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807B1 -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 Google Patents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807B1
KR102283807B1 KR1020190131154A KR20190131154A KR102283807B1 KR 102283807 B1 KR102283807 B1 KR 102283807B1 KR 1020190131154 A KR1020190131154 A KR 1020190131154A KR 20190131154 A KR20190131154 A KR 20190131154A KR 102283807 B1 KR102283807 B1 KR 10228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head
cut
volum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492A (ko
Inventor
정웅경
Original Assignee
정웅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웅경 filed Critical 정웅경
Priority to KR102019013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8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2007/007Processes of trimming or cutt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 두상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한국인의 두상의 특성을 파악하여 복수 개의 두상 포인트와 복수 개의 볼륨존을 설정하고, 설정된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에 따라 헤어 볼륨을 위한 다양한 헤어 스타일의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된 헤어 스타일의 커트 도해도에 따라 헤어를 커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국인의 두상의 특성에 적합한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헤어 커트를 하도록 함으로써, 서구인에 비해 볼륨감이 없는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감 있는 헤어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Description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HAIR CUTTING METHOD FOR HAIR VOLUME SUITABLE FOR HEAD OF KOREAN}
본 발명은 볼륨 헤어 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한국인의 두상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두상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헤어 스타일에 대응되는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여 헤어 스타일에 따른 헤어를 커트하는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생활 수준이 향상되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조화를 이루는 행복한 삶을 원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뷰티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다. 뷰티 산업의 성장은 과학을 기초를 둔 미용 분야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 시대의 미용은 단조로운 작업에서 벗어나 새로운 테크닉이 요구되어지고 개인의 개성에 맞는 스타일(style)을 찾아가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그 중 헤어 스타일(hair style)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분야 중 하나로, 신체적 외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자신을 표현하고 아름다움을 부각시키는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헤어 스타일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지는데, 헤어에서 디자인은 인체의 한 부분인 모발에 형태를 연출하는 행위이며, 살아가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므로 다른 어떤 디자인 영역보다 세심하게 접근해야 하며, 두상의 골격과 모발의 흐름 등 소재가 지니는 특성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다양하고 창조적인 형태의 헤어 디자인을 위해서는 헤어 커트의 기본이 확실하게 정립되어야 한다.
헤어 커트는 헤어 스타일의 연출 시 가장 기초가 되는 과정으로, 헤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헤어 미용 종사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근에 수행된 연구에서도 미용 교육 정규 과목 중에서 헤어 커트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헤어 커트는 모발의 길이를 결정하고 모발의 양을 정리하여 헤어 디자인을 기초를 만드는 것으로, 모발의 길이, 질감, 볼륨, 방향 등의 여러 요소들을 이용하여 헤어 디자인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하나의 커트 스타일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간결성, 예술적인 감성, 상상력, 기술의 조합과 통제력 등이 요구되는 창조적이며 전문성 있는 커트 기술과 더불어 커트의 지침서가 요구됨에 따라, 커트의 테크닉을 체계화시키고 객관화시켜서 건축의 설계도나 의상의 패턴과 같은, 커트의 과정을 수치와 그림으로 나타내는 커트 도해도가 만들어졌다. 이는 감각과 경험에 의존하여 헤어 커트를 하던 많은 미용인들에게 학문적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정확한 베이직과 과정을 토대로 똑같은 형태의 헤어 커트를 재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커트 도해도는 서구인의 두상에 맞추어져 있는 방식으로, 골격의 크기와 모양, 모질이 다른 한국인의 두상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헤어 디자인의 특수성과 변이성에 따라 표준화 작업에 대한 한계 및 피로감을 느낀 탓에 현재 헤어 산업에 있는 많은 브랜드와 학계에서는 디자인 표준화 작업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인의 두상을 표준화하여 한국인의 두상을 고려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함과 동시에 한국인의 두상의 특성을 살린 헤어 커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객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헤어 스타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얼굴의 형태적 특성, 두상, 모질의 상태 등 고객의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현대적 미용의 창시자이자 기하학적인 커트의 개념을 만들어 낸 비달 사순(Vidal Sassoon)도 커트를 하기 전에 두상을 먼저 파악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우리나라에 헤어 커트 교육용으로 쓰이는 비달 사순의 헤어 커트 교재 abc를 살펴보면 두상의 특성에 맞는 커트 기법에 대한 설명이 들어있다.
그러나, 이는 서구인의 두상에 맞추어져 있는 커트 기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서구인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헤어 커트 기법이 그대로 우리나라에 도입되면서, 한국인의 두상에 서구인의 신체적 특성을 살린 헤어 커트 기법으로 커트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경험이 미숙한 초보 헤어 디자이너들이 현장에서 직접 고객을 대할 때 두상 형태의 차이로 시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서구인과 한국인의 신체적 특성의 차이가 있는 만큼 한국인에게 어울리는 헤어 커트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한국인 두상에 대한 특성과 얼굴형 등 신체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인에게 어울리는 헤어 스타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두상에 대한 신체적 특성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인의 두상은 서양인에 비해 더 동그란 편이고 머리 둘레가 상대적으로 협소하며, 머리 형태는 뒤통수 쪽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두상을 옆면에서 보았을 때 서양인의 뒤통수는 상당히 돌출되어 있는 반면, 한국인은 돌출의 정도가 크지 않다. 한국인의 두상 형태는 단두형으로 앞뒤가 짧고 상부가 뒤로 갈수록 높아지는 특징을 나타내며, 서구인의 두상은 장두형으로 앞뒤가 길고 안면이 좁아지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다양한 커트를 하기 위해서는 커트의 설계도라 할 수 있는 커트 도해도의 이해가 필요하며, 입체적인 커트를 하기 위해서는 두상의 곡선과 모질의 특성을 살린 과학적인 커트 도해도가 요구된다. 그 결과 여러 해외 브랜드 회사에서 커트 교육 도해도를 연구 발표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객이 원하는 헤어 디자인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헤어 커트(hair cut)와, 퍼머넌트 웨이브(permanent wave), 헤어 셋팅 (hair setting), 헤어 컬러링(hair coloring) 등의 시술이 이루어진다. 그 중 가장 기초가 되는 헤어 커트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이 아니라 간결성, 예술적인 감성, 상상력, 기술의 조합과 통제력 등이 요구되는 창조적이며 전문성 있는 헤어 커트 기술이 필요하다.
헤어 커트는 층과 각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층이 없고 각도가 0°인 원랭스(One length), 45°의 각도 내어 만들어 내는 그래듀에이션(Graduation), 90° 각도로 둥근 두상을 따라 커트하는 레이어(Layer)가 있다. 또한, 고객의 얼굴형과 두상의 특성에 따라 변형되면서 두 종류의 형태 또는, 세 종류의 형태가 섞이면서 여러 가지 형태의 디자인이 도출되고 있다.
둥근 두상에 입체적인 헤어 커트를 하기 위해서는 얼굴의 형태, 두상의 특징을 먼저 알아야 하며, 모발의 양, 길이, 모질의 방향성 등을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산술적인 계산 없이는 정확한 형태를 만들어 내기가 어렵다. 이에 동일한 스타일을 보고도 다르게 인식하여 헤어 디자이너들이 다른 디자인을 만들어 내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에 정확하고 동일한 헤어 디자인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입체적인 두상과 얼굴의 비례에 따른 산술적인 계산이 이루어진 커트 설계도 즉, 커트 도해도가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0617호(공고일 2013년 10월 14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3763호(공고일 2008년 07월 04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585호(공고일 2017년 11월 10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0279호(공고일 2015년 03월 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인의 두상을 표준화하여 한국인의 두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표준화된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국인의 표준화된 두상에 대한 다양한 헤어 스타일의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선택된 헤어 스타일에 적합한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헤어를 커트하는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국인 두상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두상에 대한 복수 개의 두상 포인트와 복수 개의 볼륨존을 설정하여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의 두상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한국인의 두상에 복수 개의 두상 포인트와 복수 개의 볼륨존을 설정하여 다양한 헤어 스타일에 따른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헤어를 커트하도록 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의 두상의 특성에 적합한 헤어 볼륨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볼륨 헤어 커트를 하도록 함으로써, 서구인에 비해 볼륨감이 없는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 두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한국인의 두상을 표준화하는 단계; 표준화된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기준점이 되는 복수 개의 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대한 헤어 디자인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볼륨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두상 포인트와 상기 볼륨존을 이용하여 복수의 헤어 스타일 각각에 대응되는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는 단계; 및 하나의 커트 도해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커트 도해도에 따라 헤어를 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두상 포인트를 한국인의 표준 두상을 모발 분포 면적에 따라 센터 포인트, 탑 포인트, 골덴 포인트, 백 포인트, 네이프 포인트,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 사이드 코너 포인트, 사이드 포인트,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 이어 포인트,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 및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로 설정하되; 상기 센터 포인트, 상기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 상기 사이드 포인트, 상기 사이드 코너 포인트, 상기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 및 상기 네이프 포인트들 각각은 기존에 정의된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탑 포인트는 기존의 위치와 상기 이어 포인트가 연결되는 연장선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인 위치에 있는 머리 마루의 가장 튀어나온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백 포인트는 기존의 위치보다 일정 거리 위의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골덴 포인트는 상기 탑 포인트와 상기 백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이어 포인트는 기존의 위치보다 페이스 라인 쪽으로 일정 거리 앞의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네이프 포인트와 상기 백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며; 그리고 상기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이어 포인트와 상기 골덴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이어 포인트와 상기 탑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센터 포인트와 상기 탑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며, 상기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이어 포인트와 상기 백 포인트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볼륨존을 설정하는 단계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을 탑 볼륨존, 미디엄어 볼륨존, 쉐이프존 및 슬림존으로 설정하되; 상기 탑 볼륨존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헤어 스타일의 외곽을 나타내고, 볼륨을 가장 크게 나타내야 하는 구역이고, 상기 미디엄 볼륨존은 상기 탑 볼륨존을 둘러싸는 위치에 설정되어, 상기 탑 볼륨존의 볼륨을 받쳐주는 역할로 형태를 만들어 내는 구역이고, 상기 쉐이프존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뒤통수와 사이드 각각의 위치에 설정되어, 뒤통수와 사이드 형태의 변형을 만들어 내는 구역이고, 그리고 상기 슬림존은 페이스 라인과 상기 미디엄 볼륨존 사이, 상기 쉐이프존과 네이프 라인 사이 각각의 위치에 설정되어, 헤어 디자인의 프론트와, 네이프 및 사이드의 형태를 결정짓는 구역이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커트 도해도를 헤어 스타일들 각각에 대응하여 전체적인 헤어 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와, 상기 확장 커트 도해도의 헤어 스타일에 따라 상기 두상 포인트와 상기 볼륨존들 각각에 대한 세부적인 볼륨 커트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단면 커트 도해도로 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 두상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두상의 포인트와 볼륨존을 설정하여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헤어 스타일에 적용하여 헤어를 커트함으로써,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헤어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의 두상의 특성에 적합한 헤어 볼륨의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헤어 커트를 하도록 함으로써, 한국인의 두상에 맞는 체계적인 커트 시술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의 두상의 특성에 적합한 헤어 볼륨의 커트 도해도를 제작함으로써,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헤어 스타일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특성에 적합한 헤어 볼륨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헤어 커트를 하도록 함으로써, 미용 경력이 많은 사람이나, 미용을 처음 입문하는 학생 등 시술자 모두가 똑같은 헤어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 표준 두상에 맞는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헤어 커트를 학습하고 습득하게 함으로써, 한국인에게 어울리는 기존의 헤어 스타일 뿐 아니라 새로운 헤어 스타일의 창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 여성의 표준 두상과 서구인 여성의 표준 두상 각각에 대한 수치화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 표준 두상에서의 설정된 두상 포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 표준 두상에서의 설정된 볼륨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단면 커트 도해도에 따른 볼륨 헤어 커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커트 도해도에 대응되는 기존의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 헤어 커트가 완성된 상태를 비교한 도면,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헤어 커트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한국인 두상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한국인의 두상 즉,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헤어 스타일에 따른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적합한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선택된 헤어 스타일의 커트 도해도에 따라 헤어를 커트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S100)은 단계 S110에서 한국인의 두상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한국인의 두상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인의 표준 두상을 생성한다.
