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887A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887A
KR20200010887A KR1020180085507A KR20180085507A KR20200010887A KR 20200010887 A KR20200010887 A KR 20200010887A KR 1020180085507 A KR1020180085507 A KR 1020180085507A KR 20180085507 A KR20180085507 A KR 20180085507A KR 20200010887 A KR20200010887 A KR 2020001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groove
terminal
wir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164B1 (ko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대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10)와, 상기 접속부(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와이어의 심선(W2)을 압착해서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렐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렐부(3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바렐홈(50)들이 열을 지어 배치되는데, 상기 바렐홈(50)들은 양측변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각형이고, 상기 바렐홈(50)들은 다수개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홈어레이를 이루되 홈어레이들도 다수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심선을 압착하는 바렐부에 홈을 만들어 와이어 압착력을 높인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상대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결합되어 서로 떨어져 있는 두 전기부품 사이를 보다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 금속판을 프레스 장치에서 가공하여 만든다.
터미널은 상대터미널과 물리적으로 결합됨과 동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렐부는 와이어의 심선을 압착해서 터미널과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게 한다.
터미널은 커넥터 등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되는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다른 전기부품에 연결된다. 이러한 터미널의 사용중에 와이어에 큰 외력이 작용하면 와이어가 터미널에서 분리될 수도 있고, 터미널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되면 터미널에 변형이 발생하여 와이어가 분리되거나 저항특성이 나빠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와이어와 터미널의 결합력이 중요하다. 터미널과 와이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에는 터미널의 바렐부에 홈을 두어서 와이어를 압착해주는 압착력을 높이는 것이 있다. 하지만 바렐부의 면적은 일반적으로 매우 좁기 때문에 여기에 가공할 수 있는 홈의 형상과 크기에도 한계가 있고, 따라서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바렐부에 홈을 두는 것은 터미널의 가공성을 떨어뜨리거나 제조비용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왜냐하면 바렐부에 홈을 만들기 위해서는 홈 형상에 맞는 매우 작은 돌기들을 펀치금형 표면에 가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돌기들을 가공하기 까다롭고, 펀칭과정에서 돌기가 파손되기 쉽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003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과 와이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홈들을 터미널의 바렐부에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 바렐부의 홈들을 성형하기 위한 펀치금형을 쉽게 가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와이어의 심선을 압착해서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렐부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바렐홈들이 열을 지어 배치되는데, 상기 바렐홈들은 양측변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각형이고, 상기 바렐홈들은 다수개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홈어레이를 이루되 홈어레이들도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바렐홈들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다수개의 홈어레이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 만큼 떨어져 있다.
상기 바렐홈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바렐홈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상변 및 하변과, 상기 상변 및 하변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제1측변 및 제2측변을 포함하여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바렐홈은 이웃한 다른 바렐홈과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대칭이다.
서로 이웃한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서로 다른 홈어레이의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된다.
서로 이웃한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대칭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렐홈의 제1측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2측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다른 홈어레이를 구성하는 바렐홈의 제1측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2측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되어 제1연장선을 만들고, 상기 바렐홈의 제2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1측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다른 홈어레이를 구성하는 바렐홈의 제2측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1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되어 제2연장선을 만들며, 상기 제1연장선과 제2연장선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대칭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렐홈은 안쪽 바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가장자리에 경사면이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터미널의 바렐부에 있는 바렐홈들은 열을 지어 배치되는데, 각각의 바렐홈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사다리꼴을 구성하는 각 변들은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인장강도를 충분하게 부여해주고, 동시에 일종의 쐐기 형상을 갖는 각 변들이 심선의 산화막 코팅을 효과적으로 파괴하여 전기적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터미널과 와이어 사이의 기계적/전기적 결합안정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렐홈들은 사다리꼴 형상이되, 이웃한 바렐홈과 역방향으로 뒤바뀐 형상이다. 따라서 한정된 면적의 바렐부 표면에 보다 많은 개수의 바렐홈들이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고, 터미널과 이에 결합된 와이어는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이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웃한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서로 다른 열의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바렐홈을 성형하기 위한 펀칭돌기를 금형의 표면에 가공할 때, 펀칭모재를 일정한 방향으로 연삭해주면 되므로 금형의 가공성이 좋아지고, 결과적으로 터미널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례에서 터미널을 구성하는 바렐부가 벤딩되기 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렐부의 바렐홈을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I-I'선 및 II-II'선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렐홈의 다른 실시례들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은 와이어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대편은 상대 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터미널은 이를 통해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 1에는 피메일터미널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메일터미널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의 터미널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터미널은 접속부(10)가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10)의 후단에 바렐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10)는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도 1에 있는 일반적인 터미널은 리셉터클 터미널인 피메일터미널에 채용되는 형상이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접속부(10)는 전후로 개방된 박스 형상인데, 상대터미널인 탭터미널의 경우 접속부(1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져 납작하고 길게 연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속부(10)와 바렐부(30)는 중심의 몸체(11)를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있다. 접속부(10)의 몸체(15) 내부에는 상대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터미널은 리셉터클 터미널이 아니라 탭터미널일 수도 있다.
