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688A -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688A
KR20200009688A KR1020180084358A KR20180084358A KR20200009688A KR 20200009688 A KR20200009688 A KR 20200009688A KR 1020180084358 A KR1020180084358 A KR 1020180084358A KR 20180084358 A KR20180084358 A KR 20180084358A KR 20200009688 A KR20200009688 A KR 20200009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ut
head
directionalit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강하
Original Assignee
전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강하 filed Critical 전강하
Priority to KR102018008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688A/ko
Publication of KR2020000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2007/007Processes of trimming or cutt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두상의 종류에 따라 8가지의 방향성과 2가지의 섹션존을 조합하여 전체적인 형태를 먼저 잡은 후, 모발이 떨어지는 형태선만 보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를 하였는지 분석을 하여 스피드 커트를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는 모발의 형태선에 따라 1,2차 가이드 라인의 그린존과 러프존의 레이어 형태 디자인으로 구분하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 디자인했는지 커트방향을 분석하고, 두상의 무게선의 형태 디자인을 삼각형, 사각형, 라운드형의 도형을 보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를 진행하였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두상을 8가지 방향의 방향성으로 형태를 잡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선택하되 포지션의 빗질에 따라 각각의 방향으로 커트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은 방향성을 이용하여 커트함으로써 헤어커트시 헤어가 떨어지는 형태선의 가이드 라인을 알 수 있고 헤어커트를 두상의 종류와 방향성 및 2곳의 섹션을 이용하여 빠르고 신속한 커트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비숙련자도 손쉽게 배울 수 있고,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THE HAIR CUT METHOD USING DIRECTIONALITY}
본 발명은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원하는 헤어 디자인의 사진이나 실물을 보고 두상의 종류에 따라 8가지의 방향성과 2가지의 섹션존을 조합하여 헤어 디자인의 전체적인 형태를 잡은 후, 커트 후의 모발이 떨어지는 형태선을 보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를 하였는지 분석을 하여 스피드 커트와 다양한 헤어디자인을 손쉽게 커트할 수 있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스타일은 자신을 알리는 중요한 요소로서 최근에는 현대인들의 다양한 사회생활을 반영하듯이 다양한 헤어 스타일의 연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신만의 독특한 헤어 스타일을 구현하길 요구함에 따라 이에 따른 다양한 헤어 스타일 연출법이 개발되고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헤어처리기술을 살펴보면 고객이 희망하는 헤어 디자인의 스타일을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놓고 미용사의 어드바이스를 받으면서 헤어 처리를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고객들의 두상 형태가 각각 서로 상이하고 고객이 원하는 헤어 스타일 디자인이 정확하게 실현되는 것이 어려웠으며 동일한 디자인의 헤어 스타일과 같은 재현은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14898호에는 고객이 원하는 헤어디자인을 수치 혹은 부호화한 디자인의 모델 페이퍼에 기초하여 헤어컷팅, 헤어 퍼머, 컬러링 등 미용 헤어 디자인의 설계방법에 의한 헤어 스타일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개시된 방법은 한 번 스타일링을 처리한 후 그 다음 헤어 처리를 할 때 동일한 헤어 디자이너에게 의존할 수 밖에 없었고, 다른 헤어 디자이너가 재현할 경우, 경험과 기량 차이에 따라 동일한 헤어 스타일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기존과 같이 각도와 빗질하는 방법을 중요시 하는 경우에는 헤어 디자이너의 포지션의 위치에 따라 커트의 각도와 떨어지는 모발의 커트 가이드 라인이 달라짐으로써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다시 구현하거나 유행하는 우수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 경험 등을 거쳐서 숙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헤어커트방법은 각도 위주의 빗질로 커트를 하여 전체적인 아웃라인을 분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전체적인 아웃라인 형태를 찾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초보자들이 쉽게 배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3890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5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향성 커트는 어느 포지션- 바람직하기로는 8가지 방향에서 방향성을 이용하여 커트를 하고 전체적인 형태선이 떨어지는 헤어의 아웃라인 선의 형태를 미리 알고 습득하여 사진이나 실물에 대한 커트를 초보자도 쉽게 분석,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머리의 두상을 2곳의 섹션존으로 분류하여 커트를 하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빠른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헤어 커트시 8가지 방향성과 2곳의 섹션존의 조합으로 커트를 하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헤어커트 