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231A -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231A
KR20200011231A KR1020180086074A KR20180086074A KR20200011231A KR 20200011231 A KR20200011231 A KR 20200011231A KR 1020180086074 A KR1020180086074 A KR 1020180086074A KR 20180086074 A KR20180086074 A KR 20180086074A KR 20200011231 A KR20200011231 A KR 20200011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ting
support
protrusion
contain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5891B1 (en
Inventor
박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891B1/en
Publication of KR2020001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3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impac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ssel apparatus which can be conveyed by a conveying apparatus to be mounted on a supporter. The vessel apparatus comprises: a vessel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is formed; a protrusion unit protruding outwards from a side surface of the vessel; an engagement unit protruding outwards from the protrusion unit for the conveying apparatus to be engaged; and a mounting unit installed in the protrusion unit for at least a portion thereof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so as to relieve impacts. Moreover, impacts generated when the vessel apparatus is mounted on the supporter can be relieved.

Description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Container device and its mounting method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장치가 지지대에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pparatus and a moun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apparatus and a mounting method thereof that can mitigate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apparatus is seated on the support.

철강공정에서 용강을 운반하는 용기인 래들은, 일반적으로 크레인에 의해 운반된다. 크레인으로 제강공정에서 래들을 대차에 내려놓거나, 연속 주조공정에서 래들을 터렛 암에 내려놓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Ladles, which are containers for carrying molten steel in the steel process, are generally carried by cranes. The crane can be used to lower the ladle to the trolley in the steelmaking process, or the ladle to the turret arm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이때, 래들이 대차나 터렛 암과 접촉하면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충격이 심한 경우, 크레인의 로프가 탈선되어 래들이 추락하거나 설비가 파손되어, 공정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impact may occur while the ladle contacts the bogie or the turret arm. If the impact is severe, the rope of the crane may be derailed and the ladle may fall or the equipment may be damaged, causing the process to be stopped.

또한, 래들이 대차나 터렛 암에 잘못 안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래들이 기울어져 대차나 터렛 암에 안착될 수 있다. 래들이 기울어지는 정도가 심한 경우, 래들 내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The ladle may also be incorrectly seated on the bogie or turret arm. For example, the ladle may tilt and rest on the bogie or turret arm. If the ladle is inclined too much, accidents may occur where the molten steel in the ladle leaks out.

종래에는 래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센서로 측정하고,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래들에 충격이 가해진 후에 충격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래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실제적으로 완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래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래들이 잘못 안착되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Conventionally, the impact applied to the ladle was measured by a sensor, and the operation of the crane wa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easured information. However, since the impact amount is measured after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lad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bstantially allevi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lad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mitigate the impact on the ladle or to prevent or prevent the ladle from being accidentally seated and tilted.

KRKR 2017-00730132017-0073013 AA

본 발명은 용기 장치가 지지대에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device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container device that can alleviate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container device is seated on the support.

본 발명은 내부에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apparatus and a seat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stably receiving a processing object therein.

본 발명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지지대에 안착될 수 있는 용기 장치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운반장치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하게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device which can be carried by a conveying device and seated on a support, comprising: a container having a space in which an object to be processed is accommodated; A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A catch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conveying device can be caught; And a seating portion provided at least in part in the protrusion so as to relieve impact.

상기 안착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한 구동부재; 및 상기 지지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한다.The se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the drive member capable of stretch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at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상기 구동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된다.The dri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동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seating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members and further include a cushioning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상기 구동부재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The drive member, the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 plat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a movable body, one end of which protrudes outward of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late.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공급라인;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의 유체를 배출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배출라인;을 더 포함한다.The drive member, a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body to supply flui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And a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body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지지대와 마주보는 부분에 탄성체를 구비한다.The seating member has an elastic body facing the support.

상기 안착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방법으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기 장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안착부로 완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ating a container device carried by a conveying device on a support, the container device having a container for receiv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rein, a projection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a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projection To prepare; Positioning the container device above the support and moving the container device downward; And mitigating an impact generated while seating the container device on the support, to the seating portion.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안착부가 완화하는 과정은, 상기 안착부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신장수축하여 충격량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step of mitigating the impact generated while seating the container device on the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impact amount by moving or stretching in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운반장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은 용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대차에 구비된다.The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crane, the object to be treated includes molten steel, and the support is provided in the bogi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기 장치가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를 이용한 공정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container device is seated. Thus, damage to the equipment can be prevented. Therefore, since the process using the container apparatus can be performed stably without interruption,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또한, 용기 장치가 잘못 안착되거나 충격으로 인해, 용기 장치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 내부에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피처리물의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outflow of the to-be-processed object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apparatus due to improper seating or impact. Therefore,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pparatus, and an accident due to the outflow of the objec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 운반장치, 및 대차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와 안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를 대차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device, a conveying device, and the ba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and the se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e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ating a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for seating the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l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ion in detail,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 운반장치, 및 대차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운반장치와 대차의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device, a conveying device, and the ba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transport apparatus and the bogie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을 참조하면, 운반장치는 용기 장치(100)를 지지하거나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운반장치는 주권후크(51)와 보권후크(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반장치는 천장크레인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ransport device serves to support or transport the container device 100. The conveying device may include a sovereign hook 51 and a sovereign hook 52. At this time, the conveying device may be a ceiling crane.