상기 바렐부(30)는 다시, 전선의 심선(W2)을 둘러싸 외관을 형성하는 절연층(W1)을 둘러 감싸는 인슐레이션바렐(60)과 상기 심선(W2)을 둘러싸 압착시키는 와이어바렐(40)로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60)과 와이어바렐(40)은 각각 전선과 결합되지 않은 펼쳐진 상태에서는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터미널의 상기 와이어바렐(40)은 전선의 심선(W2)을 둘러싸 압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부분인데, 이에 결합되는 상기 심선(W2)은 구리나 구리합금 또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된 금속세선 묶음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전선의 심선(W2)은 와이어바렐(40)의 안쪽면에 압착된다. 이때, 심선(W2)이 보다 견고하에 압착될 수 있도록 와이어바렐(40)의 안쪽면에는 바렐홈(50)이 있다.
상기 와이어바렐(40)을 보면, 상기 와이어바렐(40)은 바렐플레이트(41)와, 상기 바렐플레이트(41)의 양쪽에 날개 형태로 연장된 압착날개(43)를 포함하고 있다. 바렐플레이트(41)와 압착날개(43)는 일체로 된 것이고, 함께 절곡되면 대략 원형의 압착공간을 만들게 되는데 그 사이에 심선(W2)이 위치하게 된다. 도 1에는 와이어의 앞쪽에 심선(W2)이 돌출된 모습이 점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바렐(40)의 바렐홈(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바렐홈(50)은 와이어바렐(40)에 음각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와이어바렐(40)이 전선의 심선(W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해서 고착력을 높인다. 이러한 바렐홈(50)들은 와이어바렐(40)과 심선(W2) 사이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모서리 부분에 심선(W2)이 걸리게 하여 와이어와 터미널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바렐(40)이 전선의 심선(W2)을 둘러싸 압착할 때 바렐홈(50)의 가장자리가 심선(W2)에 형성된 산화막을 입구가장자리가 파괴하여 전선과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결과적으로, 바렐홈(50)은 터미널과 와이어 사이의 기계적/전기적 특성을 개선해준다.
도 2를 참조해서 상기 바렐홈(50)의 형상을 보면, 상기 바렐홈(50)은 상기 와이어바렐(40)의 표면에는 다수개가 열을 지어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다수개의 바렐홈(50)들은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도 2의 X축방향, 이하 X축방향이라 함)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열(홈어레이)를 구성하고, 이러한 홈어레이는 다시 다수개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홈어레이는 총 5개이다. 상기 바렐홈(50)들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다수개의 홈어레이는 서로 소정의 간격 만큼 떨어져 그 사이에 공간(45)이 있다. 물론 이러한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바렐홈(50) 하나의 형상을 보면, 대략 사다리꼴이다. 즉, 상기 바렐홈(50)은 그 양측변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도 2의 Y축방향, 이하 Y축방향이라 함)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사선형태로 연장되는 사각형인 것이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바렐홈(50)은 양측변의 길이가 같은 등변 사다리꼴(Isosceles trapezoid)이지만, 길이가 다를 수도 있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바렐홈(50)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바렐홈(50)은 총 4개의 변으로 구성되는데, 도 2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변(52a) 및 하변(52b)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상변(52a) 및 하변(52b)은 두 개의 측변으로 연결된다. 제1측변(53a) 및 제2측변(53b)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 즉 Y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어 사다리꼴을 만든다. 이와 같이 바렐홈(50)의 양측변은 일종의 쐐기형상이 되어 심선(W2)의 고착력을 높여주고, 또한 와이어바렐(40)의 벤딩과정에서 심선(W2)의 산화막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하나의 홈어레이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렐홈(5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바렐홈(51)은 이웃한 다른 바렐홈(51')과 대칭구조를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바렐홈(50)은 이웃한 바렐홈(51')과 X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바렐홈(50)들이 보다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이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높은 고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서로 이웃한 두 바렐홈(50)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서로 다른 홈어레이의 두 바렐홈(50)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렐홈들(50) 중 어느 하나의 바렐홈(51)의 제1측변(53a)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51')의 제2측변(53b)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다른 홈어레이를 구성하는 바렐홈(51)의 제1측변(53a)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51')의 제2측변(53b)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되어 제1연장선(L1)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렐홈(51)의 제2측변(53b)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51')의 제1측변(53a)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다른 홈어레이를 구성하는 바렐홈(51)의 제2측변(53b)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51')의 제1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되어 제2연장선(L2)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선(L1)과 제2연장선(L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Y축에 대칭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서로 이웃한 두 바렐홈(51,51')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들(L1,L2)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Y축을 기준으로 대칭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바렐홈(50)들이 배열되면, 바렐홈(50)의 가공이 쉽다. 