방법을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고 커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하며 커트 진행 후 모발이 떨어지는 커트형태가 삼각, 사각, 원형 등의 도형을 이루면서 전체 헤어커트 형태가 모발이 떨어지는 형태선과 유사하게 하여 헤어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을 만들 때 모발의 형태선이 떨어지는 것을 어느 방향으로 커트를 하였는지 분석할 수 있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차 가이드 라인 및 2차 가이드 라인의 러프존(거친 부분)과 그린존(매끄러운 부분)으로 구분하여 그 경계선인 웨이트 라인(무게선)이 형성되면서 그 웨이트 라인(무게선)을 보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를 진행하였는지 분석할 수 있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트시 커트의 층이 많은 부분(모발이 겹치는 부분이 적어 가볍다라고 함)과 층이 적은 부분(모발이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무겁다라고 함)에 따라 헤어 디자인을 구분할 수 있고, 웨이트 라인의 경계선만으로 헤어 디자인을 구분할 수 있으며, 빗질의 방향성을 구분하여 커트 자세를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상에서 파팅을 선정하고 직각, 변이 자연분배로 모발을 사각판넬로 빗질하게 되며 각도가 조금씩 올라갈수록 삼각이나 사각의 모발로 절단하면서 라운드의 레이어 가이드라인이 형성이 되며 사각으로 빗질하는 판넬이 여러번 반복되면서 라운드의 레이어 가이드선이 형성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는 모발의 형태선에 따라 1,2차 가이드 라인의 그린존과 러프존의 레이어 형태 디자인으로 구분하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 디자인했는지 커트방향을 분석하고, 두상의 무게선의 형태 디자인을 삼각형, 사각형, 라운드형의 도형을 보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를 진행하였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두상을 8가지 방향의 방향성으로 형태를 잡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선택하되 포지션의 빗질에 따라 각각의 방향으로 커트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층이 없는 원랭스를 사각이라 하고, 포워드 방향, 리버즈 방향으로 커트한 것을 삼각형이라 하고 8가지 방향성을 모두 사용하면 라운드의 형태 헤어 디자인으로 연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각형의 각진 부분을 커트하여 둥글게 하도록 하기 위해 두상에 8가지의 방향성을 부여하여 빗질과 커트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두상의 후두부 가운데를 수직하게 나누어서 정중선의 형태선을 잡고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분류한 후, 포워드 방향 또는 리버스 방향으로 빗질하면서 컨벡스 라인과 컨케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8가지 방향성은,
두상의 위로 모발을 올려서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업 스트레이트 방법(Up Straight), 두상의 앞으로 모발을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포워드 스트레이트 방법(Foward Straight), 두상의 아래로 모발을 빗질하면서 내려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다운 스트레이트 방법(Down Straight), 모발을 두상의 뒤로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리버스 스트레이트 방법(Reverse Straight)으로 구분하여 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8가지 방향성은,
두상의 모발을 앞방향 대각 위로 커트하는 포워드 다이애그널 업 방법(Foward Diagonal Up), 모발을 앞방향 대각 아래로 커트하는 포워드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Foward Diagonal Down), 모발을 두상의 뒷쪽 방향 대각 위로 커트하는 리버스 다이애그널 업 방법(Reverse Diagonal Up), 모발을 두상의 뒷쪽 방향 대각 아래로 커트하는 리버스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Reverse Diagonal Down)으로 구분하여 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8가지 방향성에 두상의 가장 높은 지점을 탑 포인트를 선정하고, 탑 포인트 앞머리는 다수의 포인트를 갖는 다중 포인트로 형성하여 스퀘어 파트존을 형성하며, 상기 탑 포인트를 기준으로 방사상의 형태를 갖는 피봇 파트존으로 하는 2가지 섹션존을 구비하되, 상기 탑 포인트를 기준으로 뒷머리가 방사상의 형태를 갖는 리어 피봇 파트존; 및 탑 포인트를 기준으로 두상 전체를 원포인트 방사형으로 나누는 원포인트 피봇 파트존으로 이루어져서 8가지 방향성과 2가지의 섹션존을 조합하여 디자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상의 헤어를 1,2차 그린존과 러프존의 떨어지는 형태선의 각도를 삼각형, 사각형, 라운드형의 형태 디자인을 보고 정중선 기준 포워드 방향, 리버즈 방향의 형태 디자인을 분석하여 컨벡스, 수평, 컨케이브의 형태선을 보고 스피드하게 커트를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두상의 헤어를 정육면체 사각형 형태선을 가정하여 설정한 후, 사각형의 각진 부분을 커트하여 둥글게 하도록 하기 위해 8가지 방향의 방향성을 부여하여 포지션의 빗질에 따라 커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은 방향성을 이용하여 커트함으로써 헤어커트시 헤어가 떨어지는 형태선의 가이드 라인을 알 수 있고 헤어커트를 두상의 종류와 방향성 및 2곳의 섹션존을 이용하여 빠르고 신속하게 두상의 전체 헤어 디자인을 분석하여 신속하고 손쉽게 커트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비숙련자도 손쉽게 배울 수 있고,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1차 및 2차 가이드 라인을 구분하여 커트함으로써 커트선이 정확하고 빠르고 신속하게 커트할 수 있으며 1차 가이드라인의 가이드선과 2차 가이드선의 무게선만 보고 어느방향으로 커트를 진행하였는지 예측할 수 있고, 8가지 방향으로 빗질 커트 후 떨어지는 1,2차 커트라인의 형태 디자인을 미리 파악하여 레이어가 어떻게 생기는지 미리 알고 커트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머리숱을 