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554B1 -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 Google Patents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554B1
KR101754554B1 KR1020170014991A KR20170014991A KR101754554B1 KR 101754554 B1 KR101754554 B1 KR 101754554B1 KR 1020170014991 A KR1020170014991 A KR 1020170014991A KR 20170014991 A KR20170014991 A KR 20170014991A KR 101754554 B1 KR101754554 B1 KR 10175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ide portion
guide section
guid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김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기 filed Critical 김승기
Priority to KR102017001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헤어 커트 방법은, 중심선이 두상의 정중선을 지나며 소정 폭을 갖는 가이드 섹션에 의해, 두상을 좌측 사이드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으로 나누는 과정, 좌측 사이드 부분을 좌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소정 개의 파트로 나누는 과정, 우측 사이드 부분을 우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소정 개의 파트로 나누는 과정, 가이드 섹션을 두상각 90도로 블런트 커트하는 과정, 좌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가이드 섹션의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하는 과정, 및 우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가이드 섹션의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Hair cutting method using T-line}
본 발명은 헤어 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선이 정중선을 지나는 소정 폭의 가이드 섹션을 가이드로 이용하여 동일한 헤어스타일을 반복하여 연출할 수 있는 헤어 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어스타일은 신체를 장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얼굴의 형태나 유형에 따라 여러 가지 스타일로 변화될 수도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민족과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면서 변화와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헤어스타일은 인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기능 외에도, 개성화와 유행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헤어스타일이 창조되어 시대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이미지 역활도 하며, 사회적 경제적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헤어스타일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헤어 처리 기술을 살펴보면, 일본 실개소 60-64722호 공보, 실개평 5-91519호 공보에는 헤어 처리시 고객이 희망하는 헤어 디자인의 모델 시트를 거울에 붙이고 미용사의 어드바이스를 받으면서 고객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두상 형태가 서로 다른 고객에 대해 원하는 대로 헤어스타일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헤어스타일의 재현은 더욱 어렵다.
또한, 일본 특개평 9-98834호 공보와 특개소 10-14655호 공보에는 고객이 희망하는 헤어 디자인으로의 디자인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헤어스타일 모델과 대조 비교하면서 텔레비젼 모니터나 컴퓨터에 비친 고객의 헤어스타일의 예측 패턴을 이용하여 고객의 기호에 맞는 헤어스타일을 설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화면에 비친 입체적인 시각 정보를 현실적으로 헤어 처리에 응용할 때, 반드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843763호(발명의 명칭: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컷트 방법)에는 두상의 곡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도해도를 형성하는 단계와 각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해당하는 모발을 영역의 중앙의 두상곡면에 대한 법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시술각을 형성하는 단계와 법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영역의 모발을 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 커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은 한 번 스타일링 처리한 후 그 다음에 헤어 처리할 때, 지난번과 동일한 헤어스타일로 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동일한 헤어디자이너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다른 헤어디자이너가 재현할 경우 경험과 기량차이에 따라 동일한 스타일의 구현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다시 구현하거나 우수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미용에 대한 많은 노력과 시간, 경험 등을 투자해야만 했다. 즉, 개인적 기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실력 있는 헤어디자이너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종래 기술은 헤어스타일에 따른 시술각과 커트 각도만 기재되어 있을 뿐 세부적인 커트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아 숙련자가 아니면 동일한 헤어스타일을 반복하여 연출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시술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에 대하여 숙련자가 아닌 경우에도 동일한 헤어스타일을 반복하여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헤어 커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은, 중심선이 두상의 정중선을 지나며 소정 폭을 갖는 가이드 섹션에 의해, 두상을 좌측 사이드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좌측 사이드 부분을 좌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소정 개의 파트로 나누는 단계, 상기 우측 사이드 부분을 우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소정 개의 파트로 나누는 단계, 상기 가이드 섹션을 두상각 90도로 블런트 커트하는 단계, 상기 좌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섹션의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섹션의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섹션의 폭은 1cm 내지 4cm 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섹션의 커트 길이는 7cm 내지 25c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사이드 및 상기 우측 사이드는, 3개 내지 7개의 파트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어 커트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가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선이 정중선을 지나는 소정 폭의 가이트 섹션과, 가이드 섹션을 가이드로 좌측 사이드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차례대로 커트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으며, 시술자의 숙련 정도에 무관하게 피시술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커트 방법을 통해 두상의 곡면이 각기 다른 고객의 두상에 쉽게 층을 연출하여 두상의 형태선을 고려하지 않고도 고객에게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을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 의한 헤어스타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이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골덴 포인트(Golden Point, G.P)
턱부터 귀 위를 지나는 연장선과 정중선이 만나는 점을 의미한다.