단계 S120에서 한국인 표준 두상에 대한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해 복수 개의 두상 포인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두상 포인트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을 모발 분포 면적에 따라 복수 개가 설정된다. 두상 포인트는 기존에 설정된 것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적합한 지점에 새로이 설정된 것, 그리고 기존에 설정된 위치를 변경한 것을 포함한다.
단계 S130에서 헤어 디자인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해 한국인 표준 두상에 대한 복수 개의 볼륨존을 설정한다. 여기서 볼륨존은 한국인 표준 두상에 예를 들어, 볼륨을 넣어야 하는 구역, 볼륨을 위해 형태를 만들어 내는 구역, 형태의 변형을 만들어 내는 구역, 슬림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구역 등으로 나누어 섹션존을 만든다.
단계 S140에서 설정된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을 이용하여 다양한 헤어 스타일별로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적합한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한다. 커트 도해도는 하나의 헤어 스타일에 대해 확장 커트 도해도와 단면 커트 도해도로 구성된다. 확장 커트 도해도는 커트 입면도로서,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가장 볼륨을 주어야 하는 부분과 슬림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앞모습, 좌우측 모습 및 뒷모습에 대해 제작되어 전체적인 헤어 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단면 커트 도해도는 커트 설계도로서, 해당 확장 커트 도해도에 따라 블로킹, 네이프, 크라운, 사이드 및 프론트 등을 나타내도록 제작되어 각 부위별로 헤어 스타일에 따른 세부적인 커트 시술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단계 S150에서 하나의 헤어 스타일에 대응하는 커트 도해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커트 도해도에 따라 헤어를 커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S100)은 한국인의 두상 특성을 분석하여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을 설정하고, 한국인의 표준 두상 특성에 적합한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헤어 스타일에 따른 헤어를 커트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 여성의 표준 두상과 서구인 여성의 표준 두상 각각에 대한 수치화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한국인 두상의 표준화를 위해, 2010년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간 한국인의 인체 치수 및 인체 형상에 대해 측정 조사되어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하는 '제6차 인체 치수 조사 데이터'를 활용한다. 즉, 수집된 데이터는 한국인 성인 여성 20세에서 50세까지의 두상에 대해 수치화된 데이터로, 이를 통해 한국인의 두상을 표준화한다. 이는 현재 미용 분야에서 여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여성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것이다.
한국인의 표준 두상(a)은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머리 둘레 길이가 557.92mm, 머리 수직 길이가 224.02mm, 머리 너비 길이가 158mm, 눈살-머리 마루-뒤통수 길이가 296.68mm, 눈살-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가 184.08mm, 코끝-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가 199.55mm 그리고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가 132.59mm로 각각 측정된다.
여기서 머리 둘레 길이는 눈살점과 뒤통수 돌출점을 지나는 둘레의 길이이고, 머리 수직 길이는 머리 마루점에서 턱끝점까지의 수직 거리이고, 머리 너비 길이는 양쪽 머리 옆점 사이의 수평 거리이고, 눈살-머리 마루-뒤통수 길이는 눈살점과 머리 마루점을 지나 뒤통수 돌출점까지의 길이이고, 눈살-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는 눈살점에서 뒤통수 돌출점까지 수평으로 연결한 길이이고, 코끝-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는 코끝점에서 뒤통수 돌출점까지의 길이이며,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는 머리 마루점에 귀 구슬점을 수직으로 연결한 길이이다.
이에 반해, 서구인의 표준 두상(b)은 머리 둘레 길이는 522.59mm, 머리 수직 길이는 198.12mm, 머리 너비 길이는 147.32mm, 눈살-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는 184.34mm 그리고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는 106.3mm이다. 여기서 서구인의 표준 두상(b)은 공개된 국외 전문서적과 국내 선행논문 등의 자료를 통해 표준 수치를 수집하였다. 여기서 이용된 자료에는 예를 들어, Henry Dreyfuss의 'The Measure of Man : Human Factors in Design, Henry Dreyfuss(개정판 2001년)', 김동림(20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디자인기술융합전공. 학사학위논문. p22에 기재된 3D 인체 모델링 제작사인 Daz3D.com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리한 것 등이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표준 두상(a)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b)의 측정값을 살펴보면, 한국인의 표준 두상(a)의 머리 둘레는 서구인의 표준 두상(b)의 머리 둘레보다 35.33mm가 더 크고, 머리 너비 길이는 10.69mm, 머리 수직 길이는 25.9mm,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는 26.29mm가 더 길게 나타났다. 또 눈살-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가 한국인의 표준 두상(a)보다 서구인의 표준 두상(b)이 0.26mm 길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측정값에 의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a)이 서구인의 표준 두상(b)보다 전체적인 두상의 크기가 크고, 머리 수직 길이가 길고, 앞쪽에서 바라본 얼굴의 가로 길이 또한 길며, 귀에서부터 머리의 가장 높은 곳의 길이도 한국인의 표준 두상(a)이 더 길다. 반면, 한국인의 표준 두상(a)의 머리 둘레 크기와 수직 길이보다 작은 서구인의 표준 두상(b)이 눈살에서 뒤통수의 가장 튀어나온 위치까지의 길이가 미세하게 더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와 같이, 한국인의 표준 두상(a)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b)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남에 따라 헤어 라인과 모발 분포 면적에 차이가 있음으로, 한국인의 표준 두상(a) 즉, 한국인의 여자 두상에 맞는 커트 도해도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한국인 표준 두상의 헤어 라인의 정확한 길이를 측정하고, 모발의 분포 면적의 차이를 찾아 새로운 두상 포인트를 설정하고, 두상의 굴곡과 수직, 수평 각도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찾아내어 두상 위치의 특성, 모발의 분포 면적, 각도에 따라 변하는 길이를 측정하여 한국인 표준 두상의 특성에 맞는 커트 도해도를 제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 표준 두상에서의 설정된 두상 포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상 포인트(① ~ ⑮)는 표준화된 한국인의 두상에서 헤어 라인을 따라 복수 개가 설정된다. 여기서 두상 포인트(① ~ ⑮)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 각도와, 모발의 분포 면적에 따라 길이와 형태가 변하는 모발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헤어 라인의 정확한 길이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모발의 분포 면적의 차이를 찾아서 새로운 지점에 두상 포인트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두상 포인트(① ~ ⑮)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15 개가 설정된다. 즉, 본 발명의 두상 포인트(① ~ ⑮)는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 C.P)(①), 탑 포인트(Top Point : T.P)(②), 골덴 포인트(Golden Point : G.P)(③), 백 포인트(Back Point : B.P)(④),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 : N.P)(⑤),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ape Side Point : N.S.P)(⑥),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 : S.C.P)(⑦), 사이드 포인트(Side Point : S.P)(⑧),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ront Side Point : F.S.P)(⑨), 이어 포인트(Ear Point : E.P)(⑩),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 B.N.M.P)(⑪),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Golden Ear Medium Point : G.E.M.P)(⑫),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op Ear Medium Point : T.E.M.P)(⑬),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op Center Medium Point : T.C.M.P)(⑭) 및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Back Ear Medium Point : B.E.M.P)(⑮)로 구성된다.