최소한으로 치면서 질감보다는 양감으로 커트됨으로써 시간이 지나도 커트선이 지저분하지 않고 단정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숙련자와 초보자도 커트자세와 빗질을 배우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최근 유행하는 다양한 헤어 스타일의 연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8방향으로 도해한 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의 정중선 포워드 방향과 리버즈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업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포워드 다이애그널 업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포워드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포워드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다운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리버스 다이애그널 업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리버스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리버스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8방향으로 도시한 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2섹션존으로 구분하였을 때 스퀘어 파트존과 리어 피봇 파트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2섹션존으로 구분하였을 때 원포인트 피봇 파트존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의 구성과 작용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8가지 방향으로 도해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의 정중선 포워드 방향과 리버즈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업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포워드 다이애그널 업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포워드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포워드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다운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리버스 다이애그널 업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리버스 스트레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1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시 리버스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8가지 방향으로 도시한 도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2섹션존으로 구분하였을 때 스퀘어 파트존과 리어 피봇 파트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2섹션존으로 구분하였을 때 원포인트 피봇 파트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두상은 둥근 라운드의 형상에 원랭스는 사각형의 형태 디자인이 형성되고, 포워드 방향과 리버즈 방향은 삼각형의 형태 디자인으로 형성되며, 전체 8가지 방향성을 활용하면 라운드의 원형형태 디자인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두상에서 떨어지는 헤어를 전체적인 형태 디자인을 도형으로 보았을 때 삼각형, 사각형, 원형으로 보고, 그 형태에 따라 모발을 사각형태로 커트를 할지 원형의 라운드로 커트를 할지 삼각형을 이용하여 커트를 할지 선택하여 헤어 디자인을 완성시킨다.
이때, 두상에서 사각판넬 빗질 형태의 커트가 나오는 것을 상하좌우 똑바로 커트시 스퀘어 파팅커트라 하고, 사각판넬 빗질형태의 커트가 여러번 반복되면서 라운드로 커트되어 원형 형태의 커트가 나오며, 포워드방향, 리버즈 방향으로 빗질 커트시 삼각형 형태의 커트가 나온다. 이때, 상기 포워드 방향은 전대각으로, 리버즈 방향을 후대각으로 칭한다.
이와 같이 두상의 헤어를 도형(바람직하기로는 정육면체)으로 보고 사각형 형태의 각진 부분을 8가지 방향성을 갖도록 디자인한 후, 수회 반복하여 빗질을 하고 커트함으로써 모서리가 잘리면서 라운드 형상으로 커트되어 원형 형태가 나온다. 즉, 인체의 두상은 사각형태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라운드 또는 원형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두상의 형태에 따라 사각 형태의 층이 적은 형태의 무게감을 줄 수 있고, 라운드 형태의 층이 많은 형태의 가벼움을 만들어 헤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원형 형태로서의 라운드 형태는 기존의 엘리베이션 개념과 유사하지만 사각의 무거운 부분을 가볍게 만들어 주는 커트방법이므로 라운드가 되면서 헤어의 층이 많아져서 가볍게 되어 무게감이 없어지고 두상을 따라 둥근 형태로 커트가 되므로 부드러운 형태가 되며 머리를 말리기만 하여도 위로 뻗치는 모발이 존재하지 않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때, 두상의 형태를 8가지의 방향에 따라 방향성을 모두 사용해도 되고, 하나 또는 둘 또는 세가지 정도로 8가지 방향성을 적게 활용할수록 사각과 삼각의 형태가 발생되고, 8가지 방향성을 많이 활용할수록 라운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8가지 방향성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손쉽게 커트할 수 있고, 고객의 두상에 따라 고객의 스타일에 적합한 자연스러운 헤어 스타일이 연출되는 것이다.
상기 두상의 8가지 커트 방향성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하는바, 첫째, 두상의 위로 모발을 올려서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업 스트레이트 방법(Up Straight), 둘째, 두상의 앞으로 모발을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포워드 스트레이트 방법(Foward Straight), 셋째, 두상의 아래로 모발을 빗질하면서 내려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다운 스트레이트 방법(Down Straight), 넷째, 모발을 두상의 뒤로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리버스 스트레이트 방법(Reverse Straight)로 구분할 수 있다.