● 인테리어
지평선 방향으로 지름이 상대적으로 가장 길게 두상을 2등분하고, 2등분한 두상의 상단부를 의미한다.
● 엑스테리어
지평선 방향으로 지름이 상대적으로 가장 길게 두상을 2등분하고, 2등분한 두상의 하단부를 의미한다.
● 백 포인트(Back Point, B.P)
귀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두상의 곡면과 만나는 지점을 의미한다.
● 이어 포인트(Ear Point, E.P)
귀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발경계선 지점을 의미한다.
● 탑 포인트(Top Point, T.P)
두상에서 최고 높은 지점을 의미한다.
●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C.P)
두상의 전단 부분의 중앙 지점을 의미한다.
● 프런트 사이드 포인트(Front Side Point, F.S,P)
이마 양쪽 끝부분을 의미한다.
● 사이드 포인트(Side Point, S.P)
프런트 사이드 포인트를 지나 다시 한번 튀어나온 부분을 의미한다.
●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
귀 앞부분에 모발이 자란 최저점을 의미한다.
●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E.B.P)
귀 뒤 부분으로 지평선 방향으로 모발이 자란 지점을 의미한다.
● 네이트 포인트(Nape Point, N.P)
목덜미에서 모발의 형성이 끝나는 지점을 의미한다.
●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ape Side Point, N.S.P)
목덜미에서 모발이 난 곳의 끝나는 오른쪽와 왼쪽의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한다.
● 햄 라인(Hem Line)
두상 전체에서 모발이 자라기 시작하는 라인을 의미한다.
● 디렉션(Direction)
머릿결이나 머릿단의 방향을 의미한다.
● 가이드 섹션(Guide Section)
커트할 때 가이드가 되는 섹션으로 제일 먼저 커트를 하는 섹션을 의미한다.
● 패널(panel)
패널은 커트를 하기 위하여 손으로 끝어낸 머릿단을 말한다. 즉, 머릿단을 얇게 잡아낸 것이 널판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시술각은 모발을 컷팅하기 위해 두상에서 모발을 들어올리는 각도를 말하는데, 시술각은 헤어스타일의 볼륨감이나 입체감, 무게감, 헤어 디자인에서 중요한 포인트를 결정한다. 시술각의 종류는 자연 시술각과 일반 시술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 시술각이란 두상의 중심을 관통하는 임의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축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각도를 말하고, 일반 시술각이란 두상 곡면상의 일 지점의 접선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각도를 말한다.
솔리드(Solid form) 또는 원랭스(One length)는 두발이 층을 이루지 않고 동일 선상에서 커트된 것으로, 각진 형태선의 가장자리에 무게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레쥬에이션(Graduation form)은 극히 작은 단차를 주면서 머리끝을 연결해 가는 것으로, 네이프에서 탑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길어져 모발이 서로 겹쳐 쌓이는 것처럼 보인다. 하이그레쥬에이션은 6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으로 그레쥬에이션 하는 것을 의미하고, 미디움은 30도보다 크고 60도보다 작은 각, 그리고 로우는 0도보다 크고 30도보다 작은 각으로 그레쥬에이션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크리스 레이어(Increase-layerd form)는 머리카락 길이가 외곽으로 점점 길어지는 형태로 생동감과 볼륨감을 주고, 두상 곡면은 모발이 분산되어 퍼지는 방향에 영향을 끼치며, 네이프 포인트의 머리카락 길이가 탑 포인트로 진행되면서 짧아지고 무게감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유니폼 레이어(Uniformly layed form)는 전체적으로 머리카락의 길이가 같아서 무게 선이 보이지 않고 두상 곡면과 평행을 이룬 둥근 모양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커트는 섹셔닝 단계, 파팅 단계, 분배 단계, 모발 각도 설정 단계, 고정 디자인 라인 또는 이동 디자인 라인에 의한 컷팅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섹셔닝 단계는 커트하기 쉽도록 두상을 몇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것으로, 1등분, 2등분, 멀티 섹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파팅 단계는 커트 작업시 모발을 분배하고 조절하기 쉽게 섹션을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누는 것으로, 커트의 형태선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크게 직선형의 수평 파팅과 수직 파팅 및 대각 파팅, 곡선형의 컨백스 파팅과 컨케이브 파팅이 있다.
