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95B1 - 둥근톱기계장치 - Google Patents

둥근톱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95B1
KR101944995B1 KR1020170067093A KR20170067093A KR101944995B1 KR 101944995 B1 KR101944995 B1 KR 101944995B1 KR 1020170067093 A KR1020170067093 A KR 1020170067093A KR 20170067093 A KR20170067093 A KR 20170067093A KR 101944995 B1 KR101944995 B1 KR 101944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aw
cutting angle
guide
arm portion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898A (ko
Inventor
유광복
Original Assignee
유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복 filed Critical 유광복
Priority to KR102017006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9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181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a work-table
    • B27B5/182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a work-table the saw blade performing a pivoting movem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20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depth or angle of cut; Radial saws, i.e. sawing machines with a pivoted radial arm for guiding the movable carriage
    • B27B5/202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depth or angle of cut; Radial saws, i.e. sawing machines with a pivoted radial arm for guiding the movable carriage with the saw blade underneath a work-table
    • B27B5/203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depth or angle of cut; Radial saws, i.e. sawing machines with a pivoted radial arm for guiding the movable carriage with the saw blade underneath a work-table the saw blade performing a pivoting movem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27B5/30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for mounting or securing saw blades or saw spi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둥근톱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재판지지부와, 직선상의 톱노출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재판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톱노출슬롯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탑재판에 상면에 설치된 기준작업대와, 상기 톱노출슬롯을 통해 상기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과, 상기 둥근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있어서, 원호형태의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장공의 둘레에는 각도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안내암부와 상기 안내암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에 도달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내암부와 반대쪽에 배치된 측면에는 직선상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암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둥근톱을 향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탑재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탑재판에 설치되는 절단각도조절지그와, 상기 안내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탑재판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안내암부를 상기 탑재판을 향해 가압하고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암부에 대한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데 사용되는 지그고정노브를 갖는 절단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판에는 상기 지그고정노브가 체결되는 노브고정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작업대에는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할 때 상기 안내암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가공재료의 초기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절단각도조절동작이 간단해지고 가공재료에 의해 눈금표시가 가려지지 않으면서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둥근톱기계장치{Circular Saw Machine}
본 발명은 둥근톱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재판에 톱노출슬롯을 형성하고 톱노출슬롯을 통해 일부가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둥근톱을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무재질의 가공재료를 절단(일부 절단 포함)할 때 둥글게 형성된 톱(둥근톱)에 의해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둥근톱기계장치가 있다.
목공제품의 모서리 영역 짜맞춤, 건물 코너에 설치되는 마감재의 결합 등을 위해 가공재료의 종단에 경사면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가공재료의 종단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둥근톱기계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6은 종래 일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17은 종래 일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일 둥근톱기계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지지부(111)와, 탑재판지지부(111)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112)과, 탑재판(112)의 상면에 설치된 절단각도지그(170)와, 탑재판(112)의 상면에 고정설치된 직선상의 기준작업대(190)와, 탑재판(112)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113)과, 탑재판(112)의 상면에 배치된 마이터블럭(114)과, 둥근톱(113)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탑재판지지부(111)는 테이블측벽부(111a)를 갖고 있다.
탑재판(112)에는 직선상의 톱노출슬롯(112a)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각도지그(17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지지면(170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170a)은 45°절단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절단각도지그(170)는 지지면(170a)이 탑재판(112)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지지면(170a)이 둥근톱(113)을 향하도록 탑재판(112)에 고정 설치된다.
기준작업대(190)는 저면 일 영역에 톱도피슬롯(191a)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준작업대(190)는 톱도피슬롯(191a)이 톱노출슬롯(112a)에 정렬되고 톱노출슬롯(112a)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탑재판(112)에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둥근톱(113)은 톱노출슬롯(112a)을 통해 탑재판(112)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탑재판(112)의 하측에 설치된다.
톱구동부는 종래 널이 알려진 바와 같이 모터 등의 회전기계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일 둥근톱기계장치를 사용하여 가공재료의 종단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절단하는 방법을 도18 및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면(170a)에 접촉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12)에 설치한다(도18 참조).