좀 더 나아가서 모발을 앞방향 대각 위로 커트하는 포워드 다이애그널 업 방법(Foward Diagonal Up), 모발을 앞방향 대각 아래로 커트하는 포워드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Foward Diagonal Down), 모발을 두상의 뒷쪽 방향 대각 위로 커트하는 리버스 다이애그널 업 방법(Reverse Diagonal Up), 모발을 두상의 뒷쪽 방향 대각 아래로 커트하는 리버스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Reverse Diagonal Down)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방향성 커트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업 스트레이트 방법(Up Straight)은, 커트시 빗질을 두상의 파팅 선에서 직각방향의 위로하고, 커트를 하여 모발이 떨어지는 커트라인이 그린존(매끈한 부분)이 끝나는 지점의 가이드라인이 2차 가이드 라인이 되고 모발이 떨어지는 층이 있는 러프존(거친 부분)의 아웃라인이 1차 가이드 라인이 된다.
2차 가이드 라인은 처음 시작하는 빗질의 각도대로 모발이 커트 되면 일자로 형성되면서 나오고 1차 가이드 라인은 두상의 모발이 아웃라인의 페이스 형태로 커트선이 나온다.
그리고 층이 발생한 러프존(거친 부분)과 그린존(매끄러운 부분)이 만나는 지점에서 웨이트 라인(무게선)이 나온다.
아래에서 위로 빗질하여 커트시 2차 가이드 라인의 웨이트 라인(무게선)이 수평라인이 형성된다.
이때 자세는 고개를 똑바로 고정시키고 모발을 위로 똑바로 직각 분배하여 오프 베이스로 빗질하여 커트하고, 탑 부분의 처음 부분이 기준선이 되고 기준선에 맞추어서 위로 똑바로 커트하며, 처음 시작한 기준선이 2차 가이드 라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커트하면 모발은 레이어가 아주 많은 하이레이어가 형성이 되고 그린존(매끄러은 부분)보다는 층이 많은 러프존(거친 부분)이 형성이 된다.
그리고, 두상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빗질하면서 수평라인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업 스트레이트 방법(Up Straight)으로 커트하면 앞머리 부분의 모발은 층이 많고 점점 길이가 증가하는 하이 레이어의 가벼운 러프존이 많이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포워드 다이애그널 업 방법(Foward Diagonal Up)은,
두상의 앞쪽 방향 대각선 위로 빗질을 하면서 커트하면 떨어지는 커트선 앞머리 층은 러프존(거친 부분)이 형성되어 층이 많은 하이 레이어가 형성이 되고 뒷머리 부분은 층이 없는 그린존(매끄러운 부분)이 많이 형성된다.
전술한 방법은 머리숱이 많거나 가벼운 커트 선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하는 커트선으로 도면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깊은 컨벡션 라인이 형성된다.
2차 가이드 라인은 앞으로 층이 심하게 형성되고 경사도가 크게 형성되며 1차 가이드 라인은 2차 가이드 라인과 같이 층의 경사면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커트하면 러프존(거친부분)과 그린존(매끄러운부분)이 만나는 지점에서 웨이트 라인(무게선)이 형성되며 뒷부분 층이 없고, 모발의 형태가 무거우면서 매끄럽게 형성이 되고 옆에서 보는 무게선이 긴 삼각형 도형의 형태선이 연출이 된다. 즉, 두상의 모발을 빗질한 정중선 기준으로 포워드 방향 대각위로 커트가 되면서 하이레이어의 러프존이 많이 생겨서 가벼운 느낌이 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두상의 아래에서부터 후대각으로 빗질하면서 깊은 브이(V)라인이 형성된다.
도 5와 같이, 포워드 스트레이트 방법(Foward Straight)은,
두상의 앞쪽 방향으로 모발을 직각으로 분배하여 빗질한 후 커트하면 커트선 앞머리 층이 두상 곡면에 가장 넓은 지역의 크레스트에 페이스 부분의 오버존은 무거운 그레쥬에이션, 크레스트 중간 세임레이어, 크레스트 언더존은 가벼운 하이레이어 커트 디자인이 연출된다.
한편, 뒷머리는 층이 없는 그린존이 형성되고, 앞머리는 층이 많은 러프존이 형성된다.
또한, 앞머리 방향으로 층은 많지 않으나 가벼운 커트선이 형성되며 오버존은 약간 층이 많이 없고, 언더존은 층이 있어서 고객들이 원하는 무난한 헤어 스타일의 커트선이 형성되는 중간 컨벡스 라인이 이루어지며, 옆면에서 보는 무게선이 삼각형의 디자인 형태가 나온다.
