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383A -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 Google Patents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383A
KR20200010383A KR1020197037498A KR20197037498A KR20200010383A KR 20200010383 A KR20200010383 A KR 20200010383A KR 1020197037498 A KR1020197037498 A KR 1020197037498A KR 20197037498 A KR20197037498 A KR 20197037498A KR 20200010383 A KR20200010383 A KR 20200010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rrugated
gauge roller
support surface
corrugated car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아키타
신야 이오리
마코토 시모하츠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moving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3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heets, blanks or webs to stationary members, e.g. plates, plough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made from tubular webs or blanks, including by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B31B2120/3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collapsible into a flat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31B50/22Notching; Trimming edges of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6Forming integral handles; Attaching separat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8Delivering in stacks or bundle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에 있어서,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양측에 배치되어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는 성형 벨트(107)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을 따라 배치되어 성형 벨트(107)로부터 절곡된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341, 342)의 외측에 접촉하는 복수의 게이지 롤러(114, 115)로 이루어지는 게이지 롤러군(105, 106)을 구비하고,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외주면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측을 향하여 패인 오목부(151)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오목부(151)는, 최심 위치 P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본 발명은, 골판지 상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면서 절첩하여 편평상의 골판지 상자를 형성하는 시트 절첩 장치와, 시트 절첩 장치를 구비하는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제함기는, 시트재(예를 들면, 골판지 시트)를 가공함으로써 상자체(골판지 상자)를 제조하는 것이며, 급지부, 인쇄부, 배지부(排紙部), 다이컷팅부, 폴딩부(폴더 글루어), 카운터 이젝터부로 구성되어 있다. 급지부는, 테이블 상에 적층된 골판지 시트를, 1매씩 송출하여 일정한 속도로 인쇄부로 보내는 것이다. 인쇄부는, 인쇄 유닛을 갖고, 골판지 시트에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배지부는, 인쇄된 골판지 시트에, 접는 선이 되는 괘선을 형성함과 함께, 플랩을 이루는 홈이나 접합용의 접착 여유편의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다이컷팅부는, 괘선, 홈, 접착 여유편이 형성된 골판지 시트에, 손잡이용 구멍 등의 펀칭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폴딩부는, 괘선, 홈, 접착 여유편, 손잡이용 구멍 등이 가공된 골판지 시트를 이동시키면서, 접착 여유편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괘선을 따라 절첩하고, 접착 여유편을 접합함으로써 편평상의 골판지 상자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카운터 이젝터부는, 골판지 시트가 절첩되어 접착제 도포된 골판지 상자를 적층하여, 소정 수의 배치(batch)로 구분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상술한 폴딩부는,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양측에 절곡 가이드와 반송 가이드가 반송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고, 절곡 가이드와 반송 가이드의 외측으로 복수의 게이지 롤러가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절첩 벨트 및 폴딩 바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는, 절곡 가이드에 의하여 폭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면서 반송되고, 절첩 벨트 및 폴딩 바에 의하여 압압됨으로써, 폭방향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다. 또, 골판지 시트는, 폭방향의 양단부가 하방 및 내방으로 절곡될 때, 복수의 게이지 롤러에 의하여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가 지지됨으로써, 편평상의 골판지 상자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 절첩 장치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58665호
상술한 시트 절첩 장치에서, 골판지 시트는, 절첩 벨트 및 폴딩 바에 의하여 압압됨으로써, 폭방향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고,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가 복수의 게이지 롤러의 가이드면에 지지되면서, 양단부가 내방으로 절곡된다. 골판지 시트의 절곡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게이지 롤러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을 갖고, 둘레 방향을 따르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게이지 롤러의 오목부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하면과, 외주 측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상면과, 하면과 상면을 연결하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바닥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게이지 롤러는, 오목부의 폭(연직 방향의 길이) 치수가 골판지 시트의 절곡부의 두께 치수보다 큰 치수가 되고, 절곡부가 오목부 내에서 움직여서 충분히 지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러면, 골판지 시트는, 절곡부가 상하 대칭인 형상이 되지 않고, 내방으로 절곡된 양단부의 간극의 크기가 불규칙해져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골판지 시트의 절곡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는,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골판지 시트의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는 성형 벨트와,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성형 벨트로부터 절곡된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의 외측에 접촉하는 복수의 게이지 롤러로 이루어지는 게이지 롤러군을 구비하는 시트 절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지 롤러는, 외주면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측을 향하여 패인 오목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는, 최심(最深)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형 벨트가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고, 이때, 복수의 게이지 롤러가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를 지지한다. 이때, 골판지 시트는, 굽힘 도중에 절곡부의 위치가 오목부에 지지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지는 것이 억제되고, 절곡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가 하방 측으로 이동하여 적정 위치가 되도록 성형된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는, 절곡부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고, 골판지 시트를 적정한 위치에서 절곡함으로써, 골판지 시트의 절곡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상기 오목부는, 상측 지지면과, 하측 지지면과, 상기 상측 지지면과 상기 하측 지지면을 연속시키는 최심 지지면을 갖고, 상기 상측 지지면은,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각도가 되는 소정의 이행 위치에서, 수평 방향을 따르는 수평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에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는, 양단부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각도가 되는 소정의 이행 위치에서, 절곡부가 경사진 상측 지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절곡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가 서서히 하방 측으로 이동하도록 규제되게 되고, 절곡부의 위치를 적정 위치에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상기 소정의 이행 위치로부터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상기 게이지 롤러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가 일정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행 위치로부터 하류 측에 배치되는 게이지 롤러에 있어서의 상측 지지면의 경사 각도가 동일한 각도이기 때문에,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절곡부의 외주면에 대한 접촉 각도가 일정해져, 절곡부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상기 소정의 이행 위치로부터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상기 게이지 롤러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행 위치로부터 하류 측에 배치되는 게이지 롤러에 있어서의 상측 지지면의 경사 각도가 점차 커지는 각도이기 때문에,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절곡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를 서서히 적정 위치에 규제하게 되어, 절곡부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상기 최심 지지면은, 만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최심 지지면이 만곡면 형상인 점에서, 게이지 롤러에 있어서의 오목부가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절곡부를 지지할 때, 최심 지지면에 의하여 이 절곡부를 간극없이 지지할 수 있어, 절곡부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상기 복수의 게이지 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에 의하여 게이지 롤러를 회전 축심 방향으로 조정하는 점에서, 골판지 시트의 종류에 따라 게이지 롤러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위치를 적정 위치로 조정할 수 있어, 골판지 시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절곡부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상기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는, 골판지 시트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상기 복수의 게이지 롤러를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상방 측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게이지 롤러를 연직 방향의 상방 측으로 위치 조정함으로써, 골판지 시트가 절곡될 때, 게이지 롤러의 오목부가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절곡부의 하면을 적정하게 지지할 수 있어, 절곡부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함기는, 골판지 시트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골판지 시트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와, 인쇄가 완료된 골판지 시트에 괘선 가공을 행함과 함께 홈 절삭 가공을 행하는 배지부와, 상기 시트 절첩 장치를 갖는 폴딩부와, 편평상의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재한 후에 소정 수마다 배출하는 카운터 이젝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급지부로부터의 골판지 시트에 대하여 인쇄부에서 인쇄가 행해지고, 배지부에서 괘선 가공과 홈 절삭 가공이 행해지며, 폴딩부에서 절첩하여 단부가 접합되어 상자체가 형성되고, 카운터 이젝터부에서 상자체가 계수되면서 적재된다. 이때, 시트 절첩 장치에서, 성형 벨트가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고, 이때, 복수의 게이지 롤러가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를 지지한다. 이때, 골판지 시트는, 굽힘 도중에 절곡부의 위치가 오목부에 지지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지는 것이 억제되고, 절곡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가 하방 측으로 이동하여 적정 위치가 되도록 성형된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는, 절곡부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고, 골판지 시트를 적정한 위치에서 절곡함으로써, 골판지 시트의 절곡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에 의하면, 골판지 시트를 적정한 위치에서 절곡할 수 있어, 골판지 시트의 절곡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제함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시트 절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게이지 롤러군에 있어서의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게이지 롤러군에 있어서의 도 2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게이지 롤러 상하 위치 조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a은, 두꺼운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b는, 두꺼운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c은, 두꺼운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d는, 두꺼운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은, 얇은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b는, 얇은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c은, 얇은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d는, 얇은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a은, 얇은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b는, 얇은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제함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시트 절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4는, 제1 게이지 롤러군에 있어서의 도 2의 IV-IV 단면도, 도 5는, 제2 게이지 롤러군에 있어서의 도 2의 V-V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기(10)는, 골판지 시트(S)를 가공함으로써 골판지 상자(상자체)(B)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제함기(10)는, 골판지 시트(S) 및 골판지 상자(B)를 반송하는 반송 방향(D)으로 직선 형상을 이루어 배치된 급지부(11), 인쇄부(21), 배지부(31), 다이컷팅부(41), 폴딩부(51), 카운터 이젝터부(61)로 구성되어 있다.
