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343A - 원형판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원형판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343A
KR20200011343A KR1020190009208A KR20190009208A KR20200011343A KR 20200011343 A KR20200011343 A KR 20200011343A KR 1020190009208 A KR1020190009208 A KR 1020190009208A KR 20190009208 A KR20190009208 A KR 20190009208A KR 20200011343 A KR20200011343 A KR 2020001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lamp
cutting
plat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431B1 (ko
Inventor
김재근
이윤성
Original Assignee
김재근
이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근, 이윤성 filed Critical 김재근
Priority to KR102019000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4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23D19/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having rotary shearing discs arranged in co-operating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10Stops f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5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 B23D35/007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for circular cut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판재를 절단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를 원하는 직경으로 자동으로 절단시킴은 물론, 칩 발생을 방지하여 품질과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형판 절단장치{Cutting machine for circular plate}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하도록 클램핑된 판재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절단함에 따라, 절단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절단면을 정확하게 절단시킬 수 있으며, 부산물의 발생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형판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은 절단공장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1차 절단하며, 이렇게 절단된 철판은 정해진 크기로 규격화되며, 이렇게 규격화 된 채로 양산된 철판은 산업현장으로 운송된다.
이 운송되는 철판은 산업현장에서 다시 한번 필요한 크기로 2차 절단하여 사용되며, 2차 절단방법은 원형의 전동톱을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작업자가 보호장구를 착용한 상태로 토치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있다.
그러나 전동톱을 이용하여 절단할 경우, 철판의 무게로 인하여 길이가 긴 것을 절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토치를 이용하여 절단할 경우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216417에 개진된 바와 같이, 자성체를 이용하여 철판에 베이스를 부착시킨 후, 토치를 회전시켜 원형 철판을 절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절단기는 토치의 회전속도나 토치의 화력에 의해 절단면이 고르지 못함에 따라, 별도의 2차 가공이 필요하였다.
또한 토치에 의해 절단시, 불꽃과 파편 등이 발생되어 비산되고, 미세먼지가 증가되어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절단작업을 용이하게함은 물론, 부산물의 발생을 방지 및 최소로하여 작업환경 개선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판재를 절단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하여 판재를 원하는 직경으로 자동으로 절단시킴은 물론, 칩 발생을 방지하여 품질과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형판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판재를 절단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프레임, 상기 클램프프레임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홀딩하되, 상기 클램프프레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클램프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프레임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 상측에 위치된 클램프하단프레임,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된 클램프상단프레임,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과 클램프상단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연결프레임, 및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클램프회전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회전연결부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연결프레임, 상기 회전연결프레임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연결축, 상기 회전연결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에 구비되는 회전연결프레임, 및 상기 회전연결프레임을 상기 회전연결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프레임에 회전손잡이가 더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회전연결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판재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의 타단부에 수평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단클램프편, 및 상기 하단클램프편에 대응되며, 상기 판재의 상측을 가압하도록 상기 클램프상단프레임의 타단부에 수평방향 회전과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단클램프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구동부는, 실린더로, 상기 상단클램프편을 상하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를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이동부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램프이동봉, 상기 클램프이동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연결프레임에 구비되는 클램프이동블럭, 및 상기 클램프이동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클램프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에 클림핑된 판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상기 클램프상단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흔들림방지프레임, 상기 흔들림방지프레임에 구비되는 흔들림방지실린더, 및 상기 흔들림방지실린더의 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에서 회전되는 판재를 가압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절단베이스프레임, 상단절단날이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판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단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상단절단부, 및 상기 상단절단날에 대응되는 하단절단날이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판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단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단절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절단부는, 상기 판재의 상측에서 판재를 절단하기 위한 상단절단날, 및 상기 상단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단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단절단부는, 상기 판재의 하측에서 판재를 절단하기 위한 하단절단날, 및 상기 하단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단구동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절단날과 