즉, 두상의 모발을 빗질한 정중선 기준으로 포워드 방향 앞으로 똑바로 커트가 되면서 두상의 크레스트 기준 오버존은 두상이 들어가서 모발길이가 길게 커트가 되어 그레쥬에이션이되고, 중간 부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은 세임 레이어가 형성되며 언더존은 두상이 들어가면서 가장 길게 하이레이어 커트선이 형성된다.
이 경우, 두상의 뒤에서 앞으로 빗질이 되어 완만한 유(U)라인 형태의 용기 모양의 라인이 형성된다.
이때, 자세는 고개를 똑바로 들도록 하고 두상의 앞으로 똑바로 빗질하여 직각 분배하는 것이 좋고 버티컬로 들어 올려서 앞으로 똑바로 빗질한다.
도 6과 같이, 포워드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Foward Diagonal Down)은,
두상의 앞쪽 방향 대각 아래로 모발을 빗질 한 후, 커트하면 앞머리 층에 전체적으로 그레쥬에이션이 발생한다.
그리고, 뒷머리 층은 레이어가 거의없고 앞머리 층도 거의 없어 전체적으로 러프존(거친 부분)보다 그린존(매끄러운 부분)이 많이 생겨서 무게감이 느껴지도록 커트된다. 즉, 두상의 모발을 빗질한 정중선 기준으로 포워드 방향 대각 아래로 커트가 되면서 그레쥬에이션의 그린존이 많이 생겨서 무거운 느낌이 연출된다.
커트선으로 인한 모발층이 적게 생기므로 층을 원하지 않는 고객들을 위한 헤어 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완만한 컨벡스 라인이 형성된다.
2차 가이드 라인은 앞으로 완만한 층이 있어서 가벼움이 연출되며 러프존과 그린존의 경계선에 많은 무게감이 연출된다.
상기 러프존과 그린존의 경계선에서 만나는 지점이 무게선이 형성되며 뒷부분 층이 없고 무거워져서 그린존이 연출된다.
그리고, 두상의 위에서부터 후대각 아래 방향으로 빗질하면서 얕은 접시모양의 유(U)라인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층이 많이 없는 무거운 커트 형태의 디자인이 연출된다.
도 7과 같이, 다운 스트레이트 방법(Down Straight)은,
두상의 아래 방향으로 똑바로 빗질 한 후 커트하는 방법으로 떨어지는 커트선 층이 생기지 않는 원랭스가 형성된다.
커트시 모든 커트선이 일자로 무게감이 많이 형성되고 수평 라인이 함께 형성된다.
이때, 상기 1차 가이드 라인과 2차 가이드 라인과 동일한 지점에 웨이트 라인이 형성되고 모발이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형성이 되어 무거운 느낌의 헤어 연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트시에는 원랭스 라인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린존이 형성되고 러프존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두상을 전체적으로 자연 분배되도록 빗질하여 두상에서 모발이 난 부분에 가장 아래부분을 일자로 하나의 기준선을 잡아 기준선에 맞춰서 커트를 한다.
이렇게 커트함으로써 층이 없는 원랭스로 무게감이 매우 많이 생기도록 할 수 있고, 러프존은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는 빗질 시 고개를 똑바로 들고 아래 방향으로 똑바로 자연분배 빗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도의 각도로 손가락 평형의 수평으로 빗질한다.
그리고, 두상의 위에서부터 수직한 아래 방향으로 빗질하면서 수평라인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8과 같이, 리버스 다이애그널 업 방법(Reverse Diagonal Up)은,
두상의 뒷쪽 머리 위 대각 방향으로 빗질한 후 커트하는 방법으로 커트를 하면 떨어지는 커트선이 뒷머리는 층이 많은 러프존이 존재하고 앞머리는 층이 없는 그린존이 존재하게 된다.
즉, 뒷머리에는 층이 많이 형성되고 앞머리에는 층이 거의 없이 형성되며 무게감은 앞쪽으로 형성되는 깊은 러프존이 형성되며, 옆면에서 보는 무게선의 삼각형의 형상이 그린존이 되고, 뒷머리에서는 러프존의 삼각 도형의 컨케이브 라인의 레이어가 형성이 된다.
2차 가이드 라인은 앞으로 층이 없고 뒤로 층이 많이 발생하여 뒷머리의 머리숱이 많은 사람인 경우, 모발을 가벼운 느낌으로 연출할 때 사용하는 커트방법이다.
1차 가이드 라인은 목선의 가이드 라인대로 형태선이 형성되고 러프존과 그린존이 만나는 지점에서 웨이트 라인이 발생된다.
한편, 앞부분의 모발층이 없어서 무거우며 그린존이 형성되고 뒷부분 층은 많고 가볍게 형성된다.
즉 두상의 모발을 빗질하여 정중선 기준으로 리버즈 방향 대각위로 커트가 되면서 하이레이어 러프존이 많이 생겨서 가벼움의 느낌이 연출된다.