이들 중 센터 포인트(C.P)(①),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⑨), 사이드 포인트(S.P)(⑧),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⑦),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S.P)(⑥) 및 네이프 포인트(N.P)(⑤)들은 얼굴의 가장 중심이 되는 곳으로, 이미 공개되어 있는 여러 헤어 커트 교제에서 기존에 정의된 지점의 포인트들을 그대로 이용한다. 즉, 센터 포인트(C.P)(①)는 앞머리 부분의 정중앙에 속하는 부분이고,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⑨)는 두상의 관자놀이 부분이고, 사이드 포인트(S.P)(⑧)는 두상의 관자놀이와 구렛나루 사이 부분이고,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⑦)는 구렛나루 윗부분의 튀어나온 부분이고,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S.P)(⑥)는 두상의 뒷머리 아래의 좌우 옆부분이며, 그리고 네이프 포인트(N.P)(⑤)는 두상의 뒷머리 아래 부분이다.
또 탑 포인트(T.P)(②), 골덴 포인트(G.P)(③), 백 포인트(B.P)(④), 이어 포인트(E.P)(⑩),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⑪),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G.E.M.P)(⑫),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E.M.P)(⑬),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⑭) 및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B.E.M.P)(⑮)들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기존의 지점을 위치 변경하거나 새로이 정의된 포인트들이다. 즉, 탑 포인트(T.P)(②), 골덴 포인트(G.P)(③), 백 포인트(B.P)(④), 이어 포인트(E.P)(⑩) 및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⑪)들은 기존의 지점에서 한국인의 두상 특성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 포인트들이고,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G.E.M.P)(⑫),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E.M.P)(⑬),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⑭) 및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B.E.M.P)(⑮)들은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포인트들이다.
구체적으로, 탑 포인트(T.P)(②)는 두상의 가장 높은 윗머리 부분으로, 기존의 위치와 이어 포인트(E.P)(⑩)가 연결되는 연장선에서 오른쪽으로 10° 각도로 기울인 위치에 있는 머리 마루의 가장 튀어나온 위치로 설정된다. 골덴 포인트(G.P)(③)는 두상의 뒷머리 위쪽 부분으로, 탑 포인트(T.P)(②)와 백 포인트(B.P)(④)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된다. 백 포인트(B.P)(④)는 두상의 뒷머리 부분으로, 기존의 위치보다 0.5㎝ 위에 설정된다. 이어 포인트(E.P)(⑩)는 두상의 귀 중앙 부분으로, 기존의 위치보다 페이스 라인 쪽으로 0.5㎝ 앞으로 당겨진 지점에 설정된다.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⑪)는 뒷머리의 아래에 가장 튀어나온 부분으로, 네이프 포인트(N.P)(⑤)와 백 포인트(B.P)(④)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된다.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G.E.M.P)(⑫)는 이어 포인트(E.P)(⑩)와 골덴 포인트(G.P)(③)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된다.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E.M.P)(⑬)는 이어 포인트(E.P)(⑩)와 탑 포인트(T.P)(②)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된다.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⑭)는 기존의 센터 포인트(C.P)(①) 보다는 탑 포인트(T.P)(②)에 가까운 중간 지점 즉, 센터 포인트(C.P)(①)와 탑 포인트(T.P)(②)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된다. 그리고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B.E.M.P)(⑮)는 이어 포인트(E.P)(⑩)의 새로운 지점으로 인해 이어 포인트(E.P)(⑩)와 백 포인트(B.P)(④)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된다.
이러한 두상 포인트(① ~ ⑮)를 설정하기 위해 모발 분포 면적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머리 너비에서 한국인이 10.69㎜ 더 크기 때문에 헤어 라인의 양측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⑨)들 사이의 직선 길이가 한국인이 1㎝가 더 길게 나타났다. 그러나 머리 둘레에서 한국인이 35.33㎜ 더 큰데 비해 굴곡의 길이가 12㎝로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과 서구인의 이마와 뒤통수의 굴곡의 차이를 알 수가 있을 뿐 모발의 분포 면적과는 상관 관계가 없다.
또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⑨)와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⑦)의 수직 길이에서 한국인이 1㎝ 더 길게 나타난 것은 한국인의 두상의 수직 길이가 25.9㎜ 더 길고,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가 26.29㎜ 더 길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한, 이어 포인트(E.P)(⑩)와 수직하고 네이프 포인트(N.P)(⑤)와 수평으로 만나는 지점 길이가 한국인이 1㎝ 더 길게 나타난 것도 마찬가지로 두상의 차이에 의한 현상이지 모발의 분포 면적과는 상관 관계가 없다.
이어 포인트(E.P)(⑩)에서 페이스 라인(face line)까지의 수평 길이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이 0.5㎝ 더 길게 나타났으며, 이는 눈살-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가 한국인의 표준 두상보다 서구인의 표준 두상이 0.26㎜ 길게 나타내고 있어 서구인의 페이스 라인에서 눈살까지의 길이가 더 길고, 모발의 시작점인 페이스 라인의 시작이 한국인보다 0.5㎝ 짧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어 포인트(E.P)(⑩)에서 사이드 포인트(S.P)(⑧)까지의 길이는 5㎝로 같다. 이는 사이드를 결정짓는 사이드 포인트(S.P)(⑧)와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⑦) 사이의 모발이 한국인이 0.5㎝ 더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어 포인트(E.P)(⑩)는 기존의 위치보다 페이스 라인 쪽으로 0.5㎝ 앞으로 당겨서 지정된다.
또한, 이어 포인트(E.P)(⑩)가 페이스 라인 쪽으로 0.5㎝ 당겨짐에 따라, 이어 포인트(E.P)(⑩)와 백 포인트(B.P)(④)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러므로, 중간 지점에 새로운 포인트를 만들어 이어 포인트(E.P)(⑩)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B.E.M.P)(⑮)를 새롭게 지정하여 사이드와 백의 연결 관계를 정의한다.
기존의 탑 포인트(T.P)를 살펴보면, 이어 포인트(E.P)에서 머리 마루 까지 수직으로 만나는 지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두상의 크기에서 보면, 서구인의 표준 두상은 센터 포인트(C.P)에서 골덴 포인트(G.P)까지 완만한 둥근 곡선을 이루고 있는 반면, 한국인의 표준 두상은 센터 포인트(C.P)(①)에서 곡선보다는 직선에 가깝다. 즉, 센터 포인트(C.P)(①)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탑 포인트(T.P)(②)를 지나 가장 높은 지점이 나타나고, 골덴 포인트(G.P)(③)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룬다. 이를 근거로 하여, 탑 부분의 볼륨감을 책임져야 하는 탑 포인트(T.P)(②)를 이어 포인트(E.P)(⑩)에서 10° 각도를 오른쪽으로 기울인 위치에 있는 머리 마루의 가장 튀어나온 위치로 지정하며, 센터 포인트(C.P)(①) 보다는 탑 포인트(T.P)(②)에 가까운 중간 지점인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⑭)를 새롭게 지정하여 탑 부분의 볼륨감을 나타나게 한다.
또 모발 분포 면적을 측정한 결과에서 보면, 양측의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S.P)(⑥)들 사이의 굴곡의 길이가 한국인이 1㎝ 더 길게 나타나고, 뒤통수의 가로넓이 길이가 2㎝ 더 길게 나타난다. 즉, 한국인의 표준 두상은 백 포인트(B.P)(④)로 갈수록 길어지는 타원형에 가까운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 비해 뒤통수가 육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나타낸다. 이는 모발의 분포 면적이 가로와 수직으로 넓다는 뜻으로, 네이프 존과 백 존에서 슬림한 커트 라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과도한 질감 처리가 요구된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어 포인트(E.P)(⑩)를 중심으로 탑 포인트(T.P)(②), 골덴 포인트(G.P)(③) 및 백 포인트(B.P)(④) 각각의 중간 지점의 두상 포인트들 각각을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E.M.P)(⑬),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G.E.M.P)(⑫) 및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B.E.M.P)(⑮)로 새롭게 지정하여 육각형의 형태의 뒤통수를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만드는데 사용한다.
또 모발 분포 면적을 측정한 결과에서 보면, 서구인의 헤어 라인은 네이프 포인트(N.P)와 백 포인트(B.P)의 길이가 7.5㎝로, 네이프 포인트(N.P)에서 점차 위로 올라갈수록 굴곡이 형성되어 모발의 분포가 골고루 이루어져 있는 반면, 한국인의 헤어 라인은 네이프 포인트(N.P)(⑤)와 백 포인트(B.P)(④)의 길이가 8㎝로 네이프 포인트(N.P)(⑤)에서 5㎝까지는 직선을 이루어지고, 5㎝ 위에서부터 미세하게 굴곡이 만들어져 네이프 존에서의 모발이 가로와 수직으로 넓게 분포된다. 이를 근거로 하여, 네이프 존의 슬림한 라인을 만들고, 백 존의 볼륨감을 만들기 위하여 백 포인트(B.P)(④)를 0.5㎝ 위에 지정하여 네이프 포인트(N.P)(⑤)와 백 포인트(B.P)(④)의 수직 간격을 넓혀서 네이프 존의 수직 길이를 길게 만들며, 네이프 포인트(N.P)(⑤)와 백 포인트(B.P)(④)의 사이를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⑪)로 새롭게 지정하여 커트 라인의 변형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또한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 동일한 길이의 가이드를 설정하여 15°, 45°및 90°의 각도에서 커트를 하여 각 포인트 지점에서 달라지는 길이의 변화를 확인한다.
