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815A -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815A
KR20200011815A KR1020180086761A KR20180086761A KR20200011815A KR 20200011815 A KR20200011815 A KR 20200011815A KR 1020180086761 A KR1020180086761 A KR 1020180086761A KR 20180086761 A KR20180086761 A KR 20180086761A KR 20200011815 A KR20200011815 A KR 20200011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lid
release button
button
mixing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407B1 (ko
Inventor
이광룡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8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4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뚜껑부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믹싱 보울이 쿠킹 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뚜껑부가 믹싱 보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믹싱 보울이 본체부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져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COOKER HAVING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쿠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뚜껑부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믹싱 보울이 쿠킹 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뚜껑부가 믹싱 보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믹싱 보울이 본체부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져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음식물 등의 조리를 수행하는 쿠킹 장치는, 구체적으로 소정의 동력 장치가 내장되는 본체부와, 본체부 상에 결합되며 조리 재료 등이 투입되는 믹싱 보울, 및 믹싱 보울 상에 놓여 믹싱 보울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쿠킹 장치를 사용할 때, 쿠킹 장치의 본체부가 아직 작동 중이거나, 또는 본체부의 동력 장치가 아직 회전하는 도중에 급하게 믹싱 보울을 분리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체부의 동력 장치와 믹싱 보울 사이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력 장치에 의해서 믹싱 보울 및 본체부의 동력 장치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을 완전히 정지한 이후에 믹싱 보울이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 10-185518
본 발명의 과제는,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뚜껑부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믹싱 보울이 쿠킹 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뚜껑부가 믹싱 보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믹싱 보울이 본체부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져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 장치는, 본체부; 소정의 보울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 상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는 믹싱 보울; 및 상기 믹싱 보울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보울은, 음식물이 투입되는 보울 본체, 상기 보울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는 보울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울 손잡이부는, 상기 믹싱 보울을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는 보울 고정 모듈, 및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덮여져 결합되면 상기 보울 고정 모듈의 작동을 제한하는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울 손잡이부는 상기 보울 손잡이부의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보울 본체의 일 측에 고정되고 상기 보울 고정 모듈 및 상기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이 내부에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울 고정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분리 버튼, 상기 분리 버튼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버튼 스프링, 및 상기 분리 버튼에 의해서 작동하며 상기 본체부에 로킹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은,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덮어져 결합되면 상기 분리 버튼을 눌러서 고정시켜서 상기 잠금 부재의 작동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버튼은 상하로 변위하되, 상기 버튼 스프링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은, 상기 분리 버튼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방향으로 노출되는 잠금 로드, 및 상기 잠금 로드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로드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로드는,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없을 때에는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덮어져서 결합되면 상기 뚜껑부에 의해서 눌려져서 하단이 상기 분리 버튼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버튼은, 상부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로드 투입부를 갖고, 상기 잠금 로드는, 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로드 스프링은 상기 로드 투입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 버튼과 상기 잠금 로드의 지지부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보울 손잡이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보울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는 상기 믹싱 보울 상에 놓인 후 상기 믹싱 보울 상에서 선회하여 상기 뚜껑 손잡이부와 상기 보울 손잡이부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로드는, 상부에 라운딩을 갖는 헤드부를 갖고, 상기 뚜껑 손잡이부는, 상기 믹싱 보울 상에서 슬라이딩 선회할 때 상기 헤드부를 눌러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돌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울 고정 모듈은, 상기 잠금 부재를 로킹 상태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분리 버튼의 변위에 따라서 회동하여, 상기 분리 버튼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방향으로 눌러지면 언로킹 상태가 되며, 상기 분리 버튼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로킹 상태가 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에 의하면,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뚜껑부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믹싱 보울이 쿠킹 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뚜껑부가 믹싱 보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믹싱 보울을 본체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쿠킹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믹싱 보울이 본체부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예상치 못한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쿠킹 장치를 사용한 후, 본체부의 동력 장치가 아직 작동하는 상태일 때, 믹싱 보울을 임의로 분리하였다가 놓쳐서 본체부에 구비된 동력 장치와 믹싱 보울이 충돌하여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쿠킹 장치의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본체부 내에 구비된 동력 장치는 완전히 회전을 중단하기 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잔여 회전이 남은 상태에서 믹싱 보울을 이탈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킨 후 놓칠 때에는 충돌에 의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이 종료된 쿠킹 장치의 뚜껑부가 먼저 분리된 후에, 믹싱 보울이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본체부에 구비된 동력 장치가 완전히 동작을 중단한 후에 믹싱 보울이 분리되게 되어, 각종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과 본체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에 구비된 보울 손잡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은 분리 버튼의 조작에 따른 보울 고정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 는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의 동작에 따른 분리 버튼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믹싱 보울과 뚜껑부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과 본체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는, 본체부(10), 믹싱 보울(20), 및 뚜껑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는 내부에 각종 동력 장치, 및 쿠킹 장치 등이 내장되어 동력을 제공하거나, 고온을 제공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이다. 또한, 본체부(10)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제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 상에는 믹싱 보울(20)이 투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함몰 투입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부(10)의 양 측에는 믹싱 보울(20)의 보울 손잡이부(100)가 놓여져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2)에는 믹싱 보울(20)이 로킹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잠금 돌부(14)를 가질 수 있다.