분배 단계는 두상이나 파팅에 대한 빗질의 방향을 의미하고, 자연분배, 직각분배, 변이분배, 방향분배 등으로 나뉜다. 분배의 방법을 세분하여 보면, 파팅에 대해 모발이 중력 방향으로 빗겨지는 자연분배, 파팅에 대해 모발이 직각으로 빗겨지는 직각분배, 파팅에 대해 모발이 임의의 방향으로 빗겨지고 자연분배나 직각분배가 되지 않는 변이분배, 특정방향을 정해두고 모발을 나란히 빗기는 것으로 두상의 곡면에 의한 형태가 만들어지는 방향분배가 있다.
모발 각도 설정 단계는 커트하는 동안 두상의 곡면으로부터 모발이 들어 올려지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파팅된 구역의 모발을 한 손으로 잡고 일정 각도로 들어올려 일정한 힘으로 설정된 각도 방향으로 당기는 단계이다.
고정 디자인 라인 또는 이동 디자인 라인에 의한 컷팅 단계는 머리 모양 패턴이나 길이의 가이드로서 고정 디자인 라인 또는 이동 디자인 라인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커트를 행하는 단계이다. 고정 디자인 라인을 이용하는 커트는 가이드가 이동하지 않고, 가이드 라인의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한다. 이동 디자인 라인을 이용하는 커트는 다음 단계로 진행될 때 이동되는 가이드 라인으로, 이전에 커트한 모발의 일부를 다음 커트할 부분의 길이 가이드로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중심선이 정중선을 지나는 폭 1cm 내지 4cm의 전체 가이드가 될 가이드 섹션을 나누고, 가이드 섹션에 의해 두상을 좌측 사이드(side)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으로 나눈다(S100). 여기서, 정중선은 센터 포인트(C.P)에서 네이프 포인트(N.P)를 연결한 두상의 정중앙을 가르는 선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좌측 사이드 부분을 좌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3개 내지 7개의 파트로 나눈다(S110).
우측 사이드 부분도 좌측 사이드 부분에 대응하도록, 우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3개 내지 7개의 파트로 나눈다(S120). 즉, 좌측 사이드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은 동일한 개수의 파트로 나눈다.
다음으로 가이드 섹션을 두상각(일반 시술각) 90도로 블런트 커트(blunt cut) 한다(S130). 가이드 섹션의 커트 길이는 7cm 내지 25cm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섹션은 우측 사이드 부분 및 좌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파트로 나누어 커트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블런트 커트는, 가위로 단번에 뭉뚝하게 직선적으로 자르는 커트 방법을 말한다. 블런트 커트에서는, 모발의 끝을 무겁게 하기 위해 모든 패널을 직선으로 커트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좌측 사이드 부분의 3개 내지 7개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가이드 섹션의 커트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한다(S140).
그리고, 우측 사이드 부분의 3개 내지 7개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가이드 섹션의 커트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한다(S150).
좌우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커트하는 경우, 각 파트의 패널을 위로 끌어올려, 패널을 잡은 손과 패널이 마치 영문자 T자와 같은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헤어 커트가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의 (a), (b)에서, 도면 부호 200으로 나타낸 부분이 중심선이 정중선을 지나는 폭 1cm 내지 4cm의 가이드 섹션을 나타내고, 이 가이드 섹션(200)에 의해 두상을 좌측 사이드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203, 205)로 나누고, 가이드 섹션(200)을 두상각 90도 블런트 커트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중심선이 정준선을 지나는 소정 폭의 가이드 섹션이 나누어진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가이드 섹션을 두상각 90도로 당겨서 블런트 커트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가이드 섹션의 커트 길이를 가이드로 하여 좌측 사이드 부분의 패널을 끌어올려 커트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 의한 헤어스타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7은 정면, 도 8은 후면, 도 9는 좌측면에서 보여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에 의해 커트한 헤어스타일은, 중심선이 정중선을 지나는 소정 폭의 가이드 섹션에 의해, 두상을 좌측 사이드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으로 나누고, 좌우측 사이드 부분을 이어 포인트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3개 내지 7개의 파트로 나눈 후, 가이드 섹션을 두상각 90도로 블런트 커트하고, 좌우측 사이드 부분에서 각 파트의 패널을 위로 끌어올려 가이드 섹션의 두상각 90도 커트 길이에 맞춰 순차적으로 커트한 형태이다.