다음에 둥근톱(113)을 회전구동시킨다.
다음에 지지면(170a)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가공재료(201)를 잡는다.
다음에 탑재판(112)을 이동시켜 가면서 둥근톱(113)으로 절단작업을 실시한다.
다음에 가공재료(201)를 뒤집어 절단작업을 실시한다(도19 참조).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일 둥근톱기계장치는 발명자가 확인해 준 종래기술(발명자에 의해 비밀로 유지되고 있는 기술)에 해당한다.
한편 종래의 일 둥근톱기계장치는 지지면이 특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나, 지지면이 이동하도록 구성된 둥근톱기계장치(이하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라고 함)가 사용되고 있다.
도20 및 도21은 각각 종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112')과, 탑재판(112')의 상면에 설치된 절단각도조절부(160')와, 탑재판(112')의 전방에 설치된 둥근톱(113')과, 둥근톱(113')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탑재판(112')에는 직선상의 톱안내슬롯(1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탑재판(112')에는 원호형태의 안내장공(112'b)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장공(112'b)의 둘레에는 각도눈금(112'c)이 표시되어 있다.
절단각도조절부(160')는 직선상의 절단각도조절지그(161')와, 절단각도조절지그(161')의 상면에 설치된 클램핑부(162')를 갖고 있다.
절단각도조절지그(161')에는 직선상의 지지면(16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절단각도조절지그(161')는 지지면(161'a)이 탑재판(112')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톱안내슬롯(112'a)의 인접영역에 배치되고 타단은 안내장공(112'b)을 가로지르고, 탑재판(112')에 체결되는 고정핀(16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탑재판(112')에 설치된다.
그리고 절단각도조절지그(161')의 자유단에는 각도조절볼트(164')가 안내장공(112'b)을 통과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각도조절볼트(164')의 종단에는 각도조절너트(165')가 체결된다.
클램핑부(162')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구현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절단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선택각도에 맞추어 가공재료(201)를 절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도조절너트(165')를 푼 다음 절단각도조절지그(161')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절단각도조절지그(161')의 이동은 각도눈금(112'c)를 참조하여 경사면이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절단각도조절지그(16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각도조절너트(165')를 조인다.
다음에 지지면(161'a)에 접촉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12')에 설치한다.
다음에 가공재료(201)가 탑재판(112')을 향해 가압되도록 클램핑부(162')를 조작한다.
다음에 둥근톱(113')을 회전구동시켜 가공재료(201)를 절단한다.
그런데 종래의 일 둥근톱기계장치에 따르면, 절단각도지그(170)가 탑재판(1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에 따르면, 절단작업시 지지면(161'a)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큰 힘이 가공재료(201)에 가해지기 때문에(지지면과 둥근톱의 절단방향이 둔각을 이루고 있음) 절단작업시 가공재료(201)의 초기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에서는 클램핑부(16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에 따르면, 탑재판(112') 하측에서 각도조절너트(165')를 푸는 동작, 각도조절볼트(164')를 이동시키는 동작 및 탑재판(112') 하측에서 각도조절너트(165')를 조이는 동작을 거쳐 절단각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절단각도조절동작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에 따르면, 탑재판(112')에 안내장공(112'b)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면(161'a)이 안내장공(112'b)을 가로 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각도눈금(112'c)가 가공재료(201)에 의해 가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80393호(등록일자: 2014년 3월 26일, 발명의 명칭: 각도절단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재료의 초기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절단각도조절동작이 간단해지고 가공재료에 의해 눈금표시가 가려지지 않으면서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둥근톱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탑재판지지부와, 직선상의 톱노출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재판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톱노출슬롯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탑재판에 상면에 설치된 기준작업대와, 상기 톱노출슬롯을 통해 상기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과, 상기 둥근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있어서, 원호형태의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장공의 둘레에는 각도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안내암부와 상기 안내암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에 도달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내암부와 반대쪽에 배치된 측면에는 직선상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암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둥근톱을 향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탑재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탑재판에 설치되는 절단각도조절지그와, 상기 안내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탑재판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안내암부를 