하단절단날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판재의 면과 직교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상단절단날과 하단절단날은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130 ~ 170°의 각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절단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상단위치조절부, 및 상기 하단절단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단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단위치조절부는, 상기 상단절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절단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단조절프레임, 및 상기 상단조절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단조절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절단부를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상단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상단위치조절부는, 상기 상단절단부와 상단조절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상단조절프레임을 따라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상단조절프레임, 및 상기 제2상단조절프레임을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상단조절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위치조절부는, 상기 하단절단부가 설치되되,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를 따라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단조절프레임, 및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을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단조절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단조절구동부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단조절구동봉, 상기 하단조절구동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단조절블럭, 및 상기 하단조절구동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단조절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에 구비된 하단절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단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단각도조절부는, 상기 하단위치조절부와 하단조절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타단부가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단회전프레임, 및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회전프레임의 일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하단회전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에 구비된 하단절단부를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하단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하단위치조절부는, 상기 하단위치조절부와 하단조절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을 따라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하단조절프레임, 및 상기 제2하단조절프레임을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하단조절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형판 절단장치에 의하면, 판재를 원하는 직경으로 자동으로 절단시킴은 물론, 칩 발생을 방지하여 품질과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판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판 절단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에 제2상단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절단부에 하단각도조절부와 제2상단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판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판 절단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에 제2상단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에 하단각도조절부와 제2상단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판 절단장치(10)는 몸체프레임(100)과 클램핑부(200) 및 절단부(300)를 포함한다.
클램핑부(200)는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클램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절단부(300)는 몸체프레임(1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클램핑부(200)에 고정된 판재를 절단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원형판 절단장치(10)는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클램핑부(200)에 클램핑시킨 후, 절단부(300)에 의해 판재가 원하는 직경으로 절단시킨다.
여기서, 절단부(300)의 상단절단날(322)과 하단절단날(332)이 맞닿아 회전됨에 따라 판재를 절단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를 위한, 클램핑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프레임(210)과 클램프(220) 및 클램프구동부(230)를 포함한다.
클램프프레임(210)은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클램프(220)는 클램프프레임(210)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홀딩하되, 클램프프레임(2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클램프구동부(230)는 클램프(220)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클램프프레임(210)은 클램프하단프레임(212)과 클램프상단프레임(214), 클램프연결프레임(216) 및 클램프회전연결부(218)를 포함한다.
클램프하단프레임(212)은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클램프상단프레임(214)은 클램프하단프레임(212)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클램프연결프레임(216)은 클램프하단프레임(212)과 클램프상단프레임(214)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클램프회전연결부(218)는 클램프하단프레임(212)을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 클램프회전연결부(218)는 회전연결프레임(2182)과 회전연결축(2184), 회전연결프레임(2186) 및 회전베어링(2188)을 포함한다.
회전연결프레임(2182)은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연결축(2184)은 회전연결프레임(2182)에 돌출형성된다.
회전연결프레임(2186)은 회전연결축(2184)에 대응되도록 클램프하단프레임(212)에 구비된다.
또한 회전베어링(2188)은 회전연결프레임(2186)을 회전연결축(218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프레임(210)에 회전손잡이(213)가 더 구비되어 클램프회전연결부(218)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클램프(220)는 하단클램프편(222)과 상단클램프편(224)으로 구성된다.
하단클램프편(222)은 판재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클램프하단프레임(212)의 타단부에 수평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단클램프편(224)은 하단클램프편(222)에 대응되며, 판재의 상측을 가압하도록 클램프상단프레임(214)의 타단부에 수평방향 회전과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클램프구동부(230)는 실린더로, 상단클램프편(224)을 상하 이동시킨다.
이에, 판재를 하단클램프편(222)과 상단클램프편(224) 사이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단클램프편(222)과 상단클램프편(224)이 회전되는 축은 회전연결축(2184)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클램프(220)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판재가 클램핑된 상태에서 회전연결축(2184)을 기준으로 클램프프레임(210)이 회전될 경우, 판재를 타원형이나 굴곡진 형태로 절단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클램핑부(200)는 클램프이동부(240)를 더 포함한다.