그리고 그린존의 매끄러운 부분 전대각 형태의 헤어 디자인이 연출이되고 무게선이 아래로 역브이(V)자 라인의 깊은 컨케이브가 형성된다.
도 9와 같이, 리버스 스트레이트 방법(Reverse Straight)은,
두상의 뒷쪽 방향 직각으로 빗질한 후 커트하는 방법으로 떨어지는 커트선의 앞머리 층이 발생하지 않는다.
두상의 뒷머리 크레스트는 오버존(높은부분)과 언더존(낮은부분)으로 구분되는바, 상기 오버존은 층이 많이 형성되지 않는 그레쥬에이션이 발생되고, 언더존의 아래 부분에 층이 많이 형성되는 하이레이어가 발생되며 두상에 가장 튀어나온 부분은 세임레이어가 형성이 된다.
오버존은 볼륨감이 형성이 되고 언더존은 가벼움이 형성되어 러프존이 삼각형태인 중간 컨케이브가 형성된다.
2차 가이드 라인은 앞으로 층이 없고 뒤로 층이 많이 발생한 그린존의 경계선이 되고, 1차 가이드 라인은 목선의 아웃 가이드 라인 대로 형태선이 형성된다.
상기 그린존(매끄러운 부분)과 러프존(거친 부분)이 만나는 지점에 웨이트 라인(무게선)이 형성되고 앞부분은 층이 없고 무거워서 그린존이 많이 형성되고 뒷부분은 층이 많고 가벼워서 러프존이 많이 형성된다.
즉, 두상의 모발을 빗질한 정중선 기준선 리버즈 방향 뒤로 똑바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두상의 크레스트에서 90도 각도로 커트가 되면서 크레스트 오버존에서는 볼륨감이 생기고 언더존에서는 러프존이 생겨서 가벼움의 느낌이 연출된다.
한편, 두상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은 세임레이어로 하고 오버존은 점점 모발이 길어지면서 그레쥬에이션의 무게감이 형성되고 언더존은 하이레이어로 형성되어 가벼움이 연출된다.
두상의 앞에서 모발을 빗질하여 중간 컨케이브를 형성하고 이때 자세는 고개를 똑바로 하고 뒤로 똑바로 직각 분배되도록 하고 모발을 들어올리는 각도는 버티컬로 선택하고 빗질은 정중선 기준 리버즈 방향 온, 사이드, 오프 베이스로 진행한다.
그리고 두상의 뒷머리에서 보는 떨어지는 무게선은 아래방향 용기 모양의 컨케이브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10과 같이, 리버스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Reverse Diagonal Down)은,
두상의 정중선 기준 좌우 뒷쪽 대각방향 아래로 빗질한 후 커트하는 방법으로 앞머리 부분에 커트시 떨어지는 앞머리 층이 발생하지 않는다.
뒷머리 부분에는 아주 낮은 층이 발생하고 앞머리 층도 거의 없어서 모발의 전체적인 무게감이 형성된다.
두상의 헤어 구조상 사이드는 모발이 적고 뒷머리는 모발이 많아 많은 볼륨감이 형성이 되어 정중선 기준 대각 아래로 커트시 완만한 컨케이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사이드의 층이 없는 무게감과 뒷머리의 약간의 층이 있는 조금 가벼운 무게감이 조화를 잘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2차 가이드 라인은 앞으로 층이 없고 뒤로 층이 완만하게 형성되고 1차 가이드 라인은 목선의 아웃 가이드 라인대로 형태선이 형성된다.
이때, 웨이트 라인(무게선)은 러프존과 그린존의 경계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고 앞부분 층이 없고 무거우므로 모발은 전체적으로 층의 백에서만 있는 그린존이 많이 형성되어 모발의 커트시 전체적으로 층이 없는 매끄러운 모발이 많이 연출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은 가이드 라인을 선정해야 하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상의 뒷머리를 좌우로 분리하도록 상하로 이어지는 정중앙선을 연결하여 정중선을 형성한다.
상기 정중선은 기본선으로 긴머리부터 단발까지 사용하는 두상에서 가장 중앙선의 기준선이 된다.
상기와 같이 정중선을 기준으로 포워드 방향으로 빗질 후, 모발을 커트하면 뒷머리의 무게선은 컨벡스 라인이 형성되고, 정중선을 기준으로 리버스 방향으로 빗질 후 커트하면 뒷머리의 무게선은 컨케이브 라인이 형성된다.
즉, 두상의 위에서부터 후대각 아래 방향으로 빗질하면서 얕은 접시 모양의 라인이 형성되도록 한다.