급지부(11)는, 골판지 시트(S)를 1매씩 송출하여 일정한 속도로 인쇄부(21)에 보내는 것이다. 이 급지부(11)는, 테이블(12)과, 프론트 가이드(13)와, 공급 롤러(14)와, 흡인 장치(15)와, 피드 롤(16)을 갖고 있다. 테이블(12)은, 다수 매의 골판지 시트(S)를 적층하여 재치 가능함과 함께,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론트 가이드(13)는, 테이블(12) 상에 적층된 골판지 시트(S)의 전단(前端)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하단부와 테이블(12)의 사이에 1매의 골판지 시트(S)가 통과 가능한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공급 롤러(14)는, 테이블(12)에 대응하여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으로 복수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테이블(12)이 하강했을 때에, 적층된 다수 매의 골판지 시트(S) 중의 최하 위치에 있는 골판지 시트(S)를 전방으로 송출할 수 있다. 흡인 장치(15)는, 적층된 골판지 시트(S)를 하방, 즉, 테이블(12)이나 공급 롤러(14) 측으로 흡인하는 것이다. 피드 롤(16)은, 공급 롤러(14)에 의하여 송출된 골판지 시트(S)를 인쇄부(21)에 공급할 수 있다.
인쇄부(21)는, 골판지 시트(S)의 표면에 다색 인쇄(본 실시형태에서는, 4색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이 인쇄부(21)는, 4개의 인쇄 유닛(21A, 21B, 21C, 21D)이 직렬을 이루어 배치되고, 골판지 시트(S)의 표면에 4개의 잉크색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다. 각 인쇄 유닛(21A, 21B, 21C, 21D)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고, 인쇄 실린더(22), 잉크 공급 롤(아닐록스 롤)(23), 잉크 챔버(24), 지지 롤(25)을 갖고 있다. 인쇄 실린더(22)는, 그 외주부에 인쇄판(26)이 장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잉크 공급 롤(23)은, 인쇄 실린더(22)의 근방에서 인쇄판(26)에 접하여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잉크 챔버(24)는, 잉크를 축적하는 것이며, 잉크 공급 롤(23)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 롤(25)은, 인쇄 실린더(22)와의 사이에서 골판지 시트(S)를 협지함으로써, 소정의 인쇄압을 부여하면서 반송하는 것이며, 인쇄 실린더(22)의 하방에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각 인쇄 유닛(21A, 21B, 21C, 21D)은, 그 전후에 상하 한 쌍의 이송 롤이 마련되어 있다.
배지부(31)는, 골판지 시트(S)에 대하여, 괘선 가공과 절단 가공과 홈 절삭 가공과 접착 여유편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배지부(31)는, 제1 괘선 롤(32)과, 제2 괘선 롤(33)과, 제1 슬로터 헤드(34)와, 제2 슬로터 헤드(35)와, 슬리터 헤드(36)를 갖고 있다. 제1 괘선 롤(32)과 제2 괘선 롤(33)은, 골판지 시트(S)의 이면(하면)에 괘선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제1 슬로터 헤드(34)와 제2 슬로터 헤드(35)는,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홈 절삭 가공을 행함과 함께, 접착 여유편 가공을 행하는 것이다. 슬리터 헤드(36)는, 제2 슬로터 헤드(35)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단부를 절단하는 것이다.
다이컷팅부(41)는, 골판지 시트(S)에 대하여, 손잡이용 구멍 등의 펀칭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다이컷팅부(41)는, 상하 한 쌍의 이송 부재(42)와, 앤빌 실린더(43) 및 나이프 실린더(44)를 갖고 있다. 이송 부재(42)는, 골판지 시트(S)를 상하로부터 협지하여 반송하는 것이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앤빌 실린더(43) 및 나이프 실린더(44)는, 각각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하여 동기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앤빌 실린더(43)는, 외주부에 앤빌이 형성되는 한편, 나이프 실린더(44)는, 외주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블레이드 장착대(펀칭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폴딩부(51)는, 골판지 시트(S)를 반송 방향(D)으로 이동시키면서 절첩하고, 폭방향의 양단부를 접합하여 편평상의 골판지 상자(B)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폴딩부(51)는, 상측 반송 벨트(52)와, 하측 반송 벨트(53, 54)와, 시트 절첩 장치(폴더 글루어)(55)를 갖고 있다. 상측 반송 벨트(52) 및 하측 반송 벨트(53, 54)는, 골판지 시트(S) 및 골판지 상자(B)를 상하로부터 협지하여 반송하는 것이다. 시트 절첩 장치(55)는, 후술하지만,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각 단부를 하방으로 절곡하면서 절첩하는 것이다. 또, 폴딩부(51)는, 접착제 도포 장치(5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접착제 도포 장치(56)는, 글루건을 갖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접착제를 토출함으로써,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접착제 도포를 행할 수 있다.
카운터 이젝터부(61)는, 골판지 상자(B)를 계수하면서 적층한 후, 소정 수의 배치로 구분한 후, 배출하는 것이다. 이 카운터 이젝터부(61)는, 호퍼 장치(62)를 갖고 있다. 이 호퍼 장치(62)는, 골판지 상자(B)가 적층되는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63)를 갖고, 이 엘리베이터(63)에는, 프론트 가이드판과 코너 가이드판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호퍼 장치(62)의 하방에, 반출 컨베이어(64)가 마련되어 있다.
골판지 시트(S)는, 표측 라이너와 이측 라이너의 사이에 파형을 이루는 골심지가 접착제 도포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 골판지 시트(S)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기(10)의 전 공정에서, 2개의 접는 선(301, 3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는 선(301, 302)은, 제함기(10)에서 제조된 골판지 상자(B)를, 나중에 조립할 때에 플랩을 접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골판지 시트(S)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부(11)의 테이블(12) 상에 적층된다.
급지부(11)에서, 테이블(12) 상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 매의 골판지 시트(S)는, 먼저, 프론트 가이드(13)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고, 다음으로 테이블(12)이 하강함으로써, 복수의 공급 롤러(14)에 의하여 최하 위치에 있는 골판지 시트(S)가 송출된다. 그러면, 이 골판지 시트(S)는, 한 쌍의 피드 롤(16)에 의하여 소정의 일정 측으로, 인쇄부(21)에 공급된다.