믹싱 보울(20)은 본체부(10) 내에 투입될 수 있는 보울(bowl)형태의 부재이다. 믹싱 보울(20)은 조리 재료가 투입될 수 있는 보울 본체(22), 및 보울 본체(22) 상에 구비되는 보울 손잡이부(100)를 구비한다.
보울 본체(22)는 조리 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보울 형태로 구성된다. 보울 본체(22)는 본체부(10)에 구비된 각종 동력 장치와 연결되어, 보울 본체(22) 내에 투입된 조리 재료의 절단, 분쇄, 가열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보울 손잡이부(100)는 믹싱 보울(20)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믹싱 보울(20)을 잡아서 옮기고 본체부(10) 내에 투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믹싱 보울(20)이 본체부(10) 내에 투입되었을 때, 보울 손잡이부(100)는 본체부(10)의 안착부(1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보울 손잡이부(10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뚜껑부(30)는 믹싱 보울(20) 상에 덮여지는 소정의 뚜껑으로 구성된다. 뚜껑부(30)는 뚜껑 바디(32) 및, 뚜껑 손잡이부(34)를 갖는다. 뚜껑 바디(32)는 믹싱 보울(20)을 덮는 부분으로서, 믹싱 보울(20)의 외형에 따라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뚜껑 바디(32)는 상부를 구성하는 탑 커버와, 하부를 구성하는 이너 커버를 구비하며, 탑 커버와 이너 커버는 서로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뚜껑부(30)를 믹싱 보울(20) 상에 덮었을 때 이너 커버가 믹싱 보울(20) 상에 밀착할 수 있으며, 탑 커버가 믹싱 보울(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뚜껑 손잡이부(34)는 사용자가 뚜껑부(30)를 옮길 때 잡을 수 있는 부분이면서, 동시에 믹싱 보울(20)의 보울 손잡이부(100) 상에 놓여져 보울 손잡이부(100)와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뚜껑부(30)의 뚜껑 손잡이부(34)와 믹싱 보울(20)의 보울 손잡이부(100)가 서로 고정되면 믹싱 보울(20)과 뚜껑부(3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뚜껑 손잡이부(34)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로킹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로킹부(미도시)는 믹싱 보울(20)과 뚜껑부(30)가 서로 결합될 때 믹싱 보울(20)의 보울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투입됨으로써 뚜껑 손잡이부(34)와 보울 손잡이부(10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20)에 구비된 보울 손잡이부(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 은 분리 버튼(120)의 조작에 따른 보울 고정 모듈(T)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 는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의 동작에 따른 분리 버튼(12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믹싱 보울(20)에 구비된 보울 손잡이부(100), 및 보울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보울 고정 모듈(T)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은 믹싱 보울(20)이 본체부(10)에 투입되었을 때의 보울 손잡이부(100)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4 는 보울 손잡이부(100)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는 보울 손잡이부(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보울 손잡이부(100)는 외면을 구성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에 탑재되는 보울 고정 모듈(T), 및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을 포함한다. 보울 고정 모듈(T)은 하우징(110)의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분리 버튼(120),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 버튼(120)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는 잠금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은 분리 버튼(120)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는 부재이다.