15° 각도에서의 길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서 8㎝ 길이의 가이드를 정하여 표준 두상의 곡면을 따라 15° 각도로 커트한 결과,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은 네이프 포인트(N.P)(⑤)에서 5㎝ 윗부분에서 1㎝의 길이의 단차가 나고, 백 포인트(B.P)(④)에서는 굴곡이 급격히 생기면서 0.6㎝의 길이의 단차가 난다.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은 백 포인트(B.P)(④)에서 골덴 포인트(G.P)(③)의 뒤통수의 둥근 부분에서는 1㎝의 길이의 단차가 난다. 또 골덴 포인트(G.P)(③)와 탑 포인트(T.P)(②) 까지는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는 1㎝의 길이의 단차가 나고, 탑 포인트(T.P)(②)에서 센터 포인트(C.P)(①)의 중간까지는 1㎝의 단차가 난다. 또 탑 포인트(T.P)(②)와 센터 포인트(C.P)(①)의 중간 지점부터 센터 포인트(C.P)(①) 까지는 1㎝의 단차가 나며,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⑦)와 사이드 포인트(S.P)(⑧) 사이는 1㎝의 단차가 난다.
45° 각도에서의 길이 변화는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서 8㎝ 길이의 가이드를 정하여 표준 두상의 곡면을 따라 45° 각도로 커트한다. 그 결과, 서구인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네이프 포인트(N.P)(⑤)에서는 5㎝ 윗부분에서 2㎝의 길이의 단차가 나며, 백 포인트(B.P)(④)에서는 굴곡이 급격히 생기면서 1.2㎝의 길이의 단차가 난다. 백 포인트(B.P)(④)에서 골덴 포인트(G.P)(③)의 뒤통수의 둥근 부분에서는 2㎝의 길이의 단차가 난다.
골덴 포인트(G.P)(③)와 탑 포인트(T.P)(②) 까지는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는 2㎝의 길이의 단차가 난다. 또 탑 포인트(T.P)(②)에서 센터 포인트(C.P)(①)의 중간까지는 2㎝의 단차가 나고, 탑 포인트(T.P)(②)와 센터 포인트(C.P)(①)의 중간 지점부터 센터 포인트(C.P)(①) 까지는 2㎝의 단차가 나며,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⑦)와 사이드 포인트(S.P)(⑧) 사이는 2㎝의 단차가 난다.
그리고 90° 각도에서의 길이 변화는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서 8㎝ 길이의 가이드를 정하여 표준 두상의 곡면을 따라 90° 각도로 커트를 한 결과 두 표준 두상에서는 길이의 변화 없이 8㎝ 길이로 똑같은 결과가 난다.
따라서 한국인의 여자 표준 두상 각도에 따른 길이 변화의 결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15°, 45° , 90° 각도를 다르게 하여 각각 동일한 가이드 길이로 측정한 결과, 굴곡과 수직, 수평과 상관없이 15°의 각도에서는 1㎝의 차이가 나고, 45°의 각도에서는 2㎝의 차이가 나며, 그리고 90° 각도에서는 길이의 변화가 없다.
그러나, 네이프 포인트(N.P)(⑤)의 5㎝까지는 15°의 각도에서 1㎝의 차이가 나지만, 5㎝ 위부분에서 갑자기 굴곡이 생기는 위치는 0.6㎝의 차이가 나고, 45° 각도에서는 1.2㎝의 길이의 변화가 있으며, 90°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15°의 각도의 차이마다 굴곡이나 수직, 수평과 상관없이 1㎝씩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백 포인트(B.P)(④)의 3㎝ 아래 굴곡의 변화 지점에서만 다른 길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특징을 살린 커트 도해도를 제작함에 있어 길이를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 표준 두상에서의 설정된 볼륨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볼륨존(① ~ ④)은 정확하고 세밀한 커트를 하기 위해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적합한 헤어 디자인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설정된다.
한국인 표준 두상의 특성은 계란형보다는 머리 마루와 사이드 가로의 길이가 넓고 둥글면서도 커브나 직선을 이루어져 있으며, 뒤통수는 넓게 퍼져 있는 볼륨이 없는 육각형에 가깝다. 그러므로 커트 도해도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한국인 표준 두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가장 크게 볼륨을 넣어야 하는 구역과, 볼륨을 만들어 내기 위해 형태를 만들어 내는 구역, 형태의 변형을 만들어 내는 구역, 슬림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구역으로 나누어 볼륨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볼륨존(① ~ ④)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을 탑 볼륨존(Top Volume Zone)(①), 미디엄 볼륨존(Medium Volume Zone)(②), 쉐이프존(Shape Zone)(③) 및 슬림존(Slim Zone)(④)으로 나누어 설정한다.
탑 볼륨존(①)은 두상 중 가장 높은 위치의 구역으로, 헤어 스타일의 외곽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탑 볼륨존(①)은 볼륨감이 가장 크게 나타나야 하는 구역으로, 헤어 스타일의 가벼움이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구역이다. 또 탑 볼륨존(①)은 머리의 방향성과 뿌리 볼륨의 움직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역이다.
미디엄 볼륨존(②)은 탑 볼륨존(①)을 둘러싸는 위치의 구역으로, 헤어 스타일 형태의 움직임이 표현되는 부분이다. 미디엄 볼륨존(②)은 탑 볼륨존(①)의 볼륨을 받쳐주는 역할로 형태를 만들어 내는 구역이다. 또 미디엄 볼륨존(②)은 적당한 질감 조절이 필요한 구역이다.
쉐이프존(③)은 뒤통수와 사이드 각각에 위치하는 구역으로, 헤어 스타일의 형태를 만들어 내는 구역이다. 쉐이프존(③)은 백 쉐이프존과 사이드 쉐이프존으로 구비되어 뒤통수와 사이드 형태의 변형을 만들어 내는 구역이다. 또 쉐이프존(③)은 경우에 따라 과도한 질감 조절이 필요한 구역이다.
그리고 슬림존(④)은 페이스 라인과 미디엄 볼륨존(②) 사이, 쉐이프존(③)과 네이프 라인 사이 각각에 위치하는 구역이다. 슬림존(④)은 프론트 슬림존과 네이프 슬림존으로 구비되어 아래로 향하는 모발의 방향성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구역이다. 슬림존(④)은 헤어 디자인의 아우트 라인을 결정하거나 헤어 디자인의 형태를 만들어 내는 구역이다. 슬림존(④)은 헤어 숏 커트를 연출할 때 헤어 디자인의 형태를 나타내는 구역으로, 네이프와 사이드의 형태를 결정짓는 구역이다. 슬림존(④)은 가로의 길이가 넓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특성상, 가로의 길이를 줄이고 슬림한 라인을 만들기 위해 많은 양의 질감 처리가 필요한 구역이다. 또 슬림존(④)은 프론트의 앞머리 길이와 형태를 결정하는 구역으로 인상을 좌우하는 구역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 특성에 맞게 설정된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을 이용하여 다양한 헤어 디자인들 각각에 따른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트 도해도와 커트 도해도에 따른 볼륨 헤어 커트 과정을 도 5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커트 도해도는 한국인 표준 두상의 특성에 맞게 설정된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을 이용하여 다양한 헤어 스타일들 각각에 따라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달 사순의 커트 교재(vidal sassoon. 1984『abc cutting hair the sassoon』. vidal sassoon. inc.)에서 헤어 스타일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헤어 커트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헤어 스타일에 따른 커트 도해도를 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국인의 표준 두상은 볼륨감이 있는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 비해 머리 마루와 뒷통수에 볼륨이 없이 밋밋하다. 이에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적합한 커트 도해도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헤어 스타일에 따라 볼륨을 넣어주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트 도해도는 각각의 헤어 스타일에 대응하여 확장 커트 도해도와 단면 커트 도해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전체적인 헤어 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해 확장 커트 도해도를 이용한다. 즉, 확장 커트 도해도를 통해 가장 볼륨을 주어야 하는 부분과, 슬림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을 확인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헤어 스타일에 따라 각각의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에 대한 세부적인 커트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단면 커트 도해도를 이용한다. 확장 커트 도해도는 예를 들어, 앞 모습, 우측 모습, 좌측 모습 및 뒷 모습에 대한 헤어 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단면 커트 도해도는 예를 들어, 블로킹, 네이프, 사이드, 크라운 및 프론트 등 헤어 스타일에 따른 두상 포인트와 볼륨존들에 대한 세부적인 형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헤어 스타일의 커트 도해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는 라인 원랭스와 그래듀에이션의 테그닉을 혼합한 볼륨 단발 스타일로, 뒷통수가 원형이 아닌 커브나 직선을 이루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볼륨감 있는 원랭스를 만들기 위한 커트 도해도이다. 여기서 원랭스(One Length)는 머리카락을 한가지 길이로 자르는 것을 말하며, 내려뜨린 두발의 각도가 0°이다. 그래듀에이션(Graduation)은 커트할 때 아래 머릿단을 짧게 하고, 위로 갈수록 점점 길게 하면서 머릿단의 길이에 서서히 변화를 주는 것을 말한다.
제1 실시예는 원랭스와 그래듀에이션을 이용한 볼륨 단발 커트 도해도로, 원랭스 라인의 오버디렉션과 노오버디렉션을 이용한 각도에 의한 차이에서 표현되는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정된 것이다.
제1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앞 모습(a), 우측 모습(b), 좌측 모습(c) 및 뒷 모습(d)의 확장 커트 도해도에서, 블로킹을 확인하고, 각 위치별 각도를 확인한다. 여기서 블로킹(Blocking)은 커트하기 전, 표준 두상을 큰 단위로 구분하여 나누는 것을 말한다. 네이프 포인트(N.P)에서 뒷통수의 백 쉐이프존까지 네이프 슬림존에 45°의 각도가 나오는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만들어진다. 네이프 슬림존은 질감 처리로 가벼움을 연출한다. 백 쉐이프존에서 각도를 올리면서 형태의 변형을 유도한다. 크라운으로 올라갈수록 각도를 서서히 떨어뜨리며, 탑 볼륨존에 불륨이 가장 많이 생기도록 한다. 사이드는 모발이 겹쳐져 무겁게 느껴질 수 있으니 가볍게 표현되도록 한다. 센터에서 정중앙으로 가르마를 갈라 양쪽이 다르지 않도록 주의한다. 헤어 커팅 방법으로 나칭을 사용하는 것이 한국인의 두꺼운 모발에 용이하다.