주권후크(51)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권후크(51)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주권후크(51)는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주권후크(51)들은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걸림부(130)에 각각 걸릴 수 있다. 운반장치의 작동으로 주권후크(51)가 제1 걸림부(130)에 걸린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용기 장치(100)도 상측으로 이동하고, 주권후크(5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용기 장치(100)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주권후크(51)를 이용하여 용기 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 sovereign hook 51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he winding hook 51 can be supported by a wire. The sovereign hook 51 may be provided with a pai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winding hooks 51 may be caught by a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130 provided in the container device 100, respectively. When the sovereign hook 51 is moved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the container device 100 also moves upward. When the sovereign hook 51 moves downward, the container device ( 100) can also move downward. Thus, the container hook 100 can be seated in a desired position by using the winding hook 51.

보권후크(52)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권후크(52)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권후크(52)는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제2 걸림부(140)에 걸릴 수 있다. 보권후크(52)가 제2 걸림부(140)에 걸린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제2 걸림부(140)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The winding hook 52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he winding hook 52 may be supported by a wire. The winding hook 52 may be caught by the second catching part 140 provided in the container device 100. When the hook hook 52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caught by the second catching part 140, the second catching part 140 may also move up and down.

또한, 보권후크(52)는 주권후크(51)와 별도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주권후크(51)와 보권후크(52)가 용기 장치(100)에 걸린 상태에서, 주권후크(51)의 위치를 고정하고 보권후크(52)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용기 장치(100)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ding hook 52 may move up and down separately from the winding hook 51. Accordingly, when the sovereignty hook 51 and the sovereignty hook 52 are locked to the container apparatus 100, the position of the sovereignty hook 51 is fixed and the bobbin hook 52 is moved up and down. The slope of can be adjusted.

도 1을 참조하면, 대차(10)는 용기 장치(100)를 싣고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대차(10)는 프레임(11), 구동휠(12), 및 지지대(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rolley 10 serves to load and move the container device 100. The bogie 10 may include a frame 11, a drive wheel 12, and a support 13.

프레임(11)은 지지대(13)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11)은 사각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프레임(11)의 중심부에는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의 면적은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용기(110)의 평면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안착부(150)가 지지대(13)에 안착되면, 용기(110)가 구멍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1)과 구멍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frame 11 serves to support the support 13. The frame 1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Thus, a rectangular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11. The area of the hole may be larger than the planar area of the container 110 provided in the container device 100. Therefore, when the seating part 150 provided in the container apparatus 100 is seated in the support 13, the container 110 may be located in a hole.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frame 11 and the hole may be various but not limited thereto.

구동휠(12)은 프레임(1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휠(12)은 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된다. 구동휠(12)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1)이 구동휠(12)에 의해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drive wheel 12 serves to support the frame 11 to be movable. The drive wheel 12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12 are provided and disposed on a pair of rails. Therefore, the frame 11 can mov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ail by the drive wheel 12.

지지대(13)는 대차(10)에 안착되는 용기 장치(10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3)는 이동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3)는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안착부(150)들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13 serves to support the container device 100 seated on the trolley 10. The support 13 may be installed in the moving part 11. The support 13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arts 150 provided in the container device 100. The support 1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예를 들어, 지지대(13)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13)는 프레임(11)에 형성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3)들은 최소 구멍의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지지대(13)들은 서로 다른 위치의 안착부(150)들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13)가 배치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13 may be provided with a pair. The pair of supports 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hole formed in the frame 11 therebetween. Thus, the supports 13 can be spaced apart by the length of the minimum hole. Thus, the support 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s 150 of different positions, respectively. However, the manner in which the support 13 is disposed may be various but not limited thereto.

지지대(13)는 이동부(11)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대(13)의 상부면은 용기 장치(100)의 안착부(15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support 1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1. The support 1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3 may contact the seating part 150 of the container device 100.

또한, 지지대(13)에는 지지홈(13a)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홈(13a)은 지지대(13)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3a)은 지지대(13)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홈(13a)의 전후방향 길이는 안착부(15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150)가 지지홈(13a) 내에 용이하게 진입하여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13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groove (13a). The support groove 13a may be formed by being du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3. The support groove 13a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13.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upport groove 13a may be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eating part 150. Thus, the seating part 150 may be easily entered and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13a.

한편, 지지홈(13a)에 의해 지지대(13)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에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기(13b)들에 사이에서 안착부(150)가 지지홈(13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pair of protrusions 13b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13 by the support groove 13a. Thus, the mounting part 150 may be prevented or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groove 13a between the protrusions 13b.

또한, 지지홈(13a)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또는, 전후방향 길이)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홈(13a)에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곡률을 가지는 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50)가 지지홈(13a) 내에 진입할 때, 경사면이나 곡률을 가지는 면에 의해 지지홈(13a)의 중심부로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groove 13a may be formed such that its width (or front and rear length)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For example,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groove 13a or a surface having a curvature may be formed. Therefore, when the seating part 150 enters the support groove 13a, it may be guided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groove 13a by the inclined surface or the surface having the curvature.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upport 13 may be various but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와 안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and the se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 member.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장치(100)는 용기(110), 돌출부(120), 제1 걸림부(130), 및 안착부(150)를 포함한다. 용기 장치(100)는 제2 걸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container device 100 includes a container 110, a protrusion 120, a first catching part 130, and a seating part 150. The contain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cking part 140.