바렐홈(50)은 펀칭가공을 통해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를 위해 펀칭금형에 바렐홈(50)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즉, 금형에 바렐홈(50)과 대칭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돌기구조의 가공이 용이한 것이다. 왜냐하면, 공구를 이용해서 금형 모재의 표면에 도 2에 도시된 제1연장선(L1)과 제2연장선(L2)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삭하고, 각 홈어레이 사이사이 공간(45)을 연삭해주면 돌기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바렐홈(50) 하나하나에 대응하는 돌기들을 일일이 가공할 필요 없이, 공구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삭하면 되므로 가공이 매우 쉬워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다수의 제1연장선(L1)들과, 다수의 제2연장선(L2)들은 각각 평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공작업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와이어바렐(40)의 종단면도와, 도 4(b)에 도시된 와이어바렐(40)의 횡종단면을 보면, 상기 바렐홈(50)은 안쪽 바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가장자리에 경사면(57)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57)은 심선(W2)과 바렐홈(50)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줄 뿐 아니라, 바렐홈(50)을 심선(W2)을 향해 더 넓게 개방시켜, 각 변의 가장자리가 벤딩과정에서 심선(W2)의 산화막을 보다 잘 파괴할 수 있게 한다.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저항값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에 사용되는 규격에 의해 일정한 저항값이 정해져 있는데 터미널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최소저항을 측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외력이나 환경조건을 부여하고 저항값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내구성을 평가한 결과가 아래 표 1에 있다.
원형 바렐홈(비교대상) 사다리꼴 바렐홈(본발명)
구분 1 2 3 4 5 구분 1 2 3 4 5
초기 0.12 0.54 0.23 0.43 0.36 초기 0.02 0.12 0.11 0.13 0.10
열충격 0.76 1.53 1.00 1.75 1.08 열충격 0.32 0.48 0.45 0.42 0.49
온습도 0.92 0.95 0.91 2.05 1.02 온습도 0.27 0.49 0.57 0.46 0.58
변화량 0.80 0.41 0.68 1.62 0.66 변화량 0.24 0.37 0.46 0.33 0.49
위의 표에서 초기는 초기 저항값을 의미하고, 열충격은 열충격시험의 결과값을, 온습도는 온습도시험의 결과값을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변화량은 초기저항값과 시험을 거친 결과값의 차이이다. 따라서 변화량이 적을 수록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은 총 5회 실시되었으며, 단위는 ㏁이다.
본 시험에서 열충격시험은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을 시험장치에 넣고 125°의 고온에서 30분, 다시 -40°의 저온에서 30분을 견디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총 80회 반복한 후에 저항값을 측정한 것이다. 온습도시험은 역시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을 시험장치에 넣고 상대습도 95~98%를 유지한다. 그리고 65°에서 16시간, -40°에서 2시간, 85°에서 2시간, 마지막으로 20°에서 4시간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5회 반복한 후에 저항값을 측정한 것이다. 위 표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원형 바렐홈(50)에 비해 변화량이 전반적으로 크게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원형 바렐홈(50)의 경우 평균적으로 0.834㏁의 변화량을 보였는데, 본 발명의 바렐홈(50)을 적용한 결과 평균적으로 0.378㏁의 변화량을 보여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바렐홈(50)을 적용하였을 때 내구성이 더 향상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특성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바렐(40)이 심선(W2)을 감싸는 과정을 보면, 상기 심선(W2)을 상기 와이어바렐(40)이 둘러 감싸 압착을 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바렐(40)에 형성된 상기 바렐홈(50) 안쪽에 상기 심선(W2)들이 들어가게 되면서, 상기 바렐홈(50)의 입구가장자리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산화막이 파괴된다. 상기 심선(W2)이 상기 바렐홈(50)에 들어가는 정도는 상기 와이어바렐(40)에 의해 상기 심선(W2)이 압착되는 정도에 따라 달리 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에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데, 도 3을 보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력(P1,P2)에 대해서는 상변(52a), 하변(52b), 제1측변(53a) 및 제2측변(53b)이 모두 저항부가 될 수 있고, 좌우측(P3,P4)으로 작용하는 외력은 제1측변(53a) 및 제2측변(53b)이 저항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으로 작용하는 외력(P3)을 보면, 제1측변(53a)의 가장자리가 그 외력의 일부(P3')에 저항하여 충분한 고착력을 유지해 줄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렐홈(50)의 다른 실시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와 같이, 바렐홈(50)이되 등변 사다리꼴이 아니라 양측변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5(b)와 같이, 상변(52a) 및 하변(52b)이 서로 평행하지 않아 사다리꼴이 아니라 사각형상이거나, 도 5(c)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렐홈(50) 형상이 회전된 형태의 사다리꼴이 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접속부 30: 바렐부
40: 와이어바렐 50: 바렐홈
60: 인슐레이션바렐

Claims (8)

