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324A -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324A
KR20200011324A KR1020180086266A KR20180086266A KR20200011324A KR 20200011324 A KR20200011324 A KR 20200011324A KR 1020180086266 A KR1020180086266 A KR 1020180086266A KR 20180086266 A KR20180086266 A KR 20180086266A KR 20200011324 A KR20200011324 A KR 2020001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magnetic block
magnetic
functional tile
block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006B1 (ko
Inventor
김원지
Original Assignee
김원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지 filed Critical 김원지
Priority to KR102018008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0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2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installation or service material, e.g. tubes for electricity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상업시설 등과 같은 건물의 주방이나 화장실(욕실) 등의 공간에 시공되는 타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성을 갖거나 자석이 장착된 각종 물품들(생활용품)을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공간 활용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내부에는 다수의 금속볼이 내장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M×N(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임) 형태의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성블록; 및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각 측면부에는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블록들 간의 경계를 표시하는 재단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TILE FOR EASILY ATTACHING DAILY SUPPL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택이나 상업시설 등과 같은 건물의 주방이나 화장실(욕실) 등의 공간에 시공되는 타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성을 갖거나 자석이 장착된 각종 물품들(생활용품)을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공간 활용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tile)은 주택이나 상업시설 등과 같은 건물의 주방이나 화장실, 목욕탕, 세면장 등과 같이 물기나 습기가 많은 공간의 바닥이나 벽면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내·외장재로서,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고, 시공 후에도 균열이나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식성과 위생성 또한 우수하다.
이러한 타일 중 벽면에 부착되는 타일에는 각종 생활에 필요한 용품들을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그 방법으로는 드릴을 이용하여 타일을 천공한 후 칼브럭을 삽입한 상태에서 피스(나사못) 등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부착하거나,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한다. 혹은 진공 흡착 방식으로 각종 생활용품들을 부착한다.
하지만, 각종 생활용품을 타일에 부착하기 위한 기존의 일반적인 부착방식들은 고도의 기술과 별도로 공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 또한 많이 소모되었다. 또한 타일을 손상시키는 한편, 타일에 부착된 생활용품의 위치를 변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타일에 파손 흔적이나 접착제 등의 자국이 남아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7213호(등록일: 2002. 11. 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9759호(공개일: 2018. 05. 11.) 등의 선행문헌들에서는 철 성분(금속)이 내부에 혼합된 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철 성분이 혼합된 타일은 자석이 장착된 생활용품을 누구나 쉽게 적재적소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생활용품의 부착할 위치를 자주 옮겨도 타일에 흔적이 남지 않아 매우 위생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타일은 타일을 제조할 때 철 성분, 즉 미세 분말(가루) 형태의 철 성분을 혼합시켜 제조함에 따라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균일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제작된 타일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때 타일의 절단면을 통해 철 성분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쉽게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20-0297213 Y1, 2002. 11. 26. KR 10-2018-0049759 B1, 2018. 05. 11.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균일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제작된 타일을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타일의 절단면을 통해 타일의 내부에 혼합된 금속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금속볼의 부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타일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각각의 내부에는 다수의 금속볼이 내장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M×N(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임) 형태의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성블록; 및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각 측면부에는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블록들 간의 경계를 표시하는 재단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볼은 아연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 표시부는 점선 또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층의 표출면에는 유약이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a) 소지와 금속볼을 혼합한 후 건조하여 자성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자성블록을 상호 결합하여 M×N(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임) 형태의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의 표면을 덮도록 외장층 형성용 소지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외장층 형성용 소지가 경화되기 전에 외장층의 측면부에 재단 표시부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외장층 형성용 소지를 소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외장층의 표면에 유약을 시유한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금속볼은 