이때, 운반장치는 크레인일 수 있다. 용기(110)에 수용될 수 있는 피처리물은 용강일 수 있다. 지지대(13)는 대차(1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을 수용한 용기 장치(100)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대차(10)에 구비되는 지지대(13)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운반장치와 피처리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며, 지지대(13)가 구비되는 설비도 래들을 지지하는 터렛 암 등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veying device may be a crane. The object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10 may be molten steel. The support 13 may be provided in the trolley 10. Therefore, the container device 100 containing the molten steel can be carried by the conveying device and seated on the support 13 provided in the trolley 10. However, the type of conveying device and the object to be processed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quipment provided with the support 13 may be variously limited, such as a turret arm supporting the ladle.

용기(110)는 내부에 피처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용기(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The container 110 has a space in which an object to be processed is accommodated. The container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top of the vessel 110 may be open.

예를 들어, 용기(110)는 래들일 수 있다. 용기(110)는 외피와 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철피일 수 있고, 외피의 내부에 내화물이 축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10) 내부에 고온의 용강이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110 can be a ladle. The container 110 may include a shell and a refractory. The sheath may be iron and the refractory may be built up inside the sheath. Therefore, high temperature molten steel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10.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ontainer 110 may vary,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돌출부(120)는 용기(1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120)는 용기(110)의 외피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120)의 하부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 For example, the protrusion 120 may protrude toward the left or the right side of the outer shell of the container 110. The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Thus,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돌출부(1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용기(11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20)는 용기(110)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12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protrusions 120 may be provided at each of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10. The pair of protrusions 120 may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container 110.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protrusion 120 and the number provided may be various.

제1 걸림부(130)는 돌출부(1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운반장치가 제1 걸림부(130)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고, 운반장치가 용기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부(130)는 돌출부(120)의 표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30)는 원형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장치의 주권후크(51)가 제1 걸림부(130)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protrusion 120. As a result, the conveying device may be easily caught by the first catching part 130, and the conveying device may be transported while stably supporting the container device 100. For example,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may protrude toward the left or the right side from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The first catching part 13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r shape. Therefore, the sovereignty hook 51 of the conveying apparatus can be stably hung on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이때, 제1 걸림부(130)의 단면 면적은 돌출부(120)의 단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걸림부(130)의 크기가 돌출부(120)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돌출부(120)에 제1 걸림부(1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와 제1 걸림부(1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locking part 130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120. Since the siz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rotrusion 120,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20. Therefore, the protruding portion 120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may be stably fixed.

또한, 제1 걸림부(13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돌출부(12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20)는 각 돌출부(120)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주권후크(51)가 한 쌍의 제1 걸림부(130) 각각에 걸릴 수 있고, 주권후크(51)들이 용기 장치(100)의 양측을 지지하여, 용기 장치(100)가 안정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a pair may be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protrusions (120). The pair of protrusions 120 may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protrusion 120. Accordingly, a pair of sovereign hooks 51 may be caught by each of the pair of first hooking portions 130, and the sovereign hooks 51 support both sides of the container apparatus 100, so that the container apparatus 100 may be It can be transported stably.

제2 걸림부(140)는 용기(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걸림부(140)는 제1 걸림부(130)가 위치하지 않은 용기(110)의 후단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40)는 운반장치의 보권후크(52)가 걸릴 수 있게 형성된다. 제2 걸림부(140)는 경동암, 링크, 및 탈착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atching part 14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10. For example, the second locking portion 14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110 in which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is not located. The second locking portion 140 is formed to catch the hook hook 52 of the conveying device. The second catching part 140 may include a tilt arm, a link, and a detachable bar.

경동암은 탈착바에 지지되어 링크를 지탱해준다. 경동암은 마주보는 두 개의 판 사이를 샤프트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운반장치의 보권후크(52)가 샤프트에 걸릴 수 있다.Tilt rock is supported on the detachable bar to support the link. Tilt ro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shaft is connected between two facing plates. Thus, the hook hook 52 of the conveying device may be caught on the shaft.

링크는 용기(110)의 바닥 저면과 경동암을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즉, 링크의 일단은 용기(110)의 바닥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경동암과 힌지 결합한다.The link may hinge conne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with the tilted arm. That is, one end of the link is coupled to the bottom bottom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tilted arm.

탈착바는 용기(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링크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탈착바는 경동암이 안착될 수 있는 탈착홈을 가진다. 이에, 경동암이 보권후크(52)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경동암이 탈착홈에서 이탈하고, 경동암이 탈착바에 안착되는 경우 경동암이 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걸림부(1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Detachable ba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 it may be located above the link. The detachable bar has a detachable groove on which the tilt arm can be mounted. Thus, when the tilting arm moves upward by the winding hook 52, the tilting arm is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groove, and when the tilting arm is seated on the detaching bar, the tilting arm may be seated on the detachable groove.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econd catching part 140 may vary,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50)는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하게 돌출부(120)에 설치된다. 이에, 안착부(150)는 용기 장치(100)가 지지대(13)에 안착될 때, 지지대(13)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1 and 3, the seating part 150 is installed at the protrusion 120 to at least partially extend and contract. Thus, the seating part 150 may mitigate the impact caused by colliding with the support 13 when the container device 100 is seated on the support 13.