하우징(110)은 보울 손잡이부(100)의 외면을 구성하며, 믹싱 보울(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고정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탑재 공간(112)이 형성되어 잠금 부재(130), 분리 버튼(120), 및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이 탑재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탑재 공간(112) 내에는 상기 본체부(10) 내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누를 수 있는 소정의 푸시 로드 스위치가 탑재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측 하부에는 분리 버튼(120)이 하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홀(114)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잠금 부재(130)가 하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로킹 홀(116)이 형성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이 상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홀(118)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부 홀(118) 방향으로 안내되는 소정의 가이드 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부(30)의 뚜껑 손잡이부(34)의 하부에는, 뚜껑부(30)가 믹싱 보울(20)에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 홈(119)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상부 홀(118)에 위치한 잠금 로드(210)를 누를 수 있는 소정의 프레싱 돌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보울 고정 모듈(T)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리 버튼(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되, 하단부가 버튼 홀(114)을 통해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분리 버튼(120)은 상부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투입부(122)를 가져서, 후술하는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이 상기 투입부(122) 내에 투입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분리 버튼(120) 상에는 분리 버튼(120)을 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버튼 스프링(124)이 구비될 수 있다. 분리 버튼(120)의 상부에는 상기 버튼 스프링(12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확장된 스프링 지지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잠금 부재(130)는 본체부(10)에 구비된 잠금 돌부(114)에 로킹될 수 있는 부재로서, 믹싱 보울(20)을 본체부(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잠금 부재(130)는 분리 버튼(120)의 조작에 따라서 로킹 상태 및 언로킹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부재(130)는 제1 로킹 링크(140), 제2 로킹 링크(150), 샤프트(160), 및 토션 스프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로킹 링크(140)는 소정의 바 형태의 부재로서, 일 단이 상기 분리 버튼(120)과 연결되며 타 단은 제2 로킹 링크(150)와 연결되는 부재이다. 제1 로킹 링크(140)는 시소 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분리 버튼(120)에 의해서 일 단이 상하로 변위할 수 있으며, 타 단은 그 반대로 상하로 변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제2 로킹 링크(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절곡되게 구성된 절곡부를 갖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연장된 2 개의 암을 갖는 L 자 형태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로킹 링크(150)는 일 단은 상기 제1 로킹 링크(140)와 연결되도록 소정의 회동 연결부(154)를 가지며, 타 단에는 잠금 돌부(14)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152)를 갖는다. 제2 로킹 링크(150)의 중심에는 소정의 샤프트(160)가 연결될 수 있는 샤프트 연결부(156)가 구비된다.
샤프트(160)는 상기 제2 로킹 링크(150)의 샤프트 연결부(156)에 투입되어 제2 로킹 링크(150)의 회동 축으로 기능한다.
토션 스프링(170)은 제2 로킹 링크(150)의 샤프트 연결부(156)와 함께 샤프트(160)가 투입되도록 구성되며, 제2 로킹 링크(150)를 탄성 바이어스한다. 토션 스프링(170)은, 외력이 없을 때 제2 로킹 링크(150)가 로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바이어스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부재(130)가 제 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 내에는 소정의 브라켓(180)이 구비될 수 있다.
잠금 부재(130)가 로킹 상태일 때, 상기 제2 로킹 링크(150)의 타 단에 구비된 체결부(152)는 직립한 자세를 갖는다. 아울러, 잠금 부재(130)가 언로킹 상태로 변하면 상기 제2 로킹 링크(150)는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상기 체결부(152)가 내측 방향(보울 본체(22) 방향)으로 편향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리 버튼(120) 및 잠금 부재(130)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6 은 외력이 없을 때의 보울 손잡이부(100)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7 은 분리 버튼(120)에 대해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보울 손잡이부(1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외력이 없을 때에는, 도 6 과 같이, 분리 버튼(120)은 버튼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제2 로킹 링크(150)는 토션 스프링(170)에 의해서 체결부(152)가 직립한 로킹 상태를 유지한다. 믹싱 보울(20)이 본체부(10) 상에 투입되었을 때, 이와 같은 로킹 상태에서는 체결부(152)가 본체부(10)에 마련된 잠금 돌부(14)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 의 화살표 P 와 같이 분리 버튼(120)에 누름 힘이 가해지면, 화살표 R 과 같이 제2 로킹 링크(150)가 회동한다. 이와 같이 작동하면, 도 7 과 같이 분리 버튼(120)이 버튼 스프링(124)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하면 제1 로킹 링크(140)의 일 단이 상승하고, 타 단이 하강한다. 제1 로킹 링크(140)의 타 단과 연결된 제2 로킹 링크(150)의 일 단 또한 토션 스프링(17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하강하며, 이때 제2 로킹 링크(150)는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 로킹 링크(150)의 타 단에 마련된 체결부(152)가 내측 방향(보울 본체(22) 방향)으로 편향된 자세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언로킹 상태에서는 체결부(152)가 본체부(10)에 마련된 잠금 돌부(14)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믹싱 보울(20)을 본체부(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은 분리 버튼(120) 상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잠금 로드(210), 및 로드 스프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잠금 로드(21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의 헤드부(212), 하단의 로드부(216)를 갖고, 상기 헤드부(212)와 로드부(216) 사이의 중간 부분에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214)를 갖는다.
