 인지할 수 있게 한 다양한 이펙트(effect)가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만족시킨 사용자 캐릭터에도 별도의 이펙트(예를 들어, 깃발, 날개 등)가 부여되어 함께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공간강화효과에 대한 이펙트를 표출시키지 않고 강화영역내에 위치하는 각 아군 캐릭터들의 능력창 또는 버프창에 강화효과가 적용되고 있음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상호 겹치는 강화영역 내에 있는 아군 캐릭터들 중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충족시킨 사용자 캐릭터가 복수로 판단된 경우, 겹쳐지는 강화영역에서 발현될 공간강화효과의 레벨이 가장 높은 하나의 공간강화효과만이 발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충족시킨 둘 이상의 사용자 캐릭터에 의해 특정되는 강화영역의 위치정보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중첩되는 강화영역에서 발현될 공간강화효과들 중 레벨이 가장 높은 하나의 공간강화효과를 선택하여 강화영역에 발현시키는 중첩효과 수정과정(S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역별 아군 강화과정(S430)은,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아군 캐릭터들의 위치정보를 공간강화효과가 부여되어 있는 강화영역의 맵 상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위치정보가 강화영역 이내인 것으로 판단된 아군 캐릭터에게 그 강화영역에 활성화되어 있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강화영역 내에 위치하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이 공간강화효과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아군 캐릭터의 위치가 강화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부여받고 있던 공간강화효과도 소멸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쟁을 하는 동안 공간강화효과를 받기 위해서는 아군 캐릭터들이 강화영역을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개별적인 전투에 치중하였던 종래의 온라인 게임과 달리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S400)에서 일정한 발현조건을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에 의해 강화영역에 구현된 공간강화효과의 레벨을 사용자 캐릭터의 킬 카운트 증가에 따라 상승시키는 공간강화효과 성장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공간강화효과 성장단계(S500)는,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달성한 이후에도 적군 상대방 캐릭터를 계속 소멸시켜 킬 카운트가 계속 증가하면, 그 증가 정도를 카운팅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별 성장조건과 비교하면서 레벨 성장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공간강화효과를 1 레벨부터 5 레벨까지 성장시킬 수 있게 하고, 1 레벨은 적군 상대방 캐릭터 1명을 소멸시킬 경우 달성되어 강화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아군 캐릭터들의 공격력이 2% 상승하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받을 수 있게 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사용자 캐릭터가 계속하여 적군 상대방 캐릭터를 연속적으로 소멸시켜 그 킬 카운트가 3명에 이르게 되면 공간강화효과가 2레벨로 성장하고 그 결과 강화영역 내에 부여되는 공격력이 4%까지 상승하며, 계속하여 킬 카운트가 8명, 15명, 25명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공간강화효과도 3레벨, 4레벨, 및 5레벨로 성장하면서 강화영역 내에 부여되는 공격력도 6%, 8%, 및 10% 에 이르기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강화효과의 성장조건이나 그로 인한 공간강화효과의 상승 정도를 이와 달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공간강화효과가 성장하면 강화영역내의 아군 캐릭터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되므로, 아군 캐릭터들은 높은 레벨의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고 있는 사용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모이게 되어 군집 형태의 전쟁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높은 킬 카운트를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보상 버프가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공되는 보상 버프의 종류는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상 버프도 공간강화효과의 성장처럼, 킬 카운트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공간강화효과를 발현시켰던 사용자 캐릭터가 적군 상대방 캐릭터에 의해 소멸되면, 강화영역에 구현되던 공간강화효과가 사라지면서 누적되었던 킬 카운트가 초기화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 캐릭터를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에게는 사용자 캐릭터가 구현하고 있던 공간강화효과의 레벨에 따라 차등적인 보상이 추가적으로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S100 : 전쟁지역 진입단계
S200 : 킬 카운팅 단계
S300 : 발현조건 판단단계
S400 :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 S410 : 영역 특정과정
S420 : 공간강화효과 발현과정 S430 : 영역별 아군 강화과정
S440 : 중첩효과 수정과정
S500 : 공간강화효과 성장단계

Claims (5)