또한, 안착부(1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돌출부(12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안착부(150)가 한 쌍의 지지대(13) 각각에 접촉하여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안착부(150)가 지지대(13)에 안착될 때, 각각의 돌출부(12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5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and may be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protrusions 120. Thus, each seating portion 150 may be seat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pair of supports 13. Therefore, when each seating portion 150 is seated on the support 13,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shock transmitted to each of the protrusions (120).

안착부(150)는 구동부재(151), 및 안착부재(152)를 포함한다. 안착부(150)는 완충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part 150 includes a driving member 151 and a seating member 152. The seating part 15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153.

구동부재(151)는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된다. 구동부재(151)는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가 돌출부(12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하면서,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0)와 안착부재(152) 사이의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151)가 돌출부(120)와 용기(110) 등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151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otrusion. The driving member 151 may extend and contr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the driving member 151 extends and contr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0 to absorb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impact amount between the protrusion 120 and the seating member 152 may be absorbed. Therefore, the driving member 151 can reduce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protrusion 120, the container 110 and the like.

또한, 도 3의 (a)와 같이 구동부재(151)는 몸체(151a), 플레이트(151b), 및 이동체(151c)를 포함한다. 구동부재(151)는 실링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재(151)는 실린더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the driving member 151 includes a body 151a, a plate 151b, and a moving body 151c. The driving member 151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body (not shown). In this case, the driving member 151 may be a cylinder.

몸체(151a)는 안착부재(152)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몸체(151a)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몸체(151a)는 원통 또는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51a)의 상부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몸체(151a)가,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는 제1 몸체, 및 제1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제1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몸체(151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body 151a may be installed and fixed on top of the seating member 152. The body 151a has an inner space. For example, the body 151a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square cylinder shape, and a spac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therein. An opening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51a. Alternatively, the body 151a may include a first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being opened, and a second bod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have.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body 151a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플레이트(151b)는 몸체(151a)의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레이트(151b)는 몸체(151a) 내부공간의 평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51b)는 피스톤일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51b)는 몸체(151a)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나눌 수 있다. 플레이트(151b)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부공간의 부피는 감소하고, 하부공간의 부피는 증가할 수 있다. 플레이트(151b)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부공간의 부피는 증가하고, 하부공간의 부피는 감소할 수 있다.The plate 151b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51a. The plate 151b may be formed along a plan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51a. For example, plate 151b may be a piston. Thus, the plate 151b may divide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51a. When the plate 151b moves upward, the volume of the upper space may decrease and the volume of the lower space may increase. When the plate 151b moves downward, the volume of the upper space may increase and the volume of the lower space may decrease.

이동체(151c)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151c)는 실린더 로드일 수 있다. 이에, 이동체(151c)의 일단(또는, 상단)은 몸체(151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20)와 연결되고, 타단(또는, 하단)은 몸체(151a) 내부의 플레이트(151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51c)는 몸체(151a)의 개구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151b)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151c)의 상단은 돌출부(120)의 하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동체(15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moving body 151c may be a ro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moving body 151c may be a cylinder rod. Thus, one end (or top) of the movable body 151c protrudes outward of the body 151a to b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0, and the other end (or bottom) is connected to the plate 151b inside the body 151a. Can be. Therefore, the movable body 151c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body 151a, and may move up and down by the movement of the plate 151b.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body 151c may be hinged rotatab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20.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moving body 151c may be various but not limited thereto.

실링체는 이동체(151c)와 몸체(151a)의 개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체는 O링일 수 있고, 이동체(151c)와 몸체(151a)의 개구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The sealing body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body 151c and the opening of the body 151a. For example, the sealing body may be an O-ring and may seal between the moving body 151c and the opening of the body 151a.

이때, 몸체(151a)의 하부공간은 유체(예를 들어, 기름)(F)로 채워질 수 있고, 이동체(151c)는 몸체(151a)의 하단부는 몸체(151a)의 상부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51c)는 유체의 압력과 돌출부(120)에서 가하는 하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pace of the body 151a may be filled with fluid (for example, oil) F, and the movable body 151c may move up and down in the upper space of the body 151a. have. Therefore, the movable body 151c may move up and down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the load applied by the protrusion 120.

예를 들어, 용기 장치(100)가 운반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돌출부(120)가 이동체(151c)에 가하는 하중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1a) 내부의 유체(F)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여, 플레이트(151b)를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51c)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부재(151)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ainer device 100 is supported by the conveying device, the load applied by the protrusion 120 to the movable body 151c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fluid F inside the body 151a is maintained in an expanded state, and the plate 151b can be pushed upward. Therefore, the movable body 151c moves upward to maintain the extended state of the driving member 151.