인쇄부(21)에서, 각 인쇄 유닛(21A, 21B, 21C, 21D)에서는, 잉크 공급 롤(23)의 표면에 잉크 챔버(24)로부터 잉크가 공급되어 있고, 인쇄 실린더(22) 및 잉크 공급 롤(23)이 회전하면, 잉크 공급 롤(23)의 표면의 잉크가 인쇄판(26)으로 전이된다. 그리고, 인쇄 실린더(22)와 지지 롤(25)의 사이에 골판지 시트(S)가 반송되면, 이 골판지 시트(S)가 인쇄판(26)과 지지 롤(25)에 의하여 협지되고, 이 골판지 시트(S)에 인쇄압이 부여됨으로써 그 표면에 인쇄가 실시된다. 인쇄된 골판지 시트(S)는, 이송 롤에 의하여 배지부(31)에 반송된다.
배지부(31)에서, 먼저, 골판지 시트(S)가 제1 괘선 롤(32)을 통과할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의 이면(이측 라이너) 측에 괘선(312, 313, 314, 315)이 형성된다. 또, 골판지 시트(S)가 제2 괘선 롤(33)을 통과할 때, 골판지 시트(S)의 이면(이측 라이너) 측에 괘선(312, 313, 314, 315)이 재형성된다.
다음으로, 이 괘선(312, 313, 314, 315)이 형성된 골판지 시트(S)가 제1, 제2 슬로터 헤드(34, 35)를 통과할 때, 괘선(312, 313, 314)의 위치에 홈(322a, 322b, 323a, 323b, 324a, 324b)이 형성된다. 이때, 괘선(315)의 위치에서 단부가 절단됨으로써, 접착 여유편(325)이 형성된다. 또, 골판지 시트(S)가 슬리터 헤드(36)를 통과할 때, 절단 위치(311)의 위치에서 단부가 절단된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괘선(312, 313, 314)(홈(322a, 322b, 323a, 323b, 324a, 324b))을 경계로 하여 4매의 시트편(331, 332, 333, 334)에 의하여 구성된다.
다이컷팅부(41)에서, 골판지 시트(S)는, 앤빌 실린더(43)와 나이프 실린더(44)의 사이를 통과할 때, 손잡이용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단, 손잡이용 구멍 가공은, 골판지 시트(S)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행해지는 것이며, 손잡이용 구멍이 필요하지 않을 때, 이 손잡이용 구멍 가공을 실시하기 위한 블레이드 장착대(펀칭 블레이드)가 나이프 실린더(44)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골판지 시트(S)는, 회전하는 앤빌 실린더(43)와 나이프 실린더(44)의 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손잡이용 구멍이 형성된 골판지 시트(S)는, 폴딩부(51)로 반송된다.
폴딩부(51)에서, 골판지 시트(S)는, 상측 반송 벨트(52) 및 하측 반송 벨트(53, 54)에 의하여 반송 방향(D)으로 이동되면서, 접착제 도포 장치(56)에 의하여 접착 여유편(325)(도 2 참조)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난 후, 시트 절첩 장치(55)에 의하여 괘선(312, 314)(도 2 참조)을 기점으로 하여 하방에 절첩된다. 이 절첩이 180도 가까이까지 진행되면 절첩력이 강해지고, 접착 여유편(325)과 골판지 시트(S)의 단부가 눌려 서로 밀착되어, 골판지 시트(S)의 양단부가 접합되며, 골판지 상자(B)가 된다. 그리고, 이 골판지 상자(B)는, 카운터 이젝터부(61)로 반송된다.
카운터 이젝터부(61)에서, 골판지 상자(B)는, 호퍼 장치(62)로 보내져, 반송 방향(D)의 선단부가 프론트 가이드판에 접촉되고, 코너 가이드판에 의하여 정형된 상태로 엘리베이터(63) 상에 적층된다. 그리고, 소정 수의 골판지 상자(B)가 엘리베이터(63) 상에 적층되면, 이 엘리베이터(63)가 하강하여, 소정 수의 골판지 상자(B)가 1배치가 되어 반출 컨베이어(64)에 의하여 배출되고, 제함기(10)의 후공정으로 보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5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트 절첩 장치(55)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절곡 가이드(101)와, 제2 절곡 가이드(102)와, 제1 반송 가이드(103)와, 제2 반송 가이드(104)와, 제1 게이지 롤러군(105)과, 제2 게이지 롤러군(106)과, 성형 벨트(107)와, 폴딩 바(108)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반송 벨트(52)는, 연직 방향의 상방 측에 좌우 한 쌍으로서 마련되고, 시트 절첩 장치(55)의 반송 방향(D)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각 상측 반송 벨트(52)는, 무단(無端) 벨트이며, 도시하지 않은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에 지지된 복수의 풀리에 감아 걸쳐짐으로써 주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회하는 각 상측 반송 벨트(52)는, 그 하방 측이 반송 방향(D)을 향하여 이동하고, 그 상방 측이 반송 방향(D)과 역방향을 향하여 이동한다.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의 연직 방향의 하방에 대향하여 좌우 한 쌍의 하측 프레임(111)이 마련되고, 좌우 한 쌍의 상측 반송 벨트(52)는, 좌우 한 쌍의 하측 프레임(111)의 상방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제1 절곡 가이드(101)와 좌우 한 쌍의 제2 절곡 가이드(102)는,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양측에서, 반송 방향(D)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절곡 가이드(101)와 각 제2 절곡 가이드(102)는, 좌우 한 쌍의 하측 프레임(111)의 외측에 지지되어 있다. 각 제1 절곡 가이드(101)는, 반송 방향(D)과 대략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각 제2 절곡 가이드(102)는,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이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절곡 가이드(101)는,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의 단부가, 각 제2 절곡 가이드(10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의 상류 측의 단부와, 연직 방향을 따르는 각 연결축(112)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각 제2 절곡 가이드(102)는,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의 단부가 하측 프레임(111)에 연직 방향을 따르는 각 연결축(113)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제1 절곡 가이드(101)와 각 제2 절곡 가이드(102)는, 반송 방향(D)을 따르는 양측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위치가 반송 방향(D)으로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S)의 하면의 각 괘선(312, 314)에 대응하는 폭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각 괘선(312, 314)이 각 제1 절곡 가이드(101)와 각 제2 절곡 가이드(102)의 양측에 당접한 위치에서, 폭방향의 중심 측의 각 시트편(332, 333)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하방에 절첩되면서 반송되고, 각 괘선(312, 314)의 위치에 절곡부(341, 342)가 형성된다.
좌우 한 쌍의 제1 반송 가이드(103)와 좌우 한 쌍의 제2 반송 가이드(104)는,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양측에서, 반송 방향(D)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반송 가이드(103)와 각 제2 반송 가이드(104)는, 각 제2 절곡 가이드(10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에서, 반송 방향(D)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반송 가이드(103)와 각 제2 반송 가이드(104)는, 좌우 한 쌍의 하측 프레임(111)의 외측에 지지되어 있다. 각 제1 반송 가이드(103)는, 반송 방향(D)과 대략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각 제2 반송 가이드(104)는, 반송 방향(D)과 대략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지만,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의 외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각 제1 반송 가이드(103)와 각 제2 반송 가이드(104)는, 반송 방향(D)을 따르는 양측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위치가 반송 방향(D)으로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S)의 하면의 각 괘선(312, 314)에 대응하는 폭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각 괘선(312, 314(절곡부(341, 342)))이 각 제1 반송 가이드(103)와 각 제2 반송 가이드(104)의 양측부에 당접한 위치에서, 폭방향의 중심 측의 각 시트편(332, 333)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하방에 절첩되면서 반송된다.