  1. 상대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와이어의 심선을 압착해서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렐부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바렐홈들이 열을 지어 배치되는데, 상기 바렐홈들은 양측변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각형이고, 상기 바렐홈들은 다수개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홈어레이를 이루되 홈어레이들도 다수개로 구성되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홈들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다수개의 홈어레이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 만큼 떨어져 있는 터미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홈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바렐홈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상변 및 하변과, 상기 상변 및 하변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제1측변 및 제2측변을 포함하여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터미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홈은 이웃한 다른 바렐홈과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터미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서로 다른 홈어레이의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되는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두 바렐홈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대칭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홈의 제1측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2측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다른 홈어레이를 구성하는 바렐홈의 제1측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2측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되어 제1연장선을 만들고, 상기 바렐홈의 제2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1측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다른 홈어레이를 구성하는 바렐홈의 제2측변 및 이와 이웃한 바렐홈의 제1변 사이를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연속되어 제2연장선을 만들며, 상기 제1연장선과 제2연장선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대칭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홈은 안쪽 바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가장자리에 경사면이 있는 터미널.

KR1020180085507A 2018-07-23 2018-07-23 터미널 KR10207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07A KR102078164B1 (ko) 2018-07-23 2018-07-23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07A KR102078164B1 (ko) 2018-07-23 2018-07-23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887A true KR20200010887A (ko) 2020-01-31
KR102078164B1 KR102078164B1 (ko) 2020-02-17

Family

ID=6936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507A KR102078164B1 (ko) 2018-07-23 2018-07-23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1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9178A (ja) * 2010-06-22 2012-01-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の製造方法
KR20130000304A (ko) 2011-06-22 2013-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선 접속용 터미널의 접합방법
JP2015106428A (ja) * 2013-11-28 2015-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コネクタ
JP2017120713A (ja) * 2015-12-28 2017-07-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9178A (ja) * 2010-06-22 2012-01-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の製造方法
KR20130000304A (ko) 2011-06-22 2013-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선 접속용 터미널의 접합방법
JP2015106428A (ja) * 2013-11-28 2015-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コネクタ
JP2017120713A (ja) * 2015-12-28 2017-07-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164B1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1522B (en) Hinged leadfram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a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819703B1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wafer having coupling lead-fr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808124B (zh) 用于微电路测试系统的开尔文接点模块
US9484640B2 (en) Wire with a crimp terminal with a bottom plate with an inclined portion and a raised portion
KR101103114B1 (ko)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JPH05347165A (ja) 電気コンタクト
CN113013656A (zh) 带有连接保持器的电端子组件
US4772234A (en) Terminal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a post
US9666962B1 (en) Power terminal with compliant pin for electrical power connector
CN110323581A (zh) 带端子的电线
JP6082525B2 (ja) 多極雌コネクタ及び多極雄コネクタ
KR102078164B1 (ko) 터미널
US11398689B2 (en) Connecting method, connecting structure, contact and connector
JP2003317845A (ja) コンタクトピン、コンタクトピンの成形方法、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の製造方法
US10992073B1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with increased contact area
KR101608375B1 (ko)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JP7155218B2 (ja) 圧接構造、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6796621B2 (ja)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の製造方法及び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の製造方法に使用される端子
CN110366325A (zh) 一种用于pcb板连接器的压接装置和方法
JP68314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US20240022029A1 (en) Stamped and Bent Part for Conducting Electrical Currents or for Shielding
EP2183822A2 (en) Electrical contact
JP6987006B2 (ja) 電子制御装置のコネクタ端子形状
JP7073133B2 (ja) バスバ連結構造及び連結バスバ
JP6687166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付き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