제1 실시예의 단면 커트 도해도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a), 네이프(b), 백 쉐이프존(c), 크라운(d), 사이드(e) 및 프론트(f) 각각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로 구성된다.
블로킹 단면 커트 도해도(a)는 센터 포인트(C.P)에서 네이프 포인트(N.P)까지를 정중선으로 나누고, 이어 포인트(E.P)에서 반대편 이어 포인트(E.P)까지 나눈다. 또한 이어 포인트(E.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까지 나누어 6 등분으로 구역을 나눈다.
네이프 단면 커트 도해도(b)는 가이드 길이를 1cm로 정하고, 목의 라인을 따라 가이드를 만든다. 가이드를 정한 후, 2cm 간격의 5 개 패널로 양쪽을 똑같이 나누어, 네이프 포인트(N.P)와 백 포인트(B.P) 패널을 사선으로 잡아 오버디렉션으로 45°각도의 단차가 나는 낮은 그래듀에이션 형태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패널(Panel)은 커트를 하기 위해 손으로 끌어낸 머릿단을 말한다.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S.P)에서 이어 포인트(E.P)까지 서서히 각도를 낮추어 이어 포인트(E.P)에서 15° 각도가 나오도록 한다.
백 쉐이프존 단면 커트 도해도(c)는 백 쉐이프존에서 다시 한번 패널을 잡아 백 포인트(B.P) 쪽으로 각도를 올려 오버디렉션하여 75°각도의 높은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크라운 단면 커트 도해도(d)는 백 포인트(B.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까지 3cm 간격의 4 개 패널로 이어 포인트(E.P)를 중심으로 피봇 섹션으로 나누고, 백 포인트(B.P)와 골덴 포인트(G.P) 사이는 사선으로 패널을 잡아 45°각도의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골덴 포인트(G.P)와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 사이는 백 볼륨존으로 올라가면서 각도를 낮추어 15°각도가 나오는 낮은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사이드 단면 커트 도해도(e)는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에서 이어 포인트(E.P)까지 수평으로 잡아 노오버디렉션을 사용하여 원랭스 라인이 나오도록 한다. 사이드 포인트(S.P)와 이어 포인트(E.P)의 패널을 사선으로 다시 한번 잡아 낮은 오버디렉션을 사용하여 이어 포인트에서 15°각도가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프론트 단면 커트 도해도(f)는 센터 포인트(C.P)와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의 가이드 길이를 연결하여 수평으로 패널을 잡아 노오버디렉션한다. 센터 포인트(C.P)의 길이를 길도록 하여 옆으로 넘겼을 때, 사이드의 길이와 같아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그래듀에이션과 레이어를 이용한 내츄럴 미디엄 볼륨 커트 스타일에 대한 커트 도해도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는 그래듀에이션과 레이어의 테크닉을 혼합한 스타일로, 뒤통수가 원형이 아닌 커브나 직선을 이루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백에 볼륨을 만들면서 네이프가 넓어 무겁게 느껴지는 구역에 레이어를 넣어 가볍게 만들고, 쉐이프존을 활용하여 사이드가 가벼워지게 하여 미디엄 길이의 층이 있는 헤어 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커트 도해도이다. 여기서 레이어(Layer)는 아래 머릿단을 길게 하고 위의 머릿단을 짧게 해서 두상 전체에 층을 쌓듯이 자르는 커트 기법으로, 위쪽이 짧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형태여서 전체적으로 층이 나있기 때문에 움직임이 쉽게 살아나 가벼워 보이는 특징이 있다.
제2 실시예는 그래듀에이션과 레이어를 이용한 내츄럴 미디엄 볼륨 커트를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로, 원랭스 라인의 오버디렉션을 이용한 삼각형 형태에 나타나는 각도에 의한 차이에서 표현되는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정된 것이다.
제2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앞 모습(a), 우측 모습(b), 좌측 모습(c) 및 뒷 모습(d)의 확장 커트 도해도에서, 블록킹을 확인하고, 각 위치별 각도를 확인한다. 네이프에서 백 포인트(B.P)의 각도는 90° 이상이 나는 레이어를 사용하고, 질감 처리로 슬림존을 가볍게 표현한다. 백에서부터 다른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백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45°의 이상의 높은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하고, 탑 볼륨존에 볼륨이 가장 많이 생기도록 한다. 사이드는 쉐이크존을 중심으로 레이어를 사용하여 가벼운 스타일이 연출되도록 한다. 사이드의 슬림존은 질감 처리로 가벼움을 표현한다. 센터에서 양쪽 사이드를 연결하여 둥근 형태를 연출한다. 헤어 커팅 방법으로 슬라이드 커팅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인의 두꺼운 모발을 가볍고 자유롭게 연출한다. 슬림존은 딥 슬라이드를 사용한다.
제2 실시예의 단면 커트 도해도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a), 네이프(b), 백 쉐이프존(c), 크라운(d), 사이드(e) 및 프론트(f) 각각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로 구성된다.
블로킹 단면 커트 도해도(a)는 수직, 수평 파팅으로 6 등분한다. 센터 포인트(C.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 양쪽 눈썹 가장자리 가장 높은 곳, 그리고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를 삼각형으로 연결한다.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에서 이어 포인트(E.P)까지 연결한다.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에서 백 포인트(B.P)까지 연결하여 수직으로 나눈다.
네이프 단면 커트 도해도(b)는 네이프 포인트(N.P)를 중심으로 백 포인트(B.P)를 연결하여 피봇 섹션으로 2cm 간격의 8 개 패널을 수직으로 나눈다. 백 포인트(B.P)에서 가이드를 11cm로 잡아 네이프 포인트(N.P)의 패널을 백 포인트(B.P)까지 끌어 90°이상이 나는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백 쉐이프존 단면 커트 도해도(c)는 네이프보다 15°각도를 더 들어 1cm 길이의 차이가 나도록 한다. 105°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크라운 단면 커트 도해도(d)는 탑 포인트(T.P)에서 백 포인트(B.P)까지 2cm 간격의 5 개 패널을 이어 포인트를 중심으로 피봇 섹션으로 나눈다. 반대편도 같은 방법으로 나눈다. 백 쉐이프존에서 가이드를 잡는다. 백 포인트(B.P)와 골덴 포인트(G.P)는 45°각도가 나오는 그래듀에이션을 만들고, 골덴 포인트(G.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까지는 90° 각도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엘리베이션한다.
사이드 단면 커트 도해도(e)는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에서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까지 연결 후, 2 개의 패널로 나누어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사이드 쉐이프존을 슬림하게 하기 위해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와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B.E.M.P)를 연결하여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그리고 프론트 단면 커트 도해도(f)는 센터 포인트(C.P)에서 코끝으로 가이드를 정하고 양쪽의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를 센터 포이트(C.P)로 끌어 노오버디렉션한다. 프론트 가이드를 잡은 후 센터 포인트(C.P)와 탑 센터 미디엄 포인터(T.C.M.P)를 직각으로 잡아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엘리베이션한다.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도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로 끌어 90° 각도가 나오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그래듀에이션을 이용한 머슈룸(mushroom) 볼륨 커트 스타일에 대한 커트 도해도로서, 뒤의 모습은 그래듀에이션 테크닉을 사용하고 앞의 모양이 둥근 형태의 버섯을 연상시키는 라인 라운드 형태의 각도에 의한 차이에서 표현되는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는 앞의 모양이 둥근 형태의 버섯을 연상시키는 라인 라운드 형태의 머슈룸 볼륨 커트 스타일로, 뒤통수의 볼륨을 만들고, 앞의 가로 길이가 넓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얼굴이 머리카락으로 가려져 시각적으로 축소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는 커트 도해도이다.
제3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앞 모습(a), 우측 모습(b), 좌측 모습(c) 및 뒷 모습(d)의 확장 커트 도해도에서, 블로킹을 확인하고, 각 위치별 각도를 확인한다. 가이드를 라인 라인드로 잡는다. 네이프에서 백 포인트(B.P)의 각도는 90° 이상의 높은 각도의 그래듀에이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미디엄 볼륨존에서 각도를 떨어뜨리며 45° 이상의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탑 볼륨존에 볼륨이 가장 많이 생기도록 하고, 각도가 15° 마다 1㎝씩 길이의 차이가 나도록 한다. 사이드는 쉐이프존을 중심으로 90° 각도의 레이어를 사용하여 가벼운 스타일이 연출되도록 한다. 사이드의 슬림존은 페이스 라인과 연결하여 둥근 라인을 만든다. 센터에서 양쪽 사이드를 연결하여 둥근 형태를 연출한 후, 45° 각도의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헤어 커팅 방법으로 나칭 커팅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인의 두꺼운 모발에 둔탁하게 떨어질수 있는 머리카락을 자유롭게 연출한다.
제3 실시예의 단면 커트 도해도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a), 네이프(b), 미디엄 볼륨존(c), 사이드(d), 사이드 쉐이프존(e), 프론트(f) 및 탑 볼륨존(g)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로 구성된다.
블로킹 단면 커트 도해도(a)는 수직, 수평 파팅으로 7 등분한다. 센터 포인트(C.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로 수평으로 나누고,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와 이어 포인트(E.P)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이어 포인트(E.P)에서 반대편 이어 포인트(E.P)까지 연결한다. 탑 볼륨존을 하나의 구역으로 나눈다.