반대로, 용기 장치(1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와 접촉하면, 안착부재(152)는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운반장치가 돌출부(120)와 용기(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힘이 감소하면서, 안착부(150)에 돌출부(120)와 용기(110)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와 연결된 이동체(151c)가 하측으로 눌릴 수 있고, 이동체(151c)와 연결된 플레이트(151b)가 몸체(151a) 내부의 유체(F)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유체(F)가 압축되면서 플레이트(151b)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구동부재(151)가 수축하면서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f the seating member 152 contacts the support 13 by moving the container device 100 downward, the seating member 152 may no longer move downward. As the conveying device reduces the force supporting the load of the protrusion 120 and the container 110, the load of the protrusion 120 and the container 110 may be applied to the seating part 150. Therefore, the movable body 151c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0 may be pressed downward, and the plate 151b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151c may press the fluid F inside the body 151a downward. Accordingly, the plate 151b moves downward while the fluid F is compressed, and the driving member 151 contracts to absorb the impact amount.

운반장치가 용기 장치(100)를 상측으로 다시 이동시키면, 이동체(151c)를 하측으로 누르는 힘이 감소하여, 유체가 팽창하면서 이동체(151c)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151)가 다시 신장될 수 있다.When the conveying apparatus moves the container apparatus 100 upward again, the force for pressing the movable body 151c downward decreases, and the movable body 151c can be moved upward while the fluid expands. Therefore, the driving member 151 can be extended again.

한편, 구동부재(151)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구동부재(151)가 구비되어 안착부재(15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동부재(15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영역으로 가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151)가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driving members 151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 pair of driving members 151 may be provided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152. Therefore, each driving member 151 may absorb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different regions at different positions. However, the number provided with the driving member 15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이때, 도 3의 (b)와 같이 구동부재(151)는 공급라인(155), 및 배출라인(15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몸체(151a)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F)의 양을 조절하여, 이동체(151c)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B, the driving member 151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line 155 and a discharge line 156. Therefore, the moving body 151c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fluid F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51a.

공급라인(155)은 몸체(151a)의 내부공간으로 유체(F)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공급라인(155)은 유체(F)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공급라인(155)의 일단은 유체(F)가 저장되는 저장용기(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151a)의 하부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체(F)가 공급라인(155)을 통해 몸체(151a)의 하부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1a)의 하부공간으로 유체(F)가 공급되면, 하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F)의 양이 증가하면서 플레이트(151b)를 상측으로 밀어내 이동체(151c)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supply line 155 serves to supply the fluid F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51a. The supply line 155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F moves. One end of the supply line 155 may be connected to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in which the fluid F is stored,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 lower space of the body 151a. Thus, the fluid F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supplied to the lower space of the body 151a through the supply line 155. Therefore, when the fluid F is supplied to the lower space of the body 151a, while the amount of the fluid F accommodated in the lower space increases, the plate 151b is pushed upward to move the movable body 151c upward. Can be.

또한, 공급라인(155)은 공급밸브(155a)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밸브(155a)의 작동을 제어하면, 몸체(151a)로 유체(F)를 공급하거나 중단할 수 있고, 몸체(151a)로 공급되는 유체(F)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line 155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valve (155a).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valve 155a, it is possible to supply or stop the fluid F to the body 151a, and to adjust the amount of the fluid F to be supplied to the body 151a.

배출라인(156)에 몸체(151a)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F)를 외부로 배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배출라인(156)은 유체(F)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배출라인(156)의 일단은 유체(F)가 저장되는 저장용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151a)의 하부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몸체(151a) 내부의 유체(F)가 배출라인(156)을 통해 저장용기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1a)의 하부공간의 유체(F)를 외부로 배출하면, 하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F)의 양이 감소하면서 플레이트(151b)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이동체(151c)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discharge line 156 serves to discharge the fluid (F)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51a)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line 156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F moves. One end of the discharge line 156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fluid F is stored,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of the body 151a. Thus, the fluid F inside the body 151a may be discharged to the storage container through the discharge line 156. Therefore, when the fluid F of the lower space of the body 151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mount of the fluid F accommodated in the lower space is reduced, and the plate 151b moves downward to move the movable body 151c downward. I can move it.

또한, 배출라인(156)에 배출밸브(156a)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밸브(156a)의 작동을 제어하면, 몸체(151a) 내부에 수용된 유체(F)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discharge valve 156a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line 156.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valve (156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the fluid (F) contained in the body (151a).

예를 들어,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에 올바른 위치에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의 일측은 지지홈(13a) 내에 안착되고, 타측은 돌기(13b)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대(13)에 안착되면서, 용기(110)도 기울어질 위험이 있다.For example, the seating member 152 may not be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support 13. Thus,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152 may be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13a, and the other side may be seated on the protrusion 13b. Therefore, while the seating member 152 is seated on the support 13 in an inclined state,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ainer 110 is also tilted.

이때, 공급라인(155)과 배출라인(156)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즉, 안착부재(152)의 일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에는 유체를 공급해줄 수 있고, 타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에서는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의 일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는 신장하면서 돌출부(120)의 일측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타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는 수축하면서 돌출부(120)의 타측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져 일측과 타측의 균형이 맞지 않던 돌출부(120)의 균형이 맞춰질 수 있고, 용기(110)의 균형도 맞춰져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supply line 155 and the discharge line 156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or prevent the container 110 from tilting. That is, the fluid may be supplied to the driving member 151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152, and the fluid may be discharged from the driving member 151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driving member 151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152 may lift up one side of the protrusion 120 while extending, and the driving member 151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may contract while protruding 120. The other side of can be moved downward. Accordingly, the seating member 152 may be tilted to balance the protrusion 120 that is not balanc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balance of the container 110 may also be balanced to prevent or prevent the container 110 from tilting. have.