아연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 표시부는 점선 또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타일은 외장층의 내부에 각각 다수의 금속볼이 내장된 복수 개의 자성블록을 상호 연결하여 M×N 형태의 어레이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자성을 갖거나 자석이 장착된 장식물이나, 혹은 인쇄물 등을 포함하여 각종 물품, 즉 생활용품들을 자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타일은 외장층의 측면부에 재단 표시부를 형성하여 외장층에 내장된 복수 개의 자성블록 간의 경계를 표시함에 따라 자성블록의 손상 없이 유리 재단용 칼이나 타일 컷팅기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타일을 재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자성블록을 손상시키지 않고 재단이 가능함에 따라 자성블록의 내부에 내장된 금속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금속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타일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성블록이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성블록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재단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타일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10)은 일반적인 타일과 마찬가지로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되며, 그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성 타일(10)은 내부에 다수의 금속볼(111, 도 4참조)이 내장되고 서로 M×N(여기서, M, N은 각각 자연수) 형태로 결합된 복수 개의 자성블록(11)과, 복수 개의 자성블록(11)이 M×N의 어레이 형태로 결합된 자성블록 어레이의 외면을 감싸도록 도포되어 복수 개의 자성블록(11)을 서로 연결하는 외장층(12)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성블록이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기능성 타일(10)에는 복수 개의 자성블록(11)이 M×N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다. 일례로, 하나의 기능성 타일(10)에는 9개의 자성블록(110이 3×3 형태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성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자성블록(11)은 벽돌과 같이, 서로 균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금속볼(111)이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다. 즉, 자성블록(11)은 타일의 주재료인 소지(素地)(112)에 금속볼(111)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자성블록(11)은 다면체, 예를 들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직육면체나 정육면체의 기본 구조에 각 면의 모서리를 절삭(모따기)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볼(111)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이 아연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층(12)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타일 형상과 같이, 직육면체나 정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장층(12)은 자성블록(11)을 어레이 형태로 상호 배치 혹은 결합한 상태에서 그 표면에 소지(素地)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외장층(12)의 외면, 바람직하게는 벽체나 바닥에 시공한 상태에서 외부로 표출되는 표출면에는 표면 광택을 위해 시유 공정을 통해 유약이 더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장층(12)에는 기능성 타일(10)을 재단하여 사용할 때 자성블록(11)이 절단되지 않도록 자성블록들(11) 간의 경계를 표시하는 재단 표시부(121)가 형성된다.
재단 표시부(121)는 기능성 타일(10)을 시공 후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장층(12)의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단 표시부(121)는 일례로, 도 1과 같이, 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재단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재단 표시부(121')는 음각 처리된 홈 형태로 외장층(12)의 측면부(상하좌우 측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 형태의 재단 표시부(121')는 기능성 타일(10)의 강도를 고려하여 배면부에서 정면부(표출면)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면부에서 배면부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10)은 외장층(12)의 내부에 각각 다수의 금속볼(111)이 내장된 복수 개의 자성블록(11)을 어레이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을 갖거나 자석이 장착된 장식물이나, 혹은 인쇄물 등을 포함하여 각종 물품, 즉 생활용품들을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10)은 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함에 따라 기존 방식과 같이, 드릴을 이용하여 타일을 천공한 후 칼브럭을 삽입한 상태에서 피스(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거나,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혹은 진공 흡착 방식으로 부착하는 경우 문제가 되었던 타일 손상 문제, 그리고 부착 부위의 흔적이 남아 타일이 지저분 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10)은 외장층(12)의 측면부에 재단 표시부(121)를 형성하여 외장층(12)에 내장된 복수 개의 자성블록(11) 간의 경계를 표시함에 따라 자성블록(11)의 손상 없이 유리 재단용 칼이나 타일 컷팅기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타일을 재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성블록(11)을 손상시키지 않고 재단이 가능함에 따라 자성블록(11)의 내부에 내장된 금속볼(1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볼(111)의 부식을 방지하여 타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타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성블록(11)을 제조한다(ST1). 자성블록(11)은 타일의 주재료인 소지(112)와, 분말 형태의 금속볼(111)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다. 이때, 금속볼(111)은 부식 방지를 위해 표면에 아연이 도금된다.
이어서, 도 3 및 도 6과 같이, 복수 개의 자성블록(11)을 M×N 어레이 형태로 결합한다(ST2). 이때, 자성블록(11)은 단순히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배치하거나, 혹은 접착제나 반죽 상태의 소지 등을 이용하여 상호 긴밀하게 부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6과 같이, 복수 개의 자성블록(11)가 M×N 어레이 형태로 상호 결합된 자성블록 어레이의 외면에 외장층 형성용 소지(흙)를 도포한다(ST3).
이어서, 도 1, 도 5 및 도 6과 같이, 외장층 형성용 소지(흙)가 경화되기 전에 외장층(12)의 측면부에 재단 표시부(121)를 형성한다(ST4). 이때, 재단 표시부(121)는 점선, 실선 또는 홈 형태로 형성한다.
이어서, 도 6과 같이, 외장층 형성용 소지를 소성하여 외장층(12)을 형성한다(ST5).
이어서, 도 6과 같이, 외장층(12)의 표면에 유약을 시유한 후 소성하여 광택을 낸다(ST6).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능성 타일
11 : 자성블록
12, 12' : 외장층
111 : 금속볼
112 : 소지(흙)
121, 121' : 재단 표시부