상기 탑재판을 향해 가압하고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암부에 대한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데 사용되는 지그고정노브를 갖는 절단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판에는 상기 지그고정노브가 체결되는 노브고정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작업대에는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할 때 상기 안내암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최대절단각도값에서 시작하여 절단각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은 상기 안내장공의 상기 둥근톱 쪽 종단과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소절단각도값에서 시작하여 절단각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고정나사홈은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톱노출슬롯의 형성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단각도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탑재판은 상기 노브고정나사홈과 상기 둥근톱 사이영역에 하나 이상의 노브고정보조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고정노브는 상기 노브고정나사홈과 상기 노브고정보조나사홈 중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호형태의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암부와 안내암부의 일단으로부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에 도달하도록 연장형성된 지지암부를 구비한 절단각도조절지그를 탑재판에 설치하는 한편,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암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기 위한 지그고정노브를 탑재판에 설치함으로써, 가공재료의 초기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지지면과 둥근톱의 절단방향이 예각을 이루고 있음), 절단각도조절동작이 간단해지며(각도조절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동작이 필요 없음), 가공재료에 의해 눈금표시가 가려지지 않으면서(지지면이 안내장공을 가로 지르지 아니함)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각도조절부 영역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각도조절부의 분해사시도,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작업대 영역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이동조작부 및 게이지블럭부 영역의 상세도,
도10, 도11, 도12, 도13, 도14 및 도1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종래 일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
도17은 종래 일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18 및 도19는 각각 종래 일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0 및 도21은 각각 종래 다른 둥근톱기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각도조절부 영역의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각도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작업대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이동조작부 및 게이지블럭부 영역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지지부(11)와, 탑재판지지부(11)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12)과, 탑재판(12)의 상면에 설치된 절단각도조절부(60)와, 탑재판(12)의 상면에 고정설치된 직선상의 기준작업대(90)와, 기준작업대(90)에 설치된 눈금자(17)와, 탑재판(12)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13)과, 탑재판(12)의 상면에 배치된 마이터블럭(14)과, 마이터블럭(14)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와, 둥근톱(13)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15)를 갖고 있다.
탑재판지지부(11)는 테이블측벽부(11a)와, 테이블측벽부(11a)의 내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형태의 테이블상판부(11b)와, 테이블상판부(11b)의 중앙에 설치된 인서트(11c)와, 테이블상판부(11b)의 양 측면에 레일브라켓트(11e)를 통해 하나씩 고정된 테이블안내레일(11d)을 갖고 있다.
탑재판(12)에는 직선상의 톱노출슬롯(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탑재판(12)에는 후술하는 지그고정노브(61)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1개의 노브고정나사홈(12c)과 2개의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고정나사홈(12c)은 후술하는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P)과 연결하는 직선이 톱노출슬롯(12a)의 형성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은 노브고정나사홈(12c)과 둥근톱(13) 사이영역에 형성된다.
노브고정나사홈(12c)과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은 탑재판(12)에 직접 나사탭을 형성하거나, 탑재판(12)에 너트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탑재판(12)에는 지그고정노브(61)에 정렬되도록 지시침(12d)가 형성되어 있다.
탑재판(12)은 저면에 결합된 탑재판슬라이딩레일(12b)을 통해 테이블안내레일(11d)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탑재판(12)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절단각도조절부(60)는 탑재판(12)의 톱노출슬롯(12a)의 우측영역(도1 기준)에 설치된 절단각도조절지그(70)와, 탑재판(12)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된 지그고정노브(61)를 갖고 있다.
절단각도조절지그(70)는 원호형태의 안내장공(72a)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암부(72)와, 안내암부(72)의 일단으로부터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에 도달하도록 연장형성된 지지암부(71)를 갖고 있다.
안내암부(72)는 안내장공(72a)의 둘레에 각도눈금(72b)이 표시되어 있다.