좌우 한 쌍의 제1 게이지 롤러군(105)과 좌우 한 쌍의 제2 게이지 롤러군(106)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양측에서, 반송 방향(D)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게이지 롤러군(105)과 각 제2 게이지 롤러군(106)은, 각 제2 절곡 가이드(102)와 각 제1 반송 가이드(103)와 각 제2 반송 가이드(104)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외측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게이지 롤러군(105)은, 복수의 제1 게이지 롤러(114)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 제2 게이지 롤러군(106)은,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게이지 롤러(114, 115)는, 각각 지지 플레이트(116, 117)에 연직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지지 플레이트(116, 117)가 각 하측 프레임(111)의 외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각 게이지 롤러(114, 11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하여 동기하여 구동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게이지 롤러군(105)의 각 제1 게이지 롤러(114)와 제2 게이지 롤러군(106)의 각 제2 게이지 롤러(115)는, 후술하지만, 외주부에 둘레 방향을 따르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각 제1 게이지 롤러(114)와 각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오목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위치가 반송 방향(D)으로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S)의 하면의 각 괘선(312, 314(절곡부(341, 342)))에 대응하는 폭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각 제1 게이지 롤러군(105)과 각 제2 게이지 롤러군(106)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형상은, 폭방향의 중심 측의 각 시트편(332, 333)에 대한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의 절곡 각도에 따라 변화해간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각 괘선(312, 314)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 절곡부(341, 342)의 외주부가 각 제1 게이지 롤러(114)와 각 제2 게이지 롤러(115)의 오목부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폭방향의 중심 측의 각 시트편(332, 333)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절첩되면서 반송된다.
좌우 한 쌍의 성형 벨트(107)는, 각 하측 반송 벨트(53)(도 1 참조)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에, 반송 방향(D)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각 성형 벨트(107)는, 무단 벨트이며, 각 하측 프레임(111)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풀리에 감아 걸쳐짐으로써 주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회하는 각 성형 벨트(107)는, 그 상방 측이 반송 방향(D)을 향하여 이동하고, 그 하방 측이 반송 방향(D)과 역방향을 향하여 이동한다. 각 성형 벨트(107)는,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는 각 시트편(331, 334)의 외면(상면)에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반송 방향(D)에 대하여 비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각 절곡 가이드(101, 102) 및 각 반송 가이드(103, 104), 각 게이지 롤러군(105, 106)에 지지되어 반송될 때, 각 성형 벨트(107)가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을 하방 및 내측에 순서대로 압압하면서 절첩해간다.
좌우 한 쌍의 폴딩 바(108)는,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에 마련되어 있고, 그 일부가 반송 방향(D)에 있어서 제2 반송 가이드(104), 제1 게이지 롤러군(105), 제2 게이지 롤러군(106), 성형 벨트(107)와 중복되어 마련되어 있다. 각 폴딩 바(108)는, 각 성형 벨트(107)와 동일하게,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는 각 시트편(331, 334)의 외면(상면)에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각 절곡 가이드(101, 102) 및 각 반송 가이드(103, 104), 각 게이지 롤러군(105, 106)에 지지되어 반송될 때, 각 폴딩 바(108)는, 각 성형 벨트(107)와 협동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을 하방 및 내측에 순서대로 압압한다.
또, 각 절곡 가이드(101, 102)에 있어서의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1)와 제2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1)는, 제1 절곡 가이드(101) 및 제2 절곡 가이드(10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에 대한 각도를 유지한 채로, 제1 절곡 가이드(101)와 제2 절곡 가이드(102)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폭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제2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2)는, 제1 절곡 가이드(101)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에 대한 각도를 유지한 채로, 제1 절곡 가이드(101)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폭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제2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2)는, 제1 절곡 가이드(101)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절곡 가이드(102)가 연결축(113)을 지점으로 하여 연결축(112) 측을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절곡 가이드(102)에 있어서의 폭방향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각 게이지 롤러군(105, 106)에 있어서의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제1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3)와 제2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4)와 제3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3)는, 제1 게이지 롤러군(105)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에 대한 각도를 유지한 채로, 제1 게이지 롤러군(105)을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폭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제2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4)는, 제1 게이지 롤러군(105)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의 게이지 롤러(114)(또는, 그 근방)를 지점으로 하여, 제1 게이지 롤러군(105)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의 상류 측의 게이지 롤러(114)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게이지 롤러군(105)에 있어서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제3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5)는, 제2 게이지 롤러군(106)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의 상류 측의 게이지 롤러(115)(또는, 그 근방)를 지점으로 하여, 제2 게이지 롤러군(106)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의 제2 게이지 롤러(115)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게이지 롤러군(106)에 있어서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각 게이지 롤러군(105, 106)에 있어서의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6)가 마련되어 있다.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는, 각 게이지 롤러군(105, 106)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D)에 대한 각도를 유지한 채로, 각 게이지 롤러군(105, 106)을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두께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1), 제2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2), 제1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3), 제2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4), 제3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5),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는,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은, 게이지 롤러 상하 위치 조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31)은, 하측 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 프레임(132)은, 가이드 레일(131)에 의하여 연직 방향(게이지 롤러(114, 115)의 회전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승강 프레임(132)은, 지지편(133)이 수하하도록 고정되어, 지지편(133)에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을 따르는 가이드 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 롤러(114, 115)는, 지지 플레이트(116, 117)에 연직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13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16, 117)는, 일체의 연결편(136)이 지지편(133)의 가이드 구멍(134)에 끼워 넣어져,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베어링부(137)는, 승강 프레임(132)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측 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부(137)는,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도 6의 지면 직교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138)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138)은, 편심부(139)를 통하여 편심 회전체(140)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38)과 편심 회전체(140)는, 축심이 소정 거리 어긋나 있다. 승강 프레임(132)은, 상부에 연결부(141)가 고정되어, 개구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137)와 연결부(141)는,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에 대향하고 있으며, 편심 회전체(140)가 개구부(142)의 상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축(138)은, 구동 장치(14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 장치(143)에 의하여 회전축(138)을 통하여 편심 회전체(140)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편심 회전체(140)가 회전축(138)에 대하여 요동하는 점에서, 회전축(138)과 편심 회전체(140)와의 축심의 어긋남량만큼, 연결부(141)를 통하여 승강 프레임(132)이 연직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승강 프레임(132)이 연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승강 프레임(132)에 지지편(133), 가이드 구멍(134), 연결편(136)을 통하여 지지된 게이지 롤러(114(115))가 골판지 시트(S)의 두께폭 방향(연직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는, 구동 장치(143)에 의하여 편심 회전체(140)의 회전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게이지 롤러(114(115))를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켜, 두께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는, 구동 장치(143)에 의하여 편심 회전체(140)의 회전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게이지 롤러(114(115))를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정하는 것이지만, 각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1, 122)는, 도시하지 않지만, 구동 장치에 의하여 편심 회전체의 회전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절곡 가이드(101, 102)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 위치로 이동시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또, 각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3, 124, 125)는, 도시하지 않지만, 구동 장치에 의하여 편심 회전체의 회전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게이지 롤러(114(115))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3)는, 지지 플레이트(116, 117)를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1), 제2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2), 제1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3), 제2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4), 제3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5),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는, 제어 장치(127)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27)는, 골판지 시트(S)의 형상, 치수, 두께 등에 따라 각 조정 장치(121, 122, 123, 124, 125, 126)를 구동 제어한다.