클램프이동부(240)는 클램핑부(200)를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프이동부(240)는 클램프이동봉(242)과 클램프이동블럭(244) 및 클램프구동모터(246)를 포함한다.
클램프이동봉(242)은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양단부가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클램프이동블럭(244)은 클램프이동봉(2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연결프레임(2186)에 구비된다.
클램프구동모터(246)는 클램프이동봉(242)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클램핑부(200)는 흔들림방지부(250)를 더 포함한다.
이 흔들림방지부(250)는 클램프(220)에 클림핑된 판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흔들림방지부(250)는 가이드봉(252)과 흔들림방지프레임(254), 흔들림방지실린더(256) 및 흔들림방지롤(258)을 포함한다.
가이드봉(252)은 한 쌍으로, 클램프상단프레임(214)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흔들림방지프레임(254)은 한 쌍의 가이드봉(25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흔들림방지실린더(256)는 흔들림방지프레임(254)에 구비된다.
또한 흔들림방지롤(258)은 흔들림방지실린더(256)의 로드에 구비되어 클램프(220)에서 회전되는 판재를 가압하되, 판재의 면과 맞닿아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이 흔들림방지롤(258)이 클램핑되어 절단되며 회전되는 판재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판재를 절단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정밀하게 절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흔들림방지롤(258)은 구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절단부(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베이스프레임(310)과 상단절단부(320) 및 하단절단부(330)를 포함한다.
절단베이스프레임(310)은 몸체프레임(10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단절단부(320)는 상단절단날(322)이 클램핑부(200)에 클램핑된 판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절단베이스프레임(310)에 구비된다.
하단절단부(330)는 상단절단날(322)에 대응되는 하단절단날(332)이 클램핑부(200)에 클램핑된 판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절단베이스프레임(3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단절단부(320)는 상단절단날(322)과 상단구동모터(324)를 포함한다.
상단절단날(322)은 판재의 상측에서 판재를 절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단구동모터(324)는 상단절단날(322)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하단절단부(330)는 하단절단날(332)과 하단구동모터(334)를 포함한다.
하단절단날(332)은 판재의 하측에서 판재를 절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하단구동모터(334)는 하단절단날(332)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단절단날(322)과 하단절단날(332) 중 어느 하나는 판재의 면과 직교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어느 하나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로, 상단절단날(322)은 판재의 면과 직교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하단절단날(332)은 상단절단날(322)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여기서, 상단절단날(322)과 하단절단날(332)은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155 ~ 175°의 각도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165°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판재를 절단면을 깨끗하게 형성하여 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 절단 시, 상단절단날(322)과 하단절단날(332)이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하나를 기준으로, 180°의 각도로 형성된다. 즉 상단절단날(322)과 하단절단날(332)이 모두 판재의 면과 직교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판재가원형으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판재에 대해서 수직으로 위치하는 상단절단날(322)과 하단절단날(332)이 판재와의 절삭 마찰로 인해서에 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칩은 크기 및 부피가 크고 날카로운 형상을 가진다. 작업자가 이러한 칩을 녹이기 위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해를 입을 수 있으며, 칩을 용융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비되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절단면이 깨끗하지 않아 별도의 가공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원형판 절단장치(10)는 상단절단날(322)과 하단절단날(332)를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판재의 절단시 칩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작업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00)는 상단위치조절부(340)와 하단위치조절부(350)를 더 포함한다.
상단위치조절부(340)는 상단절단부(3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하단위치조절부(350)는 하단절단부(3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상단위치조절부(340)는 상단조절프레임(342)과 상단조절실린더(344)를 포함한다.
상단조절프레임(342)은 상단절단부(320)가 설치되며, 절단베이스프레임(3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단조절실린더(344)는 상단조절프레임(34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하단위치조절부(350)는 하단조절프레임(352)과 하단조절구동부(354)를 포함한다.