완충부재(153)는 탄성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153)는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완충부재(153)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될 수 있다. 완충부재(153)를 압축하면, 탄성력에 의해 신장하려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153)는 구동부재(151)들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부재(153)의 상부는 돌출부(120)의 하부면과 연결되고, 하부는 안착부재(152)의 상부면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153)는 돌출부(120)와 안착부재(152) 사이의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고, 구동부재(151)들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구동부재(15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uffer member 153 has an elastic force.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153 may be a spring. Thus, the buffer member 153 may be compressed or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53 is compressed, a force to be stretched by an elastic force may be generated. The buffer member 153 i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members 151. The upper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15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152. Accordingly, the shock absorbing member 153 may absorb the impact amount between the protrusion 120 and the seating member 152, and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members 151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driving member 151. Can be.

또한, 완충부재(153)는 구동부재(151)들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53)가 구비되는 개수가 증가할수록, 구동부재(151)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구동부재(151)들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153)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15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15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members 151. As the number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s 153 is increased, the load on the driving member 151 may be reduced. Thus, the number of shock absorbing members 153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members 15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members 151.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5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재(152)는 구동부재(151)의 하부에 연결된다. 안착부재(152)는 도 4의 (a)와 같이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의 상부면에 구동부재(151) 또는 완충부재(153)가 설치될 수 있고, 안착부재(152)의 하부면은 지지대(13)에 직접 접촉하여 안착될 수 있다.1 and 4, the mounting member 15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151. The seating member 15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driving member 151 or the buffer member 15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15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152 may be directly contacted with the support 13.

이때, 안착부재(152)는 도 4의 (b)와 같이 지지대(13)와 마주보는 부분에 탄성체(152a)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52a)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의 탄성체(152a)가 지지대(13)에 안착될 때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 완충부재(153), 및 탄성체(152a)가 삼중으로 충격량을 흡수하여 설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unting member 152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152a at a portion facing the support 13 as shown in (b) of FIG. For example, the elastic body 152a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erefore, the impact amount can be absorbed when the elastic body 152a of the seating member 152 is seated on the support 13. Thus, the driving member 151, the shock absorbing member 153, and the elastic body 152a absorb the amount of impact in three times,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damage to the equipment.

한편, 안착부재(152)는 도 4의 (c)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안착부재(152)의 하부 모서리들을 테이퍼 가공하여, 안착부재(152)의 하부에 경사면(15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잘못 안착되어 지지대(13)의 돌기(13b)와 접촉하더라도, 안착부재(152)에 형성된 경사면(152b)이 돌기(13b)에 형성된 경사를 타고 이동하여, 안착부재(152)가 지지홈(13a) 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재(152)가 돌기(13b)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구동부재(151) 등이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어 설비의 손상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재(15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ating member 152 may be narrower as at least a por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 shown in (c) of FIG. That is, by tapering the lower edges of the seating member 152, the inclined surface 152b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member 152. Therefore, even when the seating member 152 is incorrectly seated and contacts the protrusion 13b of the support 13, the inclined surface 152b formed on the seating member 152 moves on the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protrusion 13b, so that the seating member 152 may be stably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13a. At this time, even if a shock occurs while the seating member 152 moves along the protrusion 13b, the driving member 151 or the like can absorb the impact amount, thereby suppressing or preventing damage to the facility.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eating member 152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between the embodiment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를 대차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ating a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ting the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trolley. Hereinafter, a method of mounting the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방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은, 용기 장치를 마련하는 과정(S110), 용기 장치를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용기 장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120), 및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안착부로 완화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운반장치는 크레인일 수 있다. 용기 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은 용강일 수 있다. 그러나 운반장치와 피처리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mounting method of a container apparatus is a method of mounting the container apparatus conveyed by a conveying apparatus to a support stand. Referring to Figure 5, the mounting method of the container device, the process of preparing a container device (S110), positioning the container device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ainer device downward (S120), and the container device support It includes a step (S130) to mitigate the impact generated while seating on the seat. At this time, the conveying device may be a crane. The workpiece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device may be molten steel. However, the type of conveying device and the object to be treated may be various but not limited thereto.

도 6과 같이, 운반장치로 운반되는 용기 장치(100)를 대차(10)에 구비되는 지지대(13)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용기 장치(100)를 마련할 수 있다. 용기 장치(100)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110), 용기(110)에 연결되는 돌출부(120), 및 돌출부(120)에 설치되는 안착부(152)를 구비한다. 용기 장치(100)는 돌출부(120)에 설치되어 운반장치의 주권후크(51)에 걸릴 수 있는 제1 걸림부(130), 및 용기(110)에 설치되어 운반장치의 보권후크(52)에 걸릴 수 있는 제2 걸림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ainer device 100 carried by the transport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13 provided in the cart 10. First, the container apparatus 100 can be provided. The container device 100 includes a container 110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therein, a protrusion 120 connected to the container 110, and a seating part 152 installed on the protrusion 120. The container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protrusion 120 and may be caught by the sovereign hook 51 of the transport device, and the container 110 is installed on the bobbin hook 52 of the transport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cking portion 140 that can be caught.