이로 인하여,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괘선(312, 313, 314)이 형성된 골판지 시트(S)는, 상측 반송 벨트(52) 및 하측 반송 벨트(53)에 안내되어 제1 절곡 가이드(101)에 이르면, 각 괘선(312, 314)이 각 제1 절곡 가이드(101)의 양측부에 당접하도록 반송된다. 그리고, 골판지 시트(S)는, 각 제1 절곡 가이드(101) 및 각 제2 절곡 가이드(102) 상을 반송되는 과정에서, 각 성형 벨트(107)가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을 하방으로 압압함과 함께, 각 폴딩 바(108)가 각 성형 벨트(107)와 협동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을 하방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골판지 시트(S)는, 각 괘선(312, 314)이 각 제1 절곡 가이드(101)나 각 제2 절곡 가이드(102)의 양측부에 당접한 위치에서,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 333)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하방으로 굽혀짐으로써 절곡부(341, 34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골판지 시트(S)는, 각 제1 반송 가이드(103)나 각 제2 반송 가이드(104) 상을 반송되는 과정에서, 각 시트편(332, 333)과 시트편(331, 334)의 사이의 절곡부(341, 342)의 외주부가 각 제1 게이지 롤러군(105) 및 각 제2 게이지 롤러군(106)에 있어서의 각 게이지 롤러(114, 115)의 오목부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그 결과, 골판지 시트(S)는,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폭방향의 중심 측의 각 시트편(332, 333)에 접촉할 때까지 절첩되고, 편평상을 이루는 골판지 상자(B)가 형성된다.
그런데, 골판지 시트(S)는, 성형 벨트(107) 및 폴딩 바(108)에 의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하방으로 압압되어 절첩될 때, 절곡 각도가 70도의 부근으로부터 절곡부(341, 342)의 외주부가 제1 게이지 롤러(114)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절곡 각도가 115도의 부근으로부터 절곡부(341, 342)의 외주부가 제2 게이지 롤러(115)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며, 절곡 각도가 180도가 될 때까지 절곡된다. 이 경우, 편평상을 이루도록 절첩된 골판지 상자(B)는,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의 선단부의 간극이 일정(미리 설정된 소정 길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골판지 시트(S)(골판지 상자(B))에 있어서의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 333)과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즉, 절첩된 골판지 시트(S)(편평상을 이루는 골판지 상자(B))는, 절곡부(341, 342)를 상하 대칭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는, 제2 게이지 롤러군(106)에서,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외주면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측을 향하여 패인 오목부(151)(후술하는 도 7 참조)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이 오목부(151)는, 최심 위치 P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제2 게이지 롤러(115)의 상세한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a 내지 도 8d는, 두꺼운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a 내지 도 9d는, 얇은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게이지 롤러(115)는, 회전 축심 O가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면(152)과 하면(153)이 평면에서 평행을 이루며, 회전 축심 O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상면(152)과 하면(153)의 사이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오목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151)는, 상측 지지면(154)과, 하측 지지면(155)과, 상측 지지면(154)과 하측 지지면(155)을 연속시키는 최심 지지면(156)을 갖고 있으며, 제2 게이지 롤러(115)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 축심 O로부터 외주면 측을 향하여 상하로 확산되는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지지면(154) 및 하측 지지면(155)은, 직경 방향을 따른 평면이며, 최심 지지면(156)은, 상측 지지면(154)과 하측 지지면(155)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 측의 단부를 연속시키는 만곡면이다. 또,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상면(152) 측과 하면(153) 측에 외주 상단면(157)과 외주 하단면(158)이 마련되어 있고, 외주 상단면(157)은, 상측 지지면(154) 및 상면(152)과 만곡부(159, 160)를 통하여 연속하며, 외주 하단면(158)은, 하측 지지면(155) 및 하면(153)과 만곡부(161, 162)를 통하여 연속하고 있다.
또한,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게이지 롤러(115)의 회전 축심 O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해도 된다. 또,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상면(152)과 하면(153)이 요철 형상이어도 되고, 상면(152)과 하면(153)이 오목부 형상을 이루는 만곡면이어도 된다. 또한, 최심 지지면(156)은, 만곡면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각형상 또는 평면 형상이어도 된다. 또, 외주 상단면(157) 및 외주 하단면(158)은, 평면 형상 또는 만곡면 형상이며, 상측 지지면(154) 및 하측 지지면 또는 상면(152) 및 하면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게이지 롤러군(106)은, 11개의 제2 게이지 롤러(115)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도시(도 2 참조)했지만, 이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게이지 롤러군(106)을 구성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의 수는, 골판지 시트(S)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는,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최상류 측의 1개 또는 최상류 측으로부터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상측 지지면(154)이 수평면으로 설정되며, 도중의 제2 게이지 롤러(115)로부터 상측 지지면(154)이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측 지지면(154)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이행하는 위치는,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소정 각도(예를 들면, 60도로부터 70도의 범위)의 위치이다. 그리고, 상측 지지면(154)의 경사 각도는, 일정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하에,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제2 게이지 롤러(115)는, 상면(152)과 하면(153)의 사이에 오목부(151)가 마련되고, 외주 상단면(157)의 위치가 최대 외경 Dmax이며, 오목부(151)의 바닥부가 최소 외경 Dmin이다. 이로 인하여, 오목부(151)의 최심 위치 P란, 회전 축심 O에 가장 가까운 오목부(151)의 위치이며, 오목부(151)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최소 외경 Dmin 위치이다. 또, 제2 게이지 롤러(115)는, 회전 축심 O의 방향의 길이(높이)가 T이며, 최심 위치 P는, 상면(152)으로부터 회전 축심 O의 방향을 따라 길이 T1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 P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최심 지지면(156)이 만곡면 형상이면 규정되지만, 최심 지지면(156)이 평면 형상이면, 평면부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의 중간 위치, 또는, 최심 지지면(156)과 상측 지지면(154)과의 연결점(변곡점)과 최심 지지면(156)과 하측 지지면(155)과의 연결점(변곡점)을 연결하는 회전 축심 O의 방향을 따른 직선의 중간 위치이다. 또한, 오목부(151)에 있어서의 상측 지지면(154)의 경사 각도 θ1은, 상면(152)과 상측 지지면(154)이 이루는 각도이며, 오목부(151)에 있어서의 하측 지지면(155)의 경사 각도 θ2는, 하면(153)과 하측 지지면(155)이 이루는 각도이다. 또한, 상측 지지면(154)이 평면일 때, 그 각도는, 평면을 따른 각도이며, 상측 지지면(154)이 만곡면일 때, 그 각도는, 최심 지지면(156)과의 연결점(변곡점)과 상면(152) 측의 만곡부159)와의 연결점(변곡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따른 각도이다. 또, 하측 지지면(155)의 각도도 동일하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꺼운 골판지 시트(S1)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15A)는, 상측 지지면(154A)과 하측 지지면(155A)과 최심 지지면(156A)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A)는, 골판지 시트(S1)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20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A)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 게이지 롤러(115A)의 오목부(151A)는, 상측 지지면(154A)의 경사 각도 θ1=0도의 수평면으로 설정되고, 하측 지지면(155A)의 경사 각도 θ2=60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PA)는, 상면(152)으로부터 길이 T1A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1)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A)의 최심 지지면(156A)에 접촉하여 폭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A)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1)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1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15B)는, 상측 지지면(154B)과 하측 지지면(155B)과 최심 지지면(156B)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B)는, 골판지 시트(S1)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25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B)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 게이지 롤러(115B)의 오목부(151B)는, 상측 지지면(154B)의 경사 각도 θ1=20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고, 하측 지지면(155B)의 경사 각도 θ2=55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 PB는, 상면(152)으로부터 길이 T1A보다 긴 길이 T1B(T1A<T1B)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1)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B)의 최심 지지면(156B)에 지지됨으로써, 폭방향과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A)에 지지된다.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1)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7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15C)는, 상측 지지면(154C)과 하측 지지면(155C)과 최심 지지면(156C)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C)는, 골판지 시트(S1)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55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C)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 게이지 롤러(115C)의 오목부(151C)는, 상측 지지면(154C)의 경사 각도 θ1=20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고, 하측 지지면(155C)의 경사 각도 θ2=20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 PC는, 상면(152)으로부터 길이 T1B보다 긴 길이 T1C(T1B<T1C)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1)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C)의 최심 지지면(156C)에 지지됨으로써, 폭방향과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시트편(332)은, 외면이 경사면인 상측 지지면(154C)에 지지되고,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C)에 지지된다.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1)의 반송 방향의 최하류 측의 제2 게이지 롤러(115D)는, 상측 지지면(154D)과 하측 지지면(155D)과 최심 지지면(156D)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D)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D)는, 골판지 시트(S1)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80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D)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 게이지 롤러(115D)의 오목부(151D)는, 상측 지지면(154D)의 경사 각도 θ1=20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고, 하측 지지면(155D)의 경사 각도 θ2=15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 PD는, 상면(152)으로부터 길이 T1C보다 긴 길이 T1D(T1C<T1D)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1)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D)의 최심 지지면(156D)에 지지됨으로써, 폭방향과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시트편(332)은, 외면이 경사면인 상측 지지면(154D)에 지지되고,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D)에 지지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1)의 반송 방향(D)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115A, 115B, 115C, 115D))는, 외주면에 각각 오목부(151(151A, 151B, 151C, 151D))가 마련되고, 이 오목부(151(151A, 151B, 151C, 151D))는, 최심 위치 P(PA, PB, PC, PD)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1)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을 향하여 하방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115A, 115B, 115C, 115D))는, 골판지 시트(S)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소정 각도의 위치로부터, 상측 지지면(154(154A, 154B, 154C, 154D))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이행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절곡되어 갈 때, 절곡 각도가 120도까지, 절곡부(341, 342)는, 상측 지지면(154)이 수평면인 오목부(151)를 갖는 제2 게이지 롤러(115)에 지지되고, 절곡 각도가 125도 이후, 절곡부(341, 342)는, 상측 지지면(154)이 경사면인 오목부(151)를 갖는 제2 게이지 롤러(115)에 지지된다. 