각도눈금(72b)은 안내장공(72a)의 기준작업대(90) 쪽 종단에서부터 45°로 시작하여 5°간격으로 90°까지 표시되어 있다.
지지암부(71)는 안내암부(72)와 반대쪽에 배치된 측면에 직선상의 지지면(7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71a)은 안내장공(72a)의 둥근톱(13) 쪽 종단과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P)을 연결하는 직선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절단각도조절지그(70)는 지지면(71a)이 둥근톱(13)을 향하고 지지면(71a)이 탑재판(12)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P)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탑재판(12)에 설치된다. 절단각도조절지그(70)의 회전은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에 회전축 구실을 하는 나사(62) 등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지그고정노브(61)는 안내장공(72a)을 통과하여 탑재판(12)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그고정노브(61)와 안내암부(72) 사이에는 와셔(64)가 설치된다.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내암부(72)는 탑재판(12)을 향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절단각도조절지그(70)를 회전시키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내암부(72)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절단각도조절지그(7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기준작업대(90)는 저면 일 영역에 톱도피슬롯(91a)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자안착홈(9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기준작업대(90)는 측면에 작업대안내레일(9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준작업대(90)에는 절단각도조절지그(70)가 회전할 때 안내암부(72)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홈(9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준작업대(90)는 톱도피슬롯(91a)이 톱노출슬롯(12a)에 정렬되고, 톱노출슬롯(12a)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탑재판(12)에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눈금자(17)는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자안착홈(91b)에 설치된다.
둥근톱(13)은 인서트(11c)에 형성된 슬롯과 톱노출슬롯(12a)을 통해 탑재판(12)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탑재판(12)의 하측에 설치된다.
마이터블럭(14)은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받침면부(14a)와, 받침면부(14a)의 일측 연부로부터 받침면부(14a)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지지벽부(14b)를 갖고 있다.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는 마이터블럭(14)에 결합된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판(21)과, 지지판(21)을 이동조작하기 위한 지지판이동조작부(30)를 갖고 있다.
지지판(21)은 판면이 기준작업대(90)의 상측에서 탑재판(12)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벽부(14b)에 결합된다.
지지판이동조작부(30)는 나사봉(32)과, 나사봉(32)에 나사결합된 너트관부(31)와, 너트관부(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더(33)와, 나사봉(32)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노브(34)를 갖고 있다.
나사봉(32)은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협경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봉(32)은 탑재판(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써포트(39)를 통해 탑재판(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나사봉(32)의 설치는 협경부(32a)가 각 써포트(39)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지지공(39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너트관부(31)는 일단에 너트관체결판(38)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관부(31)는 내표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통해 나사봉(32)에 나사결합된다.
슬라이더(33)는 종단에 슬라이더체결판(35)이 절곡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3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3)에는 눈금창(37)이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33)는 슬라이더체결판(35)을 너트관체결판(38)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너트관부(31)에 결합된다. 슬라이더(33)의 결합은 슬라이딩레일(36)이 작업대안내레일(93)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조작노브(34)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노브(34)를 회전조작하면 나사봉(32)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너트관부(31)는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너트관부(31)가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슬라이더(33), 지지판(21) 및 마이터블럭(14)도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톱구동부(15)는 종래 널이 알려진 바와 같이 모터 등의 회전기계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절단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선택각도에 맞추어 가공재료(201)를 절단하는 방법을 도4,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그고정노브(61)는 노브고정나사홈(12c)에 체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
다음에 지그고정노브(61)가 안내장공(72a)의 둥근톱(13) 쪽 종단에 접촉하도록 절단각도조절지그(70)를 회전시킨다(S2, 도4 참조).
다음에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킨다(S3).
다음에 지지면(71a)에 접촉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2)에 설치한다(S4).
다음에 가공재료(201)를 잡은 상태로 둥근톱(13)을 회전구동시켜 가공재료(201)를 절단한다(S5).