하단조절프레임(352)은 하단절단부(330)가 설치되되, 경사지게 설치되며, 몸체프레임(100)의 타단부를 따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하단조절구동부(354)는 하단조절프레임(352)을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하단조절구동부(354)는 하단조절구동봉(3542)과 하단조절블럭(3544) 및 하단조절모터(3546)를 포함한다.
하단조절구동봉(3542)은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양단부가 몸체프레임(10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하단조절블럭(3544)은 하단조절구동봉(35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조절프레임(352)에 구비된다.
하단조절모터(3546)는 하단조절구동봉(3542)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부(300)는 제2상단위치조절부(36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상단위치조절부(360)는 상단절단부(320)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상단위치조절부(360)는 제2상단조절프레임(362)과 제2상단조절실린더(364)를 포함한다.
제2상단조절프레임(362)은 상단절단부(320)와 상단조절프레임(342)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조절프레임(342)을 따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2상단조절실린더(364)는 제2상단조절프레임(362)을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부(300)는 하단각도조절부(370)를 더 포함한다.
이 하단각도조절부(370)는 하단조절프레임(352)에 구비된 하단절단부(3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하단각도조절부(370)는 하단회전프레임(372)과 하단회전실린더(374)를 포함한다.
하단회전프레임(372)은 하단위치조절부(350)와 하단조절프레임(352) 사이에 구비되되, 타단부가 하단조절프레임(35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하단회전실린더(374)는 하단조절프레임(352)에 구비되어 하단회전프레임(372)의 일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절단부(300)는 제2하단위치조절부(38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하단위치조절부(380)는 하단조절프레임(352)에 구비된 하단절단부(330)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하단위치조절부(380)는 제2하단조절프레임(382)과 제2하단조절실린더(384)를 포함한다.
제2하단조절프레임(382)은 하단위치조절부(350)와 하단조절프레임(352) 사이에 구비되되, 하단조절프레임(352)을 따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2하단조절실린더(384)는 제2하단조절프레임(382)을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상단절단부(320) 및 하단절단부(330)를 각각 조절하여 판재를 원한는 각도에서 용이하게 절단시킴은 물론, 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절단장치 100 : 몸체프레임
200 : 클램핑부 210 : 클램프프레임
220 : 클램프 230 : 클램프구동부
240 : 클램프이동부 250 : 흔들림방지부
300 : 절단부 310 : 절단베이스프레임
320 : 상단절단부 330 : 하단절단부
340 : 상단위치조절부 350 : 하단위치조절부
360 : 제2상단위치조절부 370 : 하단각도조절부
380 : 제2하단위치조절부

Claims (1)

  1. 몸체프레임(100);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200);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판재를 절단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절단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200)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프레임(210);
    상기 클램프프레임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를 홀딩하되, 상기 클램프프레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클램프(220); 및
    상기 클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클램프구동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프레임(210)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 상측에 위치된 클램프하단프레임(212);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된 클램프상단프레임(214);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과 클램프상단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연결프레임(216); 및
    상기 클램프하단프레임을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클램프회전연결부(218);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회전연결부(218)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연결프레임(2182);
    상기 회전연결프레임(2182)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연결축(2184);
    상기 회전연결축(2184)에 대응되도록 클램프하단프레임(212)에 구비되는 회전연결프레임(2186); 및
    상기 회전연결프레임(2186)을 회전연결축(218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베어링(2188);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프레임(210)는,
    상기 클램프회전연결부(218)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2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절단베이스프레임(310);
    상단절단날이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판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단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상단절단부(320); 및
    상기 상단절단날에 대응되는 하단절단날이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판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절단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단절단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절단부(320)는,
    상기 판재의 상측에서 판재를 절단하기 위한 상단절단날(322); 및
    상기 상단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단구동모터(324);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절단부(330)는,
    상기 판재의 하측에서 판재를 절단하기 위한 하단절단날(332); 및
    상기 하단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단구동모터(334);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절단날과 하단절단날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판재의 면과 직교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고,
    상기 상단절단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상단위치조절부(340); 및