네이프 단면 커트 도해도(b)는 백 포인트(B.P)와 네이프 포인트(N.P)를 수직으로 나눈다. 가이드 길이를 네이프 포인트(N.P)에서 4㎝로 정하고 라운드로 양쪽이 짧아지도록 한다. 네이프를 3㎝ 간격의 5 개 패널으로 나눈다. 패널을 사선으로 90° 이상의 높은 그래듀에이션이 나오도록 오버디렉션을 사용하여 이어 포인트(E.P)까지 각도를 낮추며 그래듀에이션이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미디엄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c)는 백 포인트(B.P)와 골덴 포인트(G.P)의 수직으로 3㎝ 간격의 7 개 패널으로 나누고, 사선으로 45° 보다는 높고 90° 보다 낮은 각도로 이어 포인트(E.P)까지 그래듀에이션이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까지 연결한다. 반대편도 똑같은 방법으로 연결한다.
사이드 단면 커트 도해도(d)는 이어 포인트(E.P)와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의 패널을 연결하여 둥근 라인 라운드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2㎝ 간격의 사선으로 3 개 패널으로 나누어 병렬 섹션을 사용하여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사이드 쉐이프존 단면 커트 도해도(e)는 쉐이프존에서 75° 각도로 높여 떨어지는 머리카락이 무겁지 않게 연출한다.
프론트 단면 커트 도해도(f)는 이어 포인트(E.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의 섹션을 앞으로 당긴다. 센터 포인트(C.P)에서 가이드를 코의 가장 낮은 곳에 맞추고 페이스 라인을 따라 둥근 라인 형태가 나오도록 사이드의 가이드 길이와 연결한다. 머리카락을 들어 올리면서 45° 각도의 그래듀에이션 효과가 나타나도록 연출한다.
그리고 탑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g)는 볼륨존에서 탑 포인트(T.P)를 중심점으로 4㎝ 간격의 6개 패널을 피봇으로 버티컬 섹션으로 나누어 가이드 라인과 연결하여 둥근 라인을 만든다. 90° 각도의 레이어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각도를 낮추며 골덴 포인트(G.P)와 연결한다. 미디엄 볼륨존과 연결하여 높은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는 레이어와 그래듀에이션을 이용한 비대칭 볼륨 커트 스타일에 대한 커트 도해도로서, 크라운에서 프론트까지 그래듀에이션에 의해 앞머리를 길게 표현되며, 후두부의 전체적인 엘리베이션에 의한 레이어 형태에서 나타나는 각도의 따른 표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4 실시예는 레이어 테크닉과 그래듀에이션 테크닉을 이용하여 앞머리를 길게 만들어 내는 비대칭 스타일로, 뒤통수의 볼륨을 만들고, 오른쪽의 가르마로 한쪽의 머리 길이가 길어지는 스타일로, 앞의 가로 길이가 넓은 한국인의 두상에서 얼굴이 머리카락으로 가려져 시각적으로 축소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적인 느낌을 나타낼 수 있는 헤어 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커트 도해도이다.
제4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앞 모습(a), 우측 모습(b), 좌측 모습(c) 및 뒷 모습(d)의 확장 커트 도해도에서, 블로킹을 확인하고, 각 위치별 각도를 확인한다. 가이드를 라인 라인드로 잡는다. 프론트의 오른쪽이 길어지는 비대칭을 확인한다. 네이프에서 백 포인트(B.P)의 각도는 90° 각도의 높은 그래듀에이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질감 처리로 가볍게 연출한다 . 미디엄 볼륨존에서 각도를 떨어뜨리며 90° 각도 이하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탑 볼륨존에 볼륨이 가장 많이 생기도록 한다. 각도가 15°마다 1㎝씩 길이의 차이가 나도록 한다. 사이드는 양쪽의 쉐이프존을 중심으로 90°의 각도를 내어 레이어를 사용하여 가벼운 스타일이 연출되도록 한다. 사이드의 슬림존은 질감 처리로 가볍게 한다. 센터 쪽으로 갈수록 길어지게 한다. 헤어 커팅 방법으로 포인트 커팅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인의 두꺼운 모발에 둔탁하게 떨어질 수 있는 머리카락을 자유롭게 연출한다.
제4 실시예의 단면 커트 도해도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a), 네이프(b), 미디엄 볼륨존(c), 사이드(d), 프론트(e) 및 탑 볼륨존(f)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로 구성된다.
블로킹 단면 커트 도해도(a)는 수직, 라운드 파팅으로 6 등분한다. 좌측의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를 기준으로 가르마를 가른다. 우측의 이어 포인트(E.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를 수직으로 나눈다. 좌측의 이어 포인트(E.P)에서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E.M.P)까지 수직으로 나눈다. 탑 볼륨존을 하나의 구역으로 나누고,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E.M.P)를 양쪽에서 연결하여 아래는 네이프 중간이 미디엄 볼륨존으로 나눈다.
네이프 단면 커트 도해도(b)는 네이프에서 가이드를 2㎝로 정하고 3㎝ 간격의 10 개 패널을 수직으로 나눈다. 네이프 포인트(N.P)에 백 포인트(B.P)와 골덴 포인트(G.P)의 중간 지점에 엘리베이션에 의한 버티컬 섹션으로 105°이상의 레이어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쉐이프까지 연결하여 같은 각도를 유지한다.
미디엄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c)는 3㎝ 간격의 8 개 패널을 수직으로 나눈다. 백의 가이드와 골덴 포인트(G.P)를 연결하여 엘리베이션에 의한 버티컬 섹션으로 90°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쉐이프에서 가이드는 살리고 각도를 더 올려 슬림한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사이드 단면 커트 도해도(d)는 2㎝ 간격의 2 개 패널을 수직으로 나눈다.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와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를 연결하여 엘리베이션에 의한 버티컬 섹션으로 120°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쉐이프에서 가이드와 연결하여 슬림한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질감 처리를 하여 사이드가 가볍게 나오도록 연출한다.
프론트 단면 커트 도해도(e)는 좌측의 가이드를 코 끝에 맞추어 라운드 라인으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길어지게 연출한다. 45°의 각도의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오버디렉션한다. 사이드와 별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기장의 차이를 준다.
그리고 탑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f)는 볼륨존에서 탑 포인트(T.P)를 중심점으로 4㎝ 간격의 6 개 패널을 나누어 피봇으로 버티컬 섹션으로 가이드 라인과 연결하여 둥근 라인을 만든다. 90° 각도의 레이어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각도를 낮추며 골덴 포인트(G.P)와 연결한다. 프론트와 연결하여 각도를 낮추어 그래듀에이션의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어 볼륨을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는 볼륨존을 이용한 레이어 미디엄 커트 스타일에 대한 커트 도해도로서, 높은 엘리베이션을 이용하여 두상의 둥근 곡면을 이용한 커트에서 나타나는 각도와 길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5 실시예는 레이어 테크닉 만을 이용한 어깨 길이의 레이어 커트 스타일로, 머리 마루의 가로 길이가 넓고, 뒤통수가 원형이 아닌 커브나 직선을 이루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탑 볼륨존에 볼륨을 만들고, 얼굴의 가로 길이가 넓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서 옆으로 퍼져 보여 지거나 뒷통수가 납작하게 표현될 수 있는 스타일을 사이드와 백에 위치한 쉐이프존에서의 형태 변화로 슬림한 헤어 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커트 도해도이다.
제5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앞 모습(a), 우측 모습(b), 좌측 모습(c) 및 뒷 모습(d)의 확장 커트 도해도에서 블로킹을 확인하고, 각 위치별 각도를 확인한다. 가이드를 라인 라인드로 잡는다. 네이프 포인트(N.P)에서 백 포인트(B.P) 위치에 있는 쉐이프존의 아랫 부분까지 두상의 90° 각도에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질감 처리로 가볍게 연출한다. 백 쉐이프존의 각도 변화를 확인한다. 미디엄 볼륨존에서 90° 각도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한다. 탑 볼륨존에 볼륨이 가장 많이 생기도록 한다. 사이드는 90° 각도를 유지하고, 길이의 변화가 없도록 주의한다. 사이드는 양쪽의 쉐이프존을 중심으로 105° 각도의 레이어를 사용하여 가벼운 스타일이 연출되도록 한다. 사이드의 슬림존은 질감 처리로 가볍게 한다. 센터 포인트(C.P)에서 두상의 90° 각도를 유지한다. 헤어 커팅 방법으로 나칭 커팅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인의 두꺼운 모발에 둔탁하게 떨어질수 있는 머리카락을 자유롭게 연출한다.
제5 실시예의 단면 커트 도해도는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a), 네이프(b), 백 쉐이프존(c), 미디엄 볼륨존(d), 사이드(e), 사이드 쉐이프존(f), 프론트(g) 및 탑 볼륨존(h)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로 구성된다.
블로킹 단면 커트 도해도(a)는 볼륨존의 구역대를 나눈다. 즉, 블로킹은 탑 포인트(T.P)와, 골덴 포인트(G.P)와 백 포인트(B.P)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원을 그려 탑 볼륨존으로 한다.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에서 백 포인트(B.P)까지 원를 그려 미디엄 볼륨존으로 한다. 그 아래를 슬림존으로 하며, 백에서 미디엄 볼륨존과 슬림존의 겹쳐진 곳을 형태 변화를 주관하는 쉐이프존으로 한다. 이어 포인트(E.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를 지나 반대편 이어 포인트(E.P)까지 연결하여 슬림존을 한다. 사이드 슬림존과 네이프 슬림존의 중간 지점인 사이드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사이드 쉐이프존으로 한다.
네이프 단면 커트 도해도(b)는 네이프에서 가이드를 12㎝ 길이로 한다. 네이프 포인트(N.P)에서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까지 2㎝ 간격의 10 개 패널로 나눈다. 쉐이프존 바로 아래에서부터 네이프 포인트(N.P)까지 연결하여 버티컬 섹션으로 90°의 엘리베이션을 사용한다. 슬림한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질감 처리한다.
백 쉐이프존 단면 커트 도해도(c)는 백 쉐이프존에서, 두상의 곡선에 90° 이상의 각도를 들어 올려 네이프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하여 백에 볼륨을 만들기 위한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출한다. 형태의 변형을 위해 질감 처리로 가볍게 연출한다.