한편, 모발의 컬러(염색)에 의해 모발 컬러 디자인을 달리할 수는 방안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모발의 컬러(염색)에 의해 모발 컬러 디자인을 달리하는 방안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모발 컬러 디자인은 반복(repetition), 대조(contrast), 진행(progress), 교대(alternation), 및 조화(harmony)로 구분할 수 있다. 반복은 모발에서 빛의 반사효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모발 전체 또는 일부에 한 가지 컬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조는 서로 반대되는 요소의 관계로 어두운 색조는 명도와 입체감을 주며, 밝은 색조는 돌출되어 보인다. 진행은 입체적인 효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3가지 이상을 컬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교대는 한가지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반복해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화는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이 자연 모발색과 섞여 자연스러운 빛의 반사를 만들어 낸다.
컬러 디자인은 헤어 커트에 따라 상이한 컬러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솔리드형과 그레쥬에이션의 커트는 엑스테리어의 짧은 머리가 인테리어로 가면서 점점 길어지는 형태이며, 인테리어의 겉모습의 매끈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빛이 머리의 가장 바깥부분에서 반사될 때 반사되는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이 경우 모발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칼라를 가질 경우 패턴과 질감이 만들어 진다.
레이어형의 헤어스타일은 액티메이티드한 것이 특징이다. 모발의 길이가 인테리어에서 엑스테리어로 갈수록 길어지는 인크리스 레이어형과 전체적으로 모발 길이가 일정한 유니폼 레이어형의 머리는 다양한 칼러가 보여질 때 질감의 강도가 강화된다.
컬러디자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섹션 나누기와 파팅 패턴을 이용하여 칼라 도포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두운 색은 후퇴되어 보이면서 명도를 더해주는 반면 밝은 색은 돌출되어 보이며, 밝은 느낌을 더해준다.
얼굴둘레의 윤곽을 살려주기 위해 앞머리 헤어라인을 어둡게 처리하면 대조적인 컬러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겉머리 안쪽에 밝은 계열의 컬러를 교대로 도포하면 밝은색 모발이 배열되어 보이는 결과를 낳는다.
반복은 두상전체에 한가지 컬러만 사용한다. 이에 비해 조화 혹은 대조는 두상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며, 각 부분별로 패턴을 만든다. 두상을 두 부분으로 나누면 쉽게 조화 혹은 대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한 부분은 하나의 컬러를 도포(염색)하고,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둘 수 있고, 두 부분 모두 컬러를 이용해 모발에 컬러링을 할 수 있다.
진행은 두상을 3부분의 구역 패턴으로 분할하며, 3부분 모두 컬러를 도포할 수 있고, 두 부분에는 컬러를 도포하고, 나머지 한 부분은 그대로 둘 수 있다. 컬러는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으로, 어두운 색에서 밝은 색으로 도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두상을 부분별로 나누는 것과 달리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모양을 이용하여 컬러 디자인이나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모양의 크기나 위치는 디자인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발 염색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좌측 사이트를 파트한 후 골든 포인트(G.P)가 좌우 중심이 되도록 하트 모양의 블록을 나눈 후 2등분 하고, 좌측 1번 섹션은 9레벨의 컬러를 도포하고, 2번 섹션은 12레벨의 칼라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컬러의 도포 방법은 디자인 법칙 중 반복 법칙을 적용하여 9 레벨의 컬러와 12레벨의 컬러를 번갈아가며 교대로 염색할 수 있다. 우측의 하트는 좌측의 하트와 반대로 12 레벨의 컬러와 9 레벨의 컬러를 번갈아 가며 교대로 염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컬러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9 레벨의 컬러를 갖는 염모제와 12레벨의 컬러 갖는 염모제를 동일 비율로 사용한다. 염모제의 도포 슬라이스를 1cm 간격으로 나눈 후 좌측은 1번 섹션에 9레벨의 염모제를 도포하며, 2번 섹션에는 12레벨의 염모제를 도포한 후 자연방치하고, 이후 35분이 경과된다. 모발을 세척한다. 전두부의 하트 모양의 염색 기법은 좌측 파트 할 경우 2가지의 염색 컬러와 바탕색이 어우러져 3D 입체칼라로 연출되며, 오른쪽으로 파트 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차분하고 낮은 레벨의 칼라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어 다양하게 헤어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컬러 염색 방법을 전술한 헤어 커트 방법과 함께 적용하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헤어 커트 방법 또는 컬러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가발을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4)

  1. 중심선이 두상의 정중선을 지나며 소정 폭을 갖는 가이드 섹션에 의해, 두상을 좌측 사이드 부분과 우측 사이드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좌측 사이드 부분을 좌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한 크기의 영역으로 분배하여, 3개 내지 7개의 파트로 나누는 단계;