골판지 시트(S)는, 표측 라이너와 이측 라이너의 사이에 파형을 이루는 골심지가 협지되어 형성되어 있고, 괘선(312, 314)의 위치에서 절곡될 때, 절곡 각도가 90도 부근으로부터 골심지가 찌부러진다. 이 골심지가 찌부러질 때,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진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골판지 시트(S)의 절곡 도중에, 절곡부(341, 342)가 경사 형상을 이루는 각 지지면(154, 155)의 사이에 있는 최심 지지면(156)에 지지되는 점에서,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면, 골판지 시트(S)는,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가 되고, 편평상을 이루도록 절첩된 골판지 상자(B)는,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의 선단부의 간극이 일정해져,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제2 게이지 롤러(115)의 오목부(151) 상측 지지면(154)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이행하는 위치를, 절곡 각도가 120도로부터 125도가 되는 위치로 했지만,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측 지지면(154)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이행하는 위치는, 절곡 각도가 120도보다 작은 각도의 위치여도 되고, 절곡 각도가 125도보다 큰 각도의 위치여도 되지만, 절곡 각도가 120도로부터 160도의 영역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골판지 시트(S)의 두께가 얇을수록, 상측 지지면(154)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이행하는 위치를 절곡 각도의 작은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골판지 시트(S)는, 두께가 다른 것이 다수 있고,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는, 두께가 다른 복수 종류의 골판지 시트(S)에 대하여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게이지 롤러(115)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방향의 위치(연직 방향의 높이)를 조정하는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는, 골판지 시트(S)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각 제2 게이지 롤러(115)를 연직 방향의 상방 측으로 위치 조정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얇은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15A)는, 상측 지지면(154A)과 하측 지지면(155A)과 최심 지지면(156A)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A)는, 골판지 시트(S2)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20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A)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얇은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A)(도 9a의 실선)의 위치는,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에 의하여, 두꺼운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A)(도 9a의 이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위치 변경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2)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A)의 최심 지지면(156A)에 접촉하여 폭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때,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A)에 지지된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1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15B)는, 상측 지지면(154B)과 하측 지지면(155B)과 최심 지지면(156B)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B)는, 골판지 시트(S2)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25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B)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얇은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B)(도 9b의 실선)의 위치는,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에 의하여, 두꺼운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B)(도 9b의 이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위치 변경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2)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B)의 최심 지지면(156B)에 접촉하여 폭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B)에 계속해서 지지된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7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15C)는, 상측 지지면(154C)과 하측 지지면(155C)과 최심 지지면(156C)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C)는, 골판지 시트(S2)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55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C)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얇은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C)(도 9c의 실선)의 위치는,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에 의하여, 두꺼운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C)(도 9c의 이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위치 변경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2)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C)의 최심 지지면(156C)에 지지됨으로써, 폭방향과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C)에 계속해서 지지된다.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의 최하류 측의 제2 게이지 롤러(115D)는, 상측 지지면(154D)과 하측 지지면(155D)과 최심 지지면(156D)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D)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D)는, 골판지 시트(S2)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80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D)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얇은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D)(도 9d의 실선)의 위치는,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에 의하여, 두꺼운 골판지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게이지 롤러(115D)(도 9d의 이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위치 변경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2)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D)의 최심 지지면(156D)에 지지됨으로써, 폭방향과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시트편(332)은, 외면이 경사면인 상측 지지면(154D)에 지지되고,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55D)에 지지된다.
도 9a 내지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115A, 115B, 115C, 115D))는, 골판지 시트(S2)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소정 각도의 위치로부터, 상측 지지면(154(154A, 154B, 154C, 154D))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이행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115A, 115B, 115C, 115D))는, 게이지 롤러 상하 위치 조정 장치(126)에 의하여, 골판지 시트(S)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연직 방향의 상방 측으로 위치 조정된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는, 두꺼운 골판지 시트(S1)를 기준으로 하여 얇은 골판지 시트(S2)만큼 상방 측에 배치되고, 절곡 각도가 125도 이후, 절곡부(341, 342)는, 상측 지지면(154)이 경사면인 오목부(151)를 갖는 제2 게이지 롤러(115)에 지지된다. 그러면, 골판지 시트(S)는, 그 두께에 관계없이, 절곡부(341, 342)가 오목부(151)의 최심 지지면(156)에 적정하게 지지되게 되어,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면, 골판지 시트(S)는,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가 되고, 편평상을 이루도록 절첩된 골판지 상자(B)는,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의 선단부의 간극이 일정해져,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c에서, 시트편(332)은, 외면이 상측 지지면(154A, 154B, 154C)에 충분히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얇은 골판지 시트(S2)는 파형을 이루는 골심지의 피치가 세세한 점에서,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51A, 151B, 151)의 최심 지지면(156D)에 지지됨으로써, 적정 위치에서 절곡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는, 골판지 시트(S)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소정 각도의 위치로부터, 상측 지지면(154)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이행하고, 상측 지지면(154)의 경사 각도를 일정 각도로 설정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시트 절첩 시에 있어서의 제2 게이지 롤러의 형상 변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변형예는, 얇은 골판지 시트(S2)에 대하여 설명을 하지만, 두꺼운 골판지 시트(S1)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1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15B)는, 상측 지지면(154B)과 하측 지지면(155B)과 최심 지지면(156B)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5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15B)는, 골판지 시트(S2)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25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51B)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 게이지 롤러(115B)의 오목부(151B)는, 상측 지지면(154B)의 경사 각도 θ1=20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 PB는, T1A<T1B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의 최상류 측으로부터 N+7개째의 제2 게이지 롤러(170(170C))는, 오목부(171(171C))가 상면(172)과 하면(173)의 사이에 마련되고, 오목부(171(171C))는, 상측 지지면(174(174C))과 하측 지지면(175(175C))과 최심 지지면(176(17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70C)는, 골판지 시트(S2)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55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71C)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 게이지 롤러(170C)의 오목부(171C)는, 상측 지지면(174C)의 경사 각도 θ1=35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 PC는, T1B<T1C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2)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71C)의 최심 지지면(176C)에 지지됨으로써, 폭방향과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때,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75C)에 지지된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의 최하류 측의 제2 게이지 롤러(170D)는, 상측 지지면(174D)과 하측 지지면(175D)과 최심 지지면(176D)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71D)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게이지 롤러(170D)는, 골판지 시트(S2)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심 측의 시트편(332)에 대하여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이 약 180도까지 굽혀졌을 때, 오목부(171D)에 의하여 절곡부(34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 게이지 롤러(170D)의 오목부(171D)는, 상측 지지면(174D)의 경사 각도 θ1=45도의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심 위치 PD는, T1C<T1D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 골판지 시트(S2)는, 절곡부(341)의 외주부가 오목부(171D)의 최심 지지면(176D)에 지지됨으로써, 폭방향과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때, 시트편(331)은, 외면이 경사면인 하측 지지면(175D)에 지지된다.