위 S1 내지 S5 단계를 거치면 절단각도 90°(가공재료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공재료를 절단할 수 있다.
다음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1).
다음에 지그고정노브(61)가 각도눈금 60°에 정렬되도록 절단각도조절지그(70)를 회전시킨다(S12, 도10 참조). 절단각도조절지그(70)의 회전시 안내암부(72)는 안내홈(91c)을 통과한다.
다음에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3).
다음에 지지면(71a)에 접촉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2)에 설치한다(S14).
다음에 가공재료(201)를 잡은 상태로 둥근톱(13)을 회전구동시켜 가공재료(201)를 절단한다(S15).
위 S11 내지 S15 단계를 거치면 절단각도 60°로 가공재료(201)를 절단할 수 있다. 도11은 가공재료(201)를 뒤집은 상태에서 절단각도 60°로 가공재료(201)를 절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킨다(S21).
다음에 지그고정노브(61)가 안내장공(72a)의 기준작업대(90) 쪽 종단에 접촉하도록 절단각도조절지그(70)를 회전시킨다(S22, 도12 참조).
다음에 지그고정노브(61)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킨다(S23).
다음에 지지면(71a)에 접촉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2)에 설치한다(S24).
다음에 가공재료(201)를 잡은 상태로 둥근톱(13)을 회전구동시켜 가공재료(201)를 절단한다(S25).
위 S21 내지 S25 단계를 거치면 절단각도 45°로 가공재료(201)를 절단할 수 있다. 도13은 가공재료(201)를 뒤집은 상태에서 절단각도 45°로 가공재료(201)를 절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고정노브(61)를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에 체결하면 45°보다 큰 작은 절단각도로 가공재료(201)를 절단할 수 있다.
지그고정노브(61)를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에 체결한 상태에서 노브고정나사홈(12c)에 대한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의 상대적 위치각도를 고려하면 절단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호형태의 안내장공(72a)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암부(72)와 안내암부(72)의 일단으로부터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P)에 도달하도록 연장형성된 지지암부(71)를 구비한 절단각도조절지그(70)를 탑재판(12)에 설치하는 한편, 절단각도조절지그(70)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절단각도조절지그(7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암부(72)에 대하여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기 위한 지그고정노브(61)를 탑재판(12)에 설치함으로써, 가공재료(201)의 초기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지지면과 둥근톱의 절단방향이 예각을 이루고 있음) 절단각도조절동작이 간단해지며(각도조절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동작이 필요 없음) 가공재료에 의해 눈금표시가 가려지지 않으면서(지지면이 안내장공을 가로 지르지 아니함)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내장공(72a)의 둘레에 각도눈금(72b)을 표시하는 한편 안내장공(72a)의 둥근톱(13) 쪽 종단과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P)을 연결하는 직선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면(71a)을 형성함으로써, 최대절단각도값(위 실시예에서는 90°)에서 시작하여 절단각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최대절단각도값에서 절단각도조절지그의 이동전 각도눈금값과 절단각도조절지그의 이동 후 각도눈금값의 차이를 빼면 절단각도를 얻을 수 있음).
또한 안내장공(72a)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톱노출슬롯(12a)의 형성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노브고정나사홈(12c)을 형성함으로써, 최소절단각도값(위 실시예에서는 45°)에서 시작하여 절단각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최소절단각도값에 절단각도조절지그의 이동전 각도눈금값과 절단각도조절지그의 이동 후 각도눈금값의 차이를 더하면 절단각도를 얻을 수 있음).