그 다음, 도 6의 (a)와 같이 운반장치로 용기 장치(100)를 대차(1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 장치(100)가 대차(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용기 장치(100)의 하부가 대차(10)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6A, the container device 100 may be positioned on the trolley 10 by a conveying device. Thus, the container apparatus 10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trolley 1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pparatus 100 may face the top of the trolley 10.

용기 장치(100)가 대차(10)의 상측에 위치하면, 운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 장치(1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기 장치(100)는 서서히 내려가면서, 용기 장치(100)의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와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apparatus 100 is located above the trolley 10,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may be controlled to move the container apparatus 100 downward. As the container device 100 gradually descends, the seating member 152 of the container device 100 may contact the support 13.

이때, 용기 장치(100)를 대차(10)의 지지대(13)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안착부(152)가 완화할 수 있다. 안착부(152)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신장수축하여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량은 용기 장치(100)(또는, 안착부(152))와 지지대(13)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물리량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nting part 152 provided in the container apparatus 100 can alleviate the shock which arises while mounting the container apparatus 100 to the support stand 13 of the trolley | bogie 10. The seating part 152 may be moved or stretched in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bsorb the impact amount. The impact amount may be a physical amount generat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container apparatus 100 (or the seating portion 152) and the support 13.

예를 들어, 안착부재(152)와 지지대(13)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안착부재(152)의 일부는 지지대(13)에 형성된 지지홈(13a) 내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는 지지대(13)의 돌기(13b)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홈(13a)의 바닥면과 돌기(13b)의 상부면 상하방향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안착부(152)의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sitions of the seating member 152 and the support 13 do not match, as shown in FIG. 6B, a part of the seating member 152 is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13a formed in the support 13. The other part may be seated on the protrusion 13b of the support 13.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groove 13a and the top and bottom positions of the protrusion 13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eating member 152 of the seating portion 152 may be seated in an inclined state.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에 안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은 안착부(152)에 구비되는 구동부재(151)와 완충부재(153)가 수축하면서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설비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 장치(100)에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여, 용기 장치(100) 내부의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hock generated when the seating member 152 is seated on the support 13 may be alleviated while the driving member 151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53 provided on the seating portion 152 contra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equipment, vibration caused by the shock occurs in the container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lten steel inside the container device 100 to flow out.

이때, 한 쌍의 구동부재(151)가 서로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즉, 돌기(13b)의 상측에 위치한 구동부재(151)가 지지홈(13a)의 하측에 위치한 구동부재(151)가 더 많이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진 양에 비해, 돌출부(120)가 기울어지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들이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고, 돌출부(120)와 연결된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driving members 151 may operate differently. That is, the driving member 151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13b may contract more than the driving member 15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13a. Therefore, the amount of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120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amount of inclination of the seating member 152. Accordingly, the driving members 151 may als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bsorb the impact amount, and the molten steel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110 is minimized by minimizing the inclination of the container 110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0.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또한, 완충부재(153)들도 수축하면서 구동부재(151)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153)들도 위치에 따라 수축되는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153)들도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가 잘못 안착되어 기울어지더라도,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양을 감소시켜 용기(110)가 평평한 상태에 가깝게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s 153 may als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member 151 while contracting. The amount of shrinkage of the buffer member 153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refore, the buffer members 153 may als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bsorb the impact amount. Thus, even if the seating member 152 is incorrectly seated and inclined, the container 110 may be supported to be close to the flat state by reducing the amount of inclination of the container 110.

운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업자가 안착부재(152)와 지지대(13)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것을 감지하면, 운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 장치(100)를 상측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에, 용기 장치(100)가 지지대(13)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If the operator wh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 device detects that the position of the seating member 152 and the support 13 does not match,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 device can be controlled to lift the container device 100 upwards. Thus, the container device 100 can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3).

그 다음, 도 6의 (c)와 같이 운반장치로 용기 장치(100)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 전체가 지지홈(13a)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용기 장치(1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c) of FIG. 6,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ntainer apparatus 100 may be adjusted by th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device 10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entire mounting member 152 may be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13a.

용기 장치(100)의 위치가 조절되면, 주권후크(51)와 보권후크(52)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 장치(1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기 장치(100)는 서서히 내려갈 수 있고, 안착부재(152) 전체가 지지홈(13a) 내로 진입하여, 지지홈(13a)의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고, 돌출부(120), 및 용기(110)도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device 100 is adjust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container device 100 to the lower sid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hook 51 and the winding hook (52). The container device 100 may be gradually lowered, and the entire seating member 152 may enter the support groove 13a and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groove 13a. Therefore, the seating member 152 may not be tilted, and the protrusion 120 and the container 110 may not be tilted.

이때, 도 5의 (d)와 같이 구동부재(151)들이 동일하게 가압되어 동일한 양으로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 양측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함께 흡수될 수 있다. 구동부재(151)들 사이의 완충부재(153)들도 동일하게 가압되어 수축될 수 있고, 용기 장치(100)가 안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량을 구동부재(151)와 함께 흡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d) of FIG. 5, the driving members 151 may be equally compressed and contracted in the same amount. Therefore,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20 may be absorbed together. The shock absorbing members 153 between the driving members 151 may be equally compressed and contracted, and may absorb the impact amount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apparatus 100 is se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member 151.