좀 더 상술하여 보면,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포워드 방향으로 커트하는 경우, 떨어지는 가이드 선이 포워드 방향으로 되도록 빗질을 하면 컨벡스 라인이 형성되고, 리버스 방향으로 빗질하면서 커트하면 컨케이브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발이 앞이 짧고 뒤가 긴 경우에는 급격한 컨벡스 라인이 형성되고, 앞과 뒤가 비슷하면 완만한 컨벡스 라인이나 수평이 형성된다.
또한, 정중선 기준으로 전체 온베이스는 2차 무게선 수평라인이 형성되고, 포워드 사이드 베이스는 적당한 컨벡스 라인이 형성되며, 오프 베이스는 급격한 컨벡스 라인이 형성이 된다.
상기 정중선은 두상의 후부 센터선이 되는 가이드 라인으로서 얼굴방향으로 빗질하여 커트하는 경우 포워드 방향이라고 하고 얼굴 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빗질하여 커트하는 경우 리버스 방향으로 칭한다.
상기 정중선의 포워드 방향의 커트시 1,2차 가이드 라인은 얼굴방향으로 빗질을 함으로써 뒷머리의 모발 길이는 길어지고 얼굴쪽으로 가면서 앞머리의 모발길이가 짧아지는 컨벡스 라인이 형성되고 2차 가이드 라인은 정중선을 기준으로 다이애그널 다운, 포워드 스트레이트, 다이애그널 업으로 커트할수록 층이 많이 발생하고 가볍게 연출되며 같은 방법으로 정중선을 기준으로 얼굴 쪽으로 사이드 베이스, 오프 베이스로 빗질을 하면 컨벡스 라인이 다양하게 형성된다.
상기 정중선의 리버스 방향의 커트시 1차 가이드 라인은 얼굴 반대방향으로 빗질을 함으로써 뒷머리의 모발 길이는 짧아지고 얼굴 쪽으로 가면서 모발 길이가 길어지는 컨케이브 라인인 형성되고 2차 가이드 라인은 정중선을 기준으로 다이애그널 다운, 리버스 스트레이트, 다이애그널 업으로 할수록 층이 많이 발생하고 가볍게 연출되며 같은 방법으로 정중선을 기준으로 얼굴 반대쪽으로 사이드 베이스, 오프 베이스로 빗질을 하면 컨케이브 라인이 다양하게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 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8방향으로 도시한 도해도로서, 두상에 따른 헤어의 기본 도형을 정육면체 사각형으로 보고 각각의 방향을 8방향으로 설정한 후 빗질하면서 커트를 하는 각진 부분을 커트하면서 둥근 형태로 형성하여 커트 후 모발이 떨어지는 선이 부드럽게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상태를 이해시키기 위한 8방향을 보여주는 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2섹션존으로 구분하였을 때 스퀘어 파트존과 리어 피봇 파트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를 하기 위해 두상을 2섹션존으로 구분하였을 때 원포인트 피봇 파트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두상의 상부에 수직으로 하향하는 다수 개의 다중 포인트가 설정되어 스퀘어 파트존이 형성되고, 두상의 탑 중앙에는 하나의 포인트가 설정되어 피봇 파트존이 형성된다.
상기 다중 포인트로 이루어진 스퀘어 파트존은 2차 가이드 라인의 웨이트 라인(무게선) 부분이 온 베이스 수평라인이 형성이 되고, 포워드 사이드 오프 베이스 커트시 후대각 무게선이 형성되고, 리버즈 사이드 오프 베이스 커트시에는 전대각 무게선이 형성된다.
상기 피봇 파트존은 두상의 귀로부터 수직 상부에 가장 튀어나온 하나의 탑포인트를 정하고, 그 탑 포인트 지점 정중선을 선정하여 온 베이스 커트시 수평의 무게선이 형성이 되고 포워드 사이드 오프베이스 커트시 컨벡스 라인 형성이 되고, 리버즈 사이드 오프 베이스 커트시에는 컨케이브 라인 형성이 된다.