미디엄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d)는 미디엄 볼륨존에서 라운드로 3㎝ 간격의 6 개 패널로 나눈다. 네이프의 가이드 길이와 연결하여 버티컬 섹션으로 라운드 라인을 따라 두상에서 90° 각도의 레이어 형태를 만든다.
사이드 단면 커트 도해도(e)는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와 센터 포인트(C.P)까지 2㎝ 간격의 2 개 패널로 나눈다. 두상의 곡면을 따라 90° 각도로 버티컬 섹션으로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연출한다.
사이드 쉐이프존 단면 커트 도해도(f)는 사이드 쉐이프존에서 이어 포인트(E.P)의 가이드 길이와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G.E.M.P)의 가이드 길이를 연결하여 피봇 섹션으로 105° 각도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연출한다. 옆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질감 처리한다.
프론트 단면 커트 도해도(g)는 사이드의 가이드 길이와 센터 포인트(C.P)를 연결하여 두상의 곡면을 따라 라운드 라인으로 연결한다. 두상의 곡면을 따라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까지 연결하여 90° 각도의 레이어 형태를 연출한다.
그리고 탑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h)는 탑 볼륨존에 2㎝ 간격의 8 개 패널을 피봇 섹션으로 나눈다. 탑 포인트(T.P)와 골덴 포인트(G.P)의 중간 지점을 중심으로 90° 각도로 두상의 곡면을 따라 레이어 형태가 나타나도록 연출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선택된 헤어 스타일의 볼륨 헤어 커트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한국인의 두상과 서구인의 두상에 적용된 헤어 스타일에 대해 차이가 가장 잘 나타나는 제5 실시예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6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단면 커트 도해도에 따른 볼륨 헤어 커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제5 실시예의 커트 도해도는 볼륨존을 이용한 레이어 미디엄 커트 스타일을 위해 블로킹, 네이프, 백 쉐이프존, 미디엄 볼륨존, 사이드, 사이드 쉐이프존, 프론트 및 탑 볼륨존 각각에 따른 단면 커트 도해도들을 포함하며, 볼륨 헤어 커트 과정은 각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라 순차적으로 헤어 커트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볼륨 헤어 커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5a를 참조하면, 블로킹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a)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을 볼륨존의 구역대로 나누고, 탑 포인트(T.P)와, 골덴 포인트(G.P)과 백 포인트(B.P)의 중간 지점에서 원을 그려 탑 볼륨존으로 한다. 또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에서 백 포인트(B.P)까지 원를 그려 미디엄 볼륨존으로 한다. 그 아래를 슬림존으로 하며, 백에서 미디엄 볼륨존과 슬림존의 겹쳐진 곳을 형태 변화를 주관하는 쉐이프존으로 한다. 또한 이어 포인트(E.P)에서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를 지나 반대편 이어 포인트(E.P)까지 연결하여 슬림존을 한다. 사이드 슬림존과 네이프 슬림존의 중간 지점인 사이드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사이드 쉐이프존으로 한다.
네이프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b)은 네이프에서 10㎝의 원랭냉 라인으로 커트한다. 네이프 포인트(N.P)에서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까지 2㎝ 간격의 10 개 패널으로 나눈다. 쉐이프존 바로 아래에서부터 네이프 포인트(N.P)까지 연결하여 버티컬 섹션으로 90°의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커트한다. 슬림한 스타일 연출하기 위해 과도한 질감 처리를 한다.
백 쉐이프존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c)은 백 쉐이프존에서 두상의 곡선으로부터 90° 이상의 각도를 들어 올려 네이프의 길이 보다 짧아지도록 하여, 백에 볼륨을 만들기 위한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더럭 연출하여 커트한다. 형태의 변형을 위해 질감 처리로 가볍게 연출한다.
도 15b를 참조하면, 미디엄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d)은 미디엄 볼륨존에서 라운드로 3㎝ 간격의 6 개 패널으로 나눈다. 네이프의 가이드 길이와 연결하여 버티컬 섹션으로 라운드 라인를 따라 커트한다. 백 포인트(B.P)와 골덴 포인트(G.P)를 두상에서 90° 각도의 레이어 형태를 만들어 커트한다. 미디엄 볼륨존을 사이드 전까지 똑같은 방법으로 커트한다.
사이드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e)은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F.S.P)와 센터 포인트(C.P)까지 2㎝ 간격으로 2 개의 패널으로 나눈다. 두상의 곡면을 따라 90° 각도로 버티컬 섹션으로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커트한다.
사이드 쉐이프존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f)은 사이드 쉐이프존에서 이어 포인트(E.P)의 가이드 길이와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G.E.M.P)의 가이드 길이를 연결하여 피봇으로 105° 각도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커트한다. 옆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한 질감 처리를 한다.
도 15c를 참조하면, 프론트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g)은 사이드의 가이드 길이와 센터 포인트(C.P)를 연결하여 두상 곡면을 따라 라운드 라인으로 연결하여 커트한다. 두상 곡면을 따라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T.C.M.P)까지 연결하여 90° 각도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커트한다.
이어서 탑 볼륨존 단면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른 커트 과정(h)은 탑 볼륨존에 2㎝ 간격의 8 개 패널을 피봇으로 나눈다. 탑 포인트(T.P)와 골덴 포인트(G.P)의 중간 지점을 중심으로 90° 각도로 두상 곡면을 따라 레이어 형태가 나타나도록 커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과정을 제5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 각각에 대한 커트 과정 또한 해당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해당 헤어 스타일로 커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겠다. 여기서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 각각에 대한 볼륨 헤어 커트 과정은 각각의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라 커트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도 16을 이용하여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 맞추어져 있는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서구인의 표준 두상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스타일을 적용하여 커트한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알아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커트 도해도에 대응되는 기존의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한국인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 헤어 커트 완성된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여기서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는 비달 사순의 커트 교재(vidal sassoon. 1984『abc cutting hair the sassoon』. vidal sassoon. inc.)에 공개된 헤어 스타일들 중 제5 실시예와 동일한 헤어 스타일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 헤어 스타일은 서구인의 두상에 맞추어져 있는 비달사순의 커트 기법의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서구인의 표준 두상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커트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는 엘리베이션을 이용한 레이어 커트 도해도로서, 크라운에서부터 피봇으로 버티컬 섹션을 사용하여 높은 엘리베이션으로 레이어가 나타나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둥근 두상의 곡선을 이용한 높은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오버디렉션을 하며, 페이스 라인과 네이프 라인은 정교함을 위해 정리한다.
이러한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는 두상의 둥근 곡면을 이용한 커트에서 나타나는 각도와 길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알아보기 위해, 높은 엘리베이션을 이용하여 두상의 둥근 곡면을 따라 90° 각도 이상의 각도를 이용하여 레이어를 표현하는 헤어 스타일이다.
또 서구인의 표준 두상(a ~ d)은 머리 둘레 520.5㎜, 머리 수직 200㎜, 머리 너비 145㎜, 눈살-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 183㎜,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 110㎜를 갖고, 한국인의 표준 두상(e ~ h)은 머리 둘레 540㎜, 머리 수직 220㎜, 머리 너비 150㎜, 눈살-뒤통수 돌출 수평 길이 184㎜,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 137㎜를 갖는 마네킹을 각각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를 서구인의 표준 두상(a ~ d)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e ~ h) 각각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헤어를 커트하면, 가이드를 골덴 포인트(G.P)에서 6㎝, 네이프 포인트(N.P)에서 2㎝, 센터 포인트(C.P)에서 2.5㎝로 정한다. 골덴 포인트(G.P)에서 센터 포인트(C.P) 까지를 첫 패널으로 시작하여 피봇 방사선으로 패널을 옮겨 가며 두상의 곡면의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버티컬 섹션으로 90° 각도의 높은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커트한다. 골덴 포인트(G.P)에서 백 포인트(B.P)까지 연결하고 다시 네이프 포인트(N.P)까지 연결하여 후두부 두상의 곡면을 따라 버티컬 섹션으로 90° 각도의 높은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커트한다. 이어 포인트(E.P)의 바로 윗 지점까지 같은 방법을 커트한다. 사이드는 후두부와 같이 두상의 곡면을 따라 버티컬 섹션으로 90° 각도의 높은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커트한다. 페이스 라인을 따라 정교함을 강조하기 위해 라인을 잡은 후, 첫 패널과 평행을 이루는 두 번째 패널을 버티컬 섹션으로 오버디렉션으로 커트한다. 이어 포인트(E.P)까지 반복하여 커트한다. 이어 포인트(E.P)를 중심으로 네이프 포인트(N.P)와 사이드 코너포인트(S.C.P) 라인을 살려 커트한다. 네이프 포인트(N.P) 라인과 페이스 라인의 모량의 질감을 조절한다.
따라서 동일한 비달 사순의 커트 도해도를 서구인의 표준 두상(a ~ d)과 한국인의 표준 두상(e ~ h)에 적용하여 커트한 결과물을 비교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의 커트 도해도는 높은 엘리베이션을 이용하여 두상의 곡면이 잘 드러나는 커트 방법으로, 두상의 둥근 곡면을 따라 90° 각도에서 사이드에서 미세한 길이와 각도의 차이로 인해 볼륨감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형태에서는 눈에 띄는 볼륨감의 차이가 들어났다.
구체적으로, 프론트(a, e)를 살펴보면, 가이드를 골덴 포인트(G.P)에서 6㎝, 네이프 포인트(N.P)에서 2㎝, 센터 포인트(C.P)에서 2.5㎝로 정한 후, 골덴 포인트(G.P)에서 센터 포인트(C.P) 까지를 첫 패널으로 시작하여 피봇 방사선으로 패널을 옮겨 가며 두상의 곡면을 따라 레이어 형태가 나오도록 버티컬 섹션으로 90° 각도의 높은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프론트와 크라운을 먼저 커트한다.