이처럼 용기 장치(100)가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100)를 이용한 공정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such,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device 100 is seated can be alleviated. Thus, damage to the equipment can be prevented. Therefore, since the process using the container apparatus 100 can be performed stably without interruption,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또한, 용기 장치(100)가 잘못 안착되거나 충격으로 인해, 용기 장치(10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100) 내부에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피처리물의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improper seating or impact of the container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processing object contained in the container apparatus 1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object to be treated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pparatus 100, and an accident due to the outflow of the object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equivalents thereof.

10: 대차 13: 지지대
13a: 안착홈 13b: 돌기
51: 주권후크 52: 보권후크
100: 용기 장치 110: 용기
120: 돌출부 130: 제1 걸림부
140: 제2 걸림부 150: 안착부
151: 구동부재 152: 안착부재
153: 완충부재
10: balance 13: support
13a: settling groove 13b: projection
51: Sovereign Hook 52: Sovereign Hook
100: container device 110: container
120: protrusion 130: first locking portion
140: second locking portion 150: seating portion
151: drive member 152: mounting member
153: buffer member

Claims (11)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지지대에 안착될 수 있는 용기 장치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운반장치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하게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용기 장치.
A container device which can be carried by a conveying device and seated on a support,
A container having a space in which an object to be processed is accommodated;
A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A catch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conveying device can be caught; And
And a seating portion provided at least in part on the protrusion so as to relieve impa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한 구동부재; 및
상기 지지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ortion,
A driv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capable of stretch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seat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는 용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r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devi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동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ating portion,
And a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members and having an elastic for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용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drive member,
A body having an inner space;
A plat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And a movable body having one e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a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공급라인;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의 유체를 배출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배출라인;을 더 포함하는 용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drive member,
A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body to supply a flui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And
And a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body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지지대와 마주보는 부분에 탄성체를 구비하는 용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The se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having an elastic body facing the support.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용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At least a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is a container devic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방법으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기 장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안착부로 완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
A method of seating a container device carried by a conveying device on a support,
Providing a container device including a containe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 protrusion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a seating part installed in the protrusion;
Positioning the container device above the support and moving the container device downward; And
And mitigating the impact generated while seating the container device on the support to the seating por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안착부가 완화하는 과정은,
상기 안착부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신장수축하여 충격량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process of mitigating the impact caused by seating the container device on the support,
The seating method of the container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absorbing the impact amount by moving or stretching in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은 용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대차에 구비되는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1,
The conveying device includes a crane, the object to be treated includes molten steel, and the support is a mounting method of the container device provided in the trolley.
KR1020180086074A 2018-07-24 2018-07-24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KR102115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074A KR102115891B1 (en) 2018-07-24 2018-07-24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074A KR102115891B1 (en) 2018-07-24 2018-07-24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31A true KR20200011231A (en) 2020-02-03
KR102115891B1 KR102115891B1 (en) 2020-05-27

Family

ID=6962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074A KR102115891B1 (en) 2018-07-24 2018-07-24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89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431A (en)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fixing lifting lug of ladle
KR20040010881A (en) * 2002-07-25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Adjustable moving car for loading ladle
KR20050015313A (en) *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Ladle-support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lug receiver
KR20130088402A (en) * 2012-01-31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Ladle coupler
KR20170073013A (en)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impulse for soft landing of lad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431A (en)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fixing lifting lug of ladle
KR20040010881A (en) * 2002-07-25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Adjustable moving car for loading ladle
KR20050015313A (en) *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Ladle-support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lug receiver
KR20130088402A (en) * 2012-01-31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Ladle coupler
KR20170073013A (en)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impulse for soft landing of l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891B1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9057B (en) Apparatus for removal and replacement of a hinged lid on a metallurgical transport vessel
ES2786679T3 (en) Casting device
KR970005463A (en) Low pressure casting device
KR20180028973A (en) Article transport device
KR20200011231A (en)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KR101845233B1 (en) Lifting Apparatus and Supporting Unit Chang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2472584B (en) Device for positioning a material basket
JP2017030036A (en) Vertical type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holding furnace of vertical type casting apparatus
KR101243130B1 (en) Tilting ring for preventing separation
KR102140888B1 (en) Apparatus for carrying casting
CN205203885U (en) Tank container and end frame thereof
KR20140052494A (en) Method for installing liftable car deck of roro ship
JP7413155B2 (en) Ladle changing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JP6025593B2 (en) Ladle turret
CN213294399U (en) Hoisting equipment and leading wheel hoist and mount system
CN219792124U (en) Electromagnetic chuck hanging bracket mechanism
KR20060076671A (en) Steel scrap charge chute
KR102139630B1 (en)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dherent materials
FI129305B (en) A hoisting device for hoisting empty containers
CN218024942U (en) Quick overhead hoist
JP6672550B2 (en) Tundish car
JP2018065189A (en) Tundish Car
KR101938570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kull adhered to ladle
KR101961832B1 (en) Product transfer facility
KR101181831B1 (en) Auxiliary win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