피봇 파트존은 백의 두상이 둥근 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어서 사각의 다중 포인트 보다는 원포인트 피봇파트로 빗질 커트시 용이한 커트형태를 연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은 두상 전체를 탑 포인트를 기준으로 원포인트 방사형상으로 빗질한 후, 커트하는 방법으로서 온 베이스 피봇 파팅이 이루어지고, 낮은 각도로 커트시 전체 웨이트 라인(무게선)이 발생하는 그린존의 형태가 많이 발생하고, 높은 각도로 커트시 러프존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섹션존을 이용한 커트시에는 그레쥬에이션, 세임 레이어, 하이 레이어의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재질 및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두상
100 : 정중선 102 : 1차 가이드 라인
104 : 2차 가이드 라인

Claims (5)

  1.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는 모발의 형태선에 따라 1,2차 가이드 라인의 그린존과 러프존의 레이어 형태 디자인으로 구분하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 디자인했는지 커트방향을 분석하고, 두상의 무게선의 형태 디자인을 삼각형, 사각형, 라운드형의 도형을 보고 어느 방향으로 커트를 진행하였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두상을 8가지 방향의 방향성으로 형태를 잡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선택하되 포지션의 빗질에 따라 각각의 방향으로 커트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상의 프론트, 탑, 후두부 가운데를 수직하게 나누어서 정중선의 형태선을 잡고,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분류한 후, 포워드 방향 또는 리버스 방향으로 빗질하면서 컨벡스 라인과 컨케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8가지 방향성은,
    두상의 위로 모발을 올려서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업 스트레이트 방법(Up Straight), 두상의 앞으로 모발을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포워드 스트레이트 방법(Foward Straight), 두상의 아래로 모발을 빗질하면서 내려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다운 스트레이트 방법(Down Straight), 모발을 두상의 뒤로 빗질하면서 똑바로 진행하도록 커트하는 리버스 스트레이트 방법(Reverse Straight)으로 구분하여 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8가지 방향성은,
    두상의 모발을 앞방향 대각 위로 커트하는 포워드 다이애그널 업 방법(Foward Diagonal Up), 모발을 앞방향 대각 아래로 커트하는 포워드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Foward Diagonal Down), 모발을 두상의 뒷쪽 방향 대각 위로 커트하는 리버스 다이애그널 업 방법(Reverse Diagonal Up), 모발을 두상의 뒷쪽 방향 대각 아래로 커트하는 리버스 다이애그널 다운 방법(Reverse Diagonal Down)으로 구분하여 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8가지 방향성에 두상의 가장 높은 지점을 탑 포인트를 선정하고, 탑 포인트 앞머리는 다수의 포인트를 갖는 다중 포인트로 형성하여 스퀘어 파트존을 형성하며, 상기 탑 포인트를 기준으로 방사상의 형태를 갖는 피봇 파트존으로 하는 2가지 섹션존을 구비하되, 상기 탑 포인트를 기준으로 뒷머리가 방사상의 형태를 갖는 리어 피봇 파트존; 및 탑 포인트를 기준으로 두상 전체를 원포인트 방사형으로 나누는 원포인트 피봇 파트존으로 이루어져서 8가지 방향성과 2가지의 섹션존을 조합하여 디자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KR1020180084358A 2018-07-19 2018-07-19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KR20200009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58A KR20200009688A (ko) 2018-07-19 2018-07-19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58A KR20200009688A (ko) 2018-07-19 2018-07-19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88A true KR20200009688A (ko) 2020-01-30

Family

ID=6932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358A KR20200009688A (ko) 2018-07-19 2018-07-19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68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90B1 (ko) 2016-11-22 2017-06-07 장만국 헤어 커트 방법
KR101796585B1 (ko) 2017-09-25 2017-11-10 민준홍 헤어 커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90B1 (ko) 2016-11-22 2017-06-07 장만국 헤어 커트 방법
KR101796585B1 (ko) 2017-09-25 2017-11-10 민준홍 헤어 커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763B1 (ko)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컷트 방법.
US20070269772A1 (en) Mannequin head used for hairdressing training and hairdressing techniques training method
KR101310617B1 (ko) 섹션존을 이용한 헤어커트 방법
US5832937A (en) Haircut method
CA1201034A (en) "cut and style"-device for fashion haircutting- hairshaping and hairstyling
KR101500279B1 (ko) 솔리드, 그레쥬에이션, 및 레이어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478489B1 (ko) 좌우 비대칭 헤어 커트 및 컬러 염색 방법
KR20200009688A (ko)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KR101500281B1 (ko) 그레쥬에이션과 레이어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20230134082A (ko)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CA2499652A1 (en) Hair styling tool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500280B1 (ko) 헤어 커트 방법
JP6212226B1 (ja) ウィッグの製造方法、ウィッグの販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54554B1 (ko)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754553B1 (ko) 헤어 커트 방법
KR101754552B1 (ko) C 커브 형태의 커트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2154430B1 (ko) 방향성을 이용한 탑두상 및 백두상 헤어커트방법
KR20230134084A (ko) 모발의 위험지역 헤어커트방법
US20200205542A1 (en) Method of dyeing hair (variants)
JP2018033896A (ja) ヘアカット方法、及び、捻り付曲がり鋏
KR102283807B1 (ko)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JP7079992B1 (ja) ヘアカット方法
JP2021037083A (ja) カット手法を分析する方法
US11944145B1 (en) Wig capable of forming volume with wig ya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489801B1 (ko) 헤어 커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