    상기 우측 사이드 부분을 상기 좌측 사이드 부분에 대응하도록 우측 이어 포인트(E.P)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균등한 크기의 영역으로 분배하여, 상기 좌측 사이드 부분과 동일한 개수의 파트로 나누는 단계;
    상기 가이드 섹션을 두상각 90도로 블런트 커트하는 단계;
    상기 좌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섹션의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사이드 부분의 파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섹션의 길이를 가이드로 블런트 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 커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섹션의 폭은 1cm 내지 4cm이고,
    상기 가이드 섹션의 커트 길이는 7cm 내지 2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커트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헤어 커트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가발.
KR1020170014991A 2017-02-02 2017-02-02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754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91A KR101754554B1 (ko) 2017-02-02 2017-02-02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91A KR101754554B1 (ko) 2017-02-02 2017-02-02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554B1 true KR101754554B1 (ko) 2017-07-06

Family

ID=5935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991A KR101754554B1 (ko) 2017-02-02 2017-02-02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62A (ko) * 2021-02-16 2022-08-23 이종화 헤어 커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98B1 (ko) 2000-01-07 2005-09-14 파일드 가부시키가이샤 헤어 스타일링 방법
KR101279288B1 (ko) 2012-08-02 2013-06-26 서순애 모류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478489B1 (ko) * 2014-08-30 2015-01-08 이영주 좌우 비대칭 헤어 커트 및 컬러 염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98B1 (ko) 2000-01-07 2005-09-14 파일드 가부시키가이샤 헤어 스타일링 방법
KR101279288B1 (ko) 2012-08-02 2013-06-26 서순애 모류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478489B1 (ko) * 2014-08-30 2015-01-08 이영주 좌우 비대칭 헤어 커트 및 컬러 염색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커트 도해도 헤어스타일 베이스, [online], (2014.02.2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62A (ko) * 2021-02-16 2022-08-23 이종화 헤어 커트 방법
KR102489801B1 (ko) * 2021-02-16 2023-01-17 이종화 헤어 커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763B1 (ko)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컷트 방법.
KR101500279B1 (ko) 솔리드, 그레쥬에이션, 및 레이어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478489B1 (ko) 좌우 비대칭 헤어 커트 및 컬러 염색 방법
KR20070091042A (ko)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JP3633723B2 (ja) ヘヤカット法
US20070269772A1 (en) Mannequin head used for hairdressing training and hairdressing techniques training method
KR20130100420A (ko) 섹션존을 이용한 헤어커트 방법
KR101754554B1 (ko)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500281B1 (ko) 그레쥬에이션과 레이어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697959B1 (ko)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KR101500280B1 (ko) 헤어 커트 방법
KR101754553B1 (ko) 헤어 커트 방법
JP2001190328A (ja) ヘア−スタイリング方法
CN114971967A (zh) 用于理发的支持辅助系统和支持辅助的方法
KR101775289B1 (ko) 투블록 헤어 커트 염색 방법
KR20180080751A (ko)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RU2697497C1 (ru) Способ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варианты)
KR20180089266A (ko) 헤어 커트 방법
KR101754552B1 (ko) C 커브 형태의 커트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478490B1 (ko) 비대칭 콤비네이션 헤어 커트 및 펌 방법
US20230284762A1 (en) Hair coloring method
KR102489801B1 (ko) 헤어 커트 방법
KR20180088765A (ko) C 커브 형태의 커트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20210020345A (ko) 도해도를 이용한 헤어 커팅 방법
KR102283807B1 (ko)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