  1. 통신망상에서 게임서버에 접속한 후 맵 상에 표출되는 사용자 캐릭터를 조작하여 상대방 캐릭터와 전투 및 전쟁을 수행하는 게임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캐릭터가 맵 상에서 군집 형태의 전쟁이 가능한 전쟁영역에 진입하면 캐릭터들이 아군과 적군으로 구분되어 전쟁영역 상에 표출되는 전쟁영역 진입단계;
    상기 전쟁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진행되는 개별적인 전투를 통해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인 킬 카운트(kill count)를 상승시키는 킬 카운팅 단계;
    사용자 캐릭터가 연속적으로 소멸시킨 적군 상대방 캐릭터의 개수인 킬 카운트를 미리 설정된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과 비교하여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발현조건 판단단계; 및
    상기 킬 카운트가 발현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 캐릭터 주변 일정 범위내의 강화공간에 공간강화효과를 구현하여 그 강화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아군 캐릭터들에게 강화효과를 부여하는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는,
    발현조건을 만족시키는 킬 카운트를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의 주변에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할 강화영역의 범위를 특정하는 영역 특정과정;
    상기 영역 특정과정에서 특정된 강화영역 전체에 걸쳐 사용자 캐릭터가 충족시킨 발현조건에 상응하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하고 활성화시키는 공간강화효과 발현과정; 및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아군 캐릭터들의 위치정보를 공간강화효과가 부여되는 강화영역의 맵 상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강화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아군 캐릭터에게 그 강화영역에 활성화되어 있는 공간강화효과를 부여하는 영역별 아군 강화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특정과정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 내의 범위로 설정된 강화영역은, 전쟁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바뀔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강화효과의 발현조건을 충족시킨 둘 이상의 사용자 캐릭터에 의해 특정되는 강화영역의 위치정보가 중첩되는 경우, 중첩되는 강화영역에서 발현될 공간강화효과들 중 레벨이 가장 높은 하나의 공간강화효과를 선택하여 강화영역에 발현시키는 중첩효과 수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강화효과 구현단계에서 일정한 발현조건을 달성한 사용자 캐릭터에 의해 강화영역에 구현된 공간강화효과의 레벨을 성장시키기 위해, 증가된 사용자 캐릭터의 킬 카운트를 미리 설정된 레벨별 성장조건과 비교하면서 레벨을 성장여부를 판단하는 공간강화효과 성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KR1020180086723A 2018-07-25 2018-07-25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KR20200012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23A KR20200012064A (ko) 2018-07-25 2018-07-25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23A KR20200012064A (ko) 2018-07-25 2018-07-25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64A true KR20200012064A (ko) 2020-02-05

Family

ID=6951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23A KR20200012064A (ko) 2018-07-25 2018-07-25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20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488A (ko) 2014-01-09 2015-07-20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게임 제공 서버
KR101543312B1 (ko) 2014-01-02 2015-08-12 유재일 온라인 게임에서의 플레이어 캐릭터간 상호 관계 형성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312B1 (ko) 2014-01-02 2015-08-12 유재일 온라인 게임에서의 플레이어 캐릭터간 상호 관계 형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83488A (ko) 2014-01-09 2015-07-20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게임 제공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rke et al. How computer gamers experience the game situation: a behavioral study
JP7460060B2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980849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214562A1 (en) Massively mutliplayer online first person shooting g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Conway Hyper-ludicity, contra-ludicity, and the digital game
JP715740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69826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70087236A (ko) 게임에서의 동적 난이도와 절차적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113725B1 (ko) 게임 단말, 게임 제공 방법, 및 게임 소프트웨어
KR20200012064A (ko) 군집 형태의 전쟁 유도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JP741791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601682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chweizer 14 DIFFICULTY
JP2016007339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
Tan et al. Adaptive game AI for Gomoku
KR20200012065A (ko) 진법 발현에 의한 공간강화가 가능한 게임제공방법
US11673055B2 (en) System and method of challenge generation
Brock An Analysis of the History and Ethics of Video Games
Redder Playing in a Virtual Medieval World: Video Game Adaptations of England through Role-Play
US20240108986A1 (en) Game system, game method, game program, and game server
KR20130001364A (ko) 주사위를 도구로 사용하는 전자식 오목 게임 방법
KR102663592B1 (ko) 게이밍 가상 공간에서 적군의 부활 방법 및 장치
KR20120076612A (ko)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Hiltscher Dota 2 and League of Legends
Lakkaraju Conflict and Communication in Massively-Multiplayer Online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