Claims (7)

  1. 각각의 내부에는 다수의 금속볼이 내장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M×N(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임) 형태의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성블록; 및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각 측면부에는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블록들 간의 경계를 표시하는 재단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볼은 아연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 표시부는 점선 또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층의 표출면에는 유약이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5. (a) 소지와 금속볼을 혼합한 후 건조하여 자성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자성블록을 상호 결합하여 M×N(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임) 형태의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의 표면을 덮도록 외장층 형성용 소지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외장층 형성용 소지가 경화되기 전에 외장층의 측면부에 재단 표시부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외장층 형성용 소지를 소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외장층의 표면에 유약을 시유한 후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볼은 아연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 표시부는 점선 또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의 제조방법.




KR1020180086266A 2018-07-24 2018-07-24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209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66A KR102209006B1 (ko) 2018-07-24 2018-07-24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66A KR102209006B1 (ko) 2018-07-24 2018-07-24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324A true KR20200011324A (ko) 2020-02-03
KR102209006B1 KR102209006B1 (ko) 2021-01-28

Family

ID=6962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266A KR102209006B1 (ko) 2018-07-24 2018-07-24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0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3926A1 (ko) 2020-01-30 2021-08-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22010033A1 (ko) * 2020-07-09 2022-01-13 이상헌 벽 부착용 장식체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96B1 (ko) 2023-04-04 2023-09-06 황영규 건축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2573166B1 (ko) 2023-04-04 2023-08-30 황영규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220A (ja) * 1993-11-01 1995-05-16 Inax Corp 分割用モザイクタイルユニット
KR200297213Y1 (ko) 2002-07-30 2002-12-12 장유덕 철화타일
KR20180049759A (ko) 2016-11-03 2018-05-11 박시형 자석이 붙는 기능성 타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220A (ja) * 1993-11-01 1995-05-16 Inax Corp 分割用モザイクタイルユニット
KR200297213Y1 (ko) 2002-07-30 2002-12-12 장유덕 철화타일
KR20180049759A (ko) 2016-11-03 2018-05-11 박시형 자석이 붙는 기능성 타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3926A1 (ko) 2020-01-30 2021-08-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22010033A1 (ko) * 2020-07-09 2022-01-13 이상헌 벽 부착용 장식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006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1324A (ko)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US8656674B1 (en) Magnetic tile
CN102619320A (zh) 一种按压卡扣
KR20180049759A (ko) 자석이 붙는 기능성 타일
CN202248678U (zh) 一种软磁性陶瓷砖
US20120279157A1 (en) Magnetic tiles
CN202144651U (zh) 磁性建材
CN201747021U (zh) 装饰材料与建筑外墙的固定结构
JPH0741422Y2 (ja) 掛止具の取り付け構造
KR200457851Y1 (ko) 자력 접착 타일
US20120304580A1 (en) Magnetic Tiles
JP2893381B2 (ja) 金属板製タイル
CN204861902U (zh) 家居美化艺术化的美室柜
KR200297213Y1 (ko) 철화타일
CN201420332Y (zh) 单面彩釉砂涂料宽砖
CN210636729U (zh) 一体成型之厨房用瓷砖
CN202544296U (zh) 一种陶瓷建筑装饰板
CN203142241U (zh) 带壁挂画框的多功能陶瓷画
JPS6095064A (ja) 壁面施工法及び壁面構成材
JP2005002646A (ja) 複合タイル
CN201420330Y (zh) 单面彩釉砂涂料窄砖
KR200376569Y1 (ko) "나"자형 자유이동 벽걸이.
CN206707186U (zh) 一种建筑安装扣件
CN203499184U (zh) 建筑板材
Gendelman et al. Crafts and craftsmen in Roman and Byzantine Caes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