상부에 구비된 헤드부(212)는 상부 홀(118)을 통해서 하우징(11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헤드부(212)에는 라운딩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12)는 지지부(214)가 하우징(110) 상에 맞닿았을 때 상부 홀(118)을 통해 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212)에 누름 힘이 가해지면 잠금 로드(210)가 하강할 수 있다.
잠금 로드(210)의 하부에 구비된 로드부(216)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분리 버튼(120)의 투입부(122) 상에 위치한다. 잠금 로드(210)가 하강하면 로드부(216)는 투입부(122) 내로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로드(210)는, 헤드부(212)에 외력이 가해져서 헤드부(212)가 상부 홀(118) 내로 투입되었을 때 로드부(216)의 하단부가 분리 버튼(120) 상에 맞닿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로드 스프링(220)은 분리 버튼(120)의 투입부(122) 내에 투입되어 위치하며, 상기 로드부(216)가 내부에 내삽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 스프링(220)은 분리 버튼(120)의 상부 저면과 잠금 로드(210)의 지지부(214) 사이에 위치한다. 로드 스프링(220)은 잠금 로드(210)에 대해 상방향 탄성력을 가하여 잠금 로드(210)를 상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서, 잠금 로드(210) 상에 다른 물체가 없을 때(잠금 로드(210)에 누름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잠금 로드(210)가 분리 버튼(120)을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리 버튼(120)을 상방향으로 누르면 분리 버튼(120)이 상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고, 분리 버튼(120)이 상방향으로 변위하면 분리 버튼(120)에 의해서 로드 스프링(220)이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잠금 로드(210) 상에 다른 물체가 놓여져서 잠금 로드(210)에 누름 힘이 가해지면 잠금 로드(210)가 하방향으로 변위하여 잠금 로드(210)의 하단이 분리 버튼(120)에 닿아서 분리 버튼(120)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 버튼(120)을 상방향으로 누를 경우에도 분리 버튼(120)이 변위하지 않으며, 따라서 잠금 부재(130)가 로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여, 분리 버튼(120), 잠금 부재(130), 및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2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 버튼(120)이 버튼 스프링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될 때에는 잠금 부재(130)가 로킹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분리 버튼(120) 상에 위치한 잠금 로드(210)는 로드 스프링(220)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잠금 로드(210)의 상단부의 헤드부(212)가 상부 홀(118)을 통해 하우징(110)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분리 버튼(120)을 상방향으로 눌러서 분리 버튼(12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잠금 부재(130)는 언로킹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잠금 로드(210) 상에 외력이 가해져서 로드 스프링(22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면 잠금 로드(210)의 하단의 로드부(216)가 분리 버튼(120)에 닿아서 분리 버튼(120)을 눌러 구속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분리 버튼(120)을 상방향으로 누를 경우에도 분리 버튼(120)은 상방향으로 변위하지 않으며, 따라서 잠금 부재(130)도 변위하지 아니하여 언로킹 상태가 되지 않고 로킹 상태를 강제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뚜껑부(30)가 덮여진 경우 및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6 내지 도 8 과 같이, 믹싱 보울(20) 상에 뚜껑부(30)가 없을 때에는, 분리 버튼(120)은 자유롭게 조작될 수 있다. 즉, 도 6 의 화살표와 같은 외력이 인가되면 도 7 과 같이 분리 버튼(120)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부재(130)도 분리 버튼(120)의 조작에 따라서 로킹 상태와 언로킹 상태가 자유롭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 보울(20) 상에 뚜껑부(30)가 덮여지면, 믹싱 보울(20)의 보울 손잡이부(100) 상에 뚜껑부(30)의 뚜껑 손잡이부(34)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뚜껑 손잡이부(34)가 보울 손잡이부(100) 상에 위치하면 보울 손잡이부(100)의 상방향으로 노출된 잠금 로드(210)가 뚜껑 손잡이부(34)에 의해서 가압되어 하강하고, 잠금 로드(210)는 분리 버튼(120)을 누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분리 버튼(120)이 잠금 로드(210)에 의해서 구속되어, 사용자가 분리 버튼(120)을 눌러도 분리 버튼(120)이 변위할 수 없다. 따라서 잠금 부재(130)도 로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뚜껑부(30)를 믹싱 보울(20)로부터 분리하기 전에는 믹싱 보울(20)을 본체부(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도 10 은 믹싱 보울(20)과 뚜껑부(3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뚜껑부(30)는 믹싱 보울(20) 상에 놓여져서 선회함으로써 믹싱 보울(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부(30)가 믹싱 보울(20) 상에 결합되면, 뚜껑 손잡이부(34)의 하부가 잠금 로드(210)를 눌러서 가압시킴으로써, 분리 버튼(120)의 작동을 통제할 수 있다.