도 9b,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D)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B, 170C, 170D)는, 외주면에 각각 오목부(151B, 171C, 171D)가 마련되고, 이 오목부(151B, 171C, 171D)는, 최심 위치 P(PB, PC, PD)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2)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을 향하여 하방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B, 170C, 170D)는, 골판지 시트(S)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소정 각도의 위치로부터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하여, 상측 지지면(154B, 174C, 174D)의 경사면의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설정된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이 절곡되어 갈 때, 절곡 각도가 125도 이후, 절곡부(341, 342)는, 상측 지지면(154B, 174C, 174D)이 경사면인 오목부(151B, 171C, 171D)를 갖는 제2 게이지 롤러(115B, 170C, 170D)에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골판지 시트(S)가 절곡 도중에, 절곡부(341, 342)의 경사 각도가 점차 커지는 상측 지지면(154B, 174C, 174D)에 연속하는 최심 지지면(156B, 176C, 176D)에 지지되는 점에서,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면, 골판지 시트(S)는,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가 되고, 편평상을 이루도록 절첩된 골판지 상자(B)는, 폭방향의 단부 측의 시트편(331, 334)의 선단부의 간극이 일정해져,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에 있어서는,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양측에 배치되어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골판지 시트(S)의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는 성형 벨트(107)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을 따라 배치되어 성형 벨트(107)로부터 절곡된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341, 342)의 외측에 접촉하는 복수의 게이지 롤러(114, 115, 170)로 이루어지는 게이지 롤러군(105, 106)을 구비하고, 복수의 제2 게이지 롤러(115, 170)는, 외주면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측을 향하여 패인 오목부(151, 171)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오목부(151, 171)는, 최심 위치 P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성형 벨트(107)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고, 복수의 게이지 롤러(114, 115, 170)가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341, 342)를 지지한다. 이때, 골판지 시트(S)는, 굽힘 도중에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오목부(151, 171)에 지지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지는 것이 억제되고, 절곡부(341, 342)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가 하방 측으로 이동하여 적정 위치가 되도록 성형된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고, 골판지 시트(S)를 적정한 위치에서 절곡함으로써, 골판지 시트의 절곡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오목부(151, 171)는, 상측 지지면(154, 174)과, 하측 지지면(155, 175)과, 상측 지지면(154, 174)과 하측 지지면(155, 175)을 연속시키는 최심 지지면(156, 176)을 갖고, 상측 지지면(154, 174)은,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각도가 되는 소정의 이행 위치에서, 수평 방향을 따르는 수평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S)는, 양단부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각도가 되는 소정의 이행 위치에서, 절곡부(341, 342)가 경사진 상측 지지면(154, 174)에 접촉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절곡부(341, 342)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가 서서히 하방 측으로 이동하도록 규제되게 되어, 절곡부(341, 342)의 위치를 적정 위치에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소정의 이행 위치로부터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2 게이지 롤러(115)는, 경사면인 상측 지지면(154)의 경사 각도가 일정 각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행 위치로부터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2 게이지 롤러(115)에 있어서의 상측 지지면(154)의 경사 각도가 동일한 각도이기 때문에,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절곡부(341, 342)의 외주면에 대한 접촉 각도가 일정해져, 절곡부(341, 342)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소정의 이행 위치로부터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2 게이지 롤러(170)는, 경사면인 상측 지지면(174)의 경사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이행 위치로부터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2 게이지 롤러(170)에 있어서의 상측 지지면(174)의 경사 각도가 점차 커지는 각도이기 때문에,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절곡부(341, 342)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를 서서히 적정 위치에 규제하게 되어, 절곡부(341, 342)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최심 지지면(156, 176)이 만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2 게이지 롤러(115, 170)에 있어서의 오목부(151, 171)가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절곡부(341, 342)를 지지할 때, 최심 지지면(156, 176)에 의하여 이 절곡부(341, 342)를 간극없이 지지할 수 있어, 절곡부(341, 342)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복수의 게이지 롤러(114, 115, 170)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O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6)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6)에 의하여 각 게이지 롤러(114, 115, 170)를 회전 축심 O 방향으로 조정하는 점에서, 골판지 시트(S)의 종류에 따라 각 게이지 롤러(114, 115, 170)에 있어서의 오목부(151, 171)의 위치를 적정 위치로 조정할 수 있어, 골판지 시트(S)의 종류에 관계없이 절곡부(341, 342)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절첩 장치에서는,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6)는, 골판지 시트(S)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각 게이지 롤러(115, 170)를 회전 축심 O의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상방 측으로 위치 조정하고 있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S)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제2 게이지 롤러(115, 170)를 연직 방향의 상방 측으로 위치 조정함으로써, 골판지 시트(S)가 절곡될 때, 제2 게이지 롤러(115, 170)의 오목부(151, 171)가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절곡부(341, 342)의 하면을 적정하게 지지할 수 있어, 절곡부(341, 342)를 적정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제함기에 있어서는, 급지부(11)와 인쇄부(21)와 배지부(31)와 다이컷팅부(41)와 폴딩부(51)와 카운터 이젝터부(61)를 마련하고, 폴딩부(51)에 시트 절첩 장치(55)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급지부(11)로부터의 골판지 시트(S)에 대하여 인쇄부(21)에서 인쇄가 행해지고, 배지부(31)에서 괘선 가공과 홈 절삭 가공이 행해지며, 폴딩부(51)에서 절첩하여 단부가 접합되고 골판지 상자(B)가 형성되며, 카운터 이젝터부(61)에서 골판지 상자(B)가 계수되면서 적재된다. 이때, 시트 절첩 장치(55)는, 성형 벨트(107)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D)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고, 복수의 게이지 롤러(114, 115, 170)가 골판지 시트(S)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341, 342)를 지지한다. 이때, 골판지 시트(S)는, 굽힘 도중에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오목부(151, 171)에 지지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해지는 것이 억제되고, 절곡부(341, 342)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가 하방 측으로 이동하여 적정 위치가 되도록 성형된다. 이로 인하여, 골판지 시트(S)는, 절곡부(341, 342)의 위치가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고, 골판지 시트(S)를 적정한 위치에서 절곡함으로써, 골판지 시트(S)의 절곡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1), 제2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122), 제1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3), 제2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4), 제3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125),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126)를 편심식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나사 방식이나 실린더 방식 등으로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절곡 가이드(101, 102)와 반송 가이드(103, 104)와 게이지 롤러군(105, 106)을 2분할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체식이어도 되며, 3분할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각 게이지 롤러(115, 170)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최심 위치가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하여 하방 측으로 어긋나도록 각 게이지 롤러(115)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형상을 변경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오목부의 최심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방향의 위치를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인 점에서, 예를 들면, 각 게이지 롤러의 위치를 골판지 시트(S)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하여 하방 측으로 어긋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함기(10)를 급지부(11)와 인쇄부(21)와 배지부(31)와 다이컷팅부(41)와 폴딩부(51)와 카운터 이젝터부(61)에 의하여 구성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골판지 시트(S)에 손잡이용 구멍 등의 펀칭 가공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다이컷팅부(41)를 없애도 된다.