또한 탑재판(12)에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을 형성하여 지그고정노브(61)를 노브고정보조나사홈(12'c)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단각도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11, 111 : 탑재판지지부 12, 112 : 탑재판
13, 113 : 둥근톱 14, 114 : 마이터블럭
20 :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 21 : 지지판
30 : 지지판이동조작부 31 : 너트관부
32 : 나사봉 33 : 슬라이더
34 : 조작노브 60, 160' : 절단각도조절부
61 : 지그고정노브 70 : 절단각도조절지그
71 : 지지암부 72 : 안내암부
90 : 기준작업대 162' : 클램핑부
170 : 절단각도지그

Claims (4)

  1. 탑재판지지부와, 직선상의 톱노출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재판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톱노출슬롯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탑재판에 상면에 설치된 기준작업대와, 상기 톱노출슬롯을 통해 상기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과, 상기 둥근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에는 노브고정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브고정나사홈과 상기 둥근톱 사이영역에 하나 이상의 노브고정보조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호형태의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암부와 상기 안내암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에 도달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내암부와 반대쪽에 배치된 측면에는 직선상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암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둥근톱을 향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탑재판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탑재판에 설치되는 절단각도조절지그와, 상기 안내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노브고정나사홈과 상기 노브고정보조나사홈 중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나사체결되어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안내암부를 상기 탑재판을 향해 가압하고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암부에 대한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데 사용되는 지그고정노브를 갖는 절단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작업대에는 상기 절단각도조절지그가 회전할 때 상기 안내암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암부는 상기 안내장공의 둘레에 각도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안내장공의 상기 둥근톱 쪽 종단과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고정나사홈은 상기 안내장공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톱노출슬롯의 형성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4. 삭제
KR1020170067093A 2017-05-30 2017-05-30 둥근톱기계장치 KR101944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93A KR101944995B1 (ko) 2017-05-30 2017-05-30 둥근톱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93A KR101944995B1 (ko) 2017-05-30 2017-05-30 둥근톱기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98A KR20180130898A (ko) 2018-12-10
KR101944995B1 true KR101944995B1 (ko) 2019-02-01

Family

ID=6467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093A KR101944995B1 (ko) 2017-05-30 2017-05-30 둥근톱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7905A (zh) * 2020-09-30 2021-01-12 张家港市盛嘉建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7298A (zh) * 2019-11-08 2021-03-16 苏州市凯思泰克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pcba圆齿刀分板机设备
CN113441776B (zh) * 2021-08-31 2021-11-19 江苏创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压紧装置的智能型平面加工刨槽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936A (ja) * 2004-08-31 2006-03-16 Makita Corp 角度切り調整機付きテーブルソ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612B1 (ko) * 2002-07-09 2005-01-13 박용훈 프레임 모서리절단장치
KR101473098B1 (ko) * 2013-05-20 2014-12-15 이화주 배추 절단기
KR101572506B1 (ko) * 2014-04-24 2015-11-30 영림임업 주식회사 각재의 양단부를 상이한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936A (ja) * 2004-08-31 2006-03-16 Makita Corp 角度切り調整機付きテーブルソ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7905A (zh) * 2020-09-30 2021-01-12 张家港市盛嘉建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98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203B2 (en) Circular sawing machine having indication device
US5533556A (en) Router guide apparatus
US5080152A (en) Versatile precision woodworking apparatus
US8201483B2 (en) Power saw miter guide
KR101944995B1 (ko) 둥근톱기계장치
US4934422A (en) Bench mountable plate joining machine
US5042346A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accurate mitered corners
US6990882B2 (en) Device for precision cuts on aluminum and vinyl siding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US5546670A (en) Multi-purpose measuring instrument for wood working machines
US20050061128A1 (en) Saw guide apparatus
US6938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workpiece
US4158320A (en) Miter device
US7685915B2 (en) Cutting auxiliary device in band saw
GB2366621A (en) Adjustable mitre cutting apparatus
US20140366389A1 (en) Substrate Specific Cutting Guide
US5713134A (en) Precision angle cutting attachment for chain saws
US4903743A (en) Woodworking machine
EP1545845B1 (en) Mitre saw with adjustable fence
US20160075049A1 (en) Guidance assembly for circular saws
US4768570A (en) Cutting support and guide
US5129436A (en)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edges
US5675903A (en) Alignment mechanism for jointers
GB2208624A (en) Mitre cutting cramp
GB2185436A (en) Mitre cutting cramp
WO2010050312A1 (ja) 工具用定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