이때, 뚜껑 손잡이부(34)의 하부에 소정의 프레싱 돌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싱 돌부(미도시)가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19)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상부 홀(118)에 위치한 잠금 로드(210)를 누를 수 있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뚜껑 손잡이부(34)의 하부에는 소정의 빗면을 갖는 슬라이딩 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36)이 형성됨으로써, 뚜껑 손잡이부(34)와 보울 손잡이부(100)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비로소 잠금 로드(210)가 완전히 눌려져 분리 버튼(120)을 구속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뚜껑 손잡이부(34)와 보울 손잡이부(100)가 일 부분 겹쳐진 상태에서는 잠금 로드(210)가 눌려지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눌려지며, 뚜껑 손잡이부(34)와 보울 손잡이부(100)가 완전히 겹쳐져서 결합된 경우에만 잠금 로드(210)가 완전히 눌려져서 분리 버튼(120)의 작동을 구속할 수 있다. 물론,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에 의하면,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20) 상에 뚜껑부(30)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믹싱 보울(20)이 쿠킹 장치의 본체부(10)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뚜껑부(30)가 믹싱 보울(20)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믹싱 보울(20)을 본체부(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쿠킹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믹싱 보울(20)이 본체부(10)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예상치 못한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쿠킹 장치를 사용한 후, 본체부(10)의 동력 장치가 아직 작동하는 상태일 때, 믹싱 보울(20)을 임의로 분리하였다가 놓쳐서 본체부(10)에 구비된 동력 장치와 믹싱 보울(20)이 충돌하여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쿠킹 장치의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본체부(10) 내에 구비된 동력 장치는 완전히 회전을 중단하기 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잔여 회전이 남은 상태에서 믹싱 보울(20)을 이탈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킨 후 놓칠 때에는 충돌에 의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이 종료된 쿠킹 장치의 뚜껑부(30)를 먼저 분리한 후에만, 믹싱 보울(20)이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본체부(10)에 구비된 동력 장치가 완전히 동작을 중단한 후에 믹싱 보울(20)이 분리되게 되어, 각종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부
12: 함몰 투입부
14: 잠금 돌부
20: 믹싱 보울
22: 보울 본체
30: 뚜껑부
32: 뚜껑 바디
34: 뚜껑 손잡이부
36: 슬라이딩 홈
100: 보울 손잡이부
110: 하우징
112: 탑재 공간
114: 버튼 홀
116: 로킹 홀
118: 상부 홀
119: 가이드 홈
120: 조작 버튼
122: 투입부
124: 버튼 스프링
126: 스프링 지지부
130: 잠금 부재
140: 제1 로킹 링크
150: 제2 로킹 링크
152: 체결부
154: 회동 연결부
156: 샤프트 연결부
160: 샤프트
170: 토션 스프링
180: 브라켓
200: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
210: 잠금 로드
212: 헤드부
214: 지지부
216: 로드부
220: 로드 스프링

Claims (7)

  1. 본체부;
    소정의 보울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 상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는 믹싱 보울; 및
    상기 믹싱 보울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보울은,
    음식물이 투입되는 보울 본체,
    상기 보울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는 보울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울 손잡이부는,
    상기 믹싱 보울을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는 보울 고정 모듈, 및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덮여져 결합되면 상기 보울 고정 모듈의 작동을 제한하는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손잡이부는 상기 보울 손잡이부의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보울 본체의 일 측에 고정되고 상기 보울 고정 모듈 및 상기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이 내부에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울 고정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분리 버튼,
    상기 분리 버튼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버튼 스프링, 및
    상기 분리 버튼에 의해서 작동하며 상기 본체부에 로킹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은,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덮어져 결합되면 상기 분리 버튼을 눌러서 고정시켜서 상기 잠금 부재의 작동을 제한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은 상하로 변위하되, 상기 버튼 스프링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버튼 잠금 스위치 모듈은,