11 급지부
21 인쇄부
31 배지부
41 다이컷팅부
51 폴딩부
55 시트 절첩 장치
61 카운터 이젝터부
101 제1 절곡 가이드(절곡 가이드)
102 제2 절곡 가이드(절곡 가이드)
103 제1 반송 가이드(반송 가이드)
104 제2 반송 가이드(반송 가이드)
105 제1 게이지 롤러군(게이지 롤러군)
106 제2 게이지 롤러군(게이지 롤러군)
107 성형 벨트
108 폴딩 바
114 제1 게이지 롤러
115, 115A, 115B, 115C, 115D, 170, 170C, 170D 제2 게이지 롤러
121 제1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
122 제2 절곡 가이드 조정 장치
123 제1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
124 제2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
125 제3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
126 게이지 롤러 상하 조정 장치(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
127 제어장치
151, 151A, 151B, 151C, 151D, 171, 171C, 171D 오목부
152, 172 상면
153, 173 하면
154, 154A, 154B, 154C, 154D, 174, 174C, 174D 상측 지지면
155, 155A, 155B, 155C, 155D, 175, 175C, 175D 하측 지지면
156, 156A, 156B, 156C, 156D, 176, 176C, 176D 최심 지지면
331, 334 시트편
332, 333 시트편
341, 342 절곡부
D 반송 방향
S, S1, S2 골판지 시트
B 골판지 상자

Claims (8)

  1.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골판지 시트의 폭방향의 중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절곡하는 성형 벨트와,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성형 벨트로부터 절곡된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측의 절곡부의 외측에 접촉하는 복수의 게이지 롤러로 이루어지는 게이지 롤러군을 구비하는 시트 절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지 롤러는, 외주면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측을 향하여 패인 오목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는, 최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의 위치가,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하여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절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측 지지면과, 하측 지지면과, 상기 상측 지지면과 상기 하측 지지면을 연속시키는 최심 지지면을 갖고, 상기 상측 지지면은, 골판지 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절곡 각도가 90도보다 큰 각도가 되는 소정의 이행 위치에서, 수평 방향을 따르는 수평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에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절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행 위치로부터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상기 게이지 롤러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가 일정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절첩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행 위치로부터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상기 게이지 롤러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절첩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심 지지면은, 만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절첩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지 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절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롤러 조정 장치는, 골판지 시트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상기 복수의 게이지 롤러를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상방 측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절첩 장치.
  8. 골판지 시트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골판지 시트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와,
    인쇄가 완료된 골판지 시트에 괘선 가공을 행함과 함께 홈 절삭 가공을 행하는 배지부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시트 절첩 장치를 갖는 폴딩부와,
    편평상의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재한 후에 소정 수마다 배출하는 카운터 이젝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1020197037498A 2017-09-27 2017-09-27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KR20200010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5051 WO2019064391A1 (ja) 2017-09-27 2017-09-27 シート折り畳み装置及び製函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383A true KR20200010383A (ko) 2020-01-30

Family

ID=6590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498A KR20200010383A (ko) 2017-09-27 2017-09-27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02915B2 (ko)
EP (1) EP3689589B1 (ko)
JP (1) JP6873260B2 (ko)
KR (1) KR20200010383A (ko)
CN (1) CN110799329B (ko)
WO (1) WO2019064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801A (zh) * 2019-07-11 2019-10-11 广东台一精工机械有限公司 粘箱机的折叠机构及其折叠成型方法
JP2022127853A (ja) * 2021-02-22 2022-09-01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ガイド位置調整装置,フォルダグルア及び製函機並びに折り曲げガイド位置調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665A (ja) 2002-06-06 2004-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ンボールシートの折畳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7092A1 (fr) * 1975-07-11 1977-02-04 Shinko Kikai Seisakusho Procede et appareil pour le pliage de feuilles de carton
JPS529573A (en) * 1975-07-11 1977-01-25 Shinko Kikai Seisakusho Kk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lding corrugated cardboard
DE2911969A1 (de) * 1979-03-27 1980-10-16 Bahmueller Masch W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von faltschachtelzuschnitten, insbesondere aus schwerer wellpappe
EP0030097B1 (en) * 1979-12-03 1983-09-07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Sheet folding apparatus
JPS597079Y2 (ja) * 1979-12-03 1984-03-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トの折畳み装置
US4557715A (en) * 1983-12-01 1985-12-10 Kempsmith Machine Company Tuck assembly for a pocket file folder line
JP3608608B2 (ja) * 2000-02-28 2005-01-12 日本精機株式会社 充填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折返し案内装置
US6939284B2 (en) * 2001-10-05 2005-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eet folding apparatus with rounded fold blade
US6855101B2 (en) * 2001-10-05 2005-0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eet folding apparatus
JP4609809B2 (ja) * 2003-06-26 2011-01-12 三菱重工印刷紙工機械株式会社 フォルダグルア
JP4307460B2 (ja) * 2006-03-24 2009-08-05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紙折り機用ローラ装置
CN201102324Y (zh) * 2007-05-23 2008-08-20 冯进伟 箱板折弯装置
JP4689690B2 (ja) * 2008-02-22 2011-05-25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折機の転送装置
JP4493052B1 (ja) * 2009-01-23 2010-06-30 株式会社Isowa フォルダグルア
JP5773908B2 (ja) * 2012-02-20 2015-09-02 三菱重工印刷紙工機械株式会社 シート折り畳み装置および製函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665A (ja) 2002-06-06 2004-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ンボールシートの折畳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9589A4 (en) 2021-05-12
JP6873260B2 (ja) 2021-05-19
CN110799329B (zh) 2021-10-08
US20200171776A1 (en) 2020-06-04
US11602915B2 (en) 2023-03-14
WO2019064391A1 (ja) 2019-04-04
EP3689589A1 (en) 2020-08-05
JPWO2019064391A1 (ja) 2020-03-26
CN110799329A (zh) 2020-02-14
EP3689589B1 (en)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0156B1 (en) Sheet folding device and box-making machine
KR102064655B1 (ko) 슬로터 장치 및 시트의 홈 절삭 가공 방법, 제함기
KR100962818B1 (ko)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및 골판지 시트용 제함기
KR101649059B1 (ko)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US11345108B2 (en) Cardboard box dividing device and cardboard box production device
WO2019116579A1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WO2019116578A1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KR20200010383A (ko)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KR20190045903A (ko) 제함기 및 골판지 시트의 가공 위치 조정 방법
US11338535B2 (en) Sheet folding device and method, and box-making machine
JP2018183839A (ja) 切断加工用刃物及びスロッタ装置並びに製函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