    상기 하단절단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단위치조절부(350);를 더 포함되며,
    상기 상단절단부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상단위치조절부(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위치조절부(340)는,
    상기 절단베이스프레임(3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단조절프레임(342); 및
    상기 상단조절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단조절실린더(344);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단위치조절부(360)는,
    상기 상단절단부(320)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조절프레임(342)에 구비되되, 상기 상단조절프레임을 따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상단조절프레임(362); 및
    상기 제2상단조절프레임을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상단조절실린더(364);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위치조절부(350)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를 따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단조절프레임(352); 및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을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단조절구동부(354);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조절구동부(354)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단조절구동봉(3542);
    상기 하단조절구동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단조절블럭(3544); 및
    상기 하단조절구동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단조절모터(3546);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절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단각도조절부(3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각도조절부(370)는,
    타단부가 상기 하단조절프레임(35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단회전프레임(372); 및
    상기 하단조절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회전프레임의 일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하단회전실린더(374);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절단부(330)가 설치되며, 상기 하단회전프레임(372)을 따라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하단위치조절부(3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하단위치조절부(380)는,
    상기 하단위치조절부(350)와 하단조절프레임(352)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하단절단부(330)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회전프레임(372)을 따라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하단조절프레임(382); 및
    상기 제2하단조절프레임을 상기 클램핑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하단조절실린더(384);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에 클림핑된 판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단절단날과 하단절단날은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155 ~ 175°의 각도로 형성되는, 원형판 절단장치.
KR1020190009208A 2019-01-24 2019-01-24 원형판 절단장치 KR10208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208A KR102080431B1 (ko) 2019-01-24 2019-01-24 원형판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208A KR102080431B1 (ko) 2019-01-24 2019-01-24 원형판 절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877A Division KR101943271B1 (ko) 2018-07-24 2018-07-24 원형판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343A true KR20200011343A (ko) 2020-02-03
KR102080431B1 KR102080431B1 (ko) 2020-02-21

Family

ID=6962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208A KR102080431B1 (ko) 2019-01-24 2019-01-24 원형판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4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620A (ja) * 1991-07-29 1993-02-19 Tateyama Alum Ind Co Ltd V溝加工機
JP2003080414A (ja) * 2001-09-07 2003-03-18 Sankyu Inc 金属板の自動円形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620A (ja) * 1991-07-29 1993-02-19 Tateyama Alum Ind Co Ltd V溝加工機
JP2003080414A (ja) * 2001-09-07 2003-03-18 Sankyu Inc 金属板の自動円形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431B1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6850B2 (ja) 移動式溶接改善用パイプ外径面取器
JP2015136789A (ja) 管状及び円形断面の対象物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
KR101466736B1 (ko) 용접모재용 다목적 가공기
KR20140008799A (ko) 원형 모따기 장치
KR20150099624A (ko) 절삭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절삭 장치
KR102080431B1 (ko) 원형판 절단장치
KR101943271B1 (ko) 원형판 절단장치
CN205996352U (zh) 圆形切割机
CN101410212B (zh) 管道切割方法及执行该方法的装置
KR101944995B1 (ko) 둥근톱기계장치
KR20170104284A (ko) 이동식 제재 장치
JP2005506209A (ja) 被加工物品の分断方法
KR100839611B1 (ko) 경사면 가공장치
CN210475825U (zh) 一种等离子相贯线切割装置
US4182589A (en) Corner chamfering machine
KR101223065B1 (ko) 파이프 용접비드 가공기
CN208261753U (zh) 一种切角机调节机构
EP1074326A3 (en) Cutt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accurately aligning a circular saw and associated notching tool
KR101271493B1 (ko) 초간편 용접비드 가공기
KR100528060B1 (ko) 공작물의 각도절단을 위한 바이스 연동식 띠톱기계
KR200218597Y1 (ko) 용접모재용 베벨링장치
CN208680620U (zh) 一种用于数控开料机上的上下双主轴结构
JP3241185U (ja) 切断機
CN211248530U (zh) 切割机
CN203141663U (zh) 一种适用于熔融石英陶瓷坩埚的倒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