    상기 분리 버튼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방향으로 노출되는 잠금 로드, 및
    상기 잠금 로드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로드 스프링을 포함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로드는,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없을 때에는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울 본체 상에 상기 뚜껑부가 덮어져서 결합되면 상기 뚜껑부에 의해서 눌려져서 하단이 상기 분리 버튼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은,
    상부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로드 투입부를 갖고,
    상기 잠금 로드는,
    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로드 스프링은 상기 로드 투입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 버튼과 상기 잠금 로드의 지지부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고정 모듈은,
    상기 잠금 부재를 로킹 상태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분리 버튼의 변위에 따라서 회동하여,
    상기 분리 버튼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방향으로 눌러지면 언로킹 상태가 되며,
    상기 분리 버튼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로킹 상태가 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보울 손잡이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보울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는,
    상기 믹싱 보울 상에 놓인 후 상기 믹싱 보울 상에서 선회하여 상기 뚜껑 손잡이부와 상기 보울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KR1020180086761A 2018-07-25 2018-07-25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KR10214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61A KR102142407B1 (ko) 2018-07-25 2018-07-25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61A KR102142407B1 (ko) 2018-07-25 2018-07-25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815A true KR20200011815A (ko) 2020-02-04
KR102142407B1 KR102142407B1 (ko) 2020-08-07

Family

ID=6957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61A KR102142407B1 (ko) 2018-07-25 2018-07-25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4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518B1 (ko) 1996-03-29 1999-05-15 기타오카 다카시 가스절연 개폐장치
WO2017144914A1 (en) * 2016-02-25 2017-08-31 Kenwood Limited Kitchen appliance
KR20170140723A (ko) * 2016-06-13 2017-12-21 (주)쿠첸 다용도 음식제조기용 오븐 안전 잠금장치
KR20180027822A (ko) * 2016-09-07 2018-03-15 (주)쿠첸 다용도 조리기의 오븐 장착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518B1 (ko) 1996-03-29 1999-05-15 기타오카 다카시 가스절연 개폐장치
WO2017144914A1 (en) * 2016-02-25 2017-08-31 Kenwood Limited Kitchen appliance
KR20170140723A (ko) * 2016-06-13 2017-12-21 (주)쿠첸 다용도 음식제조기용 오븐 안전 잠금장치
KR20180027822A (ko) * 2016-09-07 2018-03-15 (주)쿠첸 다용도 조리기의 오븐 장착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407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3661B1 (en) Blender
JP5926410B2 (ja) スイッチ装置
US10455902B2 (en) Child's safety belt connection buckle
US20210113023A1 (en) Food processor lid
JP2016207295A (ja) 分離型操作スイッチ
KR20200011815A (ko) 안전 장치를 갖는 쿠킹 장치
JP2009112546A (ja) 電動調理器
JP5509439B2 (ja) 電動調理器
CN100447922C (zh) 可挂锁按钮
JP4647543B2 (ja) ジューサ
JP5437385B2 (ja) 回転調理装置
JP2008029698A (ja) 食材調製器
KR102043839B1 (ko) 고속 믹서기
JP5949459B2 (ja) 扇風機
US11835981B2 (en) Operating device
JP5522838B2 (ja) 電動調理器
JP5522837B2 (ja) 電動調理器
KR101303835B1 (ko) 압력조리기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TWM620265U (zh) 按鍵模組
KR101774534B1 (ko) 믹서기
JP2019175822A (ja) 押ボタン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6696779B2 (ja) 押しボタン用アタッチメント
JP3097217U (ja) 安全保護構造を具えた食品粉砕機
JP3168551U (ja) 誤動作防止機能付きロッカースイッチ
AU2020254139A1 (en) Op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