네이프(d, h)를 살펴보면, 후두부에서는 골덴 포인트(G.P)에서 백 포인트(B.P)까지 연결하고 다시 네이프 포인트(N.P)까지를 연결하여 후두부 두상의 곡면을 따라 버티컬 섹션으로 90° 각도의 높은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커트한다.
그 결과, 서구인의 표준 두상(a ~ d)에서는 뒤통수의 가장 튀어난 지점이 0.26㎜가 더 길기 때문에, 후두부의 형태가 볼륨감이 생겨난 반면, 한국인의 표준 두상(e ~ h)에서는 불륨감이 나타나지 않고 수직에 가까운 윤곽이 들어났다.
또한, 사이드(b, c, f, g)도 같은 방법으로 두상의 곡면을 따라 버티컬 섹션으로 90° 각도의 높은 엘리베이션을 사용하여 커트한 결과,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와 사이드 포인트(S.P)의 지점은 평면에 가까워 각도의 차이도 길이의 차이도 없었으나, 이어 포인트(E.P)와 탑 포인트(T.P)의 중간 지점에서 각도와 길이가 미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서구인의 표준 두상(a ~ d)의 머리 너비 길이가 10.69㎜ 더 짧고, 머리 마루-귀 구슬점 수직 길이가 26.29㎜ 더 짧고,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반면, 한국인의 표준 두상(e ~ h)에서 90.°의 각도로 커트 시, 85°의 각도의 차이와 이어 포인트(E.P)에서 탑 포인트(T.P)로 올라가면서 0.5㎝의 미세한 길이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탑 포인트(T.P)의 가이드의 길이가 결정된 상태에서는 커다란 길이의 변화없이 볼륨감이 형성됐다. 이는 이어 포인트(E.P)를 중심으로 네이프 포인트(N.P)와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 라인을 살려 정교하게 커트한 후, 질감 처리 하여 커트 한 결과, 길이와 볼륨감 형태적인 변화보다는 모질의 양과 특성이 달라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서구인의 표준 두상에 적합한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헤어 커트를 한 결과, 서구인과 한국인의 두상 형태의 차이로 인해 헤어 디자인의 형태와 길이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특성에 적합한 커트 도해도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헤어 커트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a ~ d)에 제5 실시예에 따른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헤어 커트한 결과물을 나타낸 것이다. 즉, 한국인의 표준 두상(a ~ d)에 볼륨존을 이용한 레이어 미디엄 커트 스타일로 헤어를 커트한 상태이다. 여기서 한국인의 표준 두상(a ~ d)은 도 16의 크기와 동일한 마네킹을 이용한다. 이 실시예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a ~ d)에 도 14 내지 도 15c의 커트 도해도의 지시에 따라 헤어 커트를 완성한다.
따라서 한국인의 두상(a ~ d)에 맞게 제작된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커트한 한국인의 표준 두상(a ~ d)의 헤어 스타일과, 도 16에 도시된 기존의 서구인에 맞게 제작된 커트 도해도를 이용하여 커트한 한국인의 표준 두상(e ~ h)과 비교하면, 두상 특성에 따라 커트된 헤어 스타일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특성에 적합한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헤어 커트를 하도록 함으로써, 한국인의 두상에 맞는 체계적인 커트 시술이 가능하므로, 미용 경력이 많은 사람이나, 미용을 처음 입문하는 학생 등 시술자 모두가 똑같은 헤어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S100 : 볼륨 헤어 커트 방법
S110 : 한국인 두상 표준화 단계
S120 : 두상 포인트 설정 단계
S130 : 볼륨존 설정 단계
S140 : 커트 도해도 제작 단계
S150 : 헤어 커트 단계

Claims (4)

  1.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에 있어서:
    한국인 두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한국인의 두상 을 표준화하는 단계;
    표준화된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기준점이 되는 복수 개의 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한국인의 표준 두상에 대한 헤어 디자인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볼륨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두상 포인트와 상기 볼륨존을 이용하여 복수의 헤어 스타일 각각에 대응되는 헤어 볼륨을 위한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는 단계; 및
    하나의 커트 도해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커트 도해도에 따라 헤어를 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두상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두상 포인트를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모발 분포 면적에 따라 센터 포인트, 탑 포인트, 골덴 포인트, 백 포인트, 네이프 포인트,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 사이드 코너 포인트, 사이드 포인트,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 이어 포인트,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 및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로 설정하되;
    상기 센터 포인트, 상기 프론트 사이드 포인트, 상기 사이드 포인트, 상기 사이드 코너 포인트, 상기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 및 상기 네이프 포인트들 각각은 기존에 정의된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탑 포인트는 기존의 위치와 상기 이어 포인트가 연결되는 연장선에서 오른쪽으로 10° 각도로 기울인 위치에 있는 머리 마루의 가장 튀어나온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백 포인트는 기존의 위치보다 0.5cm 위의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골덴 포인트는 상기 탑 포인트와 상기 백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이어 포인트는 기존의 위치보다 페이스 라인 쪽으로 0.5cm 앞으로 당겨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네이프 포인트와 상기 백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골덴 이어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이어 포인트와 상기 골덴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이어 포인트와 상기 탑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고, 상기 탑 센터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센터 포인트와 상기 탑 포인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며, 상기 백 이어 미디엄 포인트는 상기 이어 포인트와 상기 백 포인트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정되며;
    상기 볼륨존을 설정하는 단계는,
    한국인의 표준 두상을 탑 볼륨존, 미디엄 볼륨존, 쉐이프존 및 슬림존으로 설정하되;
    상기 탑 볼륨존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 중 가장 높은 위치의 구역에 설정되어, 헤어 스타일의 외곽을 나타내고, 볼륨을 가장 크게 나타내야 하는 구역이고, 상기 미디엄 볼륨존은 상기 탑 볼륨존을 둘러싸는 위치의 구역에 설정되어, 상기 탑 볼륨존의 볼륨을 받쳐주는 역할로 형태를 만들어 내는 구역이고, 상기 쉐이프존은 한국인의 표준 두상의 뒤통수와 양쪽 사이드 각각의 위치의 구역에 설정되어, 뒤통수와 사이드 형태의 변형을 만들어 내는 구역이고, 그리고 상기 슬림존은 페이스 라인과 상기 미디엄 볼륨존 사이, 상기 쉐이프존과 네이프 라인 사이 각각의 위치의 구역에 설정되어, 헤어 디자인의 프론트와, 네이프 및 사이드의 형태를 결정짓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 헤어 커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트 도해도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커트 도해도를 헤어 스타일들 각각에 대응하여 전체적인 헤어 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한 확장 커트 도해도와, 상기 확장 커트 도해도의 헤어 스타일에 따라 상기 두상 포인트와 상기 볼륨존들 각각에 대한 세부적인 볼륨 커트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단면 커트 도해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 헤어 커트 방법.
KR1020190131154A 2019-10-22 2019-10-22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KR10228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54A KR102283807B1 (ko) 2019-10-22 2019-10-22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54A KR102283807B1 (ko) 2019-10-22 2019-10-22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92A KR20210047492A (ko) 2021-04-30
KR102283807B1 true KR102283807B1 (ko) 2021-07-29

Family

ID=7574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54A KR102283807B1 (ko) 2019-10-22 2019-10-22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8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63B1 (ko) 2007-06-26 2008-07-04 김영미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컷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17B1 (ko) * 2012-03-02 2013-10-14 홍성희 섹션존을 이용한 헤어커트 방법
KR101500279B1 (ko) 2014-09-01 2015-03-09 이영주 솔리드, 그레쥬에이션, 및 레이어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796585B1 (ko) 2017-09-25 2017-11-10 민준홍 헤어 커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63B1 (ko) 2007-06-26 2008-07-04 김영미 두상의 곡면분할에 의한 헤어컷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헤어커트 디자인-기본 헤어 커트<URL: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angmuni&logNo=220737689509&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2016.06.20.*
임선희. 커트 도해도가 헤어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 석사학위논문. 2007.0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92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954B2 (ja) 顔だち分類法及び顔だちマップ
EP1839525A1 (en) A mannequin head
JP3611007B2 (ja) ヘアスタイル・イメージマップ
KR101478489B1 (ko) 좌우 비대칭 헤어 커트 및 컬러 염색 방법
KR101500279B1 (ko) 솔리드, 그레쥬에이션, 및 레이어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2283807B1 (ko)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JP3614783B2 (ja) 顔だち分類法
JP2003302895A (ja) 髪カット用教材、及びこれを用いた髪のカット方法
WO2024001648A1 (zh) 不同头围尺寸的发际线轮廓的定位方法、头部模型及假发
KR101500281B1 (ko) 그레쥬에이션과 레이어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US20220053918A1 (en) Educational hairsty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500280B1 (ko) 헤어 커트 방법
CN209433681U (zh) 分区头部模型
KR101754553B1 (ko) 헤어 커트 방법
KR20210020345A (ko) 도해도를 이용한 헤어 커팅 방법
KR101754554B1 (ko) 티 라인을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KR101754552B1 (ko) C 커브 형태의 커트를 이용한 헤어 커트 방법
Park Analysis of hair design formative factors in the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KR102489801B1 (ko) 헤어 커트 방법
US20080163880A1 (en) Method for defining a standardized procedure for a haircut, a code for defining a haircut, and a method for giving a haircut
RU2782285C1 (ru) Способ стрижки волос в технике demetrius
KR101478490B1 (ko) 비대칭 콤비네이션 헤어 커트 및 펌 방법
KR20200009688A (ko) 방향성을 이용한 헤어커트방법
KR101744222B1 (ko)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JP2003164330